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317B1 - 차량,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317B1
KR101929317B1 KR1020170022758A KR20170022758A KR101929317B1 KR 101929317 B1 KR101929317 B1 KR 101929317B1 KR 1020170022758 A KR1020170022758 A KR 1020170022758A KR 20170022758 A KR20170022758 A KR 20170022758A KR 101929317 B1 KR101929317 B1 KR 101929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value
vehicle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865A (ko
Inventor
허남웅
김응환
김신구
전슬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2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3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3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 H01Q1/3241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particular used in keyless entr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1Bluetoo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은 식별값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LF(Low Frequency) 통신부, 식별값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 통신부, 및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되, 근거리 통신부는 식별값과 근거리 통신 공유값이 일치하는 경우 응답 신호를 송신한 원격 조작 장치와 연결된다.

Description

차량,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VEHICLE, VEHICLE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SYSTEM}
차량,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원격 조작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키박스에 별도의 키를 삽입하거나, 작동을 위한 특별한 조작 없이도 외부에서 차량 도어의 개폐 및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카드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포브(FOB) 등의 원격 조작 장치가 사용된다.
원격 조작 장치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원격 조작 장치와의 엘에프(Low Frequency; LF) 통신 및 알에프(Radio Frequency; RF) 통신을 통하여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별도의 키를 삽입하지 않더라도 도어를 열 수 있고, 차량에 탑승한 후 시동키를 삽입하는 과정 없이도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
또한, 최근 원격 조작 장치에는 블루투스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이 포함되어, 일련의 등록 과정과 인증 과정을 거쳐 차량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차량과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상호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개시된 실시예는 불필요한 등록 과정 없이도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원격 조작 장치와 연결되는 차량,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식별값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LF(Low Frequency) 통신부; 식별값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 통신부; 및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되, 근거리 통신부는 식별값과 근거리 통신 공유값이 일치하는 경우 응답 신호를 송신한 원격 조작 장치와 연결된다.
식별값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식별값을 근거리 통신부에 전송할 수 있다.
식별값은 복수의 자릿수로 이루어지고, 제어부는 식별값의 어느 한 자리 값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어느 한 자리 값이 제외된 식별값을 근거리 통신부에 전송하고, 근거리 통신부는 어느 한 자리 값이 제외된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연결 요청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LF 통신부는 입력부가 연결 요청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식별값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식별값과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고 원격 조작 장치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연결된 원격 조작 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LF(Low Frequency) 통신망을 통해 식별값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및 LF통신망을 통해 식별값 요청 신호을 수신한 경우, 근거리 통신부를 활성화시키고 RF(Radio Frequency) 통신망을 통해 식별값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 조작 장치를 포함하되, 차량은 RF 통신망을 통해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고, 차량 식별값과 근거리 통신 공유값이 일치하는 경우 원격 조작 장치와 연결된다.
차량은 식별값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할 수 있다.
식별값은 복수의 자릿수로 이루어지고, 차량은 식별값의 어느 한 자리 값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은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어느 한 자리 값이 제외된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할 수 있다.
원격 조작 장치의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차량은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원격 조작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차량이 LF(Low Frequency) 통신망을 통해 식별값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원격 조작 장치가 LF통신망을 통해 식별값 요청 신호을 수신하는 단계; 식별값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부를 활성화시키고 RF(Radio Frequency) 통신망을 통해 식별값을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차량이 RF 통신망을 통해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응답 신호가 수신된 경우, 차량이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차량 식별값과 근거리 통신 공유값이 일치하는 경우 차량과 원격 조작 장치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는 단계는, 차량이 식별값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값은 복수의 자릿수로 이루어지고,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식별값의 어느 한 자리 값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는 단계는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어느 한 자리 값이 제외된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차량과 원격 조작 장치가 연결되는 단계는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별도의 등록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LF 통신 및 RF 통신만으로도 간편하게 차량과 원격 조작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원격 조작 장치와 차량 간의 LF통신 및 RF 통신을 이용되어 일대일 통신이 보증됨으로써 원격 조작 장치와 차량 간의 근거리 통신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조작 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설정 모드로의 진입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의 다양한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설정 모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사용 모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관은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12,13),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5L),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6),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4L,14R)를 포함한다.
차륜(12,13)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12),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13)을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 장치(미도시)는 차량(1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12) 또는 후륜(13)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 또는 축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15L,15R(도 2 참조))는 차량(10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또한, 차량(100) 외부에는 도어(15L,15R(도 2 참조))를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17L, 17R)가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17L)에는 LF(Low Frequency)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LF 안테나(111a, 111c; 도 3 참조)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감지부(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 조작 장치(200; 도 3 참조)를 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15L,15R)의 터치 감지부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10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 조작 장치(200; 도 3 참조)와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100)의 도어 락이 해제되어 사용자의 손잡이(17L, 17R)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15L)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운전자 뿐만 아니라, 차량(100) 내 탑승한 동승자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원격 조작 장치(200)를 소지한 자를 의미한다.
전면 유리(16)는 본체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4L,14R)는 차량(10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4L)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4R)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100)은 후면 또는 측면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100) 측면이나 후면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의 일 예로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발신하고, 장애물에 반사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시보드(29)의 중앙 영역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71)와 AVN 입력부(61)가 마련될 수 있다. AVN 디스플레이(71)는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부가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AVN 디스플레이(7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AVN 입력부(61)는 AVN 디스플레이(71)와 인접한 영역에 하드 키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AVN 디스플레이(71)가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AVN 디스플레이(71)의 전면에 터치 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운전석(18L)와 조수석(18R) 사이에 죠그 셔틀(jog shuttle) 타입의 센터 입력부(62)가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센터 입력부(62)를 돌리거나 가압하거나 상, 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미는 방식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차량(10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출력부(80)가 마련될 수 있고, 음향 출력부(80)는 스피커일 수 있다. 음향 출력부(8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운전석(18L) 쪽의 대시보드(29)에는 스티어링 휠(27)이 마련되며, 스티어링 휠(27)과 인접한 영역에 원격 조작 장치(200; 도 3 참조)를 삽입할 수 있는 키 홈(29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29)에는 차량(100)의 시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시동 버튼(31)이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의 시동 버튼(31) 가압에 의해 차량(100)의 시동이 턴온될 수 있다.
한편, 차량(100)에는 공조 장치가 구비되어 난방 및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21)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조작 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과 직접 접촉하거나,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에 연결되어 도어 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차량(10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 또는 포브(FOB)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 조작 장치(200)는 포브키가 아니더라도 전술한 도어 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등 차량(100)을 제어하는 입력 기기이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가 원격 조작 장치(20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에는 원격 조작 장치(200)로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바, 웨어러블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판매될 수도 있고 판매 이후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원격 조작 장치(200)와 차량(100)은 LF 통신망 및 RF통신망을 통해 상호 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LF(Low Frequency) 통신망은 차량(100)이 원격 조작 장치(200)를 탐색하는 데 필요한LF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300kHz 미만의 저주파수 대역의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20kHz 이상 150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통신망일 수 있다. LF통신망을 통해 LF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저주파수 대역으로 인한 특성 때문에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는 고주파수 대역을 갖는 RF통신망의 송수신 가능 거리에 비하여 짧다. 예를 들어, LF신호 송수신 가능 거리는 약 5m이고, RF신호 송수신 가능 거리는 약 100m일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0)은 LF 통신망을 통해 LF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차량(100)에 근접한 원격 조작 장치(200)를 탐색하고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을 요청할 수 있다.
LF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LF통신부(111)를 포함할 수 있고, LF통신부(111)는 하나 이상의 LF안테나(111a-111d)를 포함할 수 있다.
각 LF안테나(111a-111d)는 차량(100)의 본체의 전방, 후방, 측면, 또는 내부에 마련되어 다양한 각도 및 세기로 LF신호를 송신한다. LF안테나(111a-111d)의 마련 위치에 따라 원격 조작 장치(200)의 LF신호의 수신 세기와 수신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우측 도어(15R)의 손잡이(17R)에 마련된 LF안테나(111a), 좌측 도어(15L)의 손잡이(17L)에 마련된 LF안테나(111c), 본체 상단에 마련된 LF안테나(111b), 및 트렁크에 마련된 LF안테나(111d)가 일 예로서 도시되었으나, LF안테나의 마련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차량(100)이 LF안테나(111a-111d)를 통해 LF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200)는 각 LF안테나(111a-111d)가 송신한 LF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F(Radio Frequency) 통신망은 300kHz 이상의 고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 무선 신호의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300MHz 이상 3GHz의 극초단파(Ultra High Frequency; UHF) 주파수 대역, 구체적으로는 300MHz 이상 450M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망일 수 있다. RF통신망을 통해 RF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는 저주파수 대역을 갖는 LF통신망 송수신 가능 거리에 비하여 길다.
차량(100)은 RF 통신망을 통해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에서 차량(100)과 원격 조작 장치(200)는 LF 통신망 또는 RF 통신망 외에도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에서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차량(100)과 원격 조작 장치(2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0), 및 차량(100)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LF통신망을 통해 LF송신 가능 거리 이내에서 LF신호를 송신하는 LF 통신부(111), RF통신망을 통해 RF수신 가능 거리 이내에서 RF신호를 수신하는 RF 통신부(112), 및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근거리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113)를 포함한다.
LF 통신부(111)는 LF통신망을 이용하여 LF신호를 주변에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LF통신망을 통해 LF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저주파수 대역으로 인한 특성 때문에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는 고주파수 대역을 갖는 RF통신망의 송수신 가능 거리에 비하여 짧다. 따라서, LF 통신부(111)는 차량(100)으로부터 LF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원격 조작 장치(200)에 LF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100)에 차량키(200)가 근접할수록 높은 강도의 LF신호가 원격 조작 장치(200)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LF 통신부(111)는 LF신호를 이용하여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을 요청할 수 있다.
LF 통신부(111)는 300k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신호(즉, LF신호)를 송신하는 LF안테나 및 LF송신기(Transmitter)를 포함하는 LF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F 통신부(111)는 LF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LF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LF안테나는 차량(100)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고, 본체의 전방, 후방, 측면, 또는 내부에 마련되어 서로 다른 각도 및 서로 다른 세기로 LF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LF안테나는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우측 도어(15R)의 손잡이(17R)에 마련된 LF안테나(111a), 좌측 도어(15L)의 손잡이(17L)에 마련된 LF안테나(111c), 본체 상단에 마련된 LF안테나(111b), 및 트렁크에 마련된 LF안테나(111d)를 포함할 수 있다.
RF 통신부(112)는 RF통신망을 이용하여 RF신호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RF통신망을 통해 RF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고주파수 대역으로 인한 특성 때문에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는 저주파수 대역을 갖는 LF통신망의 송수신 가능 거리에 비하여 길다.
일 실시예에 따른 RF 통신부(112)는 RF신호를 이용하여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을 수신할 수 있다.
RF 통신부(112)는 300k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신호(즉, RF신호)를 수신하는 RF안테나 및 RF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RF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통신부(112)는 RF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RF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13)는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부(113)는 원격 조작 장치(200)를 포함한 외부 기기와의 접속 승인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의 접속 승인 여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부(113)는 근거리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안테나 및 무선 신호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부(113)는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거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부(113)의 메모리에는 근거리 통신 공유값이 저장된다. 근거리 통신 공유값은 원격 조작 장치(200)를 차량(100)에 등록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으로서, 이하, 원격 조작 장치(200)를 차량(100)에 등록하는 단계를 "설정 모드"라 한다. 일 예로서, 설정 모드는 차량(100)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100) 내 입력부에 미리 설정된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을 입력한 경우 진입할 수 있다.
설정 모드에서 벗어난 경우(즉, 설정 모드 종료), 메모리에 근거리 통신 공유값이 저장된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과 근접한 경우 별도의 등록 과정 없이도 차량(1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은 원격 조작 장치(200)와 차량(100)이 별도의 인증 정보 또는 비밀 번호의 교환이 없이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이하 기술되는 "연결"의 의미 또한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부(113)의 프로세서는 설정 모드에서 RF 통신부(112)가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을 수신한 경우, 수신된 식별값을 근거리 통신 공유값으로서 메모리에 저장한다.
식별값은 복수의 자릿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어느 한 자리 값은 식별값을 송신한 원격 조작 장치(200)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값의 첫 자리 값이 0이면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지 않으나, 식별값의 첫 자리 값이 1이면 근거리 통신을 지원함을 나타낼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13)의 프로세서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어느 한 자리 값이 제외된 식별값을 근거리 통신 공유값으로서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식별값이 7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지고 식별값의 첫 자리 값이 근거리 통신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경우, 근거리 통신부(113)의 프로세서는 식별값의 첫 자리 값이 제외된 6자리의 숫자를 근거리 통신 공유값으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부(113)의 프로세서는 설정 모드가 종료된 상태에서(이하, "사용 모드") RF 통신부(112)가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을 수신한 경우,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과 메모리에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부(113)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이 일치하는 경우 RF 신호를 송신한 원격 조작 장치(200)와 연결된다. 원격 조작 장치(200)와의 연결에 의해 근거리 통신부(113)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는 원격 조작 장치(20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근거리 통신부(113)의 프로세서는 식별값이 복수의 자릿수로 이루어지고 그 중 어느 한 자리값이 근거리 통신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값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어느 한 자리 값이 제외된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원격 조작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식별값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200)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값이 복수의 자릿수로 이루어지고 그 중 어느 한 자리값이 근거리 통신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값인 경우, 제어부(120)는 식별값의 어느 한 자리 값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200)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식별값의 첫 자리 값이 0이면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지 않으나, 식별값의 첫 자리 값이 1이면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원격 조작 장치(200)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근거리 통신부(113)를 활성화하고(wake-up), 식별값을 근거리 통신부(113)의 프로세서에 전송한다. 전송된 식별값은 설정 모드에서는 근거리 통신부(113)의 메모리에 근거리 통신 공유값으로서 저장되나, 사용 모드에서는 근거리 통신부(113)의 프로세서에 의해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과 비교된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근거리 통신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어느 한 자리 값이 제외된 식별값을 근거리 통신부(113)에 전송할 수도 있다.
차량(100)의 제어 신호와 RF 신호와 LF 신호와 근거리 통신 신호는 각각 서로 상이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제어부(120)의 프로세서와 근거리 통신부(113)의 프로세서가 별도의 모듈로 마련된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제어부(120)의 프로세서와 근거리 통신부(113)의 프로세서는 하나의 모듈 상에 마련되어 전술한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제어부(120)의 메모리와 근거리 통신부(113)의 메모리가 별도의 모듈로 마련된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제어부(120)의 메모리와 근거리 통신부(113)의 메모리는 하나의 모듈로 마련되어 통합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제어부(120) 및 근거리 통신부(113)의 외부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유저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설정 모드로의 진입 또는 종료 명령을 입력 받거나, LF 신호의 송신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설정 모드로의 진입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의 다양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부는 스티어링 휠(27) 상에 마련된 버튼(BT1)으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 모드로의 진입에 대응하는 어느 한 버튼(BT1)을 가압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설정 모드에 진입하여 LF 통신부(111)가 식별값을 요청하기 위한 LF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구현된 AVN 디스플레이(71) 상에서 터치 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 모드로의 진입에 대응하는 어느 한 아이콘(BT2)를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설정 모드에 진입하여 LF 통신부(111)가 식별값을 요청하기 위한 LF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설정 모드에 진입한 경우, 제어부(120)는 근거리 통신부(113)의 프로세서가 수신된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을 근거리 통신 공유값으로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설정 모드에서의 제어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사용자가 도 5 버튼(BT1) 또는 도 6의 아이콘(BT2)를 한 번 더 입력하는 경우, 설정 모드가 종료될 수 있다. 그러나, 설정 모드의 진입 또는 종료 명령을 입력 받는 형태는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입력부는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AVN 입력부(61)로 구현될 수 있고, 센터 입력부(62)로도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200)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10), 원격 조작 장치(200)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20), 및 고유의 식별값이 저장된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원격 조작 장치(200)의 통신부(210)는 LF통신망을 통해 LF 수신 가능 거리 이내에서 LF신호를 수신하는 LF 통신부(211), RF통신망을 통해 RF 송신 가능 거리 이내에서 RF신호를 송신하는 RF 통신부(212), 및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근거리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213)를 포함한다.
LF 통신부(211)는 LF통신망을 이용하여 LF신호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LF 통신부(211)는 LF통신망을 통해 차량(100)으로부터 식별값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LF 통신부(211)는 300k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신호(즉, LF신호)를 수신하는 LF안테나 및 LF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LF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F 통신부(211)는 LF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LF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F 통신부(212)는 RF통신망을 이용하여 RF신호를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RF 통신부(212)는 RF신호를 이용하여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을 송신할 수 있다.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은 원격 조장 장치(200)의 저장부(230)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 있다.
RF 통신부(212)는 300k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신호(즉, RF신호)를 송신하는 RF안테나 및 RF 송신기(Transmitter)를 포함하는 RF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통신부(212)는 LF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RF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조작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부(213)는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차량(100)의 근거리 통신부(213)와 통신 가능한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원격 조작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부(213)는 근거리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안테나 및 무선 신호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부(213)는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거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부(213)는 제어부(2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13)가 활성화되고, 원격 조작 장치(200)와 차량(100) 간의 연결을 위한 과정이 완료되면 원격 조작 장치(200)와 차량(100)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원격 조작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원격 조작 장치(2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20)는 차량(100)으로부터 식별값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RF 통신부(212)가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RF 신호로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원격 조작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부(213)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원격 조작 장치(200)의 제어 신호와 RF 신호와 LF 신호와 근거리 통신 신호는 각각 서로 상이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220)는 원격 조작 장치(2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230)는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을 저장한다.
저장부(23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2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의 도어 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등 차량(100)을 제어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버튼 또는 터치 패널로 구현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차량 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100)과 원격 조작 장치(200)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7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설정 모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9는 사용 모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설정 모드는 원격 조작 장치(200)를 차량(100)에 등록하기 위해 차량(100)에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저장 또는 설정하는 단계로서, 일 예로, 설정 모드는 작업자 또는 수리자가 차량(100) 내 입력부에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을 입력한 경우 진입할 수 있다.
사용 모드는 설정 모드가 종료된 이후, 차량(100)에 근거리 통신 공유값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200)와 차량(100) 간의 연결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일 예로, 사용 모드는 사용자가 차량(100) 내 입력부에 설정 모드 종료 명령을 입력한 경우 진입할 수 있다.
이하, 기술되는 차량(100) 및 원격 조작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기술된 차량(100) 및 원격 조작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와 동일한 바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기술된다.
우선, 설정 모드에 진입한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LF 통신부(111)는 식별값 요청 신호를 차량(100) 주변에 송신한다(S1110). 여기서, 차량(100) 주변의 범위는 LF 통신부(111)의 LF신호 송신 가능 거리 이내의 영역을 포함하고, LF 통신부(111)의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송신된 식별값 요청 신호는 차량(100) 주변의 원격 조작 장치(200)의 LF 통신부(211)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어서, 식별값 요청 신호를 수신한 원격 조작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을 차량(100)에 전송하도록 RF 통신부(212)를 제어한다(S1120). 식별값을 포함하는 RF 신호는 차량(100)의 RF 통신부(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어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부(120)는 수신한 식별값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200)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30).
구체적으로, 식별값이 복수의 자릿수로 이루어지고, 어느 한 자리 값이 근거리 통신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경우, 차량(100)의 제어부(120)는 근거리 통신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어느 한 자리 값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200)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부(120)는 원격 조작 장치(200)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근거리 통신부(113)를 활성화하고, 근거리 통신부(113)에 식별값을 전송한다(S1140).
그리고, 근거리 통신부(113)의 프로세서는 RF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식별값을 원격 조작 장치(200)와의 연결을 위한 근거리 통신 공유값으로 메모리에 저장한다(S1150).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은 추후 사용 모드에서 연결을 시도하는 원격 조작 장치(200)를 인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사용 모드에 진입한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LF 통신부(111)는 식별값 요청 신호를 차량(100) 주변에 송신한다(S1210). 여기서, 차량(100) 주변의 범위는 LF 통신부(111)의 LF신호 송신 가능 거리 이내의 영역을 포함하고, LF 통신부(111)의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송신된 식별값 요청 신호는 차량(100) 주변의 원격 조작 장치(200)의 LF 통신부(211)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어서, 식별값 요청 신호를 수신한 원격 조작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을 차량(100)에 전송하도록 RF 통신부(212)를 제어한다(S1220). 식별값을 포함하는 RF 신호는 차량(100)의 RF 통신부(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LF 통신부(211)가 식별값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원격 조작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부(213)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1230).
이어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부(120)는 수신한 식별값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200)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40).
구체적으로, 식별값이 복수의 자릿수로 이루어지고, 어느 한 자리 값이 근거리 통신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경우, 차량(100)의 제어부(120)는 근거리 통신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어느 한 자리 값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200)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부(120)는 원격 조작 장치(200)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100)의 근거리 통신부(113)를 활성화하고, 근거리 통신부(113)에 식별값을 전송한다(S1250).
이어서,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부(113)의 프로세서는 RF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식별값과 메모리에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한다(S1260).
그리고, 근거리 통신부(113)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과 메모리에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이 일치하는 경우 RF 신호를 송신한 원격 조작 장치(200)와 연결된다(S1270). 이에 따라, 차량(100)은 원격 조작 장치(200)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근거리 통신부(113)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원격 조작 장치(200)의 식별값과 메모리에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이 불일치하는 경우 원격 조작 장치(200)와 차량(100) 간의 연결을 비승인하고, 차량(100)은 원격 조작 장치(200)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지 아니한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차량
110: 통신부
111: LF 통신부 112: RF 통신부 113: 근거리 통신부
120: 제어부
200: 원격 조작 장치
210: 통신부
211: LF 통신부 212: RF 통신부 213: 근거리 통신부
220: 제어부
230: 저장부

Claims (17)

  1. 식별값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LF(Low Frequency) 통신부;
    식별값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 통신부; 및
    상기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식별값과 상기 근거리 통신 공유값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원격 조작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 공유값은 상기 RF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미리 수신된 값이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에 저장된 값인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식별값을 상기 근거리 통신부에 전송하는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값은 복수의 자릿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값의 어느 한 자리 값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한 자리 값이 제외된 식별값을 상기 근거리 통신부에 전송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어느 한 자리 값이 제외된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는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6.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 요청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LF 통신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연결 요청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식별값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식별값과 상기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연결된 원격 조작 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차량.
  8. LF(Low Frequency) 통신망을 통해 식별값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및
    상기 LF통신망을 통해 상기 식별값 요청 신호을 수신한 경우, 근거리 통신부를 활성화시키고 RF(Radio Frequency) 통신망을 통해 식별값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 조작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은 상기 RF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고, 차량 상기 식별값과 상기 근거리 통신 공유값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원격 조작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 공유값은 상기 RF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미리 수신된 값이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에 저장된 값인 차량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식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는 차량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값은 복수의 자릿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량은 상기 식별값의 어느 한 자리 값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한 자리 값이 제외된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는 차량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 조작 장치와 연결되는 차량 시스템.
  13. 차량이 LF(Low Frequency) 통신망을 통해 식별값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원격 조작 장치가 상기 LF통신망을 통해 상기 식별값 요청 신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값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부를 활성화시키고 RF(Radio Frequency) 통신망을 통해 식별값을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상기 RF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차량 상기 식별값과 상기 근거리 통신 공유값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과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공유값은 상기 RF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미리 수신된 값이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에 저장된 값인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식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값은 복수의 자릿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값의 어느 한 자리 값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한 자리 값이 제외된 식별값과 미리 저장된 근거리 통신 공유값을 비교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연결되는 단계는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70022758A 2017-02-21 2017-02-21 차량,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929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758A KR101929317B1 (ko) 2017-02-21 2017-02-21 차량,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758A KR101929317B1 (ko) 2017-02-21 2017-02-21 차량,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865A KR20180096865A (ko) 2018-08-30
KR101929317B1 true KR101929317B1 (ko) 2018-12-18

Family

ID=6345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758A KR101929317B1 (ko) 2017-02-21 2017-02-21 차량,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3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8009A (ja) * 2009-01-26 2010-08-05 Denso Corp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用携帯機
JP2015045183A (ja) 2013-08-28 2015-03-1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携帯機
WO2016017907A1 (ko) 2014-07-31 2016-02-04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8009A (ja) * 2009-01-26 2010-08-05 Denso Corp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用携帯機
JP2015045183A (ja) 2013-08-28 2015-03-1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携帯機
WO2016017907A1 (ko) 2014-07-31 2016-02-04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865A (ko)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072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06558128B (zh) 用于增强钥匙扣的范围的系统和方法
KR102427982B1 (ko)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16240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744727B1 (ko) 스마트 키,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 및 스마트 키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36100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842436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491371B1 (ko) 원격 조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190050124A1 (en) Vehicle based trainable transceiver and authentication of user
KR102445514B1 (ko) 차량 및 차량 시스템
KR102459537B1 (ko)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US10464528B2 (en) System for protecting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 and smar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804979B2 (en) Control device, vehicle having th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trol device
KR20200022613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707823B1 (ko) 차량 연결 단말기, 차량, 이들을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연결 방법
US10486647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200010048A1 (en) Vehicle, ring-type apparatus, and vehicle system
KR20180071024A (ko) 원격 조작 장치,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821108B1 (ko) 차량 시스템 및 원격 제어 방법
KR101929317B1 (ko) 차량,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US9902367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20190046063A (ko) 사용자 인증 시스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서버
KR101716251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254759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80067844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