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613A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613A
KR20200022613A KR1020180098424A KR20180098424A KR20200022613A KR 20200022613 A KR20200022613 A KR 20200022613A KR 1020180098424 A KR1020180098424 A KR 1020180098424A KR 20180098424 A KR20180098424 A KR 20180098424A KR 20200022613 A KR20200022613 A KR 20200022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iometric information
user
control device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207B1 (ko
Inventor
이지혜
송동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8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207B1/ko
Priority to US16/210,657 priority patent/US10632970B2/en
Publication of KR20200022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09Driver authorisation; Driver identity che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only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
    • G07C2009/003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only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 and the lock having only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0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07C2009/0054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starting i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은 원격 제어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생체 정보 및 원격 제어 장치의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면,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을 여러 명이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차량의 도난 방지를 위해 사용자 인증 절차가 필수적이다.
사용자 인증 기술은 인증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키패드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 받으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원초적인 인증 방식이 주를 이루었지만, 최근에는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보다 정확한 인증을 하기 위해 유전자 형질, 지문, 목소리, 정맥, 얼굴 생김새, 홍채 등의 생물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 또는 인증하는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이러한 방법 중에서 현재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인증 방법으로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지문을 이용한 인증 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은 사전에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차량 또는 서버에 저장해 놓은 후 사용자가 차량을 사용하려는 경우, 차량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 과정을 완료한다.
개시된 실시예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제어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차량에 대해서, 기존의 원격 조작 장치를 활용하여 차량의 사용 권한을 타인에게 부여할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원격 제어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생체 정보 및 원격 제어 장치의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면,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면, 차량의 도어락 상태 및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고, 차량의 도어락 명령이 입력되고, 원격 조작 장치가 차량의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원격 조작 장치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함으로써 원격 조작 장치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고, 차량의 도어락 명령이 입력되고, 원격 조작 장치가 차량의 실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원격 조작 장치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고, 차량의 도어 언락 명령이 입력되고, 원격 조작 장치가 차량의 실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원격 조작 장치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고, 원격 조작 장치와의 인증이 승인되면, 원격 조작 장치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용자의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및 안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는, 차량의 시동 버튼, 포브 키, 도어, 센터페시아 및 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차량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생체 정보 및 원격 제어 장치의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면,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면, 차량의 도어락 상태 및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고, 차량의 도어락 명령이 입력되고, 원격 조작 장치가 차량의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원격 조작 장치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에 포함되어 원격 조작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함으로써 원격 조작 장치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고, 차량의 도어락 명령이 입력되고, 원격 조작 장치가 차량의 실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원격 조작 장치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고, 차량의 도어 언락 명령이 입력되고, 원격 조작 장치가 차량의 실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원격 조작 장치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고, 원격 조작 장치와의 인증이 승인되면, 원격 조작 장치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용자의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및 안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는, 차량의 시동 버튼, 포브 키, 도어, 센터페시아 및 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감지부를 통해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차량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생체 정보를 활용하는 차량이어도 종래의 원격 조작 장치를 활용함으로써 간편하고 안전하게 차량을 임시적으로 사용하려는 임시 사용자에게 차량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원격 조작 장치 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외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0),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를 포함한 차량에 관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20),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고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감지부(130) 및 차량(100) 내의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고 감지부(130)에 의해 취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기기와 각종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 원격 조작 장치(200)와 상호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 조작 장치(200)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LF(Low Frequency) 통신망 및 RF (Radio Frequency) 통신망을 통해 원격 조작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20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10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 또는 포브(FOB)키를 포함할 수 있다.
LF(Low Frequency)통신망은 차량(100)이 원격 조작 장치(200)를 탐색하는 데 필요한LF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300kHz 미만의 저주파수 대역의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20kHz 이상 150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통신망일 수 있다. LF통신망을 통해 LF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저주파수 대역으로 인한 특성 때문에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는 고주파수 대역을 갖는 RF통신망의 송수신 가능 거리에 비하여 짧다. 예를 들어, LF신호 송수신 가능 거리는 약 5m이고, RF신호 송수신 가능 거리는 약 100m일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0)은 LF통신망을 통해 LF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차량(100)에 근접한 원격 조작 장치(200)를 탐색하고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LF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하나 이상의 LF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RF(Radio Frequency) 통신망은 300kHz 이상의 고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 무선 신호의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300MHz 이상 3GHz 의 극초단파 (Ultra High Frequency; UHF) 주파수 대역, 구체적으로는 300MHz 이상 450MHz 이하의 주파수 대역 을 이용하는 통신망일 수 있다. RF통신망을 통해 RF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는 저주파수 대역을 갖는 LF통신망 송수신 가능 거리에 비하여 길다.
RF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하나 이상의 RF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40)에 의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고, 활성화된 경우, 원격 조작 장치(200)와 인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인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20)는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등록된 원격 조작 장치(200)의 인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2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20)는 제어부(140)와 관련하여 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감지부(130)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고 생체 정보가 감지된 경우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30)는 차량(100)에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된 경우,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생체 정보를 제어부(14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지문을 예로 들어 설명을 하나, 생체 정보가 지문으로 한정 되는 것은 아니고, 유전자 형질, 목소리, 정맥, 안면 정보, 홍채 정보 등 생물학적 특징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면 생체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1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고 생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각종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지문 센서 또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안면 또는 안구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장치이면 감지부(130)의 일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시동 버튼(29) 위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조작 장치(200)의 일 측면(130a)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5) 손잡이(17)의 일 측면(130b)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고 취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10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감지부(130)에 의해 취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저장부(120)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상호 비교하고, 상호 일치하는 경우 지문 인증을 수행한 사용자를 승인하여, 사용자에게 차량(100)의 도어(15) 및 트렁크를 잠그거나 오픈(Open)할 수 있는 권한 및 차량(100)의 시동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는 권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도어(15)의 잠금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도어(15)의 손잡이(17) 주변에 마련된 도어락 입력부와 도어 언락 입력부의 입력 여부에 기초하여 도어(15)의 잠금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별도로 마련된 잠금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15)의 잠금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는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어락 입력부와 도어 언락 인력부는 각각 전술한 감지부(130)와 일체로 마련되어, 사용자는 도어락 입력부에 생체 정보를 입력하면서 생체 정보와 도어락 명령을 동시에 입력할 수 있고, 도어 언락 입력부에 또한 생체 정보를 입력하면서 생체 정보와 도어 언락 명령을 동시에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원격 조작 장치(200)와 인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110)를 턴온시키고, 인증 요청 신호를 원격 조작 장치(200)에 송신하거나 원격 조작 장치(200)로부터 인증 신호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인증 신호에 포함된 원격 조작 장치(200)의 인증 데이터와 저장부(120)에 저장된 인증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 여부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200)의 인증을 승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원격 조작 장치(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원격 조작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수신 세기 및 수신 방향을 기초로 원격 조작 장치(200)가 실내에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실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실외에 존재하되 주변에(즉, 인증 가능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 또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원격 조작 장치(200)가 활성화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원격 조작 장치(200)가 활성화된 경우, 제어부(140)는 원격 조작 장치(200)에 차량(100)의 도어(15) 및 트렁크를 잠그거나 오픈(Open)할 수 있는 권한 및 차량(100)의 시동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는 권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부여할 수 있고, 비활성화된 경우, 제어부(140)는 원격 조작 장치(200)의 차량(100)을 제어하기 위한 권한을 박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로직에 따라 원격 조작 장치(200)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조작 장치(200)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것은 원격 조작 장치(200)와 통신하는 통신부(110)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한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 수행과정을 설명한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원격 조작 장치 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복수개의 안테나(110a, 110b)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복수개의 안테나(110a, 110b)가 각각 송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원격 조작 장치(200)가 차량(100)의 실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실외에 있되 차량(100)의 주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또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실내에 원격 조작 장치(200)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감지부(130)가 생체 정보를 입력 받고, 도어락 입력부가 도어락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실내에 존재하는 원격 조작 장치(200)를 비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지문 인증 만으로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실외에 원격 조작 장치(200)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감지부(130)가 생체 정보를 입력 받고, 도어 언락 입력부가 도어 언락을 입력 받는 경우, 실외에 존재하는 원격 조작 장치(200)를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지문 인증 뿐만 아니라 원격 조작 장치(200)로도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1에서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생체 정보를 일 실시예로 지문 정보로 기초로 설명하지만, 전술하였다시피 생체 정보는 지문 정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차량(100)의 제어부(140)는 감지부(130)를 통해 지문 정보가 입력되면(1111) 입력된 지문 정보와 저장부(120)에 저장된 지문 정보가 상호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1112),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도어락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113).
그리고, 도어락 명령이 입력된 경우(1113의 "예"), 제어부(140)는 원격 조작 장치(200)가 차량(100)의 실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1114), 실내에 존재하는 경우(1114의 "예"), 원격 조작 장치(200)가 활성화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1115), 활성화된 경우 원격 조작 장치(200)를 비활성화한다(1116).
그러나, 원격 조작 장치(200)가 실외 차량(100) 주변에 존재하는 경우(1123의 "예"), 제어부(140)는 원격 조작 장치(200)가 활성화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1124), 비활성화된 상태인 경우(1124의 "아니오"), 원격 조작 장치(200)를 활성화한다(1125).
다만, 전술한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대상이 되는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에 의해 인증이 시작되어(1121), 인증이 승인된(1122의 "예") 원격 조작 장치(200)가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감지부(130)를 통해 지문 정보가 입력되고(1211) 입력된 지문 정보와 저장부(120)에 저장된 지문 정보가 상호 일치하고(1212의 "예"), 사용자로부터 도어 언락 명령이 입력된 경우(1213의 "예"), 제어부(140)는 원격 조작 장치(200)가 차량(100)의 실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1214), 실내에 존재하는 경우(1214의 "예"), 원격 조작 장치(200)가 활성화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1115), 비활성화된 경우 원격 조작 장치(200)를 활성화한다(1220).
그러나, 원격 조작 장치(200)가 실외 차량(100) 주변에 존재하는 경우(1218의 "예"), 제어부(140)는 원격 조작 장치(200)가 활성화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1219), 비활성화된 상태인 경우(1219의 "아니오"), 원격 조작 장치(200)를 활성화한다(1220).
마찬가지로, 전술한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대상이 되는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에 의해 인증이 시작되어(1221), 인증이 승인된(1217의 "예") 원격 조작 장치(200)가 된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차량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감지부
140: 제어부

Claims (20)

  1. 원격 제어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차량의 도어락 상태 및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고, 상기 차량의 도어락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상기 차량의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비활성화하는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고, 상기 차량의 도어락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상기 차량의 실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활성화하는 차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고, 상기 차량의 도어 언락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상기 차량의 실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활성화하는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와의 인증이 승인되면,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용자의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및 안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 버튼, 포브 키, 도어, 센터페시아 및 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차량.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11.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차량의 도어락 상태 및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고, 상기 차량의 도어락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상기 차량의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포함되어 상기 원격 조작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고, 상기 차량의 도어락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상기 차량의 실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고, 상기 차량의 도어 언락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상기 차량의 실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감지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와의 인증이 승인되면,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용자의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및 안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시동 버튼, 포브 키, 도어, 센터페시아 및 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감지부를 통해 상기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80098424A 2018-08-23 2018-08-23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578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424A KR102578207B1 (ko) 2018-08-23 2018-08-23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6/210,657 US10632970B2 (en) 2018-08-23 2018-12-05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424A KR102578207B1 (ko) 2018-08-23 2018-08-23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613A true KR20200022613A (ko) 2020-03-04
KR102578207B1 KR102578207B1 (ko) 2023-09-14

Family

ID=6958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424A KR102578207B1 (ko) 2018-08-23 2018-08-23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32970B2 (ko)
KR (1) KR1025782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8307B2 (ja) 2018-10-12 2024-03-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指紋認証装置
US11193312B1 (en) * 2019-09-30 2021-12-07 Ambarella International Lp Child safety lock
JP2021149877A (ja) * 2020-03-23 2021-09-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制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CN114715075A (zh) * 2021-01-04 2022-07-0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基于ble和指纹方式的车辆认证系统和方法
US20230278834A1 (en) * 2022-03-04 2023-09-07 Tnt Crane & Rigging, Inc. Remotely Operated Crane Control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784A (ja) * 2001-10-22 2003-07-18 Honda Motor Co Ltd 無線式施解錠装置
US20160012653A1 (en) * 2014-07-11 2016-01-14 Entrus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ehicle security
US20160092950A1 (en) * 2014-09-25 2016-03-31 Ebay Inc. Utilizing a vehicle to determine an identity of a us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6343B2 (ja) 2010-10-19 2013-09-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KR101962972B1 (ko) 2012-12-26 2019-03-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마트키 차량 도난 방지시스템
JP2014227741A (ja) 2013-05-23 2014-12-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キー格付け変更システム
KR20150108027A (ko) 2014-03-15 2015-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777340B1 (ko) 2015-04-10 2017-09-1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키 및 그 활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784A (ja) * 2001-10-22 2003-07-18 Honda Motor Co Ltd 無線式施解錠装置
US20160012653A1 (en) * 2014-07-11 2016-01-14 Entrus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ehicle security
US20160092950A1 (en) * 2014-09-25 2016-03-31 Ebay Inc. Utilizing a vehicle to determine an identity of a u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207B1 (ko) 2023-09-14
US10632970B2 (en) 2020-04-28
US20200062218A1 (en)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8207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13734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EP3494553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 using biometric recognition coupled with tag authentication
US7664961B2 (en) Wireless handheld device with local biometric authentication
JP7053216B2 (ja) 車両操作装置および車両システム
JP2003515839A (ja) 複数のアンテナを有する無線をベースとする近接トークン
JP2020507700A (ja) 多段階の車両進入許可
US11704396B2 (en) Vehicle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mobile device used for vehicle authentication, vehicle authentication system, and vehicle authentication method
CA2632770A1 (en) Mobile based identification in security and asset management
US11194896B2 (en) Wearable device and portable system having higher security
KR20090079515A (ko) 휴대용 무선 지문인식 시스템 및 방법
CN109695383B (zh) 钥匙单元、控制系统、控制方法和具有存储在其中的程序的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90045501A (ko) 스마트기기 무선 통신과 파라볼라 안테나를 이용한 게이트 자동인증 시스템
US9639684B2 (en) Remote control method with identity verification mechanism and wearable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10639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gaining access of devices based on user's identity
JP6381478B2 (ja) 生体情報認証システム
US20220135003A1 (en) Authentication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JP6901307B2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及びユーザ認証方法
KR102602767B1 (ko) 사용자 접근방향 추적 기반 차량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JP7440011B2 (ja) 検出センサを用いたユーザ認証に基づく制御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デバイス
US20230376967A1 (en) Vehicle and mobile device communicating with vehicle
KR20210145409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522893B1 (ko) 차량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잠금 해제 방법
US20210295680A1 (en) Control device,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system
US20210076210A1 (en) Portable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