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550B1 - 계단 논슬립 구조 - Google Patents
계단 논슬립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0550B1 KR102430550B1 KR1020220035536A KR20220035536A KR102430550B1 KR 102430550 B1 KR102430550 B1 KR 102430550B1 KR 1020220035536 A KR1020220035536 A KR 1020220035536A KR 20220035536 A KR20220035536 A KR 20220035536A KR 102430550 B1 KR102430550 B1 KR 1024305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p
- present
- stair
- stairs
- ti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는, 계단의 제1 방향에서 타일과 계단 구조체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부재; 상기 계단의 제2 방향에서 타일과 계단 구조체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계단 논슬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용 논슬립은 계단코에 부착되어 미끄럼을 방지하고, 계단코의 파손이나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되는 재료와 형상은 다양하다.
계단용 논슬립은 주로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기 어려운 자기질 타일재나 비닐계 마감재 사용시에 계단코에 계단 구조체와 마감재 사이에 삽입하는 압출 형태의 금속재로 제작되거나 비닐계 마감재 위에 부착하는 PVC 압출재로 만들어진 제품이 대부분이다.
일정한 모양의 단면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제작된 종래의 논슬립은 금속재 혹은 PVC를 연속해서 압출한 다음 필요한 길이로 절단해서 제작하는데, 논슬립이 계단의 측면 부분이 아닌 계단코 모서리 부분에만 국부적으로 설치됨으로 인해 논슬립 절단면이 마감재와 함께 계단 측면에 그대로 노출되어, 계단의 측면부로부터 타일 및 논슬립 구조에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물리력이 작용할 경우 논슬립 구조 및 타일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논슬립 절단면이 마감재와 함께 계단 측면에 노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턱을 만들어서 계단 측면을 막아주거나 별도의 마감재로 덧대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계단의 측면부 마감만을 위해 별도의 추가 자재를 활용해야 하므로 마감 작업이 복잡해지고 자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도 1에는 종래 추가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미장공사로 정리한 계단 측면부 마감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종래 미장 공사시 계단 마감 자재 간의 연결 부위 및 계단 마감 자재와 계단 구조체 간의 연결 부위에서 타일 접착제가 노출되어 계단 마감 자재의 부착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자재를 측면부에 부착한다고 해도 마감이 어려워 시공 난이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건축법상 직통계단(또는 피난계단)의 기준을 맞추기 위한 계단의 최소 폭 1200mm에 시공오차 약 30~50mm를 더하여 만들어지는 1230~1250mm의 계단 마감 시, 일반적인 타일 자재의 규격인 폭 300mm 타일 4장 또는 600mm 타일 2장으로 마감하지 못하고 추가로 1장의 타일을 절단해서 사용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 저하 및 타일 자재의 낭비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공 자재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타일 계단 측면부의 마감 처리가 더욱 미려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계단 논슬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는, 계단의 제1 방향에서 타일과 계단 구조체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부재; 상기 계단의 제2 방향에서 타일과 계단 구조체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에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계단의 바닥부 측면 모서리에 삽입되는 제2-1 부재; 및 상기 계단의 수직부 측면 모서리에 삽입되는 제2-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제1,2 부재를 연결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는, 계단코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밟을 수 있는 제1 부재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된 제2 부재, 즉 측면 몰딩부 및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의 구조를 통해 계단의 측면 마감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는, 제2 부재를 통해 계단의 마감 품질을 향상시키고, 계단의 측면부에 발생할 수 있는 논슬립 및 타일의 손상을 최소화시켜 계단 마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는, 제1 부재, 제2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 및 제2 부재를 사용하여 시공 오차를 고려한 계단 구조체의 폭 1230mm 중 약 30mm를 덮어줌으로써 법정 계단 폭인 1200mm 폭에 정확하게 맞춘 규격화된 마감재(예를 들면 300mm 폭 타일 4장 또는 600mm 폭 타일 2장)로 계단 디딤판 시공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자재 낭비를 줄이고 공사비 감소, 시공 기간 단축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는, 제2 부재가 타일의 절단면을 가려줌으로 인하여 별도의 콘크리트 턱이나 마감 자재를 덧붙일 필요가 없어 시공이 간편하고 추가 자재에 따른 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계단 측면부의 깔끔한 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는, 계단 구조체의 측면부를 마감시 해당 측면부에 제2 부재를 추가로 설치하기만 하면 마감의 끝 선이 정리되어 손쉬운 마감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추가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미장공사로 정리한 계단 측면부 마감 모습이 보여지는 사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가 계단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오차 부분의 변형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도 2의 G-G'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에 장착된 제1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도 7의 A, B, C, D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 및 입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부재를 도 4의 E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부재를 도 4의 F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가 계단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도 7의 A, B, C, D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 및 입면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장착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가 계단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오차 부분의 변형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도 2의 G-G'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에 장착된 제1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도 7의 A, B, C, D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 및 입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부재를 도 4의 E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부재를 도 4의 F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가 계단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도 7의 A, B, C, D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 및 입면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장착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가 계단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오차 부분의 변형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도 2의 G-G'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에 장착된 제1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도 7의 A, B, C, D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 및 입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부재를 도 4의 E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제2 부재를 도 4의 F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는, 계단(S)의 제1 방향에서 타일(T)과 계단 구조체(SS)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부재(100), 계단(S)의 제2 방향에서 타일(T)과 계단 구조체(SS)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부재(300) 및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30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는, 사용자가 직접 밟을 수 있는 계단코에 형성된 제1 부재뿐만 아니라, 제1 부재와 연결된 제2 부재로 계단의 측면부 마감도 가능토록 하여, 계단의 측면부를 보호하고 계단 마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는, 계단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는, 계단의 일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계단의 양측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 오차 부분(w1, w2)은 제2 부재(300)로 커버하고 법정 계단 폭(w)에 맞춰 제1 부재(100)를 설치할 수 있어 시공 오차 부분에 소요될 수 있는 추가 타일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어 자재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규격화된 폭(wt1, wt2)을 가진 타일을 법정 계단 폭(w)에 맞춰 시공할 수 있어 추가 타일 사용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자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계단의 모서리 부분을 모두 감싸도록 일체화된 논슬립 구조를 설치할 수 있어 미감을 확보함과 동시에 계단 외곽부의 파손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는 제1 부재(100)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제1 부재(100)는 니은자 형상의 부등변 앵글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0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300)는 알루미늄 사출물에 표면을 아노다이징 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200)는 아연재의 표면을 도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100)에는 니은자 형상의 일측변 상단부에 논슬립 홈(101)이 형성될 수 있다. 논슬립 홈(10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계단코 부분의 미끄러움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논슬립 홈(101)은 반원형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100)는 바닥부 타일(TB)과 계단 구조체(SS)의 사이 공간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제1 부재(100)의 논슬립 홈(101)은 상단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부(113)는 논슬립 홈(101)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단부(113)가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기 위한 소정의 폭(w)을 가지도록 논슬립 홈(10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니은자 형상의 제1 부재(100)의 꺾임부 부분에는 돌출부(114)가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14)는 제1 부재(100)의 일부분이 가압될 때 꺾임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부재(100)는 복수의 홈부 및 요철부(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부 및 요철부는 타일용 압착 본드가 본 실시예에 따른 논슬립 구조 바깥으로 새어나오지 않고 상기 복수의 홈부 및 요철부 사이로 스며들어 제1 부재(100)와 긴밀하게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부재(100)의 끝단부에 형성된 삽입단(112)은 끝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시공시 제1 부재(100)를 타일(T)의 하단부에 손쉽게 밀어넣을 수 있다.
도 2, 3, 4, 7, 8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200)에 관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연결 부재(200)는 제1,2 부재(100, 300)를 연결하는 제1 부분(201) 및 제1 부분(20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 부재(200)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제2 부분(202) 및 제2 부분의 타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 부재(300)와 연결되는 제3 부분(2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201)은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201)의 사각 판 일면부는 제1 부재(100)의 니은자 모서리 부분과 맞닿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201)의 사각 판 일모서리부는 제2 부재(300)의 제2-1 부재(310)의 모서리 부분과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분(201)의 일 모서리부 라인과 제2-1 부재(310)의 모서리 라인은 일 직선으로 이어지도록 두 부재가 연결될 수 있어 부재 간 일체화 될 수 있으며, 부재들이 설치될 시 설치 위치에 대하여 서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부분(201)의 사각 판 타모서리부는 제2 부재(300)의 제2-2 부재(320)의 모서리 부분과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분(201)의 타 모서리부 라인과 제2-2 부재(320)의 모서리 라인은 일 직선으로 이어지도록 두 부재가 연결될 수 있어 부재 간 일체화 될 수 있으며, 부재들이 설치될 시 설치 위치에 대하여 서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부분(202)은 니은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부재(100)의 상측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부분(202)은, 니은자 형상의 일 꺾임부를 형성하는 제2 부분 제1 돌출부(202a), 니은자 형상의 타 꺾임부에서 각각 돌출 형성된 제2 부분 제2 돌출부(202b) 및 제2 부분 제3 돌출부(20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부분 제1 돌출부(202a)는 제1 부재(100)의 제1 홈부(10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 제2 돌출부(202b)는 제1 부재(100)의 제2 홈부(10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 제3 돌출부(202c)는 제1 부재(100)의 제3 홈부(105)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3 부분(203)은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부분(203)과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3 부분(203)은 제2-1 부재(310)의 모서리 부분과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부분(203)은 제2-2 부재(320)의 모서리 부분과도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부분(203)의 사각 판 면과 후술할 제2-1 부재(310)의 제1 부분(312)은 면부분이 서로 하나의 면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부분(203)의 사각 판 면과 후술할 제2-2 부재(320)의 제1 부분(312)은 면 부분이 서로 수직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부재간 일체화 될 수 있으며, 부재들이 설치될 시 설치 위치에 대하여 서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부재(100)가 타일(T)과 계단 구조체(SS) 사이에 설치된 후, 연결 부재(200)의 제2 부분(202)을 제1 부재(100)의 상측면부에 상술한 대응부들을 통해 계단(S)의 측면, 즉 도 2의 제2 방향으로 끼워넣어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부재(100)와 연결 부재(200)간의 결합력을 확보하고 계단 논슬립 구조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200)가 제1 부재(100)에 끼움 결합되면, 연결 부재(200)가 제1 부재(100)와 자기질로 형성된 타일(T)의 측면 노출부위를 커버하므로 제1 부재(100)와 타일(T)의 측면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200)에 설치된 후술할 제2 부재(300)가 설치된 시 제2 부재(300)의 설치 위치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3, 4, 9, 10에는 제2 부재(300)에 관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제2 부재(300)는 계단(S)의 바닥부(SB) 측면 모서리에 삽입되는 제2-1 부재(310) 및 계단(S)의 수직부(SV) 측면 모서리에 삽입되는 제2-2 부재(320)를 포함한다.
제2-1 부재(310)와 제2-2 부재(320)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1 부재(310)와 제2-2 부재(320)는 설치되는 위치 및 방향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제2-1 부재(31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는 내용은 제2-2 부재(3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1 부재(310)는 제1 부분(311), 제1 부분(311)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부분(312) 및 제1 부분(311)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3 부분(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부분(313)에는 복수의 타공부(315) 및 제3 부분(313)의 끝단부에 형성된 삽입단(3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312) 및 제3 부분(313)의 하단에는 복수의 요철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316)는 계단 구조체(SS)와의 마찰력을 확보하여 제2 부재(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요철부(316)는 타일용 압착 본드가 본 실시예에 따른 논슬립 구조 바깥으로 새어나오지 않고 상기 복수의 요철부 사이로 스며들어 제1 부재(100)와 긴밀하게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부분(311)은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 부재(200)의 제1 부분(201)과 모서리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부분(311)과 제1 부분(201)의 모서리 라인을 일 직선으로 이어지도록 두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부분의 모서리들은 두 부재의 설치 위치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부분(312)은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시공 오차가 발생한 추가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제2 부분(312)이 계단의 시공 오차 부분에 발생하는 잔여 공간을 커버해 줌으로써 규격화된 타일 사용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제2 부분(312)의 면 부분은 연결 부재(200)의 제3 부분(203)의 면 부분과 서로 하나의 면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부재간 일체화 될 수 있으며, 부재들이 설치될 시 설치 위치에 대하여 서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부분(313)은 도 2의 제2 방향, 즉 계단의 측면 방향에서 바닥부 타일(TB)과 계단 구조체(SS)의 사이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3 부분(313)이 바닥부 타일(TB)과 계단 구조체(SS)의 사이로 삽입된 후 압착본드가 복수의 타공부(315)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들어오면서 제3 부분(313)의 탈락을 방지하고 제3 부분(313), 즉 제2-1 부재(310)와 계단 간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타공부(315)가 형성하는 복수의 타공 문양은 본 도면에 형상화된 모양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타공 형상이 제3 부분(313)에 적용될 수 있다.
제3 부분(313)의 삽입 과정을 보다 손쉽게 수행하기 위하여, 바닥부 타일(TB) 하부로 들어가는 제3 부분(313)의 수평면 삽입단(314)은 끝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도 8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시공 오차부분(w1, w2)에 설치될 계단 논슬립 구조의 너비(w1, w2)들이 도시되어 있다. 해당 너비들은 제3-1 부재(310)의 제2 부분(312), 제3-2 부재(320)의 제2 부분(322) 및 연결부재(200)의 제3 부분(203)의 너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3-1 부재(310)의 제2 부분(312), 제3-2 부재(320)의 제2 부분(322) 및 연결부재(200)의 제3 부분(203)의 너비는 시공 오차 부분에 대응되는 너비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는 시공 현장마다 달라질 수 있는 도 2의 시공 오차 부분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도록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공 오차 부분의 너비(w1, w2)는 15mm 내지 30mm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a)에는 15mm의 너비(w1, w2)를 가진 계단 논슬립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b)에는 20mm의 너비(w1', w2')를 가진 계단 논슬립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c)에는 30mm의 너비(w1'', w2'')를 가진 계단 논슬립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비별로 모듈화된 계단 논슬립 구조의 실시예들을 통해 시공 현장마다 달라질 수 있는 시공 오차 부분에 본 구조를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가 계단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도 7의 A, B, C, D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 및 입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는, 제2-1 부재(310')의 모서리 부분이 연결 부재(200')의 제1 부분(201')의 일면부와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계단의 경우 계단에 형성된 바닥부 및 계단의 끝 부분에 형성된 바닥부와 계단이 이어지는 모서리 부분(도 11 참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서리 부분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제2-1 부재(310')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부재(200')가 제1 부분(201') 및 제2 부분(202')으로만 구성되고, 제1 부분(201')의 일면부에 제2-1 부재(310')가 길이 방향으로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 간의 부재 구조가 연결될 수 있으며, 단순히 타일이 설치된 계단의 측면부만 보호되지 않고 계단이 끝난 부분에 형성된 바닥부에 설치된 타일들도 제2-1 부재(310') 및 이와 연결된 연결 부재(200') 구조를 통해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도 1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장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장착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 구조의 장착 방법은, 제1 부재(100)가 타일(T)과 계단 구조체(SS)의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단계(S100), 연결 부재(200)가 제1 부재(100)와 타일(T)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단계(S200), 제2 부재(300)가 연결 부재(200)와 맞닿도록 계단의 측면에 설치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부재(300)가 설치되는 단계는, 제2-1 부재(310)가 연결 부재(200)와 맞닿도록 계단의 측면에 설치되는 단계(S310) 및 제2-2 부재(320)가 연결 부재(200)와 맞닿도록 계단의 측면에 설치되는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본적인 논슬립 기능에 더하여 계단의 측면 모서리 부분들 까지도 보호됨으로써 계단의 마감 품질이 향상되고 자기질 타일재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여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 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제1 부재
101: 논슬립 홈
102: 제1 홈부
103: 제1 요철부
104: 제2 홈부
105: 제3 홈부
106: 제4 홈부
107: 제5 홈부
108: 제6 홈부
109: 제2 요철부
110: 제3 요철부
111: 제4 요철부
112: 삽입단
113: 상단부
114: 돌출부
200: 연결 부재
201: 제1 부분
202: 제2 부분
202a: 제2 부분 제1 돌출부
202b: 제2 부분 제2 돌출부
202c: 제2 부분 제3 돌출부
203: 제3 부분
300: 제2 부재
310: 제2-1 부재
311: 제1 부분
312: 제2 부분
313: 제3 부분
314: 삽입단
315: 타공부
316: 요철부
320: 제2-2 부재
321: 제1 부분
322: 제2 부분
323: 제3 부분
324: 타공부
325: 삽입단
S: 계단
SB: 바닥부
SV: 수직부
SS: 계단 구조체
B: 압착부
TB: 바닥부 타일
TV: 수직부 타일
101: 논슬립 홈
102: 제1 홈부
103: 제1 요철부
104: 제2 홈부
105: 제3 홈부
106: 제4 홈부
107: 제5 홈부
108: 제6 홈부
109: 제2 요철부
110: 제3 요철부
111: 제4 요철부
112: 삽입단
113: 상단부
114: 돌출부
200: 연결 부재
201: 제1 부분
202: 제2 부분
202a: 제2 부분 제1 돌출부
202b: 제2 부분 제2 돌출부
202c: 제2 부분 제3 돌출부
203: 제3 부분
300: 제2 부재
310: 제2-1 부재
311: 제1 부분
312: 제2 부분
313: 제3 부분
314: 삽입단
315: 타공부
316: 요철부
320: 제2-2 부재
321: 제1 부분
322: 제2 부분
323: 제3 부분
324: 타공부
325: 삽입단
S: 계단
SB: 바닥부
SV: 수직부
SS: 계단 구조체
B: 압착부
TB: 바닥부 타일
TV: 수직부 타일
Claims (3)
- 계단의 제1 방향에서 타일과 계단 구조체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부재;
상기 계단의 제2 방향에서 타일과 계단 구조체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를 연결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타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와 연결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제3 부분과 이어지는 계단 논슬립 구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계단의 바닥부 측면 모서리에 삽입되는 제2-1 부재; 및
상기 계단의 수직부 측면 모서리에 삽입되는 제2-2 부재를 포함하는 계단 논슬립 구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3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하단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된 계단 논슬립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5536A KR102430550B1 (ko) | 2022-03-22 | 2022-03-22 | 계단 논슬립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5536A KR102430550B1 (ko) | 2022-03-22 | 2022-03-22 | 계단 논슬립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0550B1 true KR102430550B1 (ko) | 2022-08-09 |
Family
ID=8284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5536A KR102430550B1 (ko) | 2022-03-22 | 2022-03-22 | 계단 논슬립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055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5302Y1 (ko) * | 2002-05-15 | 2002-08-13 | 최종수 | 계단의 조립식 테라조 |
JP3179295U (ja) * | 2012-08-10 | 2012-10-25 | ナカ工業株式会社 | 照明付き階段用すべり止め |
-
2022
- 2022-03-22 KR KR1020220035536A patent/KR1024305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5302Y1 (ko) * | 2002-05-15 | 2002-08-13 | 최종수 | 계단의 조립식 테라조 |
JP3179295U (ja) * | 2012-08-10 | 2012-10-25 | ナカ工業株式会社 | 照明付き階段用すべり止め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60340910A1 (en) | Floating floor system, floor panel,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 |
CN102575474B (zh) | 墙壁护条 | |
KR102264770B1 (ko) | 기계적 록킹 시스템이 제공되는 바닥판 및 이러한 록킹 시스템의 제조 방법 | |
US7546719B1 (en) | Foundation sill screed having tapering thickness vertical flange and alignment guide in front face of vertical flange for alignment of screed with respect to sill plate line | |
US8850767B2 (en) | Channel screed | |
EP3695073B1 (en) | Tile spacer | |
JP2013053514A (ja) | 表面クラッディング用のスラブ製品を敷設するための離間/平滑化装置 | |
US20110030297A1 (en) | Cornerbead structure | |
US10626624B2 (en) | Tile spacer and wedge tool | |
KR102430550B1 (ko) | 계단 논슬립 구조 | |
JP6150657B2 (ja) | 階段構造および階段の施工方法 | |
EP2441898A2 (en) | Mounting support and method for mounting a construction panel | |
CN1730863A (zh) | 多功能地板龙骨及其组件 | |
EP4004303B1 (en) | Wall plastering bead | |
JP2013044141A (ja) | リフォーム用幅木材 | |
CN211511577U (zh) | 补偿条及浴室底盘 | |
US20150135628A1 (en) | System and method of stonework installation | |
CN212534913U (zh) | 一种用于实木地板的金属连接件 | |
JP5432696B2 (ja) | 階段のリフォーム構造 | |
CN212295721U (zh) | 一种预制楼梯成品保护固定装置 | |
US12054953B2 (en) | Grooved cornerbead | |
CN212740366U (zh) | 一种密封胶条、自动扶梯楼层板及自动扶梯 | |
JP7305511B2 (ja) | 床見切材 | |
JP6312240B2 (ja) | 型枠パネルの接続構造 | |
CN111519863A (zh) | 一种用于实木地板的金属连接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