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260B1 - 휴대폰 공중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폰 공중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260B1
KR102535260B1 KR1020210140254A KR20210140254A KR102535260B1 KR 102535260 B1 KR102535260 B1 KR 102535260B1 KR 1020210140254 A KR1020210140254 A KR 1020210140254A KR 20210140254 A KR20210140254 A KR 20210140254A KR 102535260 B1 KR102535260 B1 KR 10253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holder
cradle
inclination angle
a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6335A (ko
Inventor
이태현
이회열
Original Assignee
이태현
이회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현, 이회열 filed Critical 이태현
Priority to KR1020210140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260B1/ko
Publication of KR20230056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공중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의 정보를 검색하거나 영상을 시청할 때, 앉거나 누운 자세 등 다양한 자세에서 적절한 높이로 공중에 거치한 상태의 휴대폰 거치대를 희망하는 휴대폰 거치면의 회전위치 및 경사각을 조절,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휴대폰 거치면 일측에는 캡슬형케이스휴대폰을 자석의 흡인력을 이용하여 거치할 수 있고, 거치면의 다른 일측에는 지갑 형태의 플립형케이스휴대폰을 받쳐주는 휴대폰받침부와 휴대폰을 지지할 수 있도록 휴대폰 집게가 구비되어 휴대폰 케이스 형태에 관계 없이 휴대폰 겸용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폰을 시청할 때 손으로 잡지 않고 영상 및 정보를 바른 자세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불안정한 자세의 시청으로 인한 불편함과 시력의 저하 등 신체 건강상 재해를 해소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성과 편이성을 향상시키고, 부가적인 특징으로 자동차 실내에서도 백미러 및 좌석 머리 받침대에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용성을 증대시킨 휴대폰공중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 공중 거치대 {Mobile phone holder hanging in the air}
본 발명은 휴대폰을 공중에 거치하여 휴대폰의 화면 방향을 조정, 제어할 수 있는 휴대폰 공중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거치대를 공중에 매달아 거치한 상태에서 "Y"축을 기준으로 휴대폰의 경사각 및 회전 위치를 조정,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휴대폰 정보 및 영상을 시청하는데 있어 사용자가 앉거나 누워서 바른자세로 사용할 수 있고, 손으로 잡지 않고 정보 및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불안정한 자세의 시청으로 인한 불편함과 신체 건강상 재해를 해소하고 사용자의 편이성을 향상시킨 휴대폰공중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정보 통신기술 분야의 휴대용 정보기기인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용 단말기, 휴대용 컴퓨터, 테블릿 등은 현대인들의 생활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용 단말기 사용의 정보화시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스마트폰 사용은 남녀노소 어느 계층을 막론하고 생활 수단의 일부라고도 할 수 있으며, 휴대폰 거치대는 일반적으로 테이블 위에서 사용되는 거치대, 차량에서 사용되는 차량용 거치대 등 용도별 다양하고 형태와 구조에 있어서도 여러 종류의 제품이 개발되어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휴대폰 거치대 제품이 고정식 거치방식의 구조로 정형화 되어있고, 특히 가정에서 사용되는 고정식 거치대는 부피와 규모가 크고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치방법에 있어서도 침대 등 한정되어 있고, 예를 들어 현재 유통되고 있는 자바라식 거치대 등의 경우 사용하는데 거추장스러울 뿐만아니라 취급 및 보관에 있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휴대폰을 사용함에 있어 주로 앉아서 영상 화면을 시청하거나 정보를 검색할 때, 휴대폰을 두 손으로 잡고 장시간 시청하거나, 서거나 눕거나 다양한 자세에서 휴대폰 영상을 불안정한 자세로 시청할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신체적으로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특히, 유튜브 영상 채널, 영화 혹은 TV영상 채널 등 장시간 같은 자세로 휴대폰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옆으로 누어서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시청할 경우 눈의 피로, 손과 팔의 통증 등 여러가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성장기에 유소년, 청소년의 경우 불안정한 자세로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시청을 할 경우 거북목 현상 등 골격의 부적절한 성장, 시력의 감퇴 등 신체건강상에 재해 발생의 문제을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정형화된 휴대폰 거치대의 단점 및 제한된 기능 등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는 한편, 다양한 자세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취급에 있어서도 거추장스럽지 않은 휴대폰 거치대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휴식을 취할 때 앉거나 누워서 휴대폰 영상 혹은 정보를 시청하는데 있어 손으로 휴대폰을 잡지 않고 사용자가 바른자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불안정한 자세로 인한 신체건강상에 문제점을 해소하고 편이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405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7099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360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휴대폰을 사용함에 있어 앉거나 누워서 휴대폰을 두 손으로 잡고 불안정한 자세로 장시간 시청할 경우 팔과 목, 눈의 불편함과 특히, 성장기에 유소년, 청소년의 신체 골격의 부적절한 성장 등 신체건강상에 재해 발생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휴대폰 거치대를 공중에 매달아 휴대폰을 거치하여 손으로 잡지 않고 영상 및 정보를 바른 자세로 볼 수 있도록 하고, 휴대폰 거치대를 단순하고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종래 제품의 취급 및 보관에 있어 거추장스러움과 불편함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편이성과 안전성 향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동차 실내에서도 백미러 결합체 및 앞좌석 머리 받침대 뒤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용도의 효용성을 향상시킨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부가적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공중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대 본체 및 지지대 역할을 하며 거치대 양면에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고, 휴대폰 거치면의 일측 거치대 상부에 다수의 경사각조절구멍을 형성한 경사각조절레버부를 구비하여 휴대폰 거치면의 전,후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거치대본체; 와 상기 거치대본체가 공중에 매달린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하고 수직을 이루는 "Y"축심으로 부터 휴대폰 화면의 회전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지북성(指北性)의 방향조정소자가 조합된 조정키를 좌,우로 돌려 상기 거치대본체의 휴대폰 거치면을 희망하는 회전 위치로 조정,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방향조정키; 그리고, 상기 거치대본체에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거치대본체의 "Y"축심을 기준으로 일면 좌우에 동일한 간격으로 자석을 배치하여 휴대폰을 자석의 흡인력(吸引力)에 의해 거치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구성요소인 휴대폰홀딩자석; 및 상기 거치대본체에 일체화된 상기 휴대폰홀딩자석의 흡인력으로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해, 휴대폰 뒷면 혹은 휴대폰 케이스에 자석이 잘 부착되는 철편을 일체화 하여 휴대폰을 상기 거치대본체에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인 휴대폰철편; 이 포함되며,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를 조합한 거치대본체 결합체를 공중에 거치하기 위해 공중거치줄과 천장에 공중거치줄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한 공중거치구성부; 가 더 포함된 거치대로서, 휴대폰을 공중에 거치한 상태에서 휴대폰의 화면을 희망하는 경사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회전 위치를 조정,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양손으로 휴대폰을 잡지 않고 휴대폰의 정보 및 영상을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폰으로 정보를 검색하거나 영상을 시청 할 때,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공중에 거치한 휴대폰 거치대의 회전위치 및 경사각을 조절,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폰 공중 거치대로서, 휴대폰을 시청할 때 손으로 잡지 않고 영상 및 정보를 바른 자세로 시청할 수 있어, 불안정한 자세의 시청으로 인한 불편함과 시력의 저하 등 신체 건강상 재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휴대폰 거치대를 단순하고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종래 제품에 있어 취급 및 보관 측면에서 거추장스러움과 사용상에 불편함을 개선하고 사용자의 편이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으며, 자동차 실내에서도 백미러 결합체 및 앞좌석 머리 받침대 뒤에 고정식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폰공중거치대를 공중거치줄을 이용하여 천장 고정구에 매달아 캡슬형케이스휴대폰을 거치대본체에 가로로 거치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정면도, 우측면도, 배면도 및 부분단면도와 부분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캡슬형케이스휴대폰을 거치대본체에 세로로 거치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캡슬형케이스휴대폰을 앉은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캡슬형케이스휴대폰을 세로로 거치하여 앉은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폰공중거치대를 공중거치줄을 이용하여 천장에 매달아 캡슬형케이스휴대폰 또는 플립형케이스휴대폰을 겸용으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거치대본체에 캡슬형케이스휴대폰을 가로로 거치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있어서, 정면도, 우측면도, 배면도 및 부분단면도와 부분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방향조정키결합체 및 방향조정키결합체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 있어서, 경사각고정구 및 경사각고정구의 부분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에 있어서, 캡슬형케이스휴대폰 및 플립형케이스휴대폰을 겸용으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거치대본체에 캡슬형케이스휴대폰을 세로로 거치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6에 있어서, 캡슬형케이스휴대폰을 가로로 거치하여 앉은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6에 있어서, 캡슬형케이스휴대폰을 세로로 거치하여 앉은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6에 있어서, 플립형케이스휴대폰을 가로로 거치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6에 있어서, 플립형케이스휴대폰을 가로로 거치하여 앉은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6에 있어서, 거치대본체에 경사각고정구가 제외된 상태에서 플립형케이스휴대폰을 거치대본체에 가로로 거치되어 벽걸이용 거치대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6에 있어서, 거치대본체에 경사각고정구가 제외된 상태에서 플립형케이스휴대폰을 거치대본체에 가로로 거치되어 자동차 실내의 백미러결합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6에 있어서, 거치대본체에 경사각고정구가 제외된 상태에서 플립형케이스휴대폰을 거치대본체에 가로로 거치되어 자동차 실내의 좌석 머리받침대 뒤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도 6에 있어서, 플립형케이스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집게 형태가 슬라이딩 구조의 휴대폰집게로 구성되어 일반 휴대폰 및 Z폴드 폴더블폰을 세로로 거치할 수 있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되었으나 실물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정의된 용어로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구성요소 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폰공중거치대(1)를 공중거치줄(2-3)을 이용하여 천장(3) 고정구(2-1)에 매달아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거치대본체(110)에 가로로 거치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거치대본체(110)에 구비된 휴대폰홀딩자석(160)의 흡인력에 의해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정면도, 우측면도, 배면도 및 부분단면도와 부분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단면도A-A와 같이 거치대본체(110) 상단에 경사각조절레버부(120-1)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거치대본체(110)에 구비된 휴대폰홀딩자석(160)의 흡인력에 의해 세로로 거치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휴대폰홀딩자석(160)의 흡인력에 의해 가로로 거치하여 앉은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휴대폰홀딩자석(160)의 흡인력에 의해 세로로 거치하여 앉은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폰공중거치대(1)를 공중거치줄(2-3)을 이용하여 천장(3)의 고정구(2-1)에 매달아 캡슬형케이스휴대폰(4) 또는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거치대본체(110)에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가로로 거치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있어서, 정면도, 우측면도, 배면도 및 부분단면도와 부분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있어서, 방향조정키(200)결합체 및 방향조정키(200)결합체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도 6에 있어서, 경사각고정구(120) 및 경사각고정구(120)의 부분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6에 있어서, 캡슬형케이스휴대폰(4) 및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거치대본체(110)에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세로로 거치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6에 있어서,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가로로 거치하여 앉은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6에 있어서,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세로로 거치하여 앉은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4는 도 6에 있어서,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을 가로로 거치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도 6에 있어서,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을 가로로 거치하여 앉은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6은 도 6에 있어서, 거치대본체(110)에 경사각고정구(120)가 제외된 상태에서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을 거치대본체(110)에 가로로 거치되어 벽걸이용 거치대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도 6에 있어서, 거치대본체(110)에 경사각고정구(120)가 제외된 상태에서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을 거치대본체(110)에 가로로 거치되어 자동차 실내의 백미러결합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8은 도 6에 있어서, 거치대본체(110)에 경사각고정구(120)가 제외된 상태에서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을 거치대본체(110)에 가로로 거치되어 자동차 실내의 좌석 머리받침대 뒤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9는도 6에 있어서, 플립형케이스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집게 형태가 슬라이딩 구조의 휴대폰집게로 구성되어 일반 휴대폰 및 Z폴드 폴더블폰을 세로로 거치할 수 있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도 19까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폰공중거치대(1)를 공중거치줄(2-3)을 이용하여 천장(3)에 고정된 고정구(2-1)에 매달아 휴대폰 케이스 형태가 신용카드 보관 포켓과 휴대폰 화면 덮개가 없는 형태의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거치대본체(110)에 구비된 휴대폰홀딩자석(160)의 흡인력에 의해 가로로 거치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휴대폰을 공중에 거치하기 위한 공중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대 본체 및 지지대 역할을 하며 거치대 양면에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고, 휴대폰 거치면의 일측 거치대 상부에 다수의 경사각조절구멍(122)을 형성한 경사각조절레버부(120-1)를 구비하여 휴대폰 거치면의 전,후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거치대본체(110)는 합성수지 혹은 무게가 가볍고 강도있는 소재가 선택될 수 있으며, 휴대폰을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양면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휴대폰의 가로, 세로 크기에 비례하여 휴대폰 거치대를 공중에 거치하였을 때 안정적인 거치가 될 수 있도록 가로 폭 보다 세로 길이가 길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본체(110) 휴대폰 거치면 일측의 상부에 일체화된 경사각조절레버부(120-1)는 휴대폰 거치면과 직각 혹은 직각에 가까운 각을 이루고 다수의 경사각조절구멍(122) 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요소를 구비하고 공중거치구성부(2)와 연결하여 휴대폰 거치면의 전,후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폰 거치면의 경사각은 사용자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누운 자세에서는 거치대의 Y축을 기준으로 25°~ 40° 내외로 조절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고, 앉은 자세의 경우는 거치대의 Y축을 기준으로 10°~ 20° 내외가 바람직할 수 있으며, 휴대폰의 경사각 조절은 상기 경사각조절레버부(120-1)의 경사각조절구멍(122)에 상기 자동감김홀더(2-5)의 후크부를 걸거나 고정하여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본체(110)가 공중에 매달린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하고 수직을 이루는 "Y"축심으로 부터 희망하는 휴대폰 화면의 회전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지북성의 방향조정소자(210)가 조합된 조정키를 좌,우로 돌려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휴대폰 거치면을 희망하는 회전 위치로 조정,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방향조정키(200)는,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회전 위치을 제어하는 축 방향의 N-S극의 자극을 가진 방향조정소자(210)의 지북성에 의해 제어되며, 여기서 방향조정소자(210)의 지북성은 축 방향의 N-S극을 가진 자석이 북쪽을 가르키는 성질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방향조정소자(210)가 조합된 상기 방향조정키(200)는 상기 거치대본체(110)와 조립 구성요소인 방향조정키축(220)이 포함되어 조립되며, 상기 방향조정키축(220)은 가벼운 경금속소재로 가공되거나 합성수지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향조정키(200)와 상기 방향조정키축(220)이 서로 겉돌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방향조정키탄성체(24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방향조정키탄성체(240)는 코일스프링 혹은 와셔형 탄성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방향조정키(200)와 상기 방향조정키축(220)이 서로 상기 방향조정소자(210)의 지북성에 의한 미미한 회전 토-크 또는 취급에 있어 스스로 겉돌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상기 방향조정키(200)를 조립하는데 있어,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방향조정키축조립힌지구멍(118)과 방향조정키축힌지구멍(221)을 일치시켜 방향조정키축힌지핀(230)으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조정키(200)를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Y"축심으로 부터 좌,우로 돌려 휴대폰 거치면을 희망하는 회전 위치로 조정하여 셋팅할 수 있고, 축 방향의 N-S극을 가진 상기 방향조정소자(210)는 거치대본체 결합체의 "Y"축심으로 부터 N-S극의 축이 직각으로 유지되고, 상기 방향조정소자(210)의 지북성이 작용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거치된 휴대폰 화면을 희망하는 회전 위치로 조정,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향조정소자(210)는 경 방향의 N-S극을 가진 자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방향조정소자(210)는 거치대본체 결합체의 "Y"축심으로 부터 N-S극의 축이 일직선으로 유지되고, 상기 방향조정소자(210)의 지북성이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향조정소자(210)의 소재 및 착자 특성, 크기, 형상에 따라 지북성의 세기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형상은 원형 혹은 4각형 등 방향조정키 형태 및 제작을 고려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지북성의 세기가 크면 클수록 상기 거치대본체(110) 결합체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Y"축심을 기준으로 일면 좌우에 동일한 간격으로 자석을 배치하여 휴대폰을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거치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구성요소인 휴대폰홀딩자석(160)은 N-S극을 가진 축 방향 자석으로서,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Y"축심을 기준으로 일면 좌,우에 동일한 간격으로 N극-S극 또는 S극-N극으로 배치하되, 흡인력을 강하게 작용하게 하기 위해 N극과 S극이 짝을 이룬 자석을 다수로 배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의 N극-S극과 S극-N극으로 서로 교차 배치하여 거치대가 공중에 매달린 상태에서 "Y"축심으로 부터 상기 방향조정키(160)의 좌,우 회전위치 제어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상기 휴대폰철편(6)이 일체화된 휴대폰을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의 흡인력에 의해 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은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양쪽 휴대폰 거치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거치대본체(110) 두께와 일치하게 삽입하여 배치되고, 이 경우 거치대본체(110)의 거치면 두께 및 크기는 휴대폰홀딩자석(160)의 크기 및 형상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일체화된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의 흡인력으로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해, 휴대폰 뒷면 혹은 휴대폰 케이스에 자석이 잘 부착되는 철편을 일체화 하여 휴대폰을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인 휴대폰철편(6)은, 휴대폰홀딩자석(160)이 배치된 면적과 유사한 크기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휴대폰철편(6)의 두께에 따라서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의 흡인력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거치대본체(110)에 거치되는 휴대폰의 크기 및 무게, 형태에 따라 상기 휴대폰철편(6)의 재료, 크기, 두께 등 경우에 따라 호환성있게 선택할 수 있으며, 도금된 철판 혹은 방식 코팅된 철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를 조합한 상기 거치대본체(110) 결합체를 공중에 거치하기 위해 공중거치줄(2-3)과 천장(3)에 상기 공중거치줄(2-3)을 고정하는 고정구(2-1)를 포함한 공중거치구성부(2)가 더 포함된 거치대로서, 휴대폰을 공중에 거치한 상태에서 휴대폰의 화면을 희망하는 경사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회전 위치를 조정,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양손으로 휴대폰을 잡지 않고 휴대폰의 정보 및 영상을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구비된 휴대폰공중거치대(1)이다.
여기서, 상기 공중거치구성부(2)의 구성요소는 편리성을 고려하여 자동감김릴홀더(2-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휴대폰공중거치대(1)를 천장(3)에 매달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구(2-1)를 수직으로 고정할 경우, 상기 고정구(2-1) 일측에 나선을 구비한 구성부에 의해 천장(3)에 고정할 수 있고, 반대되는 일측에는 공중거치줄(2-3)을 고정하기 위해 고리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등 매립 박스와 천장(3)의 구조에 따라 수평으로 고정할 경우 압침형태의 고정구(2-1)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공중거치줄(2-3)은 상기 거치대본체(110) 결합체가 공중에 매달린 상태에서 방향조정소자(210)의 지북성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Y"축심을 기준으로 회전 토-크의 영향을 주지 않도록 가늘고 유연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며, 일반적으로 공중거치줄(2-3)의 규격은 직경 0.5mm 내외의 인장강도가 강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정면도, 우측면도, 배면도 및 부분단면도와 부분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가로로 거치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이며, 우측면도의 상기 거치대본체(110) 상단에 경사각조절레버부(120-1)는 단면도A-A와 같이 한 몸체로 구성되고, 다수의 경사각조절구멍(122) 중 희망하는 경사각에 따라 경사각조절구멍(122)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Y"축심을 기준으로 방향조정키(200)를 손으로 돌려 휴대폰 거치면의 회전 위치를 조정,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단면A-A에서와 같이 휴대폰 거치 양측면 중 일면에 상기 경사각조절레버부(120-1)에 경사각조절구멍(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세F와 같이 휴대폰홀딩자석(160)이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휴대폰홀딩자석홈(114)에 삽입되어있다.
또한, 배면도와 같이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은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Y"축심을 기준으로 일면 좌,우에 동일한 간격으로 N극-S극 또는 S극-N극으로 배치하되, 흡인력을 강하게 작용하게 하기 위해 N극과 S극이 짝을 이룬 자석을 다수로 배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의 N극-S극과 S극-N극으로 서로 교차 배치하여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의 흡인력에 의해 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의 N극-S극과 S극-N극으로 서로 교차 배치에 의해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Y"축심으로 부터 지북성에 의한 좌,우 회전 토-크가 서로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상기 방향조정키(200)의 좌,우 회전위치 제어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3, 도 4,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구비된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의 흡인력에 의해 세로 또는 가로로 거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 도 3, 도 4, 도 5와 같이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휴대폰 거치면을 선택하여 휴대폰을 거치하고, 상기 방향조정키(200)를 돌려서 회전위치를 조절하여 누운 자세에서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앉은 자세에서도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본체(110) 상단에 경사각조절레버부(120-1)가 위치한 휴대폰 거치면이 앉은 자세에서 휴대폰을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하여 사용하는 방향이고, 반대되는 휴대폰 거치면은 누운 자세에서 휴대폰을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하여 사용하는 방향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폰공중거치대(1)를 공중거치줄(2-3)을 이용하여 천장(3)에 고정된 고정구(2-1)에 매달아 휴대폰 케이스 형태가 신용카드 보관 포켓 및 휴대폰 화면 덮개가 없는 캡슬형케이스휴대폰(4)과 지갑 형태의 접이형이며, 신용카드 보관 포켓 및 휴대폰 화면 덮개가 구비된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을 겸용으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폰공중거치대(1)에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구비된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의 흡인력에 의해 가로로 거치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 및 도 2의 상기 거치대본체(110) 상부에 위치한 상기 경사각조절레버부(120-1)를 대체하여, 독립된 경사각고정구를 조립할 수 있는 경사각고정구삽입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본체(110) 일면에 휴대폰을 거치할 때, 휴대폰의 케이스 형태가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인 경우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구비된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의 흡인력에 의해 휴대폰을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다른 일면 하단에는 거치대휴대폰받침부(119)가 형성되어 휴대폰의 케이스 형태가 지갑 형태의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을 받쳐주고, 대응되는 상부에는 휴대폰을 지지할 수 있도록 휴대폰집게(130)가 구비되어 휴대폰 케이스 형태에 관계 없이 휴대폰 겸용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4) 거치대와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5) 거치대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된 휴대폰 거치대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4) 또는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을 거치하여 앉거나 누운 자세로 휴대폰 거치면 방향을 바꾸고자 할 경우,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상기 경사고정구(120)의 조립방향에 따라 휴대폰 거치면을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의 상기 경사각조절레버부(120-1)를 대체하여 상기 경사각고정구(120)는 상기 휴대폰의 케이스 형태가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4)과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의 겸용 휴대폰거치대로 사용할 경우, 독립된 레버형태의 상기 경사각고정구(120) 일측에 다수의 경사각조절구멍(122)을 구비하고, 반대편 한쪽 끝에는 "
Figure 112021120200899-pat00001
"형상부의 좌우 내측면 6곳과 턱이 진 뒷면 1곳을 포함하여 7면에 접촉면을 가지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상기 경사각고정구삽입홈(111)을 통해 조립되어 천장(3)에 매달린 자동감김릴홀더(2-5) 후크부에 상기 경사각고정구(120)의 상기 경사각조절구멍(122)을 선택하여 걸거나 상기 공중거치줄(2-3)을 고정하여 휴대폰공중거치대(1)의 "Y"축을 기준으로 희망하는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휴대폰 거치면을 앞 혹은 뒤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휴대폰 거치면의 경사각은 사용자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누운 자세에서는 거치대의 Y축을 기준으로 25°~ 40° 내외로 조절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고, 앉은 자세의 경우는 거치대의 Y축을 기준으로 10°~ 20° 내외가 바람직할 수 있으며, 휴대폰의 경사각 조절은 상기 경사각고정구(120)의 경사각조절구멍(122)에 상기 자동감김홀더(2-5)의 후크부를 걸거나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본체(110) 하부 위치에 휴대폰받침판삽입홈(115)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휴대폰 거치면 두께와 일치되도록 조립되는 휴대폰받침판(170)은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양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되,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상기 거치대본체(110) 일면에 가로로 거치할 경우, 상기 휴대폰받침판(170)의 휴대폰받침부(172)가 휴대폰 거치면 앞으로 직각이 되도록 돌출시켜 휴대폰의 일측 폭면이 상기 휴대폰받침부(172)에 안착되도록 하여 휴대폰을 수평 상태로 받쳐주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며, 휴대폰을 세로로 거치할 경우, 상기 휴대폰받침판(170)이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양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휴대폰받침판삽입홈(115)에 정렬하여 휴대폰을 세로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다른 일면 하단에는 거치대휴대폰받침부(119)가 형성되어 휴대폰의 케이스 형태가 지갑 형태의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을 받쳐주고 휴대폰을 지지할 수 있도록 휴대폰집게(130)가 구비되어 휴대폰 케이스 형태에 관계 없이 휴대폰 겸용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4) 거치대와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5) 거치대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된 휴대폰 거치대로 제작될 수 있으며,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한 상기 휴대폰집게(130)는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거치대본체힌지구멍(113)에 휴대폰집게힌지핀(140)으로 조립되며, 휴대폰집게탄성체(150)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폰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 케이스 형태가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인 경우, 신용카드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요소인 자력차폐철편(7)은 상기 플립형 거치대에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의 신용카드 보관 부위를 접하는 위치에 부착하되,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휴대폰 거치면에 N극-S극 또는 S극-N극으로 배열된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이 배치된 부위에 한 몸체로 된 상기 자력차폐철편(7)을 부착하여 신용카드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력차폐철편(7)은 두께에 따라서 자력차폐 효과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의 신용카드 보관 부위를 접하는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이 배치된 부위에 상기 자력차폐철편(7)은 일면에는 양면 접착테이프가 붙여진 두께는 0.8mm 내외의 소재 또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력차폐철편(7)의 두께가 두꺼울 수록 자력차폐 효과가 우수하며, 상기 자력차폐철편(7)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도금된 철판 혹은 방식 코팅된 철판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구성요소의 형태와 조립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본체(110) 상부에 위치한 상기 경사각고정구(120)는 독립된 구성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있어서, 정면도, 우측면도, 배면도 및 부분단면도와 부분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가로로 거치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이며, 우측면도의 상기 거치대본체(110) 상단에 조립된 상기 경사각고정구(120)는 단면도B-B와 같이 독립된 구성 요소이고, 다수의 경사각조절구멍(122) 중 희망하는 경사각에 따라 경사각조절구멍(122)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Y"축심을 기준으로 방향조정키(200)를 손으로 돌려 휴대폰 거치면의 회전 위치를 조정,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단면B-B에서와 같이 휴대폰 거치면 양측 중 일측의 상기 경사각고정구(120)에 경사각조절구멍(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세H와 같이 상기 경사각고정구(120) 일측에 고정핀삽입구멍(12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거치대본체(110)와 상기 경사각고정구(120)를 핀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각고정구(110)는 "
Figure 112021120200899-pat00002
"형상부를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경사각고정구삽입홈(111)에 삽입하여 "Y"축의 상,하로 슬라이딩시켜 조립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배면도와 같이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은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Y"축심을 기준으로 일면 좌,우에 동일한 간격으로 N극-S극 또는 S극-N극으로 배치하되, 흡인력을 강하게 하기 위해 N극과 S극이 짝을 이룬 자석을 다수로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의 N극-S극과 S극-N극으로 서로 교차 배치하여 거치대가 공중에 매달린 상태에서 "Y"축심으로 부터 상기 방향조정키(200)의 좌,우 회전위치 제어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상기 휴대폰철편(6)이 일체화된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의 흡인력에 의해 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의 N극-S극과 S극-N극으로 서로 교차 배치에 의해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Y"축심으로 부터 지북성에 의한 좌, 우로 회전 토-크가 서로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상기 방향조정키(200)의 좌,우 회전위치 제어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정키(200) 결합체의 단면도이고, 합성수지재의 방향조정키(200)와 방향조정소자(210) 및 방향조정키탄성체(240), 방향조정키축(2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향조정키(200)의 측면부 홈은 방향상기 조정소자(210)를 삽입하기 위한 방향조정소자삽입홈(201)으로서, 상기 방향조정소자(210)가 삽입되어 턱이 구성된 하단에 안착되고 상부에 상기 방향조정키축(220)의 안착부에 접촉되어 상기 방향조정키탄성체(24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방향조정키탄성체(240)와 상기 방향조정키축(220)은 상기 방향조정키(200)의 정면 중앙부에 상기 방향조정소자(210)가 삽입되기전에 상기 방향조정키탄성체(240)와 상기 방향조정키축(220)이 삽입홈(202)를 통해 삽입하여 조립된다.
또한, 상기 방향조정소자(210)는 상기 방향조정키(200)의 사출 성형과정에서 몰딩하여 조립될 수 있고, 상기 방향조정키탄성체(240)를 대체하여 방향조정키축(220)을 탄성이 있는 한 몸체로 일체화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고정구(120)의 "
Figure 112021120200899-pat00003
"형상부 상세도이며, 상기 거치대본체(110)와 결합되어 접촉되는 접촉부 상세K의 "☆"표시부 3곳 및 맞은편 부위를 포함한 6면과 상기 경사각고정구(120) 상단 턱부의 "☆"표시부 1면을 포함하여 7면 중 일부면은 쐐기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경사각고정구삽입홈(111)을 통해 흔들림이 없이 타이트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앉거나 누운 자세에 따라 방향을 바꾸어 조립할 수 있다.
도 11, 도 12, 도 13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구비된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의 흡인력에 의해 세로 또는 가로로 거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1, 도 12, 도 13과 같이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휴대폰 거치면을 선택하여 휴대폰을 거치하고,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상기 경사각고정구(120)의 조립 방향에 따라 앉거나 누운자세의 휴대폰 거치방향이 정해지며, 상기 거치대본체의 "Y"축심으로 부터 상기 방향조정키(200)를 좌 또는 우로 돌려서 휴대폰공중거치대(1)의 휴대폰 거치면을 셋팅, 조절하여 세로 또는 가로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본체(110) 하부 위치에 휴대폰받침판삽입홈(115)이 구비되어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휴대폰 거치면 두께와 일치되도록 조립된 휴대폰받침판(170)은 휴대폰받침부(172)와 반대편의 일측은 받침판손잡이부(17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거치대휴대폰받침판핀구멍(250)과 휴대폰받침판힌지구멍(173)을 일치시켜서 휴대폰받침판핀(180)을 끼워 조립된다.
여기서, 도 8과 같이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상기 휴대폰받침부(172)에 거치하기 위해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휴대폰 거치면과 상기 휴대폰받침부(172)가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휴대폰받침판힌지구멍(173)이 있는 상기 받침판손잡이부(171) 단면부가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휴대폰받침판삽입홈(115)의 벽면 턱에 걸림을 이루어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휴대폰 거치면이 상기 휴대폰받침부(172)와 직각을 이루어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수평 상태로 받쳐주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을 가로로 거치하여 상기 경사각고정구(120)의 조립 방향에 따라 눕거나 앉은 자세로 사용할수 있고, 상기 방향조정키(200)를 좌측 혹은 우측으로 돌려 휴대폰 거치면의 회전 위치를 셋팅,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폰집게(130)에 의해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을 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5) 또는 Z폴드형 휴대폰, 테블릿 등은 상기 거치대휴대폰받침부(119)와 상기 휴대폰집게(130)의 배치 거리를 확대하여 세로로 거치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각고정구(120)의 조립 방향에 따라 눕거나 앉은 자세로 셋팅,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6은 도 6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상기 경사각고정구(120)가 제외된 상태에서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5) 혹은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4)을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가로로 거치하여 벽걸이용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상기 경사고정구삽입홈(111)을 통해 벽걸이(8)에 걸어서 거치된다.
도 17 및 도 18은 도 6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공중거치대(1)에서 상기 공중거치구성부(2)와 상기 경사각고정구(120)를 제외한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5) 거치대의 상기 거치대본체(110) 상부에 구성된 경사각고정구삽입홈(111)과 로프삽입홈(112)에 한 줄의 로프(9)를 끊김없이 두 줄로 구성하여 로프홀더(10)가 끼워져 조합된 로프(9)를 서로 동일한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삽입하여 자동차 실내의 백미러결합체 또는 앞좌석 머리 받침대 뒤에 걸림이 이루도록 거치하여 자동차에서 휴대폰 거치대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백미러결합체에 거치할 경우 상기 로프(9)를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상기 경사고정구삽입홈(111)과 상기 로프삽입홈(112)을 경유하여 백미러결합체에 걸어서 타이트하게 잡아당겨 로프홀더(10)에 의해 로프(9)가 구속된다.
또한, 앞좌석 머리 받침대 뒤에 거치할 경우, 로프(9)를 상기 거치대본체(110)의 상기 경사고정구삽입홈(111)과 상기 로프삽입홈(112)을 경유하여 머리받침대의 받침대축에 걸어서 타이트하게 잡아당겨 로프홀더(10)에 의해 로프(9)를 구속하여 거치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 15까지에 있어서, 분해도, 단면도, 상세도를 제외한 휴대폰공중거치대(1)를 공중에 거치하기 위한 상기 공중거치구성부(2)는 앉거나 누운 자세의 위치에 휴대폰공중거치대(1)의 거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공중거치줄(2-3)과 상기 공중거치줄(2-3)을 천장(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2-1) 및 휴대폰공중거치대(1)에 휴대폰을 거치하여 시청한 후 휴대폰을 탈거할 경우 휴대폰공중거치대(1)를 공중으로 스스로 이동시켜 거추장스럽지 않게 하기 위한 상기 자동감김릴홀더(2-5)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자동감김릴홀더(2-5) 줄의 감김 정지 역할과 상기 공중거치줄(2-3)을 연결하는 릴홀더스토퍼(2-4), 그리고 휴대폰공중거치대(1)가 상기 자동감김릴홀더(2-5)의 자동감김으로 공중으로 이동되었을 때, 감김위치 높이 보다 높은 위치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인 거치대홀딩링(2-2)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2-1)와 상기 릴홀더스토퍼(2-4)가 위치한 사이에 거치대홀딩링(2-2)을 구비하여, 휴대폰공중거치대(1)가 천장(3)에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방향조정키(200)의 방향조정소자(210) 흡인력에 의해 휴대폰공중거치대(1)를 좀 더 높은 위치에 매달린 상기 거치대홀딩링(2-2)에 흡착하게 하여 거추장스러움을 해소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폰공중거치대(1)의 공중거치 높이가 높거나 낮은 경우 상기 공중거치줄(2-3) 길이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조정할 수 있으며, 천장(3) 고정구(2-1)에 상기 공중거치줄(2-3)의 한쪽 끝이 고정되고, 다른 한쪽 끝은 사용자가 희망하는 길이로 상기 자동감김릴홀더(2-5)에 연결된 상기 릴홀더스토퍼(2-4)에 고정되며, 상기 자동감김릴홀더(2-5) 후크부에 휴대폰공중거치대(1)의 거치대본체(110)에 조립된 상기 경사고정구(120)의 경사각조절구멍(122)을 선택하여 걸림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걸림을 이룬 휴대폰공중거치대(1)는 거치된 휴대폰을 포함한 자체 무게에 의해 도 6의 자동감김릴홀더이동거리(2-6)와 같이 상기 릴홀더스토퍼(2-4) 아래로 상기 자동감김릴홀더(2-5)의 감김 줄이 풀리면서 하강하여 셋팅된 거리 만큼 이동되며, 공중에 매달린 휴대폰공중거치대(1)의 "Y"축을 기준으로 휴대폰 거치면의 회전위치 및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동감김릴홀더이동거리(2-6)는 침대 및 의자 등의 높이를 고려하여 1.0 ~ 2.0m 내외의 감김 줄이 구비된 자동감김릴홀더(2-5)의 선택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이 거치된 휴대폰공중거치대(1)의 무게에 따라 상기 자동감김릴홀더(2-5)는 감김 토-크가 가변되어 구비될 수 있고, 공중거치 높이가 높을 경우 상기 자동감김릴홀더(2-5)를 복수로 연결하거나, 상기 공중거치줄(2-3)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자동감김릴홀더(2-5)는 태엽식 구조 혹은 전동식 감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폰공중거치대(1)에 휴대폰을 거치하여 시청한 후 휴대폰을 탈거할 경우 상기 자동감김릴홀더(2-5)의 줄이 자동감김에 의해 휴대폰공중거치대(1)를 공중으로 스스로 이동시켜 거추장스럽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들에 있어서 상기 공중거치구성부(2)의 구성 및 상기 공중거치줄(2-3) 길이는 정확하게 비례하여 도시되지 않고, 기타 도면의 해칭 표현에 있어서도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표현되었으며 축소, 과장되거나 소재와 무관하게 표현되었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휴대폰공중거치대(1)는 휴대폰을 공중에 거치한 상태에서 휴대폰의 화면을 희망하는 경사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휴대폰 거치면의 회전 위치를 조정,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휴대폰공중거치대(1)를 사용함에 있어 공중에 매달린 상태가, 가능한 수직으로 위치하게 하고 휴대폰공중거치대(1)의 "Y"축심을 기준으로 휴대폰 거치면의 회전 위치가, 가능한 정적인 상태가 되도록 손으로 안정되게 조정하여 상기 방향조정소자(210)의 지북성 위치를 확인한 다음, 상기 방향조정키(200)를 좌,우로 돌려 휴대폰 화면의 회전위치를 사용자가 희망하는 위치에 맞춰 셋팅할 수 있으며, 수 초에서 수 분 안에 휴대폰공중거치대(1)는 흔들림 없이 정적이고 안정적인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도 19의 실시예에 있어, 도 6에서 도 18까지의 실시예와 같이 주로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5)을 거치할 때 사용하는 상기 휴대폰집게(130)가 구비된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 거치대는, 도 19와 같이 휴대폰 집게가 슬라이딩 구조의 휴대폰집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 휴대폰 및 Z폴드 폴더블폰 형태의 휴대폰을 비롯한 테블릿, 휴대용 단말기 등 IT기기을 세로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9의 상기 슬라이딩 구조의 슬라이딩 휴대폰집게는, 도시된 바 와 같이 집게 끝 부분이 각을 이루고, 상기 슬라이딩 휴대폰집게의 Y축으로 2개의 휴대폰집게 축이 거치대본체(110)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휴대폰집게의 상기 휴대폰집게 축 슬라이딩 구멍에 안내되고, 상, 하로 슬라이딩되어 좌측면도 상세도Z의 스프링 압축력에 의해 휴대폰을 세로로 거치할 수 있다.
도 19와 같이, 독립된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 거치대의 경우, 상기 Z폴드 폴더블폰과 같이 휴대폰의 앞면과 뒤면에 화면을 갖추었거나, 무선충전을 방해하는 요인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거치대본체(110)에 일측면만 휴대폰 거치면으로 사용하고 상기 휴대폰홀딩자석(160)은 휴대폰 거치 수단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위와 같이, 기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휴대폰공중거치대(1)는 휴대폰 거치대 뿐만 아니라 휴대용 정보기기 전반에 있어 예시한 사례와 기술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해당된다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휴대폰공중거치대 2. 공중거치구성부
2-1. 고정구 2-2. 거치대홀딩링
2-3. 공중거치줄 2-4. 릴홀더스토퍼
2-5. 자동감김릴홀더 2-6. 자동감김릴홀더이동거리
3. 천장 4. 캡슬형케이스휴대폰
5. 플립형케이스휴대폰 6. 휴대폰철편
7. 자력차폐철편 8. 벽걸이
9. 로프 10. 로프홀더
110: 거치대본체 111: 경사각고정구삽입홈
112: 로프삽입홈 113: 거치대본체힌지구멍
114: 휴대폰홀딩자석홈 115: 휴대폰받침판삽입홈
116: 미끄럼방지패드삽입홈 117: 방향조정키축힌지
118. 방향조정키축조립힌지구멍 119. 거치대휴대폰받침부
120: 경사각고정구 120-1: 경사각조절레버부
121: 경사각고정구조립홈 122: 경사각조절구멍
123: 고정핀삽입구멍 130: 휴대폰집게
131: 휴대폰집게손잡이 132: 휴대폰집게힌지핀구멍
140: 휴대폰집게힌지핀 150: 휴대폰집게탄성체
151: 탄성체걸림홈 160: 휴대폰홀딩자석
170: 휴대폰받침판 171: 받침판손잡이부
172: 휴대폰받침부 173: 휴대폰받침판힌지구멍
180: 휴대폰받침판핀 190: 미끄럼방지패드
200: 방향조정키 201: 방향조정소자삽입홈
202: 220,240삽입홈 203: 방향조정키축삽입구멍
210: 방향조정소자 220: 방향조정키축
221: 방향조정키축힌지구멍 230: 방향조정키축힌지핀
240: 방향조정키탄성체 250: 거대폰받침판핀구멍

Claims (9)

  1. 휴대폰을 공중에 거치하기 위한 공중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대 본체 및 지지대 역할을 하며 거치대 양면에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고, 휴대폰 거치면의 일측 거치대 상부에 다수의 경사각조절구멍을 형성한 경사각조절레버부를 구비하여 휴대폰 거치면의 전,후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거치대본체;
    상기 거치대본체가 공중에 매달린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하고 수직을 이루는 "Y"축심으로 부터 휴대폰 거치면의 회전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지북성의 방향조정소자가 조합된 조정키를 좌,우로 돌려 상기 거치대본체의 휴대폰 거치면을 희망하는 회전 위치로 조정,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방향조정키;
    상기 거치대본체에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거치대본체의 "Y"축심을 기준으로 일면 좌우에 동일한 간격으로 자석을 배치하여 휴대폰을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거치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구성요소인 휴대폰홀딩자석;
    상기 거치대본체에 일체화된 상기 휴대폰홀딩자석의 흡인력으로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해, 휴대폰 뒷면 혹은 휴대폰 케이스에 자석이 잘 부착되는 철편을 일체화 하여 휴대폰을 상기 거치대본체에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인 휴대폰철편;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를 조합한 거치대본체 결합체를 공중에 거치하기 위해 공중거치줄과 천장에 공중거치줄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한 공중거치구성부; 가
    더 포함된 거치대로서, 휴대폰을 공중에 거치한 상태에서 휴대폰의 화면을 희망하는 경사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휴대폰 거치면의 회전 위치를 조정,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양손으로 휴대폰을 잡지 않고 휴대폰의 정보 및 영상을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공중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 상부에 위치한 경사각조절레버부를 대체하여, 독립된 경사각고정구를 조립할 수 있는 경사각고정구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본체 일면에 휴대폰을 거치할 때, 휴대폰의 케이스 형태가 캡슬형케이스휴대폰인 경우 상기 거치대본체에 구비된 상기 휴대폰홀딩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휴대폰을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본체의 다른 일면 하단에는 거치대휴대폰받침부가 형성되어 휴대폰의 케이스 형태가 지갑 형태의 플립형케이스휴대폰을 받쳐주고, 대응되는 상부에는 휴대폰을 지지할 수 있도록 휴대폰집게가 구비되어 휴대폰 케이스 형태에 관계 없이 휴대폰 겸용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 거치대와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 거치대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된 휴대폰 거치대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공중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고정구는 상기 휴대폰의 케이스 형태가 캡슬형케이스휴대폰과 플립형케이스휴대폰의 겸용 휴대폰거치대로 사용할 경우, 독립된 레버형태의 상기 경사각고정구 일측에 다수의 경사각조절구멍을 구비하고, 반대편 한쪽 끝에는 "
    Figure 112021120200899-pat00004
    "형상부의 좌우 내측면 6곳과 턱이 진 뒷면 1곳을 포함하여 7면에 접촉면을 가지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거치대본체의 경사각고정구삽입홈을 통해 조합되어 천장에 매달린 자동감김릴홀더 후크부에 상기 경사각고정구의 경사각조절구멍을 선택하여 걸거나 공중거치줄을 고정하여 휴대폰공중거치대의 "Y"축을 기준으로 희망하는 상기 거치대본체의 휴대폰 거치면을 앞 혹은 뒤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공중거치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 형태가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인 경우, 신용카드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요소인 자력차폐철편: 은
    상기 플립형 거치대에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의 신용카드 보관 부위를 접하는 위치에 부착하되, 상기 거치대본체의 휴대폰 거치면에 N극-S극 또는 S극-N극으로 배열된 상기 휴대폰폴딩자석이 배치된 부위에 한 몸체로 된 상기 자력차폐철편을 부착하여 신용카드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공중거치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정키는 상기 거치대본체의 "Y"축심으로 부터 휴대폰 거치면의 회전 위치을 제어하는 축 방향의 N-S극의 자극을 가진 방향조정소자; 와
    상기 거치대본체와 조립 구성요소인 방향조정키축: 이 포함되어 조립되고,
    상기 방향조정키와 상기 방향조정키축이 서로 겉돌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방향조정키탄성체; 가
    더 포함되어 상기 거치대본체의 방향조정키축조립힌지구멍과 방향조정키축힌지구멍을 일치시켜 방향조정키축힌지핀으로 조립되며, 상기 방향조정키를 상기 거치대본체의 "Y"축심으로 부터 좌,우로 돌려 휴대폰 거치면을 희망하는 회전 위치로 조정하여 셋팅할 수 있고, 축 방향의 N-S극을 가진 상기 방향조정소자는 거치대본체 결합체의 "Y"축심으로 부터 N-S극의 축이 직각으로 유지되고, 상기 방향조정소자의 지북성이 작용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거치대본체에 거치된 휴대폰 화면을 희망하는 회전 위치로 조정,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휴대폰공중거치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홀딩자석은 상기 거치대본체의 "Y"축심을 기준으로 일면 좌,우에 동일한 간격으로 N극-S극 또는 S극-N극으로 배치하되, 흡인력을 강하게 하기 위해 N극과 S극이 짝을 이룬 자석을 다수로 배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휴대폰홀딩자석의 N극-S극과 S극-N극으로 서로 교차 배치하여 거치대가 공중에 매달린 상태에서 "Y"축심으로 부터 상기 방향조정키의 좌,우 회전위치 제어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상기 휴대폰철편이 일체화된 휴대폰을 상기 휴대폰홀딩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거치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휴대폰공중거치대.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 하부 위치에 휴대폰받침판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본체의 휴대폰 거치면 두께와 일치되도록 조립되는 휴대폰받침판; 은
    상기 거치대본체의 양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되, 상기 캡슬형케이스휴대폰을 상기 거치대본체 일면에 가로로 거치할 경우, 상기 휴대폰받침판의 휴대폰받침부가 휴대폰 거치면 앞으로 직각이 되도록 돌출시켜 휴대폰의 일측 폭면이 상기 휴대폰받침부에 안착되도록 하여 휴대폰을 수평 상태로 받쳐주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공중거치대.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공중거치대를 공중에 거치하기 위한 상기 공중거치구성부는, 앉거나 누운 자세의 위치에 상기 휴대폰공중거치대의 거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공중거치줄; 과
    상기 공중거치줄을 천장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및
    상기 휴대폰공중거치대에 휴대폰을 거치하여 시청한 후 휴대폰을 탈거할 경우 상기 휴대폰공중거치대를 공중으로 스스로 이동시켜 거추장스럽지 않게 하기 위한 상기 자동감김릴홀더; 가 포함되며,
    상기 자동감김릴홀더 줄의 감김 정지 역할과 상기 공중거치줄을 연결하는 릴홀더스토퍼; 와
    상기 휴대폰공중거치대가 상기 자동감김릴홀더의 자동감김으로 공중으로 이동되었을 때, 감김위치 높이 보다 높은 위치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인 거치대홀딩링; 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와 상기 릴홀더스토퍼 사이에 거치대홀딩링을 구비하여, 상기 휴대폰공중거치대가 천장에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방향조정키의 방향조정소자 흡인력에 의해 상기 휴대폰공중거치대를 좀 더 높은 위치에 매달린 상기 거치대홀딩링에 흡착하게 하여 거추장스러움을 해소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휴대폰공중거치대.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중거치구성부와 상기 경사각고정구를 제외한 상기 플립형케이스휴대폰 거치대의 상기 거치대본체 상부에 구성된 경사각고정구삽입홈과 로프삽입홈에 한 줄의 로프를 끊김없이 두 줄로 구성하여 로프홀더가 끼워져 조합된 로프; 를
    서로 동일한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삽입하여 자동차 실내의 백미러결합체 또는 앞좌석 머리 받침대 뒤에 걸림이 이루도록 거치하여 자동차에서 휴대폰 거치대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공중거치대.
KR1020210140254A 2021-10-20 2021-10-20 휴대폰 공중 거치대 KR10253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254A KR102535260B1 (ko) 2021-10-20 2021-10-20 휴대폰 공중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254A KR102535260B1 (ko) 2021-10-20 2021-10-20 휴대폰 공중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335A KR20230056335A (ko) 2023-04-27
KR102535260B1 true KR102535260B1 (ko) 2023-05-30

Family

ID=8610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254A KR102535260B1 (ko) 2021-10-20 2021-10-20 휴대폰 공중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260B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796U (ko) * 1998-09-14 1998-12-05 안병모 착착 자석식 휴대전화 방향제 홀더
KR101434055B1 (ko) 2012-12-21 2014-08-26 이건식 침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670993B1 (ko) 2015-08-04 2016-11-01 김상정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180005417A (ko) * 2016-07-06 2018-01-16 장종환 천장 부착형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2321697B1 (ko) * 2017-09-11 2021-11-05 유성훈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
KR20210053458A (ko) * 2019-11-02 2021-05-12 김형석 자석을 이용한 공중부양 스마트기기 거치대
KR102236078B1 (ko) 2020-10-08 2021-04-05 주식회사 유디아이디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KR20210080296A (ko) * 2021-06-11 2021-06-30 전승원 천장형 tv 도킹 거치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www.amazon.com/Overhead-Magnetic-Recording-Watching-Portable/dp/B06XB2B6T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335A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25818A1 (en) Filled amorphous bag apparatus for positioning screened devices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20170086314A1 (en) Elevating Support For Viewing Electronic Displays
US9128668B2 (en) Multiple suction cup attachment platform: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on a vertical surface
US6825415B1 (en) Elevation adjustment structure of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11112055B2 (en) Stabilizer and stick grip for electronic devices
US20180363837A1 (en) Portable Display Station
US20210140579A1 (en)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472033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2535260B1 (ko) 휴대폰 공중 거치대
CN112166281B (zh) 可调节式移动设备悬挂器
US20220228707A1 (en) Apparatuses for holding and mounting mobile devices
KR101264353B1 (ko) 거치대
KR102536720B1 (ko) 카메라 거치 기능을 갖는 우산
KR101618594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CN212992380U (zh) 一种带有夹子的隐形支架手机壳
CN209876462U (zh) 一体式三脚架自拍杆
CN215522510U (zh) 一种支架
CN210771172U (zh) 一种引导教学使用的摄影装置
KR101470124B1 (ko) 휴대폰 거치대
KR200485571Y1 (ko) 사물 거치홈이 형성된 협탁
CN218976722U (zh) 一种多功能手机壳
CN210327692U (zh) 一种新型手机支架
KR102355674B1 (ko) 셀카봉
KR20160057887A (ko) 휴대용 통신기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