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569B1 -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569B1
KR102426569B1 KR1020200119218A KR20200119218A KR102426569B1 KR 102426569 B1 KR102426569 B1 KR 102426569B1 KR 1020200119218 A KR1020200119218 A KR 1020200119218A KR 20200119218 A KR20200119218 A KR 20200119218A KR 102426569 B1 KR102426569 B1 KR 102426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coke
cylinder tube
discharging ca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698A (ko
Inventor
박정희
임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중앙이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중앙이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19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5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 C10B45/005Devices for recovering spilled coke, e.g. recovering the coke falling out the oven when opening doors or withdrawing the leveler ba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3/00Discharging devices; Coke gu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핑 장치는, 침전지 바닥에 침전된 분코크스를 긁어 모으기 위한 스크레이퍼를 갖는 스크레이퍼부, 및 디스차징카의 이동에 따라 스크레이퍼를 침전지의 바닥과 분코크스 포집장 사이를 무동력으로 승강시켜 주기 위한 스크레이퍼 승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Non-Driving Scraper of Discharging Car For Coke Sedimentation Basin}
본 발명은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는 코크스 오븐에 석탄(Coal)을 장입하고 설정 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제조된다.
코크스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코크스 분진(Coke Mist) 및 폐가스 입자(Waste Gas Mist)들은 코크스 오븐 바닥에서 배수관을 통해 침전지로 이송된다.
침전지 바닥에 침전된 코크스 분진류는 물과 섞인 슬러지(Sludge) 형태이다.
침전지 바닥에 쌓인 슬러지는 디스차징카에 하부에 장착된 스크레이퍼가 하강 후 전진 주행하는 디스차징카의 구동력에 의해 침전지 바닥 최저부에서 침전지 중간부 오르막 경사면을 경유하여 침전지 끝부분에 있는 포집 장소로 모아 준다.
이와 같이 모인 코크스 슬러지는 덤프 트럭 등에 의하여 야외 건류장으로 이송하여 건류 후 분코크스로 재활용 된다.
종래의 디스차징카에 장착된 스크레이퍼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드럼, 와이어로프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그러나, 침전지 바닥에 하강되어 있던 스크레이퍼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스크레이퍼와 와이어로프 드럼 사이에서 헐겁게 풀려져 있던 2줄의 와이어로프가 와이어로프 드럼에 엇갈려 감기면서 다른 한쪽은 겹쳐서 감기거나 꼬이면서 와이어로프의 킹크 및 절손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디스차징카가 침전지 바닥의 분코크스 슬러지를 포집하기 위해 침전지내에서 종방향으로 전, 후진하는 과정에서 와이어로프 드럼에 2줄의 와이어로프가 서로 불균일하게 풀려있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비스듬히 기울어진 스크레이퍼가 전, 후진 주행 중에 침전지 측벽에 부딪치는 충격으로 스크레이퍼의 변형 및 파손 등 설비 고장이 자주 발생하면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침전지 바닥에 침전된 분코크스를 긁어 모으는 디스차징카에 장착된 스크레이퍼 장치에서 스크레이퍼의 승강 동작을 무동력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크레이핑 장치는, 침전지 바닥에 침전된 분코크스를 긁어 모으기 위한 스크레이퍼를 갖는 스크레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레이핑 장치는, 스크레이퍼 이송을 위한 디스차징카 및 스크레이퍼와 각각 결합되고, 디스차징카의 이동에 따라 스크레이퍼를 상기 침전지의 바닥과 분코크스 포집장 사이를 무동력으로 승강시켜 주기 위한 스크레이퍼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승강부는, 유가 채워지는 실린더 튜브의 내측에 위치한 피스톤을 기준으로 상, 하부에 위치되는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를 갖는 양로드 복동실린더, 실린더 튜브의 내측 일단부와 내측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배관, 배관 상에 설치되고 배관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자동 개폐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에는 실린더 튜브의 길이 방향 하부로만 유체를 흐르게 하는 체크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배관에는 분기관이 분기되고, 분기관에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실린더 튜브는 내부의 비워 있는 공간부에 유체가 채워지며, 공간부는 피스톤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한 제1 내실과, 타측에 위치한 제2 내실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내실과 제2 내실은 피스톤이 실린더 튜브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위치할 때 동일한 용적을 가질 수 있다.
실린더 튜브 내측 일단부에는 유체가 흐르기 위한 상부 포트가 배치되고, 실린더 튜브 내측 타단부에는 유체가 흐르기 위한 하부 포트가 배치될 수 있다.
배관에는 실린더 튜브 내에 설정 압력 이상의 과도한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안전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실린더 튜브의 외측면에는 디스차징카와 임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러니언이 설치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는 하부 로드의 하단부에 결합된 클래비스와 임의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로드의 외주면에는 신축 가능한 벨로우즈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스크레이퍼 장치에서 스크레이퍼의 승강 동작을 무동력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스크레이퍼를 승강시키기 위해 외부 동력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 와이어로프로 연결된 모터 구동방식에서 발생되었던 와이어 로프의 불균일한 꼬임이나 풀림에 의한 스크레이퍼의 기울어짐 현상이나 와이어로프의 킹크 및 절손 등에 의한 설비사고 요인을 미연에 방지하여 원가 절감 및 생산성이 안정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개략적인 일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복동실린더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구성도로서, 피스톤이 실린더 튜브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복동실린더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구성도로서, 피스톤이 실린더 튜브의 우측으로 밀린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복동실린더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구성도로서, 피스톤이 실린더 튜브의 좌측으로 밀린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의 양로드 복동실린더의 피스톤 상승 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를 절개한 개략적인 일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의 양로드 복동실린더의 피스톤 하강 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를 절개한 개략적인 일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를 절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개략적인 일부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복동실린더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구성도로서, 피스톤이 실린더 튜브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복동실린더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구성도로서, 피스톤이 실린더 튜브의 우측, 좌측으로 밀린 상태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의 양로드 복동실린더의 피스톤 상승 시와 하강 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를 절개한 개략적인 일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를 절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는, 스크레이퍼부(100) 및 스크레이퍼 승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부(100)는 침전지(10) 바닥에 침전된 분코크스를 긁어 모으기 위한 스크레이퍼(110)를 포함한다.
스크레이퍼 승강부(200)는 스크레이퍼(110)의 이송을 위한 디스차징카(20) 및 스크레이퍼(110)와 각각 결합되고, 디스차징카(20)의 이동에 따라 스크레이퍼(110)를 침전지(10)의 바닥(10-2)과 분코크스 포집장(10-4) 사이를 무동력으로 승강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스크레이퍼 승강부(200)는, 양로드 복동실린더(210), 배관(220), 자동 개폐 밸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양로드 복동실린더(210)는 유체가 채워지는 실린더 튜브(211)의 내측에 위치한 피스톤(213)을 기준으로 상, 하부에 위치되는 상부 로드(201)와 하부 로드(203)를 가질 수 있다.
배관(220)은 실린더 튜브(211)의 내측 일단부와 내측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자동 개폐 밸브(230)는 배관(220) 상에 설치되어, 배관(220)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자동 개폐 밸브(230)가 배관(220)을 폐쇄하면 실린더 튜브(211) 내에 있는 유체의 흐름이 정지되면서 피스톤(213)이 어떤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상태로 되며, 따라서 스크레이퍼(110)는 하부로 쳐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220)에는 실린더 튜브(211)의 길이 방향 하부로만 유체를 흐르게 하는 체크 밸브(240)가 설치될 수 있다.
배관(220)에는 분기관(221)이 분기되고, 분기관(221)에는 분기관(221)을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 밸브(250)가 설치될 수 있다.
유량 조절 밸브(250)는 피스톤(213)의 하강 시에는 자동 개폐 밸브(230)를 개방하고 체크 밸브(240)를 폐쇄한 상태에서 실린더 튜브(211) 내측에 설정 크기의 압력이 인가되도록 분기관(221)을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량 조절 밸브(250)는 피스톤(213)의 상승 시에는 자동 개폐 밸브(230) 및 체크 밸브(240)를 개방한 상태에서 실린더 튜브(211) 내측에 압력 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분기관(221)을 흐르는 유체의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배관(220)에는 배관(220)을 수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수동 개폐 밸브(231)가 설치될 수 있다.
실린더 튜브(211)는 내부의 비워 있는 공간부에 유체가 채워지며, 공간부는 피스톤(213)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한 제1 내실(211-1)과 타측에 위치한 제2 내실(211-3)로 구분될 수 있다.
실린더 튜브(211)의 내부 공간부의 제1 내실(211-1)과 제2 내실(211-3)의 용적은 피스톤(213)이 실린더 튜브(211)의 길이 방향(도 1의 Y 방향) 중앙부에 위치할 때 동일한 용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린더 튜브(211) 내측 일단부(도 1의 내측 상단부)에는 유체가 흐르기 위한 상부 포트(211-5)가 배치되고, 실린더 튜브(211) 내측 타단부(도 1의 내측 하단부)에는 유체가 흐르기 위한 하부 포트(211-7)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포트(211-5)와 하부 포트(211-7)는 배관(220)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실린더 튜브(211)의 양단부에는 실린더 튜브(211)의 양단부를 덮어 주기 위한 로드 엔드 커버(217, 218)가 결합될 수 있다.
배관(220)에는 피스톤(213)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실린더 튜브(211) 내에 설정 압력 이상의 과도한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안전 밸브(260)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 로드(203)의 외주면에는 하부 로드(203)의 내측으로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축 가능한 벨로우즈(205)가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 튜브(211)의 외측면 중앙부에는 디스차징카(20)의 이동에 따라 실린더 튜브(211)의 기울기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디스차징카(20)와 임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러니언(trunnion)(215)이 설치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부(100)의 스크레이퍼(110)는 하부 로드(203)의 하단부에 결합된 클래비스(203-1)와 임의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스크레이퍼(110)는 하부 로드(203)의 하단부에 결합된 클래비스(203-1)에 매달린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클래비스(203-1)는 트러니언(215)을 중심으로 설정 각도(θ)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양로드 복동실린더(21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도 2는 양로드 복동실린더(210)는 실린더 튜브(211) 내 피스톤(213)을 기준으로 일측(도 2에서 우측)에 위치한 제1 내실(211-1)과 타측(도 2에서 좌측)에 위치한 제2 내실(211-3)을 가지고 있다.
제1 내실(211-1)과 제2 내실(21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13)이 실린더 튜브(211)의 길이 방향(도 2의 Y 방향) 중앙부에 위치할 때 동일한 용적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제1 내실(211-1)과 제2 내실(211-3)에는 동일한 양의 유체가 채워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피스톤(213)이 도 3의 화살표 방향(우측)으로 밀리면, 제1 내실(211-1)의 공간이 축소되면서 제2 내실(211-3)에 비해 압력이 높아진 유체는, 상부 포트(211-5), 배관(220), 하부 포트(211-7)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공간이 넓어지면서 제1 내실(211-1)에 비해 압력이 낮아진 제2 내실(211-3)로 유입된다.
피스톤(213)이 도 3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 로드(201) 및 하부 로드(203)도 피스톤(213)과 마찬가지로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2의 상태에서 피스톤(213)이 도 4의 화살표 방향(좌측)으로 밀리면, 제2 내실(211-3)의 공간이 축소되면서 제1 내실(211-1)에 비해 압력이 높아진 유체는, 하부 포트(211-7), 배관(220), 상부 포트(211-5)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공간이 넓어지면서 제2 내실(211-3)에 비해 압력이 낮아진 제1 내실(211-1)로 유입된다.
피스톤(213)이 도 4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 로드(201) 및 하부 로드(203)도 피스톤(213)과 마찬가지로 도 4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피스톤(213)이 실린더 튜브(211)의 길이 방향(도 2의 Y 방향) 중앙부에 위치할 때 피스톤(213)을 기점으로 실린더 튜브(211)의 제1 내실(211-1)과 제2 내실(211-3)은 동일한 체적(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1 내실(211-1)과 제2 내실(211-3)에는 항상 동일한 양의 유체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213)이 무한 반복하는 연속 동작의 조건하에서 제1 내실(211-1)과 제2 내실(211-3) 중 어느 한쪽 공간으로도 유체가 누적되지 않게 되므로 체적의 변화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5을 참고하여, 실린더 튜브(211) 내 피스톤(213)의 상승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스톤(213)의 상승 과정은 도 3의 피스톤 작동 원리와 마찬가지로, 실린더 튜브(211) 내의 유체가 도 5의 화살표와 같이 실린더 튜브(211)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한다.
즉, 실린더 튜브(211) 내 제1 내실(211-1)의 유체는 상부 포트(211-5), 배관(220), 하부 포트(211-7)를 통하여 제2 내실(211-3)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213)이 실린더 튜브(211)의 상부 방향(도 5의 Y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며, 상부 로드(201)도 마찬가지로 실린더 튜브(211)의 상단부로부터 설정된 길이만큼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자동 개폐 밸브(230는 열린 상태로 제어되며, 실린더 튜브(211) 내 제1 내실(211-1)로부터 배관(220)으로 이송된 유체는 체크 밸브(240) 및 유량 조절 밸브(250)를 통과하여 제2 내실(211-3)로 이동하게 된다.
즉, 체크 밸브(240)측으로는 다량의 유체가 흐르고, 유량 조절 밸브(250)측으로는 조절된 유량만큼만 유체를 흐르게 하여 스크레이퍼(110)가 침전지 바닥 경사면(10-3)에 밀려 올라올 때 무부하 상태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디스차징카(20)가 전진 주행(도 7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 중에 피스톤(213)이 상승되는 과정에서 실린더 튜브(211) 내에 과도한 이상 압력이 발생한다면, 과도한 이상 압력은 안전 밸브(26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실린더 튜브(211) 내 피스톤(213)의 하강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스톤(213)의 하강 과정은 도 4의 피스톤 작동 원리와 마찬가지로, 실린더 튜브(211) 내의 유체가 도 6의 화살표와 같이 실린더 튜브(211)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한다.
즉, 실린더 튜브(211) 내 제2 내실(211-3)의 유체는 하부 포트(211-7), 배관(220), 상부 포트(211-5)를 통하여 제1 내실(211-1)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213)이 실린더 튜브(211)의 하부 방향(도 5의 Y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며, 하부 로드(203)도 마찬가지로 실린더 튜브(211)의 하단부로부터 설정된 길이만큼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자동 개폐 밸브(230)는 열린 상태로 제어되며, 실린더 튜브(211) 내 제2 내실(211-3)로부터 배관(220)으로 이송된 유체는 유량 조절 밸브(250)를 통하여 제1 내실(211-1)로 이송하게 된다.
유체의 흐름량을 보면 체크 밸브(240)는 막혀 있으므로 유체가 흐르지 않으며, 유량 조절 밸브(250)측으로는 조절한 유량만큼의 소량의 유체가 흐르게 함으로써 하부 로드(203)와 클래비스(203-1)에 의해 연결된 스크레이퍼(110)가 서서히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양로드 복동실린더(210)의 배관(220) 하부에 장착된 자동 개폐 밸브(2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실린더 튜브(211) 내측에 있는 유체의 흐름이 정지되면서 피스톤(213)이 어떤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상태이다.
그리고, 양로드 복동실린더(210)의 배관(220) 상부에 장착된 수동 개폐 밸브(231)는 실린더 튜브(211) 내 피스톤(213)이 항상 동작이 가능하도록 열린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만약, 자동 개폐 밸브(230)의 동작 이상 발생으로 피스톤(213)의 위치를 고정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때에만 수동 개폐 밸브(231)를 수동으로 잠근다.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스크레이퍼부(100)의 스크레이퍼(110)는 양로드 복동실린더(210)의 하부 로드(203)의 하단부에 결합된 클래비스(203-1)에 임의 회전 가능하게 매달려 있으며, 클래비스(203-1)는 트러니언(215)을 중심으로 설정 각도(θ)로 임의 회전될 수 있다.
후진 주행(도 7의 좌측 이동)을 마친 디스차징카(20)가 전진 주행(도 7의 우측 이동) 시작 위치(10-1)에서 디스차징카 터치바(20-6)가 전진주행 시작 위치센서(10-6)를 감지하면 하부 로드(203)의 하단부에 매달린 스크레이퍼(110)가 자중에 의해 침전지 바닥(10-2) 최저점까지 하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차징카(20)가 전진 주행(도 7의 우측 이동)을 시작하여 침전지 바닥(10-2)의 평평한 구역을 지나서 침전지(10) 중간 지점의 바닥 경사면(10-3)을 거슬러 오르게 되면, 스크레이퍼(110)는 양로드 복동실린더(210)의 상부 로드(201)의 상승 작용에 의하여 무부하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디스차징카(20)가 전진 주행(도 7의 우측 이동) 중 거의 마지막 분코크스 포집장(10-4)에서 분코크스 슬러지는 포집된다.
이후, 디스차징카(20) 최종 전진주행이 종료되는 구간(10-5)에서 디스차징카 위치감지용 터치바(20-7)가 전진주행 종료구간 위치센서(10-7)를 감지함과 아울러 양로드 복동실린더(210)의 하부 로드(203)의 하단부에 매달린 스크레이퍼(110)는 무동력으로 최고점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차징카 위치감지용 터치바(20-7)가 전진주행 종료구간 위치센서(10-7)를 감지하면, 양로드 복동실린더(210)의 자동 개폐 밸브(230)가 닫히면서 양로드 복동실린더(210)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때, 양로드 복동실린더(210)의 실린더 튜브(211) 내의 유체의 흐름이 정지되므로, 스크레이퍼(110)는 하부로 쳐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디스차징카(20)는 전진주행 시작위치(10-1)까지 후진 주행(도 7의 좌측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레이핑 장치는 스크레이퍼 승강부(200)와 무동력 스크레이퍼(110)로 분코크스 슬러지를 포집하는 과정을 연속해서 자동으로 반복한다.
그리고, 양로드 복동실린더(210)는 스크레이퍼(110)가 상승 또는 하강 작동 과정에서 침전지 바닥(10-2)에 대한 양로드 복동실린더(210)의 기울기가 변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양로드 복동실린더(210)는 디스차징카(20)와 트러니언(215)에 의하여 임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크레이퍼(110)는 하부 로드(203)와 클래비스(203-1)에 의하여 임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크레이퍼(110)는 디스차징카(20) 하부프레임 지지점을 기반으로 상승 작용과 하강 작용 시 원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침전지 바닥(10-2)에 대한 스크레이퍼(110)의 각도 변경에 따라 양로드 복동실린더(210)의 실린더 튜브(211) 내에 걸리는 부하를 지지할 수 있는 트러니언(215) 형태로 양로드 복동실린더(210)의 지지부를 구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크레이퍼(110)의 승강 동작을 무동력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스크레이퍼(110)를 승강시키기 위해 외부 동력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 와이어로프로 연결된 모터 구동방식에서 발생되었던 와이어 로프의 불균일한 꼬임이나 풀림에 의한 스크레이퍼의 기울어짐 현상이나 와이어로프의 킹크 및 절손 등에 의한 설비사고 요인을 미연에 방지하여 원가 절감 및 생산성이 안정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를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침전지
20: 디스차징카
100: 스크레이퍼부
110: 스크레이퍼
200: 스크레이퍼 승강부
210: 양로드 복동실린더
201: 상부 로드
203: 하부 로드

Claims (11)

  1. 침전지 바닥에 침전된 분코크스를 긁어 모으기 위한 스크레이퍼를 갖는 스크레이퍼부, 및
    상기 스크레이퍼 이송을 위한 디스차징카 및 상기 스크레이퍼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디스차징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크레이퍼를 상기 침전지의 바닥과 분코크스 포집장 사이를 무동력으로 승강시켜 주기 위한 스크레이퍼 승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레이퍼 승강부는,
    유체가 채워지는 실린더 튜브의 내측에 위치한 피스톤을 기준으로 상, 하부에 위치되는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를 갖는 양로드 복동실린더,
    상기 실린더 튜브의 내측 일단부와 내측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배관, 및
    상기 배관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배관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자동 개폐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측면에는 상기 디스차징카와 임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러니언이 설치되는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는 상기 실린더 튜브의 길이 방향 하부로만 유체를 흐르게 하는 체크 밸브가 설치되는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는 분기관이 분기되고,
    상기 분기관에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 밸브가 설치되는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튜브는 내부에 비워 있는 공간부에 유체가 채워지며,
    상기 공간부는 상기 피스톤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한 제1 내실과, 타측에 위치한 제2 내실로 구분되는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실과 상기 제2 내실은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 튜브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위치할 때 동일한 용적을 가지는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튜브 내측 일단부에는 유체가 흐르기 위한 상부 포트가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 튜브 내측 타단부에는 유체가 흐르기 위한 하부 포트가 배치되는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는 상기 실린더 튜브 내에 설정 압력 이상의 과도한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안전 밸브가 설치되는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
  9. 삭제
  10.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하부 로드의 하단부에 결합된 클래비스와 임의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로드의 외주면에는 신축 가능한 벨로우즈가 결합되는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
KR1020200119218A 2020-09-16 2020-09-16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 KR102426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18A KR102426569B1 (ko) 2020-09-16 2020-09-16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18A KR102426569B1 (ko) 2020-09-16 2020-09-16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698A KR20220036698A (ko) 2022-03-23
KR102426569B1 true KR102426569B1 (ko) 2022-07-27

Family

ID=8096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218A KR102426569B1 (ko) 2020-09-16 2020-09-16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5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154Y2 (ja) 1993-12-14 1998-12-14 株式会社幸袋工作所 装炭車装入孔掃除装置
JP6119055B2 (ja) * 2012-12-20 2017-04-26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KR101954333B1 (ko) * 2017-10-18 2019-03-05 주식회사 포스코 침전지의 침전물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3505A (ja) * 1985-10-16 1987-04-30 Teru Saamuko Kk ベロ−ズシ−ル付エアシリンダ
JP2855559B2 (ja) * 1993-10-06 1999-02-1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コークス炉のタールパンクリーナー
JP3261609B2 (ja) * 1996-09-30 2002-03-0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コークス炉のソールプレートおよび側壁下部のクリー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154Y2 (ja) 1993-12-14 1998-12-14 株式会社幸袋工作所 装炭車装入孔掃除装置
JP6119055B2 (ja) * 2012-12-20 2017-04-26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KR101954333B1 (ko) * 2017-10-18 2019-03-05 주식회사 포스코 침전지의 침전물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698A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1406A (en) Roving bar screen
CN109589670B (zh) 一种污水过滤自动清网装置
KR101054653B1 (ko) 건물외장 청소로봇
KR102426569B1 (ko) 코크스 침전지 디스차징카 무동력 스크레이핑 장치
US4144174A (en) Traveling siphon sludge collector
CN111521444A (zh) 一种水样检测系统
CN109091974B (zh) 一种滤筒自动反吹风粉尘处理装置
US4053421A (en) Sedimentation tank with raking structure
KR1017383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200442471Y1 (ko) 수위 감응형 제진기
KR101192472B1 (ko) 침전 분리식 압축 탈수 진공흡입차
CN206562123U (zh) 一种提升机
KR200367382Y1 (ko) 완충실린더가 구비된 슬러지수집기용 수중대차
CN208561042U (zh) 一种钢板仓粉粒状物料清库机
CN112354243A (zh) 一种管道过滤系统
CN107062913A (zh) 用于工业炉窑的布料装置及具有其的工业炉窑
CN219363277U (zh) 一种提篮格栅
CN216786691U (zh) 一种带有吸尘装置的造纸机械
CN113104615B (zh) 一种散装机
CN214298814U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三面开门对重双轮的电梯
CN216169548U (zh) 一种高层建筑施工消防供水装置
KR102132956B1 (ko) 부력식 스윙도교
CN219309029U (zh) 一种过滤式离心机
CN212467401U (zh) 矿物沉淀池闸门
KR101207391B1 (ko) 수면부상형 사방여과방식 우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