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981B1 - HIF-1α 및 STAT5 전사인자를 억제하는 합성 디코이 올리고핵산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HIF-1α 및 STAT5 전사인자를 억제하는 합성 디코이 올리고핵산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981B1
KR102433981B1 KR1020200175591A KR20200175591A KR102433981B1 KR 102433981 B1 KR102433981 B1 KR 102433981B1 KR 1020200175591 A KR1020200175591 A KR 1020200175591A KR 20200175591 A KR20200175591 A KR 20200175591A KR 102433981 B1 KR102433981 B1 KR 102433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5
hif
decoy
atopic dermatitis
od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487A (ko
Inventor
박관규
권미경
안현진
구혜민
배성재
김정연
임재찬
송권호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5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981B1/ko
Priority to CN202111524764.7A priority patent/CN114634927A/zh
Publication of KR20220085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1Natural deoxyribonucleic acids, i.e. containing only 2'-deoxyriboses attached to adenine, guanine, cytosine or thymine and having 3'-5' phosphodiester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HIF-1α 디코이 올리고핵산, STAT5 디코이 올리고핵산, 및 이들이 연결된 HIF-1α/STAT5 디코이 올리고핵산은 아토피 동물모델에서 HIF-1α 및 STAT5의 작용 억제, 표피 및 진피의 두께 감소, 면역세포의 침윤 억제, 비만세포의 활성화와 탈과립 억제, 비만세포의 과립물질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 등의 효과가 확인되었으므로 아토피피부염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HIF-1α 및 STAT5 전사인자를 억제하는 합성 디코이 올리고핵산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Synthetic decoy oligodeoxynucleotide that inhibits HIF-1α and STAT5 transcription factor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HIF-1α 및 STAT5 전사인자를 억제하는 합성 디코이 올리고핵산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피부염(atopic dermatitis: AD)은 만성재발성의 습진질환으로, 염증성 피부염, 소양증 그리고 극심한 피부 건조증을 특징으로 한다.
아토피피부염의 발병원인은 면역체계의 이상, 유전적 요인, 피부장벽기능의 소실,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인자들이 복잡하게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고 추정되고 있으나 명확히 규명된 것은 아니다.
아토피피부염은 일차적인 면역학적 이상으로 인해 특정 항원에 대한 IgE 감작(sensitization)이 일어나 혈중 IgE를 상승시키고 제2형 보조 T세포(Th2 cell), 호산구, 수지상세포 등을 활성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IgE는 특히 비만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고친화성 IgE 수용체(FcεR°와 교차 연결하여 비만세포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비만세포는 히스타민, 케모카인과 사이토카인 등을 포함하는 면역 매개자 등을 분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이토카인은 Th2-아형 T 세포 반응을 촉진하며 가려움증과 염증반응을 유도하여 아토피피부염을 발병시킨다. 더욱이 비만세포는 탈 과립 후 사멸되지 않고 과립을 재형성하여 새롭게 활성화될 수 있으므로 외부항원에 노출되면 조직 내에서 지속적으로 자극을 줄 수 있다. 비만세포의 초기매개 반응에 따라 산성백혈구, 염기성백혈구 및 림프구의 유입이 발생하며, 후기단계의 반응은 조직의 만성적 염증을 유도한다. 따라서 비만세포의 사멸 및 활성화 조절은 아토피피부염의 치료의 중요한 전략으로 여겨지고 있다.
아토피피부염의 치료제로는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제, 면역억제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치료제들의 효과는 일시적인 증상 완화이며, 장기간 사용하면 효과가 저하되고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국소 스테로이드 제제는 장시간 사용 시 피부 위축, 혈관 확장, 색소 탈실 및 팽창선조의 발생 등의 다양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아토피피부염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아토피피부염에서 비만세포의 생존 및 활성화를 유도하는 단백질 중 대표적인 것이 HIF-1α와 STAT5이다. HIF-1α의 경우 아토피피부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에서 비만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단백질인 PPARγ를 억제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으며, STAT5 단백질은 염증반응에 관여하며 Bcl2 family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여 비만세포의 성장, 생존 및 활성화에 대표적으로 관여하는 전사인자로 알려져 있다.
유전자 치료법이란 유전자 발현 조절물질을 환자의 세포, 조직에 전달하여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질병을 치료 및 예방하는 기술이다. 디코이 올리고핵산(decoy oligodeoxynucleotide, decoy ODN)은 타겟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가 결합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합성 유전자치료제로, 전사인자의 작용을 억제하여 질병관련 유전자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도구이다. 즉, 전사인자의 DNA 결합 부위가 디코이 올리고핵산에 결합됨으로써 전사인자는 대상 유전자의 프로모터에 결합할 수 없게 되고, 전사인자의 활성이 저해되어 특정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89000호에는 DNA와 RNA를 동시에 억제하는 신규한 합성 올리고디옥시뉴클레오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화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게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101869308호에는 SREBP-1 디코이 올리고디옥시뉴클레오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HIF-1α와 STAT5 전사인자를 억제시키는 합성 디코이 올리고핵산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된 바 없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10-1869308호(2018.06.14)
일 구체예에 따르면 전사인자인 HIF-1α 및 STAT5를 억제함으로써 아토피피부염을 치료하는 디코이 올리고핵산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HIF-1α 및 STAT5를 억제함으로써 아토피피부염을 치료하는 디코이 올리고핵산을 포함하는 아토피피부염 치료제를 제공한다.
일 양상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HIF-1α 디코이 올리고핵산을 제공한다.
상기 서열번호 1에서 8 내지 12번째 염기 CACGT 및 23 내지 27번째 염기 ACGTG는 상보결합 구조를 이루고 HIF-1α와 결합하여 이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 참고)
상기 서열번호 1에서 16 내지 19번째 염기 AAAA는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핵산의 골격은 디옥시라이보스, 라이보스 또는 이들의 변형체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양상은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STAT5 디코이 올리고핵산을 제공한다.
상기 서열번호 2에서 7 내지 15번째 염기 TTCCCGGAA 및 24 내지 32번째 염기 TTCCGGGAA는 상보결합 구조를 이루고, STAT5와 결합하여 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2에서 18 내지 21번째 염기 AAAA는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HIF-1α 디코이 올리고핵산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STAT5 디코이 올리고핵산이 연결된 HIF-1α/STAT5 디코이 올리고핵산을 제공한다.
상기 연결은 ligase에 의해 결찰(ligation)된 것일 수 있다.
상기 HIF-1α/STAT5 디코이 올리고핵산은 2개의 루프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IF-1α/STAT5 디코이 올리고핵산은 1개의 스템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템구조에는 HIF-1α의 DNA 결합부위에 결합할 수 있는 부위 및 STAT5의 DNA 결합부위에 결합할 수 있는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IF-1α/STAT5 디코이 올리고핵산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HIF-1α 디코이 올리고핵산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STAT5 디코이 올리고핵산을 변성(denature) 및 어닐링하고 결찰(ligation)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HIF-1α 디코이 올리고핵산, STAT5 디코이 올리고핵산, 및 HIF-1α/STAT5 디코이 올리고핵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디코이 올리고핵산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예를 들면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형태일 수 있고,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레밍턴의 약학적 과학(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치료 목적, 환자의 상태, 필요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범위의 농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디코이 올리고핵산은 HIF-1α 및/또는 STAT5의 발현을 억제하므로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HIF-1α/STAT5 디코이 ODN 제작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HIF-1α/STAT5 디코이 ODN의 HIF-1α 및 STAT5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HIF-1α/STAT5 디코이 ODN의 피부조직 손상, 표피 및 진피의 두께 증가, 및 염증세포 침윤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HIF-1α/STAT5 디코이 ODN의 피부조직 비만세포 수 및 탈과립화 증가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HIF-1α/STAT5 디코이 ODN의 피부 조직 내 TNF-α 발현 억제 효과를 면역화학염색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HIF-1α/STAT5 디코이 ODN의 피부 조직 내 TNF-α 및 IL-1β 발현 억제 효과를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HIF-1α/STAT5 디코이 ODN의 Tryptase 발현 억제 효과를 면역화학염색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HIF-1α/STAT5 디코이 ODN의 Tryptase 발현 억제 효과를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HIF-1α/STAT5 디코이 ODN의 필라그린 발현 회복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HIF-1α/STAT5 디코이 ODN 제작
HIF-1α/STAT5 디코이 올리고핵산(oligodeoxynucleotide, ODN) 및 Scr(scramble) ODN의 염기서열은 하기 표 1과 같다. Scr ODN은 아무 효과가 없는 ODN으로써 비교군으로 사용되었다.
SEQ ID Name Sequence (5' -> 3')
1 HIF-1α ODN AATTCGTCACGTATGAAAACATACGTGACG
2 STAT5 ODN AATTCTTTCCCGGAAACAAAAGTTTCCGGGAAAG
3 Scr ODN GAATTCCAGGTACGGCAAAAAATTGCCGTACCTG
HIF-1α ODN 및 STAT5 ODN은 각각 스템루프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들을 95℃에서 3분간 변성시킨 후, 80℃에서 25℃까지 온도를 낮추면서 어닐링(annealing)하였다. 어닐링된 HIF-1α/STAT5 ODN은 T4 ligase를 넣어 16 내지 18시간 동안 ligation시켜 구형의 HIF-1α/STAT5 디코이 ODN을 제작하였다. (도 1 참고)
실시예 2: DNCB 및 집먼지 진드기 추출물(DfE)에 의해 유도된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 제작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을 제작하기 위하여 체중 20~25g의 암컷 Balb/c 마우스를 구입하여 약 7 일간 안정화하였다. 안정화 기간이 지난 후 마우스 등의 귀 하단부에서 꼬리 상단부까지 제모하고 피부의 미세 상처가 자연 치유되도록 24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1% DNCB(2,4-dinitrochlorobenzene) 용액(아세톤:올리브오일=3:1) 200ul를 제모 부위에 도포하여 피부감작을 유도하였다. 첫 DNCB 도포일로부터 1주일이 경과한 후에, 매주 1% DNCB 200ul를 재도포하고 4일 뒤 DfE(dermatophagoides farinae extrate, 집먼지진드기 추출물) 200ul를 도포하는 과정을 총 4회 반복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발시켰다. DfE를 도포하는 동안 1주 간격으로 Scr ODN, HIF-1α 디코이 ODN, STAT5 디코이 ODN, 및 HIF-1α/STAT5 디코이 ODN을 각각 10㎍ 만큼 쥐의 꼬리정맥을 통해 주입하였다. (한마리당 TransIT 용액 600ul에 decoy ODN 10㎍을 혼합하여 꼬리 정맥주사로 투여)
실시예 3: HIF-1α/STAT5 디코이 ODN의 HIF-1α 및 STAT5 발현 억제 효과
Scr ODN, HIF-1α 디코이 ODN, STAT5 디코이 ODN, 및 HIF-1α/STAT5 디코이 ODN을 각각 실시예 2의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에 주입하였다. 동물모델의 피부조직을 적출하고 웨스턴블롯(Western blot)을 수행하여 타겟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2에 따르면, DNCB + DfE 및 Scr을 투여한 군에서는 normal control(NC)보다 HIF-1α와 STAT5의 발현이 증가하였다.(Scr ODN은 아무 효과가 없는 ODN이므로 DNCB 및 DfE 투여에 의해 HIF-1α 및 STAT5의 발현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DNCB 및 DfE를 투여한 군에 HIF-1α 디코이 ODN, STAT5 디코이 ODN, 또는 HIF-1α/STAT5 디코이 ODN를 주입하였을 때 이들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특히 HIF-1α/STAT5 디코이 ODN을 투여한 실험군은 HIF-1α 디코이 ODN 또는 STAT5 디코이 ODN을 투여한 실험군보다 HIF-1α 및 STAT5 각각의 발현이 더욱 억제되어 상승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HIF-1α/STAT5 디코이 ODN의 아토피 피부염에 의한 피부조직 손상 및 염증세포의 침윤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에서 피부를 적출하여 파라핀 절편으로 제작하고 이를 H&E으로 염색하여 피부조직의 변화와 염증세포 침윤을 관찰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DNCB와 DfE를 도포하고 Scr ODN을 주입한 동물의 피부조직은 피부조직의 손상, 표피(epidermis) 및 진피(dermis)의 두께, 및 염증세포의 침윤 정도가 normal control(NC)보다 현저히 증가하였다. (도 3의 A에서는 DNCB+DfE가 D로 표시됨)
반면에, DNCB와 DfE를 도포하고 HIF-1α 디코이 ODN, STAT5 디코이 ODN, 또는 HIF-1α/STAT5 디코이 ODN을 주입한 동물에서는 피부조직의 손상, 표피 및 진피의 두께, 및 염증세포의 침윤이 억제되었다. 특히 HIF-1α/STAT5 디코이 ODN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실시예 5: HIF-1α/STAT5 디코이 ODN의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의 피부조직에서 비만세포의 침윤 및 탈과립화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에서 적출된 피부를 파라핀 절편으로 제작한 후 Giemsa 염색을 실시하여 피부조직 내 비만세포의 침윤, 증식 및 탈과립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DNCB와 DfE를 도포하며 Scr ODN을 주입한 동물의 피부에서 비만세포의 수와 탈과립화 정도가 NC 그룹에 비해 증가하였다. (도 4의 A에서는 DNCB+DfE가 D로 표시됨)
그러나 HIF-1α 디코이 ODN, STAT5 디코이 ODN, 또는 HIF-1α/STAT5 디코이 ODN을 주입한 동물에서 비만세포의 수와 탈과립화 증가가 억제되었다. 특히 DNCB와 DfE를 도포하며 HIF-1α/STAT5 디코이 ODN을 주입한 동물의 피부조직은 비만세포의 수와 탈과립화 증가가 현저히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토피피부염 진행에 의한 혈청 IgE 증가를 HIF-1α/STAT5 디코이 ODN가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2에 따른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의 혈청으로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nzyme-linked immunospecific assay)를 수행하여 IgE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NC 그룹에 비하여 DNCB와 DfE를 도포한 그룹, 및 DNCB와 DfE를 도포하며 Scr ODN을 주입한 그룹은 혈중 IgE의 수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HIF-1α/STAT5 디코이 ODN을 주입한 실험군은 혈중 IgE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실시예 6: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에서 HIF-1α/STAT5 디코이 ODN의 염증관련 인자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4의 결과를 바탕으로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에서 염증관련 인자의 발현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2의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에서 적출된 피부를 파라핀 절편으로 제작한 후 면역화학염색하여 피부 조직 내의 TNF-α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5에 따르면, DNCB 및 DfE를 도포하고 Scr ODN을 주입한 경우 TNF-α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DNCB 및 DfE를 도포하고 HIF-1α/STAT5 디코이 ODN를 주입한 군은 TNF-α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실시예 2의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에서 적출한 피부조직으로 웨스턴블롯(Western blot)을 수행하여 염증관련 인자인 TNF-α와 IL-1β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6에 따르면, DNCB와 DfE 도포에 의해 TNF-α와 IL-1β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HIF-1α/STAT5 디코이 ODN를 처리한 군은 이들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실시예 7.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 HIF-1α/STAT5 디코이 ODN에 의한 비만세포관련 인자의 발현 변화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에서 비만세포의 탈과립화 물질 중 하나인 Tryptase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Tryptase의 피부조직 내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화학염색을 수행하였고, Tryptase의 단백질 발현을 웨스턴블롯(Western blot)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도 7 및 도 8에 따르면, DNCB와 DfE에 의하여 tryptase의 조직 내 발현과 단백질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HIF-1α/STAT5 디코이 ODN를 주입하였을 때 tryptase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 HIF-1α/STAT5 디코이 ODN에 의한 피부장벽관련 인자의 발현 변화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에서 피부장벽의 주요인자인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피부조직에서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에서 적출된 피부를 파라핀 절편으로 제작한 후 면역형광염색을 수행하였다.
도 9에 따르면, DNCB와 DfE를 도포하고 Scr ODN을 주입한 동물의 피부조직에서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으로 나타나는 녹색 형광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HIF-1α/STAT5 디코이 ODN를 주입하한 실험군은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으로 나타나는 녹색 형광이 NC와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110> DAEGU CATHOLIC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Synthetic decoy oligodeoxynucleotide that inhibits HIF-1alpha and STAT5 transcription factor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130> PN200408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IF-1alpha ODN <400> 1 aattcgtcac gtatgaaaac atacgtgacg 30 <210> 2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AT5 ODN <400> 2 aattctttcc cggaaacaaa agtttccggg aaag 34 <210> 3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cr ODN <400> 3 gaattccagg tacggcaaaa aattgccgta cctg 34

Claims (4)

  1.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HIF-1α 디코이 올리고핵산.
  2.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STAT5 디코이 올리고핵산.
  3.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HIF-1α 디코이 올리고핵산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STAT5 디코이 올리고핵산이 연결된 HIF-1α/STAT5 디코이 올리고핵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의 디코이 올리고핵산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00175591A 2020-12-15 2020-12-15 HIF-1α 및 STAT5 전사인자를 억제하는 합성 디코이 올리고핵산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33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591A KR102433981B1 (ko) 2020-12-15 2020-12-15 HIF-1α 및 STAT5 전사인자를 억제하는 합성 디코이 올리고핵산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202111524764.7A CN114634927A (zh) 2020-12-15 2021-12-14 抑制HIF-1α和STAT5转录因子的合成诱骗寡核苷酸及含有它的药物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591A KR102433981B1 (ko) 2020-12-15 2020-12-15 HIF-1α 및 STAT5 전사인자를 억제하는 합성 디코이 올리고핵산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487A KR20220085487A (ko) 2022-06-22
KR102433981B1 true KR102433981B1 (ko) 2022-08-19

Family

ID=8194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591A KR102433981B1 (ko) 2020-12-15 2020-12-15 HIF-1α 및 STAT5 전사인자를 억제하는 합성 디코이 올리고핵산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3981B1 (ko)
CN (1) CN11463492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5503A1 (en) 2003-12-03 2005-09-29 Mcevoy Leslie M HIF oligonucleotide decoy molecules
WO2017004357A1 (en) 2015-07-02 2017-01-05 City Of Hope Compounds and compositions including phosphorothioated oligodeoxynucleotide, and methods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308B1 (ko) 2017-02-28 2018-06-2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Srebp-1 디코이 올리고디옥시뉴클레오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5503A1 (en) 2003-12-03 2005-09-29 Mcevoy Leslie M HIF oligonucleotide decoy molecules
WO2017004357A1 (en) 2015-07-02 2017-01-05 City Of Hope Compounds and compositions including phosphorothioated oligodeoxynucleotide, and methods of use thereof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JOURNAL OF ONCOLOGY 46: 215_222, 2015 [DOI: 10.3892/IJO.2014.2715]
THE JOURNAL OF GENE MEDICINE, 2016; VOL, 18, P. 180-192. [DOI: 10.1002/JGM.289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487A (ko) 2022-06-22
CN114634927A (zh)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813B1 (ko) 소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Sam et al. Action of glucocorticoids to antagonise cisplatin-induced acute and delayed emesis in the ferret
Huang et al. Therapeutic synergy and complementarity for ischemia/reperfusion injury: β1-adrenergic blockade and phosphodiesterase-3 inhibition
KR102433981B1 (ko) HIF-1α 및 STAT5 전사인자를 억제하는 합성 디코이 올리고핵산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ng et al. Salvianolic acid B ameliorates CNS autoimmunity by suppressing Th1 responses
KR102206017B1 (ko) Parp1 저해제를 포함하는 피부 섬유화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eon et al. Anti-allergic effects of white rose petal extract and anti-atopic properties of its hexane fraction
KR20230028182A (ko) 칼시뉴린 억제제와 줄기세포를 사용하여 면역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KR102268242B1 (ko) 줄기세포의 기능강화용 조성물
KR20180120906A (ko)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
JP7349362B2 (ja) 化合物、化合物の製造法、富化抽出物、富化抽出物の活性な分画、富化抽出物の製造法、富化抽出物を製造するため植物バイオマスを選択する方法、免疫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とその利用
KR101869308B1 (ko) Srebp-1 디코이 올리고디옥시뉴클레오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Rogerio et al. Anti-eosinophilic effect of Lafoensia pacari in toxocariasis
KR101761349B1 (ko) 서장경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0674222B1 (ko) 세라시아 마르세센스 b-1231 kctc 0386bp로부터분리한 프로디지오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급성이식편대숙주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46158B1 (ko) 은시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090116063A (ko) 돼지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339728B1 (ko) 말라바리콘 시를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24105B1 (ko) 봉독을 포함하는 피부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KR101739601B1 (ko) 조절 t 세포의 분화 가변성을 억제하는 탄시논 ⅱa의 신규 용도
CN116236486B (zh) 髓过氧化物酶抑制剂在制备心脏保护药物中的应用
KR102153338B1 (ko) 카나리움 서부라텀(Canarium subul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136773A (ko) 몰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히스타민-비의존성 가려움증 완화용 조성물
KR20220074559A (ko) 루토나린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220002086A (ko) Sirt7 억제제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