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913B1 -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913B1
KR102455913B1 KR1020180015581A KR20180015581A KR102455913B1 KR 102455913 B1 KR102455913 B1 KR 102455913B1 KR 1020180015581 A KR1020180015581 A KR 1020180015581A KR 20180015581 A KR20180015581 A KR 20180015581A KR 102455913 B1 KR102455913 B1 KR 102455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ervice
applet
process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076A (ko
Inventor
이 양
남명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5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913B1/ko
Priority to PCT/KR2019/001324 priority patent/WO2019156421A1/en
Priority to US16/266,169 priority patent/US10602336B2/en
Publication of KR20190096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04W12/47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자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릿이 설치된 보안 요소, 제1 외부 전자 장치와의 상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는 상기 애플릿으로부터 수신한 제1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모니터링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상기 제1 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들어,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 기술의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card emulation mode)를 통해, 신용 카드, 직불 카드, 교통 카드, 아이디 카드, 또는 스마트 키 등처럼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예: 애플릿(applet)) 이른바 모바일 카드(또는 스마트 카드)를 보안 요소(secure element(SE))에 설치(또는 등록)할 수 있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결제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전자 장치는 보안 요소에 설치된 애플릿에서 서비스에 포함된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를 완료하더라도, 상기 애플릿이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하는 신호(또는 이벤트)를 상기 서비스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는지를 알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릿이 상기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더라도,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명령어 처리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는지를 알지 못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비스와 관련하여 필수적으로 메모리에 저장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외부 전자 장치와 보안 요소에 설치된 애플릿 간의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회로에 포함된 모니터링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의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애플릿으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포함된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릿이 설치된 보안 요소, 제1 외부 전자 장치와의 상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는 상기 애플릿으로부터 수신한 제1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모니터링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상기 제1 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보안 요소에 설치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릿으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제1 외부 전자 장치와의 상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회로에 포함된 모니터링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분석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안 요소에 설치된 애플릿에서 서비스에 포함된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하는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지 않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명령어 처리부가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와 보안 요소에 설치된 애플릿 간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요청 신호 및 보안 요소에 설치된 애플릿의 응답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프로세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의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의 종류에 따른 알림 방법의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근거리 통신 회로(130), 디스플레이(150), 메모리(170), 및 보안 요소(19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10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예: 어플리케이션(171))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근거리 통신 기술의 카드 에뮬레이션(card emulation(CE)) 기능을 통해, 신용 카드, 직불 카드, 교통 카드, 아이디 카드, 또는 스마트 키 등처럼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릿(191) 이른바 모바일 카드(또는 스마트 카드)를 보안 요소(190)(secure element(SE))에 설치(또는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안 요소(190)에 설치된 애플릿(191)은 근거리 통신 회로(13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 서비스(예: 결제 서비스)와 관련된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릿(191)은 근거리 통신 회로(130)를 통해 POS(point of sale) 단말과 결제 서비스와 관련된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애플릿(191)이 외부 전자 장치와 송수신하는 신호들은 보안 요소(190)에 포함된 별도의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또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71)을 구동하여 어플리케이션(171)에 포함된 명령어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예: 결제 서비스)와 관련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171)을 구동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기능(예: 결제 기능)들에 대한 처리 과정 또는 처리 완료를 상기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알림 방법(예: 진동, 소리, 팝업 객체 출력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기능들에 대한 처리 과정 또는 처리 완료를 알리는 표시 객체를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기능들에 대한 처리 과정 또는 처리 완료를 알리는 음성 객체를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햅틱 모듈(미도시)을 이용한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기능들에 대한 처리 과정 또는 처리 완료를 알릴 수 있다. 다시 말해, 애플릿(191)이 외부 전자 장치와 서비스에 포함된 기능을 처리하기 위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기능의 처리 과정 또는 처리 완료에 대응되는 신호(또는 이벤트)를 프로세서(110)로 전달하면, 프로세서(110)는 전달받은 신호(또는 이벤트)를 어플리케이션(171)을 통해 처리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상기 신호(또는 이벤트)를 어플리케이션(171)에 정의된 명령어들의 루틴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기능의 처리 과정 또는 처리 완료를 상기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알림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근거리 통신 회로(130)에 포함된 모니터링 회로(131)로부터 서비스에 포함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되는 신호(또는 이벤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프로세서(110)는 상기 신호를 어플리케이션(171)에 정의된 명령어들의 루틴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알림 방법을 통해 상기 기능의 처리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상기 신호의 처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171)이 메모리(170)에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 메모리(170)에 기저장된 프로그램(또는 명령어들의 집합)을 통해 상기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기능의 처리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보안 요소(190)에 설치된 애플릿(191)에서 서비스에 포함된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되는 신호를 메모리(17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171)에 전달하지 않더라도, 모니터링 회로(131)를 통해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지정된 기능의 처리 완료를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방법을 애플릿(191)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방법에 대한 목록을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애플릿(191)의 종류를 신용 카드, 직불 카드, 교통 카드, 아이디(ID) 카드, 또는 스마트 키 등과 같은 서비스의 종류로 분류할 수 있고, 상기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알림 방법(예: 진동, 소리, 팝업 객체 출력 등)을 다르게 지정할 수 있도록 상기 알림 방법에 대한 목록을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회로(near field communication(NFC) 회로)(13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 회로(130)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 회로(130)는 외부 전자 장치와 보안 요소(190)에 설치된 애플릿(191) 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회로(13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요청 신호(예: Command APDU(C-APDU))를 보안 요소(190)에 설치된 애플릿(191)으로 전달할 수 있고, 애플릿(191)의 응답 신호(예: Response APDU(R-APDU))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 회로(130)는 보안 요소(190)와 지정된 인터페이스(예: 싱글 와이어 프로토콜(single wire protocol(SWP)), USB,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를 통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회로(130)는 모니터링 회로(131)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회로(131)는 외부 전자 장치의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애플릿(191)으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회로(131)는 응답 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애플릿(191)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포함된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하는 신호(또는 이벤트(예: EVT_TRANSACTION))를 프로세서(110)로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50)는 어플리케이션(171)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50)는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70)는 어플리케이션(171)을 저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71)은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71)은 상기 서비스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171)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기능들에 대한 처리 과정 또는 처리 완료를 알리는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보안 요소(190)는 보안이 요구되는 정보(예: 인증 정보) 및 이를 이용하는 애플릿(191)(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안전하게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보안 모듈, 칩셋, 또는 보안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보안 요소(190)는 SIM/UICC(subscriber identity module/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eSE(embedded secure element), 또는 Micro SD 카드(micro secure digital c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안 요소(190)는 별도의 칩(chip)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안 요소(190)는 별도의 프로세서, 영구 저장 장치,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요소(190)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릿(191)은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을 통해, 신용 카드, 직불 카드, 교통 카드, 아이디 카드, 또는 스마트 키 등처럼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카드(또는 스마트 카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릿(191)은 근거리 통신 회로(13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 서비스(예: 결제 서비스)와 관련된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한 예로, 애플릿(191)은 근거리 통신 회로(130)를 통해 POS 단말과 결제 서비스와 관련된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 801))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릿(예: 애플릿(191))이 설치된 보안 요소(예: 보안 요소(190)), 제1 외부 전자 장치와의 상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회로(예: 근거리 통신 회로(130), 통신 모듈(890)), 메모리(예: 메모리(170, 830)), 및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10, 820))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는 상기 애플릿으로부터 수신한 제1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모니터링 회로(예: 모니터링 회로(131))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상기 제1 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50), 표시 장치(860)), 스피커(예: 음향 출력 장치(855)) 및 햅틱 모듈(예: 햅틱 모듈(879))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상기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햅틱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50), 표시 장치(8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방법을 상기 애플릿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방법에 대한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요소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보안 모듈, 칩셋, 또는 보안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는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기능은 결제 기능, 신분증 기능, 또는 스마트 키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예: 통신 모듈(8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애플릿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코드 값을 수신하고, 상기 애플릿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코드 값을 매핑시키고, 상기 매핑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매핑된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로 전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상기 제1 신호를 분석하는 동작의 일부로, 상기 제1 신호에 상기 매핑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코드 값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신호에 상기 코드 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예: 통신 모듈(8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GPS를 통해 획득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서 상기 애플릿이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서 상기 서비스가 사용 가능한 경우, 상기 매핑된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로 전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에 공급되는 전력이 지정된 크기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분석하는 동작을 중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와 보안 요소에 설치된 애플릿 간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작 201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회로(230)(예: 근거리 통신 회로(130))는 외부 전자 장치(21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근거리 통신 회로(230)는 보안 요소(250)(예: 보안 요소(190))에 외부 전자 장치(21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이 형성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동작 203에서와 같이, 근거리 통신 회로(230)는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요청 신호(예: C-APDU(Command APDU))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요청 신호는 예를 들어, 지정된 기능(예: 결제 기능)을 위한 정보 요청 신호 또는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동작 205에서, 근거리 통신 회로(230)는 보안 요소(250)로 수신된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안 요소(250)에 설치된 애플릿(예: 애플릿(191))은 상기 요청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요청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의 수행이 완료되면, 동작 207에서와 같이, 애플릿은 상기 동작 수행에 대한 결과를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예: R-APDU(Response APDU))로서 근거리 통신 회로(23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동작 209에서, 근거리 통신 회로(230)는 수신된 응답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21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애플릿은 동작 205에서 수신된 상기 요청 신호가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 신호인 경우, 상기 응답 신호에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코드 값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애플릿은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태 값(state word)을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코드 값(예: ISO/IEC 7816-4 스펙에 정의된 헥사 코드 '90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207에서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근거리 통신 회로(230)는 모니터링 회로(예: 모니터링 회로(131))를 통해 상기 응답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상기 응답 신호에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코드 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하는 신호(또는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또는 이벤트)를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태 값이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코드 값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하는 신호(또는 이벤트(예: EVT_TRANSACTION))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알림 방법을 통해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알리는 표시 객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알리는 음성 객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햅틱 모듈을 이용한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알릴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요청 신호 및 보안 요소에 설치된 애플릿의 응답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 신호(예: C-APDU)는 표 1(310)에 정의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요청 신호에는 명령 클래스(Class of instruction, CLA)(311) 및 명령 코드(Instruction code, INS)(31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CLA(311) 및 상기 INS(313)로 설정되는 값은 보안 요소(예: 보안 요소(190))에 설치된 애플릿(예: 애플릿(191))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CLA(311) 및 상기 INS(313)로 설정되는 값을 확인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가 어떠한 애플릿으로 전달되는 신호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CLA(311) 및 상기 INS(313)로 설정되는 값에 대한 정보는 로컬 데이터베이스(예: 메모리(17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10))는 통신 회로를 통해 서버로부터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 중 상기 CLA(311) 및 상기 INS(313)로 설정되는 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서비스에 대한 학습 기능이 전자 장치에 탑재된 경우, 상기 서비스에 대한 학습의 수행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CLA(311) 및 상기 INS(313)로 설정되는 값에 대한 정보를 최적화시킬 수도 있다.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예: R-APDU)는 표 2(330)에 정의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응답 신호에는 상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표 2(330)에서는 상기 상태 값이 2 바이트(byte)의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예컨대, 상기 상태 값은 1 바이트 크기의 제1 값(SW1)(331) 및 1 바이트 크기의 제2 값(SW2)(333)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값이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코드 값(예: 헥사 코드 '9000')으로 설정되는 경우, 예컨대, 상기 제1 값(331)이 헥사 코드 '90'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값(333)이 헥사 코드 '00'으로 설정되는 경우, 모니터링 회로(예: 모니터링 회로(131))는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하는 신호(또는 이벤트(예: EVT_TRANSACTION))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또는 이벤트)를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1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10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회로(예: 근거리 통신 회로(130, 230))는 보안 요소(예: 보안 요소(190, 250))에 설치된 애플릿(예: 애플릿(191))으로부터 제1 신호(예: 응답 신호(R-APDU)))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는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예: C-APDU)를 상기 보안 요소에 설치된 애플릿으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애플릿은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430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에 포함된 모니터링 회로(예: 모니터링 회로(131))는 수신된 제1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상태 값(예: 제1 값(SW1)(331) 및 제2 값(SW2)(333))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450에서,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상기 제1 신호에 지정된 코드 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상태 값이 상기 지정된 코드 값(예: 헥사 코드 '9000')으로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에 지정된 코드 값이 존재하는 경우(예: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상태 값이 상기 지정된 코드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동작 470에서,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되는 제2 신호를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상기 제1 신호에 지정된 코드 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지정된 기능(예: 결제 기능)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되는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생성된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신호는 기정의된 이벤트 신호(예: EVT_TRANSA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프로세서는, 동작 490에서,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알리는 표시 객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표시 객체를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알리는 음성 객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햅틱 모듈을 이용한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알릴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프로세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10))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서버로부터 로컬 데이터베이스(예: 메모리(170))에 저장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보안 요소(예: 보안 요소(190))에 설치된 애플릿(예: 애플릿(191))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릿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를 처리할 주체가 어떤 애플릿에 해당하는 지를 나타내는 트리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애플릿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는 명령 클래스(예: CLA(311)) 및 명령 코드(예: INS(313))에 대한 정보가 상기 트리거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동작 520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의 사용 가능 여부에 따라 수신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가 사용될 수 있는 위치 정보(예: 지역 정보)에 따라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가 제1 지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중 상기 제1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는 GPS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동작 540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비스에 대한 학습 기능이 실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에 대한 학습 기능이 실행된 경우, 동작 550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학습의 수행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탭 앤 페이(tap & pay) 기능을 통해 특정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릿의 식별자(AID) 및 상기 애플릿이 설치된 보안 요소의 정보를 학습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모니터링 회로(예: 모니터링 회로(13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예: C-APDU) 및 상기 애플릿으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예: R-APDU)의 분석을 통해,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최적화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에 대한 학습 기능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동작 56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탭 앤 페이(tap & pay) 기능을 통해 선택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릿의 식별자(AID) 및 상기 애플릿의 트리거 정보(예: 상기 애플릿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는 명령 클래스(CLA(311)) 및 명령 코드(INS(313))에 대한 정보)를 상기 애플릿에 포함된 특정 파일(예: xml 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정 파일을 파싱하여 상기 애플릿의 트리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릿에 포함된 특정 파일은 도 7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릿에 대한 보안 정보 및 상기 애플릿의 트리거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570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는 동작 550에서와 같이 학습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 또는 동작 560에서와 같이 확인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릿에 대한 보안 정보 및 상기 애플릿의 트리거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결과, 상기 애플릿에 대한 보안성이 떨어지거나 상기 애플릿의 트리거 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없는 경우, 상기 애플릿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 회로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릿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지 않도록 상기 모니터링 회로로 상기 애플릿에 대한 트리거 정보를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애플릿에 대한 정보가 중복되어 저장된 경우, 하나의 정보만을 남기고 삭제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애플릿에 대한 정보들 중 일부의 정보가 유사한 경우, 유사한 정보에 대해 병합(merge)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애플릿과 제2 애플릿이 동일한 제1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동일한 제1 지역 내에서 사용 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애플릿의 식별자 및 상기 제2 애플릿의 식별자를 병합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애플릿의 식별자가 "A000000333010101"이고, 상기 제2 애플릿의 식별자가 "A000000333010102"인 경우, 상기 제1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제1 지역 내에서 사용 가능한 애플릿의 식별자를 "A0000003330101*"로 병합시킬 수 있다.
동작 580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는 동작 570에서 최적화된 상기 애플릿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니터링 회로로 전달된 상기 애플릿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상기 보안 요소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대응되는 신호(또는 이벤트)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보안 요소에 설치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릿으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제1 외부 전자 장치와의 상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회로에 포함된 모니터링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분석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햅틱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방법을 상기 애플릿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방법에 대한 목록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요소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보안 모듈, 칩셋, 또는 보안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는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기능은 결제 기능, 신분증 기능, 또는 스마트 키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2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애플릿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코드 값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애플릿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코드 값을 매핑시키는 동작, 및 상기 매핑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매핑된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로 전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신호를 분석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신호에 상기 매핑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코드 값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신호에 상기 코드 값이 존재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서 상기 애플릿이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서 상기 서비스가 사용 가능한 경우, 상기 매핑된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로 전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에 공급되는 전력이 지정된 크기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분석하는 동작을 중지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10))는 표 1(610)에 정의된 바와 같이, 서버로부터 서비스에 관한 정보(예: 애플릿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서비스의 종류(예: 표 1(610)에 정의된 Service Name), 상기 서비스의 사용 가능 지역(예: 표 1(610)에 정의된 Country or Region),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릿의 식별자(예: 표 1(610)에 정의된 AID), 및 상기 서비스(또는 애플릿)의 트리거 정보(예: 표 1(610)에 정의된 CLA & INS)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가 사용될 수 있는 위치 정보(예: 사용 가능 지역)에 따라 로컬 데이터베이스(예: 메모리(170))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는 표 2(630)에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에 상기 서비스가 현재 사용 가능한 서비스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예: 표 2(630)에 정의된 Current Region)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GPS 등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서비스의 사용 가능 지역을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가 현재 사용 가능한 서비스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서비스에 대한 학습 기능을 통해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학습을 통해 확인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탭 앤 페이(tap & pay) 기능을 통해 선택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표 3(650)은 상기 프로세서가 서비스에 대한 학습 기능을 통해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한 한 상태를 나타낸다. 예컨대, 표 3(650)에 정의된 Index 5 및 6에 해당하는 정보가 업데이트된 정보를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서비스에 포함된 기능들 중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방법을 서비스(또는 애플릿)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의 종류를 신용 카드, 직불 카드, 교통 카드, 아이디(ID) 카드, 또는 스마트 키 등과 같은 서비스의 종류로 분류할 수 있고, 상기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알림 방법(예: 진동, 소리, 팝업 객체 출력 등)을 다르게 지정할 수 있도록 상기 알림 방법에 대한 목록을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알림 방법(예: 표 3(650)에 정의된 Alert Method)을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중복되어 저장된 경우, 하나의 정보만을 남기고 삭제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들 중 일부의 정보가 유사한 경우, 유사한 정보에 대해 병합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표 4(670)에서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는 표 3(650)에 정의된 Index 5에 해당하는 정보 중 유사한 애플릿의 식별자들을 하나로 병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는 동일한 지역 내에서 동일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제1 애플릿, 제2 애플릿, 및 제3 애플릿의 식별자들이 유사한 경우, 상기 제1 애플릿, 상기 제2 애플릿, 및 상기 제3 애플릿의 식별자를 하나의 식별자로 병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표 4(670)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애플릿의 식별자(예: "A000000333010101"), 상기 제2 애플릿의 식별자(예: "A000000333010102"), 및 상기 제3 애플릿의 식별자(예: "A000000333010103")를 동일한 부분까지를 남기고 서로 다른 부분을 지정된 부호(예: "*")로 변경하여 하나의 식별자(예: "A0000003330101*")로 병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최적화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 회로(예: 모니터링 회로(131))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만을 상기 모니터링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회로로 전달할 시에, 상기 모니터링 회로가 사용하는 정보만을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표 4(670)에서와 같이, 서비스의 번호(예: 표 4(670)에 정의된 Index),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릿이 설치된 보안 요소의 정보(예: 표 4(670)에 정의된 Secure Element), 애플릿의 식별자(예: 표 4(670)에 정의된 AID), 및 애플릿의 트리거 정보(예: 표 4(670)에 정의된 CLA & INS)만을 상기 모니터링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1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릿에 대한 정보를 상기 애플릿에 포함된 특정 파일(예: xml 파일(71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특정 파일(710)은 상기 애플릿의 식별자(AID), 상기 애플릿의 트리거 정보(예: 상기 애플릿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는 명령 클래스(CLA) 및 명령 코드(INS)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서비스의 사용 가능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애플릿에 대한 정보는 상기 특정 파일(710)에 정의된 지정된 태그(tag)와 상기 태그에 설정되는 값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의 사용 가능 지역에 대한 정보는 제1 태그에 설정된 제1 값(711)을 통해 확인될 수 있고, 애플릿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는 제2 태그에 설정된 제2 값(713)을 통해 확인될 수 있으며, 애플릿의 트리거 정보는 제3 태그에 설정된 제3 값(715)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800) 내의 전자 장치(801)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800)에서 전자 장치(801)(예: 전자 장치(100))는 제1 네트워크(8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802)(예: 외부 전자 장치(210))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8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는 서버(808)를 통하여 전자 장치(8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는 프로세서(820)(예: 프로세서(110)), 메모리(830)(예: 메모리(170)), 입력 장치(850), 음향 출력 장치(855), 표시 장치(860)(예: 디스플레이(150)), 오디오 모듈(870), 센서 모듈(876), 인터페이스(877), 햅틱 모듈(879), 카메라 모듈(880), 전력 관리 모듈(888), 배터리(889), 통신 모듈(890)(예: 근거리 통신 회로(130)), 가입자 식별 모듈(896), 또는 안테나 모듈(8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8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860) 또는 카메라 모듈(8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8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8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8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820)에 연결된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8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876) 또는 통신 모듈(8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8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8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8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20)는 메인 프로세서(8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8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823)은 메인 프로세서(8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823)는 메인 프로세서(8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8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8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8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8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821)와 함께, 전자 장치(8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860), 센서 모듈(876), 또는 통신 모듈(8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8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880) 또는 통신 모듈(8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830)는,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820) 또는 센서모듈(8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8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휘발성 메모리(8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8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840)은 메모리(8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842), 미들 웨어(844) 또는 어플리케이션(8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850)는, 전자 장치(8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8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8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8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8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8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8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860)는 전자 장치(8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8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8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8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870)은, 입력 장치(8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855), 또는 전자 장치(8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876)은 전자 장치(8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8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877)는 전자 장치(8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8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8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8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8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8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8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8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8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888)은 전자 장치(8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889)는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8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890)은 전자 장치(8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890)은 프로세서(8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890)은 무선 통신 모듈(8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8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8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8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892)은 가입자 식별 모듈(8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898) 또는 제2 네트워크(8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8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8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8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1 네트워크(898) 또는 제2 네트워크(8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8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8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899)에 연결된 서버(808)를 통해서 전자 장치(801)와 외부의 전자 장치(8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802, 804) 각각은 전자 장치(8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802, 804, 또는 8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8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8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의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기술의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의 설정 화면(900)을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의 설정 화면(900)을 통해, 신용 카드, 직불 카드, 교통 카드, 아이디 카드, 또는 스마트 키 등과 같은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의 사용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의 설정 화면(900)은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의 사용 여부를 선택(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표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객체는 메뉴 아이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객체는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지정된 기능(예: 결제 기능, 신분증 기능, 또는 스마트 키 기능 등)에 대한 처리 완료 시에,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지를 선택(또는 변경)할 수 있는 객체(930)(예: 버튼 객체) 및 현재 설정된 알림 제공 여부를 나타내는 객체(910)(예: 텍스트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지를 선택(또는 변경)할 수 있는 객체(930)는 토글(toggle)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객체(930)가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1 상태에서, 상기 객체(93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객체(930)는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된 제2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그 역으로, 상기 객체(930)가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된 제2 상태에서, 상기 객체(93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객체(930)는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1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현재 설정된 알림 제공 여부를 나타내는 객체(91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텍스트(예: "Alert On")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텍스트(예: "Alert Off")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의 종류에 따른 알림 방법의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는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의 종류에 따른 알림 방법의 설정 화면(1000)을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서로 다른 알림 방법(예: 진동, 소리, 팝업 객체 출력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의 종류에 따른 알림 방법의 설정 화면(1000)은 사용 가능한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객체(1010) 및 설정된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객체(10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 가능한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객체(1010)는 보안 요소(예: 보안 요소(190))에 설치된 애플릿(예: 애플릿(191))과 관련된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텍스트,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객체(1010)는 신용 카드, 직불 카드, 교통 카드, 아이디 카드, 또는 스마트 키 등과 같은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텍스트,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설정된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객체(1030)는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텍스트,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객체(1030)는 신용 카드, 직불 카드, 교통 카드, 아이디 카드, 또는 스마트 키 등과 같은 서비스의 종류 별로 설정된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텍스트,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방법은 예를 들어, 진동, 소리(음성) 출력, 또는 팝업 객체 출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101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알림 방법을 선택(또는 변경)할 수 있는 객체(1050)(예: 리스트 객체)를 화면(100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객체(1050)는 예를 들어, 상기 알림 방법의 종류에 대응되는 텍스트,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객체(105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알림 방법이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알림 방법으로 선택(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1050)는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 별로 알림을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객체(1050)에 포함된 알림을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서비스에 대해서는 알림을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801))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836) 또는 외장 메모리(8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8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8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8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릿이 설치된 보안 요소;
    제1 외부 전자 장치와의 상기 근거리 통신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신호를 상기 애플릿으로 제공하고 상기 애플릿으로부터 수신되는 제2 신호를 상기 제1 외부 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근거리 통신 회로; 및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는 상기 애플릿으로부터 제공되는 제2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모니터링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릿은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지정된 기능의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코드 값을 상기 제2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로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상기 제2 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코드 값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하는 제3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햅틱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상기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햅틱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방법을 상기 애플릿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방법에 대한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안 요소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보안 모듈, 칩셋, 또는 보안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기능은 결제 기능, 신분증 기능, 또는 스마트 키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 및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애플릿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코드 값을 수신하고,
    상기 애플릿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코드 값을 매핑시키고,
    상기 매핑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매핑된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로 전달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GPS를 통해 획득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서 상기 애플릿이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서 상기 서비스가 사용 가능한 경우, 상기 매핑된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로 전달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회로는,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에 공급되는 전력이 지정된 크기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분석하는 동작을 중지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보안 요소에 설치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릿을 이용하여 제1 외부 장치와 상기 근거리 통신을 형성하는 동작;
    상기 제1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1 신호를 상기 애플릿으로 전송하고 상기 애플릿으로부터 수신되는 제2 신호를 상기 제1 외부 장치로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신호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에 대응하는 제3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애플릿은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지정된 기능의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코드 값을 상기 제2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제1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코드 값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3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햅틱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방법을 상기 애플릿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방법에 대한 목록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안 요소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보안 모듈, 칩셋, 또는 보안키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카드 에뮬레이션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기능은 결제 기능, 신분증 기능, 또는 스마트 키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제2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애플릿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코드 값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애플릿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코드 값을 매핑시키는 동작; 및
    상기 매핑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매핑된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로 전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8. 삭제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6에 있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서 상기 애플릿이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서 상기 서비스가 사용 가능한 경우, 상기 매핑된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로 전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에 공급되는 전력이 지정된 크기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분석하는 동작을 중지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015581A 2018-02-08 2018-02-08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55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581A KR102455913B1 (ko) 2018-02-08 2018-02-08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CT/KR2019/001324 WO2019156421A1 (en) 2018-02-08 2019-01-31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16/266,169 US10602336B2 (en) 2018-02-08 2019-02-04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581A KR102455913B1 (ko) 2018-02-08 2018-02-08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076A KR20190096076A (ko) 2019-08-19
KR102455913B1 true KR102455913B1 (ko) 2022-10-20

Family

ID=6747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581A KR102455913B1 (ko) 2018-02-08 2018-02-08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02336B2 (ko)
KR (1) KR102455913B1 (ko)
WO (1) WO201915642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2361A1 (en) * 2006-12-29 2008-07-03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secure application execution events during contactless rfid/nfc communication
US20150348008A1 (en) * 2014-05-29 2015-12-03 Apple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naging Payment Applets on a Secure Element to Conduct Mobile Payment Transaction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148B1 (ko) * 2007-10-01 2008-03-19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결제보안 시스템 및 방법
JP2009134614A (ja) 2007-11-30 2009-06-18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型icリーダ、非接触型ic及び電子マネーの決済方法
KR20110093602A (ko) * 2010-12-30 2011-08-18 에이큐 주식회사 트랜잭션 처리결과 출력 시스템
CN109559148A (zh) * 2011-01-04 2019-04-02 Aq株式会社 广告信息提供系统
KR101314432B1 (ko) * 2011-10-26 2013-10-0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Se를 탑재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네트워크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130128924A (ko) 2012-05-18 201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품을 결제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4164580A (ja) 2013-02-26 2014-09-08 Oki Electric Ind Co Ltd 決済処理装置、決済処理方法、及び決済処理システム
US10152706B2 (en) * 2013-03-11 2018-12-11 Cellco Partnership Secure NFC data authentication
KR20140142996A (ko) * 2013-06-05 2014-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시큐어 엘리먼트에 구비된 애플릿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CA2923391C (en) * 2013-09-11 2018-10-23 Ricoh Company, Lt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obile device
TWI551074B (zh) * 2014-10-01 2016-09-21 動信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近場通訊之通訊系統及方法
KR102461042B1 (ko) * 2015-02-12 2022-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6585388B2 (ja) 2015-06-10 2019-10-02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決済システム
KR101721132B1 (ko) * 2015-09-02 201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70091753A1 (en) 2015-09-28 2017-03-30 Paypal, Inc. Sensory feedback payment system
US9811327B2 (en) * 2015-12-21 2017-11-07 Quixey, Inc. Dependency-aware transformation of multi-function applications for on-demand execution
US11488141B2 (en) * 2017-09-29 2022-11-01 Apple Inc. Command-based timer for wireless transac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2361A1 (en) * 2006-12-29 2008-07-03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secure application execution events during contactless rfid/nfc communication
US20150348008A1 (en) * 2014-05-29 2015-12-03 Apple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naging Payment Applets on a Secure Element to Conduct Mobile Payment Transa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46256A1 (en) 2019-08-08
US10602336B2 (en) 2020-03-24
WO2019156421A1 (en) 2019-08-15
KR20190096076A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1705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기와 외부 전자 장치의 트랜잭션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US1129702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2329770B1 (ko) 푸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24955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set of control IC
KR20200072727A (ko) 웹 콘텐츠를 ar모드에서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601791B2 (en) Method for pairing devic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same
US20190227705A1 (en)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f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55691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payment by using audio module
KR102453161B1 (ko) 자동 응답 시스템으로 개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10180976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ibration
KR102455913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772157B2 (en) Method for performing relay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618386B1 (ko) 보안 요소를 통해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607787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20210027765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032546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CN111656311B (zh)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KR102439083B1 (ko) 전자 카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90095784A (ko)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들과 연결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69321A (ko) 전자 장치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하여 제품 확인하는 방법
KR20210056162A (ko) 선물을 추천하기 위한 전자 장치와 그 동작 방법
KR20210112662A (ko) 외부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