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982B1 -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7982B1 KR102427982B1 KR1020170080856A KR20170080856A KR102427982B1 KR 102427982 B1 KR102427982 B1 KR 102427982B1 KR 1020170080856 A KR1020170080856 A KR 1020170080856A KR 20170080856 A KR20170080856 A KR 20170080856A KR 102427982 B1 KR102427982 B1 KR 1024279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portable terminal
- public key
- token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1—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by access privileges are related to the identifi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3—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8—Encry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being encrypted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5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6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 시스템은 차량의 공개키 및 차량의 개인키가 저장된 차량, 차량의 공개키,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 및 휴대용 단말의 개인키가 저장된 휴대용 단말, 및 토큰을 생성하고, 차량의 공개키 및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토큰을 암호화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을 차량에 등록하는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원격 조작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키박스에 별도의 키를 삽입하거나, 작동을 위한 특별한 조작 없이도 외부에서 차량 도어의 개폐 및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카드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포브(FOB) 등의 원격 조작 장치가 사용된다.
최근 포브(FOB) 외에도 차량의 원격 조작을 위해 헨드헬드 기반의 휴대용 단말이 이용되고 있는데, 휴대용 단말의 경우 차량의 생산자와 동일한 자에 의해 생산되는 것이 아니어서, 차량에의 등록 절차 없이 휴대용 단말이 원격 조작 장치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진 아니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단말을 차량에 등록하기 위해, 차량이 임의로 핀 코드를 생성 및 표시하고, 사용자가 표시된 핀 코드를 보고 동일한 코드를 휴대용 단말에 입력하여 상호 인증을 수행하는 등 복잡한 인증 방법으로 휴대용 단말을 차량에 등록해왔다.
개시된 실시예는 휴대용 단말과 챠량 간의 복잡한 인증 과정을 단순화한 차량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는 차량이 서버와 무선 신호 송수신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휴대용 단말을 차량에 등록할 수 있는 차량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차량의 공개키 및 차량의 개인키가 저장된 차량; 차량의 공개키,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 및 휴대용 단말의 개인키가 저장된 휴대용 단말; 및 토큰을 생성하고, 차량의 공개키 및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토큰을 암호화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은,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 및 차량의 공개키를 서버에 전송하고, 차량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 및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차량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차량으로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휴대용 단말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차량은 휴대용 단말로부터 차량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수신하고, 차량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차량의 개인키로 복호화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은 차량으로부터 차량의 공개키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의 공개키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에는 차량 식별자가 부착되어 있고, 휴대용 단말은 차량에 부착된 차량 식별자를 인식함으로써 차량의 공개키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 식별자는 바코드, 및 큐알(QR)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은 서버에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서버는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은 단말 입력부를 통해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서버에 토큰 생성 요청 신호,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 및 차량의 공개키를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은 단말 입력부를 통해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휴대용 단말의 개인키 공개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개인키 공개키를 단말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차량은 차량의 개인키로 복호화된 토큰을 제 1 토큰으로서 저장하고, 휴대용 단말로부터 제 2 토큰을 수신하면 제 1 토큰과 제 2 토큰의 동일 여부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휴대용 단말이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 및 차량의 공개키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서버가 토큰을 생성하고, 수신한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 및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토큰을 암호화하는 단계; 서버가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 및 차량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휴대용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휴대용 단말이 수신한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휴대용 단말의 개인키로 복호화하고, 수신한 차량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 및 차량이 수신한 차량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차량의 개인키로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휴대용 단말이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 및 차량의 공개키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휴대용 단말이 차량으로부터 차량의 공개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이 차량의 공개키를 수신하는 단계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의 공개키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에는 차량 식별자가 부착되어 있고,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휴대용 단말이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 및 차량의 공개키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휴대용 단말이 차량에 부착된 차량 식별자를 인식함으로써 차량의 공개키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식별자는 바코드, 및 큐알(QR)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휴대용 단말이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 및 차량의 공개키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휴대용 단말이 서버에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서버가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는 서버가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서버에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휴대용 단말이 단말 입력부를 통해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서버에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단말 입력부가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휴대용 단말이 서버에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서버에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휴대용 단말이 단말 입력부를 통해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서버에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단말 입력부가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휴대용 단말이 휴대용 단말의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인증 과정이 단순화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 휴대용 단말을 간편하게 차량에 등록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차량이 서버와 무선 신호 송수신이 불가한 오프라인 상태인 경우에도, 안전하게 휴대용 단말을 차량에 등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휴대용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했을 때 표시되는 일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차량의 공개키를 휴대용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휴대용 단말과 서버 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휴대용 단말과 차량 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휴대용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했을 때 표시되는 일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차량의 공개키를 휴대용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휴대용 단말과 서버 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휴대용 단말과 차량 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공개키"와 "개인키"는 각 장치마다 부여된 각 장치의 고유의 대칭되는 키쌍으로서, 공개키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데 이용되고, 개인키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데 이용된다. 즉, 어느 한 장치의 공개키로 암호화 한 파일은 그 장치의 개인키로만 복호화가 가능하고, 다른 장치의 개인키로는 복호화가 불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관은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12,13),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5L),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6),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4L,14R)를 포함한다.
차륜(12,13)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12),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13)을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 장치(미도시)는 차량(1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12) 또는 후륜(13)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 또는 축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15L,15R(도 2 참조))는 차량(10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또한, 차량(100) 외부에는 도어(15L,15R(도 2 참조))를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17L, 17R)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100)에 등록된 휴대용 단말(200; 도 3 참조)을 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15L,15R)의 터치 감지부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10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200)과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100)의 도어 락이 해제되어 사용자의 손잡이(17L, 17R)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15L)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운전자 뿐만 아니라, 차량(100) 내 탑승한 동승자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200)을 소지한 자를 의미한다.
전면 유리(16)는 본체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4L,14R)는 차량(10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4L)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4R)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100)은 후면 또는 측면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카메라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시보드(29)의 중앙 영역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71)와 AVN 입력부(61)가 마련될 수 있다. AVN 디스플레이(71)는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부가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AVN 디스플레이(7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AVN 입력부(61)는 AVN 디스플레이(71)와 인접한 영역에 하드 키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AVN 디스플레이(71)가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AVN 디스플레이(71)의 전면에 터치 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운전석(18L)와 조수석(18R) 사이에 죠그 셔틀(jog shuttle) 타입의 센터 입력부(62)가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센터 입력부(62)를 돌리거나 가압하거나 상, 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미는 방식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차량(10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출력부(80)가 마련될 수 있고, 음향 출력부(80)는 스피커일 수 있다. 음향 출력부(8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운전석(18L) 쪽의 대시보드(29)에는 스티어링 휠(27)이 마련되며, 스티어링 휠(27)과 인접한 영역에 포브(FOB; 미도시)를 삽입할 수 있는 키 홈(29a)이 형성될 수 있다. 키 홈(29a)에 포브가 삽입되거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포브 또는 휴대용 단말(200)과 차량(100) 간의 인증이 완료되면 포브 또는 휴대용 단말(200)과 차량(10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29)에는 차량(100)의 시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시동 버튼(31)이 마련될 수 있고, 키 홈(29a)에 포브가 삽입되거나, 시동 버튼(31) 근방에 마련된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과 차량(100)에 등록된 휴대용 단말(200)의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이 인증 데이터(이하, "토큰"이라 함)를 송수신함으로써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시동 버튼(31) 가압에 의해 차량(100)의 시동이 턴온될 수 있다.
한편, 차량(100)에는 공조 장치가 구비되어 난방 및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21)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시스템은 차량(100), 휴대용 단말(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차량(100)과 휴대용 단말(200)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망은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100)은 차량(100)의 공개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NFC태그를 포함하고 있고, 휴대용 단말(200)이 차량(100)의 NFC태그를 인식하는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 도 4)을 포함함으로써, 차량(100)의 공개키는 휴대용 단말(200)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에 의해 생성된, 차량(1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 또한 휴대용 단말(200)로부터 차량(100)으로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NFC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 도 4)은 NFC태그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술한 근거리 통신망을 지원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채용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20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200)은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전술한 차량(100)의 NFC태그를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200)은 서버(300)와의 무선 신호 송수신 과정을 통해,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뿐만 아니라,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한 차량(100)의 공개키 또한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고, 서버(300)에 의해 암호화된 토큰을 수신할 수도 있다. 자세한 신호 송수신 과정은 후술한다.
이하, 차량 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100), 휴대용 단말(200), 및 서버(300)의 세부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차량 통신부(110), 차량 저장부(120), 및 차량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차량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200)과 접속하는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휴대용 단말(200)로부터 공개키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 저장부(120)에 저장된(또는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 내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100)의 공개키를 휴대용 단말(200)에 전달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휴대용 단말(200)로부터 차량(1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수신할 수 있다.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무선 랜(Wireless LAN)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WFD(Wi-Fi Direct)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NFC태그를 포함하는 NFC모듈을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의 예로 들어 설명한다.
차량 저장부(120)는 차량(100)의 공개키와 개인키를 저장한다. 차량(100)의 공개키와 개인키는 차량(100)의 생산 시 차량(100)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값으로서, 공개키는 휴대용 단말(200) 및 서버(300)와 공유될 수 있으나, 개인키는 공유되지 아니한다.
차량(100)의 공개키는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 내 메모리에 임시 저장되어 휴대용 단말(200)에 전송되고, 최종적으로 서버(300)에 전송된다.
차량 저장부(12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차량 저장부(120)는 차량 제어부(130)의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차량 제어부(130)는 차량(100) 내 다양한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차량 제어부(130)는 차량(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부(130)는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제어부(130)는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이 휴대용 단말(200)로부터 공개키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 저장부(120)에 저장된 또는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 내 저장된 차량(100)의 공개키를 휴대용 단말(200)에 전송하도록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부(130)는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이 휴대용 단말(200)로부터 차량(1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수신한 경우, 차량 저장부(120)에 저장된 개인키를 이용하여 차량(1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복호화할 수 있다. 복호화 결과, 토큰이 수집될 수 있고, 차량 제어부(130)는 수집된 토큰을 차량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 저장된 토큰은 추후 등록된 휴대용 단말(200)을 인증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200)은 단말 통신부(210), 단말 저장부(220), 단말 제어부(230), 및 단말 입력부(240)를 포함한다.
단말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차량(100)과 접속하는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300)와 접속하는 단말 무선 통신 모듈(21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은 사용자로부터 단말 입력부(240)를 통해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단말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100)에 공개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은 차량(100)으로부터 차량(100)의 공개키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의 공개키는 단말 제어부(23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모듈(211)은 단말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1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차량(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은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에 대응되는 무선 랜(Wireless LAN)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WFD(Wi-Fi Direct)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NFC모듈을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의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무선 통신 모듈(212)은 사용자로부터 단말 입력부(240)를 통해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단말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서버(300)에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무선 통신 모듈(212)은 차량(100)의 공개키와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를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무선 통신 모듈(212)은 서버(300)로부터 차량(1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과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수신한다.
단말 무선 통신 모듈(212)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저장부(220)는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와 개인키를 저장한다.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와 개인키는 휴대용 단말(200)의 단말 제어부(230)에 의해 생성된 휴대용 단말(200)의 고유 식별값으로서, 공개키는 서버(300)와 공유될 수 있으나 개인키는 공유되지 아니한다.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는 단말 무선 통신 모듈(212) 내 메모리에 임시 저장되어 서버(30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저장부(22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차량(100)의 공개키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저장부(22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말 저장부(220)는 단말 제어부(230)의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 제어부(230)는 휴대용 단말(200) 내 다양한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단말 제어부(230)는 휴대용 단말(2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부(230)는 사용자로부터 단말 입력부(240)를 통해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단말 입력부(240)를 통해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한 경우, 단말 제어부(230)는 임의의 개인키와 공개키를 휴대용 단말(200)에 부여할 수 있고, 생성된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와 개인키를 단말 저장부(22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부(230)는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제어부(230)는 단말 입력부(240)를 통해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차량(100)에 공개키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제어부(230)는 서버(300)로부터 차량(1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과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이 수신된 경우, 차량(1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차량(100)에 송신하도록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부(230)는 단말 무선 통신 모듈(212)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이 차량(100)으로부터 차량(100)의 공개키를 수신한 경우, 단말 제어부(230)는 토큰 생성 요청 신호, 및 수신된 차량(100)의 공개키와 단말 저장부(220)에 저장된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를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단말 무선 통신 모듈(212)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부(230)는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제어부(230)는 서버(300)로부터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이 수신된 경우, 단말 저장부(220)에 저장된 휴대용 단말(200)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복호화할 수 있다.
복호화 결과, 토큰이 수집될 수 있고, 단말 제어부(230)는 수집된 토큰을 단말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저장부(220)에 저장된 토큰은 전술한 차량 저장부(120)에 저장된 토큰과 동일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등록된 휴대용 단말(200)을 차량(100)이 인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단말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큰 생성 명령은 휴대용 단말(200)의 화면에 나타난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단말 입력부(240)는 유저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입력부(240)는 유저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단말 입력부(240)가 터치 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패널(TSP)로 구성되는 경우, 입력부는 디스플레이부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된 단말 입력부(24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는 서버 통신부(310) 및 서버 제어부(320)를 포함한다.
서버 통신부(3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200)과 접속하는 서버 무선 통신 모듈(31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무선 통신 모듈(312)은 휴대용 단말(200)로부터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토큰 생성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서버 제어부(330)에 의해 임의의 토큰이 생성된다. 토큰은 이후 휴대용 단말(200)이 차량(100)에 정상적으로 등록된 경우, 차량(100)과 등록된 휴대용 단말(200) 간 공유하는 비밀 코드로서 기능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무선 통신 모듈(312)은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와 차량(100)의 공개키를 수신한다.
또한, 서버 무선 통신 모듈(312)은 서버 제어부(330)에 의해 토큰이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 및 차량(100)의 공개키로 각각 암호화된 경우, 차량(1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과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각각 휴대용 단말(200)에 전송한다.
서버 무선 통신 모듈(312)은 휴대용 단말(200)의 단말 무선 통신 모듈(212)에 대응되는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30)는 서버(3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서버 제어부(230)는 서버(3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제어부(330)는 서버 무선 통신 모듈(312)이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임의의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토큰은 미리 저장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큰은 6자리의 임의의 숫자일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제어부(330)는 서버 무선 통신 모듈(312)에 의해 수신된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토큰을 암호화하고,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과 별도로, 서버 무선 통신 모듈(312)에 의해 수신된 차량(100)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토큰을 암호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제어부(230)는 서버 무선 통신 모듈(31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제어부(230)는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과 차량(1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각각 휴대용 단말(200)에 전송하도록 서버 무선 통신 모듈(312)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차량(100)은 휴대용 단말(200)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차량(100)의 공개키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기술되었으나, 차량(100)의 공개키는 다른 방법으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차량(100)은 차량(100)의 공개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차량 식별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200)은 차량(100)의 차량 식별자를 식별하는 태그 식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의 차량 식별자는 차량(100)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된 큐알(QR) 코드, 바코드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200)의 태그 식별부는 큐알 코드 스캐너, 바코드 스캐너, 카메라 등으로 구현되어 차량(100)에 부착된 차량 식별자의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전술한 차량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4에서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동작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휴대용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했을 때 표시되는 일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6은 차량의 공개키를 휴대용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휴대용 단말과 서버 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휴대용 단말과 차량 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휴대용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된 단말 입력부(240)는 사용자에게 "토큰 생성" 아이콘(i1)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아이콘(i1)을 선택한 경우(즉,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한 경우),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와 개인키가 생성되고,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이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과 접속하도록 사용자에게 접근 유도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이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과 접속한 경우,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은 공개키 요청 신호를 차량(100)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차량 저장부(120)에 저장된 차량(100)의 공개키를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이 차량(100)의 시동 버튼(31) 내 마련된 것으로서 도시되었으나,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의 구비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토큰 생성 명령이 입력된 경우, 단말 무선 통신 모듈(212)은 서버(300)에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의 서버 제어부(330)는 서버 무선 통신 모듈(312)이 휴대용 단말(200)로부터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토큰(t)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200)이 차량(100)으로부터 차량(100)의 공개키를 수신한 경우, 휴대용 단말(200)의 단말 무선 통신 모듈(212)은 차량(100)의 공개키(a)와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b)를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의 서버 제어부(330)는 서버 무선 통신 모듈(312)이 휴대용 단말(200)로부터 차량(100)의 공개키(a)와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b)를 수신한 경우, 토큰(t)을 차량(100)의 공개키(a)로 암호화하고(a+t), 별도로 토큰을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b)로도 암호화(b+t)할 수 있다.
차량(100)의 공개키(a)로 암호화된 토큰(a+t)과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b)로 암호화된 토큰(b+t)은 각각 휴대용 단말(200)에 전송될 수 있고, 도 8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200)은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b)로 암호화된 토큰(b+t)을 휴대용 단말(200)의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토큰(t)을 수집하고, 수집된 토큰(t)을 단말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그리고,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은 차량(100)의 공개키(a)로 암호화된 토큰(a+t)을 차량(100)의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에 전송한다.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이 차량(100)의 공개키(a)로 암호화된 토큰(a+t)을 수신한 경우, 차량 제어부(130)는 차량 저장부(120)에 저장된 차량(100)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차량(100)의 공개키(a)로 암호화된 토큰(a+t)을 복호화하고 토큰(t)을 수집한다. 수집된 토큰(t)은 차량 저장부(12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서버(300)에 의해 생성된 동일한 토큰(t)이 차량(100)과 휴대용 단말(200) 각각에 저장됨으로써 휴대용 단말(200)이 차량(100)에 등록될 수 있고, 차량(100)과 휴대용 단말(200)은 상호 공유하는 동일한 토큰(t)을 이용하여 추후 상호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차량(100)은 차량(100)의 개인키로 복호화된 토큰(t; 제 1 토큰)을 차량(100) 내 저장하고, 추후 휴대용 단말(200)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과정에서 휴대용 단말(200)로부터 토큰(제 2 토큰)을 수신하면, 제 1 토큰(t)과 제 2 토큰의 동일 여부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200)을 인증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차량(100)에 등록된 휴대용 단말(200)이라면 제 1 토큰(t)과 제 2 토큰은 동일할 것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의해 기술되는 차량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전술한 차량 시스템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바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말 입력부(240)가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휴대용 단말(200)의 단말 제어부(230)는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하고(1110), 차량(100)에 공개키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을 제어한다(1120).
차량(100)의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이 공개키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100)의 차량 제어부(130)는 차량 저장부(120)에 저장된 차량(100)의 공개키를 휴대용 단말(200)에 전송하도록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을 제어한다(1130).
휴대용 단말(200)의 단말 제어부(230)는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이 차량(100)의 공개키를 수신하면,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단말 무선 통신 모듈(212)을 제어하고, 수신된 차량(100)의 공개키(a)와 단말 저장부(220)에 저장된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b) 또한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단말 무선 통신 모듈(212)을 제어한다(1140).
한편, 전술한 실시예는 단말 제어부(230)가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이 차량(100)의 공개키를 수신하면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단말 무선 통신 모듈(212)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기술되었으나, 단말 제어부(230)는 단말 입력부(240)가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단말 무선 통신 모듈(212)을 제어할 수도 있는 바, 그 순서에 제한이 있지는 아니하다.
이어서, 서버(300)의 서버 무선 통신 모듈(312)이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서버 제어부(330)는 임의의 토큰(T)을 생성한다(1150). 그리고, 차량(100)의 공개키(a)와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b)를 수신한 경우, 서버 제어부(330)는 차량(100)의 공개키(a)를 이용하여 토큰(t)을 암호화(a+t 생성)하고,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b)를 이용하여 토큰(t)을 암호화(b+t 생성)한다(1150).
이어서, 서버(300)의 서버 무선 통신 모듈(312)은 차량(100)의 공개키(a)로 암호화된 토큰(a+t)과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b)로 암호화된 토큰(b+t)을 휴대용 단말(200)에 전송하고(1160), 휴대용 단말(200)의 단말 제어부(230)는 휴대용 단말(200)의 공개키(b)로 암호화된 토큰(b+t)을 단말 저장부(220)에 저장된 휴대용 단말(200)의 개인키로 복호화(1170)하여 토큰(t)을 수집하고, 수집된 토큰(t)을 단말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200)의 단말 제어부(230)는 차량(100)의 공개키(a)로 암호화된 토큰(a+t)을 차량(100)에 전송하도록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211)을 제어한다(1180).
차량(100)의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111)이 차량(100)의 공개키(a)로 암호화된 토큰(a+t)을 수신한 경우, 차량 제어부(130)는 차량 저장부(120)에 저장된 차량(100)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차량(100)의 공개키(a)로 암호화된 토큰(t)을 복호화하고 토큰(t)을 수집한다(1190). 수집된 토큰(t)은 차량 저장부(120)에 저장된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차량
110: 차량 통신부
111: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
112: 차량 무선 통신 모듈
120: 차량 저장부
130: 차량 제어부
200: 휴대용 단말
210: 단말 통신부
211: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
212: 단말 무선 통신 모듈
220: 단말 저장부
230: 단말 제어부
240: 단말 입력부
300: 서버
310: 서버 통신부
312: 서버 무선 통신 모듈
330: 서버 제어부
110: 차량 통신부
111: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
112: 차량 무선 통신 모듈
120: 차량 저장부
130: 차량 제어부
200: 휴대용 단말
210: 단말 통신부
211: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
212: 단말 무선 통신 모듈
220: 단말 저장부
230: 단말 제어부
240: 단말 입력부
300: 서버
310: 서버 통신부
312: 서버 무선 통신 모듈
330: 서버 제어부
Claims (20)
- 차량의 공개키 및 차량의 개인키가 저장된 차량;
단말 입력부를 통해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는 것에 응답하여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 및 휴대용 단말의 개인키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의 공개키, 상기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 및 상기 휴대용 단말의 개인키를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는 휴대용 단말; 및
토큰을 생성하고, 상기 차량의 공개키 및 상기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토큰을 암호화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은,
토큰 생성 요청 신호, 상기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 및 상기 차량의 공개키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 및 상기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수신하고, 상기 차량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상기 휴대용 단말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수신하고, 상기 차량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상기 차량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차량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공개키를 수신하는 차량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공개키를 수신하는 차량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는 차량 식별자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휴대용 단말은 차량에 부착된 차량 식별자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공개키를 판단하는 차량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식별자는 바코드, 및 큐알(QR)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토큰을 생성하는 차량 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단말 입력부를 통해 상기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서버에 상기 토큰 생성 요청 신호, 상기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 및 상기 차량의 공개키를 전송하는 차량 시스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의 개인키로 복호화된 토큰을 제 1 토큰으로서 저장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제 2 토큰을 수신하면 상기 제 1 토큰과 상기 제 2 토큰의 동일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을 인증하는 차량 시스템. - 차량, 휴대용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에 의해, 단말 입력부를 통해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 및 상기 휴대용 단말의 개인키를 생성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에 의해, 상기 차량의 공개키, 상기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 및 상기 휴대용 단말의 개인키를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에 의해, 토큰 생성 요청 신호, 상기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 및 상기 차량의 공개키를 상기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토큰 생성 요청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토큰을 생성하고;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차량의 공개키 및 상기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토큰을 암호화하고;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 및 상기 차량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상기 휴대용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에 의해, 상기 차량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상기휴대용 단말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고;
상기 차량에 의해, 상기 차량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토큰을 상기 차량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 삭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공개키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이 상기 차량의 공개키를 수신하는 것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공개키를 수신하는 것;인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는 차량 식별자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휴대용 단말에 의해, 상기 차량에 부착된 차량 식별자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공개키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식별자는 바코드, 및 큐알(QR)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 삭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상기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휴대용 단말에 의해, 상기 단말 입력부가 상기 토큰 생성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서버에 상기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것인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0856A KR102427982B1 (ko) | 2017-06-27 | 2017-06-27 |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US15/835,252 US10800379B2 (en) | 2017-06-27 | 2017-12-07 | Vehicl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201711291291.4A CN109131217B (zh) | 2017-06-27 | 2017-12-08 | 车辆系统及其控制方法 |
EP17208714.0A EP3421303B1 (en) | 2017-06-27 | 2017-12-20 | Vehicl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0856A KR102427982B1 (ko) | 2017-06-27 | 2017-06-27 |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1217A KR20190001217A (ko) | 2019-01-04 |
KR102427982B1 true KR102427982B1 (ko) | 2022-08-02 |
Family
ID=6095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0856A KR102427982B1 (ko) | 2017-06-27 | 2017-06-27 |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800379B2 (ko) |
EP (1) | EP3421303B1 (ko) |
KR (1) | KR102427982B1 (ko) |
CN (1) | CN10913121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65188B1 (en) * | 2011-04-22 | 2016-06-14 | Angel A. Penilla |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cloud services to assign e-keys to access vehicles |
CN108235294B (zh) * | 2018-01-22 | 2022-03-01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集成网络对讲功能的智能后视镜系统 |
US10973060B2 (en) * | 2018-02-15 | 2021-04-06 | Honda Motor Co., Ltd. |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ement of an association between a user and a vehicle |
KR20200090490A (ko) * | 2019-01-21 | 2020-07-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키 공유 시스템에서 이모빌라이저 토큰을 업데이트하는 장치 및 방법 |
FR3093887B1 (fr) * | 2019-03-15 | 2021-05-14 | Psa Automobiles Sa | Procédé pour délivrer, à un dispositif nomade, une autorisation d’accès à un calculateur connecté d’un véhicule |
US11240006B2 (en) * | 2019-03-25 | 2022-02-01 | Micron Technology, Inc. | Secure communication for a key exchange |
CN111746465A (zh) * | 2019-03-27 | 2020-10-09 |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自动车锁系统及其自动锁车方法和解锁方法 |
CN111008394A (zh) * | 2019-10-15 | 2020-04-14 |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 车辆数据管理方法、装置、终端设备、服务器及存储介质 |
CN110758321A (zh) * | 2019-10-31 | 2020-02-07 |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 一种蓝牙钥匙的控制方法及装置 |
US11345313B2 (en) * | 2020-04-23 | 2022-05-31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a vehicle using mobi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thereof |
CN111923863B (zh) * | 2020-08-25 | 2021-09-17 | 东信和平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数字车钥匙的车辆控制方法 |
KR102604768B1 (ko) * | 2021-03-04 | 2023-11-22 | 주식회사 한컴위드 | 디지털 도어락에 발급된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지털 도어락 잠금 해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KR20230126135A (ko) * | 2022-02-22 | 2023-08-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통한 셋업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DE102022130138A1 (de) * | 2022-11-15 | 2024-05-16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Fahrzeug und Verfahren zum Empfang eines rechtegeschützten Inhalts durch das Fahrzeug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270158A1 (en) * | 2013-03-14 | 2014-09-18 | General Motors Llc | Connection key distribution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3820B1 (ko) | 2009-07-07 | 2013-02-18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차등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194013B1 (ko) | 2009-11-23 | 2012-10-26 | 정병태 |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 |
DE102009056786A1 (de) * | 2009-12-03 | 2011-06-09 | Continental Automotive Gmbh | Mobiles Interface und System zur Steuerung von Fahrzeugfunktionen |
CN101938520B (zh) * | 2010-09-07 | 2015-01-28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移动终端签名的远程支付系统及方法 |
JP5996872B2 (ja) * | 2012-01-11 | 2016-09-21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貸与システム |
EP2743868A1 (en) * | 2012-12-14 | 2014-06-18 | Seven Principles AG | Virtual vehicle key |
US9002536B2 (en) | 2013-03-14 | 2015-04-07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Key fob security copy to a mobile phone |
JP6229382B2 (ja) | 2013-09-06 | 2017-11-15 | 株式会社デンソー | 制御装置及び電子キーシステム |
JP2015059398A (ja) | 2013-09-20 | 2015-03-30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両制御装置 |
DE102014100173B4 (de) * | 2014-01-09 | 2017-12-14 | Kobil Systems Gmbh | Verfahren zum geschützten Übermitteln eines Datenobjekts |
KR20150089697A (ko) * | 2014-01-28 | 2015-08-0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카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317090B1 (ko) | 2014-03-15 | 2021-10-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US9258304B2 (en) * | 2014-06-27 | 2016-02-09 | Mcafee,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keys conveyed via physical contact |
FR3030818B1 (fr) | 2014-12-23 | 2016-12-23 | Valeo Comfort & Driving Assistance | Procede de transmission securisee d'une cle virtuelle et methode d'authentification d'un terminal mobile |
FR3031212A1 (fr) | 2014-12-30 | 2016-07-01 | Valeo Comfort & Driving Assistance | Unite electronique, procede mis en œuvre dans une telle unite electronique, procede de partage d'une base de temps entre un serveur et une unite electronique, et procede de synchronisation d'un serveur et d'une unite electronique |
US10384643B2 (en) | 2015-01-14 | 2019-08-20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Virtual keyfob for vehicle sharing |
EP3262859B1 (de) * | 2015-02-23 | 2020-04-01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System zur verwendung mobiler endgeräte als schlüssel für fahrzeuge |
KR20160109798A (ko) | 2015-03-13 | 2016-09-21 | 주식회사 대창 | 사용자 인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
US9544768B2 (en) * | 2015-03-20 | 2017-01-10 | Hyundai Motor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ecure Bluetooth communication |
US10728249B2 (en) * | 2016-04-26 | 2020-07-28 | Garrett Transporation I Inc. | Approach for securing a vehicle access port |
US9875589B1 (en) * | 2016-09-28 | 2018-01-23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Vehicle access authentication |
KR102385474B1 (ko) * | 2017-07-19 | 2022-04-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2017
- 2017-06-27 KR KR1020170080856A patent/KR10242798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12-07 US US15/835,252 patent/US10800379B2/en active Active
- 2017-12-08 CN CN201711291291.4A patent/CN109131217B/zh active Active
- 2017-12-20 EP EP17208714.0A patent/EP342130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270158A1 (en) * | 2013-03-14 | 2014-09-18 | General Motors Llc | Connection key distribu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370486A1 (en) | 2018-12-27 |
EP3421303B1 (en) | 2022-02-16 |
CN109131217B (zh) | 2022-07-15 |
EP3421303A1 (en) | 2019-01-02 |
CN109131217A (zh) | 2019-01-04 |
US10800379B2 (en) | 2020-10-13 |
KR20190001217A (ko) | 2019-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27982B1 (ko) |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02385474B1 (ko) |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US10217304B2 (en) | Intelligent vehicular electronic key system | |
US11704396B2 (en) | Vehicle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mobile device used for vehicle authentication, vehicle authentication system, and vehicle authentication method | |
KR102352560B1 (ko) | 차량용 키,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
KR102487151B1 (ko)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70003193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CN105678553A (zh) | 一种处理订单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 |
US11197158B2 (en) |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707823B1 (ko) | 차량 연결 단말기, 차량, 이들을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연결 방법 | |
US10970373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485246B1 (ko)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
KR102548862B1 (ko)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US20200010048A1 (en) | Vehicle, ring-type apparatus, and vehicle system | |
KR20200055974A (ko)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KR20190098437A (ko)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
KR20190046063A (ko) | 사용자 인증 시스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서버 | |
JP2016016813A (ja) | 車両制御システム | |
CN114363894A (zh) | 数据传输方法和装置 | |
KR20180006127A (ko) | 차량,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 |
US20240098471A1 (en) | Terminal, a vehicle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and a vehicle control system | |
KR20200053964A (ko)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KR101929317B1 (ko) | 차량,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 |
US20230242076A1 (en) | Fingerprint Data Reset System and Fingerprint Data Reset Method | |
KR101882194B1 (ko) | 차량,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