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833B1 -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833B1
KR102430833B1 KR1020200141171A KR20200141171A KR102430833B1 KR 102430833 B1 KR102430833 B1 KR 102430833B1 KR 1020200141171 A KR1020200141171 A KR 1020200141171A KR 20200141171 A KR20200141171 A KR 20200141171A KR 102430833 B1 KR102430833 B1 KR 102430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payment platform
user terminal
simple payment
electronic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6510A (ko
Inventor
홍정우
Original Assignee
홍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우 filed Critical 홍정우
Priority to KR1020200141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83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식별코드 또는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식별코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전자명부 모드로 진입하여 간편결제 플랫폼 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결제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여 식별코드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식별코드가 생성된 후 스캔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전자명부 모드에서 결제 모드로 복귀하여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ACCESS CONTROL LIST SERVICE INTEGRATED EASY PAYMENT PLATFORM USING AUTO-REDIRECT}
본 발명은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간편결제 플랫폼 내에서 전자명부 또는 발신자명부 화면으로 자동전환되고 명부 작성이 완료되면 결제 모드로 자동복귀하는 통합 플랫폼을 제공한다.
한국은 코로나19 국내 확진자 발생 초기부터 전체 확진자의 수, 지역별 발생현황, 확진자의 이동경로 등을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하는 정책을 펼쳐 왔다. 이는 국민들이 코로나19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기초로 코로나19의 감염을 예방하고 그 확산의 방지에 적극 협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격자무늬 2차원 코드(QR코드) 기반 전자출입명부 시스템을 도입하고, 7월 1일부터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갔다. 이는 유흥시설 등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출입자 명부의 허위기재 및 정보 유출 우려가 있는 수기 기재의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방침에 따르면, 방역에 필요한 최소한의 개인정보인, 시설 이용자의 이름, 연락처, 시설명, 출입시간 등만 QR코드로 암호화 수집된다. 평상시에는 개인정보와 방문기록을 네이버(NAVER) 등과 사회보장정보원에 암호화하여 분산 보관되고 확진자 발생 등 필요할 때에만 결합하여 활용된다. 그리고 코로나19의 잠복기의 최대 2배인 4주 이후에는 개인정보가 자동 파기된다.
이때, QR 코드로 본인 확인 절차 및 신분증 제시 절차를 간소화시키는 시스템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9-0021571호(2019년03월06일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601636호(2016년03월10일 공고)에는, 외부 방문자에 대한 방문이력관리를 DB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QR 코드 관리서버에서 생성된 QR 코드가 태그될 때 출입을 허가하고 로그를 서버로 전송하는 구성과, 서비스의 예약 또는 결제시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본인 확인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신분증 제시 절차 없이 사용자 본인확인을 할 수 있어 간편하고 본인확인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며, 출입을 자유롭게 허용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사용자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으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출입명부 시스템은 전자명부를 기록할 때 필수로 설치되거나 이용되어야 하는 QR 코드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설치 또는 이용하지 않거나, 수기 명부를 제대로 작성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수기 명부를 통하여 이름과 전화번호를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유용 또는 유출시키거나, 수기 명부에 기재된 정보로 마음에 드는 이성에게 접근하여 문자나 전화를 보내는 등으로 불법행위로 이어지는 사례가 존재한다. 또, QR 코드 스캔을 위한 장치를 설치하지 않거나 수기 명부를 제대로 작성하지 않다가 적발될 경우 해당 업소 운영자는 벌금 300만 원을 부과받거나 사실상 영업금지에 해당하는 집합금지명령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식별코드를 결제 및 전자출입명부에 모두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접촉은 줄이면서도 개인정보의 유출이나 보안은 철저히 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지갑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 후 전자명부 또는 발신자명부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QR 코드와 같은 2차원 코드나 바코드와 같은 1차원 코드와 같은 식별코드를 출력하도록 하거나, 단축번호에 포함된 가맹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전화번호를 서버에 기록함으로써 발신자명부를 기재하도록 함으로써 QR 코드를 생성시킬 수 없거나 하기 어려운 계층까지 포용하도록 함으로써 수기 명부를 완전히 제거하고 개인정보유출의 가능성을 제로화시키며, 전자명부를 기록한 후에는 다시 결제를 위한 화면으로 자동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나 조작을 최소화하고 편의성을 높이면서 간편결제의 활용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는,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식별코드 또는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식별코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전자명부 모드로 진입하여 간편결제 플랫폼 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결제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여 식별코드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식별코드가 생성된 후 스캔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전자명부 모드에서 결제 모드로 복귀하여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전자지갑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 후 전자명부 또는 발신자명부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QR 코드와 같은 2차원 코드나 바코드와 같은 1차원 코드와 같은 식별코드를 출력하도록 하거나, 단축번호에 포함된 가맹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전화번호를 서버에 기록함으로써 발신자명부를 기재하도록 함으로써 QR 코드를 생성시킬 수 없거나 하기 어려운 계층까지 포용하도록 함으로써 수기 명부를 완전히 제거하고 개인정보유출의 가능성을 제로화시키며, 전자명부를 기록한 후에는 다시 결제를 위한 화면으로 자동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나 조작을 최소화하고 편의성을 높이면서 간편결제의 활용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자명부 모드로 QR 코드 등 2차원 바코드를 출력하거나, 발신자명부 모드로 호(Call) 발신을 함으로써 명부에 사용자의 방문을 기록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간편결제 플랫폼을 설치 또는 다운로드받은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갑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간편결제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감지 및 수집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고, 간편결제 플랫폼 상에 전자명부 모드 또는 발신자명부 모드를 출력함으로써 간편결제 플랫폼과 전자출입명부 플랫폼을 통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전자기록이 완료된 후에는 사용자 단말(100)은, 간편결제 플랫폼으로 회귀하도록 결제 모드로 자동복귀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간편결제 플랫폼은 각 결제 플랫폼을 제공하는 회사나 기업마다 서로 다른 플랫폼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결제를 위한 플랫폼을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명부를 작성한 후 간편결제 플랫폼으로 바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터치 또는 조작 횟수를 최대한 줄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므로 각 모드를 자동으로 진행 및 복귀하거나 활성화하는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간편결제 플랫폼까지 구동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간편결제 플랫폼 상에 명부작성을 위한 전자명부 모드 및 발신자명부 모드를 포함시켜 하나의 플랫폼 내에서 결제와 명부작성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전자명부 모드란 QR 코드와 같은 2차원 코드나 바코드와 같은 1차원 코드를 이용하여 집단감염 위험시설에 방문했다는 사실을 기록하도록 식별코드를 출력하는 모드이고, 발신자명부 모드란 QR 코드를 생성하는 것이 어렵거나 잘 모르고 불편한 계층을 위하여 집담감염 위험시설의 전화번호로 호 발신을 함으로써 발신자인 방문자(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서버에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방문명부를 작성하는 모드이다. 두 가지 모두 수기 명부를 작성하지 않고 비대면 및 비접촉을 원칙으로 하는 모드이다. 이때,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간편결제 플랫폼, 예를 들어 전자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경우, 전자명부 모드 또는 발신자명부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아이콘을 출력하고, 각 모드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되고, 방문기록이 확인된 경우 다시 간편결제 플랫폼으로 자동복귀하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GPS 또는 주소를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100)이 해당 GPS에 위치한 경우 간편결제 플랫폼의 화면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는 서버일 수도 있다.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사용자 단말(100)에서 지갑을 꺼내 신분증이나 카드를 제시하는 것보다 자신의 스마트폰을 꺼내 명부를 작성하고 결제를 하도록 하는 것을 더 선호하도록 사용자의 조작이나 터치를 최소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집담감염 위험시설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가맹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에 출력된 QR 코드나 바코드를 스캔하여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가맹점 단말(400)과 연동된 전화 단말(미도시)로 걸려온 발신번호, 즉 사용자 단말(100)의 전화번호와 걸려온 시간을 매핑하여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 가맹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의 간편결제 플랫폼에서 NFC, QR 코드, 바코드 등을 통하여 결제요청을 하는 경우, 이를 리딩 또는 스캔하여 결제 서버(미도시)로 전달하고 승인 결과를 수신하여 결제 여부에 따른 결과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출력부(310), 생성부(320), 복귀부(330), 발신자관리부(340), 위험시설부(350), 자동구동부(360), 자동로딩부(370), 자동입력부(380) 및 GPS 활성화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출력부(31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식별코드 또는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간편결제 플랫폼은 전자지갑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전자지갑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스마트 월렛(Smart Wallet) 또는 구글월렛과 같이 간편결제를 위하여 각 신용카드 등의 정보를 담은 애플리케이션이다. 스마트월렛은 신용카드, 상품권 및 멤버십 카드, 그리고 쿠폰 등을 편리하게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웰렛이다. 이는 다양한 제휴사의 멤버십 카드를 발급받고 실시간으로 포인트를 적립/조회/사용가능하다. 스마트월렛의 경우 결제는 해당 카드의 바코드를 읽히는 방법과 NFC를 이용하여 지불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또, 구글 월렛은 싱글 탭 NFC(Single Tapping NFC) 방식을 지원하며 신용카드/체크카드, 쿠폰을 제공하는 모바일 서비스이다.
각 사용자는 사용자 개인의 정보를 카드 발행 은행으로 전송하여 확인하는 작업을 거치고 TSM(Trusted Service Manager, Google의 경우 Frist Data에서 담당)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며, 시크릿 키(Secret key)를 통해 매번 구매 시, 사용자를 확인하고 NFC를 통하여 폰과 통신한다. 한국의 경우 사용을 위해 별도의 공인 인증서 발급의 절차가 필요했지만 최근 공인 인증서 외에도 기타 인증 체계를 허용함에 따라 서로 다른 인증서를 이용하는 것도 허용된다. 가입 시 카드 번호, 유효기간, CVC 보안코드 등의 카드 정보를 입력하고 싱글 탭으로 결제 절차가 진행되지만, 포인트 카드 혹은 추가 할인 혜택은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지 않으며 계산 시 따로 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NFC Single Tapping 방식은 구글월렛 뿐만 아니라 IDA-Pay 시스템 아키텍처에서도 마찬가지로 제안되고 있다. IDA-Pay 시스템의 카드 설정 통신 시나리오는, 사용자는 카드를 사용하기 전에 안드로이드를 통하여 카드의 정보를 입력하고 공용키와 PIN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한 후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카드를 등록한 후 실제 결제를 하는 경우에는 카드 등록 시나리오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카드를 결정하고 NFC를 통하여 결제를 진행하게 되면 SD카드에 미리 저장된 CCF를 이용하고 결제의 과정에서도 공용키와 PIN키를 이용하여 결제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직접 간편결제를 이용하는 것까지는 포함하지 않고 간편결제와 명부작성 간의 연동성만 제공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간편결제 프로세스를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님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 플랫폼은, 사용자가 다운로드 및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지갑 애플리케이션을 모아서 하나의 플랫폼 내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단순히 모아주는 개념을 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명부기록과 통합시키고 [명부기록 <-> 간편결제] 간 연동을 사용자의 조작이나 입력없이 최대한 자동화함으로써, 명부기록의 단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간편결제의 결제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지갑을 꺼내는 것을 사용자 단말(100)을 꺼내는 것보다 불편하게 만드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지갑을 꺼내서 신분증을 꺼내고 수기로 출입명부를 작성하고, 또 결제를 위해서 신용카드를 꺼내고 점원이 신용카드를 받아서 IC 리딩을 위해 단말기에 넣은 다음 다시 고객인 사용자에게 돌려주는 과정을 없애기 위한 것이다. 현재 간편결제가 출시된 지 오래되었으나 실제로 간편결제를 이용하여 결제를 하는 비율은 20%에도 미치지 못한다. 아직까지도 접촉이 발생해야만 결제를 하는 비율이 80%가 넘어간다는 의미인데, 수기작성과 결제를 위한 플랫폼을 통합시키는 경우 수기 명부를 허위로 작성하거나 접촉이 발생하거나 개인정보가 유출될 염려를 줄이면서도, 명부를 작성한 후 바로 결제 화면으로 자동복귀되므로 터치의 수를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시키면서도 타인과의 접촉은 제로화시킬 수 있다.
생성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식별코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전자명부 모드로 진입하여 간편결제 플랫폼 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결제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여 식별코드를 생성시킬 수 있다. 생성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식별코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전자명부 모드로 진입하여 간편결제 플랫폼 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결제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여 식별코드를 생성시킬 때, 사용자 단말(100)에서 식별코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식별코드 발급, 동의항목 체크 및 확인의 절차를 매크로 봇(Macro Bot)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네이버에서 진행하는 QR 체크인이라는 서비스는, 네이버에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등이 미리 저장되고 네이버에 ID 및 패스워드를 가진 사람이라는 것을 전제한다. 이에 더하여, QR 체크인이라는 메뉴를 클릭한 후, 개인정보수집/제공 동의를 누른 후, 연락처 인증을 위해 휴대폰인증을 받아 인증번호를 보기 위해 SMS로 간 다음 번호를 확인하여 6 자리 번호를 입력하고, 인증확인을 눌러야 비로소 QR 코드가 생성된다. 또, QR 코드가 생성되었다고 할지라도 QR 코드의 유효시간이 15초 밖에 안되서 줄을 서다가 유효시간을 도과해버린 경우 앞의 과정을 다시 실시해야 한다. 대부분 노인층이나 어린아이와 같이 각 단계를 빠르게 진행하지 못하거나 잘 안보이거나 각 과정이 어려운 계층에서는 QR 코드를 생성하지 못하고 다시 수기로 명부를 작성하게 된다.
수기 명부는 같은 펜을 다수가 함께 쓰고 종이에도 손이 접촉하기 때문에 취약계층에게는 더욱 위험해지는데, 역설적으로 취약계층이 QR 코드도 생성을 못하거나 어려워하기 때문에 수기 명부를 대부분 이용하게 된다. 또,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 계층일지라도 QR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롭고 외부에서는 더더욱 화면이 햇빛에 반사되어 잘 보이지도 않는데 조그만 화면 내에서 이것저것을 누르고 SMS를 봤다가 다시 인증을 해야 한다. 이때, 숫자가 하나라도 틀리거나 유효시간이 도과한 경우 다시 처음부터 진행해야 하는 과정이 너무나도 귀찮아서 수기 명부를 작성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QR 체크인 과정을 매크로 봇(Macro Bot)을 통하여 자동화시킨다. 이때, 매크로 프로그램은 단순/반복적 작업을 자동으로 프로그램화하여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로 통상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키보드 및 마우스 입력값, 입력순서 등의 작업을 사전에 입력하여 자동적, 반복적으로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컴퓨터를 이용한 단순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데 사용된다.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순/반복적 작업을 자동화하는 것 자체는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위하여 필요하기 때문에, 허용된 명령을 자동화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QR 체크인을 위하여 눌러야 하는 메뉴나 버튼의 좌표는 미리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320)는 네이버 등과 같이 QR 코드를 생성해주는 사이트를 영상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부(320)는, 사이트에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좌표값을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 크기 및 화면 배율에 대응하는 좌표값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하나의 사이트를 검색한다고 가정하면, 사이트를 이미지 스캔하고, 스캔된 이미지의 텍스트를 읽어들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박스(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좌표값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템플릿을 이용하여 박스 형태의 템플릿을 추출하고, 해당 템플릿의 좌표를 읽어들이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 크기 및 화면 배율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좌표값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단말의 화면 크기 및 화면 배율에 맞도록 좌표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생성부(320)는, 검색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미리 입력된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로그인을 실행한다. 그리고 난 다음, QR 체크인이라는 메뉴나 글자를 영상 인식 알고리즘 또는 텍스트 인식 알고리즘과 같은 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읽어내거나 텍스트 자체를 읽어내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좌표를 파악한 후, 해당 좌표에 대응하는 메뉴인 QR 체크인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그 다음 메뉴로 넘어간다. 그 다음 메뉴는 정보제공동의 버튼을 누르는 단계이므로, 마찬가지로 좌표를 미리 저장하고 있거나 영상 인식 알고리즘으로 버튼을 눌러야 하는 좌표를 인식하여 정보제공동의 버튼이 선택되도록 한다.
그 다음은 연락처 인증인데 이는 한 달에 한 번씩 수행되므로 매 회 수행되지 않아도 된다. 만약, 본인 휴대전화 인증 메뉴가 출력되면, 휴대전화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박스 상에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자기전화번호(본인 연락처)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박스 상에 자동입력한다. 그리고 난 후 확인 버튼이 출력된 좌표를 찾아 확인을 누르고, SMS 애플리케이션을 OS(Operating System)으로부터 호출하여 새로 온 문자로부터 괄호 내에 포함된 인증번호 6 자리를 자동으로 추출한 후,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박스 내에 인증번호 6 자리를 입력한다. 이 모든 과정이 완료되면 15 초간 QR 코드가 출력된다. 이때, QR 코드가 스캔되었다는 신호가 없는 경우 상술한 과정을 스캔 이벤트가 발생할 때가지 루프를 돌면서 계속하여 반복한다. 이 모든 과정은 매크로 봇을 통하여 수행되므로 사용자가 해야 할 일은 확인 버튼을 누르거나 간편결제 플랫폼을 실행하는 일 뿐이다. 간편결제 플랫폼을 수행하는 것도 이후에서 GPS 신호 기반으로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전자명부" 버튼을 클릭하는 것 외에는 할 일이 없어 조작이 간편해지고 QR 코드 생성이 어려운 노인 또는 어린이 계층도 손 쉽게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은 네이버의 QR 체크인에 맞춘 것이므로 만약 다른 기업이나 제휴된 회사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상술한 방법 및 프로세스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달라진 프로세스나 방법에 맞게 변형하여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매크로 봇으로 QR 코드 인식 과정을 정형화시키고, 각 박스 내에 입력되어야 하는 내용과 좌표 또 그 정보를 어디서 얻어내는지를 상술한 프로세스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맞게 과정이나 순서가 변경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할 것이며, 실시예에 따라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복귀부(330)는, 식별코드가 생성된 후 스캔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전자명부 모드에서 결제 모드로 복귀하여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지갑 애플리케이션, 즉 간편결제 플랫폼을 열고 전자명부 모드 또는 발신자명부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스캔이나 발신이 확인되는 경우 바로 간편결제 플랫폼으로 화면을 전환시켜준다. 이때, 자신이 사용하는 전자지갑을 선택하면 바로 결제가 가능하다. 이렇게 사용자가 터치하는 횟수를 최대한 줄여줌으로써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지갑을 꺼내는 것이 더 불편해지도록 함으로써 점차 스마트폰만으로도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간편결제의 결제비율은 늘리고 접촉횟수는 제로화시킬 수 있다.
발신자관리부(340)는, 출력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식별코드 또는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출력시킨 후, 사용자 단말(100)에서 발신자명부를 선택하는 경우, 발신자명부 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연락처에서 즐겨찾기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전화번호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발신자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전화번호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발신하고, 발신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발신자명부 모드에서 결제 모드로 복귀하여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즐겨찾기 리스트를 다이얼을 입력하는 상단에 좌우 스크롤 및 로테이션 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즐겨찾기 리스트를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자주 가지 않는 경우나 굳이 전화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용자는 이를 입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 설정된 주기, 패턴 및 빈도로 방문하는 시설에 대해서는 즐겨찾기 설정을 자동으로 할 수도 있다. 다만, 즐겨찾기를 하는 경우, 연락처의 가장 상 단에 해당 기업, 시설, 가게, 가맹점 등의 전화번호가 늘 노출되게 되므로 실제로 전화를 할 때마다 계속 보게 되어 귀찮을 수도 있으므로, 이렇게 설정된 즐겨찾기 목록은 평소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열 때에는 숨김처리되어 보이지 않도록 하고, 발신자명부 버튼을 클릭하여 다이얼 화면이 나왔을 때에만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매번 비지니스로 전화를 해야 하는 사람이 연락처를 검색할 때마다 헬스장 전화번호나 노래방 전화번호가 뜨는 것을 봐야 하는데, 이는 그렇게 유쾌하지도 않고 중요하지도 않은 정보를 계속 봐야하기 때문에 피로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위험시설부(350)는, 출력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식별코드 또는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출력시키기 이전에,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단말을 가맹점 단말로 저장하고,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주소, 시설명 및 전화번호를 가맹점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복귀부(330)는, 식별코드가 생성된 후 스캔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전자명부 모드에서 결제 모드로 복귀하여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시킬 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식별코드를 스캔하는 스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명부 모드를 결제 모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만약, 스캔 이벤트에 대한 신호를 얻지 못하는 경우, 즉 제휴가 되지 않아 그 신호를 가져올 수 없는 경우라면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바로 결제 모드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자동구동부(360)는, 출력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식별코드 또는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출력시키기 이전에,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주소에 대응하는 GPS와 사용자 단말(100)에서 감지된 GPS가 일치하는 경우 간편결제 플랫폼으로 자동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집단감염 위험시설로 정해진 시설은 이미 중대본에서 지정을 해두었는데, 각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주소, 상호명, 전화번호 등을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사용자 단말(100)에서 해당 주소의 GPS와 동일한 GPS를 출력하는 등 현재 사용자가 집단감염 위험시설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간편결제 플랫폼을 자동으로 구동시켜서, 사용자가 핸드폰을 켜고, 잠금을 해제하고, 간편결제 플랫폼을 찾고 구동시키는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는, 집단감염 위험시설에 비콘(Beacon)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비콘에 의해 반자동적으로 간편결제 플랫폼이 화면 상에 구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간편결제 플랫폼이 출력될 때 사용자 락(Lock)이 걸려있는 경우도 무시하고 해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간편결제 플랫폼을 이용하려고 할 때마다 락을 해제하려는데 지문을 인식해도 인식이 되지 않거나 패턴을 입력하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계속하여 몇 초마다 락을 해제하는 것도 불편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자동으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자신이 명부를 작성해야 할 곳에 방문했다는 것을 모를지라도 포어그라운드 모드(Foreground Mode)로 이미 간편결제 플랫폼이 활성화되어 명부를 작성하라는 버튼을 출력하고 있으므로 이후 명부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 사업자에게만 벌금을 물리는 것 뿐만 아니라, 각 개인에게도 그 책임을 물을 수 있고 명부작성 누락에 고의 또는 과실 여부를 파악할 때 좋은 증거로 이용될 수 있다.
자동로딩부(370)는, 출력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식별코드 또는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출력시키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 저장 및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간편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감지 및 수집하여 간편결제 플랫폼 상에 로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출시되어 공지된 지갑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미 한정이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iOS 또는 안드로이드 버전으로 나누어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해당 파일,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버전의 경우 .apk 파일이 설치되는 경우 .apk의 앞 파일명이 기 데이터베이스화된 파일명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본 발명의 간편결제 플랫폼, 예를 들어 모바일 지갑이나 스마트 월렛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각 .apk 파일을 직접 본 발명의 간편결제 플랫폼으로 옮겨오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간편결제 플랫폼의 아이콘과 실제 다운로드 및 설치된 .apk를 포인터(Pointer)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상으로 연동시켜주는 것도 가능하다. 자동로딩부(370)는 사용자가 어떠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을 파악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수집을 할 수도 있다.
자동입력부(380)는, 출력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식별코드 또는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출력시킨 후, 사용자 단말(100)에서 발신자명부를 선택하는 경우, 발신자명부 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GPS와 기 저장된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GPS를 비교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GPS와 일치하는 집담감염 위험시설의 전화번호를 사용자 단말(100)의 다이얼 입력화면에 자동으로 입력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자명부 아이콘은, QR 코드를 생성하는 것이 어렵거나 복잡하다고 느껴지는 사람들을 위한 아이콘이다. 그래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하면, 발신자표시로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뜨게 되고, 이를 서버 단(End)에서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방문자 기록을 남기는 방법이다. 이때, 눈이 잘 보이지 않거나 시력이 좋지 않은 노인층의 경우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전화를 거는 것조차 불편할 수 있다. 대부분 시장은 외부에서 햇볕이 비치는 곳인데, 눈이 침침한 상황에서 햇볕에 화면이 반사되어 잘 보이지도 않는데 전화번호를 입력하라는 것도 과한 요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입력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의 GPS가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GPS와 일치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발신자명부 모드를 선택한 경우, GPS가 일치한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전화번호를 사용자 단말(100)의 다이얼 화면 상에 자동으로 입력시켜 사용자는 발신버튼만 누르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자동입력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즐겨찾기로 해당 가게나 시설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경우, 즐겨찾기로 뜨는 목록에서 찾아서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집단감염 위험시설 중 하나가 헬스장과 같이 매일 가는 곳인데, 이렇게 매일 가는 곳에서 매일 전화를 걸고 하는 과정이 번거로울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XX 헬스장" - "XXXX-XXXX"와 같이 저장을 하고 즐겨찾기(별표)를 선택한 경우, 발신자명부를 선택하면 즐겨찾기 목록이 리스트업되면서 사용자는 이를 선택만 한 후 발신 버튼만 누르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GPS활성화부(390)는, 출력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식별코드 또는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출력시킨 후, 사용자 단말(100)의 GPS 기능을 턴 온(Turn on)시킬 수 있다. 이는 이후 자동으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시키거나 전화번호를 자동입력하기 위해 턴 온을 시키는 것인데, 만약 한 건물 내에 다수의 집단감염 위험시설이 내재된 경우에는 GPS는 XY 좌표를 기준으로 하고 Z 축, 즉 고도는 측정하지 않으므로 고층건물인 경우 다수의 전화번호가 뜰 수도 있다. 이에 따라, GPS활성화부(390)는 GPS를 턴 온시키면서 WIFI나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엑세스 포인트 등을 함께 활성화시키고, WIFI 목록이 뜨는 경우 가장 세기가 센 WIFI의 이름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어느 시설에 위치해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A 사용자가 B 커피숍에 위치해있고, B 커피숍 위에는 D 커피숍, 그 위에는 E 커피숍이 있다고 가정하면, 현재 A 사용자가 WIFI를 켠 경우 A 사용자에게 가장 센 신호가 잡히는 WIFI는 A 커피숍의 WIFI이다. 대부분 가게나 시설의 WIFI는 자신의 상호명을 WIFI 이름에 넣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가장 센 강도의 WIFI의 이름을 선택하여 현재 사용자 A가 B 커피숍에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추정일 뿐이므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목록을 제시해줄 수도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인인증 및 비대면적 발열검사를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되도록, 발열을 체크할 수 있는 열화상 카메라 및 얼굴인식을 위한 카메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QR 코드를 이용한 1차적인 본인인증단계와 K-NN 알고리즘 모델을 적용한 얼굴인식으로 2차적인 본인인증으로 확실한 본인인증과 비 대면식 발열검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발열검사에 사용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출입인원 추적관리와 CCTV를 활용한 확진자 인접 인원 모니터링 방법을 더 부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장시 각 가맹점 단말(400)은, QR 코드의 데이터와 입장시 사진과 체온을 수집해 FTP 서버(미도시)를 이용해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보내고, 본 발명의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는 1 차적으로 QR 코드 정보와 DB정보의 일치를 확인하고 2 차적으로는 사진으로 분류한 얼굴인식 데이터와 QR 코드 데이터를 비교해 출입관리 및 통제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출입관리를 통하여 DB에 저장이 된 인원의 데이터는 웹에서 추적관리가 가능하게 진행할 수 있다.
<KNN 알고리즘>
안면 인식을 위하여 KNN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는데, 얼굴인식에는 조명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 분류가 다르게 진행이 될 수 있어 얼굴 특징값 추출을 먼저 진행 후 KNN알고리즘을 통하여 분류를 진행할 수 있다. 그 다음 모델링 단계에서는, QR 코드로 수신된 개인정보와 카메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얼굴값과 라벨 데이터를 학습시킬수 있다. KNN 모델 학습시에는 가중치(Weights)를 거리(Distance)로 주어 거리가 가까울수록 유사하도록 가중치를 줄 수 있다. 또한, k의 값은 유클리드 거리 정의로 데이터 셋이 추가되어도 오차가 최소화 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훈련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로 나누어 데이터셋을 훈련하고 테스트하는 모델링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발열검사 진행 후 입출인원 추적관리를 시각화할 수 있는데, 이름, 입출시간, 검색시간 범위의 검색을 통하여 인원검색이 가능하고 해당 인원들에 관하여 SMS를 통하여 방역지시를 내릴 수 있다. 또한, 모델을 활용하여 CCTV로 확진자 인접 인원의 신원정보를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상호, 위치, 주소 및 전화번호를 등록받을 수도 있고, 또는 집단감염 위험시설로 알려진 공공 API나 공공 데이터를 수집하여 집단감염 위험시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그리고 나서, (b)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고 QR 코드 버튼 또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전자명부 모드로 진입하고, 가맹점 단말(400)에서 QR 코드를 스캔한 경우, (c) 해당 가맹점에 사용자의 방문기록이 등록된 것을 확인하면 다시 간편결제 플랫폼으로 자동복귀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d)와 같이 간편결제 플랫폼 상에 발신자명부 아이콘 또는 버튼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는, 결제 모드에서 발신자명부 모드로 전환되고, 방문한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전화번호가 다이얼 화면에서 입력된 경우,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도 3b의 (a)와 같이 호 발신을 할 때까지 기다리다가, 사용자 A가 방문한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전화 단말(미도시)에서 사용자 A의 발신번호를 수집한 경우, (b)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을 다시 결제 모드로 복귀시켜 결제를 할 지갑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으로 돌려놓는다.
또, (c)와 같이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GPS 위치와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GPS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터치나 조작을 하는 횟수를 최소화시키고, (d) 그 다음에는 전자명부 모드나 발신자명부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방문 체크(체크인)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출입명부를 작성하는 방법들이다.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방법의 조합이나 변형 또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각 결제수단을 모아놓은 간편결제 플랫폼에서 모바일 아이디(Mobile ID) 버튼을 누르는 경우 사용자의 전화번호, 이름 등 수집대상이 되는 개인정보를 암호화한 1 차 식별코드나 2 차 식별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더 나아간 것이 도 4b 또는 도 4c인데, 도 4b는 전자명부 모드, 즉 QR 코드 버튼을 선택했을 때, QR 코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각 과정을 매크로 봇으로 진행함으로써 자동 좌표 인식 및 박스 내 정보 입력 과정을 완전히 자동화하고, 다시 결제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도 4c는 발신자명부 모드, 즉 발신자명부 버튼 또는 아이콘을 선택했을 때 즐겨찾기 목록을 제시해줌으로써 빠르게 연락처를 기입하고 호 발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완료된 경우 다시 결제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GPS 기반으로 연락처를 다이얼 화면에서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식별코드 또는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출력시킨다(S5100).
이때,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식별코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전자명부 모드로 진입하여 간편결제 플랫폼 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결제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여 식별코드를 생성시킨다(S5200).
그리고,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식별코드가 생성된 후 스캔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전자명부 모드에서 결제 모드로 복귀하여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시킨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단말을 가맹점 단말로 저장하고, 상기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주소, 시설명 및 전화번호를 상기 가맹점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식별코드 또는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식별코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전자명부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간편결제 플랫폼 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결제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여 식별코드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식별코드가 생성된 후 스캔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자명부 모드에서 결제 모드로 복귀하여 상기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코드가 생성된 후 스캔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자명부 모드에서 결제 모드로 복귀하여 상기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코드를 스캔하는 스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자명부 모드를 결제 모드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
  2.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단말을 가맹점 단말로 저장하고, 상기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주소, 시설명 및 전화번호를 상기 가맹점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식별코드 또는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발신자명부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연락처에서 즐겨찾기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전화번호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전화번호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발신하고, 발신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발신자명부 모드에서 결제 모드로 복귀하여 상기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식별코드 또는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주소에 대응하는 GPS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감지된 GPS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간편결제 플랫폼으로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식별코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전자명부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간편결제 플랫폼 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결제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여 식별코드를 생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식별코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식별코드 발급, 동의항목 체크 및 확인의 절차를 매크로 봇(Macro Bot)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식별코드 또는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 및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간편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감지 및 수집하여 상기 간편결제 플랫폼 상에 로딩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식별코드 또는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발신자명부를 선택하는 경우, 발신자명부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와 기 저장된 집단감염 위험시설의 GPS를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와 일치하는 집담감염 위험시설의 전화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다이얼 입력화면에 자동으로 입력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간편결제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식별코드 또는 발신자명부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기능을 턴 온(Turn on)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KR1020200141171A 2020-10-28 2020-10-28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30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171A KR102430833B1 (ko) 2020-10-28 2020-10-28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171A KR102430833B1 (ko) 2020-10-28 2020-10-28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510A KR20220056510A (ko) 2022-05-06
KR102430833B1 true KR102430833B1 (ko) 2022-08-09

Family

ID=8158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171A KR102430833B1 (ko) 2020-10-28 2020-10-28 간편결제 플랫폼과 자동연결로 통합된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8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5862A (ja) * 2012-03-27 2013-10-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本人確認システム、本人確認手段、本人確認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601636B1 (ko) * 2015-06-18 2016-03-10 주식회사 렛츠온 Qr 코드를 이용한 본인확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224A (ko) * 2015-12-29 2017-07-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모바일 전자 지갑을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5862A (ja) * 2012-03-27 2013-10-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本人確認システム、本人確認手段、本人確認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601636B1 (ko) * 2015-06-18 2016-03-10 주식회사 렛츠온 Qr 코드를 이용한 본인확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510A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3585B2 (en) Token identity devices
US11129018B2 (en) Payment means operation suppor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107692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generation of URL by smart card
KR102461042B1 (ko)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9241463B (zh) 文档的智能呈现
JP5655246B2 (ja) モバイル認証代行システム及びモバイル認証代行方法
US10037082B2 (en) Physical interaction dependent transactions
EP31420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ayment
US20180103341A1 (en) System for location based authentication
CN113630380B (zh) 用于支付服务的卡片注册方法和实施该方法的移动电子设备
US10504111B2 (en) Secure mobile device transactions
CN107665426A (zh) 使用生物特征认证进行支付的方法和电子设备
CN107408251A (zh) 提供电子支付功能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US201600195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and settlement using barcode
US20140214670A1 (en) Method for verifying a consumer&#39;s identity within a consumer/merchant transaction
CN105229596A (zh) 高级验证技术和应用
CN107067250A (zh) 用于执行支付的方法和装置
US10861004B2 (en) One use wearable
RU2724351C2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доступ к электронному бумажнику
JP2008234422A (ja) ラリーゲームシステム
US20100024025A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server device
US20190347441A1 (en) Patient privacy de-identification in firewall switches forming VLAN segregation
KR102607791B1 (ko) 거래 이력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262586B1 (en) Payment means operation suppor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102632841B1 (ko) 복수의 결제들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