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353B1 - 거치대 - Google Patents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353B1
KR101264353B1 KR1020110071807A KR20110071807A KR101264353B1 KR 101264353 B1 KR101264353 B1 KR 101264353B1 KR 1020110071807 A KR1020110071807 A KR 1020110071807A KR 20110071807 A KR20110071807 A KR 20110071807A KR 101264353 B1 KR101264353 B1 KR 101264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magnet
flexible strap
article
moun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0968A (ko
Inventor
원성희
Original Assignee
원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성희 filed Critical 원성희
Priority to KR1020110071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3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05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built-in auxiliary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거치대의 구성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물품을 보기 편한 위치로 변경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벤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스트랩과; 내부에 물품을 집어넣기 위한 수용 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지지된 물품의 시야각이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홀더를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선단부에 부착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치대{Mobile goods hanger}
본 발명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기기, 피엠피, 피디에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타블렛 피씨와 같은 여러 가지 다양한 물품의 시야각을 조절하여 보기 편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러한 시야각 조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도 심플하게 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물품 장착 부분이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원하는 사용 물품을 호환성 있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 등의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스마트폰, 피엠피, 피디에이(PDA)와 같은 휴대기기는 거의 일반인들의 필수품이라 할 정도로 그 보급이 대중화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는 모바일(mobile)의 특성상 개별 소지자가 자기 편한 위치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향이 크다. 모바일 특성을 가진 휴대기기를 고정시켜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자기가 원하는 장소에서 되도록 편안한 자세로 사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큰 것이다. 예를 들어, 침대에 누워서 휴대기기를 통해서 영화를 본다거나 하는 등의 상황이 많이 생기는데, 스마트폰이나 피엠피 등으로 영화를 보거나 티브이를 시청하거나 하는 등의 경우가 그러하다.
그런데, 휴대기기로 영화를 보거나 하는 등의 경우에는 휴대기기를 손으로 들고 보든지 아니면 바닥에 놓고 보든지 할 터인데, 손으로 휴대기기를 들고 영화를 볼 때에는 비교적 장시간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하므로, 불편한 것은 당연하고, 휴대기기를 바닥에 놓고 보면 각도가 맞지 않아서 사용자가 자세를 구부린다든지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몸에 무리가 가고 피로감을 느끼거나 허리가 아프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휴대기기를 휴대하고 다니다가 원할 때에 적정 위치에 놓고 사용하거나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병원의 병실 등에는 개인별로 침대가 있어서, 각자 침대에 앉거나 누워서 휴대기기를 쓰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와 같이 손으로 들고 사용하거나 바닥에 그냥 놓고 사용하면 허리가 아프거나 몸에 무리가 갈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원인은 휴대기기가 놓이는 위치와 각도 등이 사용자가 편하게 볼 수 있는 위치와 맞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종래에는 휴대기기를 지지하는 홀더 부분만을 손쉽게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는 기능이 미흡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기종의 물품을 갈아서 장착하는 경우는 생각하기 어려우며, 이는 필요한 물품 기종을 바꿔서 쓸 수 있는 호환성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떠한 자세에 있든지 거기에 맞추어서 휴대기기의 위치와 각도 등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면, 휴대기기 사용시의 편리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며, 원할 때에는 언제든지 다른 기종의 물품을 바꿔서 사용할 수 있으면 더욱더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엠피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나 스마트폰, 타블렛 피씨, 나아가 독서대 등의 다양한 물품을 사용하기 편안한 위치로 옮겨놓기 위한 시야각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시야각 조절을 수행하는 구조 자체를 매우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고, 물품을 지지하는 주요부인 홀더 부분을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원하는 물품을 적시에 편리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사용성 등을 보장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물품을 보기 편한 위치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벤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스트랩과; 내부에 물품 수용 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지지된 물품의 시야각이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홀더를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선단부에 부착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선단부측에 구비된 제1 자석과;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자석과 마주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자석과 반대 극성을 가진 제2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 사이의 자력에 의해 상기 물품을 내장한 홀더가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홀더와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에 자력으로 밀착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자석과 상대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를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선단부에 부착시키는 상대 부착물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과 상기 상대 부착물에 의해 상기 물품을 내장한 홀더가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선단부에는 상기 홀더의 배면과 마주하는 보스가 구비된 연결 지지체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지지체의 상기 보스는 상기 홀더의 배면에 상기 장착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에 상기 홀더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연결 지지체의 상기 보스에 내장된 제1 자석과;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자석과 마주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자석과는 반대 극성인 제2 자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홀더와 상기 보스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에 자력으로 밀착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자석과 상대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를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선단부에 부착시키는 상대 부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지지체에는 조명을 위한 플래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지지체에는 디스플레이의 충전을 위해 접속되는 충전잭 접속부를 갖는 충전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은 기단부에 사용 물품 설치를 위한 기초 지지대 역할을 하는 베이스가 더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사용 물품 충전을 위해 접속되는 충전잭 접속부를 갖는 충전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지지체에는 사용 물품 충전을 위해 접속되는 충전잭 접속부를 갖는 충전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치대는 1차적으로 플렉시블 스트랩에 의해 스마트폰 등의 사용 물품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시야 범위에 적당히 맞추고, 더 나아가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홀더를 원하는 방향으로 돌려서 사용자의 시야각에 가장 편안한 위치로 맞추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플렉시블 스트랩을 이용하여 물품의 보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차 적으로 홀더 자체를 돌려서 물품을 원하는 어떠한 위치라도 각도를 맞추어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침대에 앉아서 보든 똑바로 누워서 보든 혹은 옆으로 누워서 보든 어떠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무리 없이 스마트폰 등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시청하는 등의 일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 자체를 플렉시블 스트랩에 붙이거나 떼어낼 수 있어서, 원하는 물품을 적재 적소에 편리하고 신속하게 교체 장착하여 쓸 수 있으므로, 사용성과 편리성 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물품의 호환성 있는 교체 장착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며, 이로 인하여 우수한 사용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의 배면 위치에 별도의 플래시가 구비되어 있어서, 예를 들면, 다인용 병실에서 취침 등을 위하여 야간에 소등했을 때에 개인적으로 독서를 하고자 할 때에는 홀더 뒤편에 구비된 플래시를 책 방향으로 돌려서 그 부분만 조명하여 책을 볼 수 있으므로, 사용시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비단, 독서를 하는 것에만 플래시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고, 주위 사람을 의식해야 하는 상황에서 조명이 필요한 개인적인 용무를 볼 때에 본 발명을 이용하면 매우 유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스탠드형이든 이동식 설치형이든 필요한 위치에 충전기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충전잭 접속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스마트폰 등의 물품 사용중에 충전잭을 각각 스마트폰과 충전잭 접속부에 연결하여 충전할 수도 있고, 물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물론 충전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거치대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홀더의 부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홀더에 의해 사용 물품의 각도를 회전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연결 지지체의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거치대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주요부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홀더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거치대는 플렉시블 스트랩(10)과, 이러한 플렉시블 스트랩(10)의 선단부에 장착수단을 매개로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물품(1)을 내장하는 수용 공간이 구비된 홀더(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홀더(20)에 수납된 물품(1)을 플렉시블 스트랩(10)을 이용하여 상하 좌우 모든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고, 홀더(20) 자체는 장착수단에 의해 플렉시블 스트랩(10)에 탈부착 가능하면서도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플렉시블 스트랩(10)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기 편한 위치에서 편안하게 콘텐츠(영화나 각종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크게 스탠드형과 이동식 설치형으로 나뉠 수 있다.
먼저, 스탠드형의 경우 플렉시블 스트랩(10)의 기단부는 기본 지지체 기능을 하는 베이스(14)에 연결된다. 베이스(14)에 기단부가 연결된 플렉시블 스트랩(10)은 통상의 자바라식 튜브 구조를 가진 것인데, 이러한 플렉시블 스트랩(10)은 그 선단부에 장착수단과 홀더(20)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물품(1)(스마트폰이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포함한 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품(1)의 보는 각도(시야각)를 조정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플렉시블 스트랩(10)은 자바라식 튜브 이외에도 적절하게 벤딩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벤딩된 상태는 그대로 유지하는 적절한 강성을 가진 것이면 모두 채용 가능하다.
상기 홀더(20)는 내부에 스마트폰이나 피엠피 등의 물품(1)을 담을 수 있는 포켓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안정적인 물품(1)의 수납을 위해 전방이 개구된 사각 포켓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물품(1)을 홀딩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과 구조를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홀더(20)는 장착수단에 의해 플렉시블 스트랩(10)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면서도 동시에 플렉시블 스트랩(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 장착수단은 플렉시블 스트랩(10)의 선단부측에 구비된 제1 자석(32)과, 홀더(20)의 배면 위치에 구비되어 제1 자석(32)과 마주함과 동시에 제1 자석(32)과는 반대 극성을 가진 제2 자석(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렉시블 스트랩(10)의 선단부에는 대략 티자형(T자형)으로 이루어진 연결 지지체(40)가 구비된다. 연결 지지체(40)가 티자형으로 이루어지므로 하부측 보스(46)는 플렉시블 스트랩(10)의 선단부에 끼워져 적절한 결착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고, 연결 지지체(40)의 전단부측 보스(42)에는 제1 자석(32)이 인서트되고, 연결 지지체(40)의 후단부측 보스(44)에는 후술할 플래시(5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홀더(20)의 배면측 대략 중앙부 위치에는 제2 자석(32)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자석(32)은 접착제와 같은 통상의 부착수단으로 홀더(20)의 안쪽 바닥면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자석(32)과 제2 자석(32) 모두 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제1 자석(32)과 제2 자석(32)이 물품(1)을 수납하는 홀더(20)를 플렉시블 스트랩(10)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장착수단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장착수단은 다른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장착수단은 홀더(20)와 플렉시블 스트랩(10)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구비된 자석(32)과, 이러한 자석(32)에 자력으로 밀착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자석(32)과 상대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홀더(20)를 플렉시블 스트랩(10)의 선단부에 부착시키는 상대 부착물(34)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티자형 연결 지지체(40)의 전단부측 보스(42)에 자석(32)이 인서트되고 홀더(20)의 마주하는 위치에 금속재 블록 구조의 상대 부착물(34)이 구비된 구조인데, 반대로 홀더(20)에 자석(32)이 구비되고 연결 지지체(40)의 전단부측 보스에 금속재의 상대 부착물(34)이 인서트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상기 금속재 블록은 자석(32)에 붙는 상대 부착물(34)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10)에 제1 자석(32)을 직접 인서트시키고, 홀더(20)에 제2 자석(32)을 부착하거나 플렉시블 스트랩(10)에 직접 자석(32) 또는 금속재의 상대 부착물(34)을 인서트하고 상대편 홀더(20)에는 금속재 상대 부착물(34) 또는 자석(32)을 부착하여 장착수단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티자형의 연결 지지체(40)에 별도의 플래시(50)를 구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 지지체(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수단이 구비되는 전단부측 보스(42)와는 다른 별도의 후단부측 보스(44)가 구비되어, 이러한 후단부측 보스(44)에 플래시(5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플래시(50)는 전단부측에 엘이디가 내장되고 후단부측 둘레부에는 나사부가 구비된 플래시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지지체(40)의 후단부측 보스(44)의 내주면에도 나사부가 구비되어, 플래시 바디 외주면의 나사부가 연결 지지체(40)의 후단부측 보스(44) 내주면의 나사부에 나사 회전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플래시(50)가 연결 지지체(40)를 매개로 홀더(20)의 배면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연결 지지체(40)의 후단부측 보스(44)에 그냥 플래시(50)를 고정식으로 내장할 수도 있다. 또한, 플래시(50) 자체에 건전지를 넣어서 건전지로 엘이디를 발광 구동할 수도 있고, 플래시(5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여 엘이디를 발광 구동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의 미설명 부호 53은 플래시(50)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인데, 이러한 스위치를 플래시(50)에 직접 구비할 수도 있고 다른 적정한 위치에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피엠피와 같은 휴대기기 등의 기종을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잭 접속부(62)가 구비된 충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14)에 충전기를 내장하고, 베이스(14)의 상면으로는 충전기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충전잭 접속부(62)를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상기 티자형의 연결 지지체(40)에 충전기를 내장하고, 이러한 충전기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충전잭 접속부(62)를 연결 지지체(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연결 지지체의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인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 지지체(40)는 플렉시블 스트랩(10)에 연결될 하부측 보스(46)에는 힌지부(46a)에 의해 결합 단관(46b)이 구비되고, 결합 단관(46b)이 플렉시블 스트랩(10)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경우, 연결 지지체(40)를 하부측 보스(46)의 힌지부(46a)를 기준으로 상하 좌우로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 물품(1)의 사용자에 대해 보다 편한 시야각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궁극적으로, 사용 물품(1)의 상하 각도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여 사용시의 편리성 등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이동식 설치형을 보여준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10)에 브라켓이나 클램프와 같은 고정수단(70)을 구비하여, 이러한 고정수단(70)에 의해 설치 장소의 적정한 위치에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이동식 설치형은 플렉시블 스트랩(10)에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70)을 구비하여 필요한 장소에 이동하여 고정수단(70)을 매개로 설치한다는 것 이외에는 다른 구성은 상기 스탠드형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이동식 설치형에서는 티자형 연결 지지체(40)의 후단부측 보스(44)에 플래시(50)를 구비할 수 있고, 연결 지지체(40)의 내부에 충전기가 내장되고, 연결 지지체(40)의 표면으로 충전기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충전잭 접속부(6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과 도 9의 미설명 부호 53은 플래시(50)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이다.
이러한 이동식 설치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병원에서 병실의 각 개인별 침대(8)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병실 침대에 근접 설치할 경우에는 침대 난간(9)에 플렉시블 스트랩(10)의 기단부측을 고정수단(70)으로 설치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고정수단(70)으로는 침대 난가(9)에 끼워지도록 양단부가 벌려질 수 있는 가압 슬리브부의 각 양단부에 볼트공()이 있는 한 쌍의 마주하는 결합편을 구비하고, 이러한 마주하는 결합편의 볼트공()에 볼트()를 끼워서 너트()로 체결하는 구조를 가진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고정수단(70)으로는 이러한 타입 이외에 클램프가 될 수도 있으며, 이 밖에도 이동식 설치형을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는 수단은 모두 고정수단(70)으로 채용 가능할 것이다. 즉,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고정수단(70)은 다양한 타입의 고정수단(70)의 일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이동식 설치형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병실 침대(8)에 설치할 경우,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10)의 길이는 환자와의 거리를 맞추기 위해 스탠드형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하고 경우에 따라 굵기도 스탠드형의 그것보다 더 굵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물론, 병실 이외에도 가정집의 침대에 앉아서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동식 설치형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홀더(20)가 자석(32)과 자석(32)에 붙는 상대 부착물(34) 또는 극성이 다른 제1 자석(32)과 제2 자석(32)에 의해 플렉시블 스트랩(1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조라서, 홀더(20)에 스마트폰, 피엠피나 피디에이(PDA)와 휴대기기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사용 물품(1)을 수납하고 홀더(20)를 플렉시블 스트랩(10)의 선단부에 부착한 다음, 플렉시블 스트랩(10)을 벤딩시켜 사용자의 시야 범위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하고, 이어서, 홀더(20)가 상기와 같이 자석(32)과 상대 부착물(34) 또는 제1 자석(32)과 제2 자석(32)에 의해 플렉시블 스트랩(10)에 360°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홀더(20)를 필요한 각도로 돌려줌으로써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추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기타 휴대기기를 통해 영화를 보고자 할 때에는 상기와 같은 플렉시블 스트랩(10)에 의해 홀더(20)와 사용 대상 물품(1)을 사용자 쪽의 시야각에 맞추고, 상기 홀더(20)를 플렉시블 스트랩(10)에서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주면, 휴대기기로 영화를 보거나 하는 등의 경우에 휴대기기를 손으로 들지 않고 편안하게 볼 수 있음은 물론 휴대기기를 바닥에 놓고 보는 것과 같이 각도가 맞지 않아서 사용자가 자세를 구부린다든지 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몸에 무리가 가고 피로감을 느끼거나 허리가 아프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홀더(20)는 상기와 같이 원할 때에 언제든지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으므로, 기종이 다른 물품(1)을 홀더(20)에 집어넣고 플렉시블 스트랩(10)에 붙여서 사용하면 되므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물품(1)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사용하다가 피엠피를 사용하고 싶다면 홀더(20)를 플렉시블 스트랩(10)에서 떼어내고 피엠피를 홀더(20)에 집어넣어서 플렉시블 스트랩(10)에 붙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스마튼폰의 사이즈보다 피엠피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크다면 사이즈만 다른 홀더(20)를 구비하면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20)의 배면 위치에 별도의 플래시(50)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성 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인용 병실에서 취침 등을 위하여 야간에 소등했을 때에 개인적으로 독서를 하고자 할 때에는 홀더(20) 뒤편에 구비된 플래시(50)를 책 방향으로 돌려서 그 부분만 조명하여 책을 볼 수 있으므로, 사용시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플렉시블 스트랩(10)을 벤딩하여 책 위로 플래시(50)를 옮겨서 조명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다른 사람의 수면을 방해하거나 하는 등의 피해를 거의 주지 않고 독서를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플렉시블 스트랩(10)과 플래시(50)를 연결하는 대략 티자형의 연결 지지체(40)를 기준으로 플래시(50) 부분을 회동시키는 구조를 취한다면 사용이 더욱 편리할 것이다. 즉, 상기 연결 지지체(40)는 하부측 보스(46)가 구비되어, 이러한 하부측 보스(46)난 플렉시블 스트랩(10)의 선단부에 각각 제1 자석(32)과 제2 자석(32)을 내장하거나 연결 지지체(40)의 하부측 보스(46)와 플렉시블 스트랩(10) 중에서 어느 하나에 금속재의 상대 부착물(34)을 설치하고, 다른 하나에는 자석(32)을 구비하여, 이러한 장착수단에 의해 연결 지지체(40)를 플렉시블 스트랩(10)에 플래시(50) 부분과 사용 물품(1)을 내장한 홀더(20)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독서 등을 위하여 플래시(50) 부분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10)을 기준으로 티자형의 연결 지지체(40)에서 플래시(50)가 설치된 부분을 편한 위치로 회전시켜서 사용하면 되므로, 사용성에 있어서 보다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탠드형이든 이동식 설치형이든 필요한 위치에 충전기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충전잭 접속부(62)가 구비되어 있어서, 스마트폰 등의 물품(1) 사용중에 충전잭을 스마트폰 등의 물품(1)과 충전잭 접속부(62) 사이에 연결하여 충전할 수도 있고, 물품(1)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물론 충전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스탠드형의 경우 베이스(14)에 충전잭 접속부(62)가 있으므로, 스마트폰 등의 물품(1)에서 충전잭을 아래로 뽑아서 충전잭 접속부(62)에 접속하여 충전하면 될 것이고, 이동식 설치형의 경우 티자형 연결 지지체(40)에 충전잭 접속부(62)를 구비하여, 물품(1)에서 충전잭 등을 뒤로 빼서 충전잭 접속부(62)에 접속하여 충전하면 될 것이다.
한편, 상기 홀더(20)를 플렉시블 스트랩(10)에 다른 구조를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할 수도 있다. 즉, 플렉시블 스트랩(10)의 선단부에 티자형의 연결 지지체(40)를 구비하고, 홀더(20)의 배면에는 연결 지지체(40)의 전단부측 보스에 끼워지는 결합보스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 지지체(40)의 전단부측 보스와 홀더(20)의 결합보스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면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일부가 안쪽으로 돌출된 지지볼을 구비하고, 다른 면에는 지지볼이 결합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볼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 지지체(40)의 전단부측 보스에 홀더(20) 배면의 결합보스를 끼웠을 때에 지지볼이 볼결합홈에 탄성적으로 끼워짐으로써 홀더(20)가 플렉시블 스트랩(10)의 선단부에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360°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 지지체(40)의 전단부측 보스(42)에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복수개의 지지볼을 구비함과 동시에 지지볼의 일부는 연결 지지체(40)의 전단부측 보스 내주면으로 돌출시키고, 홀더(20) 배면의 결합보스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볼결합홈이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반대로, 상기 환형의 볼결합홈이 연결 지지체(40)의 전단부측 보스(42)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지지볼이 홀더(20)의 배면 결합보스에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스탠드형이든 이동식 설치형이든 물품(1)을 수납하는 홀더(20)가 필수적인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0)는 고정 홀딩편(20B)에 가동 홀딩편(20A)이 상대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러한 가동 홀딩편(20A)을 고정 홀딩편(20B)에 대해 상대 거리 조정하여 다른 사이즈의 물품(1)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 홀딩편(20B)과 가동 홀딩편(20A)과 서로 마주하는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부에 지지벽부를 구비하고 상면은 개방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 홀딩편(20B)과 가동 홀딩편(20B)이 가이드 레일과 같은 슬라이드 수단을 매개로 서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홀딩편(20B)과 가동 홀딩편(20A)은 탄지수단에 의해 서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지되되, 이들 사이의 거리는 스톱퍼에 의해 적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탄지수단은 양단부가 각각 고정 홀딩편(20B)과 가동 홀딩편(20A)에 연결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톱퍼는 고정 홀딩편(20B)과 가동 홀딩편(20A)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적정 위치에 스톱핑턱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대 스톱핑턱을 구비하여, 이들이 상호 걸림 작용을 함으로써 고정 홀딩편(20B)과 가동 홀딩편(20A) 사이가 평상시의 적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원위치에 대응하는 사이즈보다 더 큰 사이즈의 물품(1) 수납시에는 고정 홀딩편(20B)에 대해 가동 홀딩편(20A)이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고정 홀딩편(20B)과 가동 홀딩편(20A)은 각각 지지벽부에 수납된 물품(1)을 잡아서 앞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탈 방지턱은 전면에는 뒷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결합 유도면이 구비되고 물품(1)의 상면이 닿는 안쪽면은 직선형의 걸림 지지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물품(1)을 앞에서 뒤로 눌러서 홀더(20)에 집어넣을 때에는 가동 홀딩편(20A)이 벌어지면서 동시에 이탈 방지턱의 결합 유도면을 타고 원활하게 들어가고, 물품(1)이 홀더(20) 내부에 수납시에는 이탈 방지턱의 걸림 지지면이 물품(1)의 전면에 닿아서 물품(1)을 지지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 홀딩편(20B) 또는 가동 홀딩편(20A)의 지지벽부 내측면에는 손가락을 집어 넣을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대칭되는 파지홈이 구비되고, 적어도 가동 홀딩편(20A)은 배면 위치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노브가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한 손으로는 노브를 잡고 당겨서 가동 홀딩편(20A)을 벌리고, 다른 손으로는 파지홈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물품(1)을 잡고 빼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 물품(1)을 홀더(20)에 넣고 빼는 작업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플렉시블 스트랩 20. 홀더
40. 연결 지지체 50. 플래시

Claims (10)

  1.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물품을 보기 편한 위치로 변경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벤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스트랩과;
    내부에 물품을 집어넣기 위한 수용 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지지된 물품의 시야각이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홀더를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선단부에 부착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선단부에는 상기 홀더의 배면과 마주하는 보스가 구비된 연결 지지체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지지체의 상기 보스에는 상기 홀더의 배면이 상기 장착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에 상기 홀더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연결 지지체에는 조명을 위한 플래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선단부측에 구비된 제1 자석과;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자석과 마주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자석과 반대 극성을 가진 제2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 사이의 자력에 의해 상기 물품을 내장한 홀더가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홀더와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에 자력으로 밀착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자석과 상대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를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선단부에 부착시키는 상대 부착물;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과 상기 상대 부착물에 의해 상기 물품을 내장한 홀더가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연결 지지체의 상기 보스에 내장된 제1 자석과;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자석과 마주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자석과는 반대 극성인 제2 자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홀더와 상기 보스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에 자력으로 밀착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자석과 상대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를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선단부에 부착시키는 상대 부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스트랩의 기단부에는 물품 부착을 위한 기초 역할을 하는 베이스가 더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물품의 충전을 위해 접속되는 충전잭 접속부를 갖는 충전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고정 홀딩편에 가동 홀딩편이 상대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동 홀딩편을 상기 고정 홀딩편에 대해 상대 거리 조정하여 다른 사이즈의 물품을 상기 홀더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KR1020110071807A 2011-07-20 2011-07-20 거치대 KR101264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807A KR101264353B1 (ko) 2011-07-20 2011-07-20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807A KR101264353B1 (ko) 2011-07-20 2011-07-20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968A KR20130010968A (ko) 2013-01-30
KR101264353B1 true KR101264353B1 (ko) 2013-05-14

Family

ID=4784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807A KR101264353B1 (ko) 2011-07-20 2011-07-20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3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074B1 (ko) 2015-10-26 2017-03-17 신호용 밴드 타입 휴대폰 스탠드
KR20200028656A (ko) * 2018-09-07 2020-03-17 용석현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833B1 (ko) * 2015-03-19 2015-08-19 강권중 화장실용 보면대
DE102016116580B4 (de) * 2016-09-05 2019-08-29 Bury Sp.Z.O.O Haltersystem für ein elektronisches Gerä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701Y1 (ko) * 2001-03-20 2001-10-08 황해주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
KR100870641B1 (ko) * 2006-11-01 2008-11-26 승리통신(주) 핸즈프리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701Y1 (ko) * 2001-03-20 2001-10-08 황해주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
KR100870641B1 (ko) * 2006-11-01 2008-11-26 승리통신(주) 핸즈프리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074B1 (ko) 2015-10-26 2017-03-17 신호용 밴드 타입 휴대폰 스탠드
KR20200028656A (ko) * 2018-09-07 2020-03-17 용석현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968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363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160215926A1 (en) Tablet computer holder and stand
US7861985B2 (en) Hands-free device holder for securing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screen
KR101264353B1 (ko) 거치대
US202101438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n article
US20120043937A1 (en) Charger for electronic devices having a rechargeable battery
US10178923B2 (en) Multi-function organizer for smart watches and wrist watches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10816938B2 (en) Watch stand
US20090060473A1 (en) Portable Video Media Device Holder
US9169959B2 (en) Universal tablet and smartphone holder
KR200466549Y1 (ko) 단말기용 핑거 홀더
KR101208860B1 (ko) 소형 전자기기 홀딩스탠드
CN209458600U (zh) 一种新型手机、平板电脑支架
KR20120082247A (ko)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WO2016206543A1 (zh) 可进行容置和充电的机顶盒
KR102123453B1 (ko)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CN107658929B (zh) 一种活动式手机充电座
CN209881850U (zh) 一种可自由转动伸缩的智能臂
CN112998458B (zh) 一种可折叠的坐姿矫正器
CN204833078U (zh) 支架及电子设备
US20150342361A1 (en) Electric bed adapted to wirelessly recharge an electronic device
CN214429333U (zh) 无线充电支架
CN108933461A (zh) 即插式不倒翁充电宝
KR200474707Y1 (ko) 전자기기용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