KR102434486B1 -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질 유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질 유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486B1
KR102434486B1 KR1020220042900A KR20220042900A KR102434486B1 KR 102434486 B1 KR102434486 B1 KR 102434486B1 KR 1020220042900 A KR1020220042900 A KR 1020220042900A KR 20220042900 A KR20220042900 A KR 20220042900A KR 102434486 B1 KR102434486 B1 KR 102434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culture
lactobacillus rhamnosus
present
vagi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영
박찬선
윤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옴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옴바이오
Priority to KR1020220042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질 유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및 이의 용도{VAGINA-DERIVED LACTOBACILLUS RHAMNOSUS VG.Q1 STRAIN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ICROORGANISMS CAUSING VAGINOSI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여성의 질 내 산도는 pH 3.8 ~ 4.5이다. 질 내 유용 유산균총이 pH를 산성으로 유지하게 해주어 외부의 감염원으로부터 질 내부를 보호한다. 질 내 유용 유산균으로는 Lactobacillus crispatus, Lactobacillus jensenii, Lactobacillus gasseri, Lactobacillus coleohominis 등이 알려져 있다 (Madhivanan et al. 2015; Antonio, Hawes, and Hillier 1999). 질 내부 균총에 변화가 생기면 pH가 증가하게 되고 질염의 감염확률이 증가한다. 질염에 감염되면 주로 항생제가 쓰이는데 세균성 질증치료제로는 metronidazole, tinidazole과 clindamycin이 사용되며, 칸디다성 질염에는 miconazole과 terconazole이 사용되는데 질염을 치료하지만 항생제 내성균을 야기함과 동시에 질 내 유용 유산균에도 영향을 미친다(Kim 2008). 이에 부작용이 적은 식물성 천연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항균활성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식물성 천연물 추출물은 인체 내에서 식균작용을 활성화하고, 항체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등 면역력을 증가시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한다.
질염은 여성이 감기만큼 자주 걸리는 질환으로 면역력이 약해지면 나타나는 질병 중 하나이다. 또한 재발률이 높은 질병이기에 여성은 항상 질염의 위험에 노출되어있다. 질염은 크게 세균성 질증과 칸디다성 질염, 트리코모나스 질염으로 나뉜다(Van 2010). 세균성 질증을 유발하는 세균이 질 상피세포에 부착되어 biofilm을 형성하고, 칸디다성 질염을 유발하는 Candida albicans가 질 상피 세포에서 biofilm을 형성하여 숙주에 감염된다.
질염 유발 균주로 알려진 Chryseobacterium gleum, Sphingomonas paucimobilis, Proteus mirabilis는 그람음성균이다. 그람음성균의 특징 중 하나인 lipopolysaccharide (LPS)를 세포에 처리하면 LPS에 의한 자극에 반응하여 티로신에 의한 급성인산화 반응이 일어나 p38이 발현된다. p38은 38 kDa의 단백질 중 p38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family로 분류된 단백질이다(Han et al. 1994; Malcolm and Worthen 2003). p38 MAPK 경로는 세포의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세 가지 주요 MAPK 경로 중 하나이다. 세포외자극에 의해 p38 MAPK가 phosphorylation되어 활성화되는데 이를 pp38이라한다. p38 MAPK의 활성화는 전사, 단백질 합성, 세포막 수용체 발현,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 발현 및 세포의 사멸을 조절한다. 또한, p38 MAPK는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 알츠하이머 등 중요한 질병에 관련되어 있고 cytokine 신호전달, 염증반응, 산화스트레스 반응 등의 생리적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p38 MAPK 저해제는 질병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3744호
본 발명자는 건강한 여성의 질액을 채취하여 절대혐기적 조건에서 배양한 후 1차적으로 질염 원인균에 대하여 생육억제 활성을 보이는 균주를 분리하였다. 동정결과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로 확인되었고, 상기 균주가 질염 원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탁번호 KCTC 14873BP로 기탁되고, 질염 원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는 16S rDNA가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다.
상기 질염 원인균은 스핀고모나스 파우치모빌리스(Sphingomonas paucimobilis), 프로튜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크리세오박테리움 글레움(Chryseobacterium gleum) 또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균주의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질염은 세균성 질염으로 스핀고모나스 파우치모빌리스(Sphingomonas paucimobilis), 프로튜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크리세오박테리움 글레움(Chryseobacterium gleum) 또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중 어느 하나의 균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질염 및 성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용 미생물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질염은 세균성 질염으로 스핀고모나스 파우치모빌리스(Sphingomonas paucimobilis), 프로튜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크리세오박테리움 글레움(Chryseobacterium gleum) 또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중 어느 하나의 균주로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강한 한국인 여성의 질 내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 균주에 관한 것으로, 상기 균주는 질염 원인균에 강력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들 균주 및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는 세균성 질염에 대한 치료제/치료보조제/예방제 등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하여 관련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크리세오박테리움 글레움(Chryseobacterium gleum)에 대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 균주의 항균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프로튜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에 대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 균주의 항균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스핀고모나스 파우치모빌리스(Sphingomonas paucimobilis)에 대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 균주의 항균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 균주의 항균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탁번호 KCTC 14873BP로 기탁된 신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 균주는 질염 원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 균주는 한국 큐옴바이오 주식회사의 큐옴바이오 연구소에서 새롭게 발견한 유산균으로서, 스핀고모나스 파우치모빌리스(Sphingomonas paucimobilis) 균주에 대하여 99.9%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프로튜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에 대하여 88.3%, 크리세오박테리움 글레움(Chryseobacterium gleum)에 대하여 70.3%,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해서 28.0%의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은 2022년 2월 24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CTC)에 기탁번호 KCTC 14873BP로 기탁되었다.
이와 반면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는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해서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는 16S rDNA가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기탁번호 KCTC 14873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사균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질염은 세균성 질염으로 스핀고모나스 파우치모빌리스(Sphingomonas paucimobilis), 프로튜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크리세오박테리움 글레움(Chryseobacterium gleum) 또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중 어느 하나의 균주로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사균체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인체에 무해하다.
또한, 상기 배양액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을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여 수용한 배양액, 농축 배양액, 배양액 건조물, 배양 여과액, 농축 배양 여과액 또는 배양 여과액의 건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것, 배양한 후 균주를 제거한 배양여액일 수 있다.
상기 사균체는 공지된 사균체 제조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사균체는 상응한 생균체를 열처리하거나 포르말린 또는 기타 살균제와 함께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사균체는 실질적으로 죽어 있는 것이어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균체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배양하여 수득한 균주를 세정하고, 원심 탈수하고, 필요에 따라 세정·탈수를 반복한 후, 증류수, 생리식염수 등에 현탁하고, 그 현탁액을, 예를 들면 80 ~ 115℃에서 3초 ~ 30분간 열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사균체 현탁액이나 그 건조물, 또는 상기 사균체 현탁액에 감마선 혹은 중성자선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사균체 현탁액이나 그 건조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사균체 현탁액의 건조 수단으로서는 공지된 건조 수단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분무 건조, 동결 건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열 등에 의한 살균 처리의 전후, 또는, 건조 처리의 전후에, 효소 처리, 계면활성제 처리, 마쇄·분쇄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것도 본 발명의 사균체에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사균체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를 종균 배양한 후, pH 5.0 ~ 8.0, 20 ~ 40℃ 온도에서 본배양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본배양한 LRQ1를 70 ~ 130℃ 온도에서 5 ~ 30분간 열처리 후 건조 및 분말화하는 단계.
또한, 주성분인 기탁번호 KCTC 14873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의 유효량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적인 담체 또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선택하여 통상적인 제형의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방부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항산화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담체 및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희석제로는 유당(lactose monohydrate), 트레할로스(Trehalose), 옥수수 전분(cornstarch), 콩기름(soybean oil), 미결정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또는 만니톨(D-mannitol)이 좋고,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또는 탈크(talc)가 바람직하며, 결합제로는 폴리비닐 피롤리돈(PVP:polyvinyl pyrolidone)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hydroxypropylcellulos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Ca-CMC: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전분글리콜산나트륨(sodium starchglycolate), 폴라크릴린칼륨(polacrylin potassium) 또는 크로스포비돈(cross-linkedpolyvinylpyrrolidone)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고,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소르비톨(sorbitol) 또는 아스파탐(aspartame) 중에서 선택되고,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Na-CMC: carboxymethylcellulosesodium), 베타-싸이크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백납(white bee's wax) 또는 잔탄검(xanthan gum) 중에서 선택되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methyl p-hydroxy benzoate, methylparaben),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p-hydroxybenzoate, propylparaben), 또는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 이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또한,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질환 및 이의 중증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과 같은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투여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투여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투여 경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탁번호 KCTC 14873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질염은 세균성 질염으로 스핀고모나스 파우치모빌리스(Sphingomonas paucimobilis), 프로튜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크리세오박테리움 글레움(Chryseobacterium gleum) 또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중 어느 하나의 균주로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기탁번호 KCTC 14873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얼음과자, 아이스크림류, 우유, 우유 대용품, 크림, 버터, 버터 밀크, 요구르트, 요거트, 치즈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슈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기탁번호 KCTC 14873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를 100 ㎖당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1.0 g이다.
상기 외의 본 발명의 기탁번호 KCTC 14873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는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은 100 중량부 당 0.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1) 균주 분리
건강한 여성 질에서 멸균 면봉으로 질액을 채취하여 Transport medium(Amies, w/o charcoal)에 넣는다. 0.85% saline에 검체 면봉을 넣고 볼텍싱한 후 0.85% saline 용액으로 10,000배 희석한다. MRS agar 배지에 도말하여 37℃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형성된 콜로니 중 10개를 MRS고체 배지에 streaking하여 순수분리한다. 선별된 균주를 MRS 고체 배지에 도말하여 순수 분리하였으며, 선별된 균주를 대상으로 항균 실험을 통해 우수한 효과를 가진 균주를 동정 분석하였다.
(2)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한 균주의 분석
유전학적 동정은 미생물 내에 존재하는 genomic DNA를 추출하여 동정에 이용이 되는 16s rRNA를 PCR 방법을 이용하여 증폭한 뒤 정제 과정을 거친 PCR 단편을 유전자 분석센터인 (주)마크로젠에 염기서열 분석을 의뢰하였으며, 상기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분석되었다.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얻은 균주의 염기서열은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NCBI) 홈페이지 내에 존재하는 GeneBank database (http://blast.ncbi.nlm.nih.gov/Blast.cgi?PROGRAM=blastn&PAGE_TYPE=BlastSearch&LINK_LOC=blasthome)에서 BLASTN로 검색하여 기존에 보고된 미생물의 16s rRNA와 유사도를 비교하였다.
서열번호 1의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계통발생론적으로 분석한 결과 Lacticaseibacillus rhamnosus strain SMM34(Sequence ID: MW073402.1) 16s rRNA 유전자와 99%(1471/1475)의 유사율을 나타냈으므로 분리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로 명명하였으며, 2022년 2월 24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TC 14873BP):
[서열번호 1]
GGAGCATGGCGCATACTGCAGTCGACGAGTTCTGATTTTGAAAGGTGCTTGCATCTTGATTTAATTTTGAACGAGTGGCGGACGGGTGAGTAACACGTGGGTAACCTGCCCTTAAGTGGGGGATAACATTTGGAAACAGATGCTAATACCGCATAAATCCAAGAACCGCATGGTTCTTGGCTGAAAGATGGCGTAAGCTATCGCTTTTGGATGGACCCGCGGCGTATTAGCTAGTTGGTGAGGTAACGGCTCACCAAGGCAATGATACGTAGCCGAACTGAGAGGTTGATCGGCCACATTGGGACTGAGACACGGCCCAAACTCCTACGGGAGGCAGCAGTAGGGAATCTTCCACAATGGACGCAAGTCTGATGGAGCAACGCCGCGTGAGTGAAGAAGGCTTTCGGGTCGTAAAACTCTGTTGTTGGAGAAGAATGGTCGGCAGAGTAACTGTTGTCGGCGTGACGGTATCCAACCAGAAAGCCACGGCTAACTACGTGCCAGCAGCCGCGGTAATACGTAGGTGGCAAGCGTTATCCGGATTTATTGGGCGTAAAGCGAGCGCAGGCGGTTTTTTAAGTCTGATGTGAAAGCCCTCGGCTTAACCGAGGAAGTGCATCGGAAACTGGGAAACTTGAGTGCAGAAGAGGACAGTGGAACTCCATGTGTAGCGGTGAAATGCGTAGATATATGGAAGAACACCAGTGGCGAAGGCGGCTGTCTGGTCTGTAACTGACGCTGAGGCTCGAAAGCATGGGTAGCGAACAGGATTAGATACCCTGGTAGTCCATGCCGTAAACGATGAATGCTAGGTGTTGGAGGGTTTCCGCCCTTCAGTGCCGCAGCTAACGCATTAAGCATTCCGCCTGGGGAGTACGACCGCAAGGTTGAAACTCAAAGGAATTGACGGGGGCCCGCACAAGCGGTGGAGCATGTGGTTTAATTCGAAGCAACGCGAAGAACCTTACCAGGTCTTGACATCTTTTGATCACCTGAGAGATCAGGTTTCCCCTTCGGGGGCAAAATGACAGGTGGTGCATGGTTGTCGTCAGCTCGT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TATGACTAGTTGCCAGCATTTAGTTGGGCACTCTAGTAAGACTGCCGGTGACAAACCGGAGGAAGGTGGGGATGACGTCAAATCATCATGCCCCTTATGACCTGGGCTACACACGTGCTACAATGGATGGTACAACGAGTTGCGAGACCGCGAGGTCAAGCTAATCTCTTAAAGCCATTCTCAGTTCGGACTGTAGGCTGCAACTCGCCTACACGAAGTCGGAATCGCTAGTAATCGCGGATCAGCACGCCGCGGTGAATACGTTCCCGGGCCTTGTACACACGCCCGTCACACCATGAGAGTTTGTAACACCCGAAGCCGGTGGCGTAACCCTTTTAGGGAGCGAGCCGTCTAAGGTGGACAAATGATTAGGGTGAGTCTAAAANNGGGGGGNCCCCCAATAA
<실험예>
1. 질염 원인균의 준비
질염 원인균을 아래와 같은 조건에 따라 배양하여 준비하였다.
시험항목 배양온도 대기조건 배양시간 배지
Chryseobacterium gleum ATCC 35910 28℃ Aerobic 48시간 NA1)
Proteus mirabilis ATCC 25933 37℃ Aerobic 48시간 NA
Spingomonas paucimobilis JCM 7518 30℃ Aerobic 48시간 BHI2)
Gardnerella vaginalis ATCC 14018 37℃ Anaerobic 3일 TSA3)
Candida albicans ATCC 11006 25℃ Aerobic 48시간 SD4)
1) Nutrient broth2) Brain Heart Infusion
3) Tryptic Soy broth with 5% sheep blood
4) Sabouraud Dextrose broth,
2.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효과 확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을 2일간 MRS broth에서 전배양하고, 10분간 13,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배양액을 회수하였다. 배양액을 회수하여 0.2㎛ 실린지필터로 제균하여 배양액만 회수하였다. 회수한 배양액에 [표 1]의 질염 원인균 현탁액을 혼합한 후 30분간 실온에 방치하고, 단계 희석법으로 고체 배지를 제조한 후 배양하면서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시험항목 초기균수(CFU/mL) 결과값(CFU/mL) 감소율(%)
C.gleum ATCC 35910 3.09 × 104 9,150 70.3
P.mirabilis ATCC 25933 2.90 × 104 3,400 88.3
S.paucimobilis JCM 7518 1.31 × 104 Not Detected 99.9
G.vaginalis ATCC 14018 1.64 × 104 11,800 28.0
C.albicans ATCC 11006 2.83 × 104 27,900 1.4
상기 [표 2] 및 도 1 내지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 균주는 스핀고모나스 파우치모빌리스(Sphingomonas paucimobilis) 균주에 대하여 가장 강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 다음으로, 프로튜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크리세오박테리움 글레움(Chryseobacterium gleum) 순으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해서는 작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G.Q1 균주는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해서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 명의 사상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873BP 20220224
<110> Cuome bio Co., Ltd. <120> LACTOBACILLUS RHAMNOSUS VG.Q1 STRAIN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ICROORGANISMS CAUSING VAGINOSIS AND USES THEREOF <130> Pn-2022-0049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03 <212> DNA <213> Lactobacillus rhamnosus <400> 1 ggagcatggc gcatactgca gtcgacgagt tctgattttg aaaggtgctt gcatcttgat 60 ttaattttga acgagtggcg gacgggtgag taacacgtgg gtaacctgcc cttaagtggg 120 ggataacatt tggaaacaga tgctaatacc gcataaatcc aagaaccgca tggttcttgg 180 ctgaaagatg gcgtaagcta tcgcttttgg atggacccgc ggcgtattag ctagttggtg 240 aggtaacggc tcaccaaggc aatgatacgt agccgaactg agaggttgat cggccacatt 300 gggactgaga cacggcccaa actcctacgg gaggcagcag tagggaatct tccacaatgg 360 acgcaagtct gatggagcaa cgccgcgtga gtgaagaagg ctttcgggtc gtaaaactct 420 gttgttggag aagaatggtc ggcagagtaa ctgttgtcgg cgtgacggta tccaaccaga 480 aagccacggc taactacgtg ccagcagccg cggtaatacg taggtggcaa gcgttatccg 540 gatttattgg gcgtaaagcg agcgcaggcg gttttttaag tctgatgtga aagccctcgg 600 cttaaccgag gaagtgcatc ggaaactggg aaacttgagt gcagaagagg acagtggaac 660 tccatgtgta gcggtgaaat gcgtagatat atggaagaac accagtggcg aaggcggctg 720 tctggtctgt aactgacgct gaggctcgaa agcatgggta gcgaacagga ttagataccc 780 tggtagtcca tgccgtaaac gatgaatgct aggtgttgga gggtttccgc ccttcagtgc 840 cgcagctaac gcattaagca ttccgcctgg ggagtacgac cgcaaggttg aaactcaaag 900 gaattgacgg gggcccgcac aagcggtgga gcatgtggtt taattcgaag caacgcgaag 960 aaccttacca ggtcttgaca tcttttgatc acctgagaga tcaggtttcc ccttcggggg 1020 caaaatgaca ggtggtgcat ggttgtcgtc agctcgtgtc gtgagatgtt gggttaagtc 1080 ccgcaacgag cgcaaccctt atgactagtt gccagcattt agttgggcac tctagtaaga 1140 ctgccggtga caaaccggag gaaggtgggg atgacgtcaa atcatcatgc cccttatgac 1200 ctgggctaca cacgtgctac aatggatggt acaacgagtt gcgagaccgc gaggtcaagc 1260 taatctctta aagccattct cagttcggac tgtaggctgc aactcgccta cacgaagtcg 1320 gaatcgctag taatcgcgga tcagcacgcc gcggtgaata cgttcccggg ccttgtacac 1380 acgcccgtca caccatgaga gtttgtaaca cccgaagccg gtggcgtaac ccttttaggg 1440 agcgagccgt ctaaggtgga caaatgatta gggtgagtct aaaanngggg ggncccccaa 1500 taa 1503

Claims (8)

  1. 기탁번호 KCTC 14873BP로 기탁되고, 질염 원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며,
    상기 질염 원인균은 스핀고모나스 파우치모빌리스(Sphingomonas paucimobilis), 프로튜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크리세오박테리움 글레움(Chryseobacterium gleum) 또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2. 제1항에 대하여,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는 16S rDNA가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3. 삭제
  4. 제1항에 대하여,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는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해서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5. 기탁번호 KCTC 14873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스핀고모나스 파우치모빌리스(Sphingomonas paucimobilis), 프로튜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크리세오박테리움 글레움(Chryseobacterium gleum) 또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중 어느 하나의 균주로 유발되는 세균성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삭제
  7. 기탁번호 KCTC 14873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스핀고모나스 파우치모빌리스(Sphingomonas paucimobilis), 프로튜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크리세오박테리움 글레움(Chryseobacterium gleum) 또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중 어느 하나의 균주로 유발되는 세균성 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삭제
KR1020220042900A 2022-04-06 2022-04-06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질 유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434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900A KR102434486B1 (ko) 2022-04-06 2022-04-06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질 유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900A KR102434486B1 (ko) 2022-04-06 2022-04-06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질 유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486B1 true KR102434486B1 (ko) 2022-08-19

Family

ID=83113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900A KR102434486B1 (ko) 2022-04-06 2022-04-06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질 유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124B1 (ko) * 2022-10-24 2023-07-13 (주)헥토헬스케어 질염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belr47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983A (ko) * 2015-04-16 2016-10-26 주식회사 고바이오랩 질 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증식억제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KR20190102498A (ko) * 2018-02-26 2019-09-04 (주) 에이투젠 질염 원인균에 대한 증식억제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조합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2053744B1 (ko) 2018-11-27 2019-12-0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질내 부착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983A (ko) * 2015-04-16 2016-10-26 주식회사 고바이오랩 질 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증식억제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KR20170039637A (ko) * 2015-04-16 2017-04-11 주식회사 고바이오랩 질 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증식억제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KR20180006998A (ko) * 2015-04-16 2018-01-19 주식회사 고바이오랩 질 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증식억제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KR20190102498A (ko) * 2018-02-26 2019-09-04 (주) 에이투젠 질염 원인균에 대한 증식억제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조합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2053744B1 (ko) 2018-11-27 2019-12-0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질내 부착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124B1 (ko) * 2022-10-24 2023-07-13 (주)헥토헬스케어 질염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belr47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05789A1 (en) Lactobacillus sp. strain having ability to inhibit growth of virginal pathogenic microorganisms
KR100694820B1 (ko) 박테리아 균주 및 인간 및 수의학적 사용을 위한 생균활성 조성물
KR101452234B1 (ko) 장수마을 성인으로부터 분리한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는 신규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KR102434487B1 (ko)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질 유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52056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68517B1 (ko) 다양한 생리활성과 열 안정성이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pl9119
KR101666564B1 (ko) 항바이러스 및 항병원성세균 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륨 Probio 090 및 이의 생산물
US20220151253A1 (en) Kimchi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akei wikim0109 having efficacy for relief of arthritis
KR102391832B1 (ko)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 억제용 유산균 복합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장염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61611A (ko)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페시움 l11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KR102052047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78350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사펜시스 균주 및 이의 항균 용도
KR102434486B1 (ko)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질 유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488770B1 (ko) 한국 장수마을의 장수인에게서 개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pl9036
KR102159379B1 (ko) 장 부착능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137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024950B1 (ko) 메주로부터 분리된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및 이를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KR20180131823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류테리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52957B1 (ko)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레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0954882B1 (ko)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억제 효과를 가지는 신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82759B1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중독 원인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46331A (ko)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의 면역증강 활성을 증가시키는 배양 방법
KR102244732B1 (ko) 프로바이오틱 초산균인 아세토박터 파스테리아누스 mglv 및 이의 면역조절 효과
KR102065180B1 (ko)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레에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속 WiKim009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65181B1 (ko)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레에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속 WiKim0093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59729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퍼밀러스 균주 및 이의 항균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