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430B1 - 수중관광용 반잠수체 - Google Patents

수중관광용 반잠수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430B1
KR102433430B1 KR1020210025117A KR20210025117A KR102433430B1 KR 102433430 B1 KR102433430 B1 KR 102433430B1 KR 1020210025117 A KR1020210025117 A KR 1020210025117A KR 20210025117 A KR20210025117 A KR 20210025117A KR 102433430 B1 KR102433430 B1 KR 102433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submersible
floating
water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현
임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브이
임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브이, 임광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브이
Priority to KR1020210025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관광용 반잠수체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선체부와, 상기 부유선체부의 중앙에 구비되어 수중에 반잠수하는 반잠수부를 포함하는 수중관광용 반잠수체에 있어서, 상기 반잠수부는, 내부에 관광객이 탑승할 수 있는 장방형의 탑승실; 상기 탑승실의 측면에 구비되어 관광객이 물속을 볼 수 있는 투명창; 덕트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관광객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탑승실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는 터널형계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탑승실의 각 모서리에는 가이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부유선체부에서 연장된 와이어가 각 모서리와 가이드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닻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중관광용 반잠수체{Semisubmersible for underwater sightseeing}
본 발명은 반잠수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반잠수된 상태에서 수중 관람 또는 관찰할 수 있는 수중관광용 반잠수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의 수중을 관광할 수 있는 용도로 제작된 선체로는 관광용 잠수함과 관광용 잠수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관광용 잠수함은 관광객을 태운 상태에서 선체 전체가 수중으로 잠수한 상태에서 해저를 관광할 수 있도록 한 배로서, 이를 테면 제주도 등지의 관광지에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육지에서 관광객을 태운 셔틀보트를 타고 바지선까지 이동한 후 바지선에서 대기중인 관광용 잠수함으로 갈아타야 하는 불편함과, 수중에 오랜시간 동안 잠수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내압유지, 내구성유지 등 안전상 관광객이 볼 수 있는 뷰(View), 즉 관람창이 제한적으로 작을 수 밖에 없어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관광용 잠수정은 지역에 따라 Glass Bottom Boat 혹은 Semi Submarine Boat, Semi Submersible Boat 등의 이름으로 불리면서 해양관광이 활성화된 세계각지에서 수중해양관광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관광용 잠수정은 잠수함과 달리 선체까지 수중으로 잠수하는 것이 아니라, 선체는 수면에 부상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선체 하부에 수중관람룸, 즉 캐빈을 일체로 고정하여 이 수중관람룸만 수중에 잠기게 함으로써 이에 탑승한 승객들이 해저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현재 운용중인 관광용 잠수정은 캐빈이 선체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이므로 항상 수중에 일정깊이 잠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관계로 선체의 운항속도가 느리고, 이로 인해 연안에 접안할 수 없어 육지에 올라갈 때는 반드시 바지선에 실어서 운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 과정에서 크레인을 사용해서 들어 올려야 하므로 비용과 시간 낭비는 물론 파손 가능성도 높다.
뿐만 아니라, 캐빈이 항상 잠겨 있는 상태이므로 바닷물 속에 오랫동안 있음으로 인해 물때나 따개비 등 수중생물이 붙고 성장하여 외관 불량, 창문을 가려 시야를 좁게 하는 등 관람객들의 조망권을 침해하는 문제도 야기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 경우, 청소 작업도 선체를 바지선으로 완전히 들어 올려서 해야 하거나 혹은 전문 잠수부를 동원하여 청소해야 하므로 유지에 따른 비용도 엄청나다.
또한, 캐빈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심이 ?汰? 지역은 운행할 수 없고, 자칫 잘못하면 암초에 걸려 좌초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바닷속을 떠다니는 나무 등과 부딪혀 캐빈이 파손될 위험도 매우 높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76864(2008.8.20.)"반잠수 보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8-0001760(2008.6.12.)"다수의 반잠수정을 설치한 레저용 수상부유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9491(2014.12.30.)"관광용 반잠수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15697(2016.2.15.)"반잠수형 레저보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선체부와 반잠수하는 반잠수부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수중관광용 반잠수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와 닻에 의해 반잠수부가 고정될 수 있는 수중관광용 반잠수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관광용 반잠수체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선체부와, 상기 부유선체부의 중앙에 구비되어 수중에 반잠수하는 반잠수부를 포함하는 수중관광용 반잠수체에 있어서, 상기 반잠수부는, 내부에 관광객이 탑승할 수 있는 장방형의 탑승실; 상기 탑승실의 측면에 구비되어 관광객이 물속을 볼 수 있는 투명창; 덕트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관광객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탑승실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는 터널형계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탑승실의 각 모서리에는 가이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부유선체부에서 연장된 와이어가 각 모서리와 가이드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닻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탑승실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반잠수부가 용이하게 잠수할 수 있도록 중량추를 부착할 수 있는 고리형상이 러그가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탑승실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발라스트 탱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상판에는 상기 부유선체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주입되도록 개방하는 에어체크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하판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도록 개방하는 유입체크밸브 및 물이 배출되도록 개방하는 배출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부유선체부와 반잠수부가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반잠수부만 잠수 또는 부상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반잠수부가 부상된 상태에서 유지관리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큰 수리가 필요할 경우 크레인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둘째, 부유선체부는 요동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가지고, 부유선체부에 고정된 와이어와 닻에 의해 반잠수부가 네방향에서 지지되므로 반잠수부가 거의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잠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러그에 부착된 중량추에 의해 탑승실의 밸런싱이 유지된다.
셋째, 탑승실의 하부에 구비된 발라스트 탱크 내의 물을 조절하여 반잠수부의 부상이나 잠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수중관광용 반잠수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반잠수부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수중관광용 반잠수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반잠수부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선체부(100)와, 상기 부유선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되면서 물속에 반잠수되지만 상기 부유선체부(100)와 직접 결합되지 않는 반잠수부(2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부유선체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부유선체부(100)는 중앙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틀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부유선체부(100)는 수면에 부유할 수 있는 부력체이다.
또 상기 부유선체부(100)의 상부면에는 육지에 접안하여 사람이 왕래할 수 있는 부잔교(11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잔교(110)는 수위에 따라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잔교로서 상기 부유선체부(1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부유선체부(100)의 네 모서리 지점에는 와이어(250)가 권취된 윈치(1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윈치(120)는 와이어(250)에 달린 닻(26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4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반잠수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반잠수부(200)는 상기 부유선체부(100)의 중앙에 위치, 수용되어 수중에 잠수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탑승실(210), 투명창(220), 터널형계단(230) 및 가이드롤러(240), 와이어(250), 닻(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탑승실(210)은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승객이나 관람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다.
상기 탑승실(210)은 금속재질의 플레이트이나 프레임을 결합하여 제작할 수 있고, 방수처리가 된다. 금속은 경량이면서 내구성이 강한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탑승실(210)의 표면은 이물질들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팅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상기 탑승실(210)의 상부면에는 리프팅고리(290)가 형성된다.
상기 리프팅고리(290)는 상기 탑승실(210)을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이동시킬 때 크레인 고리를 걸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탑승실(210)의 측면에는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투명창(220)이 형성된다. 따라서, 관람객은 상기 투명창(220)을 통해 수중관람이 가능하다.
또 상기 탑승실(210)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탑승실(210)의 상부면에는 터널형계단(230)이 구비된다.
상기 터널형계단(230)은 터널 또는 덕트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계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탑승실(21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탑승실(210) 내부로 인입되고, 타단은 상기 탑승실(2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터널형계단(230)은 상기 탑승실(210)에 경사를 이루면서 고정되고, 관람객의 출입을 위해 상단이 상기 부유선체부(100)의 상부면보다 높게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탑승실(210)의 네 모서리에는 각각 가이드롤러(2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롤러(240)는 상기 탑승실(210)의 모서리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하나의 모서리에 각각 상하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윈치(120)에서 풀어지는 와이어(250)가 상기 가이드롤러(240)와 모서리 사이로 통과하고, 상기 와이어(250)에는 닻(26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부유선체부(100)는 상기 닻(260)에 의해 수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탑승실(210)은 상기 닻(260)의 중량으로 팽팽하게 인장된 와이어(250)에 의해 좌우로 요동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50)는 상기 부유선체부(100)의 네모서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탑승실(210)의 네방향에서 지지하므로 상기 탑승실(210)은 더욱 움직임이 최소화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부유선체부(100)가 요동하더라도 상기 탑승실(210)은 상기 부유선체부(100)와 직접 결합된 구조가 아니므로 상기 부유선체부(100)의 진동이 수중에 잠수된 상기 탑승실(210)로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탑승실(210)의 하부에는 발라스트탱크(280)가 구비된다.
상기 발라스트탱크(280)는 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조절하여 상기 탑승실(210)이 침강 또는 부상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발라스트탱크(280)에 물(평형수)이 유입되면 상기 탑승실(210)이 침강하게 되고, 물이 배출되고 공기가 유입되면 부상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라스트탱크(280)는 격벽(281)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발라스트탱크(280)에는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체크밸브(281)와,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도록 개방하는 유입체크밸브(282) 및 내부의 물이 배출되도록 개방하는 배출체크밸브(283)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체크밸브(281)는 상기 발라스트탱크(280)의 상판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체크밸브(282)와 배출체크밸브(283)는 상기 발라스트탱크(280)의 하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체크밸브(281)는 상기 부유선체부(100)에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발라스트탱크(280) 내부로 압축공기를 강제 주입시킴으로써 상기 발라스트탱크(280) 내부에 차있는 물을 공기압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체크밸브(282)는 외부로부터 수압에 의해 물이 상기 발라스트탱크(280)로 유입만 될 수 있도록 개방시킨다.
또 상기 배출체크밸브(283)는 상기 유입체크밸브(282)와 반대로 상기 발라스트탱크(28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만 되게 하는 밸브이다. 즉, 상기 발라스트탱크(280)에 공기가 주입되어 압력이 높아지면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한다.
또 상기 탑승실(210)의 양측 하단에는 고리형상의 러그(27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러그(270)에는 중량추(미도시)를 부착하여 상기 탑승실(210)이 중력에 의해 가라앉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탑승실(210)의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게 하여 상기 반잠수부(200)가 밸런싱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탑승실(210)은 좌우로 요동하거나 전복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부유선체부
110 : 부잔교 120 : 윈치
200 : 반잠수부 210 : 탑승실
220 : 투명창 230 : 터널형계단
240 : 가이드롤러 250 : 와이어
260 : 닻 270 : 러그
280 : 발라스트탱크 281 : 격벽
281 : 에어체크밸브 282 : 유입체크밸브
283 : 배출체크밸브 290 : 리프팅고리

Claims (4)

  1.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선체부와, 상기 부유선체부의 중앙에 구비되어 수중에 반잠수하는 반잠수부를 포함하는 수중관광용 반잠수체에 있어서,
    상기 반잠수부는,
    내부에 관광객이 탑승할 수 있는 장방형의 탑승실;
    상기 탑승실의 측면에 구비되어 관광객이 물속을 볼 수 있는 투명창;
    덕트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관광객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탑승실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는 터널형계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탑승실의 각 모서리에는 가이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탑승실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반잠수부가 용이하게 잠수할 수 있도록 중량추를 부착할 수 있는 고리형상이 러그가 구비되며, 상기 부유선체부에서 연장된 와이어가 각 모서리와 가이드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닻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반잠수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실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발라스트 탱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반잠수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상판에는 상기 부유선체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주입되도록 개방하는 에어체크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하판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도록 개방하는 유입체크밸브 및 물이 배출되도록 개방하는 배출체크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반잠수체.
KR1020210025117A 2021-02-24 2021-02-24 수중관광용 반잠수체 KR102433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117A KR102433430B1 (ko) 2021-02-24 2021-02-24 수중관광용 반잠수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117A KR102433430B1 (ko) 2021-02-24 2021-02-24 수중관광용 반잠수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430B1 true KR102433430B1 (ko) 2022-08-19

Family

ID=83113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117A KR102433430B1 (ko) 2021-02-24 2021-02-24 수중관광용 반잠수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43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142U (ja) * 1993-04-26 1994-11-01 大成建設株式会社 水中走行装置
KR20070111951A (ko) * 2006-11-29 2007-11-22 백승만 선체인양용 부력발생장치
KR20080001760U (ko) 2006-12-08 2008-06-12 박수만 다수의 반잠수정을 설치한 레저용 수상 부유물
KR20080076864A (ko) 2008-05-16 2008-08-20 이지섭 반잠수 보트
KR101479491B1 (ko) 2013-12-05 2015-01-08 이준구 관광용 반잠수정
KR20160009129A (ko) * 2014-07-15 2016-01-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력 조절이 가능한 수중 케이블 로봇장치
KR20160015697A (ko) 2014-07-31 2016-02-15 주식회사 고션 반잠수형 레저보트
KR20170106853A (ko) * 2016-03-14 2017-09-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142U (ja) * 1993-04-26 1994-11-01 大成建設株式会社 水中走行装置
KR20070111951A (ko) * 2006-11-29 2007-11-22 백승만 선체인양용 부력발생장치
KR20080001760U (ko) 2006-12-08 2008-06-12 박수만 다수의 반잠수정을 설치한 레저용 수상 부유물
KR20080076864A (ko) 2008-05-16 2008-08-20 이지섭 반잠수 보트
KR101479491B1 (ko) 2013-12-05 2015-01-08 이준구 관광용 반잠수정
KR20160009129A (ko) * 2014-07-15 2016-01-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력 조절이 가능한 수중 케이블 로봇장치
KR20160015697A (ko) 2014-07-31 2016-02-15 주식회사 고션 반잠수형 레저보트
KR20170106853A (ko) * 2016-03-14 2017-09-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073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underwater observation
US4854256A (en) Aquatic show boat
KR101479491B1 (ko) 관광용 반잠수정
RU2700204C1 (ru) Судно надводного и подводного хода
US3680515A (en) Undersea observation gallery
KR102433430B1 (ko) 수중관광용 반잠수체
US3254621A (en) Facility for viewing marine life
US4015554A (en) Construction and launch barge and method of producing and installing offshore structures
EP0244368A1 (en) Open-ended longitudinally situated stability tanks for boats
JPH0421005B2 (ko)
JPS6012392A (ja) 架台昇降式浮船台
WO2005105568A1 (ja) 簡易マリーナ装置及び船舶の管理方法
CN209833917U (zh) 一种半潜观光船
JP7158691B1 (ja) 水上遊覧方法、及び水上遊覧組船
KR20160017006A (ko)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KR102046984B1 (ko) 카타마린형 선체를 이용한 부양식 관광용 잠수정
ES2275431B1 (es) Portico multifuncional flotante y sumergible.
IT202100023879A1 (it) Scafo per un’imbarcazione per passeggeri e relativa imbarcazione.
JP3726264B2 (ja) 半没双胴式海洋探検船
SE466698B (sv) Anordning vid ett halvsaenkbart flytetyg
SU770921A1 (ru) Способ проводки судов под мостами
JP2517742B2 (ja) オフショアマリ―ナ
JPS63305092A (ja) 潜水型水中遊覧船
JP3082911U (ja) どんな場合にも沈まない舟の改造の方法
FR2720714A1 (fr) Catamaran semi-submersible d'exploration sous-mar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