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284B1 -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284B1
KR102615284B1 KR1020230012376A KR20230012376A KR102615284B1 KR 102615284 B1 KR102615284 B1 KR 102615284B1 KR 1020230012376 A KR1020230012376 A KR 1020230012376A KR 20230012376 A KR20230012376 A KR 20230012376A KR 102615284 B1 KR102615284 B1 KR 102615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payment
nfc
card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2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터치앤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터치앤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터치앤고
Priority to KR1020230012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284B1/ko
Priority to PCT/KR2023/008600 priority patent/WO202324940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3Payment schemes or models based on the use of peer-to-pee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2Contactless payments by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4Card activation or deacti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를 이용한 NFC 결제 시도 시 읽기/쓰기모드로 기능하는 결제수단 또는 카드모드로 기능하는 결제수단 모두 NFC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NFC 결제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ULTI-MODE NFC PAYMENT SUPPORT METHOD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를 이용한 NFC 결제 시도 시 읽기/쓰기모드로 기능하는 결제수단 또는 카드모드로 기능하는 결제수단 모두 NFC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NFC 결제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NFC 기술은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결제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니라 할 것이다. 최근 제조 및 판매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스마트폰)에는 NFC 결제지원 기능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OS 기반의 S사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읽기/쓰기 모드 또는 카드 모드로 설정이 가능하고, 특히 카드 모드로 설정하였을 때 대중교통카드 대용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이를 이용하고 있다.
iOS 기반의 A사 사용자 단말기에는 NFC 기술을 이용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드웨어가 내재되어 있긴 하나, 한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는 카드 모드가 비활성화 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제한되어 있어 아직까지는 사용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렇듯 NFC 기술은 결제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이 되고 있거나 활용 가능성이 있는데, 아직까지 대다수의 카드결제 가맹점들에는 NFC 결제방식을 지원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나 여러 모드로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들, 또는 특정 모드가 비활성화 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을 이용하여 NFC 결제를 시도하고자 할 때에 이를 지원하는 장치는 더더욱 구비되어 있지 않아 NFC 기술이 결제분야에서 거의 사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iOS 기반의 A사 사용자 단말기처럼 카드모드의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사용자 환경에서도 NFC 결제가 가능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9464호 (2016.0.22 공개)
본 발명은 다양한 모드의 NFC 결제방식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가맹점주 편의성을 동시에 높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NFC 결제수단을 감지한 뒤 이에 맞는 종류의 결제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맹점주가 별도의 조작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적합한 결제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가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을 하는 방법은 (a) 적어도 둘 이상의 결제모드들 중 하나의 결제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 (b) 활성화된 결제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호스트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모드들은, 카드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제1 결제모드, 및 읽기/쓰기 모드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제2 결제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에 따라 복수 개의 결제모드들이 활성화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전, 전자기파를 통해 카드인식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카드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가 접근하여 상기 카드인식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a) 단계에서는 제1 결제모드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전,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읽기/쓰기 모드의 사용자 단말기가 접근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전자기파가 감지되면, 상기 (a) 단계에서는 제2 결제모드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의 결제모드는 제1 결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또한,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모드는, 피어-투-피어 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제3 결제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가 제1 결제모드일 때,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체식별정보가 NFC모듈에 쓰이는 단계; 및 상기 NFC모듈에 쓰인 값을 읽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가 제2 결제모드일 때,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읽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결제모드들로 전환 및 활성화가 가능한 것으로, 활성화된 결제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읽거나 또는 매체식별정보가 쓰이는 NFC 모듈;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호스트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부;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 장치 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NFC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결제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소비자들로서는 별다른 불편함 없이 기존의 근접 결제 행위만으로도 손쉽게 결제를 할 수 있어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는 자신이 어떤 종류의 사용자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지와 관계없이 모든 환경에서 결제를 진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을 사용할 경우의 결제 흐름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을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 예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을 활용할 때 전반적인 결제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은 일반 소비자가 스마트폰 단말기(사용자 단말기; 100) 또는 NFC 카드(150)를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200)에 접근시켜 결제를 시도하는 경우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할 때, 소비자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NFC 카드(150)를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200) 측에 접근시켜 결제에 필요한 정보, 그 중에서도 특히 결제용 매체(카드번호, 또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1회용 코드; 이하 매체식별정보라 함)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정보를 전달'한다는 것의 의미는 NFC 결제에 필요한 매체식별정보가 임의의 수단 또는 방식에 따라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200)에 의해 읽히거나 기록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200)가 후속적으로 호스트 장치(300) 측에 전달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전달된 매체식별정보는 호스트 장치(300)에 의해 결제에 필요한 추가정보가 덧붙여져 금융사 서버(400) 측에 전달될 수 있으며, 금융사 서버(400)에서는 호스트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기초로 결제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위 사용자 단말기(100)는 NFC 모드가 읽기/쓰기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결제를 시도하거나, 또는 NFC 모드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결제를 시도하는 것일 수 있으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200)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게 될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NFC 모드에 따라 결제모드가 변경 내지 활성화되어 NFC 모드 맞춤형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참고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기(100) 중에는 iOS 기반의 사용자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하드웨어적으로는 NFC 쓰기 및 읽기 기능이 가능한 모듈을 갖추고 있으나 소프트웨어에 의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로의 활성화가 제한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각 주체들을 하드웨어적으로 이해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는 임의의 사용자가 보유하거나 소지하고 다니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여기에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PC 등과 같이 휴대가 가능한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들은 모두 중앙처리유닛(CPU)과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및 터치 감응형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부수적으로 물리적 키보드, 마우스 및/또는 조이스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물리적 사용자 입력용 수단이 더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소리나 음성을 감지하고 녹음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 상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은, 옵션적으로, 터치 감응형 표면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보편적인 물리적 사용자 입력용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감응형 표면의 하나 이상의 기능 뿐만 아니라 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대응하는 정보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음 어플리케이션으로 그리고/또는 개별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옵션적으로 조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의 (터치 감응형 표면과 같은) 보편적인 물리적 아키텍처는, 옵션적으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명료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호스트 장치(300)는, 바람직하게는 연산이 가능한 장치로서 중앙처리유닛(CPU)과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중앙처리유닛은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유닛은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으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쉬(flash) 메모리, SRAM(Static RAM),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호스트 장치(300)의 종류에는 POS 단말기, CAT 단말기 등과 같이 구매자로부터 매체식별정보(카드정보, 또는 1회용 코드 등)를 수신한 뒤 금융사 서버(400) 또는 이와 대등한 위치에 있는 금융 기관 측에 결제의 승인을 요청할 수 있는 장치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금융사 서버(400)는 용어 그대로 금융업을 관장하는 업체의 서버 컴퓨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앞서 언급된 중앙처리유닛 및 메모리를 갖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을 알아보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은 “결제지원 방법”으로,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는 “결제지원 장치”로 약칭하기로 한다.
도 2를 참고할 때, 결제지원 방법은 가장 먼저 결제지원 장치(200)가 어느 특정 결제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S1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제지원 장치(200)는 활성화된 결제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로부터 매체식별정보, 즉 카드정보를 수신(S102)할 수 있다.
결제모드란, 결제지원 장치(200)가 NFC 기술을 기반으로 결제를 진행하기 위해 장치 내부의 NFC 모듈의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는 결제환경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결제지원 장치(2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결제모드들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제모드들에는 예를 들어, 카드모드(카드에뮬레이션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NFC카드(150)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제1 결제모드, 그리고 읽기/쓰기 모드의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제2 결제모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나아가 피어-투-피어 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제3 결제모드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소비자가 스마트폰(사용자 단말기)을 소지한 채로 결제를 할 경우를 예로 들어 부가 설명을 하면, 제1 결제모드는 결제지원 장치(200)가 읽기/쓰기 모드로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0)는 카드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결제지원 장치(200)에 의해 매체식별정보(카드정보)가 읽힐 수 있다. 제2 결제모드는 결제지원 장치(200)가 태그에뮬레이션모드(tag-emulation mode)로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0)는 읽기/쓰기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결제지원 장치(200)에 매체식별정보(카드정보)를 쓸 수 있다. 제3 결제모드에서는 결제지원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기(100)가 모두 피어-투-피어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00)가 결제지원 장치(200)에 매체식별정보(카드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매체식별정보란, 결제를 하기 위해 필요한 특정 매체, 예를 들어 카드정보(카드번호), 혹은 1회용 값(코드), 또는 그 밖의 고유 값(코드)을 포함할 수 있다. 쉬운 예로, 결제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을 때 제한 시간이 주어져 있는 1회용 코드(바코드, QR코드 등)가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되는 1회용 코드가 매체식별정보의 한 종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매체식별정보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바코드나 QR코드 등의 형태, 즉 화면에 표시되는 형태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는 단지 NFC 결제가 준비되었다는 내용, 또는 NFC 결제를 하라는 내용의 메시지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S102 단계 이후, 결제지원 장치(200)는 호스트 장치(300)로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S103) 참고로 S103 단계는 S102 단계 직후에 실행될 수 있는 것으로, 호스트 장치(300)는 별도의 준비 상태(ready state)를 결제지원 장치(200)에 보내는 등의 사전 준비 단계 없이 곧바로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103 단계 이후 호스트 장치(300)는 금융사 서버(400) 측에 앞서 수신한 매체식별정보, 그리고 호스트 장치(300)가 생성한 결제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S104) 결제정보란, 사용자가 특정 가맹점 내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고자 할 경우 해당 구매 건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거래하고자 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 수량, 명칭, 거래 일시, 거래 장소, 거래에 관여하는 담당자 이름, 또는 가맹점 대표자 이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미도시 되어 있으나 S104 단계 이후 금융사 서버(400)에서는 상기 호스트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매체식별정보를 승인하는 단계,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승인결과를 호스트 장치(300) 측,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측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제지원 방법의 대략적인 순서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 3은 결제지원 장치(200)의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고할 때, 결제지원 장치(200)는 크게 NFC 모듈(210), 제어부(220), 통신부(230), 및 전원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NFC 모듈(210)은 적어도 둘 이상의 결제모드들로 전환 및 활성화가 가능한 것으로, 활성화된 결제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읽거나 또는 매체식별정보가 쓰이는 구성이다. 상기 NFC 모듈(210)은 필요에 따라 전원 공급을 위한 루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NFC 모듈(210)이 사용자 단말기, NFC 리더, 또는 NFC 카드 등과 어떤 환경에서 NFC 결제방식을 지원하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카드모드(카드에뮬레이션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NFC카드에 의해 제1 결제모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NFC 모듈(210)이 읽기/쓰기 모드로 활성화 될 수 있고, 읽기/쓰기 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NFC리더에 의해 제2 결제모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NFC 모듈(210)이 태그에뮬레이션모드로 활성화 될 수 있으며, P2P 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NFC리더에 의해 제3 결제모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NFC 모듈(210)이 P2P 모드로 활성화 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결제지원 장치(200)의 구성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면서, 특히 상기 NFC 모듈(210)의 활성화를 제어하고, 상기 NFC 모듈(210)에 의해 수신된 매체식별정보를 호스트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한다.
통신부(230)는 상기 결제지원 장치(200)와 호스트 장치(300) 사이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구성으로, 제어부(230)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수신된 매체식별정보를 실질적으로 호스트 장치(300) 측에 전달하는 구성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유선/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300)가 유선(serial cable, USB cable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또는 호스트 장치(300)가 블루투스(BLE)통신, 적외선(IR)통신, 와이파이(WiFi)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통신부(230)는 해당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한다.
전원부(240)는 상기 결제지원 장치(200)의 구동에 필요한 전반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제지원 장치(200)는 POS 단말기 등과 같은 호스트 장치(300)에 연결되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겠으나, 그렇지 않고 자체적으로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또는 내부에 착탈 가능한 건전지를 통해 전력 공급을 받을 수 있게, 또는 충전기를 통해 전력 공급을 받을 수 있게 설계될 수 있다.
이상 도 3을 참고하여 결제지원 장치(200)의 구성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제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앞서 도 2에서는 결제지원 장치(200)가 복수 개의 결제모드들 중 하나의 결제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S101)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제1 실시예에서는 결제지원 장치(200)가 기 설정된 시간 또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복수 개의 결제모드들을 반복적으로, 또는 순환적으로 하나씩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고할 때, 결제지원 장치(200)는 제1 결제모드(읽기/쓰기 모드) - 제2 결제모드(태그에뮬레이션모드) - 제3 결제모드(P2P모드) - 제1 결제모드(읽기/쓰기 모드) - … 와 같이 반복적으로 결제모드들이 활성화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결제모드들은 정해진 시간, 예를 들어 300ms의 시간마다 다음 결제모드로 활성화되도록 제어부(2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실시예가 실제로 구현되었을 때, 결제지원 장치(200)는 매우 짧은 주기로 복수 개의 결제모드들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NFC카드가 접근하였을 때 적절한 결제모드로 NFC 결제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가령, 사용자 단말기(100)가 카드모드일 때 결제지원 장치(200)가 제1 결제모드가 활성화 된 짧은 순간(300ms)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근접한 상태에서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00)가 읽기/쓰기 모드일 때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P2P모드일 때에도 상기 결제지원 장치(200)가 제2 결제모드 또는 제3 결제모드로 활성화되어 있는 시간 동안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결제지원 장치(200)는 소비자가 어떠한 종류의 NFC 결제수단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NFC 결제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 예시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결제모드가 활성화되는 시간 또는 주기를 300ms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 시간 또는 주기는 설계자 또는 운영자의 의사에 따라 정해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 다만, 가맹점주 및 소비자 간 결제상황을 가정할 때 소비자가 스마트폰을 너무 오랜 시간동안 결제지원 장치(200)에 근접시키는 것은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모든 결제모드들의 1순환은 1초 미만의 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결제지원 장치(200)는 초기에 소비자로부터의 NFC 결제수단 접근이 없을 때에는 기 정해진 시간 또는 주기에 따라 순환적으로 결제모드들을 활성화시키다가 어느 순간 NFC 결제수단이 접근한 것을 감지한 경우 특정 결제모드의 활성화 상태가 일정시간 지속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읽기/쓰기 모드의 사용자 단말기(100)가 접근하였을 때 제1 결제모드에 이어 제2 결제모드로 활성화 상태가 바뀌었다면, 결제지원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수신(더 정확하게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NFC 모듈(210)에 매체식별정보가 쓰이고(write), 결제지원 장치(200)가 이를 읽게(read) 되는 과정이 진행됨)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매체식별정보 수신이 감지된다면 결제지원 장치(200)는 같은 결제모드를 더 오랜 시간 동안, 예를 들어 5초까지 유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결제지원 장치(200)는 소비자로부터의 NFC 결제수단 접근이 있어 특정 매체식별정보의 수신이 감지되더라도 결제모드들의 반복순환을 멈추지 않고 지속적으로 진행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특히 NFC 모듈(210)이 카드모드의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읽거나(제1 결제모드) 또는 NFC 모듈(210)에 매체식별정보가 쓰인 후 이를 읽어내는 결제모드(제2 결제모드)들은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이 매우 짧은 시간동안 이루어지므로, 굳이 결제모드들의 반복순환을 일정 시간동안 멈추지 않더라도 NFC 결제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제지원 방법을 응용하면 여러 개의 NFC 결제수단들이 근접해 있을 때에 거의 동일한 시간 내에 복수 개의 NFC 결제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명의 소비자들이 함께 식사를 한 후 더치페이를 한다고 가정할 때, 카드모드의 제1 스마트폰, 읽기/쓰기모드의 제2 스마트폰을 동시에 결제지원 장치(200)에 근접시키면 결제지원 장치(200)에서의 결제모드 반복순환에 따라 상기 제1 스마트폰 및 제2 스마트폰의 NFC 결제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초 미만의 매우 짧은 시간 동안 각 스마트폰들로부터 매체식별정보들이 읽히거나 쓰이게 되므로, 소비자들의 입장에서는 두 건의 결제가 거의 동시에 진행되는 것과 같은 경험을 하게 될 수 있다.
이상 도 4를 참고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제지원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 5 및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결제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2 실시예는 결제지원 장치(200)로 하여금 전자기파를 발생시키고, 이 상태에서 NFC 결제수단의 접근이 감지되면 해당 NFC 결제수단에 매칭되는 결제모드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고할 때, 결제지원 장치(200)는 초기에 읽기/쓰기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외부로 전자기파를 발생 및 발산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전자기파를 통해서는 지속적으로 카드인식신호(REQA)가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이 때, 카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NFC카드가 접근하는 경우, 결제지원 장치(200)는 상기 카드인식신호(REQA)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신호(ATQA)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응답신호(ATQA)가 수신되면 읽기/쓰기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NFC카드의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하여 NFC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할 때, 결제지원 장치(200)는 역시 초기에 읽기/쓰기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외부로 전자기파를 발생 및 발산할 수 있다. 이 때 읽기/쓰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NFC리더가 접근하는 경우, 결제지원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NFC리더로부터 발생한 또 다른 전자기파(상기 결제지원 장치(200)로부터 발생된 전자기파를 제1 전자기파,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리더로부터 발생된 전자기파를 제2 전자기파로 나누어 구분하기로 한다)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렇듯 제2 전자기파가 감지되면 상기 결제지원 장치(200)는 곧바로 NFC 모듈(210)을 태그에뮬레이션모드로 변환, 다시 말해 결제지원 장치(200)는 제2 결제모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NFC리더에 의해 매체식별정보가 쓰인 뒤 읽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리더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전자기파는 타 장비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발생 및 발산되는 특정 주파수(13.56Mhz)의 전자기파일 수 있다.
제2 결제모드가 활성화 된 후, 결제지원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NFC리더로부터 카드인식신호(REQA)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신호(ATQA)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후 후속 프로토콜에 따라 NFC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도 7은 앞서 살펴본 제2 실시예를 순서도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고할 때, 제2 실시예는 가장 먼저 결제지원 장치(200)가 읽기/쓰기 모드로 설정되는 단계, 다시 말해 제1 결제모드로 활성화되는 단계(S201)를 포함할 수 있다.
S201 단계 이후, 결제지원 장치(200)는 전자기파(제1 전자기파)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로 카드인식신호(REQA)를 브로드캐스팅(S202)할 수 있다. 카드인식신호(REQA)란, 임의의 외부 NFC 결제수단이 접근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의 한 종류로, 특히 전자기파에 의해 카드모드의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가 반응할 때에 응답신호(ATQA)를 전달해 줄 것을 유도하는 신호일 수 있다.
S202 단계 이후, 결제지원 장치(200)는 응답신호(ATQA)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S203)하게 되며, 응답신호(ATQA)가 수신된 경우에는 충돌방지루프(Anti-collision Loop)를 실행(S204)시키고, 이 후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의 매체식별정보(예. UID, SAK 등)를 읽어 들인 후(S205)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NFC 결제를 진행(S206)하게 된다.
한편, S203 단계에서 응답신호(ATQA)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결제지원 장치(200)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리더로부터 제2 전자기파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S207)할 수 있으며, 만일 제2 전자기파가 감지되지 않는다면 다시 S202 단계로 회귀하여 제1 전자기파 발생 및 카드인식신호(REQA) 브로드캐스팅을 실시할 수 있다.
반대로, S207 단계에서 제2 전자기파가 감지되었다면, 결제지원 장치(200)는 NFC 모듈(210)을 태그에뮬레이션모드로 전환, 또는 제2 결제모드를 활성화(S208)시킬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제2 전자기파를 발산하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리더로부터 카드인식신호(REQA)를 수신하고 응답신호(ATQA)를 발신(S209)할 수 있다.
S209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2 전자기파를 발산하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리더로 매체식별정보(UID, SAK 등)를 송신하는 단계(S210), 및 NFC 결제단계(S211)가 진행될 수 있다.
이상 멀티모드 NFC 결제를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해 필요한 결제지원 장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결제지원 장치
300 호스트 장치
400 금융사 서버

Claims (10)

  1. 복수 개의 결제모드들로 활성화 가능한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가,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결제모드들은, 카드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제1 결제모드, 및 읽기/쓰기 모드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제2 결제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을 하는 방법은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로 하여금 전자기파를 발생시키고, NFC 결제수단의 접근이 감지되면 해당 NFC 결제수단에 매칭되는 결제모드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을 하는 방법은,
    (a)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의 결제모드를 제1 결제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 의해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가 제1 결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의 접근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기파 - 상기 카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의 접근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기파를 통해서는 카드인식신호(REQA)가 브로드캐스팅 됨 - 를 발산하는 단계;
    (c1) 카드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가 접근하여 상기 카드인식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결제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충돌방지루프를 실행시키고, 이후 상기 접근한 카드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의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호스트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c2) 상기 (c1)단계에서 상기 카드인식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타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리더로부터 발생된 제2 전자기파 - 상기 읽기/쓰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리더로부터 발생된 제2 전자기파는 13.56Mhz의 주파수를 가짐 - 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2 전자기파가 감지되면 상기 제2 결제모드를 활성화 시킨 후 상기 제2 전자기파를 발산하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리더로부터 카드인식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카드인식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발신하며, 상기 제2 전자기파를 발산하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리더에 의해 상기 NFC 결제지원 장치에 쓰인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읽고, 상기 읽은 매체식별정보를 호스트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식별정보는 금융사 서버에서의 결제승인을 위해 참조되는 카드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복수 개의 결제모드들로 활성화 가능한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결제모드들은, 카드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제1 결제모드, 및 읽기/쓰기 모드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제2 결제모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둘 이상의 결제모드들로 전환 및 활성화가 가능한 것으로, 활성화된 결제모드에 따라 카드모드의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로부터 매체식별정보를 읽거나, 또는 읽기/쓰기 모드의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리더에 의해 매체식별정보가 쓰이는 NFC 모듈;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호스트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부;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 장치 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을 실행하되,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은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로 하여금 전자기파를 발생시키고, NFC 결제수단의 접근이 감지되면 해당 NFC 결제수단에 매칭되는 결제모드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멀티모드 NFC결제지원 방법은,,
    (a)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의 결제모드를 제1 결제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 의해 상기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가 제1 결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의 접근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기파 - 상기 카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의 접근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기파를 통해서는 카드인식신호(REQA)가 브로드캐스팅 됨 - 를 발산하는 단계;
    (c1) 카드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가 접근하여 상기 카드인식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결제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충돌방지루프를 실행시키고, 이후 상기 접근한 카드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카드의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호스트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c2) 상기 (c1)단계에서 상기 카드인식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타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리더로부터 발생된 제2 전자기파 - 상기 읽기/쓰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리더로부터 발생된 제2 전자기파는 13.56Mhz의 주파수를 가짐 - 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2 전자기파가 감지되면 상기 제2 결제모드를 활성화 시킨 후 상기 제2 전자기파를 발산하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리더로부터 카드인식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카드인식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발신하며, 상기 제2 전자기파를 발산하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NFC리더에 의해 상기 NFC 결제지원 장치에 쓰인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읽고, 상기 읽은 매체식별정보를 호스트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식별정보는 금융사 서버에서의 결제승인을 위해 참조되는 카드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장치.
KR1020230012376A 2022-06-21 2023-01-31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615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376A KR102615284B1 (ko) 2023-01-31 2023-01-31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CT/KR2023/008600 WO2023249403A1 (ko) 2022-06-21 2023-06-21 Nfc 결제 및 인증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376A KR102615284B1 (ko) 2023-01-31 2023-01-31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284B1 true KR102615284B1 (ko) 2023-12-19

Family

ID=8938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376A KR102615284B1 (ko) 2022-06-21 2023-01-31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2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341A (ko) * 2013-11-27 2014-03-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4732A (ko) * 2012-12-10 2014-06-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9464A (ko) 2015-02-12 201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106013A (ko) * 2016-08-22 2016-09-09 천정서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2372598B1 (ko) * 2021-01-20 2022-03-08 주식회사 티머니 Nfc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4732A (ko) * 2012-12-10 2014-06-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9341A (ko) * 2013-11-27 2014-03-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9464A (ko) 2015-02-12 201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106013A (ko) * 2016-08-22 2016-09-09 천정서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2372598B1 (ko) * 2021-01-20 2022-03-08 주식회사 티머니 Nfc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9819B2 (en) Managing devices associated with a digital wallet account
US11538024B2 (en) Automatically communicating user device data to a transaction computing system
US11343663B2 (en) Beacon-triggered activation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application
US10134025B2 (en) One-click offline buying
US20140052637A1 (en) Portable device wireless reader and payment transaction terminal secure memory functionality
US20140095385A1 (en) Selecting merchants for automatic payments
KR20140097524A (ko) 비접촉식 모바일 결제 거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결제 에이전트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US10430782B2 (en) Merchant-specific functionality services
KR102366191B1 (ko) 수집가능한 아이콘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150278803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field detection
KR101525106B1 (ko) 근거리 무선태그 실장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9505917A (ja) 大量輸送のためのモバイル上でのアクセス制御回避
KR101773924B1 (ko) 전자영수증 및 전자처방전 자동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615284B1 (ko) 멀티모드 nfc 결제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39936B1 (ko) Rf 인식 기반 상품 구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5318A (ko) 비접촉식 카드를 사용하여 검증된 리뷰
US20170061524A1 (en) Messaging system
KR20230174665A (ko) Nfc 결제 및 인증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094810A (ko)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구매정보 공유 방법 및 장치
US20190325409A1 (en) Interaction processing with virtual counter-party iden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