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066B1 - Luggage fixing apparatus used in luggage trunk in bus - Google Patents

Luggage fixing apparatus used in luggage trunk in b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066B1
KR102429066B1 KR1020170173494A KR20170173494A KR102429066B1 KR 102429066 B1 KR102429066 B1 KR 102429066B1 KR 1020170173494 A KR1020170173494 A KR 1020170173494A KR 20170173494 A KR20170173494 A KR 20170173494A KR 102429066 B1 KR102429066 B1 KR 102429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ear
fixing device
luggage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2271A (en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3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066B1/en
Publication of KR2019007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2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0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어 롤러부가 이동함에 따라 레일을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버스 수하물 운반시에 유동을 방지하여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하물 하차 시간을 단축하고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luggage fixing device of a bus cargo box. Baggage fixing device of a bus cargo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l; a roller unit reciprocating along the rai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ear unit connected to the roller unit and a sliding bar connected to the gear unit to reciprocate the rail as the roller unit moves, thereby preventing the flow during bus luggage transport to prevent damage to the cargo, and unloading the luggage.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reducing time and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Description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LUGGAGE FIXING APPARATUS USED IN LUGGAGE TRUNK IN BUS}Baggage Fixture in Bus Cargo Box {LUGGAGE FIXING APPARATUS USED IN LUGGAGE TRUNK IN BUS}

본 발명은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수하물을 화물함에 적재시에 분리 고정하여 수하물의 유동 및 섞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uggage fixing device for a bus luggag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luggage fixing device for a bus luggage box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the flow and mixing of luggage by separating and fixing the bus luggage when loading the luggage box.

일반적으로, 버스 등은 대형수송용 차량으로 설계되므로 차실내에는 가능한 다수의 승객이 앉게 되는 좌석이 배치되고, 좌석승객을 제외한 입석승객의 공간확보를 위해 최대한의 입실공간확보를 우선으로 설계된다.In general, buses, etc., are designed as large-scale transportation vehicles, so seats for as many passengers as possible are arrang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버스에 탑승하는 승객들은 각종 수화물 등을 소지한 채로 버스 실내로 탑승하여 각각의 좌석에 착석하게 되는데, 이때 버스 실내에는 비교적 부피가 작은 물건들을 올려 놓아 보관할 수 있도록 버스의 천정측에 선반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탑승객이 소지하는 물품중 소량의 물품인 경우에는 차실내의 루프패널 인접면에서 하방에 설치된 차실선반에 소형화물함이 설치되어 탑승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Passengers boarding the bus with various kinds of luggage, etc., get on the inside of the bus and are seated in each seat. have. Therefore, in the case of a small amount of articles carried by the passenger, a small cargo box is installed on the car compartment shelf installed below the surface adjacent to the roof panel in the car cabin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

이와 달리, 선반에 올려 보관할 수 없는 소형화물을 제외한 대형화물의 적재공간은 입석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차실 외부의 버스의 하부에 화물칸이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loading space for large cargo except for small cargo that cannot be stored on a shelf, a cargo compartmen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us outside the vehicle to secure a standing space.

특히, 화물칸을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화물칸의 바닥 또는 측벽에는 수화물들을 보관한 후 버스의 주행시 요동에 의해 수화물들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수대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화물칸의 개구된 부위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도어는 상부를 힌지점으로 하부를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particular, in configuring the cargo compartment, conventionally,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order to prevent luggage from flowing due to fluctuations when the bus is running after storing luggage on the floor or sidewall of the luggage compartment, and opening and closing the opened portion of the luggage compartment. A door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the lower part with the upper part as a hinge point.

도 1은 종래의 버스의 화물칸의 화물 고정 장치의 모식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argo fixing device of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conventional bus.

도 1을 참조하면, 버스(10)의 화물칸(12) 상단에 고정봉(14)을 설치하고 이 고정봉(14) 내부에 다수개의 이동캠(24,24a,24b)을 내장시킴과 각각의 이동캠(24,24a,24b)에 절곡된 고정부재(16,16a,16b)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고정부재(16,16a,16b)에 주 플레이트(18,18a,18b)와 보조 플레이트(20,20a,20b)를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1, a fixed rod 14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cargo compartment 12 of the bus 10, and a plurality of moving cams 24, 24a, 24b are built in the fixed rod 14, and each The bent fixing members 16, 16a, 16b are fixed to the moving cams 24, 24a, 24b, and the main plates 18, 18a, 18b and the auxiliary plate 20 are fixed to the fixing members 16, 16a, 16b. , 20a, 20b) are formed integrally, respectively.

또한,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16,16a,16b) 상단부 끝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이 나사부 외측에 너트(22,22a,22b)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Further, each of the fixing members 16, 16a, 16b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crew por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upper end, and nuts 22, 22a, 22b are provided outside the screw por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물은 부품수가 많고, 조립공정과 구조가 복잡하고 수화물 정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적재물 이동구조가 도입되었으나 별도의 화물 고정 구조가 없고, 그물망을 이용한 경우에 고중량 화물에 의해 차량 운행중 화물 유동 및 손상되고, 특히 버스 터미널 위치에 따라 화물을 분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parts is large, the assembly process and structure are complicated, and luggage arrangement is not made.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a structure for moving loads using sliding rails has been introduced, but there is no separate cargo fixing structure. The problem is that it can't be don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출원 제 20-1999-006622 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1999-006622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버스 수하물 하차시 뒤섞임을 방지하기 위해 터미널별로 수하물을 적재, 분리 및 고정하는 장치이며 가방 등 수하물을 터미널별로 분리하여 유동 및 섞임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loading, separating, and fixing baggage for each terminal in order to prevent mixing when disembarking the bus baggag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We would like to provide a luggage locking device for the bus cargo box that can do thi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어 롤러부가 이동함에 따라 레일을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a roller unit reciprocating along the rail; It may include a gear unit connected to the roller unit and a sliding bar connected to the gear unit to reciprocate the rail as the roller unit moves.

상기 기어부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제 1 기어를 연결하는 연결구 및 상기 피니언 기어와 결합되어 제 1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 2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ar unit includes a pinion gear; a first gear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It may include a connector connecting the pinion gear and the first gear, and a second gear coupled to the pinion gear to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gear.

상기 피니언 기어는 제 1 기어를 축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The pinion gear may be rotatable about the first gear.

상기 연결구는 슬라이딩 바와 함께 회전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connector may have a structure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sliding bar.

상기 제 1 기어와 제 2 기어는 피니언 기어의 해제시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may be engaged when the pinion gear is released.

상기 레일은 슬라이딩 바의 양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The rails may be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bar.

상기 슬라이딩 바는 기어부의 제 1 기어의 회전 축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The sliding bar may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gear of the gear unit.

상기 슬라이딩 바는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liding bar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상기 롤러부는 롤러 케이스; 상기 롤러 케이스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롤러 및 상기 제 1 롤러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ller unit includes a roller case; It may include a first roller positioned in front of the roller case and a second roller positioned behind the first roller.

상기 롤러 케이스는 레일을 왕복 이동할 수 있다.The roller case may reciprocate the rail.

상기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는 롤러 케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may be provided in the roller case.

상기 롤러 케이스에는 슬라이드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The roller cas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lide hole is perforated.

상기 슬라이드 구멍은 세장형 형상일 수 있다.The slide hole may have an elongated shape.

상기 슬라이드 구멍의 폭은 롤러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The width of the slide hole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roller.

상기 슬라이드 구멍에서 제 2 롤러가 슬라이드 가능할 수 있다.A second roller may be slidable in the slide hole.

상기 제 1 롤러는 기어부의 제 1 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The first roller may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first gear of the gear unit.

상기 제 2 롤러는 기어부의 제 2 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The second roller may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of the gear unit.

상기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는 탄성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may be connected by an elastic spring.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는 버스 수하물 운반시에 유동을 방지하여 화물의 손상을 예방하고, 수하물을 분리하여 적재하므로 수하물 하차시에 섞임을 방지하여 시간 소모를 단축하고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ggage fixing device of the bus cargo box prevents damage to the cargo by preventing the flow when transporting the bus luggage, and separates and loads the luggage to prevent mixing when disembarking the luggage, thereby saving time.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shortening and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도 1은 종래의 버스의 화물칸의 화물 고정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A부분의 확도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B부분의 확도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에서 화물을 고정하는 경우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C부분의 확도 모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argo fixing device of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conventional bus.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uggage fixing device of a bus cargo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schematic diagram of part A of the baggage fixing device of the bus cargo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2 .
4 is an enlarged schematic diagram of a portion B of the baggage fixing device of the bus cargo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3 .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se in which cargo is secured in the baggage fixing device of a bus cargo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schematic diagram of a portion C of the baggage fixing device of the bus cargo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5 .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matters expres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different from the forms actually implemented in the drawings schematically for easy expla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그리고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And, "connection" herein includes direct connection and indirect connection between one member and another member, and may mean all physical connections such as adhesion, attachment, fastening, bonding, and bonding.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only for distinguish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other characteristics between the component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ing" are intended to mean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may be construed that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may be added.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의 구조물은 부품수가 많고, 조립공정이 복잡 구조가 복잡하고 수화물 정리가 불가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차량의 운행중에 화물이 손상되고, 특히 공항버스의 경우에 타인 화물 오수령 발생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First, prior to explaining the luggage fixing device of the bus cargo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blems in that the conventional structure has a large number of parts,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luggage arrangement is impossibl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cargo is damag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airport bus, misreceiving of cargo by others occurs frequently.

따라서, 버스 수하물 하차시 뒤섞임을 방지하기 위해 터미널별로 수하물을 적재, 분리 및 고정하여 유동 및 오수령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luggage fixing device for a bus cargo box that can prevent flow and misreception by loading, separating and fixing luggage for each terminal in order to prevent mixing when disembarking the bus luggage, and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rough repeated research and various experiments, there is provided a luggage fixing device for a bus cargo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A부분의 확도 모식도이며,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B부분의 확도 모식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ggage fixing device of a bus cargo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schematic diagram of part A of a luggage fixing device of a bus cargo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and FIG. 4 is an enlarged schematic diagram of part B of the baggage fixing device of the bus cargo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3 .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는 레일(110)이 슬라이딩 바(17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2 to 4 together, in the luggage fixing device of the bus cargo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110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bar 170, respectively.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0), 상기 레일(110)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롤러부(130), 상기 롤러부(130)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부(150) 및 상기 기어부(150)와 연결되어 롤러부(130)가 이동함에 따라 레일(110)을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by enlarging part A of FIG. 2 , a rail 110 , a roller part 130 reciprocating along the rail 110 , a gear part connected to the roller part 130 ( 150) and a sliding bar 170 connected to the gear unit 150 to reciprocate the rail 110 as the roller unit 130 moves.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도 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부(150)는 피니언 기어(153), 상기 피니언 기어(153)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기어(151), 상기 피니언 기어(153)와 제 1 기어(151)를 연결하는 연결구(154) 및 상기 피니언 기어(153)와 결합되어 제 1 기어(151)와 함께 회전하는 제 2 기어(1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FIG. 4 by enlarging part B of FIG. 3 , the gear unit 150 includes a pinion gear 153 and a first gear 151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153 . ), a connector 154 connecting the pinion gear 153 and the first gear 151, and a second gear 152 coupled to the pinion gear 153 to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gear 151 is composed of

이러한 구조에서, 도면에서는 제 1 기어(151)와 상기 피니언 기어(153)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 기어(153)와 제 2 기어(15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153)는 제 1 기어(151)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 1 기어(151)와 제 2 기어(152)는 피니언 기어(153)의 해제시에 결합하게 되는 구조이다.In this structure, in the drawing, the first gear 151 and the pinion gear 153 are coupled, and the pinion gear 153 and the second gear 152 are coupled. The pinion gear 153 is rotatable about the first gear 151 , and the first gear 151 and the second gear 152 are coupled when the pinion gear 153 is released.

여기서, 상기 연결구(154)는 슬라이딩 바(170)와 함께 회전하는 구조이며, 상기 슬라이딩 바(170)는 기어부(150)의 제 1 기어(151)의 회전 축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바(170)는 레일(110)을 따라 왕복 이동이 용이하도록 핸들(17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Here, the connector 154 has a structure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sliding bar 170 , and the sliding bar 17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gear 151 of the gear unit 150 . Here, the sliding bar 17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andle 172 to facilitate reciprocating movement along the rail 110 .

또한, 상기 롤러부(130)는 롤러 케이스(133), 상기 롤러 케이스(133)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롤러(131) 및 상기 제 1 롤러(13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롤러(1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unit 130 includes a roller case 133 , a first roller 131 positioned in front of the roller case 133 , and a second roller 132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first roller 131 . is comprised of

여기서, 상기 롤러 케이스(133)는 레일을 왕복 이동하며 제 1 롤러(131)와 상기 제 2 롤러(132)는 롤러 케이스(133)에 구비되어 있되, 전방에는 상기 제 1 롤러(131)가 위치하고, 상기 제 1 롤러(131)의 후방에 상기 제 2 롤러(132)가 위치하고 있어 제 1 롤러(131)와 제 2 롤러(132)에 의해 상기 롤러 케이스(133)가 레일을 왕복 이동하게 된다.Here, the roller case 133 reciprocates the rail, and the first roller 131 and the second roller 132 are provided in the roller case 133, and the first roller 131 is positioned in front. , the second roller 132 is positioned behind the first roller 131 so that the roller case 133 reciprocates the rail by the first roller 131 and the second roller 132 .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롤러 케이스(133)에는 슬라이드 구멍(134)이 천공되어 있되, 상기 슬라이드 구멍(134)은 세장형 형상으로 상기 슬라이드 구멍(134)의 폭은 롤러, 즉 상기 제 2 롤러(132)의 폭에 대응하며, 상기 슬라이드 구멍(134)에서 상기 제 2 롤러(132)가 이동 가능하다.In this structure, a slide hole 134 is perforated in the roller case 133 , the slide hole 134 has an elongated shape, and the width of the slide hole 134 is a roller, that is, the second roller 132 . ), the second roller 132 is movable in the slide hole 134 .

상기 제 1 롤러(131)는 기어부(150)의 제 1 기어(15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롤러(132)는 기어부(150)의 제 2 기어(15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롤러(131) 및 상기 제 2 롤러(132)는 탄성 스프링(19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The first roller 131 is connected to the first gear 151 of the gear unit 150 , and the second roller 1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152 of the gear unit 150 . In addition, the first roller 131 and the second roller 132 are connected by an elastic spring 190 .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에서 화물을 고정하는 경우의 모식도이고,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C부분의 확도 모식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se in which cargo is secured in a luggage fixing device of a bus cargo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luggage fixing device of a bus cargo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accuracy of part C.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는 레일(110), 상기 레일(110)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롤러부(130), 상기 롤러부(130)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부(150) 및 상기 기어부(150)와 연결되어 롤러부(130)가 이동함에 따라 레일(110)을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5 and 6 together, as described above, the baggage fixing device of the bus cargo box includes a rail 110 , a roller unit 130 reciprocating along the rail 110 , the roller unit 130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ed gear unit 150 and a sliding bar 170 connected to the gear unit 150 to reciprocate the rail 110 as the roller unit 130 moves.

이러한 구조에서, 도 5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부(150)는 피니언 기어(153), 상기 피니언 기어(153)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기어(151), 상기 피니언 기어(153)와 제 1 기어(151)를 연결하는 연결구(154) 및 상기 제 1 기어(151)와 결합되어 있는 제 2 기어(1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this structure, as shown in FIG. 6 by enlarging part C of FIG. 5, the gear part 150 is a pinion gear 153, a first gear 151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153,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or 154 connecting the pinion gear 153 and the first gear 151 and a second gear 152 coupled to the first gear 151 .

여기서, 상기 연결구(154)는 슬라이딩 바(170)와 함께 회전하는 구조이며, 상기 슬라이딩 바(170)는 기어부(150)의 제 1 기어(151)의 회전 축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바(170)는 핸들(17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핸들(172)은 자중에 의해 지면 방향을 향해 있다.Here, the connector 154 has a structure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sliding bar 170 , and the sliding bar 17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gear 151 of the gear unit 150 . The sliding bar 17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andle 172, the handle 172 is directed toward the ground by its own weight.

상기 핸들(172)이 지면 방향을 향하고 있고, 상기 핸들(172)이 장착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딩 바(170)가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 바(170)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연결구(154)도 함께 지면을 향해 회전되어 있는 구조이다.The handle 172 faces the ground direction, and the sliding bar 170 on which the handle 172 is mounted rotates and the connector 154 rotates together with the sliding bar 170 also faces the ground. It is a rotating structure.

또한, 상기 연결구(154)는 상기 피니언 기어(153)와 제1 기어(151)를 연결하되, 상기 연결구(154)가 지면을 향해 회전되어 있어 상기 피니언 기어(153)도 지면을 향해 있고, 제 1 기어(151)와 상기 제 2 기어(152)가 탄성 스프링(190)의 복원력에 의해 맞물려 있는 구조이다.In addition, the connector 154 connects the pinion gear 153 and the first gear 151, but the connector 154 is rotated toward the ground so that the pinion gear 153 also faces the ground, and the first gear 151 is rotated toward the ground. The first gear 151 and the second gear 152 are mesh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190 .

여기서, 상기 롤러부(130)는 롤러 케이스(133), 상기 롤러 케이스(133)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롤러(131) 및 상기 제 1 롤러(13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롤러(1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Here, the roller unit 130 includes a roller case 133 , a first roller 131 positioned in front of the roller case 133 , and a second roller 132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first roller 131 . is comprised of

이 경우에, 상기 롤러 케이스(133)에는 슬라이드 구멍(134)이 천공되어 있되, 상기 슬라이드 구멍(134)에서 상기 제 2 롤러(132)는 상기 피니언 기어(153)가 자중에 의해 하향 회전하면 탄성 스프링(190)에 의해 슬라이드 구멍(134)의 전방으로 이동된다.In this case, a slide hole 134 is perforated in the roller case 133, and the second roller 132 in the slide hole 134 is elastic when the pinion gear 153 rotates downward by its own weight. The spring 190 moves forward of the slide hole 134 .

도 2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작동 관계를 기술하면, 먼저 레일(110), 상기 레일(110)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롤러부(130), 상기 롤러부(130)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부(150) 및 상기 기어부(150)와 연결되어 롤러부(130)가 이동함에 따라 레일(110)을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바(170)는 레일(110)을 따라 왕복 이동이 용이하도록 핸들(172)이 구비되어 있다.When describ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luggage fixing device of the bus cargo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together, first, the rail 110, the roller part (reciprocating along the rail 110) 130), the gear unit 150 connected to the roller unit 130 and the sliding bar 170 connected to the gear unit 150 to reciprocate the rail 110 as the roller unit 130 moves. is configured to include, and the sliding bar 170 is provided with a handle 172 to facilitate reciprocating movement along the rail 110 .

이러한 구조에서, 수하물을 버스 화물함에 터미털 별로 적재 후에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핸들(172)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바(170)를 상기 레일(110)을 따라 이동시킨다.In this structure, the sliding bar 170 is moved along the rail 110 using the handle 172 to prevent the luggage from flowing after loading the luggage at each terminal in the bus cargo box.

상기 슬라이딩 바(170)가 이동을 시작하면 제 1 롤러(131)와 제 2 롤러(132)가 롤러 케이스(133)에 구비되어 있되, 전방에는 상기 제 1 롤러(131)가 위치하고, 상기 제 1 롤러(131)의 후방에 상기 제 2 롤러(132)가 위치하고 있어 제 1 롤러(131)와 제 2 롤러(132)에 의해 상기 롤러 케이스(133)가 레일을 왕복 이동하게 된다.When the sliding bar 170 starts to move, a first roller 131 and a second roller 132 are provided in the roller case 133, and the first roller 131 is positioned in front, and the first Since the second roller 132 is positioned behind the roller 131 , the roller case 133 reciprocates along the rail by the first roller 131 and the second roller 132 .

이때, 상기 제 1 롤러(131)는 기어부(150)의 제 1 기어(15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롤러(132)는 기어부(150)의 제 2 기어(15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어(151)와 상기 피니언 기어(153)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 기어(153)와 제 2 기어(152)가 결합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roller 131 is connected to the first gear 151 of the gear unit 150 , and the second roller 1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152 of the gear unit 150 . have. In addition, the first gear 151 and the pinion gear 153 are coupled, and the pinion gear 153 and the second gear 152 are coupled.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제 1 롤러(131)와 상기 제 2 롤러(132)가 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 기어(151)와 상기 제 2 기어(152)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 바(170)가 계속해서 이동을 하게 된다.In this structure, as the first roller 131 and the second roller 132 rotate forward, the first gear 151 and the second gear 152 also rotate together to rotate the sliding bar 170 . will continue to move.

상기 슬라이딩 바(170)가 수하물을 고정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딩 바(170)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핸들(172)을 놓게 된다. 이때, 상기 핸들(172)은 자중에 의해 지면을 향해 회전하고, 상기 슬라이딩 바(170)도 회전하되 제 1 기어(151)와 상기 피니언 기어(153)를 연결하는 연결구(154)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When the sliding bar 170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luggage is fixed, the handle 172 provided on the sliding bar 170 is released. At this time, the handle 172 rotates toward the ground by its own weight, and the sliding bar 170 also rotates, but the connector 154 connecting the first gear 151 and the pinion gear 153 rotates together. do.

상기 연결구(154)가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153)도 함께 지면을 향해 회전하게 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153)가 제 1 기어(151)와 상기 제 2 기어(152) 사이에서 이탈되어 제 1 기어(151)에만 결합된 상태로 하방향에 위치된다.When the connector 154 rotates, the pinion gear 153 also rotates toward the ground so that the pinion gear 153 is separated between the first gear 151 and the second gear 152 to be the first gear. It is loc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a state coupled only to (151).

이때, 탄성 스프링(19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 2 롤러(132)가 상기 제 1 롤러(131)를 향해 슬라이드 구멍(134) 내에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 2 롤러(132)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2 롤러(132)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어(152)도 제 1 기어(151)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 1 기어(151)와 상기 제 2 기어(152)가 맞물리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roller 132 is moved in the slide hole 134 toward the first roller 131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190, and as the second roller 132 moves, The second gear 152 connected to the second roller 132 also moves toward the first gear 151 so that the first gear 151 and the second gear 152 are meshed with each other.

제 1 기어(151)와 상기 제 2 기어(152)가 결합되면, 상기 슬라이딩 바(170)가 수하물을 고정하는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게 되어 수하물을 유동함이 없이 고정하게 된다.When the first gear 151 and the second gear 152 are coupled, the sliding bar 170 does not move from the position where the baggage is fixed, so that the baggage is fixed without movin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는 버스 수하물 운반시에 유동을 방지하여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하물을 터미널별로 분리하여 적재하므로 수하물 하차시에 섞임을 방지하므로 수하물 하차 시간을 단축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baggage fixing device of the bus cargo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amage to the cargo by preventing flow during bus baggage transportation, and reduces baggage unloading time because baggage is separated and loaded for each terminal to prevent mixing when unloading baggage.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가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only presented by selecting and presenting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among various possible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only by the presented embodiments. No, it is revealed that various changes, addi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ddi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defined, and conventional or dictionary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by meaning. In addition, the order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above process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erformed in a chronological order, and if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atisfied even if the execution order of each component and step is changed, such a proces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ere is

110: 레일 130: 롤러부
131: 제 1 롤러 132: 제 2 롤러
133: 롤러 케이스 134: 슬라이드 구멍
150: 기어부 151: 제 1 기어
152: 제 2 기어 153: 피니언 기어
154: 연결구 170: 슬라이딩 바
172: 핸들 190: 탄성 스프링
110: rail 130: roller unit
131: first roller 132: second roller
133: roller case 134: slide hole
150: gear unit 151: first gear
152: second gear 153: pinion gear
154: connector 170: sliding bar
172: handle 190: elastic spring

Claims (18)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일을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를 연결하는 연결구; 및
상기 피니언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 2 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rail;
a roller unit reciprocating along the rail;
a gear unit connected to the roller unit; and
and a sliding bar connected to the gear unit to reciprocate the rail as the roller unit moves.
The gear unit,
pinion gear;
a first gear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a connector connecting the pinion gear and the first gear; and
a second gear coupled to the pinion gea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first gear;
Baggage fixing device of the bus cargo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제 1 기어를 축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inion gear is a luggage fixing device for a bus cargo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e about the first gear as an ax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슬라이딩 바와 함께 회전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is a luggage fixing device of a bus cargo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rotates together with the sliding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해제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pinion gear is relea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슬라이딩 바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ail is a luggage fixing device for a bus cargo box, characterized in that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는 상기 제 1 기어의 회전 축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liding bar is a luggage fixing device for a bus cargo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ge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liding bar is a luggage fixing device for a bus cargo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롤러 케이스;
상기 롤러 케이스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롤러; 및
상기 제 1 롤러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oller unit,
roller case;
a first roller positioned in front of the roller case; and
a second roller positioned behind the first roller;
Baggage fixing device of the bus cargo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케이스는 상기 레일을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oller case is a luggage fixing device of a bus cargo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rai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 및 상기 제 2 롤러는 상기 롤러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re luggage fixing device for a bus cargo box,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roller cas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케이스에는 슬라이드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Luggage fixing device for a bus cargo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er case is perforated with a slide hol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구멍은 세장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lide hole is a luggage fixing device for a bus cargo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elongated shap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구멍의 폭은 롤러의 폭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width of the slide hole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roll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구멍에서 상기 제 2 롤러가 슬라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luggage fixing device of the bus cargo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oller is slidable in the slide hol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는 상기 제 1 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first roller is connected to the first gea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롤러는 상기 제 2 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second roll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 및 상기 제 2 롤러는 탄성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lastic spring.
KR1020170173494A 2017-12-15 2017-12-15 Luggage fixing apparatus used in luggage trunk in bus KR1024290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494A KR102429066B1 (en) 2017-12-15 2017-12-15 Luggage fixing apparatus used in luggage trunk in b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494A KR102429066B1 (en) 2017-12-15 2017-12-15 Luggage fixing apparatus used in luggage trunk in b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271A KR20190072271A (en) 2019-06-25
KR102429066B1 true KR102429066B1 (en) 2022-08-04

Family

ID=6706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494A KR102429066B1 (en) 2017-12-15 2017-12-15 Luggage fixing apparatus used in luggage trunk in b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06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831B1 (en) * 2015-05-0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for fixing the lugga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672U (en) * 1997-06-20 1999-01-15 박병재 Load-bearing structure of car trunk room
KR200157038Y1 (en) 1997-07-29 1999-09-15 양재신 Luggage fixing apparatus used in luggage trunk in a bus
KR19990011398U (en)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Luggage fasteners in the trunk
KR20000003712U (en) * 1998-07-29 2000-02-25 전민용 Seat sliding of ca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831B1 (en) * 2015-05-0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for fixing the lugg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271A (en)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0686B2 (en) Vehicle including pivotable panel extending across door opening
US9090210B2 (en) Motor vehicle with height adjusting device for loading floor
CN201646568U (en) Passenger vehicle
CN104114793A (en) Overslam bumper for vehicle door latch
CN104029637A (en)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motor vehicle
EP3741597B1 (en) Modular rea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AT513939A1 (en) Overhead overhead storage compartment for aircraft and aircraft with such overhead storage compartments
US9376062B2 (en) Carrier apparatus for vehicle
RU2020121202A (en) DESIGN OF THE LUGGAGE COMPARTMENT FOR INDUSTRIAL VEHICLES, IN PARTICULAR, FOR A TRUCK
WO2010118913A4 (en) Transformable luggage storage compartment for an aircraft cabin
DE10140674A1 (en) Motor vehicle with a receiving space arranged in a vehicle end region
CN104029613A (en) Luggage retention system and method
CN104029616A (en) Luggage Retention System And Method
KR102429066B1 (en) Luggage fixing apparatus used in luggage trunk in bus
WO2016094916A1 (en) Overhead luggage compartment for aircraft
DE102011057126A1 (en)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CN206327267U (en) Bicycle connection system and motor vehicles for motor vehicles cargo area
US20150329207A1 (en) Overhead storage compartment cover assembly and methods to use same
CN103938995A (en) Separated hatchback door of automobile
CN109849798B (en) Cover frame device for vehicle
KR200469157Y1 (en) The locking apparatus of hard-top
US11491920B2 (en) Rear module for a motor vehicle, and a motor vehicle having a rear module
DE202018000689U1 (en) System for carrying, picking up and unloading loads and goods for electric motor vehicles and hybrid vehicles
DE102015202420B4 (en) Door lining, vehicle door with a door lining and vehicle with a vehicle door
KR101996243B1 (en) Wing door locking apparatus for wing body type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