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506B1 - 단말기 유지구 및 단말기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단말기 유지구 및 단말기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506B1
KR102430506B1 KR1020217001559A KR20217001559A KR102430506B1 KR 102430506 B1 KR102430506 B1 KR 102430506B1 KR 1020217001559 A KR1020217001559 A KR 1020217001559A KR 20217001559 A KR20217001559 A KR 20217001559A KR 102430506 B1 KR102430506 B1 KR 102430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finger
terminal
fixing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560A (ko
Inventor
시게토시 가이야
Original Assignee
아케비 도우사노 각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156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922080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47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728448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05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6467677B1/ja
Application filed by 아케비 도우사노 각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케비 도우사노 각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27026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71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A45C2011/002
    • A45C2011/003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A45F2200/0516
    • A45F2200/05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shock resistance of the housing, e.g. by increasing the rig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유지한 채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한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단말기 유지구의 제공한다. 휴대 단말기를 유지하기 위한 단말기 유지구는, 고정부(2)와, 유지부(3)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2)는,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를 덮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면을 가지고 있다. 유지부(3)는, 양단이 고정부(2)에 접속되고, 고정부(2)와의 사이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 공간(3a)이 규정되고, 손가락 삽입 공간(3a)에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유지한다. 손가락 삽입 공간(3a)은 고정부(2)의 고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고정부(2)는 중복되어 있지 않다.

Description

단말기 유지구 및 단말기 수납 케이스
본 발명은 단말기 유지구 및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며, 특히 휴대 단말기를 유지하는 단말기 유지구 및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2개의 링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 장치용 유지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휴대 단말기 장치용 유지구는, 휴대 단말기의 배면 중앙 부근에 고정되고, 손가락용 유지부(holding portion)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휴대 단말기를 유지하고 또한 손가락용 유지부를 지지체로 하여 휴대 단말기를 경사지게 세울 수가 있다.
다른 휴대 정보 기기용 케이스는, 필요할 때 스탠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휴대 정보 기기용 케이스는, 배면에 링형(ring shape)의 지지각(支脚)과, 지지각이 수납 가능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각 및 오목부는, 휴대 정보 기기용 케이스의 배면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있어, 지지각을 오목부로부터 노출시켜 지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휴대 정보 기기용 케이스를 지면 상에 경사지게 탑재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7-69791호 일본 공개특허 제2010-36823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휴대 단말기 장치 유지구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손가락 지지부와 기체가 중복되어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의 주위 에지에 장착할 수 없었다. 즉, 휴대 단말기의 주위 에지에 휴대 단말기 장치 유지구를 장착하면 기체(基體)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돌출되어 버린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의 단부(端部)에 손가락 지지부를 배치할 수 없으므로, 휴대 단말기를 유지하는 자유도가 부족하였다.
또한, 휴대 단말기 장치 유지구 및 휴대 정보 기기용 케이스에서는, 손가락을 통하는 링부가 배면의 중앙 부근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중지(中指) 또는 집게 손가락을 링부에 통하게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를 유지하고 있었다. 중지 또는 집게 손가락으로 케이스를 유지하면, 다른 작업을 행하기 위해 휴대 정보 단말기 케이스로부터 손을 이격된 것으로 해도 중지 또는 집게 손가락이 링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손바닥 상에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였다. 이로써, 휴대 정보 단말기 케이스가 방해가 되어 손을 사용하는 다른 작업, 예를 들면, 가방 중에서 물건을 인출하는 작업 등을 하기 어려웠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배면 중앙 부근에 링부가 설치되어 있고, 휴대 단말기의 중심 즉 무게의 중심(重心) 위치 근방에서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게 되므로, 손바닥 위에서의 안정성이 부족하였다. 즉, 휴대 단말기를 대략 수평으로 파지(把持)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의 중심 즉 무게의 중심 근방에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휴대 정보 단말기를 조작했을 때 손바닥 위에서 흔들리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유지한 채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한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단말기 유지구 및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유지하기 위한 단말기 유지구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덮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면을 가지는 고정부와, 양단이 상기 고정부에 접속되고,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 공간이 규정되고,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은 상기 고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고정부와는 중복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유지구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유지부와의 사이로 규정되고,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손가락은 새끼손가락(小指)으로서,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과, 상기 고정면은 대략 평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 유지부는 대략 평판(flat plate)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부에 접속되는 일단부(一端部)와, 상기 고정부에 접속되는 타단부와,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손가락을 지지하는 손가락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손가락 지지부에 걸쳐 소정 방향으로 비틀려지고 또한 상기 손가락 지지부로부터 상기 타단부에 걸쳐 상기 소정 방향으로 비틀려져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보다 폭이 넓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지부가 접속되는 접속 부분에 절입부(切入部; cut-in portion)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유지부는 대략 평판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부에 접속되는 일단부와, 상기 고정부에 접속되는 타단부와,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손가락을 지지하는 손가락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은,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와, 상기 손가락 지지부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으로서, 상기 삽입 공간에 새끼손가락을 삽입하는 삽입 방향은, 상기 고정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일단부가 접속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타단부가 접속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부에는, 상기 제1 고정부가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끼워맞춤공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와, 상기 손가락 지지부에 의해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유지부가 연장되는 연장(延出) 방향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 방향에 교차하고 상기 유지부를 협지했을 때 상기 손가락이 맞닿는 맞닿는 면(abutment surface)을 구비하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맞닿는 면은, 상기 연장 방향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부와 중복되는 제1 유지 영역과, 상기 연장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고정부와 중복되지 않는 제2 유지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유지 영역은, 상기 손가락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유지부를 유지했을 때 상기 손가락에 맞닿고, 상기 제2 유지 영역은, 상기 손가락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유지부를 유지했을 때 상기 손가락에 맞닿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연장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유지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2 유지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유지부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유지부는, 상기 고정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맞닿는 면은, 상기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고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라도 된다.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1 발명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단말기 유지구를 구비하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에는, 약지(藥指) 또는 새끼손가락이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는 단말기 수납 공간이 규정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단말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본체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의해 협지되는 피협지부(被挾持部)를 더 가지고, 상기 유지부는, 양 단부가 상기 피협지부에 접속되고, 상기 단말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로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는 고정면을 가지는 고정부와, 양단이 상기 고정부에 접속되고,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 공간이 규정되고,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본체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유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은 상기 고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와는 중복되어 있지 않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협지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손가락은 새끼손가락으로 하여, 상기 새끼손가락을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하여 상기 본체부를 손으로 파지했을 때, 상기 본체부의 상기 하단부가 지지점(支点)으로 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덮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접속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보다 상기 접속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폭이 좁은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유지부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고정시켰을 때, 상기 유지부에 의해 손가락 삽입 공간이 규정되고 또한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은 상기 제1 고정부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는 중복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유지구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와 유지부가, 도 4의 (a), 도 11의 (a), 및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활한 평면 상에 요철(凹凸) 없이 평탄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접속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평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고정부에 접속되는 일단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접속되는 타단부와,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상기 접속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손가락을 지지하는 손가락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단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의 접속 부분은, 상기 제1 고정부에서의 상기 접속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타단부와 상기 제2 고정부와의 접속 부분은, 상기 제2 고정부에서의 상기 접속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일단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의 상기 접속 부분, 및 상기 타단부와 상기 제2 고정부와의 상기 접속 부분은, 상기 접속 방향에 있어서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는 단말기 수납 공간이 규정된 본체부와, 양 단부가 본체부에 접속되고, 본체부와의 사이에 사용자의 새끼손가락만 삽입 가능한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이 규정되는 새끼손가락 유지부를 구비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유지부 중 적어도 일부가, 본체부를 상하 방향으로 균등하게 3분할했을 때 가장 아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한, 유지부는, 단말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고, 휴대 단말기가 단말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었을 때 본체부와 휴대 단말기에 의해 협지되는 피협지부를 더 가지고, 새끼손가락 유지부는, 양 단부가 피협지부에 접속되고, 단말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체부에는, 하부 영역에 형성된 제1 관통공과, 제1 관통공과 간극을 두고 하부 영역에 형성된 제2 관통공을 구비하고, 피협지부는, 새끼손가락 유지부의 일단(一端)에 접속되고 제1 관통공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돌기를 구비하는 제1 베이스부와, 새끼손가락 유지부의 타단에 접속되고 제2 관통공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돌기를 구비하는 제2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제1 돌기를 회동시키는 동시에 제2 돌기를 제1 돌기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새끼손가락 유지부에 있어서 본체부와 가장 이격된 이격점과, 본체부의 거리를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본체부에는, 하부 영역에 형성된 제1 절입부와, 제1 절입부와 간극을 두고 하부 영역에 형성된 제2 절입부를 구비하고, 피협지부는, 새끼손가락 유지부의 일단에 접속되고 제1 절입부를 통해 단말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고 본체부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한 고정부와, 새끼손가락 유지부의 타단에 접속되고 제2 절입부를 통해 단말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고 본체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구비하고, 이동부가 본체부에 대하여 이동함으로써,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의 단면적(斷面績)이 변화되어도 된다.
또한, 본체부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피협지부는, 복수의 관통공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돌기부를, 복수의 관통공 중 하나의 관통공으로부터 다른 관통공으로 변경했을 때, 새끼손가락 유지부의 길이가 변화되어도 된다.
또한, 본체부에는, 제1 이동홈과, 제1 이동홈에 평행한 제2 이동홈이 형성되고, 유지부는, 새끼손가락 유지부의 일단에 접속되고 제1 이동홈 내를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홈 이동부와, 새끼손가락 유지부의 타단에 접속되고 제2 이동홈 내를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홈 이동부를 구비하고, 제1 홈 이동부가 제1 이동홈 내를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홈 이동부가 제2 이동홈 내를 이동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의 단면적이 변화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는 단말기 수납 공간이 규정된 본체부와, 양 단부가 본체부에 접속되고, 본체부와의 사이에 사용자의 약지만 삽입 가능한 약지 삽입 공간이 규정되는 약지 유지부를 구비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유지부 중 적어도 일부가, 본체부를 상하 방향으로 균등하게 3분할했을 때 가장 아래 하부 영역에 위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를 덮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단말기 유지구는, 휴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면을 가지는 고정부와, 고정부로부터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성을 구비하는 소재로 구성되고, 휴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유지했을 때 손가락의 사이에 협지되는 유지부와, 유지부의 연장 방향의 단부에 설치되고, 연장 방향에 교차하고 유지부를 협지했을 때 손가락이 맞닿는 맞닿는 면을 가지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유지면은, 연장 방향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고정부와 중복되는 제1 유지 영역과, 연장 방향에서 볼 때 고정부와 중복되지 않는 제2 유지 영역을 구비하고, 제1 유지 영역은, 손가락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유지부를 협지했을 때 손가락에 맞닿고, 제2 유지 영역은, 손가락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유지부를 협지했을 때 손가락에 맞닿고, 유지부는, 연장 방향에서 볼 때, 제1 유지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제2 유지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유지부 및 맞닿음부는, 고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고정부와는 중복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한, 유지부에는, 약지 또는 새끼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 공간이 규정되고, 맞닿음부는, 유지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한, 유지부는 루프 형상을 이루고, 일단과 타단이 고정부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 손가락 삽입 공간이 규정되고, 일단과 타단은, 고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한, 유지부는, 고정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맞닿는 면은,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서, 제1 방향은, 고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 및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는,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본체부를 유지했을 때 손가락의 사이에 협지되는 유지부와, 유지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연장 방향에 교차하고 유지부를 협지했을 때 손가락이 맞닿는 맞닿는 면을 가지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맞닿는 면은, 연장 방향에서 볼 때 본체부와 중복되는 제1 유지 영역과, 연장 방향에서 볼 때 본체부와 중복되지 않는 제2 유지 영역을 구비하고, 제1 유지 영역은, 손가락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유지부를 협지했을 때 손가락에 맞닿고, 제2 유지 영역은, 손가락이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유지부를 협지했을 때 손가락에 맞닿고, 유지부는, 연장 방향에서 볼 때, 제1 유지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제2 유지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유지부 및 맞닿음부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본체부와는 중복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한, 유지부는, 끈 모양형으로서, 본체부는,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가 삽통(揷通)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유지부를 관통공에 삽통시켜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에 맞닿음부 및 유지부를 통함으로써, 유지부를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손가락 삽입 공간은 고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고정부와는 중복되어 있지 않으므로, 고정부가 장해가 되지 않고 휴대 단말기의 주위 에지단부에 유지부를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휴대 단말기 장치 유지구와 비교하여 임의의 위치에 단말기 유지구를 배치할 수 있고, 유지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즉, 단말기 유지구를 휴대 단말기의 주위 에지단부에 배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유지부를 고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휴대 단말기와는 중복되지 않는 위치로서, 휴대 단말기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삽입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할 때, 고정부와 간섭하지 않고 간단하게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손가락 삽입 공간과 고정면과는 대략 평행이므로, 고정부가 장해가 되지 않고 휴대 단말기의 주위 에지단부에 유지부를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휴대 단말기 장치 유지구와 비교하여 유지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손가락은 새끼손가락이므로, 사용자는 새끼손가락만을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유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를 유지한 상태인 채 다른 작업을 행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의 파지를 해제하여 유지부를 중심으로 휴대 단말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손바닥으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멀리하면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손바닥에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되므로, 새끼손가락으로 휴대 단말기를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다른 작업, 예를 들면, 가방 중에서 필요한 물건을 인출하는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유지하는 것은 새끼손가락만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른 손가락은 비교적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로 셀프 촬영을 행할 때,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새끼손가락 이외의 다른 손가락을 사용하여 흔들리는 일 없이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손가락은 새끼손가락이므로, 휴대 단말기를 경사지게 한 상태로 하부 영역을 새끼손가락으로 지지하면서 다른 손가락으로 본체부를 지지함으로써 되고, 휴대 단말기가 자중(自重)에 의해 손바닥 및 다른 손가락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종래의 휴대 정보 단말기 케이스에서는, 대략 중심 즉 무게의 중심 위치에 손가락을 통하기 위한 링부가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링부를 중심으로 흔들리는 경우가 있었지만, 본건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 삽입 공간에 새끼손가락을 통하게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하부를 새끼손가락으로 지지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자중을 다른 손가락으로 받아지지(catch)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를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사람의 손가락은, 엄지 및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을 행하면 배 측으로 의식이 향하도록 되고, 약지 및 새끼손가락에 의해 조작을 행하면 등 가운데 측으로 의식이 향하게 된다. 중지는, 중심적인 손가락이며, 중지에서의 조작은 배 및 등 가운데의 양쪽으로 의식이 향한다. 이것은 발명자가 발견한 이론이며, 엄지 및 집게 손가락의 근육은 배 측의 근육과 연동(連動)하고, 약지 및 새끼손가락의 근육은 등 가운데 측의 근육과 연동하고, 중지의 근육은 배 측의 근육 및 등 가운데 측의 근육과 연동하고 있는 것이 원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종래의 휴대 정보 단말기 케이스를 사용하면, 집게 손가락 또는 중지로 상기 케이스를 유지하므로, 배 측으로 의식이 향하는 것에 의해 등 가운데로의 의식이 약해져, 등골(背筋)이 휘는 의식도 내측을 향한 사상에 빠지기 쉽다. 본건 발명에서는, 새끼손가락에 의해 휴대 단말기를 유지하므로, 휴대 단말기의 이동 동작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새끼손가락을 중심으로 행하게 된다. 그러면, 어깨로부터 등 가운데로 의식이 향하도록 되어, 휴대 단말기를 이동시킬 때 손목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팔로부터 어깨 및 등 가운데를 사용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이로써, 등 가운데로 의식이 향하고 있으므로, 등골이 뻗어 양호한 자세인 채 휴대 단말기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등골이 뻗는 것에 의해 체간(體幹)에 외측 방향의 개방하는 힘이 작용하여, 내측을 향한 사상이 아니고 외측 방향의 사상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내측을 향한 사상과는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차단하여 뇌 내에서 과거의 일 등을 되돌아 보는 등 자성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고, 외측 방향의 사상이란 시선(視線)을 올리는 것에 의해 외부의 정보를 입수하여 전방으로 장래를 고려하는 것을 말한다. 본건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함으로써 외측 방향의 사상이 우위(優位)가 되어, 적극적인 사고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단부로부터 손가락 지지부에 걸쳐 소정 방향으로 비틀려지는 동시에 손가락 지지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다시 소정 방향으로 비틀려져 있으므로,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새끼손가락이 평판 형상의 평면에 의해 지지된다. 이로써, 손가락 삽입 공간에 새끼손가락을 삽입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새끼손가락에 매단 상태(도 6)에 있어서도, 새끼손가락에 상기 평면이 맞닿음으로써 새끼손가락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서 1회 소정 방향으로 트위스트되고 또한 다시 1회 소정 방향으로 트위스트되어 있으므로, 동일 평면 상에 2개로 분할한 고정부와 유지부를 배치하고 분할한 고정부를 결합함으로써 단말기 유지구를 제작할 수 있다(도 4). 이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단말기 유지구를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손가락 지지부는 일단부 및 타단부보다 폭이 넓기 때문에, 손가락 삽입 공간에 새끼손가락을 삽입한 상태로 휴대 단말기를 새끼손가락에 매단 상태(도 6)에 있어서도, 새끼손가락에 상기 평면이 맞닿음으로써 새끼손가락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와 고정부와의 접속 부분에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부가 휴대 단말기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부에 강한 부하가 걸렸다고 해도 고정부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고정부와 유지부와의 접속 부분에 부하가 집중되지 않으므로, 고정부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손가락 삽입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하는 방향이 고정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이므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했을 때 새끼손가락이 지향(指向)하는 방향과 동일해진다. 이로써, 유지부를 비틀지 않고 자연스럽게 새끼손가락을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할 수 있어, 휴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고정부가 제2 고정부의 끼워맞춤공에 끼워맞추어지므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중첩되도록 하여 단말기 유지구를 형성했을 때, 요철없이 평활하게 된다. 이로써, 외관 상 미관이 양호한 단말기 유지구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손가락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피협지부를 협지했을 때는 제1 유지 영역이 손가락에 맞닿고, 손가락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피협지부를 협지했을 때는 제2 유지 영역이 손가락에 맞닿으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휴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협지부를 협지했을 때 손가락과 유지부가 맞닿으므로, 유지부에 의해 손가락이 피협지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낙하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협지부가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피협지부를 협지해도, 손가락에 부담이 가해지지 않아 휴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협지부는 제1 유지 영역 및 제2 유지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피협지부를 손가락으로 협지함으로써 상기 협지한 2개의 손가락이 유지면에 맞닿게 된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낙하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지부가 피협지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다양한 유지 방법으로 휴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고정면과 피협지부와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평면형의 소재를 잘라냄으로써 고정부와 피협지부를 제조할 수 있다. 이로써, 간단하고 용이하게 단말기 유지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유지면은 고정면과 직교하는 평면이므로, 손가락이 유지면 상에서 어떤 방향으로 지향했다고 해도 휴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발명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 유지구가 본체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또는 약지를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함으로써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피협지부가 휴대 단말기와 본체부에 의해 협지되므로, 중량이 있는 휴대 단말기라도, 유지부가 본체부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손가락 삽입 공간은 고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고정부와는 중복되어 있지 않으므로, 고정부가 장해가 되지 않아 단말기 수납 케이스의 주위 에지의 단부에 유지부를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휴대 단말기 장치 유지구와 비교하여 유지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손가락 삽입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할 때, 고정부가 장해가 되지 않아 간단하게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는 휴대 단말기와 단말기 수납 케이스와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으므로, 유지부에 부하가 걸렸다고 해도 고정부가 단말기 수납 케이스로부터 쉽게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유지부가 단말기 수납 케이스의 하단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므로, 손가락 삽입 공간에 새끼손가락을 삽입하여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유지한 상태인 채 다른 작업을 행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의 파지를 해제하여 유지부를 중심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손바닥으로부터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멀리하면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손바닥에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되므로, 새끼손가락으로 휴대 단말기를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다른 작업, 예를 들면, 가방 중에서 필요한 물건을 인출하는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유지하는 것은 새끼손가락만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른 손가락은 비교적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새끼손가락을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하여 본체부를 파지했을 때 하단부가 지지점으로 되므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점이 단말기 수납 케이스의 하단부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의 중심 즉 무게의 중심 위치로부터 가까운 거리가 지지점으로 되므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의 안정성이 부족하다. 그러나, 지지점이 하단부에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의 중심 즉 무게의 중심 위치로부터 가장 이격된 부분이 지지점으로 되므로, 안정적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와 유지부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방법으로 단말기 유지구를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도 4의 (a)에 나타낸 단말기 유지구에 있어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양자가 근접하도록 휴대 단말기에 고정함으로써,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말기 유지구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단부와 제1 고정부와의 접속 부분은 제1 고정부의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타단부와 제2 고정부와의 접속 부분은 제2 고정부의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단말기 유지구를 휴대 단말기에 고정시켰을 때 손가락 삽입 공간의 단면적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a)에 나타낸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도 4의 (b)에 나타낸 단말기 유지구를 제작하면, 일단부와 제1 고정부와의 접속 부분 및 타단부와 제2 고정부와의 접속 부분은 아래쪽으로 어긋나 있으므로, 손가락 삽입 공간의 단면적이 커지게 된다. 반대로, 도 4의 (a)에 나타낸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단말기 유지구를 제작하면, 손가락 삽입 공간의 단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이로써, 1개의 단말기 유지구로 손가락 삽입 공간의 단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를 휴대 단말기에 고정시켰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를 휴대 단말기에 고정시켰을 때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 4의 (a)는 단말기 유지구의 전개도(展開圖), 도 4의 (b)는 단말기 유지구를 임시 조립하여 세웠을 때의 평면도, 도 4의 (c)는 단말기 유지구가 완성되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의 유지부에 새끼손가락을 삽입하여 휴대 단말기를 유지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의 유지부에 새끼손가락을 삽입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로부터 손을 멀리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의 단말기 유지구 근방의 부분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를 휴대 단말기에 고정시켰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 11의 (a)는 단말기 유지구의 전개도, 도 11의 (b)는 단말기 유지구를 임시 조립하여 세웠을 때의 평면도, 도 11의 (c)는 단말기 유지구가 완성되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 12의 (a)는 단말기 유지구의 전개도, 도 12의 (b)는 단말기 유지구를 임시 조립하여 세웠을 때의 평면도, 도 12의 (c)는 단말기 유지구가 완성되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로서, 도 13의 (a)는 단말기 유지구의 사시도, 도 13의 (b)는 단말기 유지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를 휴대 단말기에 고정시켰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를 고정부와 손가락이 평행하게 되도록 유지했을 때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를 고정부와 손가락이 직교하도록 유지했을 때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의 피협지부를 약지와 새끼손가락으로 협지하여 휴대 단말기를 유지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의 피협지부를 약지와 새끼손가락으로 협지한 휴대 단말기로부터 손을 멀리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를 휴대 단말기에 고정시켰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의 손가락 삽입 공간에 새끼손가락을 삽입하여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유지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의 손가락 삽입 공간에 새끼손가락을 삽입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로부터 손을 멀리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로서, 도 26의 (a)는 단말기 유지구의 평면도이며, 도 26의 (b)는 단말기 유지구의 배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의 전면(前面)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와 손가락이 평행하게 되도록 유지한 배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와 손가락이 직교하도록 유지한 배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로서 유지부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로서 유지부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로서 유지부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로 유지부에 새끼손가락을 삽입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의 유지부에 새끼손가락을 삽입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로부터 손을 멀리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의 유지부 근방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서 유지부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서 유지부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서 유지부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서 유지부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서 유지부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서 유지부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서 유지부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서 유지부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서 유지부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로 유지부에 약지를 삽입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로 유지부를 장착했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로 대체 유지부를 장착했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1)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상하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단말기 유지구(1)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0A)(도 5)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에 장착되고, 고정부(2)와, 유지부(3)로 구성된다. 휴대 단말기(10)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이지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부(2)와 유지부(3)는, 고무층과 유리 섬유층과 실리콘층의 3층으로 구성되는 평활한 소재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2)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와, 표면 부재(23)(도 1)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2)와 유지부(3)와의 접속 부분에는, 유지부(3)가 고정부(2)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절입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절입부(2a)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4개소 형성되어 있고, 유지부(3)가 고정부(2)에 대하여 격하게 움직인 경우라도 고정부(2)의 휴대 단말기(10)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입부(2a)는 깊이 2㎜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기 유지구(1)의 형상을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에 절입부(2a)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는 대략 동일 형상으로서, 각이 모따기(chamfering)된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제1 고정부(21) 및 제2 고정부(22)의 바닥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단말기 유지구(1)를 휴대 단말기(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고정부(21) 및 제2 고정부(22)는, 도 4의 (a)에서의 상하 방향의 높이가 29㎜로서 좌우 방향의 길이가 40㎜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단말기(10)의 사이즈에 따라서 임의의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고정부(21) 및 제2 고정부(22)의 바닥면은, 본 발명의 고정면에 상당한다. 표면 부재(23)는,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와의 상면을 덮는 부재로서 표면에 도시하지 않은 일러스트 등이 그려져 있다. 표면 부재(23)에 기업의 광고 등을 묘화함으로써, 단말기 유지구(1)를 판촉품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유지부(3)는, 일단으로서 제1 고정부(21)에 접속되는 일단부(31)와, 일단부(31)에 접속되는 손가락 지지부(32)와, 타단으로서 제2 고정부(22)에 접속되고 또한 손가락 지지부(32)에도 접속되는 타단부(33)를 구비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손가락 지지부(32)는, 도 4의 (a)에 나타낸 전개도에 있어서, 일단부(31)와 타단부(33)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유지부(3)는 좌우 방향 중앙부의 중앙선(B)에 대하여 선대칭의 형상을 이루고, 일단부(31) 및 타단부(33)는 대략 동일 형상이다. 일단부(31)와 제1 고정부(21)와의 접속 부분 및 손가락 지지부(32)와 제2 고정부(22)와의 접속 부분은, 상하 방향으로 약간 넓게 되어 있다. 일단부(31)로부터 손가락 지지부(32)에 걸쳐 단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넓어져, 손가락 지지부(32)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손가락 지지부(32)로부터 타단부(33)에 걸쳐 단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좁아지고 있다. 고정부(2)의 절입부(2a)는, 일단부(31)의 제1 고정부(21)와의 접속 부분의 상하 방향 양 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타단부(33)의 제2 고정부(22)와의 접속 부분의 상하 방향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좌우 방향은, 본 발명의 접속 방향에 상당한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3)는, 제1 고정부(21) 및 제2 고정부(22)에 대하여 상하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유지부(3)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C)은, 제1 고정부(21) 및 제2 고정부(22)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I)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즉, 일단부(31)와 제1 고정부(21)와의 접속 부분 및 타단부(33)와 제2 고정부(22)와의 접속 부분은, 고정부(2)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손가락 지지부(32)는, 단말기 유지구(1)를 휴대 단말기(10)에 고정시켰을 때 손가락을 지지하는 부분이므로, 상하 방향의 폭이 일단부(31) 및 손가락 지지부(32)보다 넓게 구성되어 있다. 유지부(3)와 고정부(2)로 에워싸인 공간에는, 도 1 내지 도 3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유지구(1)를 휴대 단말기(10)에 고정시켰을 때 사용자의 새끼손가락(15)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 공간(3a)이 규정된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삽입 공간(3a)은, 고정부(2)와 직교하는 방향인 전후 방향에서 볼 때 고정부(2)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유지부(3)의 내측 변(3A)과, 고정부(2)에 의해 구획되는 평면이 손가락 삽입 공간(3a)로 되고, 손가락 삽입 공간(3a)은 고정부(2)의 바닥면[휴대 단말기(10)의 표시부(10A)]와 대략 평행이다. 고정부(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손가락 삽입 공간(3a)이 고정부(2)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2)의 바닥면과, 고정부(2) 및 유지부(3)에 의해 구획된 면[손가락 삽입 공간(3a)]은 대략 평행한 면으로 된다.
손가락 삽입 공간(3a)은, 새끼손가락(15)이 삽입 가능한 정도의 면적을 가지고, 대략 타원 형상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의 (a)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일단부(31) 및 타단부(33)의 상하 방향의 폭이 4.5㎜로서, 손가락 지지부(32)에서의 상하 방향의 폭이 9㎜로서, 유지부(3)의 좌우 방향의 길이가 65㎜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단말기(10)의 사이즈에 따라서 임의의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에, 단말기 유지구(1)의 휴대 단말기(10)에 대한 장착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말기 유지구(1)는, 유지부(3)가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고정부(2)를 휴대 단말기(10)의 하단부의 좌우 방향 중앙에 장착된다. 이 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2)의 바닥면과 직교하는 방향(전후 방향)에서 볼 때, 손가락 삽입 공간(3a)과 휴대 단말기(10)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단말기 유지구(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유지구(1)의 조립 전의 상태에서는, 제1 고정부(21), 제2 고정부(22), 및 유지부(3)는 평탄한 평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화살표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변(3A)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제1 고정부(21)의 상단면(上端面)과 제2 고정부(22)의 상단면을 접합하면, 도 4의 (b)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이 때, 유지부(3)는 일단부(31)와 손가락 지지부(32)와의 접속 부분에서 소정 방향으로 대략 90°비틀리고, 손가락 지지부(32)와 타단부(33)와의 접속 부분에서 소정 방향으로 대략 90°비틀린다. 여기서 말하는 소정 방향이란, 아래로부터 보았을 때 시계 주위 방향을 말한다. 상세하게는, 도 4의 (a)에서의 유지부(3)의 지면(紙面) 바로 앞쪽의 평면은, 도 4의 (b)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일단부(31)에서는 지면 바로 앞쪽을 방향, 손가락 지지부(32)에서는 상방향을 향하고, 타단부(33)에서는 다시 지면 바로 앞쪽을 향하고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제1 고정부(21) 및 제2 고정부(22)의 상면에 표면 부재(23)를 접착함으로써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와의 접속 부분을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이 때, 표면 부재(23)에 광고 등을 인쇄해도 된다. 이로써,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말기 유지구(1)로 된다. 그리고, 도 4의 (a)의 화살표 F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단말기 유지구(1)를 제작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유지부(3)의 하측의 변이 내측 변(3B)으로 된다. 유지부(3)의 중심선(C)은 고정부(2)의 중심선(I)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화살표 F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일단부(31)와 타단부(33)와의 좌우 방향의 거리가 짧아져 손가락 삽입 공간(3a)의 면적이 도 4의 (b)와 비교하여 작아지게 된다. 즉, 유지부(3)의 중심선(C)과 고정부(2)의 중심선(I)이 상하로 어긋남으로써, 손가락 삽입 공간(3a)의 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고정부(21) 및 제2 고정부(22)의 상단부 중심선(C)과의 상하 방향의 거리는 17㎜로서, 제1 고정부(21) 및 제2 고정부(22)의 하단부 중심선(C)과의 거리는 12㎜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손가락 삽입 공간(3a)의 면적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단말기 유지구(1)를 사용한 휴대 단말기(10)의 유지 방법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엄지(11)와, 집게 손가락(12)과, 중지(13)와, 약지(14)에 의해 단말기 유지구(1)를 파지하고, 새끼손가락(15)만을 손가락 삽입 공간(3a)에 삽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집게 손가락(12)과, 중지(13)와, 약지(14)에 의해 휴대 단말기(10)의 배면을 지지하고, 새끼손가락(15)을 손가락 삽입 공간(3a)에 삽입하여, 엄지(11)와 휴대 단말기(10)의 표시부(10A)를 조작한다. 휴대 단말기(10)의 중심 즉 무게의 중심(G)은 대략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기능하게 하기 위해, 집게 손가락(12), 중지(13), 및 약지(14)와 휴대 단말기(10)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는 중심 즉 무게의 중심(G)으로부터 이격된 지지점(S)과 새끼손가락(15)에 의해 유지되고 있으므로, 중심 즉 무게의 중심(G) 근방을 복수의 손가락으로 지지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의 자중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점(S)은 단말기 유지구(1)가 휴대 단말기(10)를 지지하는 지지점이며, 휴대 단말기(10)의 하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를 파지한 다른 작업을 행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의 배면을 지지하고 있는 집게 손가락(12), 중지(13), 및 약지(14)를 휴대 단말기(10)로부터 멀리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가 자중에 의해 새끼손가락(15)[지점(S)]을 중심으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를 손으로부터 멀리하지 않고 새끼손가락(15) 이외의 손가락으로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다시 휴대 단말기(10)를 조작할 때는, 반동(反動)을 이용하거나, 또는 다른 한쪽의 손으로 휴대 단말기(10)를 새끼손가락(15)[지점(S)]을 중심으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시 도 5에 나타낸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손가락 삽입 공간(3a)은 고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인 전후 방향에서 볼 때 고정부(2)는 중복되어 있지 않으므로, 고정부(2)가 장해가 되지 않고 휴대 단말기(10)의 주위 에지단부에 유지부(3)를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휴대 단말기 장치 유지구와 비교하여 임의의 위치에 단말기 유지구(1)를 배치할 수 있어, 유지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즉, 단말기 유지구(1)를 휴대 단말기(10)의 주위 에지단부에 배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유지부(3)를 고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인 전후 방향에서 볼 때 휴대 단말기(10)는 중복되지 않는 위치로서, 휴대 단말기(10)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삽입 공간(3a)에 손가락을 삽입할 때, 고정부(2)와 간섭하지 않고 간단하게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손가락 삽입 공간(3a)과 고정면과는 대략 평행이므로, 고정부(2)가 장해가 되지 않고 휴대 단말기(10)의 주위 에지단부에 유지부(3)를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휴대 단말기 장치 유지구와 비교하여 유지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손가락 삽입 공간(3a)에 삽입되는 손가락은 새끼손가락(15)이므로, 사용자는 새끼손가락(15)만을 손가락 삽입 공간(3a)에 삽입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를 유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를 유지한 상태인 채 다른 작업을 행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의 파지를 해제하여 유지부(3)를 중심으로 휴대 단말기(10)를 회전시킴으로써 손바닥으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멀리하면서 유지할 수 있다(도 6). 이로써, 손바닥에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되므로, 새끼손가락(15)과 휴대 단말기(10)를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다른 작업, 예를 들면, 가방 내에서 필요한 물건을 인출하는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를 유지하는 것은 새끼손가락(15)만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른 손가락은 비교적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10)에 설치된 카메라로 셀프 촬영을 행할 때, 휴대 단말기(10)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새끼손가락(15) 이외의 다른 손가락을 사용하여 흔들리는 일 없이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삽입 공간(3a)에 삽입되는 손가락은 새끼손가락(15)이므로, 휴대 단말기(10)를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하부 영역을 새끼손가락(15)으로 지지하면서 다른 손가락으로 본체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되고, 휴대 단말기(10)가 자중에 의해 손바닥 및 다른 손가락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종래의 휴대 정보 단말기 케이스에서는, 대략 중심 즉 무게의 중심 위치에 손가락을 통하기 위한 링부가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링부를 중심으로 흔들리는 경우가 있었지만, 본건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 삽입 공간(3a)에 새끼손가락(15)을 통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의 하부를 새끼손가락(15)으로 지지하면서 휴대 단말기(10)의 자중을 다른 손가락으로 받아지지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10)를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사람의 손가락은, 엄지(11) 및 집게 손가락(12)으로 조작을 행하면 배 측으로 의식이 향하도록 되고,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으로 조작을 행하면 등 가운데 측으로 의식이 향하게 된다. 중지(13)는, 중심적인 손가락이며, 중지(13)에서의 조작은 배 및 등 가운데의 양쪽으로 의식이 향한다. 이것은 발명자가 발견한 이론이며, 엄지(11) 및 집게 손가락(12)의 근육은 배 측의 근육과 연동하고,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의 근육은 등 가운데 측의 근육과 연동하고, 중지(13)의 근육은 배 측의 근육 및 등 가운데 측의 근육과 연동하고 있는 것이 원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종래의 휴대 정보 단말기 케이스를 사용하면, 집게 손가락(12) 또는 중지(13)로 상기 케이스를 유지하므로, 배 측으로 의식이 향하는 것에 의해 등 가운데로의 의식이 약해져, 등골이 휘는 의식도 내측을 향한 사상에 빠지기 쉽다. 본건 발명에서는, 새끼손가락(15)에 의해 휴대 단말기(10)를 유지하므로, 휴대 단말기(10)의 이동 동작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새끼손가락(15)을 중심으로 행하게 된다. 그러면, 어깨로부터 등 가운데로 의식이 향하도록 되어, 휴대 단말기(10)를 이동시킬 때 손목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팔로부터 어깨 및 등 가운데를 사용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이로써, 등 가운데로 의식이 향하고 있으므로, 등골이 뻗어 양호한 자세인 채 휴대 단말기(10)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등골이 뻗는 것에 의해 체간(體幹)에 외측 방향의 개방하는 힘이 가해져, 내측을 향한 사상이 아니고 외측 방향의 사상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내측을 향한 사상이란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차단하여 뇌 내에서 과거의 일 등을 되돌아 보는 등 자성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고, 외측 방향의 사상이란 시선을 올리는 것에 의해 외부의 정보를 입수하고 전방으로 장래를 고려하는 것을 말한다. 본건 발명의 휴대 단말기(10)를 사용함으로써 외측 방향의 사상이 우위가 되어, 적극적인 사고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단부(31)로부터 손가락 지지부(32)에 걸쳐 소정 방향으로 비틀려지는 동시에 손가락 지지부(32)로부터 타단부(33)에 걸쳐 다시 소정 방향으로 비틀려져 있으므로, 손가락 삽입 공간(3a)에 삽입된 새끼손가락(15)이 평판 형상의 평면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말하는 비틀림 방향은, 유지부(3)로부터 본 방향을 말한다. 이로써, 손가락 삽입 공간(3a)에 새끼손가락(15)을 삽입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를 새끼손가락(15)에 매단 상태(도 6)에 있어서도, 새끼손가락(15)에 상기 평면이 맞닿음으로써 새끼손가락(15)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3)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서 1회 소정 방향으로 트위스트되고 또한 다시 1회 소정 방향으로 트위스트되어 있으므로, 동일 평면 상에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와 유지부(3)를 배치하고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를 결합함으로써 단말기 유지구(1)를 제작할 수 있다(도 4). 이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단말기 유지구(1)를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손가락 지지부(32)는 일단부(31) 및 타단부(33)보다 폭이 넓기 때문에, 손가락 삽입 공간(3a)에 새끼손가락(15)을 삽입한 상태로 휴대 단말기(10)를 새끼손가락(15)에 매단 상태(도 6)에 있어서도, 새끼손가락(15)에 상기 평면이 맞닿음으로써 새끼손가락(15)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3)와 고정부(2)와의 접속 부분에 절입부(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부(2)가 휴대 단말기(1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부(3)에 강한 부하가 걸렸다고 해도 고정부(2)가 휴대 단말기(10)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절입부(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고정부(2)와 유지부(3)와의 접속 부분에 부하가 집중되지 않으므로, 고정부(2)가 휴대 단말기(10)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와 유지부(3)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방법으로 단말기 유지구(1)를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도 4의 (a)에 나타낸 단말기 유지구(1)에 있어서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를 양자가 근접하도록 휴대 단말기(10)에 고정함으로써,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말기 유지구(1)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단부(31)와 제1 고정부(21)와의 접속 부분은 제1 고정부의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타단부와 제2 고정부와의 접속 부분은 제2 고정부의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단말기 유지구(1)를 휴대 단말기(10)에 고정시켰을 때 손가락 삽입 공간(3a)의 단면적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a)에 나타낸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제1 고정부(21) 및 제2 고정부(22)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도 4의 (b)에 나타낸 단말기 유지구(1)를 제작하면, 일단부(31)와 제1 고정부(21)와의 접속 부분 및 타단부(33)와 제2 고정부(22)와의 접속 부분은 중심선(I)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어긋나 있으므로, 손가락 삽입 공간(3a)의 단면적이 커지게 된다. 반대로, 도 4의 (a)에 나타낸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제1 고정부(21) 및 제2 고정부(22)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단말기 유지구를 제작하면, 손가락 삽입 공간(3a)의 단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이로써, 1개의 단말기 유지구(1)와 손가락 삽입 공간(3a)의 단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단말기 유지구(1)를, 휴대 단말기(10)를 수납하는 케이스인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에 일체로 설치하고 있다.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는, 본체부(111)와, 단말기 유지구(1)로 구성된다.
본체부(111)의 하단부에는, 단말기 유지구(1)가 고정되어 있고, 카메라 구멍(111a)과, 버튼 구멍(111b)과, 단차(段差)(111c)가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 구멍(111a)은 대략 타원 형상으로서, 휴대 단말기(10)의 카메라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버튼 구멍(111b)은, 본체부(111)의 좌측면의 상부로서, 휴대 단말기(10)의 버튼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단차(111c)는, 본체부(111)의 하부로서, 휴대 단말기(10)의 스피커 또는 단자 접속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의 본체부(111)에 휴대 단말기(10)를 수납하면, 고정부(2)가 휴대 단말기(10)와 본체부(111)와의 사이에 협지된 상태로 된다. 이로써, 단말기 유지구(1)를 더욱 견고하게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손가락 삽입 공간(3a)은 고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고정부(2)는 중복되어 있지 않으므로, 고정부(2)가 장해가 되지 않고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의 주위 에지의 단부에 유지부(3)를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휴대 단말기 장치 유지구와 비교하여 유지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손가락 삽입 공간(3a)에 손가락을 삽입할 때, 고정부(2)가 장해가 되지 않아 간단하게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는 휴대 단말기(10)와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와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으므로, 유지부(3)에 부하가 걸렸다고 해도 고정부(2)가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유지부(3)가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의 하단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므로, 손가락 삽입 공간(3a)에 새끼손가락(15)을 삽입하여 휴대 단말기(10)를 유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를 유지한 상태인 채 다른 작업을 행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의 파지를 해제하여 유지부를 중심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를 회전시킴으로써 손바닥으로부터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를 멀리하면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손바닥에 휴대 단말기(10)가 존재하지 않도록 되므로, 새끼손가락(15)과 휴대 단말기(10)를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다른 작업, 예를 들면, 가방 내에서 필요한 물건을 인출하는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를 유지하는 것은 새끼손가락(15)만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른 손가락은 비교적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새끼손가락(15)을 손가락 삽입 공간(3a)에 삽입하여 본체부(111)를 파지했을 때 하단부가 지지점(S)으로 되므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점(S)이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의 하단부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의 중심 즉 무게의 중심 위치로부터 가까운 거리가 지지점으로 되므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의 안정이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지지점(S)이 하단부에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10)의 중심 즉 무게의 중심 위치로부터 가장 이격된 부분이 지지점으로 되므로, 안정적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 유지구(101)는, 고정부(102)와, 유지부(103)로 구성된다. 고정부(102)와 유지부(103)는, 고무층과 유리 섬유층과 실리콘층의 3층에 의해 구성되는 평활한 소재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102)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21)와, 제2 고정부(122)와, 표면 부재(123)(도 9)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고정부(121)는 상하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으로서, 제2 고정부(122)는 제1 고정부(121)와 대략 동일한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이다. 제1 고정부(121) 및 제2 고정부(122)의 바닥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단말기 유지구(101)를 휴대 단말기(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고정부(121) 및 제2 고정부(122)의 바닥면은, 본 발명의 고정면에 상당한다. 표면 부재(123)는, 제1 고정부(121)와 제2 고정부(122)와의 상면을 덮는 부재로서 표면에 도시하지 않은 일러스트 등이 그려져 있다. 표면 부재(123)에 기업의 광고 등을 묘화함으로써, 단말기 유지구(101)를 판촉품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유지부(103)는, 일단으로서 제1 고정부(121)에 접속되는 일단부(131)와, 일단부(131)에 접속되는 손가락 지지부(132)와, 타단으로서 제2 고정부(122)에 접속되고 또한 손가락 지지부(132)에도 접속되는 타단부(133)를 구비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손가락 지지부(132)는, 도 11의 (a)에 나타낸 전개도에 있어서, 일단부(131)와 타단부(133)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유지부(103)는 좌우 방향 중앙부의 중앙선(B)에 대하여 선대칭의 형상을 이루고, 일단부(131) 및 타단부(133)는 대략 동일 형상이다. 일단부(131)와 제1 고정부(121)와의 접속 부분 및 손가락 지지부(132)와 제2 고정부(122)와의 접속 부분은, 상하 방향으로 약간 넓게 되어 있다. 일단부(131)로부터 손가락 지지부(132)에 걸쳐 단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넓어져, 손가락 지지부(132)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손가락 지지부(132)로부터 타단부(133)에 걸쳐 단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좁아지고 있다. 좌우 방향은, 본 발명의 접속 방향에 상당한다.
손가락 지지부(132)는, 단말기 유지구(101)를 휴대 단말기(10)에 고정시켰을 때 손가락을 지지하는 부분이므로, 상하 방향의 폭이 일단부(131) 및 손가락 지지부(132)보다 넓게 구성되어 있다. 일단부(131)와, 손가락 지지부(132)와, 타단부(133)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에는, 도 9 및 도 10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유지구(101)를 휴대 단말기(10)에 고정시켰을 때 사용자의 새끼손가락(15)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 공간(103a)이 규정된다. 상세하게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삽입 공간(103a)은, 고정부(2)의 바닥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새끼손가락(15)을 삽입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새끼손가락(15)이 삽입되는 면은 유지부(103)의 변(103A)에 의해 구획되는 평면이며, 손가락 삽입 공간(103a)은 고정부(102)의 바닥면[휴대 단말기(10)의 표시부(10A)]와 교차하는 면이다.
손가락 삽입 공간(103a)은, 새끼손가락(15)이 삽입 가능한 정도의 면적을 가지고, 대략 방울 형상이다. 새끼손가락(15)을 손가락 삽입 공간(103a)에 삽입하는 방향은, 좌우 방향으로서 고정부(102)의 바닥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이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 삽입 공간(103a)에 새끼손가락(15)을 삽입할 때는, 고정부(102)의 길이 방향인 좌우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새끼손가락(15)을 삽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의 (a)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일단부(131) 및 타단부(133)의 상하 방향의 폭이 5.5㎜이고, 손가락 지지부(132)에서의 상하 방향의 폭이 10㎜이고, 유지부(103)의 좌우 방향의 길이가 65㎜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단말기(10)의 사이즈에 따라서 임의의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에, 단말기 유지구(101)의 휴대 단말기(10)에 대한 장착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말기 유지구(101)는, 유지부(103)가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고정부(102)를 휴대 단말기(10)의 하단부의 좌우 방향 중앙에 장착된다. 이 때, 고정부(102)의 바닥면과 직교하는 방향(전후 방향)에서 볼 때, 손가락 삽입 공간(103a)과 휴대 단말기(10)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여 단말기 유지구(10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유지구(101)의 조립 전의 상태에서는, 제1 고정부(121), 제2 고정부(122), 및 유지부(103)는 평탄한 평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화살표 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21)가 제2 고정부(122)의 좌단부와 일치하도록 접합하면, 도 11의 (b)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이로써, 유지부(103)로 에워싸인 공간인 손가락 삽입 공간(103a)이 규정된다.
도 11의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제1 고정부(121) 및 제2 고정부(122)의 상면에 표면 부재(123)를 접착함으로써 제1 고정부(121)와 제2 고정부(122)와의 접속 단차를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이 때, 표면 부재(123)에 광고 등을 인쇄해도 된다. 이로써,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말기 유지구(101)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손가락 삽입 공간(103a)에 새끼손가락(15)을 삽입하는 방향이 고정부(102)의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이므로, 휴대 단말기(10)를 파지했을 때 새끼손가락(15)이 지향하는 방향과 동일해진다. 이로써, 유지부(103)를 비틀지 않고 자연스럽게 새끼손가락(15)을 손가락 삽입 공간(103a)에 삽입할 수 있어, 휴대 단말기(10)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 유지구(201)는, 고정부(202)와, 유지부(203)로 구성된다. 고정부(202)와 유지부(203)는, 고무층과 유리 섬유층과 실리콘층의 3층에 의해 구성되는 평활한 소재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202)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정부(221)와, 제2 고정부(222)와, 표면 부재(22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고정부(221)는 상하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으로서, 제2 고정부(222)는 제1 고정부(221)보다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이다. 제2 고정부(222)에는, 제1 고정부(221)와 대략 동일 형상의 끼워맞춤공(222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부(221)의 표면 및 제2 고정부(222)의 바닥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단말기 유지구(201)를 휴대 단말기(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고정부(221)의 표면 및 제2 고정부(222)의 바닥면은, 본 발명의 고정면에 상당한다. 표면 부재(223)는, 제1 고정부(221)와 제2 고정부(222)와의 상면을 덮는 부재로서 표면에 도시하지 않은 일러스트 등이 그려져 있다. 표면 부재(223)에 기업의 광고 등을 묘화함으로써, 단말기 유지구(201)를 판촉품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유지부(203)는, 일단으로서 제1 고정부(221)에 접속되는 일단부(231)와, 일단부(231)에 접속되는 손가락 지지부(232)와, 타단으로서 제2 고정부(222)에 접속되고 또한 손가락 지지부(232)에도 접속되는 타단부(233)를 구비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손가락 지지부(232)는, 도 12의 (a)에 나타낸 전개도에 있어서, 일단부(231)와 타단부(233)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일단부(231)는 타단부(233)보다 상하 방향의 폭이 가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단부(231)와 제1 고정부(221)와의 접속 부분은, 상하 방향으로 약간 넓게 되어 있다. 일단부(231)로부터 손가락 지지부(232)에 걸쳐 단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넓어지고, 손가락 지지부(232)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손가락 지지부(232)로부터 타단부(233)에 있어서는 대략 동일한 상하 방향의 폭을 가지고 있다. 좌우 방향은, 본 발명의 접속 방향에 상당한다.
손가락 지지부(232)는, 단말기 유지구(201)를 휴대 단말기(10)에 고정시켰을 때 손가락을 지지하는 부분이므로, 상하 방향의 폭이 일단부(231)보다 넓게 구성되어 있다. 일단부(231)와, 손가락 지지부(232)와, 타단부(233)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에는, 단말기 유지구(201)를 휴대 단말기(10)에 고정시켰을 때 사용자의 새끼손가락(15)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 공간이 규정된다. 상세하게는,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손가락 삽입 공간은, 고정부(202)의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새끼손가락(15)을 삽입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단말기 유지구(20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유지구(201)의 조립 전의 상태에서는, 제1 고정부(221), 제2 고정부(222), 및 유지부(203)는 평탄한 평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화살표 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정부(221)가 제2 고정부(222)의 끼워맞춤공(222a)과 끼워맞추어지도록 접합하면, 도 12의 (b)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이로써, 유지부(203)로 에워싸인 공간인 손가락 삽입 공간이 규정된다. 이 때, 제1 고정부(221)와 제2 고정부(222)는 동일한 두께이므로, 제1 고정부(221)와 제2 고정부(222)와의 경계에는 단차가 없다.
도 12의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제1 고정부(221) 및 제2 고정부(222)의 상면에 표면 부재(223)를 접착함으로써 제1 고정부(221)와 제2 고정부(222)와의 접속 경계를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이 때, 표면 부재(223)에 광고 등을 인쇄해도 된다. 이로써,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말기 유지구(201)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고정부(221)가 제2 고정부(222)의 끼워맞춤공(222a)에 끼워맞추어지므로, 제1 고정부(221)와 제2 고정부(222)를 중첩되도록 하여 단말기 유지구(201)를 형성했을 때, 요철없이 평활하게 된다. 이로써, 외관 상 미관이 양호한 단말기 유지구(201)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1)를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상하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단말기 유지구(301)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0A)(도 17)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에 장착되는 유지구로서, 고정부(302)와, 유지부(303)와, 맞닿음부(304)로 구성된다. 휴대 단말기(10)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이지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박형(薄形)의 단말기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단말기 유지구(1)는 휴대 단말기(10)에 직접 장착해도 되고, 휴대 단말기(10)를 수납하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도 24)에 장착해도 된다.
고정부(302) 및 유지부(303)는, 유연성을 구비하는 소재로 구성되고, 천, 화학 섬유, 가죽, 인공 가죽, 수지 등의 재료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302)의 하면에는 휴대 단말기(10)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에 접착되는 고정면(302A)이 규정되어 있다. 고정면(302A)에는, 휴대 단말기(10)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에 접착되는 점착(粘着)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302)는 4코너에 R부가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으로서, 유지부(30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02)와 유지부(303)는, 별체라도 된다.
유지부(303)는, 고정부(302)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고정부(302)의 하단부의 좌우 방향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고,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고정부(302)와 중복되지 않는다. 유지부(303)는, 좌우 방향으로 폭을 가지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서, 하단(下端)(선단)에 맞닿음부(304)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303)와 고정부(302)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맞닿음부(304)까지의 길이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1개 들어가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는, 단말기 유지구(301)의 크기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유지부(303)는, 도 15 내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유지구(301)가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었을 때, 약지(14)와 새끼손가락(15)에 의해 협지된다.
맞닿음부(304)는 대략 얇은 원형상으로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중심 부분에 유지부(303)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맞닿음부(304)는, 경질(硬質)인 수지라도 되고, 금속 등이라도 된다. 맞닿음부(304)는, 유지부(303)의 연장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인 맞닿는 면(341)을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맞닿는 면(341)은 맞닿음부(304)의 상측의 면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는 면(341)은, 단말기 유지구(301)가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었을 때,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맞닿는다.
맞닿는 면(341)에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유지 영역(341A)과, 제2 유지 영역(341B)이 규정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에 있어서, 고정부(302)를 유지했을 때의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의 위치를 1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제1 유지 영역(341A)은, 단말기 유지구(301)의 후방에서 볼 때 유지부(303)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으로서, 도면 중에 점선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이 고정부(302)와 중복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유지 영역(341A)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유지부(303)를 좌우 방향으로 협지하고 있을 때,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맞닿는 면(341)과 맞닿는 영역의 일부이다. 즉, 유지부(303)는, 제1 유지 영역(341A)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부터 협지되도록 한 위치 관계에 있다. 유지부(303)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약지(14)와 새끼손가락(15)에 협지되는 것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다. 여기서, 전후 방향이 본 발명의 제1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제1 방향은 전후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도 1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라도,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제1 유지 영역(341A)에 맞닿아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방향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제2 유지 영역(341B)은, 단말기 유지구(301)의 후방에서 볼 때, 유지부(303)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으로서, 고정부(302)는 중복되지 않는 위치로 규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유지 영역(341B)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유지부(303)를 전후 방향으로부터 협지하고 있을 때,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맞닿는 면(341)과 맞닿는 영역의 일부이다. 즉, 유지부(303)는, 제2 유지 영역(341B)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부터 협지되도록 한 위치 관계에 있다. 여기서, 좌우 방향이 본 발명의 제2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제2 방향은 좌우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도 15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라도, 제2 유지 영역(341B)에 맞닿아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단말기 유지구(301)를 휴대 단말기(10)에 장착할 때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의 하단부와 고정부(302)의 하단부가 거의 일치하고, 유지부(303)가 휴대 단말기(10)로부터 연장하도록 위치에 접착한다. 단말기 유지구(301)를 장착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장착할 수 있다. 단, 단말기 유지구(301)는, 약지(14)(도 15)와 새끼손가락(15)으로 유지부(303)를 협지(sandwich)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휴대 단말기(10)의 하부, 구체적으로는, 휴대 단말기(10)를 상하 방향으로 3분할했을 때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영역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말기 유지구(301)를 휴대 단말기(10)를 유지하기 위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 장착해도 된다.
다음에, 단말기 유지구(301)를 사용한 휴대 단말기(10)의 유지 방법에 대하여,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엄지(11)와, 집게 손가락(12)과, 중지(13)에 의해 휴대 단말기(10)를 파지하고, 약지(14)와 휴대 단말기(10)의 배면을 지지하면서, 약지(14)와 새끼손가락(15)으로 유지부(303)를 협지한다. 이 때, 사용자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전후 방향으로부터 약지(14)와 새끼손가락(15)으로 유지부(303)를 협지하고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게 손가락(12)과, 중지(13)와, 약지(14)에 의해 휴대 단말기(10)의 배면을 지지하고, 약지(14)와 새끼손가락(15)과 유지부(303)를 협지하고 또한 약지(14)와 새끼손가락(15)이 맞닿는 면(341)에 맞닿음으로써, 휴대 단말기(10)가 손바닥 위에서 고정된다. 사용자는, 엄지(11)와 휴대 단말기(10)의 표시부(10A)를 조작한다. 휴대 단말기(10)의 중심 즉 무게의 중심(G)은 대략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기능하게 하기 위해, 집게 손가락(12), 중지(13), 및 약지(14)와 휴대 단말기(10)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는 중심 즉 무게의 중심(G)으로부터 이격된 지지점(S)과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므로, 중심 즉 무게의 중심(G) 근방을 복수의 손가락으로 지지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의 자중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점(S)은 단말기 유지구(301)가 휴대 단말기(10)를 지지하는 지지점이며, 휴대 단말기(10)의 하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단말기 유지구(301)를 휴대 단말기(10)의 하단부에 장착하고,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으로 단말기 유지구(301)를 유지함으로써, 지지점(S)을 휴대 단말기(10)의 하단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를 파지한 다른 작업을 행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의 배면을 지지하고 있는 집게 손가락(12) 및 중지(13)를 휴대 단말기(10)로부터 멀리함으로써,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가 자중에 의해 약지(14)를 중심으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유지부(303)는 약지(14)와 새끼손가락(15)에 협지되면서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은 맞닿는 면(341)에 맞닿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를 손으로부터 멀리하지 않고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 이외의 손가락으로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다시 휴대 단말기(10)를 조작할 때는, 반동을 이용하거나 또는 다른 한쪽의 손으로 휴대 단말기(10)를 약지(14)를 중심으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시 도 17에 나타낸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유지부(303)를 협지했을 때는 제1 유지 영역(341A)이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과 맞닿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유지부(303)를 협지했을 때는 제2 유지 영역(341B)이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과 맞닿으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휴대 단말기(10)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303)를 협지했을 때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과 맞닿음부(304)가 맞닿으므로, 맞닿음부(304)에 의해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유지부(303)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10)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를 낙하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303)가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유지부(303)를 협지해도, 손가락에 부담이 가해지지 않아 휴대 단말기(10)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303) 및 맞닿음부(304)는 고정면(302A)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에서 볼 때 고정부(302)는 중복되어 있지 않으므로, 고정부(302)가 장해가 되지 않아 휴대 단말기(10)의 주위 에지단부에 유지부(303) 및 맞닿음부(304)를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휴대 단말기 장치 유지구와 비교하여 임의의 위치에 단말기 유지구(301)를 배치할 수 있어, 유지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즉, 단말기 유지구(301)를 휴대 단말기(10)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의 주위 에지단부에 배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유지부(303) 및 맞닿음부(304)를 고정면(302A)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휴대 단말기(10)는 중복되지 않는 위치로서, 휴대 단말기(10)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303)는 제1 유지 영역(341A) 및 제2 유지 영역(341B)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유지부(303)를 손가락으로 협지함으로써 상기 협지한 2개의 손가락이 맞닿는 면(341)에 맞닿게 된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10)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를 낙하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고정면(302A)과 유지부(303)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평면형의 소재를 잘라냄으로써 고정부(302)와 유지부(303)를 제조할 수 있다. 이로써, 간단하고 용이하게 단말기 유지구(301)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맞닿는 면(341)은 고정면(302A)과 직교하는 평면이므로, 손가락이 맞닿는 면(341) 상에서 어떤 방향으로 지향했다고 해도 휴대 단말기(10)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말기 유지구(401)는, 고정부(302)와, 유지부(403)와, 맞닿음부(304)로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유지부(403)는, 제1 유지부(403A)와, 제2 유지부(403B)로 구성된다. 제1 유지부(403A)는, 상단부가 고정부(302)의 하단부의 좌우 방향 중앙의 후방측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고, 하단부는 맞닿음부(304)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유지부(403B)는, 상단부가 고정부(302)의 하단부의 좌우 방향 중앙의 전방측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고, 하단부는 제1 유지부(403A)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맞닿음부(304)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유지부(403)는, 전후 방향(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고정부(302)와 중복되지 않는다. 제1 유지부(403A)는,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제2 유지부(403B)와 중복되어 있다.
제1 유지부(403A) 및 제2 유지부(403B)는, 좌우 방향으로 폭을 가지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서, 하단(선단)에 맞닿음부(30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유지부(403A)와, 제2 유지부(403B)와, 맞닿음부(304)에 의해, 도 19 및 도 20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고 약지(14) 또는 새끼손가락(15)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 공간(403a)이 규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유지부(403A)와, 제2 유지부(403B)와, 맞닿음부(304)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이 손가락 삽입 공간(403a)으로 된다.
단말기 유지구(401)를 휴대 단말기(10)에 장착할 때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의 하단부와 고정부(302)의 하단부가 거의 일치하고, 유지부(403)가 휴대 단말기(10)로부터 연장하도록 위치에 접착한다. 단말기 유지구(401)를 장착하는 위치는, 사용자의 원하는 장소에 장착할 수 있다. 단, 단말기 유지구(401)는, 약지(14) 또는 새끼손가락(15)을 손가락 삽입 공간(403a)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휴대 단말기(10)의 하부, 구체적으로는, 휴대 단말기(10)를 상하 방향으로 3분할했을 때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영역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말기 유지구(401)는 휴대 단말기(10)를 수납하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 장착해도 된다.
다음에, 단말기 유지구(401)를 사용한 휴대 단말기(10)의 유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기 유지구(401)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지(14)와 새끼손가락(15)과 유지부(403)를 협지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를 유지해도 된다. 다른 유지 방법으로서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엄지(11)와, 집게 손가락(12)과, 중지(13)와, 약지(14)에 의해 휴대 단말기(10)를 파지하고, 새끼손가락(15)을 손가락 삽입 공간(403a)에 삽입해, 엄지(11)와 휴대 단말기(10)의 표시부(10A)를 조작한다. 휴대 단말기(10)의 중심 즉 무게의 중심(G)은 대략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기능하게 하기 위해, 집게 손가락(12), 중지(13), 및 약지(14)와 휴대 단말기(10)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는 중심 즉 무게의 중심(G)으로부터 이격된 지지점(S)과 새끼손가락(15)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므로, 중심 즉 무게의 중심(G) 근방을 복수의 손가락으로 지지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의 자중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점(S)은 단말기 유지구(401)가 휴대 단말기(10)를 지지하는 지지점이며, 휴대 단말기(10)의 하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단말기 유지구(401)를 휴대 단말기(10)의 하단부에 장착하고, 새끼손가락(15)과 단말기 유지구(401)를 유지함으로써, 지지점(S)을 휴대 단말기(10)의 하단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를 파지한 다른 작업을 행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의 배면을 지지하고 있는 집게 손가락(12), 중지(13), 및 약지(14)를 휴대 단말기(10)로부터 멀리함으로써,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가 자중에 의해 새끼손가락(15)을 중심으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새끼손가락(15)은 손가락 삽입 공간(403a)에 삽입된 상태인 채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를 손으로부터 멀리하지 않고 새끼손가락(15) 이외의 손가락으로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다시 휴대 단말기(10)를 조작할 때는, 반동을 이용하거나, 또는 다른 한쪽의 손으로 휴대 단말기(10)를 새끼손가락(15)을 중심으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시 도 9에 나타낸 상태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약지(14)를 손가락 삽입 공간(403a)에 삽입해도 상기와 동일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지부(403)에는 약지(14) 또는 새끼손가락(15)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 공간(403a)이 규정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삽입 공간(403a)에 삽입되는 손가락은 약지(14) 또는 새끼손가락(15)이므로, 사용자는 약지(14) 또는 새끼손가락(15)만을 손가락 삽입 공간(403a)에 삽입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 유지구(501)은, 고정부(302)와, 유지부(503)와, 맞닿음부(504)와, 커버부(505)로 구성된다. 유지부(503)은, 고정부(302)의 하단부의 좌우 방향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유지부(503)에는, 도 23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고 약지(14) 또는 새끼손가락(15)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 공간(503a)이 규정되어 있다. 유지부(503)는 루프형으로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이 고정부(302)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루프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이 손가락 삽입 공간(503a)으로 된다.
맞닿음부(504)는 유지부(50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2개의 삽입공(504a)과, 2개의 절입부(504b)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공(54a)은 맞닿음부(504)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으로서, 맞닿음부(504)의 대략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삽입공(504a)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절입부(504b)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맞닿음부(504)에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유지 영역 및 제2 유지 영역이 규정되어 있다.
맞닿음부(504)를 유지부(503)에 장착했을 때는, 맞닿음부(504)를 손가락 삽입 공간(503a) 내에 배치하고, 유지부(503)를 절입부(504b)로부터 삽입공(504a)에 삽입시킨다. 맞닿음부(504)를 유지부(503)로부터 분리할 때는, 절입부(504b)를 통해 유지부(503)를 맞닿음부(504)로부터 이탈시킨다.
커버부(505)는, 맞닿음부(504)에 대하여 첩부(貼付)되고 맞닿음부(504)의 하면으로부터 유지부(503)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은폐할 수 있다. 커버부(505)에는, 기업의 광고 등을 표시하고 단말기 유지구(501)를 노빌리티로서 이용해도 된다. 또한, 커버부(505)는 얇은 실링 상태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장식(裝飾)을 위해 다이아몬드 형상의 합성 수지 등이라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맞닿음부(504)가 유지부(50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다양한 유지 방법으로 휴대 단말기(10) 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 유지구(601)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에 설치된 충전기를 접속하기 위한 관통공(100a)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단말기 유지구(601)는, 유지부(603)와, 맞닿음부(304)로 구성된다. 유지부(603)는, 맞닿음부(304)로부터 연장되는 링형의 끈으로서, 2개의 끈의 사이의 공간이 손가락 삽입 공간으로 된다. 바꾸어 말하면,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와 맞닿음부(304)와의 사이의 유지부(603)를 좌우 방향으로 개방함으로써 손가락 삽입 공간이 규정된다.
단말기 유지구(601)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603)를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에 장착했을 때는, 유지부(603)를 관통공(100a)에 통해, 유지부(603)의 선단 부분의 루프에 유지부(603) 및 맞닿음부(304)를 통하면 도 24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유지부(603)를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로부터 분리해내는 경우에는, 유지부(603)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을 인장(引張)시켜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루프에 맞닿음부(304)를 통과시킴으로써 유지부(603)가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로부터 벗겨진다.
단말기 유지구(601)를 유지할 때는, 유지부(603)를 약지(14)와 새끼손가락(15)과 협지하거나, 또는 유지부(603)의 사이의 손가락 삽입 공간에 새끼손가락(15)을 삽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지부(603)가 로프형이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유지부(603) 및 맞닿음부(304)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 유지구(701)는, 고정부(302)와, 유지부(703)와, 맞닿음부(504)와, 커버부(505)로 구성된다. 유지부(703)는, 고정부(302)의 하단부의 좌우 방향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유지부(703)는, 좌우 방향으로 폭을 가지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서, 하단(선단)에 맞닿음부(504)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703)에는, 도 25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 공간(703a)이 규정되어 있다. 유지부(703)는 루프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고정부(30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고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도 26의 (a) 및 도 2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703)는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도록 대략 V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지부(703)의 일단과 타단이 고정면(302A)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어긋나 있으므로, 손가락 삽입 공간(703a)을 형성하기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제6 실시형태와 같이, 일단과 타단이 고정면(302A)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완전히 중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단 또는 타단 중 어느 한쪽을 파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손가락 삽입 공간(403a)을 형성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일단과 타단이 어긋남으로써, 상기 어긋나 있는 부분을 가지고 일단과 타단을 이격시키면 용이하게 손가락 삽입 공간(703a)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7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 수납 케이스(800)는, 본체부(801)와, 유지부(803)와, 맞닿음부(304)로 구성된다. 본체부(801)에는, 휴대 단말기(10)를 수납하는 단말기 수납 공간(800a)이 규정되고, 충전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구멍(800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8에, 단말기 수납 공간(800a)에 휴대 단말기(10)가 수납되었을 때의 표시부(10A)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유지부(803)는, 본체부(801)의 하단부의 좌우 방향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803)의 상단부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800)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부에 맞닿음부(304)가 고정되어 있다.
유지부(803)는, 좌우 방향으로 폭을 가지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서, 하단(선단)에 맞닿음부(304)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303)와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맞닿음부(304)까지의 길이는, 손가락 1개 들어가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길이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800)의 크기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유지부(803)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800)가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었을 때, 약지(14)와 새끼손가락(15)에 의해 협지된다.
맞닿음부(304)는, 유지부(803)의 연장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인 맞닿는 면(341)을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맞닿는 면(341)은 맞닿음부(304)의 상측의 면이다.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는 면(341)은, 단말기 유지구(301)가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었을 때,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맞닿는다.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부(304)에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유지 영역(341A) 및 제2 유지 영역(341B)이 규정되어 있다. 제1 유지 영역(341A)은, 아래쪽에서 볼 때 유지부(803)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으로서, 도면 중에 점선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이 본체부(801)와 중복되어 있다. 즉, 제1 유지 영역(341A)은, 아래쪽에서 볼 때 단말기 수납 케이스(800)에 중복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유지 영역(341A)은,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유지부(303)를 좌우 방향으로 협지하고 있을 때,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맞닿는 면(341)과 맞닿는 영역이다.
제2 유지 영역(341B)은, 단말기 수납 케이스(800)의 후방에서 볼 때, 유지부(803)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으로서, 본체부(801)는 중복되지 않는 위치로 규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유지 영역(341B)은,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유지부(303)를 전후 방향으로부터 협지하고 있을 때,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맞닿는 면(341)과 맞닿는 영역의 일부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유지부(803)를 협지했을 때는 제1 유지 영역(341A)이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과 맞닿고,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유지부(803)를 협지했을 때는 제2 유지 영역(341B)이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과 맞닿으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800)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803)를 협지했을 때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과 맞닿음부(304)가 맞닿으므로, 맞닿음부(304)에 의해 약지(14) 및 새끼손가락(15)이 유지부(803)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단말기 수납 케이스(800)를 낙하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803)가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유지부(803)를 협지해도, 손가락에 부담이 가해지지 않아 단말기 수납 케이스(800)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를 도 31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상하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0A)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도 34)를 수납하는 케이스로서, 본체부(902)와, 유지부(903)로 구성된다. 본체부(902)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등의 경질인 합성 수지라도 되고, 실리콘과 같이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체부(902)는, 바닥면인 평면부(921)와, 평면부(921)로부터 전방을 향해 세워 설치되는 측면부(922)를 구비하고 있고, 평면부(921)와 측면부(922)에 의해 휴대 단말기(10)가 수납되는 공간인 단말기 수납 공간(902a)(도 33)이 규정되어 있다. 평면부(921)는, 휴대 단말기(10)가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수납되었을 때 휴대 단말기(10)와 대향하는 정면부(923)와, 정면부(923)의 반대측의 면으로서 본체부(902)의 배면인 배면부(924)를 구비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휴대 단말기(10)가 수납되었을 때, 표시부(10A)는 반대측의 면이 배면부(924)로 된다.
평면부(921)에는, 제1 관통공(921a)과, 제2 관통공(921b)과, 제3 관통공(921c)과, 제4 관통공(921d)과, 카메라 구멍(921e)과, 절입부(921f)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공(921a)로부터 제4 관통공(921d)은 모두 같은 형상의 대략 원형으로서, 평면부(921)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1 관통공(921a)은 본체부(902)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2 관통공(921b)은 제1 관통공(921a)의 좌측 방향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 형성되고, 제3 관통공(921c)은 제1 관통공(921a)의 상방향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 형성되고, 제4 관통공(921d)은 제2 관통공(921b)의 상방향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1점 쇄선(鎖線)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902)[평면부(921) 및 측면부(922)를 포함한 전체]를 상하 방향으로 균등하게 상부 영역(902A)과, 중간 영역(902B)과, 하부 영역(902C)의 3개의 영역으로 분할했을 때, 제1 관통공(921a)로부터 제4 관통공(921d)은, 모두 하부 영역(902C)에 형성된다.
카메라 구멍(921e)은 대략 타원 형상으로서, 휴대 단말기(10)의 카메라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절입부(921f)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본체부(902)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절입부(921f)의 좌우 방향의 폭은, 유지부(903)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넓다. 절입부(921f)에는, 상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4개의 걸림 돌기(921A)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기(921A)는 좌우 방향 나란히 4개 설치되어 있고, 유지부(903)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고 있다. 절입부(921f)는 평면부(921)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측면부(922)로부터 평면부(921)에 걸쳐 형성된 절결부(切缺部; cut-out portion)라도 된다.
측면부(922)는, 평면부(921)의 전체 주위에 걸쳐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수납된 휴대 단말기(10)의 주위 에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측면부(922)에는, 휴대 단말기(10)의 버튼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된 버튼 구멍(922a)과, 휴대 단말기(10)의 단자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된 단자 구멍(922b)과, 휴대 단말기(10)의 스피커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된 2개의 스피커 구멍(922c)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903)는, 제1 베이스부(931)와, 제2 베이스부(9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로 구성된다. 제1 베이스부(931)와, 제2 베이스부(9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베이스부(931) 및 제2 베이스부(932)는, 본 발명의 피협지부에 상당한다.
제1 베이스부(931)는, 제1 관통공(921a) 또는 제3 관통공(921c)에 회동 가능하게 삽통되는 제1 돌기(931A)를 구비하고 있다.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돌기(931A)의 선단은 약간 확경(擴徑)되어 있고, 제1 관통공(921a) 또는 제3 관통공(921c)의 내경보다 약간 크다. 제1 베이스부(931)는, 대략 직사각형으로서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휴대 단말기(10)가 수납되었을 때, 본체부(902)와 휴대 단말기(10)에 의해 협지된다. 제1 돌기(931A)와 제1 관통공(921a) 및 제3 관통공(921c)은, 제1 베이스부(931)가 회동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저항을 가지고 끼워맞추어져 있다. 제1 관통공(921a), 제2 관통공(921b), 제3 관통공(921c), 및 제4 관통공(921d)은, 본 발명의 관통공에 상당한다.
제2 베이스부(932)는, 제2 관통공(921b) 또는 제4 관통공(921d)에 회동 가능하게 삽통되는 제2 돌기(932A)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돌기(931A)와 마찬가지로, 제2 돌기(932A)의 선단은 약간 확경되어 있고, 제2 관통공(921b) 또는 제4 관통공(921d)의 내경보다 약간 크다. 제2 베이스부(932)는, 대략 직사각형으로서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휴대 단말기(10)가 수납되었을 때, 본체부(902)와 휴대 단말기(10)에 의해 협지된다. 제2 돌기(932A)와 제2 관통공(921b) 및 제4 관통공(921d)은, 제2 베이스부(932)가 회동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저항을 가지고 끼워맞추어져 있다. 제1 돌기(931A) 및 제2 돌기(932A)는, 본 발명의 돌기부에 상당한다.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는 단면(斷面) 형상이 대략 원형으로서 유연성을 가지고, 일단이 제1 베이스부(931)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2 베이스부(932)에 접속되고, 절입부(921f)를 통해 단말기 수납 공간(902a)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베이스부(931) 및 제2 베이스부(932)가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위치하고,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는 유지부(903) 중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위치하지 않는 부분이다. 도 31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에는, 새끼손가락 유지부(933)와 본체부(902)에 의해 구획된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933a)이 규정되어 있다. 유지부(903) 중 적어도 일부는, 하부 영역(902C)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유지부(903) 중 제1 베이스부(931), 제2 베이스부(932), 및 새끼손가락 유지부(933)의 일부는 하부 영역(902C)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를 파지했을 때 자연스럽게 새끼손가락이 배치되는 장소에 새끼손가락 유지부(93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돌기(931A)를 제3 관통공(921c)에 삽입하고 또한 제2 돌기(932A)를 제4 관통공(921d)에 삽입함으로써,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933a)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관통공에 돌기를 삽입함으로써, 새끼손가락의 굵기에 따른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933a)으로 할 수 있다.
유지부(903)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용자가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를 유지할 수 있는 사용 상태와,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를 절첩한 수납 상태를 전환 가능하다. 유지부(903)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는, 제1 베이스부(931)와 새끼손가락 유지부(933)가 상하 방향으로 대략 직선적으로 위치하고 또한 제2 베이스부(9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933)와도 대략 직선적으로 위치하고 있다. 즉, 절입부(921f) 근방에 있어서, 제1 베이스부(931)와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는 상하 방향으로 대략 직선적으로 되고 또한 제2 베이스부(9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933)와도 상하 방향으로 대략 직선적으로 되어 있다. 이 때, 새끼손가락 유지부(933)의 절입부(921f) 근방에서는, 새끼손가락 유지부(933)의 좌우 방향 양측에 걸림 돌기(921A)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는 절입부(921f) 내를 좌우 방향으로 쉽게 이동하지 않는다.
사용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전환될 때는,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유지부(933) 중 본체부(902)와 가장 이격된 이격점(933A)을 본체부(902) 측으로 압압(押壓)한다. 제1 돌기(931A)가 제1 관통공(921a)을 도 31에서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고 또한 제2 돌기(932A)가 제2 관통공(921b)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로써,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끼손가락 유지부(933)가 걸림 돌기(921A)를 타고넘어 유지부(93)가 수납 상태로 되고, 사용 상태와 비교하여 이격점(933A)과 본체부(902)와의 거리가 가까와진다. 이 때, 제1 돌기(931A)와 제1 관통공(921a), 및 제2 돌기(932A)와 제2 관통공(921b)은 소정의 저항을 가지고 끼워맞추어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유지부(3)에 접하지 않는 한 수납 상태는 유지된다. 새끼손가락 유지부(933)의 절입부(921f) 근방에서는, 새끼손가락 유지부(933)의 내측에 걸림 돌기(21A)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는 절입부(921f) 내를 내측으로 쉽게 이동하지 않는다.
유지부(903)가 수납 상태일 때는, 절입부(921f) 근방에 있어서, 제1 베이스부(931)와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는 경사 좌측 위쪽 방향으로 경사지는 동시에 제2 베이스부(9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는 경사 우측 상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수납 상태에서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933a)이 좁으므로, 사용자는 새끼손가락을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933a)에 삽입할 수 없다. 다시 유지부(903)를 사용 상태로 되돌릴 때는, 이격점(933A)을 파지하여 본체부(90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시킨다. 이로써, 새끼손가락 유지부(933)가 걸림 돌기(921A)를 타고넘고, 제1 돌기(931A)가 제1 관통공(921a)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고 또한 제2 돌기(932A)가 제2 관통공(921b)을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고, 유지부(903)는 도 31에 나타낸 사용 상태로 된다.
다음에,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의 파지 방법에 대하여,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유지부(903)를 사용 상태로서, 엄지(11)와, 집게 손가락(12)과, 중지(13)와, 약지(14)에 의해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를 파지하고, 새끼손가락(15)만을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933a)에 삽입한다.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집게 손가락(12)과, 중지(13)와, 약지(14)에 의해 배면부(24)를 지지하고, 새끼손가락(15)과 유지부(903)를 유지하고, 엄지(11)와 휴대 단말기(10)의 표시부(10A)를 조작한다.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의 중심 즉 무게의 중심(G)은 대략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기능하므로, 집게 손가락(12), 중지(13), 및 약지(14)와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유지부(903)는 중심 즉 무게의 중심(G)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새끼손가락(15)에 의해 유지되고 있으므로, 중심 즉 무게의 중심(G) 근방을 복수의 손가락으로 지지함으로써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의 자중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를 파지한 다른 작업을 행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의 배면부(924)를 지지하고 있는 집게 손가락(12), 중지(13), 및 약지(14)를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로부터 멀리함으로써,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가 자중에 의해 새끼손가락(15)을 중심으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를 손으로부터 멀리하지 않고 새끼손가락(15) 이외의 손가락으로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다시 휴대 단말기(10)를 조작할 때는, 반동을 이용하거나, 또는 다른 한쪽의 손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를 새끼손가락(15)을 중심으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34에 나타낸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새끼손가락(15)을 삽입하는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를 구비하는 유지부(903) 중 적어도 일부가 본체부(902)의 가장 아래 하부 영역(902C)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새끼손가락(15)을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933a)에 삽입함으로써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를 유지할 수 있다.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를 유지한 상태인 채 다른 작업을 행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의 파지를 해제하여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를 중심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를 회전시킴으로써 손바닥으로부터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를 멀리하면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돌기(931A) 및 제2 돌기(932A)를 회동시킴으로써 새끼손가락 유지부(933)의 이격점(933A)과 본체부(902)와의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부(903)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격점(933A)과 본체부(902)와의 거리를 최소로 함으로써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를 방해가 되지 않는 수납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부(931) 및 제2 베이스부(932)가 휴대 단말기(10)와 본체부(902)에 의해 협지되므로, 중량이 있는 휴대 단말기(10)라도, 유지부(903)가 본체부(902)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10)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임의의 관통공에 제1 돌기(931A) 또는 제2 돌기(932A)를 삽입함으로써, 새끼손가락 유지부(933)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새끼손가락(15)의 사이즈에 맞추어 새끼손가락 유지부(933)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를 중심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를 회전시킴으로써 손바닥으로부터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를 멀리하면서 유지하므로,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933a)에 새끼손가락(15)을 삽입했을 때 새끼손가락(15)과 새끼손가락 유지부(933)와의 사이에 약간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정도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1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1)는, 본체부(1002)와, 유지부(1003)로 구성된다. 본체부(1002)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등의 경질인 합성 수지라도 되고, 실리콘과 같이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체부(1002)는, 평면부(1021)와, 측면부(922)를 구비하고 있고, 평면부(1021)와 측면부(922)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는 공간인 단말기 수납 공간이 규정되어 있다. 평면부(1021)는, 휴대 단말기가 단말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었을 때,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의 반대측의 면인 배면부(1024)를 구비하고 있다.
평면부(1021)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입부(1021a)와, 제1 절입부(1021a)의 위쪽에 위치하고 제1 절입부(1021a)와 대략 동일 형상의 제2 절입부(1021b)가 형성되어 있다. 도 38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02)를 상하 방향으로 균등하게 상부 영역(902A)와, 중간 영역(902B)와, 하부 영역(902C)의 3개의 영역으로 분할했을 때, 제1 절입부(1021a) 및 제2 절입부(1021b)는 모두 하부 영역(902C)에 형성된다.
유지부(1003)는, 고정부(1031)와, 이동부(10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1033)로 구성된다. 고정부(1031)와, 이동부(10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1033)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031) 및 이동부(1032)는, 본 발명의 피협지부에 상당한다.
고정부(103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동부(1032)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부(1034)와, 이동부(1032)의 좌측에 위치하고 제1 가이드부(1034)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가이드부(1035)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1031)는 단말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공간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었을 때, 본체부(1002)와 휴대 단말기에 의해 협지된다. 고정부(1031)는, 휴대 단말기와 본체부(1002)에 의해 협지된 상태에서는, 본체부(1002)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다.
이동부(1032)는 고정부(1031)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상부에 제2 절입부(1021b)보다 폭이 넓은 걸림 부재(1036)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 부재(1036)가 제2 절입부(1021b)에 걸릴 수 있는 것에 의해, 이동부(1032)가 제2 절입부(1021b)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동부(1032)는 단말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공간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었을 때, 본체부(1002)와 휴대 단말기에 의해 협지된다. 이동부(1032)는, 이동 방향 D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이동부(1032)는, 제1 가이드부(1034) 및 제2 가이드부(1035)의 두께에 따라 형성된 휴대 단말기와 본체부(1002)와의 사이의 공간을 이동시킨다. 이동부(1032)는, 단말기 수납 공간에 수납된 휴대 단말기와 본체부(1002)에 의해 협지되어 있어, 이동부(1032)를 위치 결정하였으면 사용자가 새끼손가락 유지부(1033)를 파지하여 움직이지 않는 한 움직이지 않을 정도의 저항을 가지고 있다. 이동부(1032)의 우측에 제1 가이드부(1034)가 위치하고 좌측에 제2 가이드부(1035)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동부(1032)는 제1 가이드부(1034) 및 제2 가이드부(1035)로 안내되어 이동 방향 D을 따라 단말기 수납 공간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가이드부(1034)와 제2 가이드부(1035)와의 좌우 방향의 거리는, 걸림 부재(1036)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약간 크다.
새끼손가락 유지부(1033)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서 유연성을 가지고, 일단이 고정부(1031)에 접속되고, 타단이 이동부(1032)에 접속되고, 제1 절입부(1021a) 및 제2 절입부(1021b)을 통해 단말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고정부(1031) 및 이동부(1032)가 단말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고, 새끼손가락 유지부(1033)는 유지부(1003) 중 단말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지 않는 부분이다. 도 37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1)에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033)와 본체부(1002)의 배면부(1024)에 의해 구획된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033a)이 규정되어 있다. 새끼손가락 유지부(1033)는 하부 영역(902C)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1)를 파지했을 때 자연스럽게 새끼손가락이 배치되는 장소에 새끼손가락 유지부(1033)가 설치되어 있다.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033a)는, 본 발명의 손가락 삽입 공간에 대응한다.
유지부(1003)는,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용자가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1)를 유지할 수 있는 사용 상태와,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새끼손가락 유지부(1033)를 수납한 수납 상태를 전환 가능하다. 유지부(1003)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는, 이동부(1032)는 아래쪽에 위치하고, 걸림 부재(1036)와 제2 절입부(1021b)이 근접하고 있다.
사용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전환될 때는,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033)를 본체부(1002) 측으로 압압함으로써 걸림 부재(1036)가 제1 가이드부(1034) 및 제2 가이드부(1035)로 안내되어 이동 방향 D을 따라 단말기 수납 공간을 위쪽으로 이동한다. 걸림 부재(1036)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033a)의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져, 최종적으로 새끼손가락 유지부(1033)와 배면부(1024)가 맞닿아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033a)이 소멸한다. 이로써, 유지부(1003)는 도 38에 나타낸 수납 상태로 된다. 수납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033a)에 새끼손가락을 삽입할 수는 없다. 다시 유지부(1003)를 사용 상태로 되돌릴 때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033)를 잡아 배면부(1024)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후방)으로 인장시킨다. 이로써, 이동부(1032)가 제1 가이드부(1034) 및 제2 가이드부(1035)으로 안내된 이동 방향 D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033a)의 단면적이 커져서 유지부(1003)가 도 37에 나타낸 사용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1 절입부(1021a)과 제2 절입부(1021b)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때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033)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즉, 유지부(1003)는 대략 90°회전한 상태로 본체부(1002)에 장착된다.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033a)에 새끼손가락을 통하게 함으로써, 제1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1)를 파지할 수 있고, 또한, 새끼손가락을 중심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1)를 회전시킴으로써,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동부(1032)를 본체부(1002)에 대하여 이동시키고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033a)의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부(1003)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033a)의 단면적이 최소로 되도록 이동부(1032)를 본체부(1002)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새끼손가락 유지부(1033)를 방해가 되지 않는 형태인 수납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동부(1032)가 제2 절입부(1021b)보다 폭이 넓은 걸림 부재(1036)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동부(1032)가 잘못하여 제2 절입부(1021b)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031)는 이동부(1032)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부(1034) 및 제2 가이드부(1035)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동부(1032)가 본체부(1002)와 휴대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39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1)는, 본체부(1102)와, 유지부(1103)로 구성된다. 본체부(1102)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등의 경질인 합성 수지라도 되고, 실리콘과 같이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체부(1102)는, 평면부(1121)와, 측면부(922)를 구비하고 있고, 평면부(1121)와 측면부(922)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는 공간인 단말기 수납 공간(902a)(도 41)이 규정되어 있다. 평면부(1121)는, 휴대 단말기가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수납되었을 때, 휴대 단말기와 대향하는 정면부(1123)와,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와는 반대측의 면으로 되는 배면부(1124)를 구비하고 있다.
평면부(1121)에는, 제1 절입부(1121a)와, 제1 절입부(1121a)의 좌측에 위치하고 제1 절입부(1121a)과 대략 동일 형상의 제2 절입부(1121b)가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1121)는,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절입부(1121a)의 위쪽에 위치하고 후방에 반원형으로 돌기된 퇴피부(1125)와, 퇴피부(112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스토퍼부(1126)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부(1126)에는 상하 방향으로 절입부(1126a)가 형성되어 있어, 유지부(1103)를 스토퍼부(1126)로부터 분리해낼(detach) 수 있다. 도 40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02)를 균등하게 상부 영역(902A)과, 중간 영역(902B)과, 하부 영역(902C)의 3개의 영역으로 분할했을 때, 제1 절입부(1121a) 및 제2 절입부(1121b)는, 모두 하부 영역(902C)에 형성된다. 스토퍼부(1126)는, 정면부(112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하 방향으로 긴 스토퍼부로 교체하는 것에 의해 유지부(1103)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유지부(1103)는,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1131)와, 이동부(11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1133)로 구성된다. 고정부(1131)와, 이동부(11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1133)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131) 및 이동부(1132)는, 본 발명의 피협지부에 상당한다.
고정부(1131)는, 용착되는 것에 의해 정면부(1123)에 고정된다. 고정부(1131)는,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었을 때, 본체부(1102)와 휴대 단말기에 의해 협지된다.
이동부(1132)는, 선단에 대략 구형상의 걸림 부재(1136)를 구비하고 있고, 걸림 부재(1136)가 스토퍼부(1126)에 걸릴 수 있는 것에 의해, 이동부(1132)가 제1 절입부(1121a)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동부(1132)는,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었을 때, 본체부(1102)와 휴대 단말기에 의해 협지된다. 이 때, 걸림 부재(1136)가 퇴피부(1125)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걸림 부재(1136)가 본체부(1102)와 휴대 단말기에 의해 과잉으로 협지되지 않아, 퇴피부(1125)를 따라 이동 방향 D(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퇴피부(1125)는 이동부(1132)를 안내하는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새끼손가락 유지부(1133)는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으로서 유연성을 가지고, 일단이 고정부(1131)에 접속되고, 타단이 이동부(1132)에 접속되고, 제1 절입부(1121a) 및 제2 절입부(1121b)을 통해 단말기 수납 공간(902a)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고정부(1131) 및 이동부(1132)가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위치하고, 새끼손가락 유지부(1133)는 유지부(1103) 중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위치하지 않는 부분이다. 도 39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1)에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133)와 본체부(1102)에 의해 구획된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133a)이 규정되어 있다. 유지부(1103) 중 적어도 일부는 하부 영역(902C)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1)를 파지했을 때 자연스럽게 새끼손가락이 배치되는 장소에 새끼손가락 유지부(1133)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부(1126)를 상하 방향으로 긴 것으로 교환함으로써, 새끼손가락 유지부(1133)를 짧게 할 수 있고, 스토퍼부(1126)를 상하 방향으로 짧은 것으로 교환함으로써, 새끼손가락 유지부(1133)를 길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새끼손가락의 크기에 따라 새끼손가락 유지부(113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유지부(1103)는,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용자가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1)를 유지할 수 있는 사용 상태와,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새끼손가락 유지부(1133)를 수납한 수납 상태를 전환 가능하다. 유지부(1103)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는,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부(1132)는 아래쪽에 위치하여 스토퍼부(1126)와 맞닿아 있다.
사용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전환될 때는,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133)를 본체부(1102) 측으로 압압함으로써, 이동부(1132) 및 걸림 부재(1136)를 퇴피부(1125)에 안내시켜 이동 방향 D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동부(1132)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133a)의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져, 최종적으로 새끼손가락 유지부(1133)와 배면부(1124)가 맞닿아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133a)이 소멸한다. 이로써, 유지부(1103)는, 도 40에 나타낸 수납 상태로 된다. 수납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133a)에 새끼손가락을 삽입할 수는 없다. 다시 유지부(1103)를 사용 상태로 되돌릴 때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133)를 잡아 배면부(1124)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아래쪽)으로 인장시킨다. 이로써, 이동부(1132) 및 걸림 부재(1136)가 퇴피부(1125)로 안내되고 이동 방향 D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단면적이 커져서 유지부(1103)는 도 39에 나타낸 사용 상태로 된다.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133a)에 새끼손가락을 통하게 함으로써, 제1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1)를 파지할 수 있고, 또한, 새끼손가락을 중심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1)를 회전시킴으로써,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동부(1132)를 본체부(1102)에 대하여 이동시켜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133a)의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부(1103)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133a)의 단면적이 최소로 되도록 이동부(1132)를 본체부(1102)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새끼손가락 유지부(1133)를 방해가 되지 않는 형태인 수납 상태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제14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 수납 케이스(1201)는, 본체부(1202)와, 유지부(1203)로 구성된다. 본체부(1202)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등의 경질인 합성 수지라도 되고, 실리콘과 같이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체부(1202)는, 평면부(1221)와, 측면부(922)를 구비하고 있고, 평면부(1221)와 측면부(922)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는 공간인 단말기 수납 공간(902a)(도 43)이 규정되어 있다. 평면부(1221)은, 휴대 단말기가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수납되었을 때, 휴대 단말기와 대향하는 정면부(1223)와,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와는 반대측의 면으로 되는 배면부(1224)를 구비하고 있다.
평면부(1221)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입부(1221a)와, 제1 절입부(1221a)의 위쪽에 배치되고 제1 절입부(1221a)과 대략 동일 형상의 제2 절입부(1221b)가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1221)는,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절입부(1221b)의 위쪽에 위치하고 후방으로 돌기된 퇴피부(1225)와,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퇴피부(122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스토퍼부(1226)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부(1226)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입부(1226a)가 형성되어 있어, 유지부(1203)를 스토퍼부(1226)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다. 스토퍼부(1226)는, 정면부(122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하 방향으로 긴 스토퍼부로 교체하는 것에 의해 유지부(1203)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2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202)를 균등하게 상부 영역(902A)와, 중간 영역(902B)와, 하부 영역(902C)의 3개의 영역으로 분할했을 때, 제1 절입부(1221a) 및 제2 절입부(1221b)는 모두 하부 영역(902C)에 형성된다.
유지부(1203)는, 고정부(1231)와, 이동부(12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1233)로 구성된다. 고정부(1231)와, 이동부(12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1233)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231) 및 이동부(1232)는, 본 발명의 피협지부에 상당한다.
고정부(1231)은, 정면부(1223)에 용착되는 것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부(1231)은,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었을 때, 본체부(1202)와 휴대 단말기에 의해 협지된다.
이동부(1232)는, 제2 절입부(1221b)보다 폭이 넓은 걸림 부재(1236)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 부재(1236)가 스토퍼부(1226)에 걸릴 수 있는 것에 의해, 이동부(1232)가 제2 절입부(1221b)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동부(1232)는,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었을 때, 본체부(1202)와 휴대 단말기에 의해 협지된다. 이 때, 걸림 부재(1236)가 퇴피부(1225)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걸림 부재(1236)가 본체부(1202)와 휴대 단말기에 의해 과잉으로 협지되지 않아, 퇴피부(1225)를 따라 이동 방향 D(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퇴피부(1225)는 이동부(1232)를 안내하는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새끼손가락 유지부(1233)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서 유연성을 가지고, 일단이 고정부(1231)에 접속되고, 타단이 이동부(1232)에 접속되고, 제1 절입부(1221a) 및 제2 절입부(1221b)를 통해 단말기 수납 공간(902a)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고정부(1231) 및 이동부(1232)가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위치하고, 새끼손가락 유지부(1233)는 유지부(1203) 중 단말기 수납 공간(902a)에 위치하지 않는 부분이다. 도 42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수납 케이스(1201)에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233)와 본체부(1202)의 배면부(1224)에 의해 구획된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233a)이 규정되어 있다. 새끼손가락 유지부(1233)는 하부 영역(902C)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케이스(1201)를 파지했을 때 자연스럽게 새끼손가락이 배치되는 장소에 새끼손가락 유지부(1233)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부(1226)를 상하 방향으로 긴 것으로 교환함으로써 새끼손가락 유지부(1233)가 짧아지고, 상하 방향으로 짧은 스토퍼부(1226)로 교환함으로써 새끼손가락 유지부(1233)가 길어진다. 이로써, 사용자의 새끼손가락의 사이즈에 따라서 새끼손가락 유지부(1233)를 조정할 수 있다.
유지부(1203)는,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용자가 단말기 수납 케이스(1201)를 유지할 수 있는 사용 상태와, 새끼손가락 유지부(1233)를 수납한 수납 상태를 전환 가능하다. 유지부(1203)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는, 이동부(1232)는 아래쪽에 위치하고, 걸림 부재(1236)와 스토퍼부(1226)가 근접하고 있다.
사용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전환될 때는,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233)를 본체부(1202) 측으로 압압함으로써 걸림 부재(1236)가 퇴피부(1225)로 안내되어 이동 방향 D을 따라 단말기 수납 공간(902a)을 위쪽으로 이동한다. 걸림 부재(1236)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233a)의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져, 최종적으로 새끼손가락 유지부(1233)와 배면부(1224)가 맞닿아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233a)이 소멸한다. 이로써, 유지부(1203)는 수납 상태로 된다. 수납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233a)에 새끼손가락을 삽입할 수는 없다. 다시 유지부(1203)를 사용 상태로 되돌릴 때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233)를 잡아 배면부(1224)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후방)으로 인장시킨다. 이로써, 이동부(1232)가 퇴피부(1225)로 안내된 이동 방향 D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233a)의 단면적이 커져서 유지부(1203)가 도 42 및 도 43에 나타낸 사용 상태로 된다.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233a)에 새끼손가락을 통하게 함으로써, 제1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201)를 파지할 수 있고, 또한, 새끼손가락(15)을 중심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201)를 회전시킴으로써,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절입부(1221a)와 제2 절입부(1221b)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때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233)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즉, 유지부(1203)는 대략 90°회전한 상태로 본체부(1202)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동부(1232)를 본체부(1202)에 대하여 이동시키고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233a)의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부(1203)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233a)의 단면적이 최소로 되도록 이동부(1232)를 본체부(1202)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새끼손가락 유지부(1233)를 방해가 되지 않는 형태인 수납 상태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제15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4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 수납 케이스(1301)는, 본체부(1302)와, 유지부(1303)로 구성된다. 본체부(1302)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등의 경질인 합성 수지라도 되고, 실리콘과 같이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체부(1302)는, 평면부(1321)와, 측면부(1322)를 구비하고 있고, 평면부(1321)와 측면부(1322)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는 공간인 단말기 수납 공간이 규정되어 있다. 평면부(1321)는, 휴대 단말기가 단말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었을 때,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와는 반대측의 면으로 되는 배면부(1324)를 구비하고 있다.
측면부(1322)의 하측면(1323)에는, 제1 이동홈부(1325)와, 단자 구멍(922b)에 대하여 제1 이동홈부(1325)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이동홈부(132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이동홈부(1325)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이동홈(1325a)이 형성되어 있고, 유지부(1303)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다. 제1 이동홈(1325a)의 좌우 방향 양 단부에는, 상단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는 제1 걸림 돌기(1325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걸림 돌기(1325A)는, 유지부(1303)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고 있다. 제2 이동홈부(1326)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이동홈(1326a)이 형성되어 있고, 유지부(1303)의 타단이 삽입되어 있다. 제2 이동홈(1326a)의 좌우 방향 양 단부에는, 상단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는 제2 걸림 돌기(1326A)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걸림 돌기(1326A)는, 유지부(1303)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고 있다. 도 44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302)를 균등하게 상부 영역(902A)과, 중간 영역(902B)과, 하부 영역(902C)의 3개의 영역으로 분할했을 때, 제1 이동홈부(1325) 및 제2 이동홈부(1326)는 모두 하부 영역(902C)에 위치하고 있다.
유지부(1303)는, 제1 슬라이딩부(1331)와, 제2 슬라이딩부(13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1333)로 구성된다. 제1 슬라이딩부(1331)와, 제2 슬라이딩부(13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1333)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라이딩부(1331)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333)의 우측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또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1 슬라이딩부(1331)는, 제1 이동홈(1325a) 내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홈 이동부(1331A)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홈 이동부(1331A)는, 선단부가 제1 이동홈(1325a)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크고, 제1 이동홈(1325a)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홈 이동부(1331A)는 제1 이동홈(1325a) 내를 이동 방향 D(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제1 걸림 돌기(1325A)와 거는 것에 의해 좌우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제2 슬라이딩부(1332)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333)의 좌측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또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2 슬라이딩부(1332)는, 제2 이동홈(1326a) 내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홈 이동부(1332A)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홈 이동부(1332A)는, 선단부가 제2 이동홈(1326a)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크고, 제2 이동홈(1326a)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 홈 이동부(1332A)는 제2 이동홈(1326a) 내를 이동 방향 D(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제2 걸림 돌기(1326A)와 거는 것에 의해 좌우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새끼손가락 유지부(1333)는,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으로서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도 44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수납 케이스(1301)에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333)와 본체부(1302)에 의해 구획된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333a)이 규정되어 있다. 유지부(1303)는 하부 영역(902C)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케이스(1301)를 파지했을 때 자연스럽게 새끼손가락이 배치되는 장소에 새끼손가락 유지부(1333)가 설치되어 있다. 새끼손가락 유지부(1333)와 제1 슬라이딩부(1331) 및 제2 슬라이딩부(1332)를 절리(切離; disconnect)하고, 길이가 상이한 새끼손가락 유지부(1333)를 제1 슬라이딩부(1331) 및 제2 슬라이딩부(1332)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새끼손가락의 사이즈에 맞춘 새끼손가락 유지부(1333)를 장착할 수 있다.
유지부(1303)는,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용자가 단말기 수납 케이스(1301)를 유지할 수 있는 사용 상태와, 새끼손가락 유지부(1333)를 수납한 수납 상태를 전환 가능하다. 유지부(1303)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는, 제1 슬라이딩부(1331)가 제1 이동홈(1325a)의 좌단부에 위치하고 이동 방향 D의 이동이 제1 걸림 돌기(1325A)에 의해 제한되고 또한 제2 슬라이딩부(1332)가 제2 이동홈(1326a)의 우단부에 위치하고 이동 방향 D의 이동이 제2 걸림 돌기(1326A)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홈 이동부(1331A)의 우측에 제1 걸림 돌기(1325A)가 위치하는 것에 의해 제1 슬라이딩부(1331)가 우측 방향으로 쉽게 이동하지 않고, 제2 홈 이동부(1332A)의 좌측에 제2 걸림 돌기(1326A)가 위치하는 것에 의해 제2 슬라이딩부(1332)가 좌측 방향으로 쉽게 이동하지 않는다.
사용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전환될 때는, 사용자는 제1 슬라이딩부(1331)를 파지하여 제1 이동홈(1325a) 내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제2 슬라이딩부(1332)를 파지하여 제2 이동홈(1326a) 내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1 홈 이동부(1331A)가 제1 걸림 돌기(1325A)를 1개 타고넘고(climb over), 동시에 제2 홈 이동부(1332A)가 제2 걸림 돌기(1326A)를 1개 타고넘는다. 제1 슬라이딩부(1331) 및 제2 슬라이딩부(1332)의 이동 방향 D로의 이동에 따라,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333a)의 면적이 서서히 작아지게 된다. 제1 홈 이동부(1331A)가 다시 1개의 제1 걸림 돌기(1325A)를 타고넘는 동시에 제2 홈 이동부(1332A)가 다시 1개의 제2 걸림 돌기(1326A)를 타고넘는 것에 의해, 유지부(1303)는 수납 상태로 된다. 수납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333a)에 새끼손가락을 삽입할 수 없다. 이 때, 제1 홈 이동부(1331A)의 좌측에 제1 걸림 돌기(1325A)가 위치하는 것에 의해 제1 슬라이딩부(1331)가 좌측 방향으로 쉽게 이동하지 않고, 제2 홈 이동부(1332A)의 우측에 제2 걸림 돌기(1326A)가 위치하는 것에 의해 제2 슬라이딩부(1332)가 우측 방향으로 쉽게 이동하지 않는다.
다시 유지부(1303)를 사용 상태로 되돌릴 때는, 사용자는 제1 슬라이딩부(1331)를 파지하여 제1 이동홈(1325a) 내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제2 슬라이딩부(1332)를 파지하여 제2 이동홈(1326a) 내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333a)의 단면적이 커져서 유지부(1303)가 도 44에 나타낸 사용 상태로 된다.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333a)에 새끼손가락을 통하게 함으로써,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301)를 파지할 수 있고, 또한, 새끼손가락을 중심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301)를 회전시킴으로써,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333a)의 단면적이 변화되므로, 유지부(1303)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333a)의 단면적이 최소로 되도록 제1 홈 이동부(1331A)가 제1 이동홈(1325a) 내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홈 이동부(1332A)가 제2 이동홈(1326a) 내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유지부(1303)를 방해가 되지 않는 형태인 수납 상태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제16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4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6 실시형태의 단말기 수납 케이스(1401)에서는, 제12 실시형태의 단말기 수납 케이스(1001)로 이동부를 안내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고 또한 새끼손가락 유지부의 크기가 조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단말기 수납 케이스(1401)는, 본체부(1002)와, 유지부(1403)로 구성된다. 유지부(1403)는, 제1 이동부(1431)와, 제2 이동부(14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1433)로 구성된다. 제1 이동부(1431)와, 제2 이동부(14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1433)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이동부(1431) 및 제2 이동부(1432)는, 본 발명의 피협지부에 상당한다. 본체부(1002)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홈(1424a)이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1021)에는, 4개의 관통공(1421c)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421c)은, 제1 가이드부(1434)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2개 형성되어 있고, 다른 2개의 관통공(1421c)은 제2 가이드부(1435)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 보고에 간극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1 이동부(143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부(1434)와, 제1 가이드부(1434)의 좌측에 위치하고 제1 가이드부(1434)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가이드부(143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이동부(1431)는 단말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공간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었을 때, 본체부(1002)와 휴대 단말기에 의해 협지된다. 제1 이동부(1431)는, 휴대 단말기와 본체부(1402)에 의해 협지된 상태에서는, 본체부(1002)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다. 제1 가이드부(1434)는 후방을 향해 돌출된 제1 돌기부(1434A)를 구비하고, 제2 가이드부(1435)는 후방을 향해 돌출된 제2 돌기부(1435A)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돌기부(1434A)는, 제1 가이드부(143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2개의 관통공(1421c) 중 어느 한쪽에 삽입 가능하다. 제2 돌기부(1435A)는, 제2 가이드부(143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2개의 관통공(1421c) 중 어느 한쪽에 삽입 가능하다. 제1 돌기부(1434A)를 아래쪽에 위치하는 관통공(1421c)에 삽입하고 또한 제2 돌기부(1435A)를 아래쪽에 위치하는 관통공(1421c)에 삽입함으로써, 새끼손가락 유지부(1433)를 길게 할 수 있다. 제1 돌기부(1434A)를 위쪽에 위치하는 관통공(1421c)에 삽입하고 또한 제2 돌기부(1435A)를 위쪽에 위치하는 관통공(1421c)에 삽입함으로써, 새끼손가락 유지부(1433)를 짧게 할 수 있다.
제2 이동부(1432)는 제1 이동부(1431)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제2 절입부(1021b)보다 폭이 넓은 걸림 부재(1436)와, 파지부(把持部; gripping part)(1437)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 부재(1436)가 제2 절입부(1021b)에 걸릴 수 있는 것에 의해, 제2 이동부(1432)가 제2 절입부(1021b)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파지부(1437)는, 걸림 부재(1436)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하고, 선단이 대략 원형상으로 팽창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파지부(1437)는 슬라이딩 홈(1424a)을 이동 방향 D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동부(1432)는 단말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공간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었을 때, 본체부(1002)와 휴대 단말기에 의해 협지된다. 제2 이동부(1432)는, 제1 가이드부(1434) 및 제2 가이드부(1435)의 두께에 따라 형성된 휴대 단말기와 본체부(1002)와의 사이의 공간을 이동시킨다. 제2 이동부(1432)는, 단말기 수납 공간에 수납된 휴대 단말기와 본체부(1002)에 의해 협지되어 있어, 적은 저항으로 이동 방향 D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동부(1432)의 우측에 제1 가이드부(1434)가 위치하고 좌측에 제2 가이드부(1435)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2 이동부(1432)가 제1 가이드부(1434) 및 제2 가이드부(1435)로 안내되고 또한 파지부(1437)가 슬라이딩 홈(1424a)으로 안내되는 것에 의해, 제2 이동부(1432)는 이동 방향 D을 따라 단말기 수납 공간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파지부(1437)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얇고 넓은 원반형상이라도 된다.
새끼손가락 유지부(1433)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서 유연성을 가지고, 일단이 제1 이동부(1431)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2 이동부(1432)에 접속되고, 제1 절입부(1021a) 및 제2 절입부(1021b)을 통해 단말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이동부(1431) 및 제2 이동부(1432)가 단말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고, 새끼손가락 유지부(1433)는 유지부(1403) 중 단말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지 않는 부분이다. 도 45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수납 케이스(1401)에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433)와 배면부(1424)에 의해 구획된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433a)이 규정되어 있다. 새끼손가락 유지부(1433)는 하부 영역(902C)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케이스(1401)를 파지했을 때 자연스럽게 새끼손가락이 배치되는 장소에 새끼손가락 유지부(1433)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1403)는,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용자가 단말기 수납 케이스(1401)를 유지할 수 있는 사용 상태와, 새끼손가락 유지부(1433)를 수납한 수납 상태를 전환 가능하다. 유지부(1403)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는, 제2 이동부(1432)는 아래쪽에 위치하고 또한 파지부(1437)가 슬라이딩 홈(1424a)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걸림 부재(1436)와 제2 절입부(1021b)가 근접하고 있다.
사용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전환될 때는, 사용자는 파지부(1437)를 파지하여 위쪽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걸림 부재(1436)가 제1 가이드부(1434) 및 제2 가이드부(1435)로 안내되고 또한 파지부(1437)가 슬라이딩 홈(1424a)로 안내되어 이동 방향 D을 따라 단말기 수납 공간을 위쪽으로 이동한다. 걸림 부재(1436)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433a)의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고, 최종적으로 새끼손가락 유지부(1433)와 배면부(1424)가 맞닿으면 동시에 파지부(1437)가 슬라이딩 홈(1424a)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433a)이 소멸한다. 이로써, 유지부(1403)는 수납 상태로 되고,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433a)에 새끼손가락을 삽입할 수는 없다. 다시 유지부(1403)를 사용 상태로 되돌릴 때는, 파지부(1437)를 파지하여 아래쪽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제2 이동부(1432)가 제1 가이드부(1434) 및 제2 가이드부(1435)로 안내되고 또한 파지부(1437)가 슬라이딩 홈(1424a)로 안내되어 이동 방향 D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433a)의 단면적이 커져서 유지부(1403)가 도 45에 나타낸 사용 상태로 된다.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433)를 수납하고자 할 때는, 파지부(1437)를 파지하여 제2 이동부(1432)를 이동 방향 D을 따라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새끼손가락 유지부(1433)의 사이즈를 변경하려고 할 때는, 제1 돌기부(1434A) 및 제2 돌기부(1435A)가 삽입되어 있는 관통공(1421c)을 변경한다. 즉, 제1 이동부(1431)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433)의 사이즈 변경을 위해 본체부(1002)에 대하여 이동하고, 제2 이동부(1432)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433)를 수납 상태로 하기 위해 본체부(1002)에 대하여 이동한다.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433a)에 새끼손가락을 통하게 함으로써, 제1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401)를 파지할 수 있고, 또한, 새끼손가락을 중심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401)를 회전시킴으로써,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절입부(1021a)과 제2 절입부(1021b)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때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433)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즉, 유지부(1403)는 대략 90°회전한 상태로 본체부(1002)에 장착된다.
다음에, 제17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4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 수납 케이스(1501)은, 구성은 제11 실시형태와 동일이지만, 새끼손가락(15)이 아니고 약지(14)를 사용하여 단말기 수납 케이스(1501)를 유지하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단말기 수납 케이스(1501)의 유지부에는, 약지(14)가 삽입되는 약지 유지부(1533)가 설치되어 있고, 약지 유지부(1533)와 본체부(902)와의 사이에 약지 삽입 공간(1533a)이 규정되어 있다. 사용자는, 약지 삽입 공간(1533a)에 약지만을 통함으로써, 제1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501)를 파지할 수 있고, 또한, 약지을 중심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501)를 회전시킴으로써,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약지(14)를 삽입하는 약지 유지부(1533) 중 적어도 일부가 본체부(902)의 가장 아래 하부 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약지(14)만을 약지 삽입 공간(1533a)에 삽입함으로써 단말기 수납 케이스(1501)를 유지할 수 있다. 단말기 수납 케이스(1501)를 유지한 상태인 채 다른 작업을 행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1501)의 파지를 해제하여 약지 유지부(1533)를 중심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501)를 회전시킴으로써 손바닥으로부터 단말기 수납 케이스(1501)를 멀리하면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18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47 및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8 실시형태의 단말기 수납 케이스(1601)은, 제11 실시형태와 동일한 유지부(903)과 도 38에 나타낸 대체 유지부(1603)를 교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말기 수납 케이스(1601)는, 본체부(902)와, 유지부(903)와, 대체 유지부(1603)로 구성된다. 본체부(902)의 평면부(921)에는, 제5 관통공(1621e)과, 제6 관통공(1621f)과, 제1 절입부(1621g)와, 제2 절입부(1621h)와, 제3 절입부(1621i)와, 제4 절입부(1621j)가 형성되어 있다.
제5 관통공(1621e)은 하부 영역(902C)의 좌우 방향 중앙 근방에 위치하고, 제6 관통공(1621f)은 제5 관통공(1621e)의 위쪽에 간극을 두고 위치하고 있다. 제1 절입부(1621g) 및 제2 절입부(1621h)는 서로 대략 동일 형상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 영역(902C)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4 절입부(1621j)는, 제5 관통공(1621e)의 아래쪽에 간극을 두고 위치하고, 제1 절입부(1621g)보다 폭이 좁다. 제3 절입부(1621i)는, 제4 절입부(1621j)의 아래쪽에 간극을 두고 위치하고 있다. 도 47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902)를 상하 방향으로 균등하게 상부 영역(902A)과, 중간 영역(902B)과, 하부 영역(902C)의 3개의 영역으로 분할했을 때, 제1 관통공(921a)로부터 제6 관통공(1621f) 및 제1 절입부(1621g)로부터 제4 절입부(1621j)는, 모두 하부 영역(902C)에 형성된다. 제1 관통공(921a)로부터 제6 관통공(1621f)은, 본 발명의 관통공에 상당한다.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는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으로서 유연성을 가지고, 일단이 제1 베이스부(931)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2 베이스부(932)에 접속되고, 제1 절입부(1621g) 및 제2 절입부(1621h)을 통해 단말기 수납 공간(902a)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유지부(903)는, 제1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단말기 수납 케이스(1601)를 유지할 수 있는 사용 상태와, 새끼손가락 유지부(933)를 절첩한 수납 상태를 전환 가능하다.
다음에, 본체부(902)에 대체 유지부(1603)를 장착했을 때 상태를,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대체 유지부(1603)는, 제1 베이스부(1631)와, 제2 베이스부(16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1633)로 구성된다. 제1 베이스부(1631)와, 제2 베이스부(1632)와, 새끼손가락 유지부(1633)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베이스부(1631) 및 제2 베이스부(1632)는, 본 발명의 피협지부에 상당한다.
제1 베이스부(1631)는, 단말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제3 절입부(1621i)보다 좌우 방향의 폭이 넓고 제1 관통공(921a)과 제2 관통공(921b)과의 좌우 방향의 거리보다 좁다. 제1 베이스부(1631)은, 단말기 수납 공간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었을 때, 본체부(902)와 휴대 단말기에 의해 협지된다.
제2 베이스부(1632)는, 제5 관통공(1621e) 또는 제6 관통공(1621f)에 삽통되는 돌기부(1632A)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부(1632A)의 선단은 약간 확경되어 있고, 제5 관통공(1621e) 또는 제6 관통공(1621f)의 내경보다 약간 크다. 제2 베이스부(1632)는, 대략 직사각형으로서, 단말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공간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었을 때, 본체부(902)와 휴대 단말기에 의해 협지된다. 돌기부(1632A)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전환함으로써, 새끼손가락 유지부(1633)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새끼손가락 유지부(1633)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서 유연성을 가지고, 일단이 제1 베이스부(1631)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2 베이스부(1632)에 접속되고, 제3 절입부(1621i) 및 제4 절입부(1621j)를 통해 단말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48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수납 케이스(1601)에는, 새끼손가락 유지부(1633)와 본체부(902)에 의해 구획된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1633a)이 규정되어 있다. 새끼손가락 유지부(1633)는 하부 영역(902C)에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 수납 케이스(1601)를 파지했을 때 자연스럽게 새끼손가락이 배치되는 장소에 새끼손가락 유지부(1633)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933a)에 새끼손가락을 통하게 함으로써, 제1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601)를 파지할 수 있고, 또한, 새끼손가락을 중심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1601)를 회전시킴으로써,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유지구 및 단말기 수납 케이스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는 복수의 층에 의해 구성되었으나, 소재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라도 되고, 실리콘과 같이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링형, 끈형, 원통형, 평판 형상이라도 되고, 고무, 가죽, 실리콘 등이라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단말기 유지구(1)는 고정부(2)를 휴대 단말기(10)에 고정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를 유지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말기 수납 케이스(110)의 배면에 단말기 유지구(1)를 고정시켜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단말기 유지구(1)는 고정부(2)를 휴대 단말기(10)에 고정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부(2)에 더하여 협지부(挾持部)를 설치하고, 협지부를 단말기 수납 케이스의 단차로부터 단말기 수납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여, 단말기 수납 케이스와 휴대 단말기와의 사이에 협지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는 대략 얇은 원형상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지부는, 제1 유지 영역 및 제2 유지 영역이 규정 가능한 형상이면 되고, 후방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 대략 십자형, 또는 대략 삼각형이라도 되고, 다각형(多角形)이라도 된다.
제10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803)와 맞닿음부(304)는 고정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7 실시형태와 같이, 유지부가 맞닿음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0 실시형태에서는, 제5 실시형태의 단말기 유지구(301)를 베이스로 하여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6 내지 제9 실시형태의 유지부 및 맞닿음부의 구성과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조합시켜도 된다.
제11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902)와 유지부(903)를 제1 관통공(921a), 제1 돌기(931A), 제2 관통공(921b), 및 제2 돌기(932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회동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되고, 본체부 측에 돌기가 설치되어 있어 유지부(903) 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8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2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1031)는, 본체부(1002)와 휴대 단말기로 협지되는 것에 의해 유지되고 있었지만, 본체부(1002)의 이면(裏面; back surface)에 용착되어 있어도 되고, 면 파스너(fastener)와 걸려져 있어도 된다. 동일한 구성은, 제13 실시형태의 고정부(1131), 제14 실시형태의 고정부(1231)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15 실시형태에서는, 제1 이동홈부(1325) 및 제2 이동홈부(1326)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부 영역(902C)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를 하측면(1323) 대신에 제1 이동홈부(1325)의 하부 영역(902C)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17 실시형태에서는, 제11 실시형태의 단말기 수납 케이스(901)를 약지(14)로 유지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제12 실시형태 내지 제16 실시형태 및 제18 실시형태의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약지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제1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말기 수납 케이스(1501)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는 통신 단말기의 측면 및 배면을 덮는 구성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말기 수납 케이스의 단말기 수납 공간의 개구를 덮도록 한 커버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건 발명을 커버를 가지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 적용함으로써, 새끼손가락 유지부를 새끼손가락으로 지지하는 것만으로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유지하므로, 커버를 다른 손가락으로 준비하여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피협지부에 상당하는 부재는 모두 본체부와 휴대 단말기에 직접 협지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피협지부와, 휴대 단말기의 사이에 다른 부재가 존재하고, 피협지부를 간접적으로 협지하고 있어도 된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를 단말기 수납 케이스로부터 분리했을 때 피협지부가 보이지 않으므로, 외관 상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 및 새끼손가락 유지부는 합성 수지제이었지만, 소재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링형, 끈형, 원통형, 평판 형상이라도 되고, 고무, 가죽, 실리콘 등이라도 된다.
1, 101, 201, 301, 401, 501, 601, 701, 801, 901, 1001, 1101, 1201, 1301, 1401, 1501, 1601: 단말기 유지구
2, 102, 202, 고정부
3, 103, 203, 303, 403, 503, 603, 703, 803, 903, 1003, 1103, 1203, 1303, 1403: 유지부
3a, 103a, 403a, 503a, 703a: 손가락 삽입 공간
10: 휴대 단말기
21, 121, 221: 제1 고정부
22, 122, 222: 제2 고정부
23, 123, 223: 표면부 재
31, 131, 231: 일단부
32, 132, 232: 손가락 지지부
33, 133, 233: 타단부
100, 110, 800, 901, 1001, 1101, 1201, 1301, 1401, 1501, 1601: 단말기 수납 케이스
111, 801, 902, 1002, 1102, 1202, 1302, 1402: 본체부
933a, 1033a, 1133a, 1233a, 1333a, 1433a, 1633a: 새끼손가락 삽입 공간

Claims (15)

  1. 휴대 단말기를 유지하기 위한 단말기 유지구(terminal holder)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덮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면을 가지는 고정부; 및
    양단이 상기 고정부에 접속되고,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 공간이 규정되고,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 수납 케이스를 유지하는 유지부(holding portion);
    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은 상기 고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고정부와는 중복되어 있지 않고,
    상기 유지부는 평면을 가지는 평판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부에 접속되는 일단부와, 상기 고정부에 접속되는 타단부와,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손가락을 지지하는 손가락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일단부와 상기 고정부와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상기 평면과 상기 고정부가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부와 접속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손가락 지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타단부에 이르기까지 소정 방향으로 비틀려지고, 상기 타단부와 상기 고정부와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상기 평면과 상기 고정면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부와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 유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유지부 사이로 규정되고,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손가락은 새끼손가락으로서,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과, 상기 고정면은 평행한, 단말기 유지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손가락 지지부에 걸쳐 상기 소정 방향으로 비틀려지고 또한 상기 손가락 지지부로부터 상기 타단부에 걸쳐 상기 소정 방향으로 비틀려져 있는, 단말기 유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보다 폭이 넓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지부가 접속되는 접속 부분에 절입부(切入部; cut-in portion)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유지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일단부가 접속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타단부가 접속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부에는, 상기 제1 고정부가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끼워맞춤공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와, 상기 손가락 지지부에 의해 상기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단말기 유지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가 연장(延出)되는 연장 방향의 단부(端部)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 방향에 교차하고 상기 유지부를 협지했을 때 상기 손가락이 맞닿는 맞닿는 면(abutment surface)을 구비하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맞닿는 면은, 상기 연장 방향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부와 중복되는 제1 유지 영역과, 상기 연장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고정부와 중복되지 않는 제2 유지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유지 영역은, 상기 손가락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유지부를 유지했을 때 상기 손가락에 맞닿고,
    상기 제2 유지 영역은, 상기 손가락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유지부를 유지했을 때 상기 손가락에 맞닿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연장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유지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2 유지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기 유지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유지부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 유지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고정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맞닿는 면은, 상기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고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단말기 유지구.
  9.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덮는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 수납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서로 접속하는 접속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보다 상기 접속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폭이 좁은 유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유지부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가 인접하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에 고정시켰을 때, 상기 유지부에 의해 손가락 삽입 공간이 규정되고 또한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은 상기 제1 고정부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는 중복되어 있지 않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접속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고정부에 접속되는 일단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접속되는 타단부와,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상기 접속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손가락을 지지하는 손가락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단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의 접속 부분은, 상기 제1 고정부에서의 상기 접속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타단부와 상기 제2 고정부와의 접속 부분은, 상기 제2 고정부에서의 상기 접속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일단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의 상기 접속 부분, 및 상기 타단부와 상기 제2 고정부와의 상기 접속 부분은, 상기 접속 방향에 있어서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기 유지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17001559A 2018-06-18 2019-06-17 단말기 유지구 및 단말기 수납 케이스 KR102430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6930A KR102697198B1 (ko) 2018-06-18 2019-06-17 단말기 유지구 및 단말기 수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15656A JP2019220804A (ja) 2018-06-18 2018-06-18 端末収納ケース
JPJP-P-2018-115656 2018-06-18
JPJP-P-2018-147299 2018-08-05
JP2018147299A JP7284489B2 (ja) 2018-08-05 2018-08-05 端末保持具及び端末収納ケース
JP2018205799A JP6467677B1 (ja) 2018-10-31 2018-10-31 端末保持具及び端末収納ケース
JPJP-P-2018-205799 2018-10-31
PCT/JP2019/023788 WO2019244810A1 (ja) 2018-06-18 2019-06-17 端末保持具及び端末収納ケース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930A Division KR102697198B1 (ko) 2018-06-18 2019-06-17 단말기 유지구 및 단말기 수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560A KR20210019560A (ko) 2021-02-22
KR102430506B1 true KR102430506B1 (ko) 2022-08-05

Family

ID=689840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930A KR102697198B1 (ko) 2018-06-18 2019-06-17 단말기 유지구 및 단말기 수납 케이스
KR1020217001559A KR102430506B1 (ko) 2018-06-18 2019-06-17 단말기 유지구 및 단말기 수납 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930A KR102697198B1 (ko) 2018-06-18 2019-06-17 단말기 유지구 및 단말기 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2022934B2 (ko)
EP (1) EP3809682A4 (ko)
KR (2) KR102697198B1 (ko)
CN (2) CN112567717B (ko)
WO (1) WO2019244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0630A1 (en) * 2019-01-18 2020-07-23 Popsockets Llc Grip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13330A1 (en) 2013-01-26 2014-07-31 Seung Woon Oh Cell Phone / Phone Case Finger Clutches
US20150133193A1 (en) 2013-03-15 2015-05-14 Smart Patents L.L.C Wearable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US20160344437A1 (en) 2015-05-19 2016-11-24 Bruce Gordon Handler for electronic handheld devices
US20170064854A1 (en) 2015-08-24 2017-03-02 Skip Hop, Inc. Mobile Device Cover With Strap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876B2 (ja) * 1976-11-13 1984-04-12 東芝機械株式会社 クレ−ン走行速度制御装置
JP3071421U (ja) * 2000-03-01 2000-09-08 周二 小川 移動体通信機用の指掛けストラップ
FR2821535B1 (fr) * 2001-03-01 2003-12-26 Cit Alcatel Systeme de port d'appareil portable
GB2373998A (en) * 2000-10-13 2002-10-09 Infinia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with neck-strap
JP2007053603A (ja) * 2005-08-18 2007-03-01 Kf Planning:Kk 携帯電話用指固定具
US20070181620A1 (en) * 2006-02-09 2007-08-09 Carver William H Iii Ring system for securing devices
US8428664B1 (en) * 2010-02-27 2013-04-23 Philip W. Wyers Case assembly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of use therefor
EP2529281B1 (en) * 2010-06-07 2015-07-01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essori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097649B1 (ko) * 2011-05-06 2011-12-22 김영선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JP3178173U (ja) 2012-05-21 2012-09-06 丈夫 小澤 スマホ・ワンハンドラー
US20140084035A1 (en) * 2012-09-25 2014-03-27 Jean Edrice Georges Restraining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JP5370600B1 (ja) * 2013-02-01 2013-12-18 禪 定井 携帯電子端末保持具
US9300346B2 (en) 2014-08-01 2016-03-29 Allen Hirsch Apparatus to assist a user with holding a mobile device
KR101585923B1 (ko) * 2014-08-14 2016-01-18 고영봉 휴대기기 보호대
JP6232022B2 (ja) 2015-09-30 2017-11-15 ゴールデンバーグ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用保持具
JP2017099807A (ja) * 2015-12-04 2017-06-08 誠 坂野 電子機器カバー
KR101629434B1 (ko) * 2015-12-23 2016-06-10 여창기 매직 스트랩
US10182136B2 (en) * 2016-01-26 2019-01-15 Theodore Palacino Mobile device securing system
US10646025B2 (en) * 2016-02-13 2020-05-12 Koren Consulting, LLC Multistrand lanyard for handheld de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13330A1 (en) 2013-01-26 2014-07-31 Seung Woon Oh Cell Phone / Phone Case Finger Clutches
US20150133193A1 (en) 2013-03-15 2015-05-14 Smart Patents L.L.C Wearable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US20160344437A1 (en) 2015-05-19 2016-11-24 Bruce Gordon Handler for electronic handheld devices
US20170064854A1 (en) 2015-08-24 2017-03-02 Skip Hop, Inc. Mobile Device Cover With Str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2022934B2 (en) 2024-07-02
KR20210019560A (ko) 2021-02-22
EP3809682A1 (en) 2021-04-21
US20210196030A1 (en) 2021-07-01
KR102697198B1 (ko) 2024-08-20
US20240365960A1 (en) 2024-11-07
CN112567717A (zh) 2021-03-26
KR20220116336A (ko) 2022-08-22
EP3809682A4 (en) 2021-08-11
CN118283161A (zh) 2024-07-02
WO2019244810A1 (ja) 2019-12-26
CN112567717B (zh)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636B1 (ko)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JP5879337B2 (ja) 携帯電子機器用のケースアクセサリ並びにそれに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30213838A1 (en) Adjustable holder for tablet computer and cover therefor
US20120104059A1 (en) Notepad Holder
US20120326003A1 (en) Multi-function tablet computer grip with 360-degree rotating finger ringlet
US9942369B2 (en) Mobile electronic terminal holder
JP2018520747A (ja) マジックプッシュ
CN103038722A (zh) 带有支架的电子装置夹持器
US9235230B1 (en) Magnetic stand, mount and cord wrap for mobile devices and accessories
KR102430506B1 (ko) 단말기 유지구 및 단말기 수납 케이스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140017142A (ko)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KR20030084986A (ko) 신축 가능한 스트랩 및 그것을 구비하는 백
KR20150000251U (ko) 직선 운동이 가능한 휴대폰 홀더가 구비된 수첩형 휴대폰 케이스
AU2013100107A4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essori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395097B1 (ko) 태블릿 pc용 케이스
JP6211834B2 (ja) 携帯用電子機器用保持具
KR101835677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1708596B1 (ko) 기능성 가방
KR20160125056A (ko) 모바일기기 파지용 액세서리
JP7284489B2 (ja) 端末保持具及び端末収納ケース
JP3194532U (ja) 携帯端末機器用保持具
JP6467677B1 (ja) 端末保持具及び端末収納ケース
KR102321697B1 (ko)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
JP2017069791A (ja) 携帯端末装置用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