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186B1 - 안정성 체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Google Patents

안정성 체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186B1
KR102433186B1 KR1020190043153A KR20190043153A KR102433186B1 KR 102433186 B1 KR102433186 B1 KR 102433186B1 KR 1020190043153 A KR1020190043153 A KR 1020190043153A KR 20190043153 A KR20190043153 A KR 20190043153A KR 102433186 B1 KR102433186 B1 KR 102433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ty
building
elements
assembly
virtu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831A (ko
Inventor
박현호
여연미
Original Assignee
레고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고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레고 에이/에스
Priority to KR1020190043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186B1/ko
Priority to CN202080043075.1A priority patent/CN113950694A/zh
Priority to US17/602,742 priority patent/US20220198093A1/en
Priority to PCT/EP2020/060354 priority patent/WO2020208248A1/en
Publication of KR2020012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7Mechanical parametric or variational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18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us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9/00Details relating to the type or aim of the analysis or the optimisation
    • G06F2119/22Yield analysis or yield optim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08Assembling,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조립 엘리먼트 -상기 조립 엘리먼트는 다른 커플링 파트(coupling part)와 상보적으로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파트를 가지고, 상기 커플링 파트를 통해 다른 조립 엘리먼트와 연결됨- 의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은 상기 조립 엘리먼트에 미리 설정된 하중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커플링 파트의 커플링 종류 및 커플링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커플링 파트의 체결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 강도, 상기 조립 엘리먼트에 할당된 하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립 엘리먼트와 상기 다른 조립 엘리먼트 간의 연결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정성 체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HECKING A STABILTIY}
본 발명은 안정성 체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식 완구(assembling toy) 및 이의 조립에 이용되는 조립 엘리먼트(assembling element)와 관련된 안정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안정성 체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레고 등과 같은 조립식 완구는 수십 년 동안 장난감으로서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조립식 완구는 표준화되고 상호 호환성이 높은 여러 조립 엘리먼트를 조립하여 다양한 형상의 완구를 만들 수 있어 어린 아이들은 물론, 성인들까지도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최근에는 조립식 완구의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기존의 판매사에서 미리 정해놓은 형태로 조립식 완구를 조립하는 것에서 벗어나 자기만의 디자인을 추구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실제 공간에서 조립식 완구를 직접 조립하는데서 발생하는 시행 착오와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상으로 조립식 엘리먼트들을 조립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조립 엘리먼트를 연결하는 커플링 파트의 체결 강도 및 조립 엘리먼트의 하중에 기초하여 연결 안정성을 체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과제는, 조립 엘리먼트의 하중 및 조립 엘리먼트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균형 안정성을 체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과제는,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위하여 가상 공간에서 실제 조립이 이루어지기 전에 조립 엘리먼트의 안정성을 체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가상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조립 엘리먼트 -상기 조립 엘리먼트는 다른 커플링 파트(coupling part)와 상보적으로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파트를 가지고, 상기 커플링 파트를 통해 다른 조립 엘리먼트와 연결됨- 의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으로서, 상기 조립 엘리먼트에 미리 설정된 하중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커플링 파트의 커플링 종류 및 커플링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커플링 파트의 체결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 강도, 상기 조립 엘리먼트에 할당된 하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립 엘리먼트와 상기 다른 조립 엘리먼트 간의 연결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가상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조립 엘리먼트 -상기 조립 엘리먼트는 다른 커플링 파트(coupling part)와 상보적으로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파트를 가지고, 상기 커플링 파트를 통해 다른 조립 엘리먼트와 연결됨- 의 균형 안정성 체크 방법으로서, 상기 조립 엘리먼트 및 상기 조립 엘리먼트와 연결되는 모든 상기 다른 조립 엘리먼트로 구성되는 조립식 완구에 할당된 질량 분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질량 분포에 기초하여, 상기 조립식 완구의 균형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형 안정성 체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 엘리먼트를 연결하는 커플링 파트의 체결 강도 및 조립 엘리먼트의 하중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립 엘리먼트의 연결 안정성을 체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 엘리먼트의 하중 및 조립 엘리먼트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립 엘리먼트의 균형 안정성을 체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 공간에서 실제 조립이 이루어지기 전에 조립 엘리먼트의 안정성을 체크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을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엘리먼트 팔레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 조립 엘리먼트를 배치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서 조립 엘리먼트를 이동시키거나 자세를 조절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서 조립 엘리먼트를 연결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엘리먼트 및 조립식 완구에 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조립 엘리먼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파트의 체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엘리먼트의 하중값에 관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파트 간의 체결 강도값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파트 간의 체결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의 균형 안정성 판단에 관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의 균형 안정성 판단에 관한 다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의 균형 안정성 판단에 관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지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엘리먼트를 그룹화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안정성을 시각적인 정보로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 체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안정성 체크 방법의 첫번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안정성 체크 방법의 두번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의 첫번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의 두번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의 세번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안정성 체크 방법의 세번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의 네번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가상으로 조립 엘리먼트를 연결해 조립식 완구를 만들어보거나 조립식 완구를 실제 공간에서 조립하는데 유용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사항들은 조립식 완구나 조립 엘리먼트를 가상으로 구현한 가상 공간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실제의 조립 엘리먼트를 모사한 가상의 조립 엘리먼트를 배치하거나 이들을 연결하여 원하는 디자인의 조립식 완구를 미리 만들어볼 수 있는 가상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가 가상 공간 상에서 만든 조립식 완구가 실제 공간 상에서 조립되었을 때의 모습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가상 공간 상에서 만들어진 조립식 완구를 실사 형태로 렌더링하는 사항, 사용자가 가상 공간 상에서 만들어진 조립식 완구가 실제로 균형이 맞는지 여부나 각 부위의 강도가 충분한지 여부 등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조립식 완구나 이를 구성하는 조립 엘리먼트의 안정성을 가상 공간 상에서 체크하는 사항, 또는 가상 공간 상에서 만들어진 조립식 완구를 실제 공간 상에서 조립하기 위한 매뉴얼을 생성해주는 사항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하여 정의하기로 한다.
"가상 공간(virtual space)"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 공간에서 수행되는 조립식 완구를 만드는 행위 또는 조립식 엘리먼트를 연결하는 행위를 가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상 공간은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비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미지로 보여질 수 있다.
가상 공간에는 조립 엘리먼트가 위치될 수 있다. 또 가상 공간에서는 가상 공간에 위치하는 조립 엘리먼트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실제공간에서 직접 조립 엘리먼트를 다룰 때 발생하는 시행 착오나 어려움을 줄이고 미리 원하는 디자인의 조립식 완구를 조립해 볼 수 있다.
가상 공간은 삼차원 공간으로 제공되며 이에 따라 3차원 좌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가상 공간 상에는 조립 엘리먼트가 3차원 좌표 상의 특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조립 엘리먼트의 가상 공간 상에서의 위치를 지시하는 조립 엘리먼트의 위치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조립 엘리먼트는 가상 공간 상에서 특정한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 엘리먼트의 가상 공간 상에서의 자세를 지시하는 조립 엘리먼트의 자세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가상 공간에는 가상의 지면(ground)이 제공될 수 있다. 가상의 지면에는 조립 엘리먼트들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가상의 지면은 후술될 조립식 완구의 균형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조립식 완구"라는 용어를 실제 공간 상에 존재하는 물리적 조립식 완구와 가상 공간 상에 존재하는 가상의 조립식 완구에 대해 혼용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이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문맥 상 분명히 구별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조립식 완구"를 "조립식 완구"로 지칭하고, "실제 공간에 존재하는 조립식 완구"는 "물리적 조립식 완구"로 지칭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가상 공간의 조립 엘리먼트와 실제 공간의 조립 엘리먼트를 구별하기 위하여, 문맥 상 분명히 구별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조립 엘리먼트"를 "조립 엘리먼트"로 지칭하고, "실제 공간에 존재하는 조립 엘리먼트"를 "물리적 조립 완구"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을 처리하는 시스템(1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콘트롤러(12), 메모리(14), 입력 모듈(16) 및 디스플레이 모듈(18)을 포함할 수 있다.
콘트롤러(12)는 각종 정보의 처리와 연산을 수행하고, 시스템(10)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콘트롤러(12)는 물리적으로는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10)은 물리적으로 단일한 콘트롤러(12)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복수의 콘트롤러(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트롤러(12)는 하나의 개인용 컴퓨터에 탑재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콘트롤러(12)는 물리적으로 이격된 서버(server)와 터미널(terminal)에 탑재되어 통신을 통해 협업하는 프로세서들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한 가상 공간의 구현, 가상 공간 상에서 이루어지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배치나 조립 엘리먼트(120)의 연결을 비롯하여 후술될 조립식 완구(1000)의 균형이나 조립 엘리먼트(120)의 연결 강도와 관련된 안정성 판단, 매뉴얼의 생성 등을 위한 각종 단계와 동작들은 콘트롤러(1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 입력 모듈(16)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디스플레이 모듈(18)을 통해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 메모리(14)에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메모리(14)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등이 콘트롤러(12)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로 개시되는 각종 동작이나 단계들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이상 콘트롤러(12)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입력 모듈(16)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8)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8)은 가상 공간을 표시하거나 가상 공간에 배치된 조립 엘리먼트(120), 조립식 완구(1000)를 표시하거나 또는 가상 공간에서 조립 엘리먼트(120)를 처리하기 위한 각종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 모듈(16)은 예시적으로 마우스, 키보드, 디지타이저 등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장치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8)은 예시적으로 모니터, TV, HMD 등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장치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14)에는 각종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에는 가상 공간에 배치되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좌표를 지시하는 위치 데이터나 가상 공간에 배치된 조립 엘리먼트(120)의 자세를 지시하는 자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14)에는 후술될 안정성 판단에 이용되는 커플링 파트(110)의 커플링 강도를 지시하는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14)에 저장된 정보들은 콘트롤러(12)가 각종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모리(14)는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나 플래쉬 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공간(100)은 3차원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가상 공간(100)은 지면(1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면은 조립 엘리먼트(120)가 배치될 수 있는 바닥 역할로 기능할 수 있다. 물론, 가상 공간(100)에 반드시 지면(102)이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에는 지면(102)이 2x2 형태로 배열된 스터드(stud)를 가지는 셀(104)이 2차원 배열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지면(102)의 형태가 도 2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엘리먼트 팔레트(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시스템(10)은 가상 공간(100)과 함께 가상 공간에 배치시킬 조립 엘리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GUI로서 조립 엘리먼트 팔레트(200)를 제공할 수 있다. 조립 엘리먼트 팔레트(200)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종류와 조립 엘리먼트(120)의 형상이 포함될 수 있다. 시스템(10)은 입력 모듈(16)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조립 엘리먼트(120)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아 가상 공간에 배치시킬 조립 엘리먼트(120)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조립 엘리먼트 팔레트(200)에 표시되는 조립 엘리먼트(120)들은 조립 엘리먼트(120)를 구분하는 조립 엘리먼트(120) 카테고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시스템(10)은 사용자로부터 조립 엘리먼트(120)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아 조립 엘리먼트 팔레트(200)에 표시할 조립 엘리먼트(12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시스템(10)은 가상 공간(100) 상에 조립 엘리먼트(120)에 대한 다양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 조립 엘리먼트(120)를 배치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서 조립 엘리먼트(120)를 이동시키거나 자세를 조절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서 조립 엘리먼트(120)를 연결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상 공간 상에는 조립 엘리먼트(120)가 배치될 수 있다. 시스템(10)은 선택된 조립 엘리먼트(120)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상 공간 상의 특정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은 가상 공간 상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해당 위치에 조립 엘리먼트(120)를 배치시킬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가상 공간에 조립 엘리먼트(120)를 배치시키는 것은 조립 엘리먼트(120)를 조립 엘리먼트 팔레트로부터 가상 공간 상에 조립 엘리먼트(120)를 배치시킬 위치로 드래그-앤-드롭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상 공간 상에 배치되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위치나 자세가 조절될 수 있다. 시스템(10)은 가상 공간에 기 배치된 조립 엘리먼트(120)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상 공간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은 가상 공간 상에 배치된 조립 엘리먼트(12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조립 엘리먼트(120)의 이동 위치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가상 공간 상에서 조립 엘리먼트(1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시스템(10)은 가상 공간 상에 배치된 조립 엘리먼트(12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조립 엘리먼트(120)의 자세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가상 공간 상에서 조립 엘리먼트(120)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상 공간 상에서 조립 엘리먼트(12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시스템(10)은 가상 공간에 배치된 조립 엘리먼트(120)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상 공간에 배치된 다른 조립 엘리먼트(120)와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은 가상 공간 상에 배치된 조립 엘리먼트(12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조립 엘리먼트(120)를 다른 조립 엘리먼트(120)와 연결시킬 것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가상 공간 상에서 조립 엘리먼트(120)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공간 상의 제1 조립 엘리먼트(120a)를 제2 조립 엘리먼트(120b)와 연결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드래그-앤-드롭 형태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시스템(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립 엘리먼트(120b)와 제1 조립 엘리먼트(120a)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립식 완구(1000)와 조립 엘리먼트(120)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엘리먼트 및 조립식 완구에 관한 도면이다.
실제 공간에서는 물리적 조립 엘리먼트(120)가 서로 연결되어 물리적 조립식 완구(1000)가 완성될 수 있다. 조립 엘리먼트(120)는 가상 공간 상에서 물리적 조립 엘리먼트(120)가 실제 공간에서 거동하는 것을 모사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상 공간 상에서 조립 엘리먼트(120)들이 서로 연결되어 조립식 완구(1000)로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립식 완구(1000)는 연결된 조립 엘리먼트(120)를 모두 포함하는 전체의 어셈블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조립 엘리먼트(120)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각이 서로 다른 조립식 완구(1000)를 형성하게 된다. 즉, 가상 공간 상에는 복수의 조립식 완구(1000)가 존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지면 또는 판(plate)을 통해 연결되는 조립식 엘리먼트들은 서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지면이나 판을 통해서 연결된 조립식 엘리먼트들은 서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는 조립 엘리먼트(120)들이 개인용 컴퓨터 형태로 조립된 경우, PC 형태의 제1 조립식 완구(1000-1), 키보드 형태의 제2 조립식 완구(1000-2), 및 마우스 형태의 제3 조립식 완구(1000-3)가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전체 조립 엘리먼트(120)들이 하나의 조립식 완구(1000)를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에서 가상의 지면 대신 판 형태의 조립 엘리먼트(120) 위에 조립 엘리먼트(120)들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면, 모든 조립 엘리먼트(120)들이 판 형태의 조립 엘리먼트(12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를 하나의 조립식 완구(1000)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도 8에서 가상의 지면 대신 판 형태의 조립 엘리먼트(120) 위에 조립 엘리먼트(120)들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면, 판 형태의 조립 엘리먼트(120)들에 의한 연결은 조립식 완구(1000)의 구분에 고려되는 조립 엘리먼트(120)들 간의 연결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의 조립식 완구(1000)가 가상 공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조립 엘리먼트(120)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립 엘리먼트(120)는 조립식 완구(1000)를 구성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조립 엘리먼트(120)는 다른 조립 엘리먼트(1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 조립 엘리먼트(120)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조립 엘리먼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조립 엘리먼트(12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조립 엘리먼트(120)의 종류는, 예를 들어, 육면체 형상을 갖는 브릭(brick) 타입, 십자가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액슬(axle) 타입, 핀을 포함하는 핀 커넥터(pin connector) 타입, 두 개의 판이 힌지 구조로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힌지 타입, 납작한 형상을 갖고 스터드를 가지는 플레이트 타입, 납작한 형상을 갖고 스터드가 없는 타일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조립 엘리먼트(120)의 종류에는 그 전체적인 형상, 크기, 커플링 파트(110)의 형태 등에 따라 언급된 예시들 이외의 다른 많은 형태들이 포함될 수 있다.
조립 엘리먼트(120)들은 보디(130)와 커플링 파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디(130)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며, 커플링 파트(110)는 조립 엘리먼트(120)를 다른 조립 엘리먼트(120)와 연결시키는 기능을 하는 부위이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브릭 타입의 조립 엘리먼트(120)는 육면체 형태의 보디(130)를 가지며, 보디(130)의 상부에 형성된 커플링 파트(110)로서 8개의 스터드를 가진다. 다만, 조립 엘리먼트(120)의 커플링 파트(110)는 기능적으로 정의되는 용어이므로, 보디(130)와 물리적으로 구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액슬 타입의 조립 엘리먼트(120)의 커플링 파트(110)와 같이 커플링 파트(110)가 보디(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커플링 파트(110)는 다른 커플링 파트(110)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을 통해 조립 엘리먼트(12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립 엘리먼트(120)의 연결은 조립 엘리먼트(120)들의 커플링 파트(110)가 서로 체결되어 두 개의 조립 엘리먼트(120)가 서로 고정된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없이 단순히 접촉해 있는 두 개의 조립 엘리먼트(120)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링 파트(110)는 상보적인 형태를 갖는 다른 커플링 파트(110)와 체결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파트의 체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0을 살펴보면, 스터드(stud) 타입의 커플링 파트(110)가 캐비티(cavity) 타입의 커플링 파트(110)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됨으로써 두 커플링 파트(110)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즉, 도 10에서는 스터드와 캐비티 간의 암수 연결에 의해 두 커플링 파트(110)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커플링 파트(110)는 도 10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커플링 파트(110)는 도 10에 도시된 1x1 스터드 및 1x1 캐비티와 다른 개수 및/또는 다른 배열을 갖는 스터드 또는 캐비티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링 파트(110)는 2x2 스터드 또는 1x4 스터드, 또는 직각형태로 꺽은 3개의 스터드나 이들과 상보적인 형태의 캐비티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스터드 타입의 커플링 파트(110)는 다양한 형태의 그리드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캐비티 역시 그에 상보적인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커플링 파트(110)는, 액슬이나 액슬이 삽입되는 홈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커플링 파트(110)의 형태는 도 11에 도시된 예시들을 비롯하여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위의 예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1000)의 안정성 체크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안정성 체크 동작은 상술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조립식 완구의 안정성 체크는 가상 공간에서 조립된 조립식 완구(1000)가 실제 공간 상에서도 안정적일 수 있는지에 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안정성 체크의 대상은 최종 디자인대로 완성된 완성품은 물론, 조립되는 과정 중에 있는 조립식 완구(1000)를 모두 포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시스템(10)은 가상 공간 상의 조립식 완구(1000)가 지면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스템(10)은 가상 공간 상의 조립식 완구(1000)가 균형 상태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시스템(10)은 가상 공간 상의 조립식 완구(1000)의 각 부위들이 안정적으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스템(10)은 가상 공간 상의 조립식 완구(1000)를 구성하는 조립 엘리먼트(120)들의 연결이 안정적인지 여부 또는 조립 엘리먼트(120)들의 연결을 형성하는 커플링 파트(110)에 의한 체결이 안정적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조립식 완구(1000)의 안정성 체크에는 가상 공간 상의 조립 엘리먼트(120)들의 하중 정보, 지면과의 접촉면에 관한 정보,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 정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립식 완구(1000)의 안정성 체크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안정성 체크에 이용되는 정보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조립 엘리먼트(120)에는 하중 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조립 엘리먼트(120)에 할당되는 하중은 실제의 물리적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을 반영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하중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 엘리먼트(120)에 할당되는 하중 정보는 각 조립 엘리먼트(120)의 부피 및 밀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메모리에는 기초적인 몇몇 형태의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값이 저장되어 있고, 콘트롤러는 이에 기초하여 하중값이 저장된 조립 엘리먼트(120)로부터 파생된 형태의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값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으로, 메모리에는 1x1 스터드를 가지는 브릭 타입의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값이 "1"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콘트롤러는 1x2 스터드를 가지는 브릭 타입의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값을 1x1 스터드를 가지는 브릭 타입의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값에 그 둘 간의 부피의 비인 2를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에는 조립 엘리먼트(120)들의 하중값이 개별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엘리먼트의 하중값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조립 엘리먼트(120)들에 대한 하중값이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가상의 조립 엘리먼트(120)에 할당되는 하중 정보는 반드시 물리적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과 일치하거나 비례하는 값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가상 공간 상의 하중 계산의 편의를 위하여 근사된 값이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조립 엘리먼트(120)의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커플링 파트(110) 사이의 체결 강도 정보는 실제의 물리적 조립 엘리먼트(120)의 커플링 파트(110) 간에 이루어지는 체결의 강도를 반영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체결 강도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 정보는 각 커플링 파트(110)의 종류 및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메모리에는 기초적인 몇몇 종류의 커플링 파트(110)의 체결 강도가 저장되어 있고, 콘트롤러는 이에 기초하여 다양한 형태의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메모리에는 1x1 스터드와 1x1 캐비티 간의 체결 강도가 "1"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콘트롤러는 1x2 스터드와 1x2 캐비티 간의 체결 강도를 1x1 스터드와 1x1 캐비티 간의 체결 강도값에 서로 체결된 스터드-캐비티의 개수의 비인 2를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에는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값이 개별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값에 관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체결 강도값이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가상의 조립 엘리먼트(120)를 연결하는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값은 반드시 물리적 체결 강도값과 일치하거나 비례하는 값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가상 공간 상의 체결 강도의 편의를 위하여 근사된 값이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술한 도 13 및 도 14에서는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가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에 포함된 두 개의 커플링 강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가 하나의 커플링 파트(110)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1x1 스터드가 참여하는 체결의 강도는 1x1 스터드와 결합되는 캐비티의 형태에 의해 달라질 수도 있으므로,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는 체결에 참여하는 두 개의 커플링 파트(110) 양쪽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또, 이상에서는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의 산출이 커플링 파트(110)의 종류와 개수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파트 간의 체결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삽입되는 커플링 파트(110) - 수 커플링 파트 - 측의 조립 엘리먼트(120)는 2x3 스터드 타입의 커플링 파트(110)를 가지며, 수용하는 커플링 파트(110) - 암 커플링 파트 - 측의 조립 엘리먼트(120)는 2x2 스터드 타입의 커플링 파트(110)를 가지지만,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형태는 1x2 스터드 타입에 해당하며,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두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는 1x2 스터드 타입의 체결 강도로 정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는 체결에 참여하는 커플링 파트(110)에 의해 정해지기 보다는 커플링 체결 형태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 보다 엄밀한 표현이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문맥 상 분명한 경우에는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에 대해 커플링 파트(110)의 체결이라고 표현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는 체결될 수 있는 형태 별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콘트롤러가 메모리에 저장된 기본 체결 형태의 체결 강도값(예를 들어, 1x1 스터드의 체결 강도값)에 기초하여 그 파생 형태에 대한 체결 강도값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 체크 방법의 일 예로서, 조립식 완구(1000)의 균형을 체크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술한 시스템(10) 또는 상술한 시스템을 구현하는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의 시스템이나 장치 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조립식 완구(1000)의 균형 안정성은 조립 엘리먼트(120)로 구성되는 조립식 완구(1000)가 지면 상에서 쓰러지지 않고 스탠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의 균형 안정성 판단에 관한 도면이다.
균형 안정성은 조립식 완구(1000)를 구성하는 조립 엘리먼트(120)들의 하중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립식 완구(1000)의 균형 안정성은 조립식 완구(1000)를 구성하는 조립 엘리먼트(120)들의 하중 중심(mass center)과 조립식 완구(1000)의 최하면, 즉 지면과 접촉하는 면 간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립식 완구(1000)의 하중 중심은, 조립식 완구(1000)를 구성하는 조립 엘리먼트(120)들의 하중 정보 및 조립 엘리먼트(120)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콘트롤러는 메모리에 저장된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 정보에 기초하여 조립식 완구(1000)를 구성하는 조립 엘리먼트(120)들 각각에 대한 하중값을 획득할 수 있다. 콘트롤러는 가상 공간 상에서 조립 엘리먼트(120)들의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콘트롤러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값 및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립식 완구(1000)의 하중 중심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는 높이 방향을 제외한 2차원 정보로 획득될 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조립식 완구(1000)를 구성하는 4개의 브릭 타입의 조립 엘리먼트(120)들의 하중 중심이 조립식 완구(1000)의 바닥면 내에 위치하므로, 해당 조립식 완구(1000)는 균형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 도 17을 살펴보면, 조립식 완구(1000)를 구성하는 4개의 브릭 타입의 조립 엘리먼트(120)들의 하중 중심이 조립식 완구(1000)의 바닥면 외에 위치하므로, 해당 조립식 완구(1000)는 균형 안정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콘트롤러는, 조립식 완구(1000)가 균형 안정성이 있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바닥면을 지시하는 영역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영역 인디케이터의 색상을 통해 조립식 완구(1000)의 균형 안정성 여부에 대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조립식 완구(1000)의 바닥면이 복수인 경우에는 조립식 완구(1000)의 하중 중심의 위치가 조립식 완구(1000)의 바닥면 외부에 있더라도, 조립식 완구(1000)의 바닥면들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면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균형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의 균형 안정성 판단에 관한 다른 도면이다. 도 18을 살펴보면, 조립식 완구(1000)의 바닥면이 서로 이격된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면이 바닥면 대신 설정될 수 있다. 즉, 콘트롤러는 복수의 바닥면의 위치에 기초하여 지지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균형 안정성은 하중 중심이 지지면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조립식 완구(1000)를 구성하는 조립 엘리먼트(120) 중 일부가 힌지 구조 등에 의해 자세 변경될 수 있는 엘리먼트인 경우에는, 하중 중심을 산출할 때 해당 조립 엘리먼트(120)의 자세 정보를 더 고려하여 위치 데이터를 산출하거나 또는 하중 중심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의 균형 안정성 판단에 관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19를 살펴보면, 조립식 완구(1000)의 조립 엘리먼트(120)가 제1 자세로부터 제2 자세로 각도 조절되는 힌지 형태일 경우에는, 힌지의 각도 또는 힌지에 의해 자세가 변경되는 조립 엘리먼트(120)들의 자세 정보를 추가적으로 더 고려하여 하중 중심을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단순히 조립식 완구(1000)의 바닥면 또는 지지면 내에 조립식 완구(1000)의 하중 중심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균형 안정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중 중심이 바닥면 및/또는 지지면의 중심에서부터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 여부 또는 바닥면 및/또는 지지면의 테두리에 얼마나 가까운지 여부를 고려하여 균형 안정성을 복수의 단계로 지시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 체크 방법의 다른 예로서, 조립식 완구(1000)의 체결 안정성을 체크하는 방법에 관한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술한 시스템(10) 또는 상술한 시스템을 구현하는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의 시스템이나 장치 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조립식 완구(1000)의 연결 안정성은 조립식 완구(1000)를 구성하는 조립 엘리먼트(120) 간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가상 공간 상에 위치하는 조립식 완구(1000)의 연결 안정성은 완구를 조립하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체결 강도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 안정성은 조립식 완구(1000)를 구성하는 조립 엘리먼트(120)들을 연결하는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 및 해당 커플링 파트(110)에 가해지는 하중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먼저 가상 공간 상에서 시스템(10)은 조립식 완구(1000)의 커플링 지점을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커플링 부위란 두 개의 연결된 조립 엘리먼트(120)의 커플링 파트(110)가 서로 체결된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지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조립 엘리먼트(120) 간에 커플링 파트(110)가 체결된 지점 검색할 수 있다. 콘트롤러는 가상 공간 상에 배치된 조립 엘리먼트(120)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로 커플링 파트(110)가 연결된 커플링 지점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과 같이 총 15개의 조립 엘리먼트(120)가 가상 공간 상에서 조립식 완구(1000)를 형성하고 있을 때, 각 커플링 지점들은 서로 체결된 커플링 파트(110) 별로 위치할 수 있다.
커플링 부위가 검색되면, 다음으로는 커플링 부위 별로 체결 강도(coupling power)를 산출할 수 있다. 체결 강도의 산출은 메모리에 저장된 커플링 형태 별 커플링 강도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글 스터드 결합의 체결 강도는 1이 되고, 더블 스터드 결합의 강도는 2로 설정될 수 있다. 또 엑슬과 엑슬 홈 간의 결합 강도는 1.5로 산출될 수 있다. 물론, 각 체결 형태 별 강도 값은 예시적인 것임을 밝혀둔다.
시스템은 커플링 강도에 기초하여 연결 안정성 판단을 위한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은 적어도 하나의 임계 체결 강도 및 체결 강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10)은 체결 강도를 임계 체결 강도와 비교하여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을 설정할 수 있다. 임계 체결 강도는 다양하게 설정 될 수 있다.
일 예로는, 임계 체결 강도에 미리 설정한 체결 강도 값을 대입하여 임계 체결 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임계 체결 강도에 대입되는 미리 설정한 체결 강도 값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 체결 강도를 2로 정의한다면 2이상의 체결 강도로 연결된 빌딩 엘리먼트(120)들이 하나의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임계 체결 강도는 빌딩 엘리먼트(120)의 하중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10)은 검사 커플링 지점의 체결 강도 및 검사 커플링 지점을 기준으로, 일 측에 위치하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 또는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의 하중 또는 조립식 완구(1000)의 하중 또는, 양 측에 위치하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 또는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 또는 조립식 완구(1000)의 하중에 기초하여 임계 체결 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중의 크기에 따라 임계 체결 강도는 변경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측에 위치하는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의 하중이 클수록 임계 체결 강도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엘리먼트를 그룹화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은 체결 강도가 2 이상(예를 들어, 스터드 2개 이상)으로 연결된 조립 엘리먼트(120)들을 그룹화한 것일 수 있다. 조립 엘리먼트(120)를 그룹화할 때는 복수의 임계값에 대하여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각각 강도 1과 강도 3을 기준으로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이 설정될 수 있다.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이 설정되면, 해당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에 속하는 조립 엘리먼트(120)와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에 속하지 않는 조립 엘리먼트(120) 간의 커플링 지점을 커플링 안정성 판단을 위한 검사 커플링 지점으로 검색할 수 있다.
시스템(10)은, 검사 커플링 지점의 체결 강도에 기초하여 연결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0)은 검사 커플링 지점을 기준으로, 일 측에 위치하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 또는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의 하중 또는 조립식 완구(1000)의 하중 또는, 양 측에 위치하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 또는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의 하중 또는 조립식 완구(1000)의 하중에 기초하여 연결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이란 검사 커플링 지점을 기준으로, 일 측에 위치하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 또는 양 측에 위치하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 또는 타 측에 위치하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의 하중이란 검사 커플링 지점을 기준으로, 일 측에 위치하는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의 하중 또는 양 측에 위치하는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의 하중 또는 타 측에 위치하는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의 하중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10)은 빌딩 엘리먼트(120)의 체결 강도를 검사 커플링 지점을 기준으로, 일 측에 위치하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 또는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의 하중 또는 조립식 완구(1000)의 하중 또는, 양 측에 위치하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 또는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의 하중 또는 조립식 완구(1000)의 하중에 대비하여 연결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10)은 빌딩 엘리먼트(120)의 하중이 10이상인 경우, 빌딩 엘리먼트의 체결 강도가 3 이상일 때, 빌딩 엘리먼트(120)의 연결이 안정적이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각 하중 및 체결 강도 값은 예시적인 것임을 밝혀둔다.
연결 안정성은, 체결 강도가 강할수록 큰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 연결 안정성은, 조립 엘리먼트(120) 또는 조립 엘리먼트 그룹(300)의 하중이 클수록 작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안정성을 시각적인 정보로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조립 안정성은 판단되면, 해당 커플링 지점의 조립 안정성값에 기초하여 조립 안정성을 시각적인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안정성이 충분한 경우에는 조립 엘리먼트(120)에 별도의 표시를 하지 않을 수 있으며, 조립 안정성이 약할수록 짙은 색상으로 조립 엘리먼트(1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정성 체크 방법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 체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6에 따르면, 안정성 체크 방법은 조립 엘리먼트(120)의 연결 안정성을 체크하는 방법 및 조립식 완구(1000)의 균형 안정성을 체크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안정성 체크 및 균형 안정성 체크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26에서는 연결 안정성 체크 및 균형 안정성 체크가 각각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알고리즘상 동일한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립 엘리먼트의 연결 안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안정성 체크 방법은 가상 공간에 배치된 조립 엘리먼트에 하중을 할당 하는 단계(S1), 커플링 파트(110)의 체결 강도를 산출 하는 단계(S2), 복수의 조립 엘리먼트를 조립 엘리먼트 그룹으로 그룹화 하는 단계(S3) 및 체결 강도 및 하중 정보에 기초하여 조립 엘리먼트의 연결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립식 완구(1000)의 균형 안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안정성 체크 방법은 가상 공간에 배치된 조립 엘리먼트에 하중을 할당하는 단계(S1), 조립식 완구의 질량 분포를 산출하는 단계(S5) 및 질량 분포에 기초하여 조립식 완구의 균형 안정성을 판단 하는 단계(S6)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안정성 판단 및 균형 안정성 판단을 위한 안정성 체크 방법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는, 도2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공간에 배치된 조립 엘리먼트에 하중을 할당하는 단계(S1) 이후에 조립 엘리먼트(120)의 연결 안정성 판단 및 조립식 완구(1000)의 균형 안정성 판단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는, 가상 공간에 배치된 조립 엘리먼트에 하중을 할당하는 단계(S1)는 커플링 파트(110)의 체결 강도 산출하는 단계(S2) 또는 복수의 조립 엘리먼트를 조립 엘리먼트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S3) 이후에 수행되어 연결 안정성 판단 과정 도중에 수행될 수도 있다. 각각의 단계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균형 안정성 체크 방법의 첫번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안정성 체크 방법의 첫번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27에 따르면, 균형 안정성 체크 방법은 가상 공간에 배치된 조립 엘리먼트에 하중을 할당 하는 단계(S100), 조립식 완구에 할당된 질량 분포를 산출하는 단계(S110) 및 조립식 완구의 균형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공간에 배치된 조립 엘리먼트에 하중을 할당 하는 단계(S100)는 질량 분포를 산출하기 이전에 선행될 수 있다. 물론, 조립 엘리먼트(120)에 하중을 할당하는 과정에서 질량 분포를 산출할 수도 있다.
조립식 완구에 할당된 질량 분포를 산출하는 단계(S110)는 조립 엘리먼트(120)에 할당된 하중 및 조립 엘리먼트(120)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립식 완구(1000)에 할당된 질량 분포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조립식 완구(1000)의 하중 중심은, 조립식 완구(1000)를 구성하는 조립 엘리먼트(120)들의 하중 정보 및 조립 엘리먼트(120)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조립식 완구(1000)의 균형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S120)에서 균현 안정성은 조립 엘리먼트(120)들의 하중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립식 완구(1000)의 균형 안정성은 조립식 완구(1000)를 구성하는 조립 엘리먼트(120)들의 하중 중심과 조립식 완구(1000)의 최하면, 즉 지면과 접촉하는 면 간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균형 안정성 체크 방법의 두번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안정성 체크 방법의 두번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28에 따르면, 균형 안정성 체크 방법은 조립식 완구에 할당된 질량 분포를 산출하는 단계(S200) 및 조립식 완구의 밑면과 수직하는 영역에 조립식 완구의 하중 중심이 포함되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립식 완구(1000)의 균형 안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조립식 완구(1000)의 밑면과 수직하는 영역에 조립식 완구(1000)의 하중 중심이 포함되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조립식 완구의 밑면과 수직하는 영역에 조립식 완구의 하중 중심이 포함되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0)는 조립식 완구(1000)를 구성하는 조립 엘리먼트(120)들의 하중 중심이 조립식 완구(1000)의 밑면에 위치하는 여부에 따라 균형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중 중심의 위치 데이터는 높이 방향을 제외한 2차원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완구(1000)의 밑면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밑면과 다른 밑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면이 밑면 대신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의 첫번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의 첫번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29에 따르면,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은 커플링 파트(110)의 체결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S300) 및 조립 엘리먼트와 다른 조립 엘리먼트 간의 연결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S3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 파트(110)의 체결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S300)는 커플링 파트(110) 간에 이루어지는 체결의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 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초적인 몇몇 종류의 커플링 파트(110)의 체결 강도에 기초하여, 다양한 형태의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메모리에는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값이 개별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개별적인 체결 강도값에 기초하여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조립 엘리먼트(120)와 다른 조립 엘리먼트(120) 간의 연결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S310)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체결 강도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 안정성은 조립식 완구(1000)를 구성하는 조립 엘리먼트(120)들을 연결하는 커플링 파트(110) 간의 체결 강도 및 해당 커플링 파트(110)에 가해지는 하중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공간에 배치된 조립 엘리먼트(120)에 하중을 할당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의 두번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의 두번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30에 따르면,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은 커플링 파트(110)의 체결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S400), 복수의 조립 엘리먼트를 조립 엘리먼트 그룹으로 그룹화 하는 단계(S410) 및 조립 엘리먼트와 다른 조립 엘리먼트 간의 연결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립 엘리먼트를 조립 엘리먼트 그룹으로 그룹화 하는 단계(S410)는커플링 강도에 기초하여 연결 안정성 판단을 위한 조립 엘리먼트(120)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 엘리먼트(120)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임계 체결 강도 및 커플링 강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조립 엘리먼트와 다른 조립 엘리먼트간의 연결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S420)는 체크되는 커플링 지점의 체결 강도 및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에 기초하여 체결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이란 검사 커플링 지점을 기준으로, 일 측에 위치하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 또는 조립 엘리먼트(120) 그룹의 하중 또는, 양 측에 위치하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하중 또는 조립 엘리먼트(120) 그룹의 하중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의 세번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의 세번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31에 따르면, 연결 안정성에 체크 방법은 연결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S500), 연결 안정성을 제1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는 단계(S510) 및 연결 안정성을 제2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는 단계(S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미리 정해진 값은 제2 미리 정해진 값보다 약한 연결 안정성을 반영하는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안정성 판단하는 단계는 조립 엘리먼트(120)와 다른 조립 엘리먼트(120)의 연결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연결 안정성을 제1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는 단계(S510) 및 연결 안정성을 제2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는 단계(S52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는, 연결 안정성을 제1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는 단계는(S510), 판단된 연결 조립 엘리먼트(120)의 안정성이 제1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인 경우 판단된 조립 엘리먼트(120)를 경고 상태로 판단하고, 조립 엘리먼트(120)의 안정성이 제1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연결 안정성을 제2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는 단계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안정성을 제2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는 단계는(S520), 판단된 연결 조립 엘리먼트(120)의 안정성이 제2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인 경우 판단된 조립 엘리먼트(120)를 주의 상태로 판단하고, 판단된 조립 엘리먼트(120)의 안정성이 제2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판단된 조립 엘리먼트(120)를 안정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예로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연결 안정성을 제1 미리 정해진 값 및 제2 미리 정해진 값과 알고리즘적으로 동시에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엘리먼트(120)의 연결 안정성을 제2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한 후에 제1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연결 안정성이 제1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 경고 상태로 판단하는 연결 안정성을 제1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조립 엘리먼트(120)의 연결 안정성이 제1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연결 안정성을 제2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는 단계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판단된 조립 엘리먼트(120)의 연결 안정성이 제2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 연결된 조립 엘리먼트(120)의 연결 안정성을 주의 상태로 판단하고, 제2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연결된 조립 엘리먼트(120)의 연결 안정성을 안정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안정성의 판단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도31 에서는 연결 안정성은 안정, 주의 및 경고의 세가지 상태로 판단되었으나 일 예로는 안정과 불안정 두가지 상태로 구분하어 판단될 수 있고, 네가지 이상의 상태로 구분되어 판단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연결 안정성을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는 단계(610)는 판단된 연결 안정성의 범위에 따라 연결된 조립 엘리먼트(120)의 연결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균형 안정성 체크 방법의 세번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안정성 체크 방법의 세번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32에 따르면, 균형 안정성 체크 방법은 조립식 완구의 균형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S600) 및 균형 안정성에 기초하여 색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6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균형 안정성에 기초하여 색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610)는, 조립식 완구(1000)의 밑면을 포함하는 평면의 색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완구(1000)의 밑면을 구성하는 조립 엘리먼트(120)의 색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균형 안정성에 기초하여 색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610)는, 균형 안정성을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여 색상을 변화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균형 안정성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색상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균형 안정성에 따라 밑면을 포함하는 평면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는, 균형 안정성이 높은 조립식 완구(1000)는 밑면을 포함하는 평면의 색상이 초록색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균형 안정성이 낮은 조립식 완구(1000)는 밑면을 포함하는 평면의 색상이 빨간색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의 네번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의 네번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33에 따르면,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은 커플링 파트의 체결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S700), 조립 엘리먼트와 다른 조립 엘리먼트간의 연결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S710) 및 연결 안정성에 기초하여 색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7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안정성에 기초하여 색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720)는, 연결된 조립 엘리먼트(120)의 색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조립 엘리먼트(120)가 다른 조립 엘리먼트(120)와 연결됨으로써 제공되는 커플링 영역의 색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커플링 영역이 포함되는 평면의 색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안정성에 기초하여 색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720)는, 연결 안정성을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여 색상을 변화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연결 안정성에 따라 다양하게 색상을 변경 할 수 있다. 일 예로는, 연결 안정성이 높은 조립 엘리먼트(120)의 색상은 초록색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안정성이 낮은 조립 엘리먼트(120)의 색상은 빨간색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색 표시 외에도 연결 안정성 문제가 발생하는 조립식 완구(100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문자로 연결 안정성 문제가 발생하는 조립식 완구(1000)의 개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안정성을 연결 안정성의 정도에 따라 복수의 상태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안정성을 제1 미리 정해진 값 및 제2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여 경고, 주의 및 안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안정성의 크기에 따라 조립 엘리먼트(120)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시스템
12: 콘트롤러
14: 메모리
16: 입력 모듈
18: 디스플레이 모듈
100: 가상 공간
102: 지면
104: 셀
110: 커플링 파트
120: 조립 엘리먼트
130: 보디
200: 조립 엘리먼트 팔레트
300: 조립 엘리먼트 그룹
1000: 조립식 완구

Claims (14)

  1. 가상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조립 엘리먼트의 연결 안정성 체크 방법으로서,
    상기 조립 엘리먼트의 각각은 다른 커플링 파트(coupling part)와 상보적으로 체결되도록 맞춰진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파트를 가지고,
    가상의 상기 조립 엘리먼트가 배치되거나, 가상의 상기 조립 엘리먼트를 연결하여 원하는 디자인의 조립식 완구가 미리 만들어질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조립식 완구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커플링 파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립 엘리먼트를 다른 조립 엘리먼트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조립 엘리먼트에 미리 설정된 하중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커플링 파트의 커플링 종류 및 커플링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커플링 파트의 체결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체결 강도 및 상기 조립 엘리먼트에 할당된 하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립 엘리먼트와 상기 다른 조립 엘리먼트 간의 연결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연결 안정성을 반영하는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립 엘리먼트를 제1 조립 엘리먼트 그룹 및 제2 조립 엘리먼트 그룹으로 그룹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립 엘리먼트 그룹 및 제2 조립 엘리먼트 그룹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조립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조립 엘리먼트 그룹과 상기 제2 조립 엘리먼트 그룹의 연결 안정성을, 상기 체결 강도 및 상기 제2 조립 엘리먼트 그룹에 할당된 하중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립 엘리먼트 그룹은 상기 커플링 파트와 체결되는 상기 다른 커플링 파트를 통해 상기 조립 엘리먼트와 체결되어, 상기 제1 조립 엘리먼트 그룹과 연결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하는 단계는,
    상기 체결 강도와 미리 정해진 값을 비교하여 그룹화 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안정성에 기초하여 상기 조립 엘리먼트 그룹의 색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안정성이 제1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이라면 상기 제1 조립 엘리먼트 그룹과 상기 제2 조립 엘리먼트 그룹을 연결하는 상기 조립 엘리먼트를 경고 상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연결 안정성이 제1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이고, 제1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큰 제2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이라면 상기 제1 조립 엘리먼트 그룹과 상기 제2 조립 엘리먼트 그룹을 연결하는 상기 조립 엘리먼트를 주의 상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파트는 스터드(stud), 캐비티(cavity), 액슬(axle), 액슬 홀(axle hall), 테크닉 핀(technic pin), 테크닉 핀 홀(technic pin hall), 볼(ball), 볼 리셉터클(ball receptacle) 및 힌지(hin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공간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조립 엘리먼트의 균형 안정성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조립 엘리먼트 및 상기 조립 엘리먼트와 연결되는 모든 다른 조립 엘리먼트로 구성되는 조립식 완구에 할당된 질량 분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질량 분포에 기초하여, 상기 조립식 완구의 균형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균형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조립식 완구의 밑면과 수직하는 영역에 상기 조립식 완구의 하중 중심이 포함되는 여부를 더 고려하여 상기 균형 안정성을 판단하는,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 안정성을 반영하는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 안정성을 반영하는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균형 안정성에 기초하여 상기 조립식 완구의 밑면이 포함되는 평면의 색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 안정성을 반영하는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균형 안정성이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이라면 상기 조립식 완구 밑면을 경고 상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4. 가상 공간에서 조립 엘리먼트를 다른 조립 엘리먼트에 연결하여 가상 공간에서 조립식 완구를 만들기 위한 장치로서, 제1항, 제3항, 제6항 내지 제9항 및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식 완구를 만들기 위한 장치.
KR1020190043153A 2019-04-12 2019-04-12 안정성 체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433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153A KR102433186B1 (ko) 2019-04-12 2019-04-12 안정성 체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N202080043075.1A CN113950694A (zh) 2019-04-12 2020-04-10 用于检查稳定性的设备、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US17/602,742 US20220198093A1 (en) 2019-04-12 2020-04-10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hecking stability
PCT/EP2020/060354 WO2020208248A1 (en) 2019-04-12 2020-04-10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hecking st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153A KR102433186B1 (ko) 2019-04-12 2019-04-12 안정성 체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831A KR20200120831A (ko) 2020-10-22
KR102433186B1 true KR102433186B1 (ko) 2022-08-18

Family

ID=7028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153A KR102433186B1 (ko) 2019-04-12 2019-04-12 안정성 체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98093A1 (ko)
KR (1) KR102433186B1 (ko)
CN (1) CN113950694A (ko)
WO (1) WO202020824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824B1 (ko) * 2018-07-31 2019-03-06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비계용 연결브라켓 최종강도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9251B2 (en) * 2007-03-16 2011-07-12 Lego A/S Automatic generation of building instructions for building element models
ES2698402T3 (es) * 2010-12-16 2019-02-04 Mark Randall Stolten Sistema de juego de construcció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824B1 (ko) * 2018-07-31 2019-03-06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비계용 연결브라켓 최종강도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M Trans. on Graphics, Vol.34, No. 6, Article 222, (2015. 11.)*
IEEE ACCESS Vol. 6, (2018.8.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50694A (zh) 2022-01-18
KR20200120831A (ko) 2020-10-22
US20220198093A1 (en) 2022-06-23
WO2020208248A1 (en)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6946A2 (en) Video game controller
CN107837529B (zh) 一种对象选择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US8257157B2 (en) Physical data building blocks system for video game interaction
US20160249478A1 (en) Electrical modules and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US10653973B2 (en) Electronic building-block module
US8988455B2 (en)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on and game apparatus
EP2700435A1 (en) Game system and game controller
US9517407B2 (en) Game system and game controller
CN103930180A (zh) 对游戏控制器校准和偏置的系统和方法
US20170333803A1 (en) Sensing device and construction elements comprising a sensing device
CN107670268B (zh) 魔方、魔方控制方法以及终端
CN110382065B (zh) 交互式数字平台设备和方法
KR102433186B1 (ko) 안정성 체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11213747B2 (en) Systems of stacking interlocking blocks
EP3431160A1 (en) Wooden block, assembly using same, and furniture
US20140256443A1 (en) Game Controller
KR102341778B1 (ko) 조립식 완구의 조립 순서 결정 및 매뉴얼 생성 방법
US8715080B2 (en) Game system, game controller
KR102000673B1 (ko) 상호작용 가능한 블록 도구
CN209865256U (zh) 一种磁感式智能电子棋盘
KR102463835B1 (ko) 미션 해결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코딩 교육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2138B1 (ko) 개별 디스플레이 기반의 영상 퍼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30320A (ko)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하는 학습 방법
US11163917B2 (en) Modular three-dimensional tile system
JP4241429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