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488B1 -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488B1
KR102430488B1 KR1020150165001A KR20150165001A KR102430488B1 KR 102430488 B1 KR102430488 B1 KR 102430488B1 KR 1020150165001 A KR1020150165001 A KR 1020150165001A KR 20150165001 A KR20150165001 A KR 20150165001A KR 102430488 B1 KR102430488 B1 KR 10243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pressure
pressure control
region
rest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491A (ko
Inventor
정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165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4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6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hydro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6Fluid actuator using a pump, e.g. in the line connecting the lower chamber to the upper chamber of th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1Modular constructions
    • B60G2206/0116Integrated distribution control units with valves, accumulators, PCB'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10Damping action or damper
    • B60G2500/11Damping valves
    • B60G2500/114Damping valves pressure regula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3Distributor valve unit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e.g. valves, pump or accum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는, 유체가 수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을 가압 방향의 가압영역 및 복원 방향의 복원영역으로 구획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가압영역 및 상기 복원영역 사이에 형성된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서로 병렬 연결된 제1체크밸브 및 제1압력제어밸브, 상기 제1체크밸브 및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와의 사이에 상기 가압영역과 연결되는 유체의 유동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영역 및 상기 복원영역 사이에 형성된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서로 병렬 연결된 제2체크밸브 및 제2압력제어밸브, 유체를 순환시키는 펌프 및 상기 펌프,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Active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차량의 승차감 및 자세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발전에 따라 승차감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컴퓨터의 현저한 기술 발전으로 인해서 현가장치에도 획기적인 기술 발달이 이루어진 상황이다.
일례로, 전자제어 현가장치(ECS: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는 주행상황에 따른 적절한 감쇠력 및 차고 제어등을 통해 일반 현가장치가 장착된 차량에 비해 최적화된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일 형태인 능동형 현가장치의 경우, 적재중량, 노면상황, 주행속도 등 여러 가지의 주행 상태에 대응하여,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하여 스프링 상수나 감쇠력을 주행조건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각광받고 있는 기술이다.
미국등록특허 US8672337 및 US7386378의 경우, 이와 같은 능동형 현가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영역과 압력제어밸브 사이에 충격흡수밸브가 구비되므로, 영역과 압력제어밸브 사이에 충격흡수밸브에 의한 압력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원하는 힘을 생성할 수 없으며, 또한 일반 주행 상태에서 패시브 댐퍼의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어 승차감 제어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 블로우-오프 밸브를 이용하여 충격에 강한 설계를 가지는 장점이 있으나, 블로우-오프 밸브의 작동 압력을 낮게 설정할 경우에는 생성 가능한 출력량이 줄어들며, 블로우-오프 밸브의 작동 압력을 높게 설정할 경우에는 충격에 빠른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미국등록특허 US8672337 미국등록특허 US7386378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2개의 압력제어밸브를 통해 효율적으로 차량의 승차감 및 자세를 제어할 수 있는 능동형 현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는,
유체가 수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을 가압 방향의 가압영역 및 복원 방향의 복원영역으로 구획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가압영역 및 상기 복원영역 사이에 형성된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서로 병렬 연결된 제1체크밸브 및 제1압력제어밸브, 상기 제1체크밸브 및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와의 사이에 상기 가압영역과 연결되는 유체의 유동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영역 및 상기 복원영역 사이에 형성된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서로 병렬 연결된 제2체크밸브 및 제2압력제어밸브, 유체를 순환시키는 펌프 및 상기 펌프,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펌프 및 상기 복원영역 사이에 구비되는 제3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패시브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지 않거나, 기준출력값 미만의 출력으로 구동시킨 상태로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스톤이 가압 행정을 수행하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의 압력을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의 압력보다 높게 제어하여 감쇠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스톤이 복원 행정을 수행하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의 압력을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의 압력보다 높게 제어하여 감쇠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액티브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펌프를 기준출력값 이상의 출력으로 구동시킨 상태로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의 압력을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의 압력보다 높게 제어하여 상기 피스톤을 상기 가압영역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의 압력을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의 압력보다 높게 제어하여 상기 피스톤을 상기 복원영역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복원영역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 및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영역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의 설정 압력에 따른 설정출력값이 미리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압력센서 및 상기 제2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에 따른 출력량을 상기 설정출력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F=PcAc-PrAr(Pc: 가압영역의 압력, Ac: 가압영역의 면적, Pr: 복원영역의 압력, Ar: 복원영역의 면적)의 식을 이용하여 현재 출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2개의 압력제어밸브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차량의 승차감 및 자세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외부의 상황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패시브 댐퍼 및 액티브 댐퍼의 기능을 모두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에 있어서, 패시브 모드에서 피스톤이 가압 행정을 수행하는 상태인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에 있어서, 패시브 모드에서 피스톤이 복원 행정을 수행하는 상태인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에 있어서, 액티브 모드에서의 제어에 따라 피스톤이 가압영역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에 있어서, 액티브 모드에서의 제어에 따라 피스톤이 복원영역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에 있어서, 제어부에 저장되는 설정출력값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는 실린더(100) 및 피스톤(120)을 포함하는 구동부와, 제1체크밸브(12)와, 제1압력제어밸브(10)와, 제2체크밸브(22)와, 제2압력제어밸브(20)와, 펌프(50)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 외에도 어큐뮬레이터(55)와, 제3체크밸브(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00)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며, 이때 상기 피스톤(120)은 상기 실린더(100) 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100) 내의 공간은 상기 피스톤(120)에 의해 가압영역(110b) 및 복원영역(110a)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영역(110b) 및 상기 복원영역(110a) 사이에는 유체의 유동경로가 형성되며, 제1체크밸브(12) 및 제1압력제어밸브(10)는 상기 상기 유동경로 상에 서로 병렬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제2체크밸브(22) 및 제2압력제어밸브(20) 역시 상기 유동경로 상에 서로 병렬 연결되며, 이때 상기 제1체크밸브(12) 및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10), 그리고 상기 제2체크밸브(22)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20) 사이에는 상기 가압영역(110b)과 연결되는 유체의 유동경로가 형성된다.
상기 펌프(50)는 상기 가압영역(110b)으로부터 상기 복원영역(110a) 측으로 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비되며, 이때 상기 제3체크밸브(30)는 유체가 상기 펌프(50)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55)의 경우,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50),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10)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게 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자세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능동형 현가장치의 다양한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패시브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펌프(50)를 구동시키지 않거나, 기준출력값 미만의 출력으로 구동시킨 상태로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10)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20)를 제어하며, 차량이 액티브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펌프(50)를 기준출력값 이상의 출력으로 구동시킨 상태로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기준출력값은, 차량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에 있어서, 패시브 모드에서 피스톤(120)이 가압 행정을 수행하는 상태인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시브 모드에서 피스톤(120)이 가압 행정을 수행하는 상태인 경우에는, 제2압력제어밸브(20)의 설정 압력을 높임으로써 감쇠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20)의 압력을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10)의 압력보다 높게 제어하게 되며, 유체는 가압영역(110b)으로부터 제2압력제어밸브(20) 및 제1체크밸브(12)를 경유하여 복원영역(110a) 측으로 유동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120)은 하강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에 있어서, 패시브 모드에서 피스톤(120)이 복원 행정을 수행하는 상태인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시브 모드에서 피스톤(120)이 복원 행정을 수행하는 상태인 경우에는, 제1압력제어밸브(10)의 설정 압력을 높임으로써 감쇠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10)의 압력을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20)의 압력보다 높게 제어하게 되며, 유체는 복원영역(110a)으로부터 제1압력제어밸브(10) 및 제2체크밸브(22)를 경유하여 가압영역(110b) 측으로 유동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120)은 상승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에 있어서, 액티브 모드에서의 제어에 따라 피스톤(120)이 가압영역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액티브 모드의 일 동작 예로서,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10)의 압력을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20)의 압력보다 높게 제어하여, 상기 피스톤(120)을 상기 가압영역(110b)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댐퍼 속도가 저속인 구간에서도 큰 힘을 생성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일반 댐퍼 또는 세미-액티브 댐퍼가 생성할 수 없었던 출력값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에 있어서, 액티브 모드에서의 제어에 따라 피스톤(120)이 복원영역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액티브 모드의 또 다른 동작 예로서,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20)의 압력을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10)의 압력보다 높게 제어하여, 상기 피스톤(120)을 상기 복원영역(110a)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역시 댐퍼 속도가 저속인 구간에서도 큰 힘을 생성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일반 댐퍼 또는 세미-액티브 댐퍼가 생성할 수 없었던 출력값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경우 2개의 압력제어밸브(10, 20)을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차량의 승차감 및 자세를 제어할 수 있으며, 외부의 상황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패시브 댐퍼 및 액티브 댐퍼의 기능을 모두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에 있어서, 제어부에 저장되는 설정출력값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되나, 제1압력센서(40) 및 제2압력센서(42)가 더 구비된다는 점이 다르다.
상기 제1압력센서(40)는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복원영역(110a)의 압력을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제2압력센서(42)는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영역(110b)의 압력을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압력센서(40) 및 상기 제2압력센서(42)가 구비됨으로 인해, 제어부는 상기 제1압력센서(40) 및 상기 제2압력센서(42)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을 상기 설정출력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10)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20)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의 속도,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10)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20)의 설정 압력에 따른 다양한 설정출력값이 미리 저장된다.
이후 차체의 수직 가속도, 휠의 수직 가속도, 댐퍼의 상대 변위, 차속, 조향각, 횡 가속도 및 종 가속도 등의 신호를 통해 요구 출력량의 힘이 결정되면, 현재 댐퍼 속도에 근거해 각 압력제어밸브(10, 20)의 요구 설정 압력을 도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압력센서(40) 및 상기 제2압력센서(42)로부터 측정된 실측 압력값에 따른 출력량을 상기 설정출력값과 비교하게 되며,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10)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20)의 압력을 제어하여 높이거나 낮춰 요구되는 출력량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에서 현재의 출력량을 산출하는 방식은, F=PcAc-PrAr(Pc: 가압영역의 압력, Ac: 가압영역의 면적, Pr: 복원영역의 압력, Ar: 복원영역의 면적)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식을 통해 현재 출력량을 산출하고, 차체 수직 가속도, 휠 수직 가속도, 댐퍼의 상대 변위, 차속, 조향각, 횡 가속도, 종 가속도 등의 신호를 통해 요구 출력량이 결정되면, 현재 출력량과 설정출력값의 차이에 따라 펌프(50)와 각 압력제어밸브(10, 20)의 설정 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제1압력제어밸브 12: 제1체크밸브
20: 제2압력제어밸브 22: 제2체크밸브
30: 제3체크밸브 40: 제1압력센서
42: 제2압력센서 50: 펌프
55: 어큐뮬레이터 100: 실린더
110a: 복원영역 110b: 가압영역
120: 피스톤

Claims (11)

  1. 유체가 수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을 가압 방향의 가압영역 및 복원 방향의 복원영역으로 구획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가압영역 및 상기 복원영역 사이에 형성된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서로 병렬 연결된 제1체크밸브 및 제1압력제어밸브;
    상기 제1체크밸브 및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와의 사이에 상기 가압영역과 연결되는 유체의 유동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영역 및 상기 복원영역 사이에 형성된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서로 병렬 연결된 제2체크밸브 및 제2압력제어밸브;
    유체를 순환시키는 펌프; 및
    상기 펌프,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패시브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지 않거나, 기준출력값 미만의 출력으로 구동시킨 상태로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및 상기 복원영역 사이에 구비되는 제3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스톤이 가압 행정을 수행하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의 압력을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의 압력보다 높게 제어하여 감쇠력을 증가시키는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스톤이 복원 행정을 수행하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의 압력을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의 압력보다 높게 제어하여 감쇠력을 증가시키는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6. 유체가 수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을 가압 방향의 가압영역 및 복원 방향의 복원영역으로 구획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가압영역 및 상기 복원영역 사이에 형성된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서로 병렬 연결된 제1체크밸브 및 제1압력제어밸브;
    상기 제1체크밸브 및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와의 사이에 상기 가압영역과 연결되는 유체의 유동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영역 및 상기 복원영역 사이에 형성된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서로 병렬 연결된 제2체크밸브 및 제2압력제어밸브;
    유체를 순환시키는 펌프; 및
    상기 펌프,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액티브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펌프를 기준출력값 이상의 출력으로 구동시킨 상태로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의 압력을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의 압력보다 높게 제어하여 상기 피스톤을 상기 가압영역 측으로 이동시키는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의 압력을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의 압력보다 높게 제어하여 상기 피스톤을 상기 복원영역 측으로 이동시키는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9. 유체가 수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을 가압 방향의 가압영역 및 복원 방향의 복원영역으로 구획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가압영역 및 상기 복원영역 사이에 형성된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서로 병렬 연결된 제1체크밸브 및 제1압력제어밸브;
    상기 제1체크밸브 및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와의 사이에 상기 가압영역과 연결되는 유체의 유동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영역 및 상기 복원영역 사이에 형성된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서로 병렬 연결된 제2체크밸브 및 제2압력제어밸브;
    유체를 순환시키는 펌프; 및
    상기 펌프,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복원영역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 및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영역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의 설정 압력에 따른 설정출력값이 미리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압력센서 및 상기 제2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에 따른 출력량을 상기 설정출력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제어밸브의 압력을 제어하는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F=PcAc-PrAr
    (Pc: 가압영역의 압력, Ac: 가압영역의 면적, Pr: 복원영역의 압력, Ar: 복원영역의 면적)
    의 식을 이용하여 현재 출력량을 산출하는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KR1020150165001A 2015-11-24 2015-11-24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KR102430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001A KR102430488B1 (ko) 2015-11-24 2015-11-24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001A KR102430488B1 (ko) 2015-11-24 2015-11-24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491A KR20170060491A (ko) 2017-06-01
KR102430488B1 true KR102430488B1 (ko) 2022-08-08

Family

ID=5922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001A KR102430488B1 (ko) 2015-11-24 2015-11-24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4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4592B2 (ja) * 1988-07-08 1998-03-09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0612A (ko) * 1996-04-03 1997-11-07 김영귀 세미액티브 댐퍼의 댐핑계수 조절장치
US7386378B2 (en) 2003-09-11 2008-06-10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Linear control of an automobile suspension
EP2156970A1 (en) 2008-08-12 2010-02-24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Multi-point hydraulic suspension system for a land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4592B2 (ja) * 1988-07-08 1998-03-09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491A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0115B2 (en) Vehicle seat or vehicle cab with a suspension system, and utility vehicle
US10421330B2 (en) De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damper force and damper velocity in active suspension system
US9937832B2 (en) Vehicle seat or vehicle cabin having a suspension apparatus and utility vehicle
US7510060B2 (en) Damper with variable damping force
WO2016072512A1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および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US8948941B2 (en) Railway vehicle vibration damping device
US8672335B2 (en) Suspension systems and methods with independent stiffness and height tuning
KR20120114349A (ko) 서스펜션 장치
US9340218B2 (en) Railway vehicle damping device
US20180326810A1 (en) Suspension device
JP5427082B2 (ja) 鉄道車両用制振装置
JP2011202675A (ja)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CN110198876B (zh) 铁路车辆用减震装置
KR102416935B1 (ko)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KR102430488B1 (ko)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CN105196822A (zh) 减振系统
EP3163115B1 (en) Damper control device
US1043483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method for roll compensation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JP2011184018A (ja) 鉄道車両用制振装置
CN110214277B (zh) 恒定加速度检测装置和铁路车辆用减震装置
WO2016024539A1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2345236B1 (ko) 액티브 서스펜션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70246B1 (ko) 서스펜션 장치 및 서스펜션 제어 방법
KR20170086979A (ko)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JP4664759B2 (ja) ストロークセンサの異常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