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529B1 - 방음판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방음판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529B1
KR102431529B1 KR1020210018067A KR20210018067A KR102431529B1 KR 102431529 B1 KR102431529 B1 KR 102431529B1 KR 1020210018067 A KR1020210018067 A KR 1020210018067A KR 20210018067 A KR20210018067 A KR 20210018067A KR 102431529 B1 KR102431529 B1 KR 102431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coupled
soundproofing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0149A (ko
Inventor
김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유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유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유니텍
Priority to KR1020210018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5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3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149A/ko
Priority to KR1020220078394A priority patent/KR102558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의 방음판을 이용하면서도 곡선형의 방음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방음판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인 방음판 가장자리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간단한 구조로 방음판을 경사지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방음판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음판용 프레임{A soundproofing plate frame}
본 발명은 평판형의 방음판을 이용하면서도 곡선형의 방음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방음판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인 방음판 가장자리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간단한 구조로 방음판을 경사지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방음판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지 및 주택가에 시공되어지는 고층건물은, 도로와 인접한 것이 통상적이고 이러한 인접도로에서 발생하는 차량의 소음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도로 내부의 소음을 차단 또는 흡수하기 위해 각종 차단벽 또는 흡음벽 등을 도로변에 설치하여 도로내부의 소음이 건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차단벽 또는 흡음벽은 그 설치 높이의 한계성으로 인하여 일정한 층고 이상부터는 도로 내부의 소음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고층건물이 밀집한 도심지 또는 주택가에는 터널형 방음시설이 적용되거나, 방음벽의 상단부를 곡선형으로 시공하고 있다.
도 1은 상단부가 곡선형으로 형성된 종래 방음벽을 나타낸 것으로써, 이는 도로를 따라서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에서 상부로 설치되는 빔(20)과 상기 빔(20) 사이에 설치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배열되는 방음유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방음유닛(100)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어 도로측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주택가로 전달되는 강도를 줄인다.
상기 빔(20)은 상단부가 곡선형태로 벤딩된 형상이고, 상기 방음유닛(100)은 평편한 사각형상이다.
도로에 인접한 부분에서 하부는 상기 방음유닛(100)이 서로 상하 직선형태로 설치되는 부분이고, 상부쪽으로 올라갈수록 상기 방음유닛(100)은 도로쪽으로 굽어지는 형태로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두 개의 방음유닛(100)이 접합되는 부분에는 홈(130)과 돌기(120)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방음유닛(100)이 곡선형으로 설치됨에 따라서 접합되는 부분에는 미세틈이 형성되어 체결구조가 불안전할 뿐만 아니라 소음이 정상적으로 차단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음벽 프레임이 한국특허등록 제10-1608441호에 개시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평판형의 방음판(50)의 상측이 끼워지는 제1 홈(11)이 형성된 상부프레임(10)과, 상기 방음판(50)의 하측이 끼워지는 제2 홈(21)이 형성된 하부프레임(20)과, 상기 방음판(50)의 측부가 끼워지며 곡선으로 휘어진 측부프레임(30,30')을 구비한다.
상기 측부프레임(30)은 곡선으로 휘어지며 중공의 메인프레임(31)과,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판(50)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과, 상기 지지프레임(32)의 단부와 이격되어 상기 방음판(50)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3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판(50)의 타면을 지지하는 곡선형의 커버프레임(33)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방음벽 프레임은 평판형의 방음판을 사용하면서 곡선으로 휘어지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곡선형의 방음벽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방음판(50)의 양측 가장자리가 결합되는 측부 프레임(30)이 메인프레임(31), 지지프레임(32) 및 커버프레임(33)으로 구성됨으로써 방음판(50)의 조립이 번거롭고 시공성이 떨어진다.
시공성 향상을 위해 상기 측부프레임(30')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메인프레임(31')의 측면에 채널형상의 결합프레임(34)을 볼트(미도시)로 결합시킨 구조이다.
즉, 곡선형상의 메인프레임(31')과 직선형상의 결합프레임(34)을 일체로 압출성형하기 어려우므로, 결합프레임(34)은 볼트(미도시)로 메인프레임(31')에 체결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측부프레임(31')은 볼트(343)의 헤드부가 방음판(50)의 가장자리와 접촉되게 되므로 방음판(50)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하부프레임(20)의 제2 홈(21)에는 방음판(50)의 하단부가 안착되게 되는데, 중량의 방음판(50)을 경사지게 결합시킬때 제2 홈(21)내에 정확하게 위치되어야 하며 또한 상부프레임(10)의 제1 홈(21)에 결합되는 방음판(50)의 상단부와도 제위치에 조립될 수 있도록 방음판(50)을 전후로 유동시키면서 조립하게 된다.
이때 중량의 방음판(50)을 작업자가 들어서 전후로 유동시키면서 조립하기가 번거롭고 조립을 위한 방음판(50)의 유동시 방음판(50)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하부프레임(20)과 마찰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세째, 상,하부 프레임의 제1 홈(11)과 제2 홈(21)이 사각홈으로 형성됨으로써, 방음판이 경사지게 기울져 결합될때 방음판의 단부가 사각홈의 모서리 부분에접촉시 쪼개짐과 같은 방음판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60844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평판형의 방음판을 이용하면서도 곡선형의 방음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방음판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음판을 프레임에 조립시 방음판의 양측 가장자리에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방음판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량의 방음판을 프레임에 경사지게 조립시 방음판이 회전 유동될 수 있도록 한 방음판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방음판용 프레임은,
평판형의 방음판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하면에 형성된 통형의 상부프레임과, 상기 방음판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홈이 상면에 형성된 통형의 하부프레임과, 상기 방음판의 측부 가장자리가 결합되며 곡선으로 휘어진 한쌍의 측부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결합홈은 상기 방음판이 결합되는 입구로부터 상부프레임의 내측으로 갈수로 폭이 증가되는 호형의 제1측면부와, 상기 제1측면부를 연결하며 상기 방음판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제1평면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은 상기 방음판이 결합되는 입구로부터 하부프레임의 내측으로 갈수로 폭이 증가되는 호형의 제2측면부와, 상기 제2측면부를 연결하며 상기 방음판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제2평면부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프레임의 측면에 경사지게 결합되고 상기 방음판의 측부 가장자리가 결합되는 직선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직선채널은 상기 측부프레임의 측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측면판과, 상기 한쌍의 측면판을 연결하며 상기 방음판의 하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볼트 및 볼트를 체결하는 체결도구가 진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중간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측면판의 상단부로부터 절곡된 연장판이 형성되어서, 상기 방음판과 직선채널의 경계부분에 실링부재의 도포면적이 확보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볼트가 바닥판의 중앙부분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제1노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관통공을 중간판의 중앙부분에 천공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제2노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홈은 내주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측면측 외주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음판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졸대를 구비하여서, 상기 졸대가 상기 제2결합홈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하고,
상기 졸대의 하면측 외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졸대의 평탄한 외면과 상기 제2결합홈 사이 공간에 그리스가 충진되는 충진홈이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상,하부프레임의 제1,2결합홈이 배럴(barrel)형상으로서 내부공간이 확보되고, 곡선형으로 휘어진 측부프레임에 직선채널을 구비함으로써, 방음판 상,하단부에서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평판형의 방음판을 이용하면서도 곡선형의 방음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둘째, 곡선형의 측부프레임에 고정되는 직선채널이 볼트에 의해서 측부프레임에 고정되는 바닥판과 방음판이 지지되는 중간판의 2단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볼트의 헤드부에 의한 방음판 가장자리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째, 직선채널의 제1노치홈에 의해서 볼트 선단의 조립 초기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어 신속한 체결을 가능하게 하며, 제2노치홈에 의해서 관통공을 중간판의 중심부에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네째, 하부프레임의 제2결합홈의 내주면을 원호형상으로 형성하고, 제2결합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방음판이 결합되는 졸대를 구비함으로써, 방음판의 하단부가 미세 회전유동하게 될때 졸대가 회전 유동되면서 방음판 하단부에서의 소음 및 손상을 방지할 수있게 한다.
다섯째, 졸대의 하면측 외면을 평탄하게 형성하여서, 졸대의 평탄한 하면측 외면과 제2결합홈 사이에 충진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그리스(grease)가 충진되도록 함으로써, 졸대가 보다 원활한 회전 유동을 하게 하여 조립성을 높인다.
도 1 종래 방음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발췌도,
도 3은 도 1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횡단면도,
도 5는 종래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프레임에 방음판이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상부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하부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측부프레임에 조립된 직선채널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하부프레임 부분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조립된 졸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방음판용 프레임은 평판형의 방음판을 이용하면서도 곡선형의 방음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방음판을 프레임에 조립시 방음판의 양측 가장자리에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중량의 방음판을 프레임에 경사지게 조립시 방음판이 회전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방음판용 프레임은 평판형의 방음판(10)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홈(21)이 하면에 형성된 통형의 상부프레임(20)과, 상기 방음판(10)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홈(31)이 상면에 형성된 통형의 하부프레임(30)과, 상기 방음판(10)의 측부 가장자리가 결합되며 곡선으로 휘어진 한쌍의 측부프레임(40)을 구비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결합홈(21)은 상기 방음판(10)이 결합되는 입구(21a)로부터 상부프레임(20)의 내측으로 갈수로 폭이 증가되는 호형의 제1측면부(21b)와, 상기 제1측면부(21b)를 연결하며 상기 방음판(10)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제1평면부(21c)로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2결합홈(31)은 상기 방음판(10)이 결합되는 입구(31a)로부터 하부프레임(30)의 내측으로 갈수로 폭이 증가되는 호형의 제2측면부(31b)와, 상기 제2측면부(31b)를 연결하며 상기 방음판(10)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제2평면부(31c)로 형성된다. 중량의 방음판(10)이 지지되는 상기 제2평면부(31c)에는 고무판(미도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음판용 프레임에 방음판(10)을 조립하는 공정은, 먼저 하부프레임(30)의 제2결합홈(31)에 방음판(10)의 하단부를 결합하여 경사지게 지지시킨 상태에서, 방음판(10)의 양측 가장자리에 한쌍의 측부프레임(40)을 결합시키고, 마지막으로 상부프레임(20)의 제1결합홈(21)을 방음판(10)의 상단부에 결합시킨다.
한편, 제1결합홈(21)과 제2결합홈(31)은 배럴(barrel)형상으로서 내부공간이 확보됨으로써 방음판(10)을 경사지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종래의 상,하부 프레임에는 방음판이 결합되는 홈이 사각홈으로 형성되어 모서리 부분에 방음판의 단부가 접촉시 쪼개짐과 같은 방음판의 손상이 발생되었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홈(21)과 제2결합홈(31)이 호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방음판(1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제1결합홈(21)과 제2결합홈(31) 내에서 슬립될때 가장자리에서의 쪼개짐과 같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8,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측부프레임(40)의 측면에 경사지게 결합되고 상기 방음판(10)의 측부 가장자리가 결합되는 직선채널(50)을 구비한다.
상기 직선채널(50)은 상기 측부프레임(40)의 측면에 볼트(60)로 고정되는 바닥판(51)과, 상기 바닥판(5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측면판(52)과, 상기 한쌍의 측면판(52)을 연결하며 상기 방음판(10)의 하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볼트(60) 및 볼트를 체결하는 체결도구가 진입되는 관통공(53b)이 형성된 중간판(53)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측면판(52)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된 연장판(54)이 형성되어서, 상기 방음판(10)과 직선채널(50)의 경계부분에 실링부재(70)의 도포면적이 확보되도록 하였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직선채널(50)의 바닥판(51)에는 상기 볼트(60)가 바닥판(51)의 중앙부분에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60) 단부의 초기 위치를 잡아주는 일정 깊이의 제1노치홈(51a)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53)에는 상기 관통공(53b)을 중간판(53)의 중앙부분에 천공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제2노치홈(53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직선채널(50)을 구비하는 프레임은 볼트(60)에 의해서 측부프레임(40)에 고정되는 바닥판(51)과 방음판(10)이 지지되는 중간판(53)의 2단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볼트(60)의 헤드부에 의한 방음판(10) 가장자리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노치홈(51a)에 의해서 볼트(60) 선단의 조립 초기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어 신속한 체결을 가능하게 하며, 제2노치홈(53a)에 의해서 관통공(53b)을 중간판(53)의 중심부에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이는 상기 제2결합홈(31)의 내주면을 원호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결합홈(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측면측 외주면(101)이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음판(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졸대(100)를 구비하여서, 상기 졸대(100)가 상기 제2결합홈(31)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졸대(100)의 하면측 외면(102)은 평탄하게 형성하여서, 상기 졸대(100)의 평탄한 하면측 외면(102)과 상기 제2결합홈(31) 사이에 충진홈(31d)이 형성되도록 하여 그리스(grease)가 충진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졸대(100)을 구비하는 프레임은, 중량의 방음판(10)을 하부프레임(30)의 제2결합홈(31)에 결합하여 지지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측부프레임(40)과 상부프레임(20)을 방음판(1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방음판(10)의 하단부가 미세 회전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졸대(100)가 회전 유동되면서 방음판(10) 하단부에서의 소음 및 손상을 방지할 수있게 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충진홈(31d)을 형성하여 그리스를 충진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회전 유동을 하게 하여 조립성을 높인다.
10...방음판 20...상부프레임
21...제1결합홈 30...하부프레임
31...제2결합홈 40...측부프레임
50...직선채널 60...볼트
70...실링부재 100...졸대

Claims (3)

  1. 평판형의 방음판(10)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홈(21)이 하면에 형성된 통형의 상부프레임(20)과, 상기 방음판(10)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홈(31)이 상면에 형성된 통형의 하부프레임(30)과, 상기 방음판(10)의 측부 가장자리가 결합되며 곡선으로 휘어진 한쌍의 측부프레임(40)을 구비하며,
    상기 제1결합홈(21)은 상기 방음판(10)이 결합되는 입구(21a)로부터 상부프레임(20)의 내측으로 갈수로 폭이 증가되는 호형의 제1측면부(21b)와, 상기 제1측면부(21b)를 연결하며 상기 방음판(10)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제1평면부(21c)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31)은 상기 방음판(10)이 결합되는 입구(31a)로부터 하부프레임(30)의 내측으로 갈수로 폭이 증가되는 호형의 제2측면부(31b)와, 상기 제2측면부(31b)를 연결하며 상기 방음판(10)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제2평면부(31c)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프레임(40)의 측면에 경사지게 결합되고 상기 방음판(10)의 측부 가장자리가 결합되는 직선채널(50)을 구비하며,
    상기 직선채널(50)은 상기 측부프레임(40)의 측면에 볼트(60)로 고정되는 바닥판(51)과, 상기 바닥판(5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측면판(52)과, 상기 한쌍의 측면판(52)을 연결하며 상기 방음판(10)의 하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볼트(60) 및 볼트를 체결하는 체결도구가 진입되는 관통공(53b)이 형성된 중간판(53)으로 형성되되,
    상기 각 측면판(52)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된 연장판(54)이 형성되어서, 상기 방음판(10)과 직선채널(50)의 경계부분에 실링부재(70)의 도포면적이 확보되도록 되고,
    상기 바닥판(51)에는 상기 볼트(60)가 바닥판(51)의 중앙부분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제1노치홈(51a)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53)에는 상기 관통공(53b)을 중간판(53)의 중앙부분에 천공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제2노치홈(53a)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홈(31)은 내주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측면측 외주면(101)이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음판(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졸대(100)를 구비하여서,
    상기 졸대(100)가 상기 제2결합홈(31)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하고,
    상기 졸대(100)의 하면측 외면(102)은 평탄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졸대(100)의 평탄한 하면측 외면(102)과 상기 제2결합홈(31) 사이에 충진홈(31d)이 형성되어 그리스가 충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용 프레임.
  2. 삭제
  3. 삭제
KR1020210018067A 2020-09-02 2021-02-09 방음판용 프레임 KR102431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67A KR102431529B1 (ko) 2020-09-02 2021-02-09 방음판용 프레임
KR1020220078394A KR102558729B1 (ko) 2020-09-02 2022-06-27 방음판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353A KR102231297B1 (ko) 2020-09-02 2020-09-02 방음판용 프레임 구조체
KR1020210018067A KR102431529B1 (ko) 2020-09-02 2021-02-09 방음판용 프레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353A Division KR102231297B1 (ko) 2020-09-02 2020-09-02 방음판용 프레임 구조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394A Division KR102558729B1 (ko) 2020-09-02 2022-06-27 방음판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149A KR20220030149A (ko) 2022-03-10
KR102431529B1 true KR102431529B1 (ko) 2022-08-11

Family

ID=7522372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353A KR102231297B1 (ko) 2020-09-02 2020-09-02 방음판용 프레임 구조체
KR1020210018067A KR102431529B1 (ko) 2020-09-02 2021-02-09 방음판용 프레임
KR1020220078394A KR102558729B1 (ko) 2020-09-02 2022-06-27 방음판용 프레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353A KR102231297B1 (ko) 2020-09-02 2020-09-02 방음판용 프레임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394A KR102558729B1 (ko) 2020-09-02 2022-06-27 방음판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312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430B1 (ko) * 2013-12-20 2014-11-03 김용현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KR101608441B1 (ko) * 2015-07-31 2016-04-04 주식회사 태건 방음벽 프레임
KR101859545B1 (ko) * 2017-09-18 2018-05-18 송윤석 회전 분리형 방음벽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681B1 (ko) * 2002-09-09 2005-09-28 매크로드 주식회사 방음벽용 방음판 결합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430B1 (ko) * 2013-12-20 2014-11-03 김용현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KR101608441B1 (ko) * 2015-07-31 2016-04-04 주식회사 태건 방음벽 프레임
KR101859545B1 (ko) * 2017-09-18 2018-05-18 송윤석 회전 분리형 방음벽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069A (ko) 2022-07-05
KR20220030149A (ko) 2022-03-10
KR102231297B1 (ko) 2021-03-23
KR102558729B1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345B1 (ko) 하중분산형 방음벽 및 이의 방음패널 교체방법
KR200475196Y1 (ko) 이동식 방음벽
KR102431529B1 (ko) 방음판용 프레임
JP6514214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支持装置
US3240297A (en) Corner construction
JP7202944B2 (ja) 手摺
JP3707542B2 (ja) 連設障子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4779419B2 (ja) 構造物
JP3612574B2 (ja) 市街地用の透光板付き低層遮音壁
KR101608441B1 (ko) 방음벽 프레임
KR100966234B1 (ko) 목재 방음벽 구조
KR100626679B1 (ko) 방음판넬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JP3170569B2 (ja) バルコニー構造、及び当該部分に設置される手すりユニット
KR102642610B1 (ko) 방음벽 지주 연결구조
JP3116755U (ja) 間仕切りパネル構造
KR102630113B1 (ko) 'ㄷ'자 브라켓이 구비된 난간용 기둥
KR102594889B1 (ko)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
KR102535946B1 (ko) 가변부를 포함하는 퍼즐방음판넬
JP7296228B2 (ja) 手摺
JP4424547B2 (ja) パネル体
KR102164152B1 (ko) 창문 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해주는 브라켓
JP6887273B2 (ja) 改修用建材
JP2022178062A (ja) 間仕切りにおける縦支柱構造
JP3026730B2 (ja) 家屋の外壁の構造
KR20210066266A (ko) 조립식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