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468B1 - 도어폐쇄장치 - Google Patents

도어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468B1
KR102434468B1 KR1020190121929A KR20190121929A KR102434468B1 KR 102434468 B1 KR102434468 B1 KR 102434468B1 KR 1020190121929 A KR1020190121929 A KR 1020190121929A KR 20190121929 A KR20190121929 A KR 20190121929A KR 102434468 B1 KR102434468 B1 KR 102434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magnet
door leaf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552A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190121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468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문틀의 상측 부분을 구성하는 문틀가로프레임; 문짝의 상부에 가로로 위치하여, 상기 문짝이 닫혔을 때, 상기 문틀가로프레임과 나란하게 접하게 되는 문짝가로프레임; 상기 문짝가로프레임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폐쇄부재; 및 상기 문틀가로프레임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문짝이 닫히게 될 때, 상기 문짝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폐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문틀의 자석과 문짝의 자석이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문짝이 문틀에 닫히게 되므로 도어의 폐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폐쇄장치{Door Closed Device}
본 발명은 도어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짝이 닫히게 될 때, 문짝이 문틀의 정해진 위치에서 견고하게 닫히도록 하는 도어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는 여닫이 도어, 미닫이 도어, 폴딩 도어로 대별되는데, 이러한 도어들이 닫히고 난 뒤, 외력에 의해 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도어가 접하게 되는 부분에 걸쇠나 자석과 같은 부재를 사용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폐쇄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도어폐쇄장치의 일 예로서, 문짝과 문틀에 각각 자석을 고정결합하여, 도어가 닫혔을 때, 문짝과 문틀에 고정결합된 자석이 서로 자성에 의해 붙게되어 문짝이 닫힌 상태로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있다.
위와 같은 구조는 문짝을 닫거나 열 때 걸쇠와 같은 부재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고 자석 자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도어의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도어의 폐쇄가 매우 간편하다.
하지만, 이러한 도어폐쇄장치는 일반적으로 문짝과 문틀의 임의의 위치에 자석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설치하므로, 각각의 자석의 상대적인 위치 및 자력에 따라서 도어가 폐쇄되는 힘이 약할 수 있어, 도어에 미약한 외력이 가해져도 쉽게 열려 도어의 폐쇄가 용이하지 않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력이 강하게 작용되기 위해 자석과 자석이 직접 붙도록 설치하면, 자석이 도어의 일부분에 외부로 드러나므로 외관상의 미려함도 저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문짝이 닫히게 될 때, 문짝이 문틀의 정해진 위치에서 견고하게 닫히도록 하는 도어폐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석이 승강가능하도록 하여 도어를 닫았을 때, 자석이 직접 붙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의 힘을 강화하고, 도어가 열렸을 때 승강가능한 자석이 프레임의 내부로 복귀하여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하게 되는 도어폐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폐쇄장치는, 문틀의 상측 부분을 구성하는 문틀가로프레임; 문짝의 상부에 가로로 위치하여, 상기 문짝이 닫혔을 때, 상기 문틀가로프레임과 나란하게 접하게 되는 문짝가로프레임; 상기 문짝가로프레임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폐쇄부재; 및 상기 문틀가로프레임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문짝이 닫히게 될 때, 상기 문짝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폐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폐쇄부재는, 상기 문틀가로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승강틀; 상기 승강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구; 및 상기 승강구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문짝이 닫히게 될 때, 상기 제1폐쇄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승강구가 하강하도록 하는 제2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폐쇄부재는, 상기 문짝이 닫히게 될 때, 상기 제2자석과 접촉하여 상기 문짝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자석; 및 상기 제1자석을 상기 문짝가로프레임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도록 하는 자석고정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틀은, 상기 문틀가로프레임의 삽입홀에 끼워져서 상기 승강틀이 상기 삽입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 상기 승강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틀이 상기 문틀가로프레임에 고정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 및 상기 승강틀의 하단에 끼워지는 상기 승강구의 가이드부가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홀;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구는 상기 제2자석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하여 하측에 형성되는 자석수용부; 및 상기 승강틀의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하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자석수용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승강구의 가이드부가 상기 승강틀의 가이드홀에 끼워져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 선단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볼트; 및 상기 지지볼트의 외주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승강틀의 상면에 위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는 힘은 상기 제1자석과 상기 제2자석이 붙으려는 힘보다 작도록 하여, 상기 문짝이 열리게 될 때에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지지볼트가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승강구가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문짝이 닫히게 될 때에는 상기 승강구가 상기 제2자석에 의해 상기 승강틀의 내부에서 상기 제1자석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강하는 도어폐쇄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도어폐쇄장치에 따르면, 문짝이 닫히게 될 때, 문짝이 문틀의 정해진 위치에서 견고하게 닫히도록 하는 도어폐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폐쇄부재의 제2자석이 문틀가로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가 닫혔을 때, 제2자석이 문틀가로프레임의 하부로 하강하여 문짝가로프레임에 설치된 제1폐쇄부재의 제1자석과 직접 접할 수 있게 되므로 도어의 폐쇄가 더욱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폐쇄부재와 제2폐쇄부재가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2폐쇄부재의 제2자석이 문틀가로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가 열렸을 때, 제2자석이 문틀가로프레임의 내부로 복귀하여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되므로 외관상 미려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폐쇄장치가 구비된 도어가 열렸을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폐쇄장치가 구비된 도어가 닫혔을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폐쇄장치의 제2폐쇄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폐쇄장치의 제2폐쇄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AA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에서 BB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단면을 도어폐쇄장치 전체와 함께 표현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단면을 도어폐쇄장치 전체와 함께 표현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어폐쇄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문짝이 닫히게 될 때, 문짝이 문틀의 정해진 위치에서 견고하게 닫히도록 하는 도어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가로프레임(10), 문짝가로프레임(20), 제1폐쇄부재(30), 제2폐쇄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문틀가로프레임(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를 구성하는 문틀(2)의 상측 부분을 구성하는 프레임으로서,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공간(11)이 형성되고, 하측 부분에는 후술할 제2폐쇄부재(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10a)이 형성되며, 상면의 일측에는 문틀가로프레임(10)에 제2폐쇄부재(40)가 고정 설치되도록 볼트구멍(10b)이 형성된다.
문짝가로프레임(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를 구성하는 문짝(3)의 상부에 가로로 위치하는 프레임으로서,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가 닫혔을 때, 문틀가로프레임(10)과 나란하게 접하도록 위치하며, 상부에는 후술할 제1폐쇄부재(30)가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끼움공간(20a)이 형성된다.
제1폐쇄부재(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가로프레임(20)의 상부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문짝가로프레임(20)의 끼움공간(20a)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1자석(32)과 자석고정구(31)로 이루어진다.
제1자석(32)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가로프레임(20)의 상측 부분 일측에 설치되어 문짝(3)이 닫히게 될 때, 후술하는 제2자석(43)과 접촉하여 문짝(3)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자석고정구(31)는 제1자석(32)을 문짝가로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자석(32)을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것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수용부(33)와 고정부(3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석수용부(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석(32)을 내부에 수용하여 제1자석(32)이 문짝가로프레임(2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측에는 제1자석(32)이 수용되어 있으며, 제1자석(32)의 하부에는 자석수용부(33)가 문짝가로프레임(20)의 상부에 형성한 끼움공간(20a)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부(35)가 형성된다.
고정부(37)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수용부(33)를 문짝가로프레임(2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자석수용부(33)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체결나사(미도시)에 의해 자석수용부(33)가 문짝가로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제2폐쇄부재(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가로프레임(10)의 삽입공간(11)에 삽입되며, 문틀가로프레임(10)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문짝(3)이 닫히게 될 때, 문짝(3)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틀(41), 승강구(42), 제2자석(43)으로 이루어진다.
승강틀(41)은 문틀가로프레임(10)에 고정설치되어 승강구(42)가 승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41a)과, 체결부(41b)와, 가이드홀(41c)을 구비한다.
걸림턱(41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틀(41)이 문틀가로프레임(10)의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걸림턱(41a)이 문틀가로프레임(10)의 삽입홀(10a)에 끼워지게 되면, 승강틀(41)이 삽입홀(10a)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체결부(41b)는 승강틀(41)의 상면에 돌출형성되며, 문틀가로프레임(10)의 볼트구멍(10b)에 나사를 이용하여 승강틀(41)이 문틀가로프레임(10)에 고정 체결되도록 한다.
가이드홀(41c)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틀(41)의 하단에 끼워지는 승강구(42)의 가이드부(42b)가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구멍이다.
승강구(4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틀(41)의 내부에 끼워져서 상하로 승강되는 것으로서, 하측에는 제2자석(43)이 승강구(42)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자석수용부(42a)가 형성되고, 자석수용부(42a)의 상측에는 자석수용부(42a)가 승강틀(41)의 가이드홀(41c)에 삽입되어 상하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42b)가 형성된다.
여기서, 승강구(42)가 승강틀(41)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볼트(45)와 스프링(44)이 이용될 수 있다.
지지볼트(45)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구(42)의 가이드부(42b)가 승강틀(41)의 가이드홀(41c)에 끼워져서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볼트(45)는 가이드부(42b)의 상측 선단에 고정 결합된다.
스프링(44)은 지지볼트(45)의 외주에 끼워져서 문짝(3)이 열리게 될 때, 지지볼트(45)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승강구(42)가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문짝(3)이 닫히게 될 때에는 지지볼트(45)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승강구(42)가 하부로 이동되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46은 지지볼트(45)과 함께 결합되어 스프링(44)이 직접 접하는 와셔다.
제2자석(43)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구(42)의 하측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자석으로서, 도어(D)가 닫혔을 때, 승강구(42)가 승강틀(41)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제1폐쇄부재(30)에 접해 도어(D)가 폐쇄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폐쇄장치(1)는 먼저, 제2폐쇄부재(40)를 문틀가로프레임(10)의 삽입공간(11)에 삽입하기 위하여 승강틀(41)의 걸림턱(41a)이 문틀가로프레임(10)의 삽입홀(10a)에 삽입하여 승강틀(41)을 문틀가로프레임(10)의 삽입공간(11)에 위치시키고, 승강틀(41)의 체결부(41b)를 나사를 이용하여 문틀가로프레임(10)의 볼트구멍(10b)에 체결하면, 제2폐쇄부재(40)가 문틀가로프레임(10)에서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설치된다.
다음에, 제1폐쇄부재(40)를 문짝가로프레임(20)의 끼움공간(20a)에 삽입한 뒤, 도어(D)가 닫혔을 때 제2폐쇄부재(40)가 바로 위에 위치하는 부분까지 제1폐쇄부재(40)를 끼움공간(20a)에서 슬라이딩하여 맞춘 후 나사를 이용해 체결부(31c)와 문짝가로프레임(20)을 체결하면, 제1폐쇄부재(30)가 문짝가로프레임(20)에서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설치된다.
위와 같이 설치된 제1폐쇄부재(30)와 제2폐쇄부재(4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가 닫혔을 때, 제2폐쇄부재(40)의 제2자석(43)과 제1폐쇄부재(30)의 제1자석(32)이 자성으로 인해 서로 끌어당기게 되고, 제1폐쇄부재(30)의 제1자석(32)은 문짝가로프레임(20)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제2폐쇄부재(40)의 제2자석(43)이 제1자석(32)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제2자석(43)이 삽입된 승강구(42)가 제2자석(43)에 의해 승강틀(41)의 내부에서 제1자석(32)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강하여 제2자석(43)이 제1자석(32)에 붙게 된다.
한편, 승강구(42)가 하강하면, 승강틀(41)의 상면과 지지볼트(45)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44)은 압축되는데, 스프링(44)이 압축되는 힘은 제1자석(32)과 제2자석(43)이 붙으려는 힘보다 작아 승강구(42)의 하강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어(D)가 열릴 때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석(32)과 제2자석(43)이 서로 도어(D)를 여는 강한 외력에 의해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제2자석(43)은 더 이상 제1자석(32)에 끌어당겨지지 않으므로 압축되었던 스프링(44)이 다시 팽창하면서 승강틀(41)와 지지볼트(45) 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스프링(44)이 승강구(42)의 가이드부(42b)에 결합된 지지볼트(45)를 상측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승강구(42)가 승강틀(4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어 승강하여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폐쇄부재(30)와 제2폐쇄부재(40)를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하여 도어(D)가 열린 상태에서는 외부로 제1폐쇄부재(30) 및 제2폐쇄부재(4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하게 되며, 제2폐쇄부재(40)가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도어(D)가 닫혔을 때는 제2폐쇄부재(40)가 승강하여 자석이 서로 직접 접하게 되므로 도어(D)의 폐쇄가 더 견고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D: 도어 1: 도어폐쇄장치
10: 문틀가로프레임 20: 문짝가로프레임
30: 제1폐쇄부재 31: 자석고정구
32: 제1자석 40: 제2폐쇄부재
41: 승강틀 42: 승강구
43: 제2자석 44: 스프링
45: 지지볼트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문틀(2)의 상측 부분을 구성하는 문틀가로프레임(10);
    문짝(3)의 상부에 가로로 위치하여, 상기 문짝(3)이 닫혔을 때, 상기 문틀가로프레임(10)과 나란하게 접하게 되는 문짝가로프레임(20);
    상기 문짝가로프레임(2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폐쇄부재(30); 및
    상기 문틀가로프레임(10)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문짝(3)이 닫히게 될 때, 상기 문짝(3)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폐쇄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폐쇄부재(40)는,
    상기 문틀가로프레임(10)에 고정설치되는 승강틀(41);
    상기 승강틀(4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구(42); 및
    상기 승강구(42)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문짝(3)이 닫히게 될 때, 상기 제1폐쇄부재(30)와 접촉되어 상기 승강구(42)가 하강하도록 하는 제2자석(4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폐쇄부재(30)는,
    상기 문짝(3)이 닫히게 될 때, 상기 제2자석(43)과 접촉하여 상기 문짝(3)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자석(32); 및
    상기 제1자석(32)을 상기 문짝가로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도록 하는 자석고정구(31);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틀(41)은,
    상기 문틀가로프레임(10)의 삽입홀(10a)에 끼워져서 상기 승강틀(41)이 상기 삽입홀(10a)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41a);
    상기 승강틀(41)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틀(41)이 상기 문틀가로프레임(10)에 고정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41b); 및
    상기 승강틀(41)의 하단에 끼워지는 상기 승강구(42)의 가이드부(42b)가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홀(41c);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구(42)는
    상기 제2자석(43)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하여 하측에 형성되는 자석수용부(42a); 및
    상기 승강틀(41)의 가이드홀(41c)에 삽입되어 상하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자석수용부(42a)의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42b);
    상기 승강구(42)의 가이드부(42b)가 상기 승강틀(41)의 가이드홀(41c)에 끼워져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부(42b)의 상측 선단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볼트(45); 및
    상기 지지볼트(45)의 외주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승강틀(41)의 상면에 위치하는 스프링(44);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44)이 압축되는 힘은 상기 제1자석(32)과 상기 제2자석(43)이 붙으려는 힘보다 작도록 하여, 상기 문짝(3)이 열리게 될 때에는 상기 스프링(44)에 의해 상기 지지볼트(45)가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승강구(42)가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문짝(3)이 닫히게 될 때에는 상기 승강구(42)가 상기 제2자석(43)에 의해 상기 승강틀(41)의 내부에서 상기 제1자석(32)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폐쇄장치.
KR1020190121929A 2019-10-02 2019-10-02 도어폐쇄장치 KR102434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929A KR102434468B1 (ko) 2019-10-02 2019-10-02 도어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929A KR102434468B1 (ko) 2019-10-02 2019-10-02 도어폐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552A KR20210039552A (ko) 2021-04-12
KR102434468B1 true KR102434468B1 (ko) 2022-08-18

Family

ID=7543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929A KR102434468B1 (ko) 2019-10-02 2019-10-02 도어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4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7736A (ja) * 2002-10-17 2004-05-13 Kuriki Manufacture Co Ltd 間仕切り錠
JP2006028890A (ja) 2004-07-15 2006-02-02 Tsuchikawa Zenji 摺動体のキャッチ兼用跳ね返り防止装置
JP2011038341A (ja) 2009-08-12 2011-02-24 Takigen Mfg Co Ltd マグネットキャッチ
JP2012172294A (ja) 2011-02-17 2012-09-10 Masaru Ijuin 板バネ式マグネットキャ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762A (ko) * 2017-05-30 2018-12-10 정영호 자성체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문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7736A (ja) * 2002-10-17 2004-05-13 Kuriki Manufacture Co Ltd 間仕切り錠
JP2006028890A (ja) 2004-07-15 2006-02-02 Tsuchikawa Zenji 摺動体のキャッチ兼用跳ね返り防止装置
JP2011038341A (ja) 2009-08-12 2011-02-24 Takigen Mfg Co Ltd マグネットキャッチ
JP2012172294A (ja) 2011-02-17 2012-09-10 Masaru Ijuin 板バネ式マグネットキャ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552A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0842B2 (en) Door latch assembly with movable lock plate
EP2330270A2 (en) Side hung and bottom hung double-opening window, structure, and control device thereof
KR101724120B1 (ko) 신축형 풍지판이 결합된 미서기문
CA2996172A1 (en) Hopper window with biasing to retain sash open
KR200433867Y1 (ko) 미닫이창문용 잠금장치
CN216788228U (zh) 门窗的掩合门梃气密性保持装置
ITBO20080381A1 (it) Infisso scorrevole.
KR102434468B1 (ko) 도어폐쇄장치
KR101260189B1 (ko) 권취식 방충망의 승강프레임 고정장치
KR101858083B1 (ko) 창호용 기밀 유지 장치
KR101133264B1 (ko) 이탈방지용 샷시문
KR102338343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0904761B1 (ko) 안전부재가 장착된 미닫이문
JP2009197402A (ja) 移動間仕切り装置におけるドア付間仕切りパネル
KR102227736B1 (ko) 창호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JP5154257B2 (ja) 移動間仕切り装置におけるドア付間仕切りパネル
KR102530100B1 (ko) 도어 고정장치
KR101172417B1 (ko) 창문용 록킹장치
KR100634876B1 (ko) 건축물 출입문 구조
KR101738149B1 (ko) 미닫이식 도어의 잠금장치
KR102634832B1 (ko) 창짝의 흔들림 및 이탈을 방지하는 창호용 스토퍼
KR102291692B1 (ko) 조인트 방풍 구조를 갖는 창호
KR102003115B1 (ko) 창짝의 부분 개폐가 가능한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KR101982099B1 (ko) 건축용 도어의 처짐 방지장치
CN211769569U (zh) 一种超薄的新型锁紧外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