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400U -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 - Google Patents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400U
KR20200000400U KR2020180003763U KR20180003763U KR20200000400U KR 20200000400 U KR20200000400 U KR 20200000400U KR 2020180003763 U KR2020180003763 U KR 2020180003763U KR 20180003763 U KR20180003763 U KR 20180003763U KR 20200000400 U KR20200000400 U KR 202000004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strap
core material
cor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현
Original Assignee
손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성현 filed Critical 손성현
Priority to KR2020180003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400U/ko
Publication of KR202000004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4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과 연결된 스트랩을 스탠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후면에서 고정부와 탈부착부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트랩으로서, 상기 스트랩에는 상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후면부위와 맞닿는 위치에 제1심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심재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5심재가 구비되어 삼각의 스탠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심재와 연이어 제2심재와 제3심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심재 또는 제3심재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이며, 상기 제2심재 또는 제3심재 중 어느 하나는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재이거나 또는 자석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심재와 연이어서는 제4심재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omitted}
본 고안은 스마트폰과 연결된 스트랩을 스탠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의 휴대가 가능한 휴대전자기기는 통상적으로 손으로 쥐고 휴대하게 되는데, 고가의 휴대전자기기가 손에서 이탈되는 경우 바닥으로 추락하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크게 손상을 받게 된다.
또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충격 완화용 케이스를 사용하게 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완벽하게 충격을 방지해 주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손에서 이탈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손가락에 안정적으로 파지 및 고정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10-2016-0129502(스트랩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서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후면부에 회전이 가능한 스트랩을 구비한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스트랩은 케이스 본체부의 후면부위에 형성된 연결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손가락이나 손을 스트랩에 끼운 상태에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소지하게 되면, 연결부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키면서 손으로 소지가 가능하며,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도 편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스트랩 구조는 연질의 끈에 의해 루프 형태를 형성한 구조로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스탠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즉, 휴대용 전자기기를 탁자 위에서 세워서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스탠딩을 위한 기구물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 기구물의 휴대도 번거롭고 또한 별도의 비용을 들여서 이를 구매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트랩에 스탠드 형태로 세워질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여 휴대전자기기를 스탠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을 제안한다.
본 고안에 의한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후면에 구비된 고정부와 탈부착부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트랩으로서,
상기 스트랩에는
상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후면부위와 맞닿는 위치에 제1심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심재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5심재가 구비되어 삼각의 스탠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심재와 연이어 제2심재와 제3심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심재 또는 제3심재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이며, 상기 제2심재 또는 제3심재 중 어느 하나는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재이거나 또는 자석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심재와 연이어서는 제4심재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스트랩으로 사용하여 스마트폰의 소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스마트폰을 통하여 영상 등을 시청하는 경우에는 스탠드 역할을 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은 물론 별도의 스탠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도.
도2는 스트랩의 상세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
도4는 스트랩의 내부에 심재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도.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도이고, 도2는 스트랩(130)의 상세 구조를 보인 도로서, 크게 고정부(110), 탈부착부(120), 구리고 스트랩(130)으로 구성된다.
고정부(110)는 합성수지재에 의해 사출성형으로 형성되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100)의 후면부위에 부착되는 것으로, 양면테이프 등에 의해 전면부위가 부착되어 고정되며, 후면부위는 하측이 개방되면서 양측부로는 개방된 부위로부터 상측으로 나란히 홈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측에는 전후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부(112)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탄성부는 양측이 절개된 상태에서 후면부위로 약간 돌출됨으로써 전후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탄성부(112)에는 걸림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110)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100)의 사출 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탈부착부(120)는 스트랩(130)을 연결하면서 상기 고정부(11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 또한 합성수지재에 의해 사출성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탈부착부(120)는 양측에 각각 상기 홈부(11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돌기(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면부위의 상측에는 상기 걸림홈(113)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도1에서는 탈부착부(120)의 후면부위가 보이도록 도시하였다.
따라서, 탈부착부(120)가 고정부(110)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면서 그 가이드 돌기(121)가 홈부(111)에 삽입되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걸림돌기(122)가 탄성부(112)의 걸림홈(113)에 삽입되어 걸리게 됨으로써 탈부착부(120)의 이탈이 방지된다.
고정부(110)와 탈부착부(12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탈부착부(12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탄성부(112)를 누르게 되면, 걸림돌기(122)로부터 걸림홈(113)이 이탈되고, 탈부착부(120)를 하측으로 당기게 되면 가이드 돌기(121)가 홈부(111)에서 슬라이딩되어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스트랩(130)은 천 또는 연질의 합성피혁 재질로 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며, 그 일측은 상기 탈부착부(120)에 연결부(136)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스트랩(130)은 평상시에 손가락이나 손을 끼우거나 또는 손목에 착용하여 스마트폰을 소지하게 되고, 영상을 시청 하는 등의 스탠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100)의 후면부위에서 삼각의 형태로 지지하여 스탠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스탠딩을 위해서 스트랩(130)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심재가 구비되는데, 먼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100)의 후면부위와 맞닿는 부위에는 제1심재(1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심재(131)와 대향되는 부위에는 제5심재(135)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1심재(131)와 제5심재(135)는 경질의 플라스틱, 금속에 의해 판 형태로 형성되며, 도4에서와 같이 스트랩(130)을 구성하는 2겹의 원단(130-1,130-2) 사이에 제5심재(135)가 수납되어 열압착, 초음파 압착 또는 박음질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물론 제1심재(131)도 이와 동일한 구조에 의해 스트랩(130)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제1심재(131)와 제5심재(135) 사이는 서로 삼각의 형태로 벌어졌을 때 제1심재(131)와 제5심재(135)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여 안정적인 삼각형의 형태를 형성하도록 스트랩(130)이 연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100)의 후면부위는 제1심재(131)가 맞닿아 지지하게 되고, 제5심재(135)는 후방으로 벌어져서 그 하단이 책상 등의 바닥에 맞닿아 지지하게 되며, 제1심재(131)와 제5심재(135)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스트랩(130)의 부위는 제5심재(135)의 벌어지는 각도를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형태로 제1심재(131)와 제5심재(135)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스트랩(130)의 부위에는 제4심재(134)가 제5심재(135)와 연이어 구비됨으로써 제4심재(134)가 바닥부위와 맞닿아 더욱 안정적으로 스탠드의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제5심재(135)와 제4심재(134)는 서로 분리된 상태이므로 스트랩(130)의 꺾임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형태로서, 제1심재(131)와 연이어 제2심재(132)와 제3심재(1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3심재(133)의 끝단은 상기 제4심재(134)와 근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심재(132)는 자석이며, 제3심재(133)는 금속판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제3심재(133)가 자석인 경우 제2심재(132)는 금속판의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제2심재(132)와 제3심재(133) 모두 자석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자석으로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밸크로, 스냅버튼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결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3은 이러한 본 고안을 스탠드 형태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도로서, 고정부(110)에 탈부착부(120)를 결합한 상태에서 제2심재(132)와 제3심재(133)를 서로 자성에 의해 겹쳐지도록 부착시키게 되면, 자연스럽게 삼각형의 스탠드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제2심재(132)와 제3심재(133)를 원터치에 의해 서로 부착시키게 되면, 스탠드가 형성되어 제1심재(131)가 스마트폰의 후면부위를 지지하면서 제2심재(132), 제3심재(133), 제4심재(134), 제5심재(135)에 의해 스탠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2심재(132)와 제3심재(133)를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여 스마트폰의 스탠딩 각도를 조절하면서 스마트폰을 시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손가락이나 손에 끼울 수 있도록 스트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제2심재(132)와 제3심재(133)를 분리시켜 도2와 같이 링의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100 :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110 : 고정부
120 : 탈부착부
130 : 스트랩
131,132,133,134,135 : 심재
136 : 연결부

Claims (7)

  1.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후면에 구비된 고정부와 탈부착부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트랩으로서,
    상기 스트랩에는
    상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후면부위와 맞닿는 위치에 제1심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심재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5심재가 구비되어 삼각의 스탠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심재와 연이어 제2심재와 제3심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심재와 제3심재는 서로 겹쳐진 경우 겹쳐진 상태가 고정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심재와 연이어 제2심재와 제3심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심재 또는 제3심재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이며, 상기 제2심재 또는 제3심재 중 어느 하나는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재이거나 또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심재와 연이어 제4심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
  5. 제1항부터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심재는 스트랩을 이루는 원단 사이에 수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후면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스트랩이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양측에 홈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전후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탄성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탈부착부는 양측에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의 걸림홈에 끼워져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출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스트랩이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양측에 홈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전후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탄성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탈부착부는 양측에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의 걸림홈에 끼워져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
KR2020180003763U 2018-08-10 2018-08-10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 KR202000004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63U KR20200000400U (ko) 2018-08-10 2018-08-10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63U KR20200000400U (ko) 2018-08-10 2018-08-10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00U true KR20200000400U (ko) 2020-02-19

Family

ID=6963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763U KR20200000400U (ko) 2018-08-10 2018-08-10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4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400B1 (ko) * 2020-08-12 2021-05-27 오병기 휴대단말용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400B1 (ko) * 2020-08-12 2021-05-27 오병기 휴대단말용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28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57590Y1 (ko) 스탠딩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US20110034221A1 (en) Case for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70250721A1 (en) Exterior cover
KR200467827Y1 (ko) 다용도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20150014188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rims and a material
US8413808B1 (en) Receiving spacer lay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bag combined with the receiving spacer layer
KR101265220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101857754B1 (ko)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TWM565934U (zh) 保護套
KR20180002587U (ko) 지갑겸용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WO2015076478A1 (ko) 슬라이드 커버를 갖는 카드 수납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CN104157214B (zh) 配戴式挠曲显示装置
KR20200000400U (ko)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스트랩
KR200473245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80408Y1 (ko) 카메라 노출공의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150000251U (ko) 직선 운동이 가능한 휴대폰 홀더가 구비된 수첩형 휴대폰 케이스
US10314386B1 (en) Mounting garment assembly
US9426911B2 (en) Protective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US9912366B2 (en) Mobile phone glove
KR20090116597A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케이스의 결합구조
US20190067965A1 (en) Separable Mobile Power Source Bracket
KR20140001471U (ko) 모바일 단말용 파우치
CN204120423U (zh) 一种设有腕带的新型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