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090B1 -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090B1
KR102317090B1 KR1020150002022A KR20150002022A KR102317090B1 KR 102317090 B1 KR102317090 B1 KR 102317090B1 KR 1020150002022 A KR1020150002022 A KR 1020150002022A KR 20150002022 A KR20150002022 A KR 20150002022A KR 102317090 B1 KR102317090 B1 KR 102317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smart key
user
function information
restriction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7591A (ko
Inventor
김영재
엄명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9847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108027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658,875 priority Critical patent/US9896061B2/en
Priority to PCT/KR2015/002499 priority patent/WO2015142002A1/en
Publication of KR20150107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591A/ko
Priority to US15/898,595 priority patent/US10611336B2/en
Priority to US16/835,727 priority patent/US1119252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와 차량용 스마트 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상기 스마트 키가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 키의 기능에 대한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된 상기 기능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unctions of a smart key}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다.
데이터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피제어 장치와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 신호만으로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키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 키를 분실하는 등의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스마트 키의 기능을 다른 디바이스에 복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다만, 스마트 키의 기능을 다른 디바이스에 복제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가 스마트 키의 사용자가 예상하지 못한 용도로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키의 기능에 대한 사용을 제한하는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스마트 키의 사용자가 예상하지 못한 용도로 복제된 스마트 키의 기능이 사용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와 차량용 스마트 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상기 스마트 키가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 키의 기능에 대한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된 상기 기능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각각에 상기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 제한 조건을 상기 기능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상술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송된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이 시도됨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 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사용 내역을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서 상기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에 대한 변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변경 요청을 승인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변경 요청을 승인한 경우에, 상기 변경된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제한 조건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이 허용되는 시간을 제한하는 제 1 조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이 허용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제 2 조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사용할 사용자를 제한하는 제 3 조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게 사용이 허용되는 상기 기능의 종류를 제한하는 제 4 조건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이 허용되는 횟수를 제한하는 제 5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건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기능 정보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일정한 시간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건은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의 영역 또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기능 정보가 전송된 시점에서의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와 차량용 스마트 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상기 스마트 키가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키의 기능에 대한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된 상기 기능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각각에 상기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이 시도됨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 내역을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서 상기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에 대한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변경 요청을 승인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경 요청이 승인된 경우에, 상기 변경된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제한 조건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이 허용되는 시간을 제한하는 제 1 조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이 허용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제 2 조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사용할 사용자를 제한하는 제 3 조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게 사용이 허용되는 상기 기능의 종류를 제한하는 제 4 조건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이 허용되는 횟수를 제한하는 제 5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건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기능 정보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일정한 시간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건은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의 영역 또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기능 정보가 전송된 시점에서의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의 기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피제어 장치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게 스마트 키의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스마트 키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디바이스에게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된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가 제 1 디바이스에게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가 제 1 디바이스에게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가 제 1 디바이스에게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스마트 키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디바이스에게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된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구성이 메모리 장치인 경우, 제 1 디바이스에게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가 전달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구성이 스마트 키의 일부 조각인 경우, 제 1 디바이스에게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가 전달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스마트 키의 기능에 대한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기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시간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거리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사용자를 제한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사용자를 제한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횟수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기능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복수의 스마트 키들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2 이상의 조건들을 조합하여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복수의 스마트 키들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2 이상의 조건들을 조합하여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저장부에 사용 제한 조건이 저장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제 2 디바이스가 수신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1 내지 도 3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제 2 디바이스가 수신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제 2 디바이스가 수신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제 2 디바이스가 수신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가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조건이 시간 제한 조건인 경우, 제 2 디바이스가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7 내지 도 3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간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 2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조건이 거리 제한 조건인 경우, 제 2 디바이스가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0 내지 도 4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거리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 2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조건이 스마트 키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하는 조건인 경우, 제 2 디바이스가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5 내지 도 4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 2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조건이 기능 제한 조건인 경우, 제 2 디바이스가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8 내지 도 4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능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 2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조건이 횟수 제한 조건인 경우, 제 2 디바이스가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1 내지 도 5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횟수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 2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게 스마트 키의 기능을 사용한 내역을 전송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게 사용 제한 조건의 변경을 요청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게 사용 제한 조건의 변경을 요청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6 내지 도 5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복수의 디바이스들에게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60 내지 도 6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제스처"란 사용자가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행위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제스처에는 탭, 터치 앤드 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핸드 쉐이킹 등이 포함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디바이스의 화면에 출력"된다고 함은 디바이스의 화면에 특정 화면이 표시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화면에 출력"되는 것은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원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의 기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는 스마트 키(10), 제 1 디바이스(20), 제 2 디바이스(30) 및 피제어 장치(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제 1 사용자(50)의 소유이고,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사용자의 소유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는 모두 제 1 사용자(50)의 소유일 수도 있다.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데이터 처리 유닛(unit)을 구비한 디바이스가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에는 스마트 폰, 테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의 일 예는 도 60 내지 도 6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마트 키(10)는 피제어 장치(40)와의 물리적인 접촉 또는 결합 없이,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피제어 장치(40)가 차량이라고 가정하면, 통상의 키의 경우, 사용자는 키를 차량의 문에 구비된 키 홀(key hole)에 삽입함으로써 차량을 제어한다. 그러나, 스마트 키(10)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 키(10)의 버튼을 누르거나 스마트 키(10)에 제스쳐를 입력할 수 있고, 스마트 키(1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 후에, 차량은 스마트 키(10)가 출력한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스마트 키(10)는 키리스 고(Keyless Go)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리스 고 방식을 차용한 스마트 키를 소지하고 차량에 승차하면, 스마트 키를 키 홀에 삽입하지 않고서도 시동을 걸거나 끌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 키에 내장된 트랜스폰더(transponder)가 차량이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차량의 시동을 걸거나 끌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내부와 외부에는 LF(low frequency) 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들이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의 출입문 손잡이에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LF 신호는 약 125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의미한다. 차량에 설치된 안테나로부터 LF 신호가 스마트 키(10)로 전송되고, 스마트 키(10)가 차량과 충분히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면 스마트 키(10)는 RF 신호를 통하여 차량에 설치된 리시버(receiver)에게 자신의 ID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RF 신호는 300 MHz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의미한다. 이때, 차량에 전송된 스마트 키(10)의 ID가 정확하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잠금이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 키(10)를 사용함으로써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스마트 키(10)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스마트 키(1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응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은 LF 신호를 전송하는 모듈, RF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 모든 관련 데이터 신호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모듈, 차량에 포함된 다른 전자 제어 유닛들과 관련 인터페이스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듈 및 제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마트 키(10)는 블루투스 통신 방법을 통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 키(10)는 차량과 블루투스 통신 방법을 통하여 연결되어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차량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되었다고 하더라도, 후술될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는 스마트 키(10)가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스마트 키(10)가 키리스 고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한다고 가정하면,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도 키리스 고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마트 키(10)가 블루투스 통신 방법을 통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한다고 가정하면,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도 블루투스 통신 방법을 통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차량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피제어 장치(40)는 차량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장치들이 피제어 장치(40)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피제어 장치(40)의 예들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이하에서 생략되었다고 하더라도,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에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디바이스(20)는 상술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스마트 키(10)로부터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제어 장치(40)가 차량이라고 가정하면,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요구되는 조건(예를 들어,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간 등)의 내용 등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을 다른 디바이스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는 상술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차량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차량 번호, 차량의 시리얼 넘버, 차종, 차량의 색깔 등)를 스마트 키(10)로부터 수신하고, 다른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로부터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기능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기능 정보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수행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 1 디바이스(20)가 스마트 키(1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 1 디바이스(2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제 1 디바이스(2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스마트 키(10)로부터 복제하고, 복제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능 정보에는 스마트 키(1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신호가 생성되는데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피제어 장치(40)의 문을 열기 위하여 스마트 키(10)가 A 신호를 출력한다고 가정하면, 제 1 디바이스(20)가 스마트 키(1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제 1 디바이스(20)는 A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디바이스(20)는 피제어 장치(40)의 문을 열 수 있다.
스마트 키(10)가 수행하는 기능은 스마트 키(1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피제어 장치(40)가 차량이라고 가정하면, 스마트 키(10)가 수행하는 기능은 문의 개폐, 시동 걸기, 전조등의 온-오프(on-off), 차량에 구비된 음향 장치의 온-오프, 차량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장치의 온-오프, 차량에 구비된 통화 장치의 온-오프 등 차량의 모든 동작들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20)는 유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스마트 키(1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와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스마트 키(1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2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UWB) 통신 등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스마트 키(1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키(10)에서 분리된 소정의 하드웨어 장치에 기초하여, 스마트 키(10)로부터 제 1 디바이스(20)로 기능 정보가 전송되거나, 제 1 디바이스(20)의 사용자(즉, 제 1 사용자(50))가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에 스마트 키(10)에서 분리된 소정의 하드웨어 장치가 결합됨에 따라, 스마트 키(1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에 스마트 키(10)에서 분리된 메모리 장치가 결합됨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사용자(50)는 스마트 키(10)에서 분리된 소정의 하드웨어 장치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50)는 스마트 키(10)의 일부 조각을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사용자(50)가 일부 조각을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하는 방식은 스마트 키(10)가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하는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는 일부 조각에 포함된 버튼을 누르거나, 일부 조각에 제스쳐를 입력함으로써,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20)가 스마트 키(1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예들은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 1 디바이스(20)가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 1 디바이스(20)는 피제어 장치(40)의 모든 동작들을 아무런 제한 없이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제 1 디바이스(2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들 중 일부만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 1 디바이스(20)가 수신하는 기능 정보에는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정보에는 스마트 키(10)가 피제어 장치(40)의 모든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출력할 수 있는 신호들 중 일부 신호들에 대한 정보만 포함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기능 정보에는 제 1 디바이스(20)가 피제어 장치(40)의 일부 기능들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만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기능 정보에는 제 1 디바이스(20)가 피제어 장치(4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시간, 거리, 횟수 등을 제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제 1 디바이스(2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한다. 그리고,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 각각에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고, 스마트 키(10)로부터 전송된 기능 정보에 사용 제한 조건을 추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 제한 조건은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든 기능들 중 일부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조건이 될 수도 있고,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제한하는 조건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환경을 제한하는 조건에는 제 2 디바이스(30)에게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한 사용을 허용하는 시간을 제한하는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 제한 조건에는 제 2 디바이스(30)에게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한 사용을 허용하는 거리를 제한하는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 제한 조건에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을 사용할 사용자를 제한하는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 제한 조건에는 제 2 디바이스(30)에게 사용이 허용되는 스마트 키(10)의 기능들의 종류를 제한하는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 제한 조건에는 제 2 디바이스(30)에게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한 사용을 허용하는 횟수를 제한하는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사용 제한 조건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조건은 상술한 조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제 2 디바이스(30)가 스마트 키(10)의 기능들을 사용하는데 제약을 줄 수 있는 조건들은 모두 사용 제한 조건에 포함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20)가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예들은 도 15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일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는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는 서버에 스마트 키의 기능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가 제 2 디바이스(30)에 스마트 키의 기능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 2 디바이스(30)에 제 1 디바이스(20)에서 분리된 소정의 하드웨어 장치(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가 결합됨에 따라, 제 2 디바이스(3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 1 사용자(50)는 스마트 키(10)에서 분리된 소정의 하드웨어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키(10)의 일부 조각)을 제 2 사용자(60)에게 전달하고, 제 2 사용자(60)는 전달된 하드웨어 장치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 1 디바이스(20)가 제 2 디바이스(30)에게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예들은 도 29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 2 디바이스(3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기능 정보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한다. 이때,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기능 정보에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되어 있다면,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하는 데에 제약이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제어 장치(40)가 차량이고, 사용 제한 조건은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을 2014.06.23 오후 7시부터 오후 7시 30분까지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조건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2014.06.23 오후 7시 13분에는 제 2 디바이스(30)가 차량의 문의 개폐, 시동 걸기 등의 방법으로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나, 2014.06.23 오후 7시 32분에는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없게 된다. 다시 말해, 2014.06.23 오후 7시 13분에는 제 2 디바이스(30)가 차량의 문을 개폐하는 신호, 차량의 시동을 거는 신호 등을 출력함으로써 차량을 제어할 수 있으나, 2014.06.23 오후 7시 32분에는 상술한 신호들을 출력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차량을 제어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하는 예들은 도 35 내지 도 5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을 시도함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의 사용 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 내역은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하기 전에, 이를 제 1 디바이스(20)에게 통지하는 알림(notification)이 될 수도 있고,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한 이후에, 이를 제 1 디바이스(20)에게 통지하는 알림이 될 수도 있다. 제 1 디바이스(20)가 사용 내역을 수신한 경우, 제 1 디바이스(20)는 수신된 사용 내역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20)가 제 2 디바이스(30)의 사용 내역을 수신하는 일 예는 도 5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 1 디바이스(20)가 제 2 디바이스(30)에게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를 전송한 경우, 제 2 디바이스(30)는 제 1 디바이스(20)에게 사용 제한 조건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가 설정한 사용 제한 조건이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1회에 한하여 제어할 수 있는 조건이라고 가정하면, 제 2 디바이스(30)는 제 1 디바이스(20)에게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2회 제어할 수 있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제 1 디바이스(20)가 제 2 디바이스(30)의 요청을 승인하면, 제 2 디바이스(30)는 변경된 사용 제한 조건에 따라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30)가 제 1 디바이스(20)에게 사용 제한 조건의 변경을 요청하는 예들은 도 54 내지 도 5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디바이스(30)는 하나이고, 제 1 디바이스(20)의 사용자(즉, 제 1 사용자(50))와 제 2 디바이스(30)의 사용자(즉, 제 2 사용자(60))는 서로 다른 주체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는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귀속된 디바이스들에게 기능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예는 도 5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른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는 동일 사용자에게 귀속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에게 기능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의 사용자가 동일한 예는 도 5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 다른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는 제 1 사용자(50)에게 귀속된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기능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 1 디바이스(20)의 사용자와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디바이스들의 사용자가 동일할 수도 있다. 제 1 디바이스(20)가 제 1 사용자(50)에게 귀속된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예는 도 5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 다른 예로서, 스마트 키(10)의 개입 없이 제 1 디바이스(20)는 기능 정보를 피제어 장치(40)의 생산 업체로부터 전달받고, 기능 정보에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여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20)가 피제어 장치(40)의 생산 업체로부터 기능 정보를 전달받는 예는 도 5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 다른 예로서, 제 1 디바이스(10)의 개입 없이 제 2 디바이스(40)는 스마트 키(1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40)가 스마트 키(1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예는 도 6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마트 키(10)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피제어 장치(40)는 차량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장치들이 피제어 장치(40)에 해당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스마트 키(10)가 제어할 수 있는 피제어 장치(40)의 예들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피제어 장치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피제어 장치는 차량(41)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 키(10)는 차량(41)이 수행할 수 있는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41)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한 예들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피제어 장치는 가전 기기(42, 43, 44)가 될 수 있다. 도 3에는 가전 기기의 예로서, 냉장고(42), TV(43) 및 세탁기(44)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가정, 사무실 등에 배치될 수 있는 전자 제품이면 제한 없이 가전 기기에 해당될 수 있다.
스마트 키(10)는 가전 기기(42, 43, 44)가 수행할 수 있는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피제어 장치가 냉장고(42)라고 가정하면, 스마트 키(10)는 문의 개폐, 내부 온도 조절, 전원의 온-오프 등 냉장고(42)가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피제어 장치가 TV(43)라고 가정하면, 스마트 키(10)는 채널 변경, 볼륨 조절, 전원의 온-오프 등 TV(43)가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피제어 장치가 세탁기(44)라고 가정하면, 스마트 키(10)는 세탁 방식의 변경, 세탁 시간 조정, 전원의 온-오프 등 세탁기(44)가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마트 키(10)가 복수의 가전 기기들을 제어할 수도 있으나, 각각의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키가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피제어 장치는 현관문(45)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키(10)는 현관문(45)의 개폐 등 현관문(45)이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피제어 장치는 방범 시스템(46)에 포함된 장치들이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방범 시스템(46)에 촬영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스마트 키(10)는 촬영 장치가 촬영하는 방향 또는 각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방범 시스템(46)에 인터폰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스마트 키(10)는 인터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스마트 키(10)는 방범 시스템(46)에 포함된 장치들 각각의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게 스마트 키의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디바이스(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 1 디바이스(20)의 동작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일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61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가 차량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정보(이하, “기능 정보”라고 함)를 스마트 키(10)로부터 수신한다. 일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는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스마트 키(1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에 스마트 키(10)에서 분리된 소정의 하드웨어 장치가 결합됨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 1 사용자(50)는 스마트 키(10)에서 분리된 소정의 하드웨어 장치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62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610 단계에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 각각에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고, 스마트 키(10)로부터 전송된 기능 정보에 사용 제한 조건을 추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 제한 조건은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든 기능들 중 일부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조건이 될 수도 있고,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한하는 조건이 될 수도 있다.
만약, 도 6에 도시된 방법에서 620 단계가 생략된 경우에는,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든 기능들을 아무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63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620 단계에서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된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에 제공한다. 일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는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제 2 디바이스(30)로 기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2 디바이스(30)에 제 1 디바이스(20)에서 분리된 소정의 하드웨어 장치가 결합됨에 따라, 제 2 디바이스(3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 2 사용자(60)는 스마트 키(10)에서 분리된 소정의 하드웨어 장치를 제 1 사용자(50)로부터 넘겨 받고, 제 2 사용자(60)는 넘겨 받은 하드웨어 장치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2 디바이스(3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기능 정보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스마트 키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디바이스에게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된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키(10),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키(10),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의 동작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일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71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에게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여기에서, 제 1 디바이스(20)가 스마트 키(10)에게 기능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였다는 것은 제 1 디바이스(20)가 스마트 키(10)와의 통신 연결이 완료된 상황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그 이후에 스마트 키(10)에게 기능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자 입력부(60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스마트 키(10)에게 기능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가 스마트 키(1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한 경우, 스마트 키(10)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 기능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였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통신 연결은 유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연결을 의미한다.
720 단계에서, 스마트 키(10)는 제 1 디바이스(20)에게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스마트 키의 기능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스마트 키(10)는 제 1 디바이스에게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되지 않은 기능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은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가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데 이용되거나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은 스마트 키(10)마다 미리 저장된 값일 수도 있고, 제 1 디바이스(20)가 임의로 생성된 값일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는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를 저장할 때에, 다른 스마트 키의 기능 정보와 구별하여 저장하는 용도로 식별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제 1 스마트 키의 식별 값이 ‘KEY 1’이고, 제 2 스마트 키의 식별 값이 ‘KEY 2’라고 가정하고, 제 1 디바이스(20)가 제 1 스마트 키 및 제 2 스마트 키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때, 제 1 디바이스(20)는 제 1 스마트 키의 기능 정보를 제 2 스마트 키의 기능 정보와 구별하여 저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 1 디바이스(20)는 ‘KEY 1’과 제 1 스마트 키의 기능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하고, ‘KEY 2’와 제 2 스마트 키의 기능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때에 식별 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피제어 장치(40)는 그에 대응하는 스마트 키(10)가 출력한 신호만을 감지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 1 피제어 장치(40)는 제 1 스마트 키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감지하여 동작을 수행하고, 제 2 피제어 장치(40)는 제 2 스마트 키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감지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제 1 스마트 키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제 2 스마트 키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차이는 진폭 또는 위상의 차이에서 비롯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스마트 키로부터 출력된 신호에는 제 1 스마트 키의 식별 값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제 2 스마트 키로부터 출력된 신호에는 제 2 스마트 키의 식별 값에 관한 정보가 포함됨으로써 양 신호 간에 차이가 발생될 수도 있다.
제 1 스마트 키의 식별 값이 ‘KEY 1’이고, 제 2 스마트 키의 식별 값이 ‘KEY 2’라고 가정하고, 제 1 디바이스(20)가 제 1 스마트 키 및 제 2 스마트 키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였다고 가정한다. 또한, 제 1 스마트 키는 제 1 피제어 장치를 제어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제 1 디바이스(20)는 ‘KEY 1’를 이용하여 제 1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스마트 키(10)가 제 1 디바이스(20)에게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예들을 설명한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가 제 1 디바이스에게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마트 키(10)와 제 1 디바이스(20)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 8에서는 스마트 키(10)와 제 1 디바이스(20)가 USB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스마트 키(10)와 제 1 디바이스(20)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제한 없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해당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20)가 스마트 키(10)에게 기능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면, 스마트 키(10)는 제 1 디바이스(20)에게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제 1 디바이스(20)에 의한 전송 요청은 스마트 키(10)와 제 1 디바이스(20)가 연결된 이후에 별도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스마트 키(10)와 제 1 디바이스(20)의 연결로서 제 1 디바이스(20)에 의한 전송 요청이 대체(즉, 스마트 키(10)와 제 1 디바이스(20)의 연결됨과 동시에 식별 값 및 기능 정보가 제 1 디바이스(20)로 전송됨)될 수도 있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가 제 1 디바이스에게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마트 키(10)와 제 1 디바이스(20)가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무선 통신 방식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및 초광대역(UWB) 통신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디바이스(20)가 스마트 키(10)에게 기능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면, 스마트 키(10)는 제 1 디바이스(20)에게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제 1 디바이스(20)에 의한 전송 요청은 스마트 키(10)와 제 1 디바이스(20)가 연결된 이후에 별도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스마트 키(10)와 제 1 디바이스(20)의 연결로서 제 1 디바이스(20)에 의한 전송 요청이 대체될 수도 있음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가 제 1 디바이스에게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마트 키(1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키(10)가 피제어 장치(40)의 문을 열라는 신호를 출력한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에서, 스마트 키(10)가 출력하는 신호는 RF(Radio-Frequency) 신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가 출력한 신호를 캡쳐함으로써,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만약, 스마트 키(10)가 출력한 신호에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이 포함되어 있다면, 제 1 디바이스(20)는 신호의 캡쳐를 통하여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73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과 기능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음은 720 단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제 1 디바이스(20)가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와 제 1 디바이스(20)에 구비된 저장부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저장부는 도 61을 참조하여 후술한 메모리(6070)에 대응될 수도 있고, 제 1 디바이스(20)에 별도로 구비된 저장 장치일 수도 있다.
스마트 키(10)로부터 식별 값 및 기능 정보의 수신이 완료된 경우, 제 1 디바이스(20)는 저장부에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과 기능 정보를 맵핑(1110, 1120)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스마트 키들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도, 제 1 디바이스(20)는 각각의 스마트 키의 기능 정보를 구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20)는 식별 값을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마트 키로부터 수신된 식별 값이 ‘KEY 1’이고, 제 2 스마트 키로부터 수신된 식별 값이 ‘KEY 2’라고 가정한다. 이때, 제 1 디바이스(20)는 ‘KEY 1’과 제 1 스마트 키의 기능 정보를 맵핑(1110)하여 저장하고, ‘KEY 2’와 제 2 스마트 키의 기능 정보를 맵핑(1120)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74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자 입력부(6010)에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 각각에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 제한 조건은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든 기능들 중 일부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조건이 될 수도 있고,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한하는 조건이 될 수도 있다.
75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한다. 제 1 디바이스(20)가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하는 예들은 도 15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76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에게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를 전송한다. 일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가 제 2 디바이스(30)로부터 전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제 1 디바이스(20)가 제 2 디바이스(30)에게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가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할 제 2 디바이스(30)를 지정하고, 지정된 제 2 디바이스(30)에게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740 단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2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였다면,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송되는 기능 정보에는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술된 740 단계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라면,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송되는 기능 정보에는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2 디바이스(30)가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되지 않은 기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 2 디바이스(30)는 아무런 제약 없이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77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를 저장한다. 제 1 디바이스(20)가 제 2 디바이스(30)로부터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디바이스(30)가 전송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예들은 도 29 내지 도 37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키(10)에서 분리된 소정의 하드웨어 장치에 기초하여, 스마트 키(10)로부터 제 1 디바이스(20)로 기능 정보가 전송되거나, 제 1 디바이스(20)의 사용자(즉, 제 1 사용자(50))가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스마트 키(10)에서 분리된 소정의 하드웨어 장치에 기초하여, 스마트 키(10)로부터 제 1 디바이스(20)로 기능 정보가 전송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스마트 키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디바이스에게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된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키(10),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키(10),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의 동작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2에 도시된 일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2의 1230 단계 내지 1270 단계는 도 7의 730 단계 내지 770 단계에 대응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1230 단계 내지 1270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210 단계에서, 스마트 키(10)는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1 구성에 저장한다. 그리고, 1220 단계에서, 제 1 구성이 제 1 디바이스(20)에게 전달된다.
여기에서, 제 1 구성은 스마트 키(10)와 결합된 장치 또는 스마트 키(10)의 일부 조각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은 스마트 키(10)와 결합된 별도의 메모리 장치가 될 수도 있고, 스마트 키(10)의 일부 조각이 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제 1 구성이 메모리 장치 또는 스마트 키(10)의 일부 조각인 경우에, 제 1 디바이스(20)에게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가 전달되는 예들을 설명한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구성이 메모리 장치인 경우, 제 1 디바이스에게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가 전달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마트 키(10), 스마트 키(10)에 결합된 메모리 장치(1310) 및 제 1 디바이스(20)가 도시되어 있다.
스마트 키(10)는 메모리 장치(1310)에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키(10)는 메모리 장치(1310)에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고,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되지 않은 기능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 제한 조건은 제 1 디바이스(2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든 기능들 중 일부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조건이 될 수도 있고, 제 1 디바이스(2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한하는 조건이 될 수도 있다.
제 1 디바이스(20)의 사용자(즉, 제 1 사용자(50))는 스마트 키(10)에서 분리된 메모리 장치(1310)를 제 1 디바이스(2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가 제 1 디바이스(20)에게 전달 될 수 있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구성이 스마트 키의 일부 조각인 경우, 제 1 디바이스에게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가 전달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스마트 키(10) 및 스마트 키(10)의 일부 조각(14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조각(1410)은 스마트 키(10)의 물리적인 일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조각(1410)에는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부 조각(1410)에는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되지 않은 기능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일부 조각(1410)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 중 일부 기능들 만이 사용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이 일정한 환경(예를 들어, 시간, 거리 또는 횟수의 제한)에서만 사용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일부 조각(1410)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이 제약 없이 사용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제 1 디바이스(20)의 사용자(즉, 제 1 사용자(50))는 일부 조각(1410)을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50)가 일부 조각(1410)을 다른 사용자(예를 들어, 제 2 사용자(60))에게 전달하고, 다른 사용자는 전달받은 일부 조각을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의 1230 단계 내지 127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도 7의 740 단계 내지 750 단계 및 도 12의 1240 단계 내지 1250 단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2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제 1 디바이스(20)가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하는 예들을 설명한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디바이스(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 1 디바이스(20)의 동작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5에 도시된 일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151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기능 정보에 기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로부터 전송된 기능 정보에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7의 720 단계 및 도 12의 1210 단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20)에게 전송된 기능 정보 또는 제 1 구성에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사용 제한 조건이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로부터 전송된 기능 정보에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 1 디바이스(20)가 기능 정보에 사용 제한 조건이 기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152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1540 단계로 진행한다.
152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기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자 입력부(60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 1 디바이스(20)가 기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153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1540 단계로 진행한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제 1 디바이스(20)가 기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기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마트 키(10)로부터 제 1 디바이스(20)로 전송된 기능 정보에 사용 제한 조건이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이 ‘현재 위치(즉,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하려고 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300m’ 및 ‘현재 시간(즉,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하려고 하는 시간)을 시점으로 30분 이내’라고 가정한다.
제 1 디바이스(20)는 화면에 기 설정된 조건(1610)을 출력함으로써, 제 1 사용자(50)에게 기 설정된 조건(1610)의 세부 내용을 확인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디바이스(20)는 화면에 기 설정된 조건(1610)을 사용할지 여부를 묻는 객체(162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1620)는 아이콘, 팝업 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6010)를 통하여 기 설정된 조건(1610)을 사용할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 1 디바이스(20)는 기 설정된 조건(1610)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153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기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한다. 다시 말해,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로부터 전송된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부에 저장한다.
154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한다. 다시 말해, 스마트 키(10)로부터 전송된 기능 정보에 사용 제한 조건이 기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기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사용하지 않기로 판단한 경우에는, 제 1 디바이스(20)는 새로운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자 입력부(6010)에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 각각에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 제한 조건은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든 기능들 중 일부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조건이 될 수 있다. 또는, 사용 제한 조건은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한하는 조건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제한 조건에는 제 2 디바이스(30)에게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한 사용을 허용하는 시간을 제한하는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 제한 조건에는 제 2 디바이스(30)에게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한 사용을 허용하는 거리를 제한하는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 제한 조건에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한 사용을 허용하는 제 2 디바이스(30)의 종류를 제한하는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 제한 조건에는 제 2 디바이스(30)에게 사용이 허용되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의 종류를 제한하는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 제한 조건에는 제 2 디바이스(30)에게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한 사용을 허용하는 횟수를 제한하는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제 1 디바이스(20)가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예들을 설명한다.
도 1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디바이스(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 1 디바이스(20)의 동작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7에 도시된 일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171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시간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간 제한 조건은 제 2 디바이스(30)에게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한 사용을 허용하는 시간을 제한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일 예로서, 시간 제한 조건은 제 2 디바이스(30)에 기능 정보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30)에 기능 정보가 전송된 시점이 2014.06.24 오후 6:54:23이고, 시간 제한 조건이 10분이라고 가정하면, 제 2 디바이스(30)는 2014.06.24 오후 6:54:23부터 2014.06.24 오후 7:04:23까지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시간 제한 조건은 미리 설정된 일정한 시간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제한 조건이 2014.06.24 오후 8:00:00부터 2014.06.24 오후 10:00:00까지라고 가정하면, 제 2 디바이스(30)는 2014.06.24 오후 8:13:26에는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으나, 2014.06.24 오후 10:01:57에는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없다.
이하, 도 18을 참조하여, 제 1 디바이스(20)가 시간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시간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가 시간 제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팝업 창들(1810, 1820, 183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 1 디바이스(20)는 설정 가능한 사용 제한 조건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팝업 창(181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8에는 설정 가능한 사용 제한 조건들로서 시간, 거리, 사용자, 횟수 및 기능이 표시되어 있으나, 상술된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사용자(50)는 팝업 창(1810)에 표시된 사용 제한 조건의 종류들 중에서 ‘시간’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팝업 창(182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50)가 사용자 입력부(6010)를 통해 사용 제한 시간을 입력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을 팝업 창(1820)에 표시하고, 입력된 시간을 사용 제한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팝업 창(1830)을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7을 참조하면, 172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거리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거리 제한 조건은 제 2 디바이스(30)에게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한 사용을 허용하는 거리를 제한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일 예로서, 거리 제한 조건은 제 1 디바이스(20)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가 현재 X 지점에 위치해 있고, 거리 제한 조건이 100m라고 가정하면, 제 2 디바이스(30)는 X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100m 이내의 영역에서만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거리 제한 조건은 제 2 디바이스(30)에 기능 정보가 전송된 시점에서의 제 2 디바이스(30)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가 제 2 디바이스(30)에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때에 제 2 디바이스(30)가 Y 지점에 위치해 있고, 거리 제한 조건이 50m라고 가정하면, 제 2 디바이스(30)는 Y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50m 이내의 영역에서만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제 1 디바이스(20)가 거리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거리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가 거리 제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팝업 창들(1910, 1920, 193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 1 디바이스(20)는 설정 가능한 사용 제한 조건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팝업 창(191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9에는 설정 가능한 사용 제한 조건들로서 시간, 거리, 사용자, 횟수 및 기능이 표시되어 있으나, 상술된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사용자(50)는 팝업 창(1910)에 표시된 사용 제한 조건의 종류들 중에서 ‘거리’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반경을 입력할 수 있는 팝업 창(192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50)가 사용자 입력부(6010)를 통해 사용 제한 반경을 입력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자가 입력한 반경을 팝업 창(1920)에 표시하고, 입력된 반경을 거리 제한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팝업 창(1930)을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7을 참조하면, 173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하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30)에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가 전송된 이후에, 제 1 사용자(50)가 원치 않는 자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하려고 시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디바이스(2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하는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제 2 사용자(60) 이외의 자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사용자(60)의 지문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를 제한하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사용자의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를 제한하는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제 1 디바이스(2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사용자를 제한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예들을 설명한다.
도 2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사용자를 제한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가 사용자를 제한하는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팝업 창들(2010, 2020, 204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 1 디바이스(20)는 설정 가능한 사용 제한 조건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팝업 창(201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20에는 설정 가능한 사용 제한 조건들로서 시간, 거리, 사용자, 횟수 및 기능이 표시되어 있으나, 상술된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사용자(50)는 팝업 창(2010)에 표시된 사용 제한 조건의 종류들 중에서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는 지문 인식 센서(2030)를 터치할 것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 창(202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팝업창(20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 2 사용자가 지문 인식 센서(2030)를 터치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사용자(60)의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디바이스(20)는 획득된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팝업 창(2040)을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사용자를 제한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가 제 2 디바이스(30)를 제한하는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팝업 창들(2110, 2120, 2130, 214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 1 디바이스(20)는 설정 가능한 사용 제한 조건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팝업 창(211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21에는 설정 가능한 사용 제한 조건들로서 시간, 거리, 사용자, 횟수 및 기능이 표시되어 있으나, 상술된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사용자(50)는 팝업 창(2110)에 표시된 사용 제한 조건의 종류들 중에서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는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할 것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 창(212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60)가 팝업 창(2130)에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사용자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팝업 창(2140)을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7을 참조하면, 174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횟수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횟수 제한 조건은 제 2 디바이스(30)에게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한 사용을 허용하는 횟수를 제한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횟수 제한 조건이 2회라고 가정하면, 제 2 디바이스(30)는 2회에 걸쳐서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22를 참조하여, 제 1 디바이스(20)가 횟수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2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횟수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가 횟수 제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팝업 창들(2210, 2220, 223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 1 디바이스(20)는 설정 가능한 사용 제한 조건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팝업 창(221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22에는 설정 가능한 사용 제한 조건들로서 시간, 거리, 사용자, 횟수 및 기능이 표시되어 있으나, 상술된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사용자(50)는 팝업 창(2210)에 표시된 사용 제한 조건의 종류들 중에서 ‘횟수’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횟수를 입력할 수 있는 팝업 창(222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50)가 사용자 입력부(6010)를 통해 사용 제한 횟수를 입력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자가 입력한 횟수를 팝업 창(2220)에 표시하고, 입력된 횟수를 사용 제한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팝업 창(2230)을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7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가능한 기능을 제한하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은 스마트 키(10)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제 2 디바이스(30)가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된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피제어 장치(40)가 차량이고,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에는 출입 문의 개폐 기능, 시동 걸기 기능, 전조등의 온-오프 기능 및 트렁크 문의 개폐 기능이 포함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제 1 디바이스(20)가 설정한 기능 제한 조건이 시동 걸기 기능이라고 가정하면, 제 2 디바이스(30)는 차량의 문의 개폐, 전조등의 온-오프 및 트렁크 문의 개폐는 수행할 수 없다.
이하, 도 23을 참조하여, 제 1 디바이스(20)가 기능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2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기능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가 기능 제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팝업 창들(2310, 2320, 233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 1 디바이스(20)는 설정 가능한 사용 제한 조건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팝업 창(231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23에는 설정 가능한 사용 제한 조건들로서 시간, 거리, 사용자, 횟수 및 기능이 표시되어 있으나, 상술된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사용자(50)는 팝업 창(2310)에 표시된 사용 제한 조건의 종류들 중에서 ‘기능’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가능한 기능을 입력할 수 있는 팝업 창(232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50)가 팝업 창(2320)에 표시된 기능들 중에서 ‘시동’을 선택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 중에서 시동 걸기 만을 사용 가능하도록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팝업 창(2330)을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7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1710 단계 내지 1750 단계에서 설정된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여 사용 제한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1710 단계 내지 1750 단계에서 설정된 조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 제한 조건을 구성할 수도 있고, 2 이상의 조건들이 조합되어 사용 제한 조건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 1 디바이스(20)에 기능 정보를 전송한 스마트 키(10)의 수가 복수인 경우, 제 1 디바이스(20)는 각각의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하여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24를 참조하여, 제 1 디바이스(20)가 복수의 스마트 키들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또한, 도 25를 참조하여, 제 1 디바이스(20)가 2 이상의 조건들을 조합하여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또한, 도 26을 참조하여, 제 1 디바이스(20)가 복수의 스마트 키들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2 이상의 조건들을 조합하여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2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복수의 스마트 키들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가 복수의 스마트 키들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팝업 창들(2410, 2420, 243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 1 디바이스(20)는 제 1 디바이스(20)에 기능 정보를 전송한 스마트 키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팝업 창(241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에 기능 정보를 전송한 제 1 스마트 키 및 제 2 스마트 키의 식별 값이 각각 ‘KEY 1’ 및 ‘KEY 2’라고 가정하면, 팝업 창(2410)에는 ‘KEY 1’ 및 ‘KEY 2’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2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팝업 창(2410)에는 각각의 스마트 키에 대하여 제 1 사용자가 임의로 결정한 명칭이 표시될 수도 있다.
제 1 사용자(50)는 팝업 창(2410)에 표시된 스마트 키들의 식별 값들 중에서 ‘KEY 1’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는 설정 가능한 사용 제한 조건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팝업 창(242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50)는 팝업 창(2420)에 표시된 사용 제한 조건의 종류들 중에서 ‘시간’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팝업 창(243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50)가 사용자 입력부(6010)를 통해 사용 제한 시간을 입력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을 팝업 창(2430)에 표시하고, 입력된 시간을 사용 제한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종합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제 1 스마트 키의 기능에 대하여 시간 제한이 포함된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2 이상의 조건들을 조합하여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가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팝업 창들(2510, 2520, 253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 1 디바이스(20)는 설정 가능한 사용 제한 조건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팝업 창(251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50)는 팝업 창(2510)에 표시된 사용 제한 조건의 종류들 중에서 ‘시간’ 및 ‘거리’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팝업 창(2520)과 사용 제한 반경을 입력할 수 있는 팝업 창(2530)을 순차적으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2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시간 및 사용 제한 반경을 동시에 입력할 수 있는 팝업 창을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제 1 사용자(50)가 사용자 입력부(6010)를 통해 사용 제한 시간을 입력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을 팝업 창(2520)에 표시하고, 입력된 시간을 사용 제한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50)가 사용자 입력부(6010)를 통해 사용 제한 반경을 입력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자가 입력한 반경을 팝업 창(2530)에 표시하고, 입력된 반경을 사용 제한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종합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시간 제한 및 거리 제한이 함께 포함된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복수의 스마트 키들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2 이상의 조건들을 조합하여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가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팝업 창들(2610, 2620, 2630, 264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 1 디바이스(20)는 제 1 디바이스(20)에 기능 정보를 전송한 스마트 키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팝업 창(261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에 기능 정보를 전송한 제 1 스마트 키 및 제 2 스마트 키의 식별 값이 각각 ‘KEY 1’ 및 ‘KEY 2’라고 가정하면, 팝업 창(2610)에는 ‘KEY 1’ 및 ‘KEY 2’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2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팝업 창(2610)에는 각각의 스마트 키에 대하여 제 1 사용자(50)가 임의로 결정한 명칭이 표시될 수도 있다.
제 1 사용자(50)는 팝업 창(2610)에 표시된 스마트 키들의 식별 값들 중에서 ‘KEY 1’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는 설정 가능한 사용 제한 조건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팝업 창(262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50)는 팝업 창(2620)에 표시된 사용 제한 조건의 종류들 중에서 ‘시간’ 및 ‘거리’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팝업 창(2630)과 사용 제한 반경을 입력할 수 있는 팝업 창(2640)을 순차적으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2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시간 및 사용 제한 반경을 동시에 입력할 수 있는 팝업 창을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제 1 사용자(50)가 사용자 입력부(6010)를 통해 사용 제한 시간을 입력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을 팝업 창(2630)에 표시하고, 입력된 시간을 사용 제한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50)가 사용자 입력부(6010)를 통해 사용 제한 반경을 입력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자가 입력한 반경을 팝업 창(2640)에 표시하고, 입력된 반경을 사용 제한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종합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제 1 스마트 키의 기능에 대하여 시간 제한 및 거리 제한이 함께 포함된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155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는 저장부에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도 27 내지 28을 참조하여, 제 1 디바이스(20)가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2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가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하기 위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팝업 창들(2510, 2520, 253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 1 디바이스(20)의 화면에는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할지 여부를 묻는 팝업 창(2710)을 출력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50)가 ‘YES’를 선택함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할 명칭을 입력 받기 위한 팝업 창(2720)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01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 제한 조건 3’이라고 입력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 제한 조건을 ‘사용 제한 조건 3’이라는 명칭으로 저장한다. 사용 제한 조건이 저장이 완료되면, 제 1 디바이스(20)는 현재 저장되어 있는 사용 제한 조건들의 목록(2730)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에, 제 1 사용자는 제 2 디바이스(30)로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를 전송할 때, 제 1 디바이스(20)의 화면에 출력된 목록(2730)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2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저장부에 사용 제한 조건이 저장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와 제 1 디바이스(20)에 구비된 저장부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저장부는 도 61을 참조하여 후술한 메모리(6070)에 대응될 수도 있고, 제 1 디바이스(20)에 별도로 구비된 저장 장치일 수도 있다.
제 1 디바이스(20)는 저장부에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과 사용 제한 조건을 맵핑(2810, 2820, 2830)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스마트 키들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도, 제 1 디바이스(20)는 각각의 스마트 키의 기능 정보에 사용 제한 조건을 포함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20)는 하나의 스마트 키에 대하여 설정된 복수의 사용 제한 조건들(2810, 2830)도 각각 분리하여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7의 760 단계 내지 770 단계 및 도 12의 1260 단계 내지 1270 단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하고, 제 2 디바이스(30)는 수신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는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디바이스(20)는 서버에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가 제 2 디바이스(30)에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 2 디바이스(30)에 제 1 디바이스(20)에서 분리된 소정의 하드웨어 장치(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가 결합됨에 따라, 제 2 디바이스(3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 1 사용자(50)는 스마트 키(10)에서 분리된 소정의 하드웨어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키(10)의 일부 조각)을 제 2 사용자(60)에게 전달하고, 제 2 사용자(60)는 전달된 하드웨어 장치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9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제 1 디바이스(20)가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하고, 제 2 디바이스(30)가 수신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예들을 설명한다.
도 29 내지 도 3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제 2 디바이스가 수신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20)는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1 디바이스(20)와 제 2 디바이스(30) 간의 유무선 통신 방식은 스마트 키(10)와 제 1 디바이스(20) 간의 유무선 통신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스마트 키(10)와 제 1 디바이스(20) 간의 유무선 통신 방식의 예들이 제 1 디바이스(20)와 제 2 디바이스(30) 간의 유무선 통신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제 1 디바이스(20)에 제 2 디바이스를 NFC 태깅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에 제 2 디바이스를 NFC 태깅함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가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9에 도시된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의 동작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29에 도시된 일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291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공유할 스마트 키(10)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디바이스(20)에 복수의 스마트 키들에 대한 기능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송할 기능 정보에 대응하는 스마트 키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제 1 디바이스(20)에 저장된 기능 정보가 단일 스마트 키에 대한 것이라면, 2910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292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에 제 2 디바이스(30)를 NFC 태깅한다.
293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에게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송될 기능 정보에는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294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도 29에 도시된 각 단계들을 설명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사용자가 제 1 디바이스(20)의 화면에 출력된 스마트 키 아이콘(3010)을 선택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NFC 태깅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 창(302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스마트 키에 대해서는 이미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 및 저장되었음을 가정하고,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NFC 태깅을 안내하는 팝업 창(30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 1 디바이스(20)를 제 2 디바이스(30)에 NFC 태깅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선택된 스마트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 2 디바이스(30)는 전송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제 2 디바이스가 수신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의 760 단계 및 도 12의 1260 단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로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31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후술할 내용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서버(3180)를 경유하여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는 서버(3180)에게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3180)가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가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서버(3180)를 경유하여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311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공유할 스마트 키(10)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디바이스(20)에 복수의 스마트 키들에 대한 기능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송할 기능 정보에 대응하는 스마트 키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제 1 디바이스(20)에 저장된 기능 정보가 단일 스마트 키에 대한 것이라면, 2910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312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서버(3180)에게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서버(3180)에게 전송될 기능 정보에는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3130 단계에서, 서버(318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정보(즉,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서버(318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3180)는 대칭 키 알고리즘 또는 비대칭 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암호화 할 수 있다.
만약, 서버(3180)가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지 않는다면, 후술될 316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314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서버(3180)에게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30)는 사용자 입력부(6010)를 통하여 수신된 제 2 사용자(60)의 요청에 기초하여, 서버(3180)에게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제 2 디바이스(30)의 요청이 없더라도, 서버(3180)가 제 2 디바이스(30)에게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예를 들어, 푸쉬(push))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가 서버(3180)에게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한 경우, 서버(3180)는 제 2 디바이스(30)의 요청이 없더라도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3150 단계에서, 서버(3180)는 제 2 디바이스(30)에게 암호화된 정보(즉, 암호화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전송한다. 3130 단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3180)가 식별 값 및 기능 정보의 암호화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 서버(318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에게 그대로 전송할 수 있다.
316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서버(318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복호화한다. 3130 단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3180)가 식별 값 및 기능 정보의 암호화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 316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317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기능 정보에는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도 30에 도시된 각 단계들을 설명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사용자가 제 1 디바이스(20)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스마트 키를 선택하고 공유를 요청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선택된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를 서버(3210)에 전송한다.
서버(3210)는 데이터베이스(3211)에 접근하여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기능 정보를 식별 값에 맵핑(3221, 3222)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3211)는 서버(3210)에 포함된 구성일 수도 있다.
제 2 디바이스(30)로부터의 전송 요청이 있거나 또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자동으로, 서버(3210)는 데이터베이스(3211)로부터 저장된 정보를 독출한다. 그리고, 서버(3210)는 독출된 정보(즉, 암호화된 기능 정보 및 식별 값)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
도 3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제 2 디바이스가 수신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 제 1 디바이스(20)에 결합된 메모리 장치(3310) 및 제 2 디바이스(30)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디바이스(20)는 메모리 장치(3310)에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20)는 메모리 장치(3310)에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고,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되지 않은 기능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 2 디바이스(30)의 사용자(즉, 제 2 사용자(60))는 제 1 디바이스(20)에서 분리된 메모리 장치(3310)를 제 2 디바이스(3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가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달 될 수 있다.
도 3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스마트 키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제 2 디바이스가 수신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50), 스마트 키(10)의 일부 조각(3410) 및 제 2 사용자(6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조각(3410)은 스마트 키(10)의 물리적인 일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조각(3410)에는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부 조각(3410)에는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되지 않은 기능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일부 조각(3410)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 중 일부 기능들 만이 사용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이 일정한 환경(예를 들어, 시간, 거리 또는 횟수의 제한)에서만 사용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일부 조각(3410)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이 제약 없이 사용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제 1 사용자(50)는 일부 조각(3410)을 제 2 사용자(60)에게 전달하고, 제 2 사용자(60)는 전달받은 일부 조각(3410)을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디바이스(3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능 정보에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 2 디바이스(30)는 사용 제한 조건에 따라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피제어 장치(40)가 제 2 디바이스(30)의 신호를 감지하면, 피제어 장치(40)는 감지된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35 내지 도 52를 참조하여,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예들을 설명한다.
도 3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가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5에 도시된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제 2 디바이스(3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 2 디바이스(30)의 동작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5에 도시된 일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351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를 수신한다.
352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사용 제한 조건을 식별한다.
353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사용 제한 조건에 따라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 1 디바이스(20)가 설정할 수 있는 사용 제한 조건의 예들은 도 17을 참조하여 상술하였다. 이하, 도 36 내지 도 52를 참조하여, 사용 제한 조건의 예들에 따라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3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조건이 시간 제한 조건인 경우, 제 2 디바이스가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6은 도시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제 2 디바이스(3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 2 디바이스(30)의 동작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6에 도시된 일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361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시간 제한 조건(즉, 시간에 대한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된 기능 정보를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다.
362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하려는 때의 시간을 확인한다. 다시 말해, 제 2 사용자(60)가 제 2 디바이스(30)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즉,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하려고 시도하는 때에, 제 2 디바이스(30)는 그 순간의 시간을 확인한다.
363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3620 단계에서 확인된 시간이 사용이 허용된 시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제 2 디바이스(30)는 3620 단계에서 확인된 시간이 시간 제한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이 허용된 시간이라면 3640 단계로 진행하고, 사용이 허용된 시간이 아니라면 3650 단계로 진행한다.
364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사용자(60)가 요청한 기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365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의 제어를 거부한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사용자(60)가 요청한 기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지 않음에 따라 피제어 장치(40)의 제어를 거부할 수 있다.
이하, 도 37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도 36에 도시된 일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7 내지 도 3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간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 2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7에는 시간 제한 조건이 제 2 디바이스(30)에 기능 정보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인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38에는 시간 제한 조건이 미리 설정된 일정한 시간 구간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제 1 사용자(50)가 제 1 디바이스(20)에 출력된 팝업 창(3710)에 사용 제한 시간으로서 10분을 입력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에게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과 함께 사용 제한 조건을 포함하는 기능 정보를 전송한다.
제 2 디바이스(30)는 설정된 시간 내에서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즉,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바이스(30)는 식별 값과 기능 정보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10분 동안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표(37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디바이스(30)에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공유된 시점(즉, 제 2 디바이스(30)에 식별 값 및 기능 정보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10분 동안,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공유 시점으로부터 10분이 경과되면,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도 38을 참조하면, 제 1 사용자(50)가 제 1 디바이스(20)에 출력된 팝업 창(3810)에 사용 제한 시간으로서 오후 2시 ~ 오후 4시를 입력하였다고 가정한다. 도 37과 비교하면, 도 37의 실시예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공유된 시점(즉, 제 2 디바이스(30)에 식별 값 및 기능 정보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만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8의 실시예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의 공유 시점과 상관 없이, 제 1 사용자(50)가 설정한 시간대(즉, 14시 ~ 16시)에서만 제 2 디바이스(30)는 스마트 키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8의 표(38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은 14시부터 16시까지이고, 공유 시점(즉, 제 2 디바이스(30)에 식별 값 및 기능 정보가 전송된 시점)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3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조건이 거리 제한 조건인 경우, 제 2 디바이스가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9에 도시된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제 2 디바이스(3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 2 디바이스(30)의 동작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9에 도시된 일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391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거리 제한 조건(즉, 위치에 대한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된 기능 정보를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다.
392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하려는 때의 위치를 확인한다. 다시 말해, 제 2 사용자(60)가 제 2 디바이스(30)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즉,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하려고 시도하는 때에, 제 2 디바이스(30)는 그 시점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확인한다.
393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3920 단계에서 확인된 위치가 사용이 허용된 영역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제 2 디바이스(30)는 3920 단계에서 확인된 위치가 거리 제한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이 허용된 위치라면 3940 단계로 진행하고, 사용이 허용된 위치가 아니라면 3950 단계로 진행한다.
394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사용자(60)가 요청한 기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395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의 제어를 거부한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사용자(60)가 요청한 기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지 않음에 따라 피제어 장치(40)의 제어를 거부할 수 있다.
이하, 도 40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도 39에 도시된 일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0 내지 도 4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거리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 2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0 내지 도 42에는 거리 제한 조건이 제 1 디바이스(20)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의 영역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43에는 거리 제한 조건이 제 2 디바이스(30)에 기능 정보가 전송된 시점에서의 제 2 디바이스(30)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의 영역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제 1 사용자는 제 1 디바이스(20)에 출력된 팝업 창에 거리 제한 조건을 200m로 입력하였다. 그 후에,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에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과 함께 거리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거리 제한 조건은 제 1 디바이스(20)의 위치로부터 200m 이내의 거리에서만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즉,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제 1 디바이스(20)와 제 2 디바이스(30)간의 거리가 200m 이상 벌어지면,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의 위치에 기초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가 요구된다. 도 41 내지 도 42에서는 서버(4110, 4210)가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 1 디바이스(20) 또는 제 2 디바이스(30)가 도 41 내지 도 42에 도시된 서버(4110, 421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서버(4110)는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 1 디바이스(20)와 제 2 디바이스(30) 간의 거리를 산출한다. 이때,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는 내장된 GPS 모듈을 이용하여 각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그 외 다양한 방법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서버(4110)는 산출된 거리 값을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송한다. 즉, 도 4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서버(4110)가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제 1 디바이스(20)와 제 2 디바이스(30) 사이의 거리 값을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송한다.
도 42를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가 서버(4210)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면, 서버(4210)는 제 1 디바이스(20)의 위치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송한다. 만약, 제 1 디바이스(20)가 제 2 디바이스(30)에게 직접적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도 42에 도시된 서버(4210)는 생략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3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수신된 제 1 디바이스(20)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제 1 디바이스(20)와 제 2 디바이스(3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 2 디바이스(30)는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즉,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43에는 스마트 키(10)의 공유 지점(즉, 제 2 디바이스(30)가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수신한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서만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3을 참조하면, 제 1 사용자(50)는 제 1 디바이스(20)에 출력된 팝업 창(4310)에 사용 제한 거리로 200m를 입력한다. 이때, 사용 제한 거리는 스마트 키(10)의 공유 지점으로부터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의미한다. 즉, 제 2 디바이스(30)가 공유 지점(4320)에 위치한 상태에서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제 2 디바이스(30)는 공유 지점(4320)으로부터 200m의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동안에만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디바이스(30)는 공유 지점(432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사용자(6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하려는 시점에서의 제 2 디바이스(30)의 위치를 공유 지점(4320)의 위치 정보와 비교한다. 그리고, 제 2 디바이스(3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즉,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4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조건이 스마트 키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하는 조건인 경우, 제 2 디바이스가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4에 도시된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제 2 디바이스(3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 2 디바이스(30)의 동작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44에 도시된 일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441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사용자를 제한하는 조건(즉,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사용자를 제한하는 조건)이 설정된 기능 정보를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다.
442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30)는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하여 제 2 사용자(60)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거나, 사용자 입력부(6010)를 통하여 제 2 사용자(60) 고유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
443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4420 단계에서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다시 말해, 제 2 디바이스(30)는 기능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0)가 획득한 지문 정보 또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4420 단계에서 획득된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도 4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2 디바이스(30)는 서버에게 사용자 인증을 위임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4440 단계로 진행하고,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면 4450 단계로 진행한다.
444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사용자(60)가 요청한 기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445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의 제어를 거부한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사용자(60)가 요청한 기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지 않음에 따라 피제어 장치(40)의 제어를 거부할 수 있다.
이하, 도 45 내지 도 46을 참조하여, 도 44에 도시된 일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5 내지 도 4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 2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5에는 제 2 디바이스(30)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46에는 서버(4610)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5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 2 사용자(60)의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일 예이고, 도 46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 2 사용자(60)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일 예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50)는 제 1 디바이스(20)의 화면에 출력된 팝업 창에 사용을 허용할 사용자(즉, 제 2 사용자(60))의 ID를 입력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에게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과 함께 사용자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기능 정보에는 제 1 디바이스(20)가 획득한 제 2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포함된다.
어떤 사용자에 의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사용 시도가 있는 경우, 제 2 디바이스(3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만 기능에 대한 사용(즉, 피제어 장치(40)를 제어)을 허용한다. 도 45를 참조하면, 제 2 디바이스(30)는 지문 인식 센서(4510)를 통해 입력된 지문 정보와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제 2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6을 참조하면, 제 2 디바이스(30)가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서버(4610)로 전송하면, 서버(461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제 2 디바이스(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서버(4610)는 사용자 인증 결과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가 제 2 디바이스(30)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하려는 시도를 할 경우, 제 2 디바이스(30)는 서버(4610)에게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다. 어떤 사용자가 제 2 디바이스(30)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제 2 디바이스(30)는 입력된 정보를 서버(4610)에 전송한다.
서버(300)는 제 2 디바이스(30)로부터 수신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데이터베이스(4611)의 테이블(4612)에 미리 저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비교한다. 여기에서, 데이터베이스(4611)의 테이블(4612)에 저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의미한다.
비교 결과, 제 2 디바이스(30)로부터 수신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테이블(4612)에 저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서로 대응되면, 서버(4610)는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서버(4610)는 제 2 디바이스(30)에 사용자 인증 결과를 전송한다.
도 4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조건이 기능 제한 조건인 경우, 제 2 디바이스가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7에 도시된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제 2 디바이스(3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 2 디바이스(30)의 동작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47에 도시된 일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471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기능 제한 조건(즉,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 중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설정된 조건)이 설정된 기능 정보를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다.
472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확인한다. 다시 말해, 제 2 사용자(60)가 제 2 디바이스(30)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즉,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하려고 시도하는 때에,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사용자(60)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확인한다.
473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4720 단계에서 확인된 기능이 사용이 허용된 기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이 허용된 기능이라면 4740 단계로 진행하고, 사용이 허용된 기능이 아니라면 4750 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도 4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2 디바이스(30)는 서버에게 4730 단계의 수행을 위임할 수도 있다.
474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사용자(60)가 요청한 기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475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의 제어를 거부한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사용자(60)가 요청한 기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지 않음에 따라 피제어 장치(40)의 제어를 거부할 수 있다.
이하, 도 48 내지 도 49를 참조하여, 도 47에 도시된 일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8 내지 도 4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능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 2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8에는 제 2 디바이스(30)가 사용이 허용된 기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49에는 서버가 사용이 허용된 기능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8을 참조하면, 제 1 사용자(50)가 제 1 디바이스(20)에 표시된 팝업 창(4810)에서 사용을 허용할 기능으로서 ‘시동’을 선택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과 함께 기능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제 2 사용자(6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는 있지만,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에 따라 단지 피제어 장치(40)의 시동을 걸 수 있을 뿐이고, 트렁크를 오픈할 수는 없다.
도 49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50)가 제 1 디바이스(20)에 출력된 팝업 창(4920)에서 사용을 허용할 기능으로서 ‘시동’을 선택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과 기능 정보를 서버(4910)로 전송한다. 서버(4910)는 수신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맵핑시켜 데이터베이스(4911)에 저장한다.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사용 시도가 있으면, 제 2 디바이스(30)는 사용이 시도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확인을 서버(4910)에 요청한다. 서버(4910)는 데이터베이스(4911)에 접근하여 스마트 키(10)의 사용 제한 조건을 확인(즉, 제 2 디바이스(30)에게 ‘시동’ 기능의 사용이 허용되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서버(4910)는 확인 결과를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송한다.
도 5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조건이 횟수 제한 조건인 경우, 제 2 디바이스가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0은 도시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제 2 디바이스(3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 2 디바이스(30)의 동작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50에 도시된 일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501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횟수 제한 조건(즉,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는 조건)이 설정된 기능 정보를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다.
502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하려는 때에, 사용이 허용된 횟수 및 현재까지의 누적 사용 횟수를 확인한다. 다시 말해, 제 2 사용자(60)가 제 2 디바이스(30)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즉,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하려고 시도하는 때에, 제 2 디바이스(30)는 기능의 사용이 허용된 횟수 및 현재까지 기능이 사용된 횟수를 확인한다.
503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5020 단계에서 확인된 누적 사용 횟수가 사용이 허용된 횟수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누적 사용 횟수가 사용이 허용된 횟수 이하라면 5040 단계로 진행하고, 사용이 허용된 횟수보다 많다면 5050 단계로 진행한다.
504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사용자(60)가 요청한 기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505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의 제어를 거부한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사용자(60)가 요청한 기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지 않음에 따라 피제어 장치(40)의 제어를 거부할 수 있다.
이하, 도 51 내지 도 52을 참조하여, 도 50에 도시된 일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1 내지 도 5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횟수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 2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1에는 제 2 디바이스(30)가 사용 횟수에 따른 사용 제어를 수행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52에는 서버(5210)가 사용 횟수 제한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0을 참조하면, 제 1 사용자(50)가 제 1 디바이스(20)에 표시된 팝업 창(5110)에서 사용 가능 횟수를 ‘2회’로 입력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과 함께 횟수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제 2 사용자(6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는 있지만,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에 따라 단지 2회만 제어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30)는 내부 메모리에 사용 가능 횟수와 현재까지 누적된 사용 횟수를 저장하고, 스마트 키(10)의 사용 시도가 있을 때마다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도 51을 참조하면, 제 1 사용자(50)가 제 1 디바이스(20)에 표시된 팝업 창(5220)에서 사용 가능 횟수를 ‘2회’로 입력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과 함께 횟수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를 서버(5210)에게 전송한다. 서버(5210)는 수신된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맵핑하여 데이터베이스(5211)에 저장한다. 또한, 서버(5210)는 제 2 디바이스(30)에서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사용되면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에 누적 사용 횟수를 맵핑하여 저장한다. 제 2 디바이스(3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사용 시도가 있을 때마다 이를 서버(5210)에 알리고,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한다.
서버(5210)는 데이터베이스(5211)에 접근하여, 해당 스마트 키(10)에 대한 사용 가능 횟수와 현재까지의 누적 사용 횟수를 비교하여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서버(5211)는 확인 결과를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송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을 시도함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의 사용 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디바이스(20)가 사용 내역을 제 2 디바이스(30)로부터 수신한 경우, 제 1 디바이스(20)는 수신된 사용 내역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53을 참조하여, 제 2 디바이스(30)가 제 1 디바이스(20)에게 사용 내역을 전송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5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게 스마트 키의 기능을 사용한 내역을 전송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3을 참조하면, 이미 제 2 디바이스(30)에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가 전송된 것을 가정한다. 제 2 사용자(60)가 제 2 디바이스(30)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의 제어를 시도(즉,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의 사용을 시도)하면, 제 2 디바이스(30)는 기능의 사용 내역을 서버(531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5310)는 수신된 사용 내역을 제 1 디바이스(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5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2 디바이스(30)는 제 1 디바이스(20)에게 직접 사용 내역을 전송할 수도 있다.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즉,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 창(5320)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팝업 창(5320)에는 제 1 사용자(50)가 제 2 디바이스(30)의 사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객체(5321) 및 이후에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제 2 디바이스(30)의 사용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는 객체(5322)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20)가 제 2 디바이스(30)에게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된 기능 정보를 전송한 경우, 제 2 디바이스(30)는 제 1 디바이스(20)에게 사용 제한 조건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 1 디바이스(20)가 제 2 디바이스(30)의 요청을 승인하면, 제 2 디바이스(30)는 변경된 사용 제한 조건에 따라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54 내지 도 55를 참조하여, 제 2 디바이스(30)가 제 1 디바이스(20)에게 사용 제한 조건의 변경을 요청하는 예들을 설명한다.
도 5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게 사용 제한 조건의 변경을 요청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4에 도시된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의 동작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54에 도시된 일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4의 5410 단계 내지 5430 단계는 도 7의 740 단계 내지 770 단계에 대응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5410 단계 내지 5430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5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54에 도시된 일 예는 도 7의 710 단계 내지 730 단계가 이미 수행되었음을 전제한다.
544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제 1 디바이스(20)에게 사용 제한 조건의 변경을 요청한다.
545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로부터 수신된 변경 요청을 승인하면, 546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변경된 사용 제한 조건을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전송한다.
5470 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변경된 사용 제한 조건을 저장한다.
이하, 도 55를 참조하여, 도 54에 도시된 일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게 사용 제한 조건의 변경을 요청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5를 참조하면, 제 2 디바이스(30)가 횟수 제한 조건에 따른 사용 횟수만큼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 2 디바이스(30)의 화면에는 추가적으로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의 사용을 요청할지 여부를 묻는 팝업 창(5520)이 표시될 수 있다. 기능의 추가 사용을 원할 경우, 제 2 사용자(60)는 팝업 창(5520)에서 ‘YES’를 선택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20)에게 사용 제한 조건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30)는 서버(5510)에게 사용 제한 조건의 변경 요청을 전송하고, 서버(5510)가 제 1 디바이스(20)에게 수신된 변경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제 1 디바이스(20)의 화면에는 제 2 디바이스(30)로부터의 요청이 수신되었으며, 이를 허용할 것인지를 묻는 팝업 창(5530)이 출력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가 팝업 창(5530)에서 ‘YES’를 선택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에게 요청에 대한 승인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디바이스(20)가 전송하는 승인 결과에는 변경된 사용 제한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20)는 서버(5510)에게 요청에 대한 승인 결과를 전송하고, 서버(5510)가 제 2 디바이스(30)에게 수신된 승인 결과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5를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하나의 제 2 디바이스(30)에게 기능 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나,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디바이스의 개수는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6 내지 도 5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복수의 디바이스들에게 기능 정보를 전송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6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서로 다른 사용자들(60, 80)에게 귀속된 디바이스들(30, 70)에게 기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디바이스들 각각의 사용자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 2 사용자(60)와 제 3 사용자(80)는 각각 자신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7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동일 사용자(60)에게 귀속된 복수의 디바이스들(30, 70)에게 기능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2 사용자(60)는 제 2 디바이스(30) 또는 제 3 디바이스(70)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8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제 1 사용자(50)에게 귀속된 다른 디바이스들(30, 70)에게 기능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 1 디바이스(20)의 사용자와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디바이스들(30, 70)의 사용자가 동일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사용자(50)는 제 1 디바이스(20), 제 2 디바이스(30) 및 제 3 디바이스(7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피제어 장치의 생산 업체로부터 기능 정보를 전달받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9를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는 생산 업체(80)로부터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생산 업체(80)는 피제어 장치(40)를 생산하는 주체 또는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하는 스마트 키(10)를 생산하는 주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제어 장치(40)가 차량이라고 가정하면, 생산 업체(80)는 차량 생산 회사 또는 차량 생산 회사의 요청을 받아 차량용 스마트 키를 생산하는 회사가 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50)가 피제어 장치(40)을 생산 업체(80)로부터 구매할 때, 제 1 사용자(50)는 생산 업체(80)로부터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를 전달받아 제 1 디바이스(2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 사용자(50)는 생산 업체(80)에서 운영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친 후에,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제 1 디바이스(2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사용자(50)는 생산 업체(80)로부터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가 저장된 저장 매체를 전달받고,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제 1 디바이스(20)에 기능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사용자(50)는 스마트 키(10)를 이용하지 않고서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를 제 1 디바이스(20)에 저장할 수 있다. 그 후에,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제 2 디바이스(30)에게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가 제공되는 예는 도 1 내지 도 58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도 6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가 스마트 키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0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20)의 개입 없이, 스마트 키(10)의 기능 정보가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제공되는 기능 정보에는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50)가 누른 스마트 키(10)의 버튼(예를 들어, 출입문 개폐 버튼)과 그 버튼을 누른 횟수에 따라 사용 제한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피제어 장치(40)가 차량인 것을 가정하여 상술한 예가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 1 사용자(50)가 스마트 키(10)에 구비된 버튼들 중 소정의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제 2 디바이스(30)와 NFC 태깅을 수행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30)가 스마트 키(1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디바이스(30)에는 기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에, 제 1 사용자(50)가 스마트 키(10)와 제 2 디바이스(30)를 태깅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30)가 스마트 키(1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 후에, 제 1 사용자(50)가 스마트 키(10)에 구비된 버튼들 중에서 출입문 개폐를 위한 버튼을 누름으로써, 제 2 디바이스(30)에게 차량의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는 기능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제 1 사용자(50)가 출입문 개폐를 위한 버튼을 누른 횟수에 따라, 제 2 디바이스(30)가 차량의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는 시간 또는 횟수의 제한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 사용자(50)가 버튼을 누른 횟수당 제 2 디바이스(30)가 차량의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는 시간이 10분씩 늘어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사용자(50)가 버튼을 누른 횟수당 제 2 디바이스(30)가 차량의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는 횟수가 1회씩 늘어날 수도 있다.
제 2 디바이스(30)가 스마트 키(10)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기능 정보에 포함된 기능의 종류 및 사용 제한 조건이 제 2 디바이스(30)의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사용자(50) 및 제 2 사용자(60)는 제 2 디바이스(30)에 전송된 기능과 사용 제한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출입문 개폐 기능은 스마트 키(10)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들 중 일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제 1 사용자(50)가 스마트 키(10)에 구비된 다른 버튼을 누른 경우, 그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에 대한 정보가 제 2 디바이스(30)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도 6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61에 도시된 서버(5900)는 도 1 내지 도 60을 참조하여 상술한 서버에 해당될 수 있다.
도 61을 참조하면, 서버(5900)는 통신부(5910), 제어부(5920) 및 데이터베이스(59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910)는 스마트 키(10) 및 디바이스들과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기능 정보는 사용 제한 조건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5910)는 제 2 디바이스(30)가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즉,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때, 그 사용이 사용 제한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5930)는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기능 정보는 사용 제한 조건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5930)는 제 2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지문 정보 또는 아이디/패스워드)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5930)가 저장하는 정보는 상술된 정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마트 키(10), 제 1 디바이스(20) 및 제 2 디바이스(30)가 스마트 키(10)의 식별 값 및 기능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5920)는 서버(59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5920)는 통신부(5910) 및 데이터베이스(5930)를 제어한다.
도 62 내지 도 6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62 내지 도 63에 도시된 디바이스(6000)는 도 1 내지 도 60을 참조하여 상술한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도 6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6000)는, 사용자 입력부(6010), 출력부(6020), 제어부(6030), 및 통신부(60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2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제 1 디바이스(60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6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 1 디바이스(6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6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 1 디바이스(60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6000)는, 사용자 입력부(6010), 출력부(6020), 제어부(6030), 및 통신부(6040) 이외에 센싱부(6050), A/V 입력부(6060), 및 메모리(60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601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6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601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6010)는,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6010)는, 사용 제한 조건의 변경 요청을 승인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6010)는,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지문 정보 또는 아이디/패스워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601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60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6020)는 디스플레이부(6021), 음향 출력부(6022), 및 진동 모터(602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21)는 디바이스(6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6021)는,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상 이미지의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6021)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602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2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6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바이스(6000)는 디스플레이부(6021)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6021)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6022)는 통신부(604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60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6022)는 디바이스(6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60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602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6023)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602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6030)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6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6000)는, 메모리(60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6010), 출력부(6020), 센싱부(6050), 통신부(6040), A/V 입력부(606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30)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 제한 조건은 제 2 디바이스(30)에게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의 사용이 허용되는 시간을 제한하는 제 1 조건, 제 2 디바이스(30)에게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의 사용이 허용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제 2 조건,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사용자를 제한하는 제 3 조건, 제 2 디바이스(30)에게 사용이 허용되는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의 종류를 제한하는 제 4 조건 및 제 2 디바이스(30)에게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의 사용이 허용되는 횟수를 제한하는 제 5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 1 조건은 제 2 디바이스(30)에 기능 정보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일정한 시간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조건은 제 1 디바이스(20)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의 영역 또는 제 2 디바이스(30)에 기능 정보가 전송된 시점에서의 제 2 디바이스(30)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30)는, 사용자 입력부(601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피제어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 각각에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고, 사용 제한 조건을 기능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30)는, 사용자 입력부(601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 제한 조건에 대한 변경 요청을 승인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경 요청은 제 2 디바이스(30)가 제 1 디바이스(20)에게 사용 제한 조건에 대한 변경을 요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6030)는, 기능 정보에 포함된 사용 제한 조건을 식별할 수 있고, 피제어 장치(4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부(6050)는, 디바이스(6000)의 상태 또는 디바이스(60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60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605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605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6052), 온/습도 센서(6053), 적외선 센서(6054), 자이로스코프 센서(6055), 위치 센서(예컨대, GPS)(6056), 기압 센서(6057), 근접 센서(605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605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6040)는, 디바이스(6000)와 다른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6000)와 서버(5900) 간에 데이터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040)는, 근거리 통신부(6041), 이동 통신부(6042), 방송 수신부(604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604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604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604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디바이스(6000)가 방송 수신부(604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60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6061)와 마이크로폰(60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606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603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606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60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604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606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60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606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606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6070)는, 제어부(60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디바이스(6000)로 입력되거나 디바이스(60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60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6071), 터치 스크린 모듈(6072), 알림 모듈(60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607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바이스(6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60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603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607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60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6073)은 디바이스(6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60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6073)은 디스플레이부(602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602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602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스마트 키 자체를 공유하지 않더라도 디바이스를 통해서 간편하게 스마트 키를 공유할 수 있으며, 특히 일정한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한 스마트 키를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상황 및 목적에 맞게 스마트 키를 활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스마트 키
20: 제 1 디바이스
30: 제 2 디바이스
40: 피제어 장치
50: 제 1 사용자
60: 제 2 사용자

Claims (20)

  1. 외부 디바이스와 자동차의 키를 공유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서버로부터 상기 키가 상기 자동차를 제어하는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시간 설정 아이템 및 상기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 아이템을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 아이템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시간 설정 아이템을 통하여 허용 시간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상기 선택된 허용 시간 동안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실행할 수 있다는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 및 상기 허용 시간을 선택하고,
    상기 사용 제한 조건의 설정을 위하여, 상기 선택된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 및 상기 허용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2 서버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은 도어 오픈 기능, 트렁크 오픈 기능 또는 엔진 시동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시간의 선택은 시간 구간 설정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사용했다는 것을 지시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에 대한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 제한 조건에 대한 변경 요청을 기초로, 상기 사용 제한 조건을 변경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키의 상기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제2 서버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9. 삭제
  10. 전자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와 자동차의 키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버로부터 상기 키가 상기 자동차를 제어하는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시간 설정 아이템 및 상기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 아이템을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 아이템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간 설정 아이템을 통하여 시간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상기 선택된 시간 동안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실행할 수 있다는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 및 상기 시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제한 조건의 설정을 위하여, 상기 선택된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 및 상기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2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은 도어 오픈 기능, 트렁크 오픈 기능 또는 엔진 시동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의 선택은 시간 구간 설정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사용했다는 것을 지시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에 대한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 제한 조건에 대한 변경 요청을 기초로, 상기 사용 제한 조건을 변경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키가 상기 자동차를 제어하는 복수의 자동차 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제2 서버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0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002022A 2014-03-15 2015-01-07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317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58,875 US9896061B2 (en) 2014-03-15 2015-03-16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unctions of smart key
PCT/KR2015/002499 WO2015142002A1 (en) 2014-03-15 2015-03-16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unctions of smart key
US15/898,595 US10611336B2 (en) 2014-03-15 2018-02-18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unctions of smart key
US16/835,727 US11192522B2 (en) 2014-03-15 2020-03-31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unctions of smart k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662 2014-03-15
KR20140030662 2014-03-15
KR1020140098479 2014-07-31
KR1020140098479A KR20150108027A (ko) 2014-03-15 2014-07-31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591A KR20150107591A (ko) 2015-09-23
KR102317090B1 true KR102317090B1 (ko) 2021-10-26

Family

ID=5424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022A KR102317090B1 (ko) 2014-03-15 2015-01-07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982B1 (ko) 2017-06-27 2022-08-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90395B1 (ko) * 2018-04-02 2023-01-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키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5482606A (zh) * 2021-06-16 2022-12-16 厦门通通超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万能钥匙系统及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9911A1 (en) * 2001-09-11 2004-02-26 Makoto Oka Content usage authority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US20070293190A1 (en) * 2006-06-14 2007-12-20 Yuya Ota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618B1 (ko) * 2010-12-21 2013-10-23 주식회사 케이티 스마트키 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9911A1 (en) * 2001-09-11 2004-02-26 Makoto Oka Content usage authority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US20070293190A1 (en) * 2006-06-14 2007-12-20 Yuya Ota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591A (ko)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25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unctions of smart key
US1055480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3168730B1 (en) Mobile terminal
US981977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of mobile terminal
KR10157035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891363B2 (en) User authenticating method and device
CN109766684B (zh) 用户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187833B1 (ko)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10116781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a device
US10713640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98408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formation
EP3101577B1 (en) Watch 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086296A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75653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컨텐츠 전송 방법.
CN106209800B (zh) 设备权限共享方法和装置
CN106067921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3926890A (zh) 智能终端控制方法及装置
US10523859B2 (en) Portable camer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502887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terminal
KR2017001161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317090B1 (ko)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05141797A (zh) 来访处理方法及装置
KR20150108027A (ko)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360182B1 (ko)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US9979492B2 (en) Method of shar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ased on sound signal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