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864B1 -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864B1
KR102432864B1 KR1020200170505A KR20200170505A KR102432864B1 KR 102432864 B1 KR102432864 B1 KR 102432864B1 KR 1020200170505 A KR1020200170505 A KR 1020200170505A KR 20200170505 A KR20200170505 A KR 20200170505A KR 102432864 B1 KR102432864 B1 KR 102432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ousing
rod body
rotate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1060A (ko
Inventor
이영국
최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70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8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3/00Cams ; Non-rotary cams; or cam-followers, e.g. roller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3/02Single-track cams for single-revolution cycles; Camshafts with such cams
    • F16H53/04Adjustable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연료주유구가 개폐되도록 푸시리프의 로테이트로드가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시에도 시일캡에 쏠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구가 개폐되도록 푸시리프의 로테이트로드가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시에도 스프링은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작동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700)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로워로드(400)와, 상기 로워로드(400)에 안착되는 탄지스프링(300)과, 상기 탄지스프링(300)에 탄지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바디(200)와, 상기 로드바디(200)의 승하강 상태에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 승하강 가능하게 로워로드(400)에 결합되는 로테이트로드(100)와, 상기 로테이트로드(1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드바디(200)의 상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시일캡(600)과, 상기 시일캡(600)이 설치된 로드바디(200)의 일측부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트캠(500)과, 상기 하트캠(500)에 작동력을 제공하도록 하우징(700)의 일측부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80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he fuel inlet of the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연료주유구가 개폐되도록 푸시리프의 로테이트로드가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시에도 시일캡에 쏠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구가 개폐되도록 푸시리프의 로테이트로드가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시에도 스프링은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작동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측면에는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에 의해 록킹 또는 언록킹이 이루어지면서 충전구를 개폐하는 충전구용 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는 충전구를 가지는 캡부재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언록킹시키는 푸시리프트와, 상기 푸시리프트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하우징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는 모터의 작동상태에 따라 푸시리프트의 로드바디와 로드로테이트가 동시에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커버가 록킹 또는 언록킹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는 모터의 작동상태에 따라 로테이드로드 및 로드바디가 동시에 회전 작동되는 관계로, 로드바디의 내부로 수분 및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시일캡에 습동시 쏠림현상이 발생하여 작동감이 저하되고, 미세캡이 발생하여 푸시리프트의 내부로 수분 및 대기중에 함유된 먼지등과 같은 이물이 유입되어 오염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로드바디가 회전시 일측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도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스프링 끝단에 걸림감이 발생하여 작동불량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지속적인 걸림으로 인해 상기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는 로드바디의 단부가 변형 및 파손되어지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0736호(등록일자 : 2016년 05월 0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커버가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충전구가 개폐되도록 로테이트로드가 하우징의 내외로 인입출시에도 시일캡에 쏠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구가 개폐되도록 로테이트로드가 하우징의 내외부로 인입출시에도 스프링은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작동 불량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700)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로워로드(400)와, 상기 로워로드(400)에 안착되는 탄지스프링(300)과, 상기 탄지스프링(300)에 탄지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바디(200)와, 상기 로드바디(200)의 승하강 상태에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 승하강 가능하게 로워로드(400)에 결합되는 로테이트로드(100)와, 상기 로테이트로드(1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드바디(200)의 상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시일캡(600)과, 상기 시일캡(600)이 설치된 로드바디(200)의 일측부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트캠(500)과, 상기 하트캠(500)에 작동력을 제공하도록 하우징(700)의 일측부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80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로테이트로드(100)의 상단부에는 범퍼러버(900)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로테이트로드(100)의 상단부가 외부물체와 접촉되면서 마찰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 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하트캠(500)은 모터(800)의 회전축(810)에 설치된 스퍼기어(820)에 치합되어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록기어(830)의 회전방향에 따라 로드바디(200)가 하우징(700)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됨을 밝혀 둔다.
한편, 하트캠(500)은 록기어(8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로터리(510)와, 상기 로터리(51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력으로 로드바디(200)에 전달하는 로터리핀(520)과, 상기 로터리핀(520)에 의헤 직선운동력을 제공받으며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로드바디(200)와 접촉하는 로터리(5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스냅링(530)으로 구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로워로드(400)는 중간부위에 탄지스프링(30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41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로워로드(400)의 상단부에는 인입돌기(420)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인입돌기(420)가 인입되는 인입공(110)이 로테이트로드(100)의 외주면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로워로드(400), 로드바디(200). 로테이트로드(100), 모터(800)는 하나의 하우징(700)에 일체로 설치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작동상태에 따라 로드바디는 하트캠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직선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하우징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가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로워로드의 인입돌기가 인입공에 인입되어 있는 로테이트로드는 로드바디의 이동량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하우징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면서 커버를 온,오프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커버를 온,오프시에도 작동이음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작동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를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가 로테이트로드는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바디는 하우징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가 로테이트로드는 타측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바디는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면서 커버가 풀오픈되도록 작동된 상태를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가 로테이트로드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바디는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면서 커버가 폐쇄되도록 작동된 상태를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를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가 로테이트로드는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바디는 하우징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가 로테이트로드는 타측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바디는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면서 커버가 풀오픈되도록 작동된 상태를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가 로테이트로드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바디는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면서 커버가 폐쇄되도록 작동된 상태를 단면도 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는 도 1내지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700)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로워로드(400)와, 상기 로워로드(400)에 안착되는 탄지스프링(300)과, 상기 탄지스프링(300)에 탄지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바디(200)와, 상기 로드바디(200)의 승하강 상태에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 승하강 가능하게 로워로드(400)에 결합되는 로테이트로드(100)와, 상기 로테이트로드(1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드바디(200)의 상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시일캡(600)과, 상기 시일캡(600)이 설치된 로드바디(200)의 일측부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트캠(500)과, 상기 하트캠(500)에 작동력을 제공하도록 하우징(700)의 일측부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80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로테이트로드(100)의 상단부에는 범퍼러버(90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트캠(500)은 모터(800)의 회전축(810)에 설치된 스퍼기어(820)에 치합되어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록기어(830)의 회전방향에 따라 로드바디(200)가 하우징(700)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한편, 하트캠(500)은 록기어(8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로터리(510)와, 상기 로터리(51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력으로 로드바디(200)에 전달하는 로터리핀(520)과, 상기 로터리핀(520)에 의헤 직선운동력을 제공받으며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로드바디(200)와 접촉하는 로터리(5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스냅링(5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워로드(400)는 중간부위에 탄지스프링(30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41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로워로드(400)의 상단부에는 인입돌기(42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인입돌기(420)가 인입되는 인입공(110)이 로테이트로드(100)의 외주면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워로드(400), 로드바디(200). 로테이트로드(100), 모터(800)는 하나의 하우징(700)에 일체로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하우징(700)의 일측부에 배터리(미도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작동가능하게 설치된고, 상기 하우징(700)의 타측부에는 로워로드(0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로워로드(400)의 상부에는 안착부(410)에는 저면이 지지되도록 탄지스프링(300)이 설치되고, 상기 탄지스프링(300)이 상부에 설치된 로워로드(400)의 외측부에는 상부저면이 탄지스프링(300)에 의해 접촉되면서 탄지되도록 로드바디(200)가 설치되며, 상기 로드바디(200)의 내부에는 로워로드(400)의 상부에 형성된 인입돌기(420)가 인입공(110)에 인입되도록 로테이트로드(100)의 하부가 인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로테이트로드(100)의 상부는 로드바디(200)의 상부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테이트로드(100)의 상부가 상부로 인출되도록 설치된 로드바디(200)의 상부에는 시일캡(600)이 설치되어, 상기 로드바디(200)의 내부로 대기중에 함유된 수분이나 먼지등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로드바디(200)의 일측부에는 모터(800)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일측 및 ㅌc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스퍼기어(820)와 록기어(830)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로드바디(200)를 수직으로 승하강 시키는 하트캠(50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로테이트로드(100)의 상단부에는 범퍼러버(900)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로테이드록가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하우징(700)의 내외부로 인입출시 외부물체와 접촉되면서 충격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인해 자동차를 운행중 연료를 충전시키기 위해 충전구가 개방되도록 커버를 개방시키기 위해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탄지스프링(300)에 의해 탄지되면서 하우징(700)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로드바디(200)가 상기 하우징(70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로테이트로드(100) 상부에서 하중을 가해주게되면. 상기 로테이트로드(100) 상부에 가해진 하중량만큼 탄지스프링(300)을 압축시키면서 1차적으로 로드바디(200)가 하우징(70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록킹력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로테이트로드(100)는 인입공(110)이 인입돌기(420)를 따라 이동되는 량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하우징(700)의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와 같이 로테이트로드(100)와 로드바디(200)가 탄지스프링(300)을 압축시키면서 인입된 후 상기 로테이트로드(100)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제거하게 되면,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탄지스프링(30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로드바디(200)가 하우징(700)의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하우징(700)의 외부로 인출되는 로드바디(200)의 양만큼 로테이트로드(100)는 인입공(110)이 인입돌기(420)를 따라 이동되는 량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하우징(700)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커버의 록킹력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를 닫아서 충전구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로드바디(200)가 하우징(70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로테이트로드(100) 상부에서 하중을 가해주게 되면, 상기 로테이트로드(100) 상부에 가해진 하중량 만큼 탄지스프링(300)을 압축시키면서 로드바디(200)가 하우징(70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록킹력이 해제된다.
따라서 충전구가 개폐되도록 커버를 개폐시키는 경우 로드바디(200)는 하우징(700)의 내외부로 직선운동이 이루어지면서 인입출이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바디(200)를 관통하며 로워로드(400)에 연결된 로테이트로드(100)는 회전운동이 이루어지면서 하우징(700)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하우징(70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800)를 작동시켜 충전구가 개폐되도록 커버를 개폐시키는 경우에도 하트캡(500)에 의해 로드바디(200)는 하우징(700)의 내외부로 직선운동이 이루어지면서 인입출이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바디(200)를 관통하며 로워로드(400)에 연결된 로테이트로드(100)는 회전운동이 이루어지면서 하우징(700)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작동불량형상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 됨은 물론, 작동감이 향상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 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로테이트로드
200 : 로드바디
300 : 탄지스프링
400 : 로워로드
500 : 하트캠
600 : 시일캡
700 : 하우징
800 : 모터

Claims (7)

  1. 하우징(700)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로워로드(400)와, 상기 로워로드(400)에 안착되는 탄지스프링(300)과, 상기 탄지스프링(300)에 탄지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바디(200)와, 상기 로드바디(200)의 승하강 상태에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 승하강 가능하게 로워로드(400)에 결합되는 로테이트로드(100)와, 상기 로테이트로드(1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드바디(200)의 상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시일캡(600)과, 상기 시일캡(600)이 설치된 로드바디(200)의 일측부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트캠(500)과, 상기 하트캠(500)에 작동력을 제공하도록 하우징(700)의 일측부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8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트로드(100)의 상단부에는 범퍼러버(9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트캠(500)은 모터(800)의 회전축(810)에 설치된 스퍼기어(820)에 치합되어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록기어(830)의 회전방향에 따라 로드바디(200)가 하우징(700)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트캠(500)은 록기어(8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로터리(510)와, 상기 로터리(51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력으로 로드바디(200)에 전달하는 로터리핀(520)과, 상기 로터리핀(520)에 의헤 직선운동력을 제공받으며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로드바디(200)와 접촉하는 로터리(5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스냅링(5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워로드(400)는 중간부위에 탄지스프링(30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41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로워로드(400)의 상단부에는 인입돌기(420)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입돌기(420)가 인입되는 인입공(110)이 로테이트로드(100)의 외주면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워로드(400), 로드바디(200). 로테이트로드(100), 모터(800)는 하나의 하우징(700)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

KR1020200170505A 2020-12-08 2020-12-08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 KR102432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505A KR102432864B1 (ko) 2020-12-08 2020-12-08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505A KR102432864B1 (ko) 2020-12-08 2020-12-08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060A KR20220081060A (ko) 2022-06-15
KR102432864B1 true KR102432864B1 (ko) 2022-08-18

Family

ID=8198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505A KR102432864B1 (ko) 2020-12-08 2020-12-08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8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215B1 (ko) 2014-05-22 2015-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푸시오픈 타입 연료도어 개폐 장치
JP2016117313A (ja) 2014-12-18 2016-06-30 株式会社城南製作所 リッド開閉装置
KR101824411B1 (ko) 2017-11-29 2018-02-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 필러도어 하우징 어셈블리의 도어 잠김 유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736B1 (ko) 2013-12-02 2016-05-1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리드장치
JP6180992B2 (ja) * 2014-04-25 2017-08-16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装置
KR101762274B1 (ko) * 2015-12-22 2017-07-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도어의 개폐구조
KR102596225B1 (ko) * 2018-03-12 2023-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도어 개폐장치
KR20200075384A (ko) * 2018-12-18 2020-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도어 오프너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215B1 (ko) 2014-05-22 2015-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푸시오픈 타입 연료도어 개폐 장치
JP2016117313A (ja) 2014-12-18 2016-06-30 株式会社城南製作所 リッド開閉装置
KR101824411B1 (ko) 2017-11-29 2018-02-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 필러도어 하우징 어셈블리의 도어 잠김 유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060A (ko)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5428B2 (en) Lock unit having a slotted pawl
KR102039079B1 (ko) 작동 장치
US8186730B2 (en) Latch for vehicles
CN101513627B (zh) 用于实验室设备等的箱盖的盖闭体
AU2019257395B2 (en) Valve
US7367598B2 (en) Power striker with manual override
WO2021129387A1 (zh) 一种应用于汽车加油箱盖或充电箱盖上的车用微型执行器
US20060175846A1 (en) Power linear displacement striker
KR10082882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크구조
CA2852852A1 (en) 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
US20190153766A1 (en) Compartment actuator for power cinching
KR102432864B1 (ko) 자동차의 충전구용 커버 개폐장치
ES2353507T3 (es) Cerradura de puerta electromecánica.
US10465424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CN109184477A (zh) 一种断桥平移窗
CN109972937A (zh) 加油或充电口门锁总成
CN1108730A (zh) 车门撞锁及其棘轮
CN103958805B (zh) 用于水平接触型窗户的防故障手柄
CN106593152A (zh) 一种可调节锁闭机构
CN211666484U (zh) 一种应用于汽车加油箱盖或充电箱盖上的车用微型执行器
KR100828419B1 (ko)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CN210283888U (zh) 一种机械式汽车加油口盖锁闭器
CN109930935A (zh) 一种特种车辆舱门复合开合装置
CN219887811U (zh) 一种汽车用电动前盖锁
KR200494392Y1 (ko)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