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392Y1 -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392Y1
KR200494392Y1 KR2020210001811U KR20210001811U KR200494392Y1 KR 200494392 Y1 KR200494392 Y1 KR 200494392Y1 KR 2020210001811 U KR2020210001811 U KR 2020210001811U KR 20210001811 U KR20210001811 U KR 20210001811U KR 200494392 Y1 KR200494392 Y1 KR 200494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door
rotating body
pi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항수
Original Assignee
김항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항수 filed Critical 김항수
Priority to KR2020210001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3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3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arallel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33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for opening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41Damp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1/0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parallel to the wing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딩 도어를 열 때에는 도어가 푸시되어 중량물인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이 용이하고 닫을 때에는 도어 프레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한다. 이를 위해 특히,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외측 제1 핀과 내측 제2 핀을 포함하고, 일 방향 회전에 의해 제1 핀과 제2 핀 사이에 위치하는 도어 스트라이커에 락되거나 타 방향 회전에 의해 제1 핀과 제2 핀 사이에서 도어 스트라이커가 이탈하여 언락되고, 일 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락핀; 중심에 레버가 장착되도록 레버 장착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원주를 따라 비스듬하게 나선단이 형성되며, 외주면의 일 측에 걸림 돌기가 형성된 제1 회전체; 제1 회전체의 외주면 원주를 따라 나선단에 걸림되도록 제1 회전체에 삽입 장착되고, 제1 회전체의 회전에 기반하여 나선단에 가이드되어 승하강하며, 승강 시에 걸림턱에 걸림되고 하강 시에 걸림턱에서 이탈되는 승하강 부재; 락핀의 일 측을 따라 배치되고, 제1 회전체의 회전에 기반하여 걸림 돌기에 걸림되어 직선운동하는 푸시 힘 전달 부재;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제2 회전체와, 제2 회전체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푸시 힘 전달 부재에 의해 푸시되는 제1 푸시 페이스와, 제2 회전체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제1 푸시 페이스보다 더 길게 형성된 제2 푸시 페이스를 포함하는 푸시 방향 전환부; 및 제2 푸시 페이스에 배치되고 승하강 운동하는 도어 푸셔를 포함하는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Door lock with door push and buffer function}
본 고안은 슬라이딩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샤시 도어는 거주자가 도어에 장착된 레버 등을 회전시키거나 제쳐서 잡아당김으로써 오픈되고 이후 레버 등을 지지수단 삼아 밀거나 당겨서 활짝 열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딩 샤시 도어는 그 중량이 크므로 노약자나 어린이가 도어를 열기에는 힘겨운 부분이 있다.
또한 슬라이딩 샤시 도어를 닫는 경우에도 그 중량에 따른 관성으로 강하게 닫히면서 소음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여닫이 도어에 있어서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 특허 제1994273호 "손끼임 사고방지를 위한 완충기능 및 도어의 고정기능을 갖는 원터치형 도어용 스토퍼"와 같이 힌지 주변에 스토퍼와 완충부가 구비되도록 구성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특허는 여닫이 도어 외부에 드러나도록 설치되므로 외관상 좋지 못하며 슬라이딩 샤시 도어에는 적용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 장치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큰 변형없이 잠금 장치에 부설됨으로써 열 때는 푸시 기능이 발현되고 닫을 때는 완충 기능이 발현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슬라이딩 도어 잠금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기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라이딩 도어를 열 때에는 도어가 푸시되는 푸시 기능이 발현되어 중량물인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이 용이하고 닫을 때에는 도어 프레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중량물인 슬라이딩 도어가 부드럽게 닫힐 수 있는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도어의 레버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도어로부터 밀어내는 푸시 힘으로 전환하여 중량물인 슬라이딩 도어의 초기 움직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외측 제1 핀과 내측 제2 핀을 포함하고, 일 방향 회전에 의해 제1 핀과 제2 핀 사이에 위치하는 도어 스트라이커에 락(rock)되거나 타 방향 회전에 의해 제1 핀과 제2 핀 사이에서 도어 스트라이커가 이탈하여 언락(unrock)되고, 일 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락핀; 중심에 레버가 장착되도록 레버 장착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원주를 따라 비스듬하게 나선단이 형성되며, 외주면의 일 측에 걸림 돌기가 형성된 제1 회전체; 제1 회전체의 외주면 원주를 따라 나선단에 걸림되도록 제1 회전체에 삽입 장착되고, 제1 회전체의 회전에 기반하여 나선단에 가이드되어 승하강하며, 승강 시에 걸림턱에 걸림되고 하강 시에 걸림턱에서 이탈되는 승하강 부재; 락핀의 일 측을 따라 배치되고, 제1 회전체의 회전에 기반하여 걸림 돌기에 걸림되어 직선운동하는 푸시 힘 전달 부재;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제2 회전체와, 제2 회전체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푸시 힘 전달 부재에 의해 푸시되는 제1 푸시 페이스(Push Face)와, 제2 회전체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제1 푸시 페이스보다 더 길게 형성된 제2 푸시 페이스(Push Face)를 포함하는 푸시 방향 전환부; 및 제2 푸시 페이스에 배치되고 승하강 운동하는 도어 푸셔를 포함하는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는, 걸림턱으로부터 승하강 부재가 이탈되는 경우 락핀이 회전하도록 개재된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선단은, 제1 회전체의 제1 회전 각에서 승하강 부재가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형성되고, 걸림 돌기는, 제1 회전체의 제2 회전 각에서 푸시 힘 전달 부재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며, 그리고 제2 회전 각은 제1 회전 각보다 같거나 큰 것일 수 있다.
푸시 힘 전달 부재는, 제2 회전체의 회전 중심축에 가이드되어 직선운동하도록 일 면에 회전 중심축이 관통되는 가이드 장공이 형성되고, 일 단에 제1 푸시 페이스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푸시 방향 전환부는, 제1 푸시 페이스와 제2 푸시 페이스의 각 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제2 회전체와 함께 솔리드 타입의 푸시 레버를 형성한 것일 수 있다.
푸시 방향 전환부는, 제1 푸시 페이스와 제2 푸시 페이스 사이의 저면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딩 도어를 열 때에는 도어가 푸시되는 푸시 기능이 발현되어 중량물인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이 용이하고 닫을 때에는 도어 프레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중량물인 슬라이딩 도어가 부드럽게 닫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도어의 레버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도어로부터 밀어내는 푸시 힘으로 전환하여 중량물인 슬라이딩 도어의 초기 움직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들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의 일 측 커버를 탈거 후 내부 측면을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 중 락핀과 제1 회전체와 승하강부재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락핀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 중 승하강부재가 제1 회전체를 따라 하강하여 락핀으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락핀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인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들의 결합 상태를 비스듬하게 바라본 것으로서, 푸시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인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들의 결합 상태를 케이스 측에서 바라본 측면도로서, 푸시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본 고안인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는 슬라이딩 도어가 열릴 때 적은 힘으로도 열릴 수 있도록 도어를 푸시하는 작용을 하고, 슬라이딩 도어가 닫힐 때 충격을 완화하여 부드럽게 닫힐 수 있도록 도어를 완충하는 작용을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들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의 일 측 커버를 탈거 후 내부 측면을 바라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로 덮힌 케이스(4) 내부에 푸시 및 완충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들이 배치되고, 락핀(10)의 일부가 케이스(4)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도어 스트라이커(도시되지 않음)에 락(rock)되거나 언락(unrock)되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케이스(4)는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를 통해 탄성 부재(710)와 푸시 바디(720)를 포함하는 도어 푸셔(70)가 승하강하며 도어를 푸시하거나 도어에 완충하도록 작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 구성들은,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락핀(10)은 회전에 의해 도어 스트라이커에 락되거나 언락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락핀(10)은 외측 제1 핀(110)과 내측 제2 핀(120)을 포함하고, 일 방향 회전에 의해 제1 핀(110)과 제2 핀(120) 사이에 위치하는 도어 스트라이커에 락(rock)되거나 타 방향 회전에 의해 제1 핀(110)과 제2 핀(120) 사이에서 도어 스트라이커가 이탈하여 언락(unrock)되고, 일 측에 걸림턱(130)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4)에는 락핀 회전축(4a)이 형성되어 있으며 락핀(10)에 형성된 축공에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외측 제1 핀(110)은 짧고 내측 제2 핀(120)은 길게 형성되어 도어 스트라이커를 사이에 두고 락되거나 제1, 2 핀(110, 120)이 회전에 의해 젖혀져 언락된다.
걸림턱(130)으로부터 승하강 부재(40)가 이탈되는 경우 락핀(10)이 회전하도록 토션 스프링(20)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4)에는 토션 스프링(20)의 일단이 거치되는 토션 스프링 걸림축(4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체(30)는, 중심에 레버(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도록 레버 장착공(310)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원주를 따라 비스듬하게 나선단(320)이 형성되며, 외주면의 일 측에 걸림 돌기(330)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레버를 회전시키는 회전 운동을 통해 회전하는 제1 회전체(30)는, 레버 장착공(310) 내부에 톱니를 형성하여 끼워진 손잡이 레버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손잡이 레버를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레버 장착공(310)의 내주면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나선단(320)은 외주면의 원주를 따라 단속적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승하강 부재(40)는, 제1 회전체(30)의 외주면 원주를 따라 나선단(320)에 걸림되도록 제1 회전체(30)에 삽입 장착되고, 제1 회전체(30)의 회전에 기반하여 나선단(320)에 가이드되어 승하강하며, 승강 시에 걸림턱(130)에 걸림되고 하강 시에 걸림턱(130)에서 이탈되는 구성이다. 즉 제1 회전체(30)가 회전하면 나선단(320)에 장착된 승하강 부재(40)가 승강 또는 하강하는데 이를 위해 승하강 부재(40) 내주면에도 사선의 나선단이 형성되고 제1 회전체(30)의 나선단(320)과 승하강 부재(40) 내주면의 나선단이 상호 정합되어 미끄러지면서 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하강 부재(40)는 일 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락핀(10)에 형성된 걸림턱(130)에 돌출부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도어 락(Door rock) 상태이고, 승하강 부재(40)가 하강하여 걸림턱(130)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는 도어 언락(Door unrock) 상태가 된다.
푸시 힘 전달 부재(50)는 락핀(10)의 일 측을 따라 배치되고, 제1 회전체(30)의 회전에 기반하여 걸림 돌기(330)에 걸림되어 직선운동하는 구성이다. 전술한 제1 회전체(30)의 걸림 돌기(330)가 회전하면서 푸시 힘 전달 부재(50)를 푸시하고, 푸시된 푸시 힘 전달 부재(50)는 락핀(10) 반대 편으로 소정 거리만큼 위치 이동이 이루어진다. 푸시 힘 전달 부재(50)는, 걸림 돌기(330)에 걸림되도록 돌기 걸림부(53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푸시 방향 전환부(60)는,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제2 회전체(610)와, 제2 회전체(610)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푸시 힘 전달 부재(50)에 의해 푸시되는 제1 푸시 페이스(620, Push Face)와, 제2 회전체(610)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제1 푸시 페이스(620)보다 더 길게 형성된 제2 푸시 페이스(630, Push Face)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푸시 힘을 회전 힘으로 충분히 전환하기 위해 제2 회전체(610), 제1 푸시 페이스(620), 제2 푸시 페이스(63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푸시 방향 전환부(60)는, 제1 푸시 페이스(620)와 제2 푸시 페이스(630)의 각 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제2 회전체(610)와 함께 솔리드 타입의 푸시 레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 푸셔(70)는, 제2 푸시 페이스(630)에 배치되고 승하강의 직선 운동으로 푸시 기능 및 완충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이다. 도어와 직접 맞닿는 부분은 보호 및 소음 방지를 위해 고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어 푸셔(70)는 푸시 바디(720)와 함께 탄성 부재(7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어 잠금장치의 동작 메커니즘
도 4는 본 고안인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 중 락핀과 제1 회전체와 승하강부재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락핀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 중 승하강부재가 제1 회전체를 따라 하강하여 락핀으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락핀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락 및 언락을 작용을 설명하면,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30)에 승하강 부재(40)의 돌출부가 맞물려 걸린상태에서는 락핀(10)의 제1 핀(110) 및 제2 핀(120) 사이에 도어 스트라이커가 걸림되어 락(rock) 상태가 된다. 레버 장착공(310)에 장착된 손잡이 레버가 회전하면 제1 회전체(30)의 나선단(320)을 따라 승하강 부재(40)가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하고 나선단(320)을 따라 하강한다.
결국,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부재(40)의 돌출부는 걸림턱(130)으로부터 이탈되고 토션 스프링(20)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된 락핀(10)이 상부로 젖혀지면서 도어 스트라이커로부터 언락(unrock)된다.
도 6은 본 고안인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들의 결합 상태를 비스듬하게 바라본 것으로서, 푸시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인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들의 결합 상태를 케이스 측에서 바라본 측면도로서, 푸시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푸시 및 완충 작용을 설명하면,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손잡이 레버를 회전하면 제1 회전체(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언락 상태가 된다. 다만 언락 상태가 되는 제1 회전체(30)의 제1 회전 각을 지나 손잡이 레버가 더 회전하여 제1 회전체(30)의 제2 회전 각에 이르면, 제1 회전체(30)의 걸림 돌기(330)는 푸시 힘 전달 부재(50)의 돌기 걸림부(530)를 밀치게 된다. 푸시 힘 전달 부재(50)는 걸림 돌기(3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아 락핀(10) 반대 편에 있는 도어 푸셔(70)로 푸시 힘을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푸시 힘 전달 부재(50)는 이동 방향으로 장공(52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공(520)에 의해 직선 운동이 가이드 될 수 있고, 접촉부(520)를 통해 푸시 방향 전환부(60)에 푸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접촉부(520)에 의해 밀쳐지는 제1 푸시 페이스(620)는 제2 회전체(610)와 가깝게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도어 푸셔(70)가 위치하는 지점의 제2 푸시 페이스(630)는 제2 회전체(610)와 멀리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제1 푸시 페이스(620)의 작은 움직임이 제2 푸시 페이스(630)의 큰 움직임을 유도하도록 작용한다. 이를 위해 제2 회전체(610)에 형성된 축공은 전술한 푸시 힘 전달부재(50)에 형성된 장공(510)과 겹쳐있고, 케이스(4)에는 장공(510)과 제2 회전체(610)를 관통하는 받침점으로서의 방향 전환부 회전축(4c)이 형성되어 있다.
결국, 제2 푸시 페이스(630) 상에 배치된 도어 푸셔(70)는, 제2 푸시 페이스(630)가 회전하면서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코일 스프링(640)은 압축된 상태에서 팽창하면서 도어 푸셔(70)의 승강을 돕도록 작용한다. 반대로 도어가 닫히는 경우에는 락핀(10)의 내측 제2 핀(120)이 도어에 걸리면서 젖혀지고 도어 푸셔(70) 또한 도어에 부딪히면서 케이스(4) 내부로 하강한다. 이 경우에 푸시 방향 전환부(60)와 푸시 힘 전달 부재(50), 제1 회전체(30)는 반대 방향의 운동을 하고, 코일 스프링(640)과 함께 도어의 완충 작용을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 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실용신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도어 잠금장치
4: 케이스
4a: 락핀 회전축
4b: 토션 스프링 걸림축
4c: 방향 전환부 회전축
5: 커버
10: 락핀
110: 외측 제1 핀
120: 내측 제2 핀
130: 걸림턱
20: 토션 스프링
30: 제1 회전체
310: 레버 장착공
320: 나선단
330: 걸림 돌기
40: 승하강 부재
50: 푸시 힘 전달 부재
510: 가이드 장공
520: 접촉부
530: 돌기 걸림부
60: 푸시 방향 전환부
610: 제2 회전체
620: 제1 푸시 페이스
630: 제2 푸시 페이스
640: 코일 스프링
70: 도어 푸셔
710: 탄성 부재
720: 푸시 바디

Claims (6)

  1. 외측 제1 핀과 내측 제2 핀을 포함하고, 일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핀과 상기 제2 핀 사이에 위치하는 도어 스트라이커에 락(rock)되거나 타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핀과 상기 제2 핀 사이에서 상기 도어 스트라이커가 이탈하여 언락(unrock)되고, 일 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락핀;
    중심에 레버가 장착되도록 레버 장착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원주를 따라 비스듬하게 나선단이 형성되며, 상기 외주면의 일 측에 걸림 돌기가 형성된 제1 회전체;
    상기 제1 회전체의 외주면 원주를 따라 상기 나선단에 걸림되도록 상기 제1 회전체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나선단에 가이드되어 승하강하며, 승강 시에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고 하강 시에 상기 걸림턱에서 이탈되는 승하강 부재;
    상기 락핀의 일 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림되어 직선운동하는 푸시 힘 전달 부재;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푸시 힘 전달 부재에 의해 푸시되는 제1 푸시 페이스(Push Face)와, 상기 제2 회전체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푸시 페이스보다 더 길게 형성된 제2 푸시 페이스(Push Face)를 포함하는 푸시 방향 전환부; 및
    상기 제2 푸시 페이스에 배치되고 승하강 운동하는 도어 푸셔를 포함하는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상기 승하강 부재가 이탈되는 경우 상기 락핀이 회전하도록 개재된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단은, 상기 제1 회전체의 제1 회전 각에서 상기 승하강 부재가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제1 회전체의 제2 회전 각에서 상기 푸시 힘 전달 부재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2 회전 각은 상기 제1 회전 각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힘 전달 부재는,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 중심축에 가이드되어 직선운동하도록 일 면에 상기 회전 중심축이 관통되는 가이드 장공이 형성되고, 일 단에 상기 제1 푸시 페이스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방향 전환부는, 상기 제1 푸시 페이스와 상기 제2 푸시 페이스의 각 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체와 함께 솔리드 타입의 푸시 레버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방향 전환부는, 상기 제1 푸시 페이스와 상기 제2 푸시 페이스 사이의 저면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KR2020210001811U 2021-06-10 2021-06-10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KR200494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811U KR200494392Y1 (ko) 2021-06-10 2021-06-10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811U KR200494392Y1 (ko) 2021-06-10 2021-06-10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392Y1 true KR200494392Y1 (ko) 2021-10-01

Family

ID=7807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811U KR200494392Y1 (ko) 2021-06-10 2021-06-10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39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762A (ko) * 2021-05-18 2021-06-07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도어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762A (ko) * 2021-05-18 2021-06-07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도어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6675B2 (en) Safety device for vehicle door handle
RU2624900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мыкания с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ой собачкой
US7832777B2 (en) Door lock assembly
KR101664565B1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US20090102206A1 (en) Device for preventing unlocking of door handle
CN108541288B (zh) 用于机动车辆的外部打开控件
CN110295807B (zh) 具有紧急机械解锁的打开控制装置
KR200461272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RU2447250C2 (ru) Защелка для дверного замка
KR10082882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크구조
KR200494392Y1 (ko) 도어 푸시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JP4368128B2 (ja) 引き戸用鎌錠
KR200479683Y1 (ko) 초기 개폐 기능을 갖는 미닫이문용 잠금장치
KR101667352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록
KR100895900B1 (ko) 회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95785Y1 (ko) 도어 푸셔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KR100600146B1 (ko) 차량 도어의 개방 방지 장치
KR102147046B1 (ko) 푸쉬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 잠금 장치
KR100448201B1 (ko) 자동차의 어퍼트레이 커버 잠금구조
KR100393016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2021154764A (ja) 車両ドア停止装置
JP4587141B2 (ja) 施解錠機構
KR102492726B1 (ko) 도어 스토퍼
JPH0710071U (ja) 遠隔操作式排水栓開閉装置
KR102623847B1 (ko) 댐핑기능을 갖춘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