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697B1 -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697B1
KR102321697B1 KR1020170115953A KR20170115953A KR102321697B1 KR 102321697 B1 KR102321697 B1 KR 102321697B1 KR 1020170115953 A KR1020170115953 A KR 1020170115953A KR 20170115953 A KR20170115953 A KR 20170115953A KR 102321697 B1 KR102321697 B1 KR 102321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bile terminal
axial direction
portable termina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976A (ko
Inventor
유성훈
Original Assignee
유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훈 filed Critical 유성훈
Priority to KR1020170115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6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6Computer hol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이 거치되는 본체부;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제1 부위에 연결되며, 길이 조정부를 통해 제1축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는 신축부; 상기 신축부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와 연동되는 상기 본체부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소정 공간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연결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제2 부위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제1축 방향, 상기 제2축 방향 및 제3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는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미세 조정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 단말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각도로 조정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자세가 바뀌더라도 휴대 단말의 위치 및 각도를 쉽게 조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직접 잡고 있지 않아도 휴대 단말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PORTABLE DEVICE FOR MOUNTING TERMINAL THEREON WITH THREE DEGREES OF FREEDOM}
본 발명은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이 거치되는 본체부;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제1 부위에 연결되며, 길이 조정부를 통해 제1축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는 신축부; 상기 신축부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와 연동되는 상기 본체부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소정 공간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연결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제2 부위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제1축 방향, 상기 제2축 방향 및 제3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는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미세 조정부;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및 태블릿과 같은 휴대 단말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가정, 사무실, 식당 및 교통수단 등에서도 휴대 단말이 흔히 사용되고 있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들은 휴대 단말을 직접 손에 들고 이용하기도 하고, 별도의 거치대에 장착하여 이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거치대들은 휴대 단말을 거치할 수 있는 각도가 한정적이거나, 거치대를 설치할 수 있는 위치가 한정적인 경우가 많다. 한편, 휴대 단말을 직접 손에 들고 장시간 이용할 경우, 손목 터널증후군, 목 디스크 등의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를 제공한다면 휴대 단말 사용자의 질환을 예방하고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인바,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장치의 개발을 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 단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각도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세가 바뀌더라도 휴대 단말의 위치 및 각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직접 잡고 있지 않아도 휴대 단말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이 거치되는 본체부;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제1 부위에 연결되며, 길이 조정부를 통해 제1축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는 신축부; 상기 신축부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와 연동되는 상기 본체부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소정 공간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연결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제2 부위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제1축 방향, 상기 제2축 방향 및 제3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는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미세 조정부;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 단말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각도로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자세가 바뀌더라도 휴대 단말의 위치 및 각도를 쉽게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직접 잡고 있지 않아도 휴대 단말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가 가이드 부재에 설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a, 도 3b,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가 실생활에서 이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100)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100)는, 본체부(110), 신축부(120), 연결부(130), 미세 조정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에는 휴대 단말(200)이 거치될 수 있는데, 본체부(110)의 제3 부위(P3)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휴대 단말(200)이 개방부를 통해 본체부(110)에 삽입됨으로써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 중에서 휴대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하고 터치 인식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휴대 단말(200)이 본체부(110)에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200)의 디스플레이가 맞닿는 면에 사용자가 터치 동작을 수행하면 해당 면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인식되어 디스플레이 조작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체부(110)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휴대 단말(200)이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납작한 형태였다가, 휴대 단말(200)을 거치하기 위해 개방부를 열면 내부공간이 넓어져 입체적인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본체부(110)는 휴대 단말(200)이 거치되는 공간 외에 적어도 하나의 포켓부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 단말(200)의 충전 장치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100)에 휴대 단말(200)을 거치한 상태에서 영화나 드라마 등의 영상을 장시간 시청하는 경우, 휴대 단말(200)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켓부에 보조 배터리를 수납하고 보조 배터리 케이블을 휴대 단말(200)에 연결한 상태로 영상을 시청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체부(110)의 일부분에 보조 배터리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케이블 개방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휴대 단말(200)이 본체부(110)에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200)의 테두리면에 위치하는 사이드 버튼이 조작될 수 있도록, 본체부(110)의 사이드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제4 부위; P4)에 사이드 버튼을 노출시키는 소정의 버튼 개방부가 더 형성되거나, 본체부(110)의 사이드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의 소재가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방부에는 휴대 단말(200)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의 개폐 부재가 구비될 수 있는데, 개폐 부재는 벨크로(velcro), 지퍼 백에 이용되는 밀봉 지퍼, 여밈 단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신축부(120)는 일단이 본체부(110)의 제1 부위(P1)에 연결되며, 길이 조정부(125)를 통해 제1축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수축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신축부(120)는 소정의 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낚시줄, 테니스 라켓줄, 액자걸이 와이어, 텐션이 있는 리본 등의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부위(P1)는, 신축부(120)가 간편하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1 부위(P1)에 소정의 관통부가 형성되고, 신축부(120)가 고리나 집게 등의 형태로 이루어져 관통부를 통해 탈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부위(P1)는, 신축부(120)에 연결됨과 동시에, 휴대 단말(200)의 하중 및 후술할 미세 조정부(140)를 통해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힘을 직접적으로 받는 부위이므로 이를 고려한 소재가 이용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길이 조정부(125)는 권취용 릴 형태로 이루어져, 본체부(110)에 휴대 단말(200)이 거치된 상태에서 미세 조정부(140)가 제1축 방향, 제2축 방향 및 제3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는 특정 위치로 조정되면, 길이 조정부(125)에 감겨있던 신축부(120)가 풀림으로써 신축부(120)가 드러난 부분의 총 길이가 조정되며, 휴대 단말(200)의 위치 및 휴대 단말(200)의 디스플레이가 향하는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위치 조정의 예시는 도 3a, 3b 및 3c를 참조로 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100)가 가이드 부재에 설치된 모습의 예시를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제1축은 중력 방향일 수 있으며, 제2축은 제1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 제3축은 제1축 및 제2축과 각각 직각을 이루는 방향일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한편, 신축부(120)가 드러난 부분의 총 길이가 소정 임계치 이상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미세 조정부(140)가 제1축 방향으로 소정 추가 거리 이상 잡아당겨지면, 신축부(120)가 길이 조정부(125)에 감기면서 본체부(110)의 위치가 연장되기 이전으로 원상 복구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신축부가 연장되지 않은 기본 상태가 50cm라고 할 때, 사용자가 신축부(120)를 연장시키다가 총 길이가 100cm인 상태에서 멈추면, 길이 조정부(125)에 구비된 스토퍼(미도시)에 의해 총 길이가 100cm로 유지되며, 휴대 단말 거치 장치(100) 사용을 마친 이후 휴대 단말 거치 장치(100)를 5cm 정도 더 잡아당기면, 스토퍼의 잠금이 풀리면서 신축부(120)가 50cm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예로서, 길이 조정부(125)가 출입증이나 사원증에 흔히 이용되는 릴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휴대 단말 거치 장치(100)를 잡아당겨 신축부(120)가 연장된 상태에서 거치 장치(100)를 놓으면, 항상 신축부(120)가 길이 조정부(125)에 다시 감겨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 단말 거치 장치(100)를 잡고 이용하거나, 후술할 미세 조정부(140)를 고정부(400)에 장착시킴으로써 휴대 단말 거치 장치(100)의 조정된 위치가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연결부(130)는 신축부(120)의 타단에 위치하며, 신축부(120) 및 신축부(120)와 연동되는 본체부(110)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소정 공간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3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령,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커튼 레일과 같은 가이드 부재(300)에 구비된 러너(310)에 연결부(130)가 고리 형태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본체부(110)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 부재(300)를 따라 러너(310) 및 연결부(130)가 함께 움직여 휴대 단말 거치 장치(100)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300)의 레일 형상은 직선이나 곡선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러너(310) 또한 가이드 부재(300)를 둘러싸는 형태 또는 가이드 부재(300)의 일부분에 맞닿아 걸쳐지는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미세 조정부(140)는 본체부(110)의 제2 부위(P2)에 연결되며, 본체부(110)를 제1축 방향, 제2축 방향 및 제3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는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조정부(140)는 위치 조정된 본체부(110)를 조정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걸쇠부(145)를 더 포함하여, 걸쇠부(145)를 잡아당김으로써 신축부(120)가 드러난 부분의 총 길이가 연장된 상태에서, 걸쇠부(145)를 소정의 고정부(400)에 고정시키면 본체부(110)가 조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으로, 걸쇠부(145)는 고리, 후크, 압착고무(흡착판), 자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손에 잡고 있거나 고정부(400)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a, 3b, 3c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가 실생활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는 예시를 설명하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휴대 단말 거치 장치(100)를 잡아당겨 눈 앞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휴대 단말(200)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200)이나 휴대 단말 거치 장치(100)를 직접 손에 잡지 않고, 휴대 단말(200)을 휴대 단말 거치 장치(100)에 거치한 상태에서 편한 자세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 단말(200)을 원하는 위치 및 각도로 조정하여 본체부(110) 또는 걸쇠부(145)를 손에 잡은 채로 휴대 단말(200)의 영상을 시청하거나, 휴대 단말(200)에 소정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c와 같이, 소정의 고정부(400)에 휴대 단말 거치 장치(100)의 걸쇠부(145)를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직접 잡고 있지 않아도 휴대 단말을 원하는 위치 및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각도에 휴대 단말(200)을 위치시키고, 휴대 단말(200)을 이용하면서 타이핑, 화상 회의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휴대 단말 거치 장치 110 : 본체부
120 : 신축부 125 : 길이 조정부
130 : 연결부 140 : 미세 조정부
145 : 걸쇠부 200 : 휴대 단말
300 : 가이드 부재 310 : 러너
400 : 고정부
P1 : 제1 부위 P2 : 제2 부위
P3 : 제3 부위 P4 : 제4 부위

Claims (9)

  1.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이 거치되는 본체부;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제1 부위에 연결되며, 길이 조정부를 통해 제1축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는 신축부;
    상기 신축부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와 연동되는 상기 본체부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소정 공간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연결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제2 부위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제1축 방향, 상기 제2축 방향 및 제3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는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미세 조정부;
    를 포함하되,
    상기 신축부는 소정의 끈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 조정부는 권취용 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에 상기 휴대 단말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미세 조정부가 상기 제1축 방향, 상기 제2축 방향 및 상기 제3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는 상기 특정 위치로 조정되면, 상기 길이 조정부에 감겨있던 상기 신축부가 풀림으로써 상기 신축부가 드러난 부분의 총 길이가 조정되며,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및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가 향하는 방향이 조정되며,
    상기 미세 조정부는 위치 조정된 상기 본체부를 상기 조정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걸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쇠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신축부가 드러난 부분의 총 길이가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걸쇠부를 소정의 고정부에 고정시키면 상기 본체부가 상기 조정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가 드러난 부분의 총 길이가 소정 임계치 이상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미세 조정부가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소정 추가 거리 이상 잡아당겨지면, 상기 신축부가 상기 길이 조정부에 감기면서 상기 본체부의 위치가 연장되기 이전으로 원상 복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제3 부위에 개방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에 삽입됨으로써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 중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하고 터치 인식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휴대 단말이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납작한 형태였다가, 상기 휴대 단말을 거치하기 위해 상기 개방부를 열면 내부공간이 넓어져 입체적인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이 거치되는 공간 외에 적어도 하나의 포켓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충전 장치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본체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테두리면에 위치하는 사이드 버튼이 조작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기 사이드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사이드 버튼을 노출시키는 소정의 버튼 개방부가 더 형성되거나, 상기 본체부의 상기 사이드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의 소재가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70115953A 2017-09-11 2017-09-11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 KR102321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953A KR102321697B1 (ko) 2017-09-11 2017-09-11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953A KR102321697B1 (ko) 2017-09-11 2017-09-11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976A KR20190028976A (ko) 2019-03-20
KR102321697B1 true KR102321697B1 (ko) 2021-11-05

Family

ID=66036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953A KR102321697B1 (ko) 2017-09-11 2017-09-11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6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260B1 (ko) * 2021-10-20 2023-05-30 이태현 휴대폰 공중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5533A (ja) * 2012-05-11 2013-11-21 Hiroyoshi Wada 電子機器用防水ケース
US20160281922A1 (en) * 2013-06-28 2016-09-29 Robert Israeli Suspen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959B1 (ko) * 2003-12-26 2005-11-08 이호영 이동식 디스플레이 고정 장치
KR20160058554A (ko) * 2014-11-17 2016-05-25 손상열 방수팩
KR20170090571A (ko) * 2016-01-29 2017-08-08 최수진 보조배터리 파우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5533A (ja) * 2012-05-11 2013-11-21 Hiroyoshi Wada 電子機器用防水ケース
US20160281922A1 (en) * 2013-06-28 2016-09-29 Robert Israeli Suspension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기통신회선 https://www.youtube.com/watch?v=MsHxYgzYSF8을 통해 공중이 이용가능하게 된 발명 (2016.10.25.)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976A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8377C2 (ru) Шейный ремень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9496911B2 (en) Protective cover and retractable lanyard
US9369168B2 (en) Security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5017349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arrying Electronic Devices
US20120257346A1 (en) Biased stand or tripod adapter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20140298709A1 (en) Fishing rod carrier and cover therefor
TW200911003A (en) Hanging device
US7936895B2 (en) Earphone storage structure
JP2020028512A (ja) ホルダー
US9235230B1 (en) Magnetic stand, mount and cord wrap for mobile devices and accessories
CN115053509B (zh) 自拍用手机固定架
CN107111336B (zh) 计算配件安装装置
KR102321697B1 (ko)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
US20120314896A1 (en) Retractable Audio Cord Device
US20140103084A1 (en) Pulley Camera Strap And Camera Mounting System Using Same
US20150358446A1 (en) Providing a Rail Mounting System for a Mobile Device Case
US9896301B2 (en) Cord management devices and methods
EP1833275B1 (en) An earphone storage structure
KR20160125056A (ko) 모바일기기 파지용 액세서리
KR200472724Y1 (ko) 고정밴드를 갖는 모바일폰 케이스
US9775426B1 (en) Mobile computer holder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JP6258623B2 (ja) コード保持具
KR20210019560A (ko) 단말기 유지구 및 단말기 수납 케이스
KR20200000400U (ko)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