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042B1 -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042B1
KR102461042B1 KR1020150179430A KR20150179430A KR102461042B1 KR 102461042 B1 KR102461042 B1 KR 102461042B1 KR 1020150179430 A KR1020150179430 A KR 1020150179430A KR 20150179430 A KR20150179430 A KR 20150179430A KR 102461042 B1 KR102461042 B1 KR 102461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electronic device
module
car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9464A (ko
Inventor
오세아
김한나
박미연
박용만
서유비
서화연
유병인
노병탁
윤석현
이요한
제성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AU2016216833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6216833B2/en
Priority to PCT/KR2016/001233 priority patent/WO2016129863A1/en
Priority to EP16155258.3A priority patent/EP3057047B1/en
Priority to US15/042,671 priority patent/US11182769B2/en
Priority to CN201610084771.2A priority patent/CN105894268B/zh
Publication of KR20160099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1Virtual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NFC 방식의 결제 정보와 MST 방식의 결제 정보, 지문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 메모리, 지문 센싱을 통해 획득된 지문 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NFC 방식과 상기 MST 방식의 복합 결제 운용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NFC 방식 운용에 따른 신호 처리 화면과 상기 MST 방식 운용에 따른 신호 처리 화면을 하나의 화면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Paymen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다양한 실시 예는 결제 처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특정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해당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 전자 장치는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웹 사이트가 제공하는 화면을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비용 결제를 처리할 수 있는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NFC 방식의 결제 정보와 MST 방식의 결제 정보, 지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지문 센싱을 통해 획득된 지문 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NFC 방식과 상기 MST 방식의 복합 결제 운용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NFC 방식 운용에 따른 신호 처리 화면과 상기 MST 방식 운용에 따른 신호 처리 화면을 하나의 화면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처리 방법은 지문 센싱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지문 센싱을 통해 획득된 지문 정보가 유효한 경우 NFC 방식 운용에 따른 신호 처리 화면과 상기 MST 방식 운용에 따른 신호 처리 화면을 하나의 화면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복합적인 결제 방식을 운용함으로써 결제 요청 기기의 특성에 관계없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한 결제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처리 환경을 나타낸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듈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NFC 방식 결제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MST 방식 결제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바코드 방식 결제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처리 방식 중 핸드 오버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카드 검색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결제 완료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NFC 방식 및 MST 방식 지원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바코드 방식 운용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복합 결제 운용 재수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핸드 오버 기능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수행과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토큰 유효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토큰 유효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다른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MST 신호 처리와 관련한 도면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잔량과 관련한 결제 처리 화면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선택과 관련한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선택과 관련한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하는 블럭도(1800)이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901)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201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운용되는 REE 및 TEE를 도시하는 블럭도(2100)이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TEE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하는 블럭도(2200)다.
도 2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2300)을 도시한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럭도(2400)이다.
도 2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6a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MST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다른 무선 근거리 통신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내부의 H/W 블록도의 한 예이다.
도 2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MST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다른 무선 근거리 통신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내부의 H/W 블록도의 다른 한 예이다.
도 26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MST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다른 무선 근거리 통신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내부의 H/W 블록도의 또 다른 한 예이다.
도 2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실행 환경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8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결제 유저 인터페이스(2800)를 도시한다.
도 2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토큰 크립토그램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3000)을 도시한다.
도 3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토큰 결제의 흐름도(3100)를 도시한다.
도 3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동작(3200)을 도시한다.
도 33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토큰 발급 동작에 대한 흐름도(3300)를 도시한다.
도 33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 토큰 발급 동작에 대한 흐름도(3310)를 도시한다.
도 33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 3 토큰 발급 동작에 대한 흐름도(3320)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 (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처리 환경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결제 처리 환경 10은 전자 장치 100 및 결제 처리 장치 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결제 처리 환경 10에 있어서, 전자 장치 100(예: 결제 정보 제공 장치)은 MST(magnetic security transmit) 방식과 NFC 방식 또는 바코드 방식을 복합적으로 운용하여 결제 처리 장치 200의 결제 처리 방식과 관계없이 결제 정보를 결제 처리 장치 200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은 MST 방식과 NFC 방식에 필요한 신호 송출을 교번적으로 처리함으로써 MST 수신 방식을 지원하는 결제 처리 장치 또는 NFC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결제 처리 장치에 관계없이 결제 정보를 결제 처리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 100은 NFC 폴링 싸이클(Polling cycle)을 고려하여 NFC 방식 운용 후 MST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 100은 센서를 활용하여 MST 신호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은 MST 방식과 NFC 방식에 필요한 신호 송출을 교번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또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바코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 100은 또는 MST 방식과 NFC 방식의 운용을 일시 중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바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또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은 결제 정보 제공 동작에서 화면 잠금 상태에 해당하는 핸드 오버 기능(또는 전자 장치의 다른 기능으로의 전환을 억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 100이 타 사용자에게 인도되더라도 타인에 의한 전자 장치 100의 다른 기능(예: 갤러리 기능, 통화 기능 등)으로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처리 장치 200은 예컨대, 전자 장치 100과 NFC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NFC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는 결제 처리 장치 200은 예컨대, 전자 장치 100이 송출하는 MST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MST 수신 모듈을 포함한 장치일 수 있다. 또는 결제 처리 장치 200은 전자 장치 10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스캐너를 포함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결제 처리 장치 200은 전자 장치 100이 상술한 MST 방식, NFC 방식 또는 바코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전달한 결제 정보를 지정된 서버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처리 장치 200은 지정된 서버 장치로부터 해당 결제 정보에 대한 승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결제 처리 장치 200은 승인 정보 수신 시 운용되는 통신 방식에 따라 승인 정보 처리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결제 처리 장치 200은 NFC 방식을 운용하는 장치이면, 승인 정보를 전자 장치 100에 전송할 수 있다. 결제 처리 장치 200은 MST 방식 또는 바코드 방식을 운용하는 장치인 경우, 결제 완료를 안내하는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예: 결제 완료 알림음) 또는 진동, 램프 점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지정된 서버 장치는 결제 승인 정보를 전자 장치 100에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결제 처리 장치 200은 결제 처리와 관련하여 상술한 NFC 통신 모듈, MST 수신 모듈, 바코드 스캐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처리 장치 200은 결제 처리와 관련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처리 장치 200은 지정된 서버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처리 장치 200은 결제 처리와 관련한 정보 처리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 100은 버스 110, 제어 모듈 120, 메모리 130,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디스플레이 150, NFC 칩 161, MST 코일 163, 보안 메모리 165, 통신 인터페이스 170, 센서부 190 및 카메라 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110은, 예를 들면, 상기 구성요소들 120-190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버스 110은 결제 관련 입력 이벤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또는 디스플레이 150의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버스 110은 수신된 결제 관련 입력 이벤트를 제어 모듈 120에 전달할 수 있다. 버스 110은 결제 처리와 관련하여 상기 구성 요소들의 활성화 또는 결제 처리와 관련한 기능 실행 등에 필요한 신호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 120은 전자 장치 100 운용과 관련한 신호의 전달과 처리 또는 데이터의 읽기와 저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모듈 12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CPU),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라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한 NFC 방식 및 MST 방식의 복합 결제 방식 운용을 준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는 입력 이벤트 또는 지정된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바코드 방식의 운용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운용 준비는 예컨대, NFC 칩 161을 활성화하여 외부로부터의 NFC 검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용 준비는 예컨대 센서부 190을 운용하여 MST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상태인지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용 준비는 카메라 180을 이용하여 지정된 물체의 접근을 기반으로 바코드를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해야 하는 상황인지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 130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커널,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널, 미들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이라고 불릴 수 있다.
상기 커널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 110,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은 상기 미들웨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전자 장치 1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는,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커널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 100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 110, 프로세서(또는 제어 모듈 120), 또는 메모리 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커널 또는 상기 미들웨어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 (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 100 운용을 통해 사용자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관련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지정된 아이콘 또는 메뉴 항목 선택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또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결제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활성화될 수도 있다.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결제 처리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 처리 요청, 지문 인증과 관련한 인터페이스 처리 요청, 지문 인증에 따른 NFC 방식 및 MST 방식, 바코드 방식의 운용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이 발생하면,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커널에서 필요한 처리가 프로세서(또는 제어 모듈 12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 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상기 전자 장치 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물리 버튼 또는 터치 버튼이나 터치 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전자펜 등에 의한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오디오 신호의 처리를 수행하는 오디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는 지정된 고주파 신호의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수집 장치에 포함되는 마이크는 지정된 고주파 신호의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장치의 고주파 신호 출력 기능과 고주파 신호의 수집 기능은 MST 방식 운용과 관련하여 주변 마그내틱 리더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결제 처리와 관련하여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150은 NFC 방식 운용과 관련한 신호 처리 화면 및 MST 방식 운용과 관련한 신호 처리 화면을 포함하는 하나의 복합 결제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는 바코드 전환을 수행하는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코드 전환을 수행하는 객체 선택 시,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바코드 객체가 표시된 바코드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바코드 화면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합 결제 화면 인터페이스 전환을 수행하는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가상 카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150은 지문 인증을 안내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150은 NFC 방식 또는 MST 방식의 운용을 위해 필요한 비주얼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150은 결제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150은 결제 완료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은 결제 완료를 안내하는 지정된 비디오 데이터, 결제 완료를 안내하는 안내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100은 결제 진행 중 상태와 결제 완료 상태 또는 결제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진동 패턴 또는 램프 점멸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NFC 칩 161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칩일 수 있다. NFC 칩 161은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의 제어에 대응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NFC 칩 161은 외부로부터 지정된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지정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NFC 칩 161은 보안 메모리 165에 저장된 결제 정보를 제어 모듈 120의 제어에 대응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NFC 칩 161은 결제 정보 전송 후 결제 완료에 대한 메시지를 외부 장치(예: 결제 처리 장치 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MST 코일 163은 MST 신호 송출을 위한 코일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MST 코일 163은 전자 장치 100의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예: 하우징 내측 일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MST 코일 163은 전자 장치 100의 배터리 커버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MST 코일 163은 전자 장치 100의 백 커버 또는 리어 커버 등에 패터닝되어 배치될 수 있다. MST 코일 163은 커버 등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경우 하우징 일측에는 제어 모듈 120과 연결되는 접점이 배치될 수 있다. MST 코일 163은 보안 메모리 165에 저장된 지정된 보안 정보를 제어 모듈 120의 제어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보안 메모리 165는 전자 장치 100의 결제 처리와 관련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보안 메모리 165는 예컨대, eUICC(embedded UICC) 또는 eSE(embedded Security Element) 등 다양한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메모리 165는 NFC 칩 161을 통해 전송되는 결제 정보(예: 적어도 하나의 가상 카드 정보) 또는 MST 코일 163을 통해 전송되는 결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메모리 165는 바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NFC 칩 161을 통해 전송되는 결제 정보와 MST 코일 163을 통해 전송되는 결제 정보는 동일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제 정보는 가상 카드에 기록된 신용 정보(예: 결제 사용자의 ID 정보, 가상 카드 정보, 전자 장치 100의 연락처 정보, 사용자의 주소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정보는 예컨대 토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큰 정보는 유효성 체크와 관련한 시간 정보 또는 카운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정보를 포함한 토큰 정보는 해당 시간 정보가 경과되면 유효성을 상실할 수 있다. 카운트 정보를 포함한 토큰 정보는 해당 카운트 정보를 초과하면 유효성을 상실할 수 있다. 유효성을 상실한 토큰 정보는 더 이상 운용될 수 없으며, 전자 장치 100은 토큰 정보가 유효성을 상실한 경우 갱신을 요구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 100은 새로운 토큰 정보 교체를 요구할 수 있다.
결제 완료에 따라 수집된 결제 완료 정보는 지정된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완료 정보는 설정에 따라 보안 메모리 165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결제 완료 정보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메모리 13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보안 메모리 165 또는 메모리 130에 저장된 결제 완료 정보는 검색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00과 외부 장치(예: 지정된 서버 장치)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70은 예컨대, 지정된 서버 장치로부터 결제 완료 정보(또는 결제 완료 내용을 포함한 메시지(예: SMS, MMS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 190은 전자 장치 100의 움직임 판단, 전자 장치 100에 접근하는 물체의 판단, 전자 장치 100의 주변에 배치된 물체의 존재 여부 판단 등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 190은 예컨대, 고주파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조도 센서, 근접 센서, 심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 190이 수집한 고주파 센서, 자이로 센서, 조도 센서, 근접 센서, 심박 센서 등의 센서 정보는 제어 모듈 120에 제공될 수 있다. 전달된 센서 정보는 전자 장치의 위치, 회전각 및 주변 상황 인지를 위해 분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에 포함되는 스피커와 마이크는 결제 처리 동작 중에는 고주파 신호를 송출하고,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피커는 사용자에게 결제 처리와 관련한 지정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는 주변 소리를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180은 전자 장치 100의 하우징 일측에 배치되어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180은 전자 장치 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 181, 후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 1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 100은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180이 수집한 영상은 분석을 통해 결제 처리 장치 200(예: POS)기기의 종류, 위치, 움직임을 인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카메라 180은 제어 모듈 120의 제어에 대응하여 결제 처리 기능 실행 시 활성화될 수 있다. 카메라 180이 수집한 이미지는 제어 모듈 120에 제공되어 지정된 형태의 피사체 접근을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피사체 접근 분석과 관련하여, 메모리 130은 텍스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텍스처 이미지는 예컨대, 바코드 스캐너 형상의 텍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180은 바코드 스캐너가 조사하는 적외선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적외선 정보는 제어 모듈 120에 제공되어 바코드 스캐너 접근 또는 이탈을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텍스처 이미지는 예컨대 마그내틱 카드 리더기 형상의 텍스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180이 수집한 이미지는 제어 모듈 120에 제공되어 지정된 형태의 피사체 이동(예: 지정된 위치에서 이탈)을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카메라 180은 프리뷰 이미지 제공 또는 동영상 촬영을 통해 객체(예: 바코드 스캐너 또는 마그내틱 카드 리더기) 추적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처리 환경 10은 플라스틱 카드를 꺼내서 결제하는 방식과 가장 유사하면서도 최소한의 단계로 빠르게 결제를 완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결제 처리 환경 10은 결제와 관련한 사용자 동작을 최소화하고 결제 방식 및 취해야 하는 행동을 직관적으로 안내하여 용이하고 간편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술한 전자 장치 100은 예컨대, 스마트폰 장치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듈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듈 120은 결제 화면 처리 모듈 121,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 핸드 오버 처리 모듈 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화면 처리 모듈 121은 전자 장치 100의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결제 화면 처리 모듈 121은 디스플레이 150이 턴-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터치 패널의 구동 주파수를 제1 주파수로 운용하여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한 터치 제스처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결제 화면 처리 모듈 121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한 터치 제스처가 발생하는 경우, 지정된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예: 적어도 하나의 가상 카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화면 처리 모듈 121은 디스플레이 150이 턴-온 상태이면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한 아이콘이나 메뉴 항목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결제 화면 처리 모듈 121은 지정된 입력 버튼이나 지정된 센서(예: 지문 센서)에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제 화면 처리 모듈 121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한 아이콘이나 메뉴 선택 신호 또는 입력 버튼 선택 신호, 또는 지문 인식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결제 화면 처리 모듈 121은 배경 화면 상에 가상 카드 객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결제 화면 처리 모듈 121은 배경 화면을 지정된 화면으로 변환하고, 가상 카드 객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결제 화면 처리 모듈 121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지정된 인증 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결제 화면 처리 모듈 121은 지정된 인증 정보 입력과 관련한 입력창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결제 화면 처리 모듈 121은 지문 센싱을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결제 화면 처리 모듈 121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지문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제 화면 처리 모듈 121은 지문 센서를 통해 수집된 지문 정보가 보안 메모리 165에 저장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결제 화면 처리 모듈 121은 사용자 서명 기입과 관련한 기입창을 출력할 수 있다. 기입창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결제 화면 처리 모듈 121은 터치 이벤트에 따른 서명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기입창 출력은 지문 센서 활성화와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지문 정보 일치에 대응하여 NFC 방식과 MST 방식을 복합적으로 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NFC 방식 운용과 관련하여 NFC 칩 161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일정 주기로 NFC 칩 161을 통해 지정된 NFC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지정된 NFC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보안 메모리 165에 저장된 결제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NFC 방식 운용 중에 사용자가 희망하지 않는 결제 처리를 방지하도록 지정된 제스처 동작 발생 시 또는 지정된 제스처 동작 발생 이후 NFC에 의한 결제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웨어러블 장치의 지정된 움직임에 따른 센서 정보(예: 손목에 착용된 장치를 지정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동작에 따른 센서 정보)가 수집되면, NFC 칩 161을 활성화하여 결제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NFC 방식 운용 중에 일정 주기(예: NFC 폴링 주기를 고려한 여유 주기)에 MST 방식의 운용을 위한 MST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보안 메모리 165에 저장된 결제 정보를 MST 코일 163을 통해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MST 신호 송출을 일정 주기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지속하고, 지정된 횟수 또는 지정된 시간 경과되면 MST 신호 송출 완료로 처리할 수 있다. 이후,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NFC 방식을 재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MST 신호 송출을 재수행할 수 있는 가상 키버튼을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할 수 있다.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가상 키버튼 선택 시, MST 신호 송출을 재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NFC 방식 운용 중에 센서부 190 또는 카메라 180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주변에 마그내틱 카드 리더기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센서 정보 분석을 통해 주변에 마그내틱 카드 리더기가 존재하는 경우, NFC 방식 운용을 중지하고, MST 방식을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마그내틱 카드 리더기와 전자 장치 100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로 판단되면, MST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MST 신호를 지정된 횟수만큼 또는 지정된 시간만큼 반복해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MST 신호 송출 완료 후 지정된 조건 만족 여부에 따라 결제 완료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제 완료 인식과 관련하여, 상기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센서부 190(예: 근접 센서, 심박 센서), 카메라 180 또는 스피커를 통한 고주파 송출 및 마이크를 통한 고주파 수신을 활용해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가 멀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마그내틱 카드 리더기가 지정된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는 경우,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결제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결제 처리 장치 200의 알림음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MST 방식 운용 시 마이크를 활성화하여 지정된 알림음이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 130은 결제 처리 장치 200이 결제 완료와 관련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음 샘플을 저장할 수 있다.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수신된 알림음과 저장된 알림음 비교를 수행하여 유사도가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결제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에에 따르면,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결제 완료에 따른 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MST 신호 송출 이후 지정된 시간 이내에 수신된 메시지를 파싱하여 결제 완료와 관련한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결제 완료 내용을 포함한 메시지 수신 시 결제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결제 완료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처리할 수 있는 결제 완료 처리 인터페이스(예: 결제 완료 가상 키버튼, 백키 등)를 운용할 수 있다.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결제 완료 처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 완료를 지시하는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결제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바코드 운용과 관련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바코드 방식 운용을 선택할 수 있는 가상 키버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카메라 180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카메라 180 운용을 수행하여 지정된 피사체(예: 스캐너 또는 적외선 정보 등)가 검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지정된 피사체가 검출되는 경우 보안 메모리 165에 저장된 바코드 정보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바코드가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150의 밝기가 지정된 값(예: 최대값 또는 지정된 조도 이상의 값)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바코드를 디스플레이 150에 지정된 시간 동안 출력하고, 지정된 조건 만족 시 바코드 출력 종료와 함께 결제 완료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지정된 조건 만족과 관련하여,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카메라 180이 획득한 지정된 피사체의 크기 변화 또는 거리 변화를 기반으로 결제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피사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었다가 지정된 크기 이하로 변경되거나 사라지는 경우 결제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은 마이크를 이용한 지정된 알림음 수신 여부, 결제 완료 내용을 포함한 메시지 수신 여부, 결제 완료를 지시하는 입력 신호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제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핸드 오버 처리 모듈 125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동작에서 지정된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 100의 다른 기능으로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핸드 오버 처리 모듈 125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핸드 오버 실행과 관련한 가상 키버튼을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핸드 오버 처리 모듈 125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자동으로 카메라 180을 활성화하여 현재 전자 장치 100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얼굴이 지정된 사용자 얼굴이 아니거나 또는 얼굴이 없는 경우 핸드 오버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핸드 오버 처리 모듈 125는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카메라 180을 이용하여 피사체 수집을 수행하고, 지정된 사용자 얼굴이 인식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핸드 오버 처리 모듈 125는 지정된 사용자 얼굴이 인식되는 경우 핸드 오버 기능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핸드 오버 처리 모듈 125는 지문 센서를 활성화하고, 지정된 지문 정보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핸드 오버 처리 모듈 125는 지정된 지문 정보가 입력되면 핸드 오버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핸드 오버 처리 모듈 125는 핸드 오버 기능 종료 시 결제 완료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핸드 오버 처리 모듈 125는 핸드 오버 기능 실행 중에 디스플레이 150의 밝기가 지정된 값(예: 최대 밝기)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핸드 오버 처리 모듈 125는 핸드 오버 기능 실행 중에 디스플레이 150의 턴-오프 타이밍(예: 슬립 진입을 위해 설정된 시간)을 재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슬립 진입 상태가 제1 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핸드 오버 처리 모듈 125는 핸드 오버 기능이 실행되면 제1 시간과 다른 제2 시간(예: 제1 시간보다 긴 시간)을 슬립 진입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핸드 오버 처리 모듈 125는 제1 시간보다 짧은 제3 시간을 슬립 진입 시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슬립 진입 이후, 지정된 키(예: 홈 키 또는 전원 키) 입력이 발생하더라도, 핸드 오버 처리 모듈 125는 핸드 오버 기능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합 결제 처리 모듈 123 또는 핸드 오버 처리 모듈 125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장치가 지정된 상태(예: 디스플레이 150이 위치한 전면이 하늘 방향을 바라보는 상태)가 변경(예: 디스플레이 150이 위치한 전면이 후면 방향으로 뒤집힌 상태)되면, 지정된 가이드 정보(예: 안내음, 안내 진동, 램프 점멸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예컨대, 결제 처리를 위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150이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야 하는 상태를 가지도록 유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NFC 방식의 결제 정보와 MST 방식의 결제 정보, 지문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예: 보안 메모리), 지문 센싱을 통해 획득된 지문 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NFC 방식과 상기 MST 방식의 복합 결제 운용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NFC 방식 운용에 따른 신호 처리 화면과 상기 MST 방식 운용에 따른 신호 처리 화면을 하나의 화면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모듈은 결제 처리를 위한 신호 송출 시작 안내, 상기 NFC 방식 운용에 따른 신호 송출 방향 또는 상기 MST 방식 운용에 따른 신호 송출 방향을 지시하는 신호 송출 객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출 객체는 지문 인식 완료 후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NFC 방식 운용과 상기 MST 방식 운용을 교번되게 운용하고, 상기 NFC 방식 운용 동안의 신호 송출 객체와 상기 MST 방식 운용 동안의 신호 송출 객체를 다르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NFC 방식 운용 중에 센서 운용을 통하여 지정된 물체(마그내틱 카드 리더기)의 접근이 지정된 거리 이내로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물체가 지정된 거리 이내로 위치하는 경우 MST 방식 운용에 따라 MST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복합 결제 운용 중에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바코드 인식과 관련한 물체(예: 바코드 스캐너 또는 적외선 정보)를 포함한 이미지 촬영 시 바코드 객체를 자동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바코드 인식과 관련한 물체가 지정된 거리 이상 멀어지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에서 사라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결제 완료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모듈은 현재 화면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표시 상태를 유지시키고 다른 기능으로의 전환을 금지시키거나 또는 바코드 방식 화면 전환만을 지원하는 핸드 오버 기능 객체, 결제 수행과 관련한 동작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서명 기입과 관련한 서명 객체, 바코드를 출력하는 바코드 방식 전환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바코드 방식 전환 객체를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바코드 방식 전환 객체 선택에 따라 바코드 객체 및 상기 복합 결제 운용 화면으로 전환을 위한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면 인터페이스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핸드 오버 기능 객체 선택에 따라 핸드 오버 기능 실행 시 핸드 오버 기능 해제와 관련한 지문 센싱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모듈은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지정된 사용자 얼굴이 인식되지 않으면 현재 화면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표시 상태를 유지시키고 다른 기능으로의 전환을 금지시키는 핸드 오버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모듈은 지정된 사용자 얼굴이 인식되면 실행 중인 핸드 오버 기능을 자동으로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MST 방식 또는 바코드 방식 운용 중에 지정된 조건(예: 지정된 알림음 수신, 이미지 분석을 통한 지정된 물체의 이동이나 사라짐, 결제 완료 내용을 포함한 메시지 수신 중 적어도 하나) 만족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결제 완료 처리를 수행하거나, 결제 완료 처리와 관련한 객체를 표시하여 수동 결제 완료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결제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결제 처리 방법에 있어서, 동작 301에서, 제어 모듈 12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외부로부터의 정보 수신에 따라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한 입력 설정(예: 터치스크린 운용 또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물리키 또는 가상키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지문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 120은 지문 센서 활성화에 따라 지문 센싱을 유도하는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조건이 전자 장치의 지정된 상태(예: 디스플레이 150 턴-오프 상태)에서 지문 인식인 경우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전에 지문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 120은 디스플레이 150 턴-오프 상태에서 지정된 주기로 간헐적으로 활성화되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지정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지문 센서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이에 다라, 제어 모듈 120은 301 동작과 303 동작을 실질적으로 동시 수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 120은 디스플레이 150 턴-오프 상태에서 지정된 주기로 활성화되는 터치스크린에서 지정된 제1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한 객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 120은 제2 터치 이벤트(예: 제1 터치 이벤트와 연속된 스윕 또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 모듈 120은 지문 센서를 자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동작 303에서, 제어 모듈 120은 지문 인증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 모듈 120은 수집된 지문 인증 정보와 보안 메모리 165에 저장된 지문 인증 정보의 유사도를 확인할 수 있다. 유사도가 지정된 값 이하여서, 지문 인증이 실패하거나 지정된 시간 이내에 지문 인증이 수행되지 않으면 동작 305에서 제어 모듈 120은 지문 인증 관련 지정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지문 인증을 위한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잘못된 지문 입력을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문 인증 성공 시, 제어 모듈 120은 동작 307에서 토큰 유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 모듈 120은 보안 메모리 165에 저장된 토큰의 시간 정보 또는 사용 카운트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토큰이 유효한 경우 동작 309에서, 제어 모듈 120은 NFC 방식 및 MST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NFC 방식과 MST 방식을 일정 주기로 교번되게 운용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 120은 NFC 방식을 지원하면서, 센서부 190을 활성화하여 지정된 조건 만족 여부에 따라 MST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토큰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동작 311에서,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화면 종료 시, 제어 모듈 120은 화면 종료 이유(예: 토큰 유효성 상실)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동작 311에서, 제어 모듈 120은 토큰 관련 지정된 안내 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토큰 갱신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 120은 토큰 갱신을 위한 서버 장치 주소 정보를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313에서, 제어 모듈 120은 NFC 장치 감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지정된 주기 내에 NFC 장치가 감지된 경우, 동작 315에서, 제어 모듈 120은 NFC 방식 결제가 완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NFC 방식 결제가 완료되면, 동작 317에서,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완료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NFC 방식 결제 완료가 처리되지 않으면, 동작 319에서 제어 모듈 120은 에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비정상 동작에 대한 경고 메시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동작 313에서, NFC 장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MST 방식을 운용하면서 동작 321에서 제어 모듈 120은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동작 323에서, 전자 장치 100은 재시도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 100은 MST 방식을 재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상 키버튼을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할 수 있다.
동작 325에서, 제어 모듈 120은 바코드 방식 전환과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 모듈 120은 재시도 화면에 바코드 방식 전환과 관련한 가상 키버튼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 120은 바코드 방식 전환과 관련한 가상 키버튼을 동작 309, 동작 313 등에서도 출력할 수 있다. 바코드 방식 전환과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동작 327에서, 제어 모듈 120은 바코드 방식 운용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보안 메모리 165에 저장된 바코드 정보를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제어 모듈 120은 디스플레이 150의 밝기를 지정된 값으로 조정하여, 바코드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제어 모듈 120은 지정된 시간 경과 후 디스플레이 150 밝기를 원래 설정으로 복원할 수 있다.
동작 321에서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거나, 동작 325에서 바코드 방식 전환과 관련한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제어 모듈 120은 동작 313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할 수도 있다. 동작 327에서 바코드 방식 운용 화면 제공 이후 제어 모듈 120은 기능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기능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제어 모듈 120은 동작 313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05, 동작 311, 동작 317, 동작 319 이후 제어 모듈 120은 동작 329로 분기하여 종료 여부에 따른 분기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바코드 방식 운용 화면 제공 또는 MST 신호 송출 이후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완료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완료 조건이 만족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MST 방식 결제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MST 방식 결제 처리 방법에 있어서, 동작 331에서, 제어 모듈 120은 MST 방식 운용과 관련한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MST 방식 운용과 관련하여, 동작 333에서, 제어 모듈 120은 센서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센서부 190에 포함된 고주파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조도 센서, 근접 센서, 심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센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동작 335에서, 제어 모듈 120은 마그내틱 카드 리더기가 검색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수집된 고주파 센서를 이용하여 지정된 고주파 신호를 송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마그내틱 카드 리더기가 지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 120은 근접 센서나 조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주변에 특정 물체(마그내틱 카드 리더기로 예상되는 물체)가 근접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 120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심박 센서 등의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된 제스처 동작(예: 마그내틱 카드 리더기에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장치)를 가져가는 동작)을 수행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 120은 카메라 180을 운용하여 주변 이미지를 수집하고 마그내틱 카드 리더기에 대응하는 객체가 검출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카드 리더기가 검색되는 경우, 동작 337에서, 제어 모듈 120은 MST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보안 메모리 165에 저장된 MST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제어 모듈 120은 MST 신호가 어떠한 방향으로 송출되고 있는지를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 모듈 120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특정 상태가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동작 339에서,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완료 조건 만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카메라 180을 활성화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피사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었다가 지정된 크기 이하로 변경되거나 사라지는 경우 결제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 120은 마이크를 이용한 지정된 알림음이 지정된 시간 범위 내(예: MST 신호를 송출하는 동안)에서 수신되는 경우 결제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 120은 지정된 시간 동안(예: MST 신호 송출 시간 동안 또는 MST 신호 송출 후 지정된 시간 이내)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내용 중에 결제 완료 내용이 포함된 경우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결제 완료 조건이 만족되면, 동작 341에서 제어 모듈 120은 자동 결제 완료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완료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제 완료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동작 343에서,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종료를 위한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고, 결제 종료를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하드웨어 백키 선택에 따른 입력 신호 발생에 따라 결제 종료를 처리할 수 있다. 또는 동작 343에서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동작 333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할 수도 있다.
도 3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바코드 방식 결제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바코드 방식 결제 처리 방법에 있어서, 동작 351에서 제어 모듈 120은 바코드 방식 운용을 요청하는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바코드 방식 운용을 위한 가상 키버튼 선택에 따른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 120은 지정된 스케줄링에 따라 NFC 방식, MST 방식과 함께 바코드 방식을 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353에서, 제어 모듈 120은 카메라 180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전면에 배치된 제1 카메라 181을 활성화하고, 획득되는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355에서, 제어 모듈 120은 분석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스캐너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분석 이미지 내에 스캐너에 해당하는 또는 바코드 인식기에 해당하는 지정된 피사체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 120은 지정된 피사체의 크기가 지정된 크기인지 또는 지정된 거리 이내에서 검출된 피사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지정된 피사체가 검출되면, 동작 357에서, 제어 모듈 120은 바코드를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359에서,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완료 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바코드 출력 이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 지정된 피사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었다가 지정된 크기 이하로 변경되거나 사라지는지 여부, 마이크를 이용한 지정된 알림음 수집 여부, 결제 완료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 수신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결제 완료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면, 동작 361에서, 제어 모듈 120은 자동 결제 완료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지정된 결제 완료 정보를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해당 결제 완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150에 자동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제 완료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제어 모듈 120은 동작 363에서 결제 종료를 위한 수동 입력(예: 하드웨어 백 키 입력)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 모듈 120은 기능 종료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동작 353 이전으로 복귀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처리 방식 중 핸드 오버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핸드 오버 기능과 관련하여, 동작 401에서,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지문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 모듈 120은 지문 센서 초기화가 완료되면 지문 센싱 수행을 안내하는 객체 또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제어 모듈 120은 지문 인증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인증이 실패한 경우, 동작 405에서, 제어 모듈 120은 지문 관련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지문 인증 실패 시 지문 인증을 재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지문 인증이 성공한 경우, 동작 407에서, 제어 모듈 120은 복합 결제 운용 준비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NFC 방식 및 MST 방식의 복합 결제 운용을 준비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제어 모듈 120은 NFC 칩 161을 활성화하고, MST 신호 송출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센서부 190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 모듈 120은 핸드 오버 기능 실행과 관련한 입력 설정(예: 핸드 오버 기능 실행과 관련한 가상 키버튼의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409에서, 제어 모듈 120은 핸드 오버 기능 실행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핸드 오버 기능 실행을 위한 가상 키버튼 선택 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키버튼 선택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 모듈 120은 핸드 오버 기능 실행 요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 120은 복합 결제 운용 준비를 수행하면서 카메라 180을 활성화하여 현재 사용자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 모듈 120은 카메라 180이 획득한 이미지에서 지정된 사용자 얼굴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핸드 오버 기능 실행 요청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핸드 오버 기능 실행 요청이 발생하면, 동작 411에서 제어 모듈 120은 현재 화면 잠금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제어 모듈 120은 현재 화면이 지속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 120은 디스플레이 150의 밝기를 지정된 값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 120은 디스플레이 150의 슬립 상태 진입을 지정된 값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동작 413에서, 제어 모듈 120은 지정된 조건 만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제어 모듈 120은 동작 411 이전으로 분기하여 화면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정된 조건은 예컨대, 사용자 지문이 재인식되는 조건일 수 있다. 지정된 조건은 지정된 패턴 락 해제 조건, 지정된 번호 락 해제 조건, 또는 지정된 보이스 락 해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지정된 조건은 지정된 제스처에 해당하는 센서 정보 수집일 수 있다. 또는 지정된 조건은 결제 완료 이후 지정된 시간 경과 조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 120은 화면 잠금 상태를 유지하되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 150을 턴-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 120은 디스플레이 150 턴-오프 이후 지정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전 화면 잠금 상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 모듈 120은 지정된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화면 잠금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 모듈 120은 동작 415에서, 핸드 오버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제 완료에 따른 지정된 조건이 완료된 상태에서 핸드 오버 기능이 해제되면(예: 결제 완료 이후 인증 수행에 따른 화면 잠금 해제),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완료에 따른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할 수 있다. 결제 완료를 수행하지 못한 상태에서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 모듈 120은 결제 미완료 상태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에러 처리 상태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동작 417에서, 제어 모듈 120은 기능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기능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종료하고 디스플레이 150 턴-오프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기능 종료 관련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제어 모듈 120은 동작 407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결제 처리 방법은 지문 센싱을 수행하는 동작, 지문 센싱을 통해 획득된 지문 정보가 유효한 경우 NFC 방식 운용에 따른 신호 처리 화면과 상기 MST 방식 운용에 따른 신호 처리 화면을 하나의 화면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의 디스플레이 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500을 출력할 수 있다.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500은 예컨대, 메뉴 객체 510, 제1 가상 카드 객체 521, 제2 가상 카드 객체 522, 제1 전체 카드 정보 객체 513, 스캔 안내 정보 5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 객체 510은 어플리케이션 이름명과, 가상 카드를 추가할 수 있는 추가 항목(ADD), 어플리케이션 설정과 관련한 상세 항목(MORE)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항목(ADD) 선택 시, 제어 모듈 120은 가상 카드 추가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 항목(MORE) 선택 시, 제어 모듈 120은 전체 가상 카드 설정 또는 가상 카드 운용 방식 설정과 관련한 상세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 카드 객체 521은 예컨대, 지정된 가상 카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상 카드 객체 521은 가장 최근에 사용된 가상 카드에 해당하는 객체일 수 있다. 또는 제1 가상 카드 객체 521은 가장 최근에 등록된 가상 카드 객체일 수 있다. 또는 제1 가상 카드 객체 521은 지정된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사용된 가상 카드 객체일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 카드 객체 521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초기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가상 카드 객체 5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중앙에 일정 크기를 가지며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상 카드 객체 522는 두 번째로 가장 최근에 사용된 가상 카드 객체일 수 있다. 또는 제2 가상 카드 객체 522는 두 번째로 가장 최근에 등록된 가상 카드 객체이거나, 두 번째로 가장 많이 사용된 가상 카드 객체일 수 있다. 또는 제2 가상 카드 객체 522는 제1 가상 카드 객체 521과 연관된 객체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가상 카드 객체 522는 제1 가상 카드 객체 521과 관련된 포인트 카드 또는 할인 카드일 수 있다. 제2 가상 카드 객체 5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스와이프(swipe) 터치 이벤트 또는 플릭(flick) 터치 이벤트, 또는 드래그(drag)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제2 가상 카드 객체 522를 터치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2 가상 카드 객체 522가 제1 가상 카드 객체 521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체 카드 정보 객체 513은 가상 카드 객체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제1 전체 카드 정보 객체 513은 예컨대, 3개의 가상 카드 객체가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전체 카드 정보 객체 513은 현재 표시된 가상 카드 객체의 순서를 지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체 카드 정보 객체 513은 객체의 특정 지점의 색상을 주변과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현재 표시된 가상 카드 객체가 전체 가상 카드 객체들의 순서 중 몇 번째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스캔 안내 정보 514는 현재 표시된 가상 카드 객체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지문 센싱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안내 정보 514는 현재 표시된 가상 카드 객체(예: 제1 가상 카드 객체 521)가 스캔(예: 지문 센싱)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표시된 가상 카드 객체(예: 지정된 영역 이상 표시된 가상 카드 객체)가 포인트 카드 또는 할인 카드인 경우 스캔 안내 정보 514는 표시되지 않거나 다른 안내 정보(예: 할인율 정보, 포인트 적립 안내 정보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캔 안내 정보 514는 지문 센싱이 요구됨을 안내하는 텍스트 및 지문 센싱할 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예: 지문 일부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카드 검색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의 제어 모듈 120은 601 상태에서와 같이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할 수 있다.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가상 카드 객체 521, 제2 가상 카드 객체 522, 제2 전체 카드 정보 객체 603, 스캔 안내 정보 5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체 카드 정보 객체 603은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가상 카드 객체들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전체 카드 정보 객체 603은 6개의 등록된 가상 카드 객체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 모듈 120은 603 상태에서와 같이 카드 썸네일 리스트 610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체 카드 정보 객체 513을 선택하는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지정된 제스처 이벤트(예컨대 특정 위치에서 발생하는 롱탭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 모듈 120은 카드 썸네일 리스트 610을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카드 썸네일 리스트 610이 화면 하단에 배치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카드 썸네일 리스트 610은 화면 전체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카드 썸네일 리스트 610은 카드 썸네일 객체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카드 썸네일 리스트 610은 예컨대,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 제2 카드 썸네일 객체 612, 제3 카드 썸네일 객체 613, 제4 카드 썸네일 객체 614, 제5 카드 썸네일 객체 615, 제6 카드 썸네일 객체 6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은 예컨대, 제1 가상 카드 객체 521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N 번째 카드 썸네일 객체는 제N 번째 가상 카드 객체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썸네일 리스트 610은 현재 화면의 중앙에 배치된 가상 카드 이미지에 대응하는 카드 썸네일 객체를 다른 카드 썸네일 객체와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150 상에 전체로 표시된 제1 가상 카드 객체 521에 대응하는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은 하이라이트 효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드 썸네일 리스트 610에 표시된 카드 썸네일 객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카드 썸네일 객체 613은 터치 이벤트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제3 카드 썸네일 객체 613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 모듈 120은 605 상태에서와 같이 선택된 제3 카드 썸네일 객체 613에 대응하는 제3 가상 카드 객체 523을 화면 중앙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제어 모듈 120은 카드 썸네일 리스트 610을 디스플레이 150 상에서 제거하고, 제2 전체 카드 정보 객체 603, 스캔 안내 정보 514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가상 카드 객체 523이 별도의 스캔이 필요 없는 카드인 경우 스캔 안내 정보 514 출력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체 카드 정보 객체 603은 제3 가상 카드 객체 523의 표시에 따라 표시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전체 카드 정보 객체 603은 제3 가상 카드 객체 523의 순서에 대응하는 지점이 주변 영역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제3 가상 카드 객체 523이 화면 중앙에 배치됨에 따라, 제어 모듈 120은 제2 가상 카드 객체 522의 일부 이미지를 좌측 가장자리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제4 가상 카드 객체 524의 일부 이미지를 우측 가장자리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 120은 좌측 스와이프 터치 이벤트(또는 플릭 이벤트나 드래그 이벤트) 발생 시, 제4 가상 카드 객체 524를 화면 중앙에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 120은 우측 스와이프 터치 이벤트(또는 플릭 이벤트나 드래그 이벤트) 발생 시, 제2 가상 카드 객체 522를 화면 중앙에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 120은 제3 가상 카드 객체 523이 화면 중앙에 배치되면, 제3 가상 카드 객체 523과 관련된 카드 객체를 제2 가상 카드 객체 522의 위치 및 제4 가상 카드 객체 524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관련된 카드 객체는 예컨대, 제3 가상 카드 객체 523과 연관된 포인트 카드나 할인 카드, 또는 지정된 길이 이상 동일한 카드 이름을 포함한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포인트 카드 또는 할인 카드는 예컨대, 제3 가상 카드 등록 과정에서 사용자 설정에 따라 관련된 카드로 등록될 수 있다. 지정된 길이 이상 동일한 카드 이름을 가진 카드들은 제어 모듈 120 제어에 따라 관련된 카드로 자동 등록될 수 있다. 관련된 카드 객체가 없는 경우 제어 모듈 120은 카드 썸네일 리스트 610 순서에 따라 가상 카드 객체들을 배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태 607에서와 같이, 제어 모듈 120은 카드 썸네일 리스트 610 내에서 순서 변환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의 이동과 관련한 이벤트(예: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을 롱프레스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 모듈 120은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을 카드 썸네일 리스트 610 내에서 순서 변환할 수 있는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을 다른 카드 썸네일 객체와 다른 레이어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 모듈 120은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을 이동시키는 이벤트(예: 드래그 이벤트) 발생 시,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을 해당 이벤트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 120은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 이동에 따라 다른 카드 썸네일 객체들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이 이동되어 제2 카드 썸네일 객체 612 중간 이상 중첩되는 경우 제2 카드 썸네일 객체 612는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이 있었던 위치로 자동 이동될 수 있다.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을 선택한 이벤트가 해제되면,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은 이벤트 해제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이 이동되어 특정 위치에 배치되면,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은 해당 위치에 배치된 카드 썸네일 객체와 자리 교체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이 제6 카드 썸네일 객체 616과 지정된 크기 이상 중복된 상태로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면,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은 제6 카드 썸네일 객체 616이 있던 자리로 이동하고, 제6 카드 썸네일 객체 616은 제1 카드 썸네일 객체 611이 있었던 자리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설명에서는 가상 카드들과 관련하여 썸네일 객체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카드 썸네일 객체는 각 카드 이름을 목록으로 하는 카드 객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설명에서는 가상 카드 객체가 카드 썸네일 리스트 610에 전체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카드 썸네일 리스트는 전체 가상 썸네일 객체들 중 일부 객체들만 표시하고, 나머지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도록 스크롤 바 또는 스크롤 제어 가상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결제 완료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 상태에서와 같이,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완료 시, 결제 완료 메시지 710을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 120은 NFC 칩을 통하여 결제 완료 시, MST 방식 또는 바코드 방식 운용 중에 결제 완료에 해당하는 지정된 조건 만족 시 결제 완료 메시지 710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처리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150의 밝기가 조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150의 밝기를 이전 값으로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처리 과정에서 결제 중임을 안내하기 위하여 램프가 점등된(턴-온) 상태인 경우, 결제 완료에 따라 램프를 점멸(턴-오프)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완료에 대응하는 지정된 진동 패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150의 일정 위치 예컨대, 디스플레이 150의 상단에 배치된 퀵 패널 호출과 관련한 이벤트가 703 화면에서와 같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150 상단 지정된 위치(예: 표시 영역 바깥)에서 디스플레이 150 내측(예: 표시 영역 내측)으로 이동하는 ? 패널 호출 터치 이벤트 730이 발생하면, 제어 모듈 120은 디스플레이 150의 일정 영역을 딤아웃 처리(dimmed out, 지정된 조도 이하로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어 모듈 120은 퀵 패널 호출 터치 이벤트 730이 발생하면, 705 화면에서와 같이 퀵 패널 750을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할 수 있다. 퀵 패널 750은 예컨대 결제 완료 항목 751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완료 항목 751을 선택하는 이벤트 발생 시, 제어 모듈 120은 707 화면에서와 같이 결제 완료 상세 정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결제 완료 상세 정보 화면은 예컨대, 결제 처리를 수행한 서버 장치가 제공한 메시지를 포함하거나, 해당 메시지를 기반으로 가공된 정보(예: 결제 카드 정보, 결제 장소 정보, 결제 금액 정보 등 지정된 정보를 추출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NFC 방식 및 MST 방식 지원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지문 인증이 완료되면, 도시된 바와 같은 복합 결제 운용 화면을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합 결제 운용 화면은 예컨대, 신호 송출 객체 810, 결제 방식을 설명하는 제1 비주얼 가이드 정보 객체 820, 서명 객체 830, 제1 핸드 오버 기능 실행 객체 841, 포즈 안내 객체 850, 바코드 전환 객체 8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출 객체 810은 지문 인식을 완료 후에 출력될 수 있다. 신호 송출 객체 810은 예컨대 파장 애니메이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신호 송출 객체 810은 사용자에게 신호가 송출되기 시작했다는 피드백을 제공해서 전자 장치 100을 결제 처리 장치 200에 가져다 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신호 송출 객체 810의 위치는 MST 코일이 위치한 상단에 배치해 해당 위치에 자연스럽게 가져다 대도록 유도한 화면 구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신호 송출 객체 810은 NFC 신호 송출 방향 또는 MST 신호 송출 방향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신호 송출 객체 810은 NFC 안테나 또는 MST 코일 등에 의해 신호가 송출되는 방향을 나타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신호 송출 객체 810은 NFC 신호가 송출되는 동안 또는 MST 신호가 송출되는 동안 표시될 수 있다. 신호 송출 객체 810은 NFC 신호 송출에 해당하는 신호 송출 객체의 색상과 MST 신호 송출에 해당하는 신호 송출 객체의 색상을 다를 수 있다. 또는 신호 송출 객체 810은 NFC 신호 송출 시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는 NFC를 지시하는 문자 또는 지정된 방향(예: 신호가 송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NFC를 지시하는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신호 송출 객체 810은 MST 신호 송출 시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는 MST를 지시하는 문자 또는 지정된 방향(예: 신호가 송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MST를 지시하는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NFC 방식과 MST 방식이 교번적으로 운용되는 경우 전자 장치 100은 상기 문자들의 변경을 통하여 현재 어떠한 방식의 신호가 송출되는지를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 비주얼 가이드 정보 객체 820은 동영상 이미지 또는 슬라이드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비주얼 가이드 정보 객체 820은 복합 결제 방식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 100을 어떠한 방식으로 운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현재 어떠한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명 객체 830은 사용자의 사인을 입력받는 객체일 수 있다. 서명 객체 830은 예컨대, 빈 영역으로 표시되고,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 대응하는 서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서명 객체 830은 가상 카드의 종류에 따라 출력이 생략될 수도 있다. 예컨대, 포인트 카드나 할인 카드 운용 중인 경우 서명 객체 830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핸드 오버 기능 실행 객체 841은 핸드 오버 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상 키버튼일 수 있다. 제1 핸드 오버 기능 실행 객체 841이 선택되면, 제어 모듈 120은 핸드 오버 기능 실행에 따라 현재 화면 잠금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제어 모듈 120은 핸드 오버 기능 실행 시 지문 센서 활성화 및 핸드 오버 기능 해제를 위한 지문 센싱과 관련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 120은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지정된 사용자 얼굴 촬영을 요청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화면 잠금 화면은 사용자 얼굴 촬영과 관련한 썸네일 프리뷰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썸네일 프리뷰 영역은 예컨대, 전면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촬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는 썸네일 프리뷰 영역을 확인하여 전면 카메라의 포커싱 위치에 맞게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포즈 안내 객체 850은 전자 장치 100을 어떠한 형태로 위치해야 하는지를 안내하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코드 전환 객체 860은 바코드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상 키버튼일 수 있다. 바코드 전환 객체 860이 선택되면, 도 8b에서와 같은 바코드 방식 운용 화면이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 100은 전자 장치의 화면(예: 디스플레이)를 지정된 포즈(예: 아래로 향하도록 배치) 상태일 때, 지정된 안내 정보(예: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하늘을 향하도록 배치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바코드 방식 운용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도 8a에서 설명한 바코드 전환 객체 860이 선택되면, 제어 모듈 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코드 방식 운용 화면을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코드 방식 운용 화면은 예컨대, 바코드 객체 870, 제2 핸드 오버 기능 실행 객체 842, 복합 결제 방식 전환 객체 880, 바코드 이용 안내 정보 890, 서명 객체 8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코드 객체 870은 예컨대 바코드 이미지 및 바코드 숫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 120은 바코드 객체 870이 출력되는 경우, 바코드 이미지가 출력된 영역을 주변보다 밝게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 100은 바코드 이미지 스캔 시 스캔 오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 120은 바코드 이미지 출력 시 디스플레이 150의 조도를 지정된 값 이상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핸드 오버 기능 실행 객체 842는 도 8a에서 설명한 제1 핸드 오버 기능 실행 객체 84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의 가상 키버튼일 수 있다. 바코드 방식 운용 화면에서 출력되는 제2 핸드 오버 기능 실행 객체 842는 바코드 이미지와 중첩되지 않는 지정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또는 바코드 객체 870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제2 핸드 오버 기능 실행 객체 842는 크기가 조정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결제 방식 전환 객체 880은 도 8a에서 설명한 복합 결제 방식(예: NFC 방식과 MST 방식을 복합적으로 운용하는 방식)으로의 전환과 관련한 객체일 수 있다. 상기 복합 결제 방식 전환 객체 880은 가상 키버튼 형태일 수 있다. 복합 결제 방식 전환 객체 880은 예컨대, 도 8a에서 설명한 화면의 바코드 전환 객체 860이 위치한 지점과 유사한 지점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바코드 이용 안내 정보 890은 예컨대, 바코드 방식 운용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 100의 운용을 설명하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바코드 이용 안내 정보 890은 전자 장치 100을 타인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보안과 관련하여 핸드 오버 기능을 실행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명 객체 830은 도 8a에서 설명한 서명 객체와 동일한 객체일 수 있다. 예컨대, 서명 객체 830은 사용자 서명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 120은 바코드 방식 운용 화면이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되면, 제2 핸드 오버 기능 실행 객체 842를 출력하지 않고, 자동으로 카메라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 120은 카메라를 통해 지정된 사용자 얼굴 인식이 수행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핸드 오버 기능을 실행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종료되거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제 완료 상세 정보가 표시되면, 핸드 오버 기능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다. 핸드 오버 기능 자동 해제와 관련하여, 제어 모듈 120은 활성화된 카메라를 자동으로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복합 결제 운용 재수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 120은 MST 신호 송출 이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결제 운용 재수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할 수 있다. 복합 결제 운용 재수행 화면은 예컨대, 제2 비주얼 가이드 정보 객체 920, 재수행 객체 9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비주얼 가이드 정보 객체 920은 복합 결제 운용을 재수행하기 위한 동작과 관련한 동영상 또는 슬라이드 이미지, 또는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비주얼 가이드 정보 객체 920은 상술한 제1 비주얼 가이드 정보 객체 820과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수행 객체 930은 복합 결제 방식 수행을 재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된 가상 키버튼일 수 있다. 재수행 객체 930을 선택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 모듈 120은 도 8a에서 설명한 복합 결제 방식 운용을 재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재수행 객체 930을 출력하는 동안 제어 모듈 120은 NFC 방식을 유지한 상황에서 재수행 객체 930이 선택되면, MST 신호 송출만을 재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핸드 오버 기능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1001 화면에서와 같이 복합 결제 운용 화면을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 12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지문 인증이 완료되면 1001 화면에서와 같은 복합 결제 운용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1001 화면은 핸드 오버 기능이 실행되어 복합 결제 운용 화면이 화면 잠금 상태로 제공된 상태일 수 있다. 핸드 오버 기능이 실행된 복합 결제 운용 화면은 예컨대, 신호 송출 객체 810, 제1 비주얼 가이드 정보 객체 820, 서명 객체 830, 포즈 안내 객체 850, 바코드 전환 객체 860 및 핸드 오버 기능 해제 안내 객체 8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코드 전환 객체 860은 바코드 방식과 복합 결제 방식을 전환하는 객체 중 바코드 전환을 위한 토글 객체일 수 있다. 바코드 전환 객체 860은 바코드 전환임을 안내하는 이미지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 전환 객체 860의 출력 위치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바코드 전환 객체 860은 파지되는 손의 위치에서 인접된 위치(예: 좌하단, 우하단 또는 중앙 하단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드 오버 기능 해제 안내 객체 855는 핸드 오버 기능 해제를 위한 처리 동작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핸드 오버 기능 해제 안내 객체 855는 핸드 오버 기능 해제를 위하여 지문 센싱이 필요함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001 화면에서 바코드 전환 객체 860 선택에 대응하여, 바코드 방식 운용 화면이 1003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핸드 오버 기능은 바코드 방식 전환 또는 복합 결제 방식 전환을 허용할 수 있다. 또는 핸드 오버 기능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전환 객체의 운용을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핸드 오버 기능이 전환 객체 운용을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핸드 오버 기능 해제 기능이 수행될 경우, 바코드 전환 객체 860이 선택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모듈 120은 복합 결제 방식 또는 바코드 방식의 토글 전환을 지원할 수 있다.
바코드 방식 운용 화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코드 객체 870, 복합 결제 방식 전환 객체 880, 바코드 이용 안내 정보 890, 핸드 오버 기능 해제 안내 객체 855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 오버 기능이 결제 방식 전환 기능을 허용하는 경우, 복합 결제 운용 화면 출력 중에 핸드 오버 기능이 설정된 상태로 바코드 방식 전환이 요청되면, 핸드 오버 기능이 상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코드 방식 운용 화면은 자동으로 핸드 오버 기능이 실행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 120은 핸드 오버 기능 해제를 안내하는 핸드 오버 기능 해제 안내 객체 855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합 결제 방식 전환 객체 880이 선택되면, 제어 모듈 120은 1001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처리 방법은 홈 화면 진입 시 다수의 가상 카드 중 한 개의 카드가 선택되어 표시되는 동작, 화면 하단에 지문 인식을 유도하는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가상 카드를 롱 탭해서 빠른 검색 모드(fast navigation mode)에 진입하는 동작, 가상 카드에 대한 드래그 이벤트를 기반으로 가상 카드들의 순서를 변경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지정된 리더기에 가져다 대는 NFC 방식 또는 MST 방식을 하나의 화면에 통합하여 안내하는 정보, 신호 송출 지시하는 객체, 비주얼 가이드 정보 객체, 카드 서명 객체 또는 핸드 오버 기능 실행과 관련한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MST 방식과 NFC 방식의 복합 결제 운용 화면에서 MST 방식 및 NFC 방식을 활성화 한 뒤, NFC 결제 처리 기기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면 NFC 결제 방식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전력 및 결제 카드 토큰과 관련하여 근접 센서, 전자 장치의 카메라, 심박 센서, 또는 스피커를 통한 고주파 송출 및 마이크를 통한 고주파 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기반으로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에 근접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근접한 경우 MST 신호를 송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MST 신호 송출을 지정된 시간 또는 지정된 횟수 동안 수행하는 동작, 지정된 기간 또는 횟수 경과 후 MST 신호 송출을 재수행할 수 있는 가상 키버튼을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동작에서 상기 가상 키버튼은 신호 송출을 표현하는 파장 중앙에 표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복합 결제 운용 화면에서 근접 센서, 전자 장치의 카메라, 심박 센서, 또는 스피커를 통한 고주파 송출 및 마이크를 통한 고주파 수신을 활용해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에서 멀어질 경우 결제 동작(또는 결제 모드, 또는 지불 동작)을 자동으로 종료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복합 결제 운용 화면에 바코드 객체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마이크로 결제 처리 장치의 결제 완료 알림음을 감지해 결제 동작을 자동으로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복합 결제 운용 화면 또는 바코드 결제 운용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서 결제 완료와 관련한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결제 동작을 자동으로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복합 결제 운용 화면에서 바코드 전환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바코드 전환 객체가 선택되면, 지정된 크기 이상의 바코드 객체를 포함하는 바코드 방식 운용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 상기 바코드 방식 운용 화면에서 상기 복합 결제 운용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복합 결제 운용 화면 전환 객체 선택 시 상기 복합 결제 운용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전자 장치의 전면 카메라를 이용해 바코드 리더기가 인식되면 바코드 화면으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동작, 전자 장치의 전면 카메라를 이용해 바코드 리더기가 화면에서 멀어질 경우 결제 동작을 자동으로 종료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전자 장치 전면을 하단으로 돌릴 경우, 자이로 센서 및 전면 근접 센서를 활용해 인지한 뒤 사용자에게 진동 및 음성으로 지정된 포즈(예: 전자 장치의 후면이 아래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포즈)를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 웨어러블 장치인 경우 지정된 동작에 대응하는 제스처 정보(웨어러블 장치를 특정 장소(예: 리더기가 위치한 지점)에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치화 또는 패턴화한 정보) 수행 시 결제가 실행되도록 제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핸드 오버 기능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핸드 오버 기능 객체 선택 시 복합 결제 운용 화면 또는 바코드 운용 화면 이외의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일시 중지하는 동작, 지정된 지문 정보 인식 시 상기 핸드 오버 기능을 해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수행과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자 장치(100)는 1101 화면에서와 같이, 결제 카드 이미지(1110)를 디스플레이(160)에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101 화면 내지 1109 화면에서와 같이 결제 카드 이미지(1110) 일측에 지정된 이미지 효과를 출력함으로써, 결제 가능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카드 이미지(1110)의 일측(예: 상측)에서 점진적으로 크기가 변경되는 원 객체(112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크기가 변경되는 원 객체(1120)는 결제 카드 이미지(1110)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크기가 변경되는 원 객체(1120)는 예컨대, 반지름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로 변화될 수 있다. 하나의 원 객체(1120)가 결제 카드 이미지(1110)의 일정 영역에서부터 점진적으로 크기가 변경되는 동안, 상기 원 객체(1120)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새로운 원 객체(1130)가 표시될 수 있다. 새로운 원 객체(1130)는 이전 원 객체(1120)와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새로운 원 객체(1130)는 이전 원 객체(1120)와 동일한 속도로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제가 가능한 상태 동안 상기 1101 상태 내지 1109 화면을 반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팝업 메시지를 통해 결제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LED 등을 켜서 사용자에게 결제 상태임을 알려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 가능 상태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MST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1101 화면 내지 1109 화면에 나타낸 화면 또는 토큰(token)과 관련된 정보에 해당하는 barcode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번갈아 또는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1101 화면 내지 1109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전자 장치의 일정 범위 안에 NFC 단말(terminal)이 존재하는지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일정 범위 안에 NFC 단말이 보내는 신호를 감지하여 NFC 단말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후에 전자 장치(100)는 NF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NFC 단말로 토큰과 암호 정보(예: cryptogram)을 전송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점에 근접하거나 들어갔을 때(결제 POS와 관련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환경에서) 결제 POS의 NFC 혹은 MST 혹은 Barcode 의 지원여부를 미리 파악하고, 파악된 지원 여부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UI 및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GPS 혹은 실내 측위 LBS 모듈 등의 기술로 위치를 파악하거나, 근거리 혹은 원거리 네트워크의 위치정보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POS의 NFC 혹은 MST 혹은 Barcode 지원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Bluetooth 혹은 BLE의 beacon 정보나 WIFI의 frame data 에서 결제 POS의 NFC 혹은 MST 혹은 Barcode 지원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POS 정보에 기반해 실제 결제 시에 NFC/MST/Barcode의 한 모듈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중 전자 장치(100)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를 위한 통신 신호는 전자 장치(100)의 뒷면을 통해 송출 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의 뒷면이 결제 리더기를 향할 수 있도록, 전자 장치(100)는 화면(예: 텍스트 출력, 이미지 출력, 비디오 출력), 소리, 진동 또는 햅틱으로 전자 장치(100)가 지향해야 할 방향 또는 취해야 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해 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결제 리더기가 근접하고 있다는 것이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를 뒤집어서 결제할 것을 오디오를 통해 안내해 주거나 진동 또는 햅틱을 통해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한 실시 예에 따른 토큰 유효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카드와 관련된 토큰(token)이 유효하지 않다면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카드 유효성과 관련한 팝업 노티(1220)를 디스플레이(160)에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팝업 노티(1220)는 결제 카드 이미지(12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화면에서 “ok”를 선택하는 이벤트(예: 사용자 터치 입력 또는 OK 선택에 대응하는 사용자 음성 입력)가 발생하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토큰의 지정된 사용 기간 초과 여부에 따라, 토큰의 유효성 여부를 확인하고, 지정된 사용 시간 초과 시, 해당 토큰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은 한 실시 예에 따른 토큰 유효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다른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토큰이 유효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MST 신호를 방출할 수 있고, 상기 MST 신호의 방출이 지속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토큰이 유효한 경우, MST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MST 신호의 방출이 종료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재시도와 관련한 메뉴 아이템(1320)을 디스플레이(160)에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뉴 아이템(1320)은 결제 카드 이미지(13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메뉴 아이템(1320) 선택과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자 장치(100)는 도 11에서 설명한 1101 화면 내지 1109 화면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MST 신호의 방출이 계속 되는 중에, 외부로부터 결제 완료 메시지를 받았는지 체크할 수 있다. 결제 완료 메시지를 받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결제가 완료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MST 신호 송출을 중단하고 결제가 완료 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완료 메시지는 토큰 서버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결제 완료 메시지는 Issuer(예: 카드 서버 또는 금융 서버 등)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완료 메시지는 POS 기기로부터 오는 메시지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거래 중 에러가 발생하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에러와 관련한 메시지를 오디오 또는 이미지나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한 실시 예에 따른 MST 신호 처리와 관련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MST 신호 송출 시작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MST의 경우 전자 장치에서 POS(1400)에게 신호를 송출하는 단방향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한 실시예에 따르면, POS(1400)가 전자 장치에서 송출하는 MST 신호 수신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결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1401 상태에서와 같이 근접센서를 활용하여 특정 거리 이내 근접한 사물이 있을 경우 근접한 사물을 POS(1400)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제 처리와 관련한 상황에서 근접 센싱 결과를 판단으로, MST 신호 송출 시작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1403 상태에서와 같이 카메라를 활용하여 POS(1400)의 특정 위치에 표시된 특정 이미지 또는 패턴이 인식될 경우 MST 신호 송출을 시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MST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 종료를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POS(1400)에서 결제 완료에 따라 발생시키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이를 기반으로 결제 신호를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POS(1400)에서 발생하는 영수증 출력 소리, 결제 완료 알림음 등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결제 종료를 위한 신호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영수증 출력 소리 또는 결제 완료 알림음 등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베이스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수집되는 영수증 출력 소리 또는 결제 완료 알림음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받는 결제 완료와 관련한 정보를 통해, 결제 완료를 판단하고, 결제와 관련한 MST 신호 송출을 중단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은행 서버 또는 카드 서버를 포함하는 금융 서버로부터 결제와 관련한 메시지를 SMS의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SMS를 수신하면, 수신된 SMS의 내용을 분석하여 사용한 카드의 결제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카드 결제 완료로 판단되면, 결제 관련 MST 신호 송출을 중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진행과 관련한 지정된 특정 서버에서 지정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매입 서버나 토큰 서버로부터 결제 완료와 관련한 메시지를 셀룰러 망이나 데이터 통신 망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해당 서버로부터 메시지를 받은 경우, 내용을 분석하여 사용한 카드 결제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카드 결제 완료로 판단되면, 결제 송출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POS(1400) 기기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여 결제 신호 송출을 중단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POS(1400) 기기를 센싱하다가, POS 기기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상 떨어지는 경우, 결제 신호(또는 와 관련한 MST 신호) 송출을 중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시작 시 인식한 이미지가 인식이 안될 경우 결제 신호송출을 중단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 중에 POS(1400)와 관련한 이미지가 획득되면 결제 신호를 송출하고, POS(1400)와 관련한 이미지가 획득되지 않으면, 결제 신호 송출을 중단할 수 있다.
결제 어플리케이션(payment application)을 실행 시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고, 배터리 잔량이 일정 레벨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결제 진행 불가와 관련한 메시지(예: 팝업 노티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잔량이 15% 이하이면 사용자에게 전력량에 대해서 팝업 노티(notification) 및 소리 혹은 진동으로 알린 후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 잔량이 10% 이하이거나 전류가 일정레벨 이하이면 결제 어플리케이션 자체를 실행 할 수 없도록 하며,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네트웍 연결 여부 및 네트웍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인지 여부, SIM 이용 가능(enabled) 상태 등을 확인하여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계속 진행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시점(예: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혹은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 장치의 부팅, 또는 결제 시도, 또는 토큰(token) 접근 시)에 결제 진행과 관련한 플랫폼이나 하드웨어 장치의 운용 가능 여부 또는 안정성 여부(예: 토큰(token)이 저장되는 TEE(trusted execution environment)의 운용 가능 여부 또는 안정성 여부, TEE에서 암호화 하여 전달된 토큰이 운용되는 REE(rich execution environment)의 운용 가능 여부 또는 안정성 여부, REE 또는 보안모듈(secure element)의 안정성 여부 확인,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바이러스 감염여부, malware 및 악성코드 감염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장치의 안정성이 파악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다양한 상황들 예컨대, 네트웍 연결 여부, 기준치 이상의 네트웍 데이터 전송 속도 지원 여부, SIM enabled 상태, 배터리 상태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여부와 실행 중 중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없을 경우 팝업 노티와 같이 디스플레이(160) 화면에 메시지를 통해 알리거나 소리 혹은 진동, LED 점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15는 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잔량과 관련한 결제 처리 화면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이전 또는 결제 신호 송출 이전에 지정된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결제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면,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배터리 잔량이 지정된 기준치 이상(예: 10%)인 경우 결제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설정된 전력 기준치 값을 체크하고, 전력 기준치 이상인 상황이면, 다음 결제 동작을 수행하고, 전력 기준치 미만인 상황이면,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1520)를 주어지고 결제를 동작을 취소할 수 있다. 상기 경고 메시지(1520)는 예컨대, 결제 카드 이미지(15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전력량을 실시간 확인하거나 또는 일정 기준에 따라 확인(예: 결제 진행 단계별로 확인)할 수 있다. 결제 진행 단계별 확인의 경우, 전자 장치(10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전,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MST 신호 송출 직전 또는 지정된 횟수 또는 시간 동안 MST 신호 송출 직후 등에,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다. 배터리의 전력량이 부족하면, 전자 장치(100)는 경고 메시지(1520)를 발생하고 결제 다음 단계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지문 결제 시도 전에 배터리 전력을 체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시점(예: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또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 장치의 부팅 시, 또는 결제 시도, 또는 토큰 접근 시)에 장치 요소의 무결성(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장치 요소로서 토큰이 저장되는 TEE, TEE에서 토큰을 암호화하여 운용하는 REE, REE 또는 보안모듈(secure element)의 안정성 여부, 어플리케이션의 바이러스 감염여부, malware 및 악성코드 감염 여부)을 파악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장치 요소의 안정성을 파악하는 과정에서도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배터리 잔량에 따라 해당 장치 요소의 안정성 파악의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결제 진행과 관련하여 네트웍 연결 여부, 네트웍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 SIM enabled 상태 등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기준치 이상인 경우 결제를 위한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배터리 잔량이 지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팝업 노티와 같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60)에 출력하거나, 소리 혹은 진동, LED 점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16은 한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선택과 관련한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도시된 1601 상태 내지 1605 상태에서와 같이 카드(예: 가상 카드 객체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요청되면, 1601 상태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다수의 카드 이미지가 겹쳐져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6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가장 상위에 보여주는 기본 카드 이미지(1610)는 사용자가 기본 카드로 설정한 카드와 관련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에 보여지는 기본 카드 이미지(161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외부 장치로부터 정보를 받아서 해당 상점에 결제 시에 할인 혜택이나 마일리지 적립 등 사용자에게 이익을 주는 카드와 관련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위치 정보 또는 상점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상점과 관련하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카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위치 정보 또는 상점 정보를 지정된 서버에 전송하고, 지정된 서버로부터 해당 상점과 관련하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카드 정보를 수신한 후, 그에 대응하는 카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에 보여지는 기본 카드 이미지(1610)는 최근에 등록된 카드와 관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최근 등록된 카드를 디폴트로 최상위에 출력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카드 등록 시, 최상위에 카드를 출력할 것인지를 묻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에 보여지는 기본 카드 이미지(1610)는 최근에 사용된 카드와 관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최근 사용한 카드 이력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카드 이미지들의 출력이 요청되면, 최근 사용 카드 이력을 참조하면, 해당 카드와 관련한 이미지를 최상위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 카드의 최근 이력 순서에 따라 최상위, 차상위 등의 위치에 카드 이미지들을 배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에 보여지는 기본 카드 이미지(1610)는 가장 많이 사용된 등록된 카드와 관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카드 사용 이력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카드 이미지 출력이 요청되면, 카드 이력을 확인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된 카드와 관련한 이미지를 최상위에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에 보여지는 기본 카드 이미지(1610)에 사용자 이벤트(예: 터치, 스와이프, 롱프레스)가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는 1603 상태에서와 같이, 겹쳐져있던 카드 이미지들을 기본 카드 이미지(1610)의 옆에 일정 크기로 펼쳐서 주변 카드 이미지들(1620)로 배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카드 이미지(1610) 옆에 일정 크기로 펼쳐져 있는 주변 카드 이미지들(1620) 중에 기본 카드 이미지(1610)에 해당하는 제1 카드 이미지(1611)는 다른 주변 카드 이미지들(1620)과 구별되게 표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기본 카드 이미지(1610) 이미지에 해당하는 제1 카드 이미지(1611)의 외곽선에 별도의 선을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카드 이미지(1611)를 다른 주변 카드 이미지들(1620)과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카드 이미지(1611)를 다른 주변 카드 이미지들(1620)보다 선명하게 표시하거나, 또는 다른 주변 카드 이미지들(1620)을 제1 카드 이미지(1611) 보다 희미하게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카드 이미지를 다른 주변 카드 이미지들(1620)보다 크게 표시하거나 주변 카드 이미지들(1620)보다 순서상으로 앞(상단 또는 리스트 상에서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60)의 한 화면에 주변 카드 이미지들(1620)이 다 표시되지 못할 경우 추가적으로 카드를 볼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스와이프 제스처 또는 스크롤 제스처에 대응하는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표시되지 않은 주변 카드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스크롤 이벤트의 방향에 따라 주변 카드 이미지들(1620)을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켜 보이지 않았던 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펼쳐진 다수의 카드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1605 상태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카드 이미지를 새 기본 카드 이미지(1630)로 설정 할 수 있다. 카드를 선택하는 동작은 예를 들면, 사용자 터치, 롱프레스 터치, 해당 카드 이미지 선택 후 기존 기본 카드 이미지(1610) 이미지 쪽으로 드래그 앤드 드랍, 해당 카드 이미지 선택 후 기존 기본 카드 이미지(1610) 이미지 쪽으로 스와이프 하는 동작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완료하면, 1605 상태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펼쳐졌던 카드 이미지가 겹쳐진 카드 이미지로 변경 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카드가 상위 카드 위치에 놓이도록 디스플레이(160)에 카드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7은 한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선택과 관련한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1701 상태에서와 같이, 카드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1 디스플레이(1710)와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17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화면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1710)에 다수의 카드 이미지가 겹쳐져 있는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가장 상위에 보여주는 카드 이미지는 기본 카드로 설정한 카드와 관련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에 보여지는 상위 카드 이미지(1730)는 지정된 특정 카드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상위 카드 이미지(1730)는 현재 위치 또는 전자 장치가 위치한 지점의 상점 등에서 우선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된 카드, 최근 등록된 카드, 최근 사용된 카드, 가장 많이 사용된 카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1710)에 표시된 겹쳐진 카드 이미지의 상위에 보여지는 상위 카드 이미지(1730)에 사용자 이벤트(예: 터치, 스와이프, 롱프레스)가 입력되면, 1703 상태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겹쳐져있던 주변 카드 이미지들(1740)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1710)와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1720)에 펼쳐서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카드 이미지들(1740) 중 상위 카드 이미지(1730)와 관련한 제1 카드 이미지(1731)는 다른 주변 카드 이미지들(1740)과 구별되게 표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1710)에서 상위 카드 이미지(1730)와 관련하여 제2 디스플레이(1720)에 표시된 제1 카드 이미지(1731) 외곽에 별도의 표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1720)에 표시된 제1 카드 이미지(1731)를 다른 주변 카드 이미지들(1740)과 색이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1720)에 표시된 제1 카드 이미지(1731)의 투명도 또는 선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주변 카드 이미지들(1740)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1720)에 표시된 제1 카드 이미지(1731)를 다른 주변 카드 이미지들(1740)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드 이미지(1731)는 제2 디스플레이(1720) 내에서 다른 주변 카드 이미지들(1740)보다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1720) 화면에 주변 카드 이미지들(1740)이 다 보이지 않을 경우, 전자 장치(100)는 보이지 않는 주변 카드 이미지들을 추가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제1 디스플레이(1710) 또는 제2 디스플레이(17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1720) 상에서 발생하는 스와이프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되지 않은 주변 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60)에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1720) 화면에 펼쳐진 다수의 카드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카드 이미지를 기본 카드로 설정 할 수 있다. 카드를 선택하는 동작은 예를 들면, 제2 디스플레이(1720)에 대한 사용자 터치, 롱프레스 터치, 해당 카드 이미지 선택 후 제1 디스플레이(1710) 쪽으로 드래그 앤드 드랍, 해당 카드 이미지 선택 후 제1 디스플레이(1710) 쪽으로 스와이프 하는 동작을 포함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완료하면, 1705 상태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펼쳐졌던 카드 이미지가 겹쳐진 카드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위 카드 이미지는 제2 디스플레이(1720)에서 선택된 카드에 대응하는 상위 카드 이미지(1750)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결제 정보 전송을 제어함에 있어서, 다양한 조건을 통해 상태 및 상황을 인식하여, 결제 정보 전송이 필요한 또는 불필요한 시점을 파악하고, 결제 정보 전송을 제어함으로써 단말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높은 보안성을 확보하며, 결제 처리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노출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거나, 상기 전자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된 입력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사용자 인증 장치,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외부 결제 장치로 자기 신호(magnetic signal)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도전성 패턴(예: MST 모듈), 상기 도전성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통신 회로, 셀룰러 및/또는 근거리 통신을 제공하는 제2 통신 회로, 상기 전자장치의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인증 입력 장치, 상기 제1 통신 회로, 제2 통신 회로, 및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결제에 사용되는 토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인증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토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자기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회로 및 상기 도전성 패턴을 통하여 외부 결제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의 오리엔테이션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전자장치를 선택된 오리엔테이션으로 변경하도록 안내하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은, 오디오 출력, 텍스트 출력, 이미지 출력, 비디오 출력, 진동 또는 햅틱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미지 획득 장치(또는 센서, 또는 이미지 센서, 또는 광학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예: 획득된 이미지 분석 결과로부터 추출된 지정된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오디오 수집 장치(예: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오디오 수집 장치를 통해 외부로부터 음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음향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예: 수집된 오디오 데이터의 분석 결과로부터 추출된 지정된 패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집 시,) 상기 자기 신호 전송을 제어(예: 중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수신된 메시지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예: 수신된 SMS를 분석하고, 분석된 SMS를 기반으로 결제 완료로 판단되면,) 상기 자기 신호 전송을 제어(예: 송출을 중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고, 지정된 패턴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자기 신호를 송출을 중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지정된 서버(예: Acquirer나 TSP)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여부와 관련한 피드백을 기반으로 상기 자기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결제 완료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자기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노출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거나, 상기 전자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된 입력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사용자 인증 장치,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외부 결제 장치로 자기 신호(magnetic signal)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도전성 패턴, 상기 도전성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통신 회로, 셀룰러 및/또는 근거리 통신을 제공하는 제2 통신 회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인증 입력 장치, 상기 제1 통신 회로, 제2 통신 회로, 및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결제에 사용되는 토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 후에, 결제를 위한 정보 및/또는 토큰의 무결성(integrity)을 체크하고, 상기 체크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토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자기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회로 및 상기 도전성 패턴을 통하여 외부 결제 장치로 전송할 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자기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결정하고, 전송하지 않도록 한 결정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노출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거나, 상기 전자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된 입력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사용자 인증 장치,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외부 결제 장치로 자기 신호(magnetic signal)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도전성 패턴, 상기 도전성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통신 회로, 셀룰러 및/또는 근거리 통신을 제공하는 제2 통신 회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인증 입력 장치, 상기 제1 통신 회로, 및 제2 통신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결제에 사용되는 토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수신 후에, 상기 제1 통신회로를 사용한 결제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결제용 카드를 나타내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선택된 배열로 표시하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의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들 위에 중첩되어 보이도록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상에 선택된 시간 동안 또는 선택된 압력의 터치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보다 작은 크기로 상기 다른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실질적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표시하고, 상기 작은 크기로 표시된 다른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다른 이미지들 중 선택된 하나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인증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토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자기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회로 및 상기 도전성 패턴을 통하여 외부 결제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선택된 배열로 상기 제1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작은 크기로 표시된 다른 이미지들을 상기 제2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화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부러진(bent) 형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상기 하나의 이미지는, 가장 최근에 사용된 결제용 카드, 가장 빈번히 사용된 결제용 카드, 또는 가장 최근에 추가된 결제용 카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하는 블럭도(1800)이다.
도 18을 참조하여, 전자 장치 (1801, 1802 또는 1804) 또는 서버(1806)가 네트워크(1862) 또는 근거리 통신(1864)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801)는 버스(1810), 프로세서(1820), 메모리(1830), 입출력 인터페이스(1850), 디스플레이(18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8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8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810)는,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1810-18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8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8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8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8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8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841), 미들웨어(18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18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8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841), 미들웨어(1843), 또는 API(18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8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843), API(18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8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810), 프로세서(1820), 또는 메모리(18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841)은 미들웨어(1843), API(18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847)에서 전자 장치(18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843)는, 예를 들면, API(18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847)이 커널(18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8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8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8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8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8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810), 프로세서(1820), 또는 메모리(18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미들웨어(1843)는 상기 적어도 하나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에 대한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PI(184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847)이 커널(1841) 또는 미들웨어(18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8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8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850)는 전자 장치(18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8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801)와 외부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1802), 제2 외부 전자 장치(1804), 또는 서버(18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8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8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2 외부 전자 장치(1804) 또는 서버(18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1864)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1864)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MST(magnetic stripe transmission),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ST는 전자기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펄스는 자기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801)는 상기 자기장 신호를 POS(point of sales)에 전송하고, POS는 MST 리더(MST reader)를 이용하여 상기 자기장 신호는 검출하고, 검출된 자기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GNSS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폭 등에 따라,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혼용되어 사용(interchangeably used)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8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1802, 1804) 각각은 전자 장치(18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80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8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802,1804), 또는 서버(18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8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8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802, 1804), 또는 서버(18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802, 1804), 또는 서버(18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8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8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901)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1901)는,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전자 장치(18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9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application processor))(1910), 통신 모듈(1920), 가입자 식별 모듈(1929), 메모리(1930), 센서 모듈(1940), 입력 장치(1950), 디스플레이(1960), 인터페이스(1970), 오디오 모듈(1980), 카메라 모듈(1991), 전력 관리 모듈(1995), 배터리(1996), 인디케이터(1997), 및 모터(199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9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9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0)는 도 1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19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910) 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20)은, 도 18의 통신 인터페이스(18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19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1921), WiFi 모듈(1922), 블루투스 모듈(1923), GNSS 모듈(1924)(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1925), MST 모듈(1926), 및 RF(radio frequency) 모듈(1927)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19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9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1929)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9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921)은 프로세서(19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9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1922), 블루투스 모듈(1923), GNSS 모듈(1924), NFC 모듈(1925) 또는 MST 모듈(1926)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921), WiFi 모듈(1922), 블루투스 모듈(1923), GNSS 모듈(1924), NFC 모듈(1925) 또는 MST 모듈(1926)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1927)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1927)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921), WiFi 모듈(1922), 블루투스 모듈(1923), GNSS 모듈(1924), NFC 모듈(1925) 또는 MST 모듈(1926)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1929)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930)(예: 메모리(18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1932) 또는 외장 메모리(19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19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9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9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1901)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안 모듈(1936)은 메모리(1930)보다 상대적으로 보안 레벨이 높은 저장 공간을 포함하는 모듈로써, 안전한 데이터 저장 및 보호된 실행 환경을 보장해주는 회로일 수 있다. 보안 모듈(1936)은 별도의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별도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1936)은, 예를 들면, 탈착 가능한 스마트 칩, 시큐어 디지털(secure digital(SD)) 카드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901)의 고정 칩 내에 내장된 내장형 보안 요소(embedded secure element(eS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모듈(1936)은 전자 장치(1901)의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OS))와 다른 운영 체제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JCOP(java card open platform)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센서 모듈(19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19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19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1940A), 자이로 센서(1940B), 기압 센서(1940C), 마그네틱 센서(1940D), 가속도 센서(1940E), 그립 센서(1940F), 근접 센서(1940G), 컬러(color) 센서(19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1940I), 온/습도 센서(1940J), 조도 센서(19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19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 모듈(19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9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901)는 프로세서(19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19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19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19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19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19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1954), 키(key)(19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19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9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9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19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19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19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1958)는 마이크(예: 마이크(19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960)(예: 디스플레이(1860))는 패널(1962), 홀로그램 장치(1964), 또는 프로젝터(1966)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1962)은, 도 18의 디스플레이(16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19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1962)은 터치 패널(19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19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19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9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960)는 패널(1962), 홀로그램 장치(1964), 또는 프로젝터(19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9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1972), USB(universal serial bus)(19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1976), 또는 D-sub(D-subminiature)(19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970)는,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and alternatively), 인터페이스(19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98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19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8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45)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980)은, 예를 들면, 스피커(1982), 리시버(1984), 이어폰(1986), 또는 마이크(19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9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9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9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9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19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19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997)는 전자 장치(19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19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19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190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201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2010)(예: 프로그램(184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801))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OS))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8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즈(windows), 심비안(symbian), 타이젠(tizen), 또는 바다(bada) 등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2010)은 커널(2020), 미들웨어(2030),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206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207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20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preload) 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802, 1804), 서버(1806) 등)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가능하다.
커널(2020)(예: 커널(1841))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2021) 및/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20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202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2021)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202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203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20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20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2060)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20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2030)(예: 미들웨어(1843))는 런타임 라이브러리(20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2041),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2042), 멀티미디어 매니저(multimedia manager)(2043),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2044), 파워 매니저(power manager)(20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2046), 패키지 매니저(package manager)(2047), 연결 매니저(connectivity manager)(2048), 통지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2049), 위치 매니저(location manager)(2050), 그래픽 매니저(graphic manager)(2051), 보안 매니저(security manager)(2052), 또는 결제 매니저(20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20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20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20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4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20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2042)는 화면에서 사용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2043)는 다양한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en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2044)는 어플리케이션(20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메모리 또는 저장 공간 등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2045)는, 예를 들면,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등과 함께 동작하여 배터리(battery)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046)는 어플리케이션(20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20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2048)는, 예를 들면,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통지 매니저(2049)는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사건(event)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표시 또는 통지할 수 있다. 위치 매니저(2050)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2051)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2052)는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 등에 필요한 제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801))가 전화 기능을 포함한 경우, 미들웨어(20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 매니저(telephony manag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제 매니저(2054)는 어플리케이션(2070)으로부터 결제를 위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2070) 또는 커널(2020)에 중계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결제에 관련된 정보를 전자 장치(200) 내부에 저장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미들웨어(203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기능의 조합을 형성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2030)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 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20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2060)(예: API(1845))는,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tizen)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207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847))은, 예를 들면, 홈(2071), 다이얼러(2072), SMS/MMS(2073), IM(instant message)(2074), 브라우저(2075), 카메라(2076), 알람(2077), 컨택트(2078), 음성 다이얼(2079), 이메일(2080), 달력(2081), 미디어 플레이어(2082), 앨범(2083), 시계(2084), 결제(2085), 건강 관리(health care)(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 제공(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207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8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802, 1804))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설명의 편의 상,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802, 1804))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802, 1804))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 등)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2070)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802, 1804))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의료 기기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2070)은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106) 또는 전자 장치(1802, 1804))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2070)은 프리로드 어플리케이션(preloaded application) 또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제3자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2010)의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운영 체제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20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201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1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2010)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8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830)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운용되는 REE 및 TEE를 도시하는 블럭도(2100)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보안 강화를 위해 복수의 보안 레벨을 가진 실행 환경을 운용할 수 있다. 복수의 실행 환경은, 예를 들면, REE(rich execution environment)(2110) 및 TEE(trunsted execution environment)(2120)를 포함할 수 있다. REE(2110)는, 예를 들면, 제1 보안 레벨을 가지는 제1 실행 환경일 수 있다. TEE(2120)는, 예를 들면, 제1 보안 레벨과 다른(예: 높은) 제2 보안 레벨을 가지는 제2 실행 환경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801)는 제 3 보안 레벨을 가지는 추가적인 다른 실행 환경(예: 제 3 실행 환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EE(2120)는 상대적으로 높은 보안 레벨이 요구되는 데이터를 안전한 환경 내에서 저장하고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EE(2120)는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상에서 동작하고, 전자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결정된 신뢰할 수 있는 하드웨어 구조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TEE(21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를 일반 영역과 보안 영역으로 구분하여 보안 영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TEE(2120)는 보안이 필요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보안 영역에서만 동작하게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하드웨어의 물리적 변경 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 변경을 통하여 TEE(2120)를 운용할 수 있다.
TEE(2120)는 REE(2110)와 하드웨어적인 제약을 통하여 서로 분리될 수 있고, 동일한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분리되어 동작할 수 있다. REE(2110)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예: 결제, 컨택트, 이메일, 또는 브라우저 등)은 TEE(2120)에 접근이 허용된 API(예: TEE functional API 또는 TEE client API)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API를 이용하여 REE(2110)의 통신 에이전트(REE communication agent)에서 TEE(2120)의 통신 에이전트)(TEE communication agent)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하드웨어적으로 TEE(2120)에만 전달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TEE(2120)의 통신 에이전트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메시지와 관련된 보안 어플리케이션(trusted application(TA))(예: DRM, 보안 결제 모듈, 또는 보안 생체 정보 모듈 등)에 전달할 수 있다. 보안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메시지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작에 대한 결과를 TEE(2120)의 통신 에이전트를 통하여 REE(2110)의 통신 에이전트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REE(2110)의 통신 에이전트는 REE(2110)에서 운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TEE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하는 블럭도(2200)다.
도 22의 (a)는 하드웨어적으로 하나의 프로세서와 하나의 메모리를 REE와 TEE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경우(예: ARM의 트러스트존(Trustzone(TZ)))를 도시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TEE의 하드웨어 구조는 On-SoC(2210) 및 external memories(2220)를 포함할 수 있다. On-SoC(2210)는 마이크로 프로세싱 코어(2201), RAM(2202), ROM(2203), peripheral(2204), crypto accelerator(2205) 또는 OTP fields(2206)를 포함할 수 있다. 트러스트존은 둘 이상의 실행 환경을 운용하기 위해 프로세서를 시간적으로 분리하여 REE와 TEE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트러스트존은 하나의 메모리를 REE에서 접근 가능한 영역 및 TEE에서 접근 가능한 영역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2의 (b)는 TEE를 위한 프로세서가 REE를 운용하기 위한 프로세서와 같이 on-chip형태로 구현되어 있지만 별도의 프로세싱 코어 셋으로 구현된 경우를 도시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On-SoC(2210)는 마이크로 프로세싱 코어(2201) 이외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On-chip security subsystem(2207)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On-SoC(2210)은 REE를 운용하고, On-chip security subsystem(2207)은 TEE를 운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2의 (b)의 경우 도 22의 (a)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메모리를 REE에서 접근 가능한 영역 및 TEE에서 접근 가능한 영역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2의 (c)는 TEE를 위한 프로세서가 하드웨어적으로 별도의 chip으로 구현되어 REE를 운용하기 위한 프로세서가 구현된 chip과 분리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22의 (c)를 참조하면, On-Soc(2210)는 REE를 운용하고, 상기 On-Soc(2210)의 외부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external security co-processor(2230)는 TEE를 운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2300)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시스템(2300)은, 전자 장치(device)(2310) 및/또는 서버(serv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서버는 결제 서버(2320), 토큰 서버(token server, token service provider)(2330), 또는 금융 서버(issuer)(2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310)는, 예를 들면, 결제 어플리케이션(payment application, wallet application)(2312) 및/또는 결제 매니저(2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서버(2320)는, 예를 들면, 결제 서비스 서버(2322) 및/또는 토큰 요구자 서버(token requester, token requester server)(232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2312)은, 예컨대, 삼성 페이 어플리케이션(Samsung PayTM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2312)은, 예를 들면, 결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UI(user interface) 또는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월렛 사용자 인터페이스(wallet UI/UX)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2312)은, 카드 등록(card registration), 지불(payment), 또는 거래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2312)은, 예를 들면, 문자 판독기(예: OCR(optical character reader/recognition)) 또는 외부 입력(예: 사용자 입력)을 통한 카드 등록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2312)은, 예를 들면, 신원 확인(ID&V,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을 통한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2312)은 결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2312)은, Simple Pay, Quick Pay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사용자에게 결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2312)을 이용하여 결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결제 기능과 연관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매니저(2314)는, 카드사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제 매니저(2314)는, 카드사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서버(2320)는, 전자 결제 또는 모바일 결제를 위한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서버(2320)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2310)로부터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해서 외부로 송신하거나 상기 결제 서버(2320)에서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서버(2320)는, 상기 결제 서비스 서버(2322) 및/또는 토큰 요구자 서버(2324)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2310)와 상기 토큰 서버(2330)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서비스 서버(2322)는, 예를 들면, 결제 서버(예: Samsung payment server)(2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서비스 서버(2322)는, 예를 들면, 서비스 계정(예: Samsung account) 또는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카드 정보를 관리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서비스 서버(2322)는,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2312)과 관련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서비스 서버(2322)는, 예를 들면, 상기 계정 관리 모듈(예: account integration 또는 Samsung account integr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 요구자 서버(2324)는,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토큰 요구자 서버(2324)는, 결제와 관련된 정보(예: 토큰(token))의 발급, 삭제, 또는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제 매니저(2314)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310)에 포함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2312)과 상기 결제 서버(2320)에 포함된 상기 결제 서비스 서버(2322)는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2312)은 상기 결제 서버(2320)로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기 전자 장치(2310)에 포함된 상기 결제 매니저(2314)와 상기 결제 서버(2320)에 포함된 상기 토큰 요구자 서버(2324)는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제 매니저(2314)는 상기 토큰 요구자 서버(2324)로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 서버(2330)는, 결제와 관련된 정보(예: 토큰)를 발급하거나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토큰 서버(2330)는, 토큰의 동작 주기(like cycle)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주기는 생성, 수정, 또는 삭제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큰 서버(2330)는, 예를 들면, 토큰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토큰 설정(token provisioning), 신원 확인(ID&V,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갱신(replenishment), 또는 Life Cycle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토큰 서버(2330)는 금융 서버와 관련된 정보의 통합(integ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서버(2320) 및/또는 상기 토큰 서버(2330)는 동일 또는 유사한 영역에 위치하거나 서로 분리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제 서버(2320)는 제1 서버에, 상기 토큰 서버(2330)는 제2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결제 서버(2320) 및/또는 상기 토큰 서버(2330)가 하나의 서버(예: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에 구분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다르면, 상기 금융 서버(2340)는 카드 발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금융 서버(2340)는, 카드 발급 은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융 서버(234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금융 서버(2340)에서 생성된 상기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2312)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23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버(2340)는 상기 토큰 서버(233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럭도(2400)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결제 시스템은 전자 장치(2410)(예: 전자 장치(1801)), 결제 서버(2420)(예: 서버(1806)),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token service provider(TSP))(2430)(예: 서버(1806) 또는 다른 서버(미도시)) 및 POS(point of sales)(2440)(예: 전자 장치(18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추가 전자 장치(2450 or 2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2410)와 기능적으로(예: 통신) 연결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2450)(예: 스마트 시계) 또는 액세서리(2460)(예: LoopPayTM사의 fob 형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LoopPayTM 사의 fob 형태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전자 장치(2410)와 연결된 외부 결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410)는 결제 기능을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2410)는 결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카드(예: 마스터카드 또는 비자 등의 신용 카드)를 전자 장치(2410) 또는 결제 서버(2420)에 등록할 수 있다. 결제 서버(2420)는 전자 장치(2410)를 통해서 등록된 카드 외에도, 전자 장치(241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450))를 통해서 등록된 카드 또는 다른 사용자의 전자 장치를 통해서 등록된 다른 카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등록된 카드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서버(2420)는 등록된 카드 정보에 해당하는 토큰 정보를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로부터 획득하여 전자 장치(2410)에 전달할 수 있다. 결제 서버(2420)는, 예를 들면, 결제 서비스 서버 또는 토큰 요구자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카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결제 서비스 서버는 계정을 기반으로 결제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토큰 요구자 서버는 결제 동작에 필요한 토큰 정보를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에게 요청하여 토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는 결제 과정에서 사용되는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토큰은 카드의 정보인 primary account number(PAN)을 대체하는 값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토큰은 bank identification number(BIN) 등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토큰은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에 의해서 암호화되거나,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결제 서버(2420)로 전송된 후, 결제 서버(2420)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다. 암호화된 토큰 정보는 결제 서버(2420)를 통해 전자 장치(2410)로 전달된 후, 전자 장치(2410)에서 복호화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토큰은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에서 생성 및 암호화되고, 결제 서버(2420)를 거치지 않고 전자 장치(241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서버(2420)는 토큰 생성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 결제 시스템에는 별도의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자 장치(2410)는,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 또는 WiFi)에 기반하여 기능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들(2450 또는 760)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전자 장치(2450)는 웨어러블 장치(예: 스마트 시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 장치(2410)는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로부터 전달된 토큰을 웨어러블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전자 장치(2460)는 액세서리(예: LoopPayTM사의 fob 형태 장치))일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전자 장치(24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850)(예: 이어폰(1986))를 통하여 상기 액세서리(예: LoopPayTM사의 fob 형태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500)는,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2501), 가속도 센서(2503), 자이로 센서(2505), 생체 센서(2507), MST 모듈(2510), NFC 모듈(2520), MST 제어 모듈(2530), NFC 제어 모듈(2540), 프로세서(2550), 및 메모리(256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501)은 결제에 필요한 카드를 촬영하여 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501)은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능을 통해 카드에 표기되어 있는 카드 정보(예: 카드 회사, 카드 넘버, 카드 유효 날짜, 또는 카드 소유주 등)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2500)에 포함된 입력 장치(예: 터치 패널, 펜 센서, 키, 초음파 입력 장치, 또는 마이크 입력 장치 등)를 이용하여 필요한 카드 정보를 전자 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속도 센서(2503) 또는 자이로 센서(2505)는 결제 시 전자 장치(2500)의 위치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전자 장치(2500)(예: 전자 장치(1801))의 위치 정보는 프로세서(2550)에 전달되고, 프로세서(2550)는 획득된 전자 장치(2500)의 위치 상태에 기반하여 MST 모듈(2510)에서 POS로 송출되는 자기장의 세기(전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2550)는 코일 안테나가 복수개인 경우, 사용되는 코일 안테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MST 제어 모듈(2530)은 데이터 수신 모듈(2531) 및 출력 변환 모듈(2533)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 모듈(2531)은 프로세서(2550) 또는 보안 모듈(예: eSE)이 전송하는 결제 정보를 포함한 logical low/high 형태의 펄스 시그널(pulse signal)을 전달받을 수 있다.
출력 변환 모듈(2533)은 데이터 수신 모듈(2531)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MST 모듈(2510)로 전달하기 위하여, 필요한 형태로 변환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는 MST 모듈(2510)의 양단에 공급되는 전압의 방향을 제어하는 H-Bridge를 포함할 수 있다. H-Bridge는 4개의 스위치 구조를 이용해서 H 모양으로 연결한 회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듈(2501) 또는 입력 장치(예를 들면, 터치 패널, 펜 센서 등)를 통해 입력된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2500)는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해 카드 회사/은행 서버로부터 마그네틱 카드의 magnetic stripe에 포함되어 있는 결제 정보(예: track 1/2/3 또는 token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2500)는 수신된 결제 정보를 메모리(2560) 또는 별도의 보안 모듈(예: eSE)에 필요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복수개의 MST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다른 무선 근거리 통신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내부의 H/W 블럭도이다.
도 26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600)는 MST 데이터 전송부(2610), MST 제어 모듈(2630a), 제1 출력부(2650), 전력 제어부(2620), 무선 충전 제어 모듈(2640), 제2 출력부(2660)를 포함할 수 있다. MST 데이터 전송부(2610)는 제1 데이터 수신 모듈(2631), 제1 출력 변환 모듈(2632), 제2 데이터 수신 모듈(2633), 제2 출력 변환 모듈(2634)을 포함할 수 있다. MST 데이터 전송부(2610)는 제1 데이터 수신 모듈(2631) 또는 제2 데이터 수신 모듈(2633) 중 어느 하나에 신호를 전달하고, 해당 신호는 제1 출력 변환 모듈(2632), 제2 출력 변환 모듈(2634)에 의해 변환된 후, 제1 출력부(2650) 또는 제2 출력부(2660)를 통해 송출될 수 있다. 제2 출력부(2660)는 무선 충전 제어 모듈(2640)과 연결되어 무선 전력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전력 제어부(2620)는 단말에 포함된 전력 관리 모듈(295)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출력부(2650)에 해당하는 MST 모듈은, 예를 들면, 약10uH의 인덕턴스 값을 가지는 코일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제어 모듈(2640)은 AC/DC 컨버터, 또는 정류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6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600)는 MST 데이터 전송부(2610), MST/무선 충전 제어 모듈(2630b), 전력 제어부(2620), 제1 MST 모듈(2671), 제2 MST 모듈(26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ST/무선 충전 제어 모듈(2630b)은 MST 드라이버(2635), 무선 충전 드라이버(26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ST 드라이버(2635)는 데이터 수신 모듈(2637) 및 출력 변환 모듈(26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드라이버(2641)는 AC/DC 컨버터, 또는 정류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2600)는 복수개의 MST 출력부(2671, 2672) 중 적어도 하나의 MST 모듈을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용 코일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MST 모듈(2672)이 무선 충전 Driver(2641)와 연결되어 무선 충전 모듈(무선 충전 코일 안테나)로 동작하는 경우, 제2 MST 모듈(2672)과 MST 드라이버(2635)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연결이 형성되도록 (예: open 상태) 스위칭 부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26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600)는 MST 데이터 전송부(2610), MST 제어 모듈(2630c), 제1 MST 모듈(2671), 제2 MST 모듈(2672), NFC 모듈(2680), NFC 제어 모듈(2681), 스위칭 회로(2682)를 포함할 수 있다. MST 제어 모듈(2630c)는 도 26a에서의 MST 제어 모듈(2630a)와 유사하게, 제1 데이터 수신 모듈(2631), 제2 데이터 수신 모듈(2633), 출력 변환 모듈들(2632, 26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MST 모듈(2672)는 선택적으로 MST 데이터 송출에 이용되거나 또는 NFC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될 수 있다. 제2 MST 모듈(2672)이 NFC 코일 안테나로 사용되는 경우, 코일 안테나의 turn 수 또는 인덕턴스 값을 조정하기 위해, 전자 장치(2600)는 스위칭 회로(2682)를 운용할 수 있다.
도 2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실행 환경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700)의 실행 환경은, 예를 들면, REE(2710) 및 TEE(27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REE(2710)는 결제를 위해서, 예를 들면, 결제 어플리케이션(2730)(예: 결제 어플리케이션(2085)), 결제 매니저(2740)(예: 결제 매니저(2054)), 및 커널(2750)(예: 커널(20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어플리케이션(2730)은 결제 관리 모듈(2731), 서버 연동 모듈(2733), 인증 모듈(2735), 주변 장치 관리 모듈(2737)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관리 모듈(2731)은 카드 등록, 카드 인증, 카드 삭제, 및 결제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제 관리 모듈(2731)은 사용자의 카드를 등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700)(예: 전자 장치(1801))는 사용자로부터 카드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2700)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카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결제 관리 모듈(2731)은 OCR 모듈을 통해 카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결제 관리 모듈(2731)은 카드 정보에 연관된 정보(예: 비밀번호, 집 주소, 이메일 주소, 전화 번호, 또는 계정 ID)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거나 결제 서버(24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관리 모듈(2731)은 등록된 카드를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86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등록된 카드 중 적어도 일부 정보(예: 카드 이름, 집 주소, 전화 번호, 결제 시도 횟수, 또는 결제 알림 정보 수신 여부 등)를 수정할 수 있다. 결제 관리 모듈(2731)은 각각의 카드에 따른 거래 내역을 표시할 수 있다. 결제 관리 모듈(2731)은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웨어러블 장치(예: 스마트 와치)에 등록된 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관리 모듈(2731)은 등록된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결제를 위해 등록된 다수의 카드 중 하나의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2700)를 POS(point of sales)(1400)로 가져갈 수 있다. 결제 관리 모듈(2731)은 POS(1400)로부터 전달받은 제품 정보(예: 가격)를 디스플레이(1860)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결제 관리 모듈(2731)은 결제를 위해 인증 모듈(2735)을 통해 사용자 인증(예: 지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이 완료 된 경우, 결제 관리 모듈(2731)은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18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700)는 MST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제 정보를 POS(1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MST 모듈과 NFC 모듈을 동시에 이용하여 결제 정보를 POS(1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혹은, MST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결제가 실패했을 경우 전자 장치(2700)는 NFC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결제가 실패한 경우를 인식하는 방법은 POS(1400) 또는 3rd party(예: financial institution)로부터 알림을 받거나 지정된 시간을 초과했을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는 순서에 한정하지 않으며, 반대로도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700)는 사용자가 기 등록된 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삭제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결제 관리 모듈(2731)은 해당 카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메모리(1830)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 결제 관리 모듈(273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삭제할 것을 결제 서버(2420)에 요청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관리 모듈(2731)은 카드의 소유주와 카드 등록을 하는 사용자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결제 관리 모듈(2731)은, 예를 들면, ID&V(identification & verification)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 관리 모듈(2731)은 문자, 이메일, ARS, 또는 전화 통화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드사 또는 은행에서 발행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제 관리 모듈(2731)을 통해 등록된 카드는 인증을 거친 후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관리 모듈(2731)은 OCR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OCR 모듈은 사람이 쓰거나 기계로 인쇄한 문자의 이미지를 스캐너로 획득하여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문자로 변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2700)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카드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OCR 모듈은 카드 이미지로부터 카드에 기입된 이미지, 문자, 또는 숫자를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문자로 변환할 수 있다. OCR 모듈은 변환된 문자를 통해 사용자의 카드 정보(예: 카드 번호, 사용자 이름, 또는 유효 기간)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700)는 OCR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카드 정보를 획득하여 카드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관리 모듈(2731)은 결제를 하기 위해 생성된 바코드를 디스플레이(18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관리 모듈(2731)은 POS(2440)로부터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결제가 수행될 수 있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결제 관리 모듈(2731)은 상기 명령에 기반하여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연동 모듈(2733)은 결제 서버(2420) 또는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로부터 결제 관련 메시지, 기기 관련 메시지, 또는 서비스 관련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 연동 모듈(2733)은 상기 메시지를 결제 관리 모듈(2731)로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연동 모듈(2733)은, 예를 들면, 푸시 관리 모듈(push management module) 및 계정 관리 모듈(account management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서버(242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토큰(token)과 연관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형태면 푸시 관리 모듈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처리하고, 수신한 메시지가 계정 관련 정보(예: 삼성 계정)면 계정 관리 모듈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관리 모듈은 결제 서버(2420)로부터 수신된 푸시 알림 또는 푸시 메시지(push notification 또는 push message) 정보를 연산, 처리(handle)할 수 있다. 푸시 메시지는 결제 매니저(payment manager)(2740 또는 2054) 내부의 결제 중계 모듈(2741)을 통하여 결제 어플리케이션(2730) 내부의 서버 연동 모듈(2733)로 전달될 수 있고, 직접적으로 결제 어플리케이션(2730)으로 전달 될 수 있다. 전달된 푸시 메시지 중에서 적어도 일부 메시지는 결제 관리 모듈(2731)로 전달되어 카드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결제 서버(2420)와 동기화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서버(2420)는 계정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계정 서버 또는 결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토큰 요구자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계정 서버와 토큰 요구자 서버는 별도의 장치(예: 서버 1806)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관리 모듈에서 수신되는 메시지 정보는 아래 표 1과 같이 권한 설정(예: token provisioning), 중지(예: token suspension), 폐기(예: token disposal), 상태 전환(예: token status change), 추가 발급(예: token replenishment), 결제 확인(예: transaction notification) 등의 토큰 및 결제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정 관리 모듈에서 송신/수신하는 메시지는 분실 전자 장치 확인 기능(예: lost device, find my mobile), 원격 차단(예: remote lock/unlock), 멤버십 관리(예: loyalty/membership cards), 웹 연동 기능(예: website portal-online) 등의 전자 장치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 할 수 있다.
Push management Use case details
Token Token provisioning withID & V 외부서버에서 전자 장치 내 푸시 관리 모듈로 Identification, verification 목적의 카드 정보를 토큰 설치 및 인증을 위해 내려줌
Token suspension 외부서버에서 전자 장치 내 푸시 관리 모듈로 토큰의 사용 중지를 위해 전달
Token resume 외부서버에서 전자 장치내 푸시 관리 모듈로 토큰의 사용 재개를 위해 전달
Token disposal 외부서버에서 전자 장치내 푸시 관리 모듈로 토큰 폐기를 위해 전달
Token status change 외부서버에서 전자 장치내 푸시 관리 모듈로 카드 상태 변경을 위해 전달
Token Replenishment 외부서버에서 전자 장치내 푸시 관리 모듈로 토큰 추가 발급을 위해 전달
Transaction Notification 외부서버(결제서버)에서 전자 장치내 푸시 관리 모듈로 토큰 결제 내역을 전달
Device Lost Device (Find my mobile) 외부 서버(서비스서버)와 전자 장치내 계정관리모듈간의 분실 내역 정보 전달
Remote lock /unlock 외부 서버(서비스서버)와 전자 장치내 계정관리모듈간의 원격 기기 차단 명령 전달
Loyalty/Membership cards 외부 서버(서비스서버)와 전자 장치내 계정관리모듈간의 멤버십 정보 전달
Website (online) 외부 서버(서비스서버)와 전자 장치내 계정관리모듈간의 웹 연동 기능 지원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관리 모듈에서 획득된 token provisioning ID & V 정보가 결제 서버(2420)를 거쳐 외부 서버로 성공적으로 전달되고, 전달된 토큰(token) 관련 정보가 유효(validate)하면, 예를 들면, “push token {id} status changed” 메시지를 서버 연동 모듈(2733)이 수신하여 결제 관리 모듈(2731)로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700)의 결제 관리 모듈(2731)에서 획득된 카드 정보 일시 중지(예: token suspension) 정보는 결제 서버(2420)의 사용 중지 명령을 결제 어플리케이션(2730)으로 전달하여 모바일 결제를 위한 카드 설정 상태를 활성(active) 상태에서 비활성(inactive)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700)의 분실이 발생하면 결제 서버(2420)는 결제 서버(2420)에 저장된 상기 전자 장치(2700)와 관련된 모든 토큰 정보를 삭제 혹은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결제 서버(2420)는 상기 삭제 혹은 일시 정지된 정보를 결제 어플리케이션(2730)에 동기화하기 위해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결제 서버(2420)는 상기 결제 중계 모듈(2731) 또는 서버 연동 모듈(2733)(예: 푸시 관리 모듈, 계정 관리 모듈)을 통하여 상기 동기화에 필요한 정보를 결제 어플리케이션(2730)에 전달할 수 있다.
[표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및 결제 중계 모듈(2731)에서 지원하는 푸시 API 내용으로 결제 중계 모듈(2731)에 따라 구분되어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API Description type validation
device.push Contains push platform Json required
device.push.spp.id Samsung Push Id. String required
device.push.gcm.id Google Push Id. String optional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계정 관리 모듈(account management module)은 결제 서버(2420)와 주고 받는 사용자 고유의 식별자(예: Samsung account id 또는 device id), 카드, 또는 멤버십 등의 정보를 결제 어플리케이션(2730)에 전달하고, 결제 어플리케이션(2730)은 수신된 정보의 관리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자는 여러 사업자의 카드(예: 비자 카드 또는 마스터 카드)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계정 또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포털 계정 또는 전자 장치의 고유 식별자(예: 모델명, MAC address, IMEI, 고유 번호(serial number),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또는 아이디(ID)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고유 식별자는 상기 계정을 통하여 결제 서버(2420)에서 생성된 후, 결제 서버(2420)로부터 전달받은 값일 수 있다.
계정 관리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계정 또는 전자 장치 식별자를 이용하여 카드의 등록, 추가, 삭제, 중복 등록, 사용 중지, 또는 사용 재개 등을 관리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자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간에 카드 정보를 송출 (import/export)하는 경우에도 생성된 계정 또는 전자 장치 식별자를 기반으로 카드의 등록, 추가, 삭제, 중복 등록 확인, 사용 중지, 또는 사용 재개 등을 관리 할 수 있다.
이때, 계정 기반의 관리 방법은 하나의 계정을 공유하는 복수의 전자 장치 또는 복수 사용자가 관리되어 전자 장치 별로 고유의 계정(예: 삼성 계정)을 사용하거나 하나의 계정으로 복수의 전자 장치를 통합 관리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관리 모듈(2731)의 광학 문자 인식 모듈(예: OCR 모듈)을 통해 생성된 제1 카드(예: 비자 카드)와 제2카드(예: 마스터 카드) 정보는 삼성 계정 가입 시 생성한 계정(예: registration02@samsung.com)을 기반으로 등록될 수 있다. 이때, 등록된 정보는 결제 서버(2420)와 상기 생성한 계정 기반으로 동기화 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바코드 인터페이스(barcode interface)를 통해 생성된 멤버십(membership) 정보는 삼성 계정 가입 시 생성한 계정(예: registration01@samsung.com)을 기반으로 제1카드(예: 삼성 포인트 카드(Samsung points card)), 제2카드(예: CJ 멤버십 포인트 카드(CJ membership points card))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등록된 정보는 결제 서버(2420)와 상기 생성한 계정 기반으로 동기화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 이후 계정 기반으로 카드의 활성/비활성(active / inactive) 상태 결정하여 계정 관리 모듈(2731)을 이용하여 결제 서버(2320 또는 2420)로 전달 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서버 관리 웹 페이지(예: 서버 포털)에서 계정 기반의 카드 상태를 관리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계정 관리 모듈은 서비스 계정(예: registration01@samsung.com)과 연계된 카드 정보(예: 비자 카드 ID & V) 및 멤버십 정보(예: CJ membership points, registraion001@Cj.com)를 서버와 연동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멤버십 정보는 카드 결제 시 결제 처리 정보(예: 결제 금액)와 멤버십 누적 정보(예: 포인트 점수, 마일리지 등)를 연동하여 자동으로 적립, 차감할 수 있다.
상술한 계정 관리 방법은 계정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어느 기기에서라도 사용자의 계정 로그인(log in 또는 sign in) 과정 한번으로 기존의 등록된 카드 일부 또는 전부의 설정 상태를 지속적으로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상기 계정 관리 방법은 인증 보안 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은 멤버십 정보도 사용자의 계정 중심으로 등록, 연계되어 추가적인 인증 과정을 줄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모듈(2735)은 결제를 위한 카드 또는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18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인증 모듈은, 예를 들면, 생체 정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정보 모듈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예를 들면, 지문, 홍채, 얼굴 이미지, 목소리, 심장 박동, 또는 혈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센서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문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 모듈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18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정보 모듈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시도 할 때, 전자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보안 메모리(예: 내장형 보안 요소(eSE) 또는 보안 환경에서 접근 가능한 메모리)로부터 보안 데이터(예: 토큰)를 획득하기 위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생체 정보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 지문 또는 홍채)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생체 정보는 결제 매니저(2740)의 생체 정보 관리 모듈(2743)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메모리는 암호화된 키로 저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정보 모듈(2743)은 사용자가 인터넷 웹 페이지 상의 전자 결제 진행 시 전자 장치에 등록된 카드 정보와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메모리 또는 보안 모듈(예: eSE 또는 보안 환경에서 접근 가능한 메모리)로부터 보안 데이터(예: 토큰)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는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진행된 인증 정보를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별도의 인터넷 웹 페이지 상의 전자 결제 과정 없이 빠른 자동 인증(예: FIDO: fast identity online) 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온라인 결제 시에 필요한 인증 과정을 생체 정보 모듈(2743)과 연동하여 빠른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지문과 결제할 카드를 지정해 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에서 지문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오른손 엄지는 비자 카드, 오른손 검지는 마스터 카드 등으로 지정할 수 있고, 전자 장치(2700)는 사용자 인증에 따른 정보의 종류를 구분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련된 카드로 결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장치 관리 모듈(2737)은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를 관리할 수 있다. 주변 장치 관리 모듈(2737)은, 예를 들면, MST 주변 장치 모듈 및 웨어러블 장치 모듈을 포함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MST 주변 장치 모듈은 MST 액세서리(예: LoopPayTM사의 fob 형태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유무선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UI는 MST 액세서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카드 등록, 삭제, 또는 결제 과정의 진행과 관련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MST 주변 장치 모듈은 MST 액세서리와 연결된 상태에서 결제에 필요한 다양한 카드 정보를 전자 장치 또는 MST 액세서리 내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는 MST 액세서리와 비 연결 상태에서도 전자 장치 또는 MST 액세서리 독립적으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웨어러블 장치 모듈은 웨어러블 장치(예: 시계, 헤드셋, 안경, 또는 반지 등)와 전자 장치 간의 유무선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연결은 BT, BLE, WiFi, Zigbee, 또는 Z-wave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스 연결을 포함할 수 있고, 특정 accessory protocol(samsung accessory protocol(SAP))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UI는 웨어러블 장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카드 등록, 삭제, 결제 수행 과정과 관련한 정보를 출력 할 수 있다. 상기 카드 등록, 삭제, 결제 수행 과정에서 웨어러블 장치 모듈은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기반의 secure session을 생성 여부를 출력하고, 전자 장치 또는 웨어러블 장치 상의 사용자 입력 값을 송 수신하고, 송수신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결제에 필요한 다양한 카드 정보와 그 외의 부가 인증 정보(예: PIN, 사용자 고유 패턴 관련 데이터, 지문 인식 관련 데이터, 웨어러블 장치 베젤부 또는 디스플레이(1860)의 터치 입력 값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 또는 액세서리에 하나의 결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비자 카드에 대한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에 모두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 또는 액세서리에 하나의 카드 정보에서 발생된 다른 카드 정보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비자 카드 정보에서 발급된 다른 토큰을 하나는 전자 장치에 저장하고 다른 하나는 액세서리 또는 웨어러블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카드정보에서 발급된 다른 토큰을 하나는 전자 장치에 저장하고 다른 하나는 액세서리 또는 웨어러블 장치에 저장하는 경우, 하나의 장치의 결제 모듈이 활성화 되면, 다른 장치의 결제모듈은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비자 카드 정보에서 발급된 다른 토큰이 하나는 전자 장치에 저장되고 다른 하나는 액세서리 또는 웨어러블 장치에 저장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로 결제할 때는 전자 장치의 결제가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더하여, 전자 장치로 결제를 수행할 경우에는 웨어러블 장치의 결제가 비활성화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매니저(2740)는, 예를 들면, 결제 중계 모듈(2741), 생체 정보 관리 모듈(2743), 및 보안 환경 중계 모듈(2746)을 포함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카드 또는 카드에 대응하는 정보(예: 토큰)를 결제 어플리케이션, 커널 또는 결제 서버(2420)로 중계할 수 있다. 결제 중계 모듈(2741)은 통신 모듈(예: NFC 모듈, MST 모듈)을 통해 오프라인 결제를 할 수 있다. NFC를 이용한 결제 방식은 POS를 통해서 구동 가능하고, MST 를 이용한 결제 방식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구동 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중계 모듈(2741)은 통신 모듈(예: 셀룰러 모듈, RF 모듈, WIFI 모듈 등)을 통해 온라인 결제를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카드 또는 카드에 대응하는 정보(예: 토큰)의 상태 관리(예: card/token lifecycle 관리)를 할 수 있다.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지불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결제 어플리케이션(2730)에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적어도 하나의 결제와 관련된 시스템 서비스들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결제 모듈로 접근 하기 위한 결제 서비스, 커널(kernel) 무결성 인증을 위한 TIMA(trustzone-based integrity measurement architecture), 지문인식 결과 조회(예: 보안/비보안 모드 모두 지원), PIN 또는 PAN(primary account number) 입력 등을 위한 보안 UI를 제공하는 시스템 서비스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중계 모듈(2741)은 TEE(2720)에 메시지 또는 명령어를 전달하기 위하여, 암호화 라이브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상기 암호화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TEE(2720)와 메시지 또는 명령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일반적인 카드 관리 기능으로서 카드 추가, 삭제, 갱신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카드 관리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제1 결제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또는 제2결제 SDK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제 SDK(예: 삼성 SDK)는 전자 장치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결제 SDK는 카드사 또는 은행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에 설치 될 수 있다.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제1 결제 SDK 또는 제2 결제 SDK를 이용하여 카드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결제 SDK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기본 카드를 설정 하거나 기본 카드 외의 다른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일반 토큰 및 키 관리 기능으로서 초기 권한 설정(token provisioning), 추가 발급(token replenishment), 중지(token suspension), 재개(token resume), 폐기(token disposal) 등의 메시지를 결제 서버(2320 또는 24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모듈(2721)은 전자 장치 또는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토큰 및 토큰 크립토그램(cryptogram)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토큰 및 토큰 크립토그램(cryptogram)을 생성할 수 있는 키(예를 들어, limited used key(LUK) 또는 single used key)는 REE(2710) 또는 TEE(2720)에 저장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REE(2710)에 상기 토큰과 상기 키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상기 TEE의 결제 모듈이 TEE(2720)의 키(예를 들어, device root key(DRK))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상기 암호화된 토큰을 결제 모듈을 통해 복호화된 상태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토큰 크립토그램을 생성할 수 있는 키 또는 토큰이 TEE에 저장되는 경우, 상기 TEE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중계 모듈(2741)은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token service provider(TSP))(2430)로부터 푸시 메시지(push message)를 받아 결제 어플리케이션(2730)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제1 결제SDK(카드사 또는 은행 제공)가 자체 토큰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토큰 관리 기능 요청 수신 시 상기 제2 결제SDK로 중계하는 기능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자 카드의 SDK로 토큰 또는 key를 획득한 결제 중계 모듈은 삼성 SDK를 이용하여 TEE(2720) 내의 결제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중계 모듈(2741)은 결제 시 별도 하드웨어 장치(예: 보안 모듈 또는 secure element(SE)) 없이 소프트웨어 만으로 가상 카드를 전자 장치에서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HCE(host card emulation) 기능을 결제 프레임워크 상에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HCE 기능은 토큰 및 토큰 크립토그램(token cryptogram)을 통신 모듈(예: NFC)을 통해 POS와 관련된 메시지 규격(예: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APDU))을 이용하여 전달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중계 모듈(2741)은 POS로부터 수신 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POS 관련 메시지 처리 기능은 POS에 응답 할 결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POS 관련 메시지 해석 기능은 제1 결제 SDK가 자체 POS 관련 메시지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POS 관련 메시지를 상기 제1 결제 SDK로 중계하는 기능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상기 카드 데이터, 토큰 데이터, 또는 트랜잭션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적어도 하나 포함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중계 모듈(2741)은 NFC로 결제하는 방법과 MST로 결제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중계 모듈(2741)은 NFC로 먼저 결제를 수행하고, MST를 결제하는 방법, MST로 먼저 결제를 수행하고 NFC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 NFC와 MST를 같이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통신 모듈로 결제를 수행한 후 다른 통신 모듈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결제 중계 모듈(2741)은 먼저 결제를 수행한 통신 모듈로 결제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지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다른 통신 모듈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중계 모듈(2741)은 하나의 카드에 대해서 토큰과 PAN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경우, 가지고 있는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 중계 모듈(2741)은 POS가 PAN으로 결제 가능한지 또는 토큰으로 결제 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BLE를 통해서 결제 가능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상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결제 중계 모듈(2741)은 확인한 정보를 기반으로 토큰으로 결제 가능한 경우에는 토큰으로 결제를 수행하고, PAN으로 결제 가능한 경우에는 PAN으로 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중계 모듈(2741)은 결제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SDK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SDK는 토큰 관리, POS 관련 메시지 처리, 또는 토큰/카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환경 중계 중계 모듈(2746)은, 결제 모듈(2721) 혹은 생체 정보 모듈(2725)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 하기 위해 생체 정보 드라이버 모듈(2751)이나 보안환경 드라이버 모듈(2753)에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접근 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중계 모듈(2741)은 보안 환경 중계 모듈(2746)에 메시지 또는 명령어를 전달하기 위하여, 암호화 라이브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상기 암호화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보안 환경 중계 모듈(2746)과 메시지 또는 명령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 결제 매니저(2740) 상에 TEE의 보안 식별자 처리 모듈의 기능을 결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 할 수 있도록 연결 된 보안 환경 중계 모듈(2746)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중계 모듈(2741)은 결제 어플리케이션(2730)의 PIN 입력을 통한 인증 요청을 TEE(2720)의 보안 식별자 처리 모듈(2723)로 중계하는 기능을 포함 할 수 있다.
일반 어플리케이션은 지문 인식 요청 시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보안 결제 어플리케이션(payment trusted app)은 보안 생체 결과(secure fingerprint result)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생체 결과는 일회성 난수 및 성공/실패 여부를 조합하여 암호화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일회성 난수는 TEE(2720)의 하드웨어 키(예: device root key(DRK))를 통해 암호화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중계 모듈(2741)은 결제를 수행하기 위해 보안 환경 드라이버 모듈(2753)을 통하여, 결제 모듈(2721)을 결제 수행을 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결제 모듈(2721)은 인증 동작이 필요함을 보안 환경 드라이버 모듈(2753)을 통해 결제 중계 모듈(2741)에 알릴 수 있다.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인증 동작을 위해 생체 정보 관리 모듈(2743)과 생체 정보 드라이버 모듈(2751)을 통하여 생체 센서(240I)에 생체 정보를 획득하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더하여,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생체 정보 관리 모듈(2743)과 보안 환경 드라이버 모듈(2753)을 통하여 TEE(2720)의 생체 정보 모듈(2725)에 인증 확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생체 센서(1940I)는 TEE(2720)의 생체 정보 모듈(2725)에서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 모듈(2725)은 기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생체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 사용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생체 정보 모듈(2725)은 보안 환경 드라이버 모듈(2753)을 통하여 생체 정보 관리 모듈(2743)에 인증 여부를 전달하고, 생체 정보 관리 모듈(2743)은 결제 중계 모듈(274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중계 모듈(2741)과 생체 정보 관리 모듈(2743)은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모듈로도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외부 장치를 통해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700)는 결제 서버(2420)(예: 삼성 계정 서버 또는 토큰 요구자 서버)에 생체정보(예: 지문 또는 홍채 등)에 대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서버(242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해당 결과를 상기 전자 장치(27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인증이 완료된 경우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인증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달하여 토큰 프로비저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2700)는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인증이 완료된 경우 결제를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지 않거나, 인증되지 않은 경우 결제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널(2750)은, 예를 들면, 생체 정보 드라이버 모듈(2751) 및 보안 환경 드라이버 모듈(2753)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 드라이버 모듈(2751)은 결제 매니저(2740)의 생체 정보 관리 모듈(2743)로부터 전달되는 메시지를 생체 센서(240I)에 전달할 수 있다. 생체 센서에서 획득되는 생체 정보는 상기 생체 정보 드라이버 모듈을 통해서 REE(2710) 내의 모듈로 전달되지 않고, TEE(2720)내에 생체 정보 모듈(2725)로 전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환경 드라이버 모듈(2753)은 REE(2710) 내의 모듈에서 TEE(2720) 내의 모듈에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EE의 일 실시예인 ARM의 트러스트존(Trustzone)의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시분할로 REE와 TEE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REE에서 TEE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데이터 패스를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하드웨어에 접근하기 위한 드라이버 모듈이 상기 보안 환경 드라이버 모듈(2753)일 수 있다. 상기 보안 환경 드라이버 모듈은 TEE 내의 모듈의 동작에 대한 메시지를 REE 내의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TEE는 결제 모듈(2721), 보안 식별자 처리 모듈(2723), 생체 정보 모듈(2725), 및 MST 드라이버 모듈(2727)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401)는 TEE(2720)를 통해 상대적으로 높은 보안이 요구되는 데이터를 안전한 환경 내에서 저장하고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EE(2720)는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상에서 동작하고, 전자 장치의 제조 단계에서 결정된 신뢰할 수 있는 TEE는 전자 장치 내에 있는 보안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TEE를 통해 상대적으로 높은 보안이 요구되는 데이터를 안전한 하드웨어 구조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TEE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메모리 영역을 일반 영역과 보안 영역으로 구분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보안이 필요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보안 영역에서만 동작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REE(2710) 민감한 정보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TEE(2720)에 접근할 수 있는 API와 드라이버를 통해서만 TEE(2720)에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TEE(2720)은 관련된 정보에 대한 제한된 데이터를 REE 에 넘겨줄 수 있다. TEE는 내부적으로 저장되는 데이터를 하드웨어 key(예를 들어, device root key(DRK))를 통해서 암호화할 수 있다. TEE 내부의 데이터는 별도의 복호화 과정이 없는 경우 REE에서 해석하지 못할 수 있다.
TEE(2720)는 TEE 내부의 어플리케이션(예: 보안 어플리케이션(trusted application) 또는 결제 모듈 등)은 전자 장치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예: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TEE는 trusted OS와 보안 어플리케이션(trusted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보안에 관련된 암호화 모듈, 보안이 필요한 하드웨어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드라이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어플리케이션(trusted application)은 결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결제 정보를 통신 모듈을 통해서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정보를 MST 드라이버를 통해MST 컨트롤러에, 또는 NFC 드라이버를 통해 NFC 컨트롤러에 전달하여 POS에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REE(2710)에 대한 무결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REE의 이미지의 무결성 여부를 TEE(2720)에 저장할 수 있다. TEE를 지원하는 REE 부팅의 경우, 부팅의 순서는 부트로더가 실행되면, TEE를 부팅하고, REE를 부팅할 수 있다. TEE가 부팅이 되면 TEE의 내부에 REE의 무결성 정보를 확인하여 REE 부팅 후에 사용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REE가 해킹 또는 루팅 등에 의해서 REE의 이미지가 훼손 되었을 경우 무결성에 문제가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무결성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TEE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중계 모듈(2741)이 보안 환경 드라이버 모듈(2753)을 통해서 TEE에 메시지나 명령어를 전달하고자 할 때 TEE의 커널에서 이 메시지나 명령어를 무시하거나 메시지 수신을 거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모듈(2721)은 은행, 카드사(예: 비자 카드(Visa card) 또는 마스터 카드(Master card) 등) 등에서 설치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결제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가 결제 관리 모듈(2731)을 이용하여 결제 서버(2420)(예: mobile application platform, payment gateway, token requestor, token service provider, trusted service manager, 또는 은행 서버 등) 또는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에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하여 상기 결제 모듈(2721)을 설치하겠다고 승인하면,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는 설치에 관련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관리 모듈(2731)은 OCR을 통하여 플라스틱 카드의 카드 넘버와 유효기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에 결제 모듈(2721)을 설치하기 위한 카드 등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카드/은행 회사에 따라 각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의 연결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결제 중계 모듈(2741)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있는 상기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에 연결하여 설치 파일을 수신하고 결제 중계 모듈(2741)은 상기 정보를 TEE에 전달하여 결제 모듈(2721)을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provisioning 과정 또는 card registration 과정이라고 부를 수 있다. TEE의 결제 모듈(2721)은 여러 개의 모듈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결제 모듈들은 TEE 내부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없으며, 격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모듈(2721)은 결제 서버(2420)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에 사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결제 모듈은 신용 카드, 직불 카드(debit card), 멤버십 카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모듈은 상기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와 암호화를 통해 통신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암호화의 과정은 상기 결제 모듈을 전달한 카드 제조 회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결제 모듈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 모듈을 활성화(activation)하거나 임시로 정지(suspension)하거나, 재활성화(resume)하거나, 삭제(disposal)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모듈(2721)은 카드 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드 정보(예를 들어, PAN(primary account number))에 대응되는 토큰(token), token reference ID, PAN의 일부분, PAN product ID, token requestor ID, token assurance level, token assurance data, 토큰(token)의 유효기간, 암호화 key,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에서 제공한 값(예: OPT(one time password),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토큰(token)은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 의 상태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큰(token)은 활성화(activation)하거나 임시로 정지(suspension)하거나, 재활성화(resume)하거나, 삭제(disposal)할 수 있다. 상기 토큰(token)은 기본적으로 카드 정보(예: PAN)에 대응하는 정적인(static) 정보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모듈(2721)은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결제할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 관리 모듈(2731)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에 대응하는 결제 모듈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카드에 대해 상기 결제 관리 모듈은 결제 중계 모듈(274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중계 모듈은 결정된 카드 정보에 대해서 보안 환경 드라이버 모듈(2753)을 통해 상기 결제 모듈(272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모듈은 보유하고 있는 카드 정보들 중에서 실제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실제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 리스트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변경은 결정된 카드 정보에 대해서 카드 리스트에서 우선 순위를 높이거나, 결정된 카드 정보 외의 다른 카드 정보는 삭제하는 방법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카드 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결제 모듈은 결제에 이용되는 정보를 만들 수 있다. 결제에 이용되는 정보는 표 3에서와 같이, token, token reference ID, PAN의 일부분, PAN product ID, token requestor ID, token assurance level, token assurance data, token의 유효기간, token cryptogram, POS entry mode, token requestor indicator 등일 수 있다.
Field Name Comment
Payment Token The Payment Token number refers to a surrogate value for a PAN that is a 13 to 19-digit numeric value that passes basic validation rules of an account number, including the Luhn check digit. Payment Tokens are generated within a BIN range or Card range that has been designated as a Token BIN Range and flagged accordingly in all appropriate BIN tables. Payment Tokens are generated such that they will not have the same value as or conflict with a real PAN.
Transaction messages
The Payment Token number will be passed through the authorization, capture, clearing, and exception messages in lieu of the PAN.
The Payment Token number may optionally be passed from the Token Service Provider to the Card Issuer as part of the authorization request.
Token Expiry Date The expiration date of the Payment Token that is generated by and maintained in the Token Vault. The Token Expiry Date field carries a 4-digit numeric value that is consistent with the ISO 8583 format.
Transaction messages
The Token Expiry Date is passed in lieu of PAN Expiry Date.
The value is replaced by the Token Service Provider with the PAN Expiry Date which is then passed to the Card Issuer as part of the authorization request.
Last 4 Digits of PAN The last four digits of the PAN to be provided optionally through the Acquirer to the Merchant for customer service usage such as being printed on the consumer receipt.
PAN Product ID The last four digits of the PAN to be provided optionally through the Acquirer to the Merchant for customer service usage such as being printed on the consumer receipt.
PAN Product ID The PAN Product ID is an optional identifier used for determining the type of Card product that was tokenized. It may be included in cases where transparency of this information is necessary.
Transaction messages
The PAN Product ID may optionally be passed from the Token Service Provider to the Acquirer as part of the authorization response.
POS Entry Mode This specification uses the POS Entry Mode field to indicate the mode through which the Payment Token is presented for payment. Each Payment Network will define and publish any new POS Entry Mode values as part of its existing message specifications and customer notification procedures.
Transaction messages
POS Entry Mode is an existing field that will be passed through the authorization, capture, clearing, and exception messages.
Token Requestor ID This value uniquely identifies the pairing of Token Requestor with the Token Domain. Thus, if a given Token Requestor needs Tokens for multiple domains, it will have multiple Token Requestor IDs, one for each domain. It is an 11-digit numeric value assigned by the Token Service Provider and is unique within the Token Vault:
Positions 1-3: Token Service Provider Code, unique to each Token Service Provider
Positions 4-11: Assigned by the Token Service Provider for each requesting entity and Token Domain
Transaction messages
Token Requestor ID can be optionally passed through the authorization, capture, clearing, and exception messages.
Token Assurance Level Token Assurance Level is a value that allows the Token Service Provider to indicate the confidence level of the Payment Token to PAN / Cardholder binding. It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type of ID&V performed and the entity that performed it.
The Token Assurance Level is set when issuing a Payment Token and may be updated if additional ID&V is performed. It is a two-digit value ranging from 00 which indicates the Payment Token has no ID&V that has been performed to a value of 99 indicating the highest possible assurance. The specific method to produce the value is defined by the Token Service Provider.
Transaction messages
Token Assurance Level will be provided by the Token Service Provider.
The value may be optionally passed to the Card Issuer as part of the authorization request.
The value may optionally be passed to the Acquirer / Merchant in the authorization response, capture, clearing, and exception processing messages.
Token Assurance Data This data provided by the Token Service Provider contains supporting information for the Token Assurance Level.
Transaction messages
This data may be optionally passed to the Card Issuer as part of the authorization request.
Token Cryptogram This cryptogram is uniquely generated by the Token Requestor to validate authorized use of the Token. The cryptogram will be carried in different fields in the transaction message based on the type of transaction and associated use case:
NFC contactless transactions will carry the Token Cryptogram in existing chip data fields.
Other transactions, such as those originating from a digital wallet, may carry the Token Cryptogram in an existing field.
Transaction messages
The Token Cryptogram will be passed in the authorization request and validated by the Token Service Provider and / or the Card Issuer.
Token Request Indicator An indicator used to indicate that the message is intended to authenticate the Cardholder during a Payment Token Request.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모듈(2721)은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 또는 결제 서버(2420)(예: 결제 서비스 서버 또는 토큰 요구자 서버)를 통해서 토큰 크립토그램(token cryptogram)을 생성할 수 있는 key(예를 들어, limited used key(LUK) 또는 single used key)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상기 key는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SMS 등을 통해서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key는 전자 장치와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에 보안 채널을 이용하여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보안 채널은 상기 key와는 다른 별도의 key(예를 들어, public key, private key를 이용하는 방법)에 의해서 주고 받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논리적 채널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결제 모듈 내부에 토큰 크립토그램을 생성할 수 있는 key를 생성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key를 생성하는 모듈을 상기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 또는 결제 서버(2420)를 통해서 전달받을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장치의 제조 단계에서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모듈은 상기 토큰 크립토그램을 생성할 수 있는 key(예를 들어 limited used key 또는 single used key)를 이용하여 토큰 크립토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결제 모듈은 매 거래 또는 특정 횟수의 거래, 특정 시간 내의 거래 등 정해진 규칙에 따라 다른 key를 사용할 수 있다.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는 상기 key와 쌍(pair)으로 된 key를 소유할 수 있다.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는 상기 쌍으로 된 key를 통해서 암호화된 토큰 크립토그램을 복호화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모듈(2721)은 토큰 크립토그램을 생성할 수 있는 key를 이용하여 토큰 크립토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29에서 후술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270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에서 결제를 수행하겠다는 메시지를 결제 중계 모듈(2741)에 전달할 수 있다. 결제 중계 모듈(2741)은 MST로 결제하거나 NFC로 결제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MST로 결제하는 경우, 결제 수행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token, token cryptogram, PAN 정보의 일부, 토큰(token) 유효 기간 등)을 TEE의 결제 모듈에서 획득하여 TEE 내의 MST 드라이버 모듈(2727)에 전달할 수 있다. MST 드라이버 모듈(2727)은 상기 정보를 MST 컨트롤러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MST 컨트롤러는 상기 정보를 결제 수행하기 위해 송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700)는 NFC로 결제하는 경우 상기 결제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TEE의 NFC 드라이버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NFC 드라이버 모듈은 NFC 컨트롤러에 상기 결제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NFC 컨트롤러는 상기 정보를 기반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700)는 NFC로 결제하는 경우 POS에서 지정된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우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컨트롤러는 POS에서 지정된 메시지가 전달되어 NFC 모듈에서 감지하는 경우 이를 NFC 드라이버 모듈에게 전달할 수 있다. NFC 드라이버 모듈은 POS로부터 메시지가 전달 되었음을 REE의 결제 중계 모듈(274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중계 모듈(2741)은 결제를 수행하기 위해 토큰 크립토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토큰 크립토그램은 토큰 크립토그램을 생성할 수 있는 key(예를 들어, limited used key 또는 single used key)를 이용하여 TEE의 결제 모듈(2721)에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토큰 크립토그램은 REE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중계 모듈(2741)은 네트워크 모듈(예를 들어, NFC 관련 host card emulation 모듈)을 통해 상기 토큰과 토큰 크립토그램을 포함하는 결제 관련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NFC 모듈을 통하여 상기 결제 관련 정보를 POS로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모듈(1821)은 상기 토큰, 토큰 유효 기간, token requestor ID, 토큰 크립토그램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 모듈(1821)은 상기 결제 정보를 MST 통신 모듈을 통해서 POS(point of sales)(2450)에 전달할 수 있다. 더하여 결제 모듈(1821)은 NFC 통신 모들을 통해서 결제 정보를 POS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모듈(1821)은 POS와 결제 동작에서 지정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NFC의 경우 POS로부터 먼저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MST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명시적 입력 또는 전자 장치 내부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POS에 토큰과 토큰 크립토그램을 포함하는 결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정보 모듈(2725)은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생체 센서로부터 받아들이는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모듈(2725)로는 지문 정보 모듈, 홍채 정보 모듈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모듈은 생체 센서(240I)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결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증하라는 내용을 디스플레이(1860)에 보여주면, 사용자는 생체 센서를 통해서 생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모듈은 생체 정보 관리 모듈을 통하여 생체 정보 드라이버 모듈(2751)에 생체 정보를 수집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드라이버 모듈은 생체 센서에 상기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센서는 생체 정보를 수집하여 TEE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TEE의 생체 정보 모듈은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 여부를 보안 환경 드라이버 모듈을 통해 REE의 생체 정보 관리 모듈을 통하여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인증 여부를 디스플레이에 보여줄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TEE 내에 저장되거나, 암호화된 상태로 REE에 저장되거나, 보안 모듈(236)(예: eSE)에 저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식별자 처리 모듈(2723)은 전자 장치에서 필요하거나 결제에 관련된 인증에 관련된 입력값을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값은 결제 수행 중에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입력값은 카드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PAN(primary account number), 카드 유효 기간(expiration date) 또는 CVV(card verification value) 등일 수 있다. 더하여 Chip PIN 또는 ATM(Automated teller machine) PIN 등일 수 있다. 상기 보안 식별자 처리 모듈(2723)은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안 식별자 처리 모듈(2723)의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상에 그려지기 위해 필요한 그래픽 라이브러리는 TEE(27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TEE 저장되어 있는 그래픽 라이브러리는 REE(2710)에 있는 그래픽 라이브러리와 다를 수 있다. 상기 보안 식별자 처리 모듈(2723)은 PIN 등의 입력 값에 의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결제 중계 모듈(2741)을 통하여 결제 관리 모듈(2731)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식별자 처리 모듈(2723)은 보안 환경 중계 모듈(2746)이 보안 환경 드라이버 모듈(2753)을 통해 전달한 암호화된 일회성 난수(예: nonce)를 수신할 수 있다. 보안 식별자 처리 모듈(2723)은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 획득한 입력값과 상기 일회성 난수를 TEE 내의 암호화 key(예를 들어, device root key)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정보를 보안 환경 중계 모듈(2746)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보안 환경 중계 모듈(2746)은 보안 환경 드라이버 모듈(2753)을 통하여 결제 모듈(2721)에 암호화된 상기 입력값과 일회성 난수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모듈(2721)은 상기 입력값과 일회성 난수를 TEE 내의 하드웨어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 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모듈(2721)은 상기 일회성 난수의 생성했던 값과 수신한 값이 같다는 것을 이용하여 REE를 통하여 전달된 상기 입력값이 무결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모듈(2721)은 입력값이 무결하다는 것에 기반하여 입력값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모듈(2721)은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팩토리 리셋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기존 공장에서 출하한 상태로 되돌리는 동작이다. 상기 동작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명시적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하여 지정된 조건(예: 시스템이 해킹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해킹을 판단하여 모니터링하는 모듈이 팩토리 리셋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전자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리셋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결제 관련 정보 역시 리셋될 수 있다. 상기 결제 관련 정보는 결제 서버(2420)에서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결제 서버(2420)에 계정을 기반으로 접속하는 경우, 전자 장치(2700)는 상기 결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다시 카드 등록과 결제 모듈을 설치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리셋이 되는 경우, 전자 장치 내에 저장된 결제 관련 모듈은 상기 결제 서버(2420)를 통해서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에 알려 비활성화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가 비활성화 된 경우에는, 상기 알리는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자 장치가 팩토리 리셋을 수행한 후, 상기 결제 서버(2420)에 계정을 기반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전자 장치(2700)는 상기 결제 서버(2420)를 통하여 기 등록된 카드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고, 결제 서버(2420)를 통하여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에 상기 기 등록된 전자 장치의 카드 모듈 또는 token 등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더하여, 결제 서버(2420)의 카드 리스트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는 카드 등록을 다시 수행하여 결제 모듈 또는 token 등을 수신받을 수 있다.
도 28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결제 유저 인터페이스(2800)를 도시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8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2801 상태 및 2803 상태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2800)는 전자 장치의 하단 베젤 영역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스윕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예: 삼성 페이)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800)는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2805 상태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2860)를 통해 전자 장치에 기 등록된 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카드(2810)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8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기 등록된 복수의 카드 중 결제에 사용할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2800)는 2807 상태 또는 2809 상태에서와 같이 좌/우 스크롤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복수의 카드 중 결제에 사용할 카드를 선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800)는 2811 상태에서와 같이 카드(2810)에 인접된 영역에 다른 카드와 관련한 일부 이미지(2820)를 출력하고, 일부 이미지(2820) 선택 시,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카드를 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전자 장치(2800)는 2813 상태에서와 같이, 선택된 카드의 결제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인증 방법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지문 감지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여 결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2800)는 결제 진행 중이거나 결제 대기 중이면, 2815 상태에서와 같이 카드(2810)을 디스플레이(28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800)는 결제 취소 이벤트(예: 카드(2810) 제거를 위한 스윕 이벤트 또는 백 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2817 상태에서와 같이 카드(2810)을 디스플레이(2860)에서 제거할 수 있다. 카드(2810) 제거에 따라, 전자 장치(2800)는 2819 상태에서와 같이 카드(2810)가 제거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토큰 크립토그램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모듈(예: 결제 모듈(2721))은 상기 토큰 크립토그램을 생성할 수 있는 key를 이용하여 토큰 크립토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결제 모듈은 매 거래 또는 특정 횟수의 거래, 특정 시간 내의 거래 등 정해진 규칙에 따라 다른 key를 사용할 수 있다.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는 상기 key와 쌍(pair)으로 된 key를 소유할 수 있다. 상기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2430)는 상기 쌍으로 된 key를 통해서 암호화된 토큰 크립토그램을 복호화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모듈은 상기 key를 이용하여 토큰 크립토그램을 만드는 경우, key로 암호화하는 데이터와 암호화 엔진은 암호화 방법(예: AES, TKIP 등)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도 3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3000)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시스템(300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10) 및/또는 외부 장치(3020)(예: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010)는, 예를 들면, TEE(trusted execution environment)(3030) 및/또는 REE(rich OS environment)(30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3020)는, 예를 들면,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예를 들면, 결제 서버(3050) 및/또는 토큰 서버(30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서버(3050)는, 예를 들면, 결제 서비스 서버(3052) 또는 토큰 요구자 서버(305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TEE(3030)는 상기 전자 장치(3010)와 관련된 보안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3010)는 상기 TEE(3030)를 이용하여 외부의 요청, 수정, 또는 입력과 관련된 제어로부터 상기 TEE(3030)에 포함된 또는 저장된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TEE(3030)는, 예를 들면, 보안이 강화된 프로그램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TEE(3030)를 이용하여 일반 영역(normal world)과 보안 영역(secure world)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일반 영역은 REE(3040)로 일컬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TEE(3030)는, 예를 들면, 신뢰성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암호화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암호화된 정보는 토큰(token) 또는 키(key)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TEE(3030)는 상기 암호화된 정보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토큰 또는 키 정보는 카드 정보를 암호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토큰 또는 키 정보는 결제를 위한 장치에 카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정보를 상기 결제를 위한 장치에 바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카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드 정보를 변경함에 있어서, 상기 토큰 또는 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키는, 예를 들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는, 상기 전자 장치(3010) 또는 상기 서버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TEE(3030)는, 예를 들면, 보안 어플리케이션(trusted application)(30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EE(3030)는, 예를 들면,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3032)이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3032)은, 예를 들면, 상기 TEE(3030)에 포함되는 카드사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사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카드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패키지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된 형태는 SDK(software development kit)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3032)은, 예를 들면, 상기 TEE(3030)와 같은 보안이 강화된 모드에서 실행되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릿(apple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3032)은, 예를 들면, 암호화 관련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3032)은 상기 결제와 관련된 cryptogram 생성, 수정, 또는 삭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REE(3040)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REE(3040)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프레임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EE(3040)는 상기 TEE(3030)와 달리 외부로부터의 접근 및/또는 제어를 허용할 수 있다. 상기 REE(3040)는, 예를 들면, 결제 어플리케이션(payment application, wallet application)(3042) 및/또는 결제 매니저(30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3042)은, 예를 들면, 결제 어플리케이션(3042)으로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 OCR, 또는 신원 확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3042)은, 예를 들면, 카드 등록(card registration) 또는 지불(payment)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매니저(3044)는, 예를 들면, 상기 REE(3040)에 포함되는 카드사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사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카드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패키지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된 형태는 SDK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제 매니저(3044)는, 예를 들면, 암호화 관련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제 매니저(3044)는 토큰 ID관리 또는 카드사 채널 형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매니저(3044)는, 예를 들면, 외부 장치(3020)(예: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제 매니저(3044)는 토큰화 서비스(tokenization service)을 위한 서버(예: 결제 서버(3050))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매니저(3044)는, 예를 들면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3032)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제 매니저(3044)는 상기 토큰 또는 상기 키를 이용(예: 저장)하기 위한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3032)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3032)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etwork provider)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3042)과 상기 결제 매니저(3044)는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3032)과 상기 결제 매니저(3044)는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제 매니저(3044)는 외부로부터 받은 정보를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3042) 또는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3032)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3042) 또는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3032)으로부터 받은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매니저(3044)는,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3032) 또는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3042)과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010)는, 상기 TEE(3030),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3032), 상기 REE(3040),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3042), 또는 상기 결제 매니저(3044) 외에 추가적인 구성 또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서버(3050)는, 전자 결제 또는 모바일 결제를 위한 관리 서버로, 상기 전자 장치(3010)로부터 결제와 관련된 정보(예: 토큰 또는 키)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서버(3050)에 포함된, 상기 결제 서비스 서버(3052)와 상기 토큰 요구자 서버(3054)는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 서버(3060)는, 상기 토큰 요구자 서버(3054)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 토큰 요구자 서버(3054)와 상기 토큰 서버(3060)는 상기 토큰 또는 상기 키의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토큰 결제의 흐름도(3100)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시스템은, 전자 장치(3110), 결제 서버(3170), 토큰 서버(3150), POS(point of sale)(3120), 금융 서버(3160), 매입 서버(acquirer)(3130), 또는 결제 네트워크(payment network)(3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110)는, 예를 들면, 결제 어플리케이션, 결제 매니저, 또는 보안 영역(예: 보안 모듈 또는 TEE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OS(3120)는, 예를 들면, 판매 시점 정보 관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OS(3120)는, 예를 들면, 금전등록기와 컴퓨터 전자 장치기의 기능을 결합한 것으로, 사용자는 상기 POS(3120)를 이용하여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금융 서버(3160)는, 예를 들면, 카드를 발급하는 은행 또는 금융회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드에 대한 신원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시 상기 카드에 대한 승인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매입 서버(3130)는, 예를 들면, 상점(예: POS(3120))에서 결제 된 카드 거래 에 대한 전표를 매입하는 은행 또는 금융회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는, 예를 들면, 카드 네트워크(card 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10)는, 토큰 및/또는 암호 정보(예: cryptogram)를 상기 POS(31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토큰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31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큰은, 암호화된 영역(예: 보안 모듈 또는 TEE)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311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키 또는 상기 전자 장치(3110)에서 생성한 키를 이용하여 암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암호 정보는 cryptogram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3110)는, 상기 cryptogram 및/또는 상기 토큰을 상기 POS(312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10)는, 상기 POS(3120)로 상기 토큰 및/또는 cryptogram를 전달함에 있어서, 다양한 통신 연결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연결은, 예를 들면, NFC,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Barcode, 또는 QR code 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OS(3120)는, 토큰, 암호 정보, 또는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매입 서버(313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POS(3120)는, 상기 매입 서버(3130)로 상기 전자 장치(3110)에서 수신한 상기 토큰 및/또는 상기 cryptogram와 상기 POS(3120)에서 획득한 상기 결제 정보(예: 결제 내역)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POS(3120)에서 획득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가 결제 기능을 요청한 결제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된 결제 이력(history)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입 서버(3130)는, 토큰, 암호 정보, 또는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매입 서버(3130)는, 상기 POS(3120)에서 수신한 상기 토큰, 상기 cryptogram, 또는 상기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는, 카드 회사와 관련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 회사는, 예를 들면, VISATM, MasterCardTM, 또는 AmexTM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는, 상기 토큰 서버(3150)를 포함 또는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는, 상기 토큰, 상기 cryptogram, 또는 상기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에서 상기 토큰 서버(3150)로 전달하거나 상기 토큰 서버(315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 서버(3150)는,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로부터 수신한 토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토큰 서버(3150)는, 상기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토큰에 대응하는 카드 정보(예: PAN)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토큰 서버(3150)는, 상기 토큰에 포함된 정보(예: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금융 서버(3160)에 대응하는 PAN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토큰 서버(3150)는, 예를 들면, 상기 금융 서버(3160)에 대응하는 PAN를 확인하고, 상기 금융 서버(3160)에서 상기 PAN으로 결제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 서버(3150)는, 상기 PAN을 확인함에 있어서, 상기 cryptogram를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다르면, 상기 토큰 서버(3150)는, 상기 PAN를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는, 상기 PAN 및/또는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금융 서버(316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는, 상기 PAN 및/또는 상기 매입 서버(3130)에서 수신한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금융 서버(316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는, 상기 승인 여부를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융 서버(3160)는, 상기 PAN 및/또는 상기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승인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금융 서버(3160)는, 상기 PAN 및/또는 상기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금융 서버(3160)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와 일치하는(예: 유효한 PAN) 경우, 결제 승인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버(3160)는, 상기 PAN 및/또는 상기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금융 서버(3160)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와 일치하는 않는(예: 유효하지 않는 PAN) 경우, 결제 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융 서버(3160)는, 상기 승인 여부를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는, 상기 승인 여부를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융 서버(3160)는, 상기 승인 여부를 상기 매입 서버(313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입 서버(3130)는, 상기 승인 여부를 상기 POS(312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네트워크(3140)는, 상기 승인 여부가 승인인 경우,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토큰 서버(315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 서버(3150)는,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결제 서버(317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서버(3170)는,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311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제 서버(3170)는, 상기 결제 정보를 지정된 명령(예: push message)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311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110)는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3110)에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3110)는,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3110)에 포함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보여주거나 결제 기능과 연관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결제 기능과 연관된 인터페이스는 노티피케이션 바(notification ba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110)는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와 관련된 정보(예: 결제 상태, 결제 이력, 또는 누적 액수 등)를 상기 전자 장치(3110)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3110)는,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3110)의 알림 모듈(예: 도 20의 통지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2049))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3110)는, 예를 들면,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 인디케이터(indicator), 상태 바(state bar), 작업 표시줄(task bar), 아이콘(icon), 플로팅 아이콘(floating icon), 타일(tile), 또는 위젯(widget)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될 수 있고, 홈 스크린, 락 스크린, 또는 곡면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110)는,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와 관련된 정보와 관련된 알림을, 상기 전자 장치(3110)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오디오 모듈(예: 도 19의 오디오 모듈(1980)) 및/또는 모터(예: 도 19의 모터(1998), 촉각 피드백 장치(tactile feedback, 미도시), 마찰력 디스플레이(friction display, 미도시))를 통해 소리를 출력하거나, 진동 또는 햅틱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동작(3200)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시스템은, 전자 장치(3210), 결제 서버(3220), 및/또는 결제 네트워크(3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210)는, 예를 들면, 결제 매니저(3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서버(3220)는, 예를 들면, 결제 서비스 서버(3222) 및/또는 토큰 요구자 서버(3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네트워크(3230)는, 예를 들면, 토큰 서버(3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시스템은, 예를 들면, 상기 토큰을 상기 전자 장치(3210), 상기 결제 서버(3220), 및/또는 상기 결제 네트워크(3230) 각각이 수행하는 기능에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210)는, 상기 전자 장치(3210)에 포함된 상기 결제 매니저(3212) 및 상기 결제 서버(3220)에 포함된 상기 토큰 요구자 서버(3224)를 이용하여 상기 토큰과 관련된 토큰화 서비스(예: Tokenization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서비스 서버(3222)는, 상기 결제 서버(3220)에 포함된 상기 토큰 요구자 서버(3224)를 이용하여 상기 토큰과 관련된 동작 주기(예: Token Life Management)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 서버(3232)는, 상기 토큰 요구자 서버(3224)를 이용하여 상기 토큰과 관련된 알림 서비스(예: Notification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 요구자 서버(3224)는, 결제 네트워크 솔루션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3210)에 결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토큰 요구자 서버(3224)는, 상기 토큰화 서비스, 상기 토큰과 관련된 동작 주기, 및/또는 상기 토큰과 관련된 알림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결제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3a 내지 도 33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토큰 발급 동작에 대한 흐름도(3300, 3310, 3320)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토큰 발급 동작은 국가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토큰 발급 동작은 미국, 유럽, 또는, 한국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33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토큰 발급 동작에 대한 흐름도(3300)를 도시한다.
상기 제1 토큰 발급 동작에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3302), 결제 서버(3304), 또는 토큰 서버(33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302)는, 예를 들면, 결제 어플리케이션, 결제 매니저, 보안 모듈, 또는 TE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302)는, 상기 전자 장치(3302)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센서를 통해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면, 카드 등록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면, OC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면, PAN, 유효 기간, 또는 CVV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3302)에 포함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302)에 포함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결제 서버(3304)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서버(3304)는, 예를 들면, 결제 서비스 서버 또는 토큰 요구자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결제 서비스 서버 및 토큰 요구자 서버간에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서버(3304)(예: 상기 토큰 요구자 서버)은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 및/또는 상기 전자 장치(3302)와 관련된 정보(예: Device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 등)를 상기 토큰 서버(3306)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302)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제1 토큰 발급 동작을 요청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 서버(3306)는, 상기 결제 서버(3304)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토큰을 발급(생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 서버(3306)는, 상기 결제 서버(3304)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토큰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토큰 서버(3306)는, 예를 들면, 상기 결제 서버(3304)에 포함된 상기 토큰 요구자 서버로 상기 토큰을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서버(3304)는, 상기 전자 장치(3302)로 상기 토큰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서버(3304)는, 예를 들면, 상기 결제 서버(3304)에 포함된 상기 토큰 요구자 서버에서 상기 토큰을 상기 전자 장치(3302)로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302)는, 상기 결제 서버(3304)로부터 수신한 상기 토큰을 상기 보안 모듈 또는 상기 TEE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3302)는, 상기 토큰을 보안 영역인, 상기 보안 모듈 또는 상기 TEE에 저장하여 외부로부터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302)는, 상기 결제 서버(3304)로부터 수신한 상기 토큰을 상기 일반 메모리(예: REE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은, 상기 전자 장치(3302)에서 수행되는 결제 방식(예: OTP 또는 Call Center)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큰이 발급(생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은, 상기 전자 장치(3302)에 대응하여 하나의 토큰이 발급(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에는 제1 토큰이 포함될 수 있고, 제2 전자 장치에는 제2 토큰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토큰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은, 인증 동작(예: ID&V)에 기반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토큰은, 상기 전자 장치(3302)에 저장되고, 상기 인증 동작에 기반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동작은, 예를 들면, 신원 확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원 확인은, 예를 들면, 금융 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3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 토큰 발급 동작에 대한 흐름도(3310)를 도시한다.
상기 제2 토큰 발급 동작에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3312), 결제 서버(3314), 또는 토큰 서버(33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312)는, 예를 들면, 결제 어플리케이션, 결제 매니저, 또는 보안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서버(3314)는, 예를 들면, 보안 서비스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전자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센서를 통해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면, 카드 등록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면, OC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면, PAN, 유효 기간, 또는 CVV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312)에 포함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결제 서버(3314)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서버(3314)는, 예를 들면, 결제 서비스 서버 또는 토큰 요구자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결제 서비스 서버 및 토큰 요구자 서버간에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서버(3314)는,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결제 서버(3314)에 포함된 상기 보안 서비스 관리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서비스 관리 서버는, 예를 들면, 상기 결제 서버(3314)에 포함되어 내부적으로 동작하거나 상기 결제 서버(3314)의 외부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안 서비스 관리 서버는, 상기 결제 서버(3314)와는 다른 장치(예: 외부 장치)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결제 서버(3314)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서비스 관리 서버는,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 및/또는 상기 전자 장치(3312)와 관련된 정보(예: Device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 등)를 상기 토큰 서버(3316)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312)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제2 토큰 발급 동작을 요청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 서버(3316)는, 상기 결제 서버(3314)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토큰 서버(3316)는, 예를 들면,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 및/또는 상기 전자 장치(3312)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 서버(3316)는, 상기 인증 동작에 대한 결과(예: 성공 또는 실패)를 상기 결제 서버(3314)에 포함된 상기 보안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서비스 관리 서버는,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 및/또는 상기 전자 장치(3312)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토큰을 발급(생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서비스 관리 서버는, 상기 토큰을 상기 전자 장치(3312)에 포함된 보안 영역(예: 보안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안 서비스 관리 서버는, 상기 전자 장치(3312)의 상기 보안 영역에 대한 접속 권한(예: 보안 모듈 접속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서비스 관리 서버는, 상기 접속 권한을 이용하여 상기 토큰을 상기 전자 장치(3312)의 보안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큰은, 상기 보안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상기 전자 장치(3312)로 전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312)는, 상기 토큰을 보안 영역인, 상기 보안 모듈에 저장하여 외부로부터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은, 상기 전자 장치(3312)에서 수행되는 결제 방식(예: OTP 또는 Call Center)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큰이 발급(생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은, 상기 전자 장치(3312)에 대응하여 하나의 토큰이 발급(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에는 제1 토큰이 포함될 수 있고, 제2 전자 장치에는 제2 토큰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토큰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은, 인증 동작(예: ID&V)에 기반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토큰은, 상기 전자 장치(3312)에 저장되고, 상기 인증 동작에 기반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동작은, 예를 들면, 신원 확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원 확인은, 예를 들면, 금융 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3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 3 토큰 발급 동작에 대한 흐름도(3320)를 도시한다.
상기 제 3 토큰 발급 동작에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3322), 결제 서버(3324), 또는 토큰 서버(33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322)는, 예를 들면, 결제 어플리케이션, 결제 매니저, 보안 모듈, 또는 TE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전자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센서를 통해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면, 카드 등록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면, OC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면, PAN, 유효 기간, 또는 CVV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수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전자 장치는, 인증 동작(예: ID&V)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동작, 예를 들면, 신원 확인은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수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322)는 결제 기능을 수행할 때, 상기 카드 등록 및/또는 상기 신원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3322)는, 결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카드 등록 및 상기 신원 확인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카드 등록 및 상기 신원 확인은 결제 기능을 위한 대기(준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322), 상기 결제 서버(3324), 또는 상기 토큰 서버(3326)는 상기 카드 등록 및 상기 신원 확인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3322), 상기 결제 서버(3324), 또는 상기 토큰 서버(3326)는 PAN, 유효 기간, CVV, Device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토큰 발급 동작과 관련된 토큰은 상기 결제 기능을 이용해서 결제가 수행할 때 발급(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322)에 포함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결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인증은, 비밀 번호, 패턴 인증, 또는 생체 정보 인증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는(예: 인증 완료) 경우, 상기 결제 서버(3324)로, 제 3 토큰 발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3 토큰 발급 동작은, 예를 들면, 토큰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서버(3324)는, 상기 토큰 요청에 기반하여 카드 정보(예: card identifier) 및/또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토큰 서버(3326)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322)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제 3 토큰 발급 동작을 요청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 서버(3326)는, 상기 결제 서버(3324)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토큰을 발급(생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 서버(3326)는, 상기 결제 서버(3324)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토큰을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서버(3324)는, 상기 전자 장치(3322)로 상기 토큰을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322)는, 상기 결제 서버(3324)로부터 수신한 상기 토큰을 상기 보안 모듈 또는 상기 TEE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3322)는, 상기 토큰을 보안 영역인, 상기 보안 모듈 또는 상기 TEE에 저장하여 외부로부터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322)는, 상기 결제 서버(3324)로부터 수신한 상기 토큰을 상기 일반 메모리(예: REE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322)는, 상기 결제 서버(3324)로부터 수신한 토큰을 상기 전자 장치(3322)에 포함된 저장 영역(예: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3322)는, 상기 토큰을 상기 저장 영역에 저장하지 않고, 결제 기능에 이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은, 상기 전자 장치(3322)에서 수행되는 결제 방식(예: OTP 또는 Call Center)에 기반하여 상기 토큰의 저장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토큰은, 상기 결제 방식이 OTP인 경우, 상기 보안 모듈 또는 상기 TEE에 저장할 수 있고, 상기 결제 방식이 Call Center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3322)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은, 사용 시간 또는 유효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토큰은, 상기 토큰이 발급(생성)된 시간으로부터 지정된 시간(예: 3시간 또는 1일 등)이 지나가는 경우,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은, 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토큰은, 일회성 카드 정보(OTC, one time ca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위치 상태 또는 방향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센서 및 상기 메모리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요청되면,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방향을 검출하고, 전자 장치의 방향이 지정된 방향을 지시하도록 표시 객체를 생성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지정된 방향에 대응하는 표시 객체를 메모리에서 읽어 들여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표시 객체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 종료 또는 에러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결제 완료와 관련한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표시 객체 출력을 중지하거나, 상기 표시 객체를 결제 완료와 관련한 메시지로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물체 접근을 센싱하거나, 지정된 패턴의 이미지가 획득되거나, 지정된 제1 제스처 이벤트(예: 전자 장치를 POS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스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표시 객체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물체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지정된 패턴의 이미지가 지정된 시간 이상 사라지거나, 지정된 제2 제스처 이벤트(전자 장치를 POS로부터 이격시키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스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표시 객체 출력을 중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 객체 출력 기간 중 적어도 일부 동안 결제 진행과 관련한 자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표시 객체 출력 중지 시 상기 자시 신호 출력을 중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결제 완료를 지시하는 지정된 SMS 수신, 지정된 메시지(예: 데이터 망이나 셀룰러 망을 통해 수신한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표시 객체 출력을 중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 객체 출력 후, 전자 장치가 지정된 방향 상태를 가지면, 상기 표시 객체의 출력을 중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 객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취해야 할 방향에 대응하여 카메라에 배치된 램프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지향 방향을 지시하는 객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요청되면,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방향을 검출하고, 전자 장치의 방향이 지정된 방향을 지시하도록 상기 객체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결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제 관련 정보의 무결성 또는 상기 결제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요소들의 무결성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결제 관련 정보를 자기 신호로 출력할지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결성이 훼손된 경우 무결성 훼손에 따른 메시지를 출력하고, 결제 진행을 중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결성이 훼손된 경우 상기 결제 관련 정보 갱신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결성이 훼손된 경우 무결성 훼손과 관련한 정보를 지정된 서버에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결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결제용 카드들과 관련한 복수의 이미지들을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하고, 나머지 이미지들의 크기를 동일하게 표시하되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된 이미지와 중첩되지 않게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일정 이상 사용 빈도수를 가지는 카드 이미지들을 서로 중첩되지 않게 표시하되,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수를 가지는 카드 이미지를 더 크게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일정 이상 사용 이력을 가지는 카드 이미지들을 서로 중첩되지 않게 표시하되, 상대적으로 최근 사용 이력을 가진 카드 이미지를 더 크게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일정 이상 사용 빈도수 또는 사용 이력을 가지는 카드 이미지들을 서로 중첩되지 않게 표시하되, 지정된 카드 이미지는 고정 크기로 표시하고, 나머지기 카드 이미지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수 또는 최근 사용 이력을 가지는 순으로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노출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거나, 상기 전자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된 입력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사용자 인증 장치;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외부 결제 장치로 자기 신호(magnetic signal)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도전성 패턴;
    상기 도전성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통신 회로;
    셀룰러 및/또는 근거리 통신을 제공하는 제2 통신 회로;
    상기 전자 장치의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입력 장치, 상기 사용자 인증 장치, 상기 제1 통신 회로, 제2 통신 회로, 및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결제에 사용되는 토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인증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토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자기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회로 및 상기 도전성 패턴을 통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의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전자장치를 상기 검출된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안내하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오디오 출력, 텍스트 출력, 이미지 출력, 비디오 출력, 진동 또는 햅틱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미지 획득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자기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오디오 수집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음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음향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자기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자기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SMS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결제 완료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자기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NFC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NFC 모듈;
    상기 NFC 모듈을 운용하기 위한 NFC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FC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토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NFC 신호를 송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FC 신호의 송출 방향을 지시하는 신호 송출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기 신호의 송출 및 상기 NFC 신호의 송출을 교번되게 운용하고,
    상기 NFC 신호의 송출과 관련된 신호 송출 객체와 상기 자기 신호의 송출과 관련된 신호 송출 객체를 다르게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KR1020150179430A 2015-02-12 2015-12-15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61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6216833A AU2016216833B2 (en) 2015-02-12 2016-02-04 Paymen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PCT/KR2016/001233 WO2016129863A1 (en) 2015-02-12 2016-02-04 Paymen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16155258.3A EP3057047B1 (en) 2015-02-12 2016-02-11 Electronic device or payment processing method
US15/042,671 US11182769B2 (en) 2015-02-12 2016-02-12 Paymen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201610084771.2A CN105894268B (zh) 2015-02-12 2016-02-14 支付处理方法及支付其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08 2015-02-12
KR20150021808 2015-02-12
US201562126121P 2015-02-27 2015-02-27
US62/126,121 2015-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464A KR20160099464A (ko) 2016-08-22
KR102461042B1 true KR102461042B1 (ko) 2022-11-01

Family

ID=5701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430A KR102461042B1 (ko) 2015-02-12 2015-12-15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61042B1 (ko)
CN (1) CN105894268B (ko)
AU (1) AU2016216833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3626B (zh) * 2016-08-26 2020-02-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形编码界面的切换方法及移动终端
KR102646761B1 (ko) * 2016-09-07 2024-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융 계좌 등록 및 등록된 금융 계좌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2557125B1 (ko) * 2016-09-23 2023-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37473A (ko) * 2016-10-04 2018-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결제 방법, 전자 장치 및 외부 결제 장치
WO2018066892A1 (ko) * 2016-10-05 2018-04-12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지문인식과 연동되는 융합카드의 인증시스템 및 인증처리방법과 그 알고리즘
KR20180040953A (ko) * 2016-10-13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1487A (ko) * 2016-10-14 2018-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58661B1 (ko) * 2016-11-22 2023-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6709729A (zh) * 2016-12-30 2017-05-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支付方法及移动终端
KR102632841B1 (ko) * 2017-02-03 202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결제들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316278B1 (ko) * 2017-04-07 2021-10-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지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36550B1 (ko) * 2017-05-22 2019-10-28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지문인식과 연동되어 nfc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및 사진정보를 표출시키는 융합카드의 인증시스템
KR102026097B1 (ko) * 2017-05-22 2019-09-30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지문인식과 연동되어 nfc모듈 근거리 무선통신을 작동시키는 융합카드의 인증처리 시스템
KR102054674B1 (ko) * 2017-05-22 2019-12-12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지문인식과 연동되어 사진정보를 표출시키는 융합카드의 인증시스템
EP3407559A1 (en) * 2017-05-26 2018-11-28 Authentic Vision GmbH System and method to manage privileges based on the authentication of an uncloneable security device
CN107506998B (zh) * 2017-09-02 2021-08-17 芽米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基于nfc验证的指纹密码支付的方法、装置、系统
CN108288153B (zh) * 2017-12-27 2022-06-1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柔性屏支付码显示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43104B1 (ko) * 2018-01-18 202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55913B1 (ko) * 2018-02-08 2022-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652156B1 (ko) * 2018-03-06 2024-03-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모듈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72483B1 (ko) * 2018-05-25 2023-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N109426746A (zh) * 2018-08-03 2019-03-05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扫码枪装置以及非接受理和扫码读取的切换控制方法
US11204693B2 (en) 2018-09-07 2021-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shot based TUI process for in-app purchase authentication
KR20200055313A (ko) * 2018-11-13 2020-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생체정보 추정 방법
CN109819281B (zh) * 2018-12-10 2021-06-11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视联网的支付方法及系统
JP6959619B2 (ja) * 2019-02-08 2021-11-02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携帯端末
TWI761688B (zh) * 2019-06-28 2022-04-21 悠遊卡股份有限公司 虛擬電子票卡之交易系統的應用方法
CN111064788B (zh) * 2019-12-18 2022-12-06 达闼机器人股份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机器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962693B2 (en) 2020-03-31 2024-04-1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Integrated circuit (IC) signatures with random number generator and one-time programmable device
US11528135B2 (en) 2020-03-31 2022-12-1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Integrated circuit (IC) signatures with random number generator and one-time programmable device
TWI781544B (zh) * 2020-03-31 2022-10-21 台灣積體電路製造股份有限公司 積體電路裝置以及產生用於積體電路裝置的安全密鑰的方法及系統
CN114331448A (zh) * 2020-09-30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生物信息验证方法及设备
CN112543417B (zh) * 2020-11-23 2022-03-18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数据反馈系统和方法
CN112464206B (zh) * 2020-11-23 2023-06-13 支付宝(中国)网络技术有限公司 数据反馈系统和方法以及信息识别方法和系统
GB2606711A (en) * 2021-05-12 2022-11-23 Mastercard International Inc Secure channel establishment
KR102615284B1 (ko) 2023-01-31 2023-12-19 주식회사 터치앤고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174665A (ko) 2022-06-21 2023-12-28 주식회사 터치앤고 Nfc 결제 및 인증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40026781A (ko) * 2022-08-22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43609A1 (ko) * 2022-08-25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릿의 비접촉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5472A1 (en) * 2009-12-17 2012-10-24 ZTE Corporation Implementing method of card simulation application of near-field communication (nfc) mobile terminal and nfc mobile terminal thereof
US20130141567A1 (en) * 2011-12-05 2013-06-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providing guide direction indicator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nitiation and related methods
US20140122328A1 (en) * 2012-10-29 2014-05-01 Bank Of America Corporation Mobile device for multiple payment modes
US20140269946A1 (en) * 2013-03-14 2014-09-18 George Wallner System and method for a baseband nearfield magnetic stripe data transmit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5013288A (es) * 2003-06-16 2007-04-18 Uru Technology Inc Metodo y sistema para crear y operar aparatos de manejo de credenciales permitidos biometricamente de multiple proposito.
US8313020B2 (en) * 2004-03-08 2012-11-20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banking machine operat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KR101362597B1 (ko) * 2007-03-19 2014-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사용자인증방법
KR20120088965A (ko) * 2011-02-01 2012-08-09 (주)엠에이치마인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대금결제방법 및 대금결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5472A1 (en) * 2009-12-17 2012-10-24 ZTE Corporation Implementing method of card simulation application of near-field communication (nfc) mobile terminal and nfc mobile terminal thereof
US20130141567A1 (en) * 2011-12-05 2013-06-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providing guide direction indicator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nitiation and related methods
US20140122328A1 (en) * 2012-10-29 2014-05-01 Bank Of America Corporation Mobile device for multiple payment modes
US20140269946A1 (en) * 2013-03-14 2014-09-18 George Wallner System and method for a baseband nearfield magnetic stripe data transmi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94268A (zh) 2016-08-24
AU2016216833B2 (en) 2019-08-15
AU2016216833A1 (en) 2017-08-10
CN105894268B (zh) 2020-02-21
KR20160099464A (ko) 201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1042B1 (ko)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576809B1 (ko) 결제 수단 운용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057047B1 (en) Electronic device or payment processing method
US108034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ayment
US11107047B2 (e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electronic payment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7408251B (zh) 提供电子支付功能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KR102608994B1 (ko) 생체 인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530888B1 (ko) 결제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46761B1 (ko) 금융 계좌 등록 및 등록된 금융 계좌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20160253669A1 (en) Method for providing payment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368614B1 (ko) 인증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70061419A1 (en) Pay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2016025365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ay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3630380B (zh) 用于支付服务的卡片注册方法和实施该方法的移动电子设备
US20170103382A1 (en) Method of providing payment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US20170083882A1 (en) Secure pay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KR102458145B1 (ko)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EP3262586B1 (en) Payment means operation suppor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102239990B1 (ko) 결제 서비스를 위한 카드 등록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전자 장치
KR20170026060A (ko) 전자 장치에서 결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