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756B1 -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 Google Patents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756B1
KR102432756B1 KR1020220043145A KR20220043145A KR102432756B1 KR 102432756 B1 KR102432756 B1 KR 102432756B1 KR 1020220043145 A KR1020220043145 A KR 1020220043145A KR 20220043145 A KR20220043145 A KR 20220043145A KR 102432756 B1 KR102432756 B1 KR 10243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
coupling plate
pillar
coupling
connecting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주
Original Assignee
정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주 filed Critical 정길주
Priority to KR102022004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756B1/ko
Priority to KR1020220076934A priority patent/KR20230144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보와 장지간보를 연결하고 있는 모든 볼트와 결합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직접 기둥까지 전달함으로써 가장 안정적이고 견고한 구조인 기둥이 장지간보의 모멘트의 많은 부분을 감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의 모두 장지간보에 가해지던 하중을 기둥과 분산할 수 있게 되어 기존 사용하던 장지간보 보다 더 작은 H빔 또는 I빔을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건축물을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으면서 건축비용은 절감시킬 수 있고, 기존 보다 더 작은 H빔 또는 I빔을 사용함으로써 천정고가 높아져 결과적으로 건축물의 층고를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철골구조물 위에 콘크리트 슬라브를 설치한 이후에 더욱 커지는 하중에 의해 장지간보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지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REINFORCEMENT APPARATUS FOR STEEL BEAMS}
본 발명은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철골구조물에 있어 연결보와 장지간보를 연결하고 있는 볼트와 결합플레이트만 모두 가해지는 하중을 직접 기둥까지 전달하여 분산시킴으로써 안정적이고 견고한 상태로 장지간보를 지지하고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철골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주식 지상주차장이나 공장, 대형 물류창고같은 구조물들은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철골시설물은 지반에 철골, 주로 H빔 또는 I빔을 수직으로 시공하여 기둥을 형성하고 서로 인접한 기둥 사이에 역시 H빔 또는 I빔 철골로 이루어지는 장지간보를 수평으로 설치하게 된다.
이때 H빔과 I빔은 수직웨브를 중앙에 두고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플렌지와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플렌지가 일체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H빔 또는 I빔 기둥의 측면에 역시 H빔 또는 I빔으로 이루어지는 장지간보의 단부를 직접 연결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어서 대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장에서 미리 기둥(1)의 측면에 장지간보(3)를 맞대 쉽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보(2)를 용접하여 제작한 다음 현장에서 상기 연결보(2)의 단부에 장지간보(3)의 단부를 맞대고 결합플레이트(4)를 덧대 볼트(B)와 너트(N)로 체결함으로써 시공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철골구조물의 경우 하중(모멘트)가 가장 많이 작용하는 기둥과 장지간보의 단부분을 기준으로 설계하기 때문에 장지간보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짐으로 인해 비경제적이고 공사비를 절감시키며, 층고를 높일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도 2는 종래 철골구조물의 기둥과 장지간보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 장지간보가 기둥에 연결된 상태에서 화살표방향으로 수직의 하중이 작용할 때 장지간보와 기둥에는 그림과 같은 휨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장지간보 중에서 기둥에 가까운 구간(N)에 가장 큰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는데, 문제는 장지간보 중 가장 취약한 결합단부, 즉 연결보(2)와 연결된 장지간보의 단부가 이 부분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다시말해 장지간보의 자체 하중과 장지간보 위에 올려지는 모든 마감하중(철근 및 마감 모르타르, Access floor, 천장 등을 포함)을 결합단부를 연결하고 있는 결합플레이트와 볼트로 견뎌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한 상태가 되어 건축물의 안전에 위해가 될 뿐만 아니라, 장지간보를 필요보다 더 큰 H빔 또는 I빔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건축비용을 증가시키는 폐단을 갖는다.
특히 철골구조물 위에 콘크리트 슬라브를 설치한 이후에 더욱 커지는 하중에 의해 장지간보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개발된 바 없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54052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653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보와 장지간보를 연결하고 있는 모든 볼트와 결합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직접 기둥까지 전달함으로써 가장 안정적이고 견고한 구조인 기둥이 장지간보의 모멘트의 많은 부분을 감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의 모두 장지간보에 가해지던 하중을 기둥과 분산할 수 있게 되어 기존 사용하던 장지간보 보다 더 작은 H빔 또는 I빔을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건축물을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으면서 건축비용은 절감시킬 수 있고, 층고는 높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은, 기둥에 횡방향으로 용접된 연결보와, 상기 연결보의 단부에 단부를 맞대고 결합되는 장지간보와, 상기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해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웨브와 플랜지들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플레이트와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철골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되기 위한 상부결합플레이트와,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웨브의 양쪽면에 결합되기 위한 한쌍의 웨브결합플레이트와,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하부 플랜지에 결합되기 위한 하부결합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결합플레이트는 기둥의 일측면에 기둥의 길이방향으로 밀착되고 체결구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기둥결합판과 상기 기둥결합판의 하부로 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보와 장지간보 연결부의 상부 플랜지에 밀착되어 체결구에 의해 연결보와 장지간보를 함께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상부플랜지결합판과, 상기 기둥결합판과 상부플랜지결합판의 중간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용접됨으로써 상부플랜지결합판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웨브결합플레이트는 각각 기둥의 일측면에 기둥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밀착되고 체결구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기둥결합판과 상기 기둥결합판의 측면으로 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보와 장지간보 연결부의 웨브에 밀착되어 체결구에 의해 연결보와 장지간보를 함께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웨브결합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결합플레이트는 기둥의 일측면에 기둥의 길이방향으로 밀착되고 체결구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기둥결합판과 상기 기둥결합판의 상부로 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보와 장지간보 연결부의 하부 플랜지에 밀착되어 체결구에 의해 연결보와 장지간보를 함께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하부플랜지결합판과, 상기 기둥결합판과 하부플랜지결합판의 중간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용접됨으로써 하부플랜지결합판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결합플레이트의 기둥결합판과 상부플랜지결합판의 보강판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걸림부재들을 통공에 관통시켜 상기 걸림부재들이 보강판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연결보와 장지간보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슬라브 속에 보강판과 걸림부재들이 매몰되어 양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양생된 콘크리트 슬라브가 상기 연결보와 장지간보를 홀딩하여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연결보와 장지간보를 연결하고 있는 모든 볼트와 결합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직접 기둥까지 전달함으로써 가장 안정적이고 견고한 구조인 기둥이 장지간보의 모멘트의 많은 부분을 감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의 모두 장지간보에 가해지던 하중을 기둥과 분산할 수 있게 되어 기존 사용하던 장지간보 보다 더 작은 H빔 또는 I빔을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건축물을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으면서 건축비용은 절감시킬 수 있고, 기존 보다 더 작은 H빔 또는 I빔을 사용함으로써 천정고가 높아져 결과적으로 건축물의 층고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철골구조물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이후에는 장지간보에는 더 큰 하중이 걸리게 되는데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라브에 보강판과 걸림부재들이 매설된 상태로 양생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후에는 슬라브가 보강판과 걸림부재들을 홀딩하게 함으로써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철골구조물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철골구조물의 기둥과 장지간보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2 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4의 결합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 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은, 기둥(100)에 횡방향으로 용접된 연결보(200)와, 상기 연결보(200)의 단부에 단부를 맞대고 결합되는 장지간보(300)와, 상기 연결보(200)와 장지간보(300)의 단부, 즉 연결부(A)를 연결하기 위해 연결보(200)와 장지간보(300)의 웨브(210,310)와 플랜지(220,230,320,330)들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플레이트(400,500,600)와 체결구(700,800)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연결보(200)는 장지간보(300)를 현장에서 쉽게 기둥(100)에 연결할 수 있도록 공장에서 미리 결합된 상태로 제작된 상태이다.
상기 기둥(100)은 대개 건물의 기초 위에 대개 수직으로 세워지고, 장지간보(300)는 기둥(100)과 기둥(10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건물의 바닥이나 슬래브(C)를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기둥(100)과 장지간보(300)는 보통 H빔 또는 I빔을 사용한다.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연결보(200)와 장지간보(300)의 상부 플랜지(220,230)에 결합되기 위한 상부결합플레이트(600)와, 연결보(200)와 장지간보(300)의 웨브(210,310)의 양쪽면에 결합되기 위한 한쌍의 웨브결합플레이트(500)와, 연결보(200)와 장지간보(300)의 하부 플랜지(320,330)에 결합되기 위한 하부결합플레이트(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결합플레이트(600)는 기둥(100)의 일측면에 기둥(100)의 길이방향으로 밀착되고 체결구(700,800)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611)이 천공된 기둥결합판(610)과, 상기 기둥결합판(610)의 하부로 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보(200)와 장지간보(300) 연결부(A)의 상부 플랜지(220,230)에 밀착되어 체결구(700,800)에 의해 연결보(200)와 장지간보(300)를 함께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621)이 천공된 상부플랜지결합판(620)과, 기둥결합판(610)과 상부플랜지결합판(620)의 중간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용접됨으로써 상부플랜지결합판(62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판(6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쌍의 웨브결합플레이트(500)는 각각 기둥(100)의 일측면에 기둥(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밀착되고 체결구(700,800)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511)이 천공된 기둥결합판(510)과, 상기 기둥결합판(510)의 측면으로 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보(200)와 장지간보(300) 연결부(A)의 웨브(210,310)에 밀착되어 체결구(700,800)에 의해 연결보(200)와 장지간보(300)를 함께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521)이 천공된 웨브결합판(5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결합플레이트(400)는 기둥(100)의 일측면에 기둥(100)의 길이방향으로 밀착되고 체결구(700,800)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411)이 천공된 기둥결합판(410)과, 상기 기둥결합판(410)의 상부로 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보(200)와 장지간보(300) 연결부(A)의 하부 플랜지(320,330)에 밀착되어 체결구(700,800)에 의해 연결보(200)와 장지간보(300)를 함께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421)이 천공된 하부플랜지결합판(420)으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은 도 6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결합플레이트(600)의 보강판(630)에 다수개의 통공(631)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걸림부재(632)들을 통공(631)에 관통시켜 상기 걸림부재(632)들이 보강판(63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연결보(200)와 장지간보(300)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슬라브(C) 속에 보강판(630)과 걸림부재(632)들이 매몰되어 양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양생된 콘크리트 슬라브(C) 속의 걸림부재(632)가 연결보(200)와 장지간보(300)를 홀딩하여 연결보(200)와 장지간보(30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보강판은 웨브결합판(500)에도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또 결합플레이트(400,500,600)와 체결구(700,800)와의 결합을 위해 연결보(200)와 장지간보(300) 각각의 상부 플랜지(220,230)와 웨브(210,310), 하부 플랜지(320,330)에도 결합플레이트(400,500,600)의 통공(411,421,511,521,611,621)들에 대응하는 통공(211,221,231,311,321,331)들이 천공되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기둥
200: 연결보
300: 장지간보
400: 하부결합플레이트
500: 웨브결합플레이트
600: 상부결합플레이트
700: 볼트
800: 너트
A: 연결부

Claims (2)

  1. 기둥에 횡방향으로 용접된 연결보와, 상기 연결보의 단부에 단부를 맞대고 결합되는 장지간보와, 상기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해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웨브와 플랜지들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플레이트와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철골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되기 위한 상부결합플레이트와,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웨브의 양쪽면에 결합되기 위한 한쌍의 웨브결합플레이트와,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하부 플랜지에 결합되기 위한 하부결합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결합플레이트는 기둥의 일측면에 기둥의 길이방향으로 밀착되고 체결구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기둥결합판과 상기 기둥결합판의 하부로 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보와 장지간보 연결부의 상부 플랜지에 밀착되어 체결구에 의해 연결보와 장지간보를 함께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상부플랜지결합판과, 상기 기둥결합판과 상부플랜지결합판의 중간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용접됨으로써 상부플랜지결합판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웨브결합플레이트는 각각 기둥의 일측면에 기둥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밀착되고 체결구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기둥결합판과 상기 기둥결합판의 측면으로 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보와 장지간보 연결부의 웨브에 밀착되어 체결구에 의해 연결보와 장지간보를 함께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웨브결합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결합플레이트는 기둥의 일측면에 기둥의 길이방향으로 밀착되고 체결구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기둥결합판과 상기 기둥결합판의 상부로 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보와 장지간보 연결부의 하부 플랜지에 밀착되어 체결구에 의해 연결보와 장지간보를 함께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하부플랜지결합판과, 상기 기둥결합판과 하부플랜지결합판의 중간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용접됨으로써 하부플랜지결합판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결합플레이트의 기둥결합판과 상부플랜지결합판의 보강판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걸림부재들을 통공에 관통시켜 상기 걸림부재들이 보강판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연결보와 장지간보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슬라브 속에 보강판과 걸림부재들이 매몰되어 양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양생된 콘크리트 슬라브가 상기 연결보와 장지간보를 홀딩하여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2. 삭제
KR1020220043145A 2022-04-07 2022-04-07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KR10243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145A KR102432756B1 (ko) 2022-04-07 2022-04-07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KR1020220076934A KR20230144438A (ko) 2022-04-07 2022-06-23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145A KR102432756B1 (ko) 2022-04-07 2022-04-07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934A Division KR20230144438A (ko) 2022-04-07 2022-06-23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756B1 true KR102432756B1 (ko) 2022-08-12

Family

ID=828038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145A KR102432756B1 (ko) 2022-04-07 2022-04-07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KR1020220076934A KR20230144438A (ko) 2022-04-07 2022-06-23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934A KR20230144438A (ko) 2022-04-07 2022-06-23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27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664B1 (ko) * 2023-05-31 2024-02-13 박창도 무주공간을 위한 장지간 철골조의 결합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444A (ko) * 2002-08-30 2004-03-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골건축물의 기둥과 h형강 보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방법
KR20130017261A (ko) * 2011-08-10 2013-02-20 채일수 웨브에 주름이 형성된 용접빔 기둥과 서까래의 조립장치
JP2018071147A (ja) * 2016-10-27 2018-05-10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柱梁接合構造
KR20210077197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가우리안 기둥-보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444A (ko) * 2002-08-30 2004-03-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골건축물의 기둥과 h형강 보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방법
KR20130017261A (ko) * 2011-08-10 2013-02-20 채일수 웨브에 주름이 형성된 용접빔 기둥과 서까래의 조립장치
JP2018071147A (ja) * 2016-10-27 2018-05-10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柱梁接合構造
KR20210077197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가우리안 기둥-보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664B1 (ko) * 2023-05-31 2024-02-13 박창도 무주공간을 위한 장지간 철골조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438A (ko)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9890A (en) Space 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space frame structure
KR100882464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US6920724B1 (en) Bracket for a structural panel and a structural panel made with such a bracket
US20070193161A1 (en) Floor structure
US5809713A (en) Structural elements
US20100005749A1 (en) Steel building frame system
US20210025164A1 (en) Pre-stressed intersecting modular truss and concrete decking floor system
KR102432756B1 (ko)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US3890750A (en) Construction system
US5152112A (en) Composite gird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11411721A (zh) 一种装配式预制楼板次梁组合构件
KR0184558B1 (ko) 조립식 고가도로와 그 시공방법
KR102252648B1 (ko) 철골구조물용 빔의 조립구조
US3374592A (en) Precast column with shear-head sections
KR102433621B1 (ko)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AU2021106618A4 (en) Prop System
WO2019025928A1 (en) PRE-PRESET MODULAR FARM WITH INTERSECTIONS AND CONCRETE PLATE FLOOR SYSTEM
KR102435245B1 (ko)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KR19980026153A (ko) 건축물의 콘크리트기둥과 철골보 연결용 접합구조물
KR100581224B1 (ko) X형 까치발 기둥머리
JP2003049407A (ja) 橋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638379B1 (ko) 트러스거더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및 방법
JP2690868B2 (ja) 建物の鋼製基礎
JP200628331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を使用した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床板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1140222A (ja) コンクリート床版固定型枠用支保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