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227B1 - 철도 확장 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확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227B1
KR102426227B1 KR1020150130433A KR20150130433A KR102426227B1 KR 102426227 B1 KR102426227 B1 KR 102426227B1 KR 1020150130433 A KR1020150130433 A KR 1020150130433A KR 20150130433 A KR20150130433 A KR 20150130433A KR 102426227 B1 KR102426227 B1 KR 102426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l
rail
width
longitudinal direction
ru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4203A (ko
Inventor
프란세스코 바레시
루크 바더
Original Assignee
보슬로 꼬지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슬로 꼬지페 filed Critical 보슬로 꼬지페
Publication of KR20160034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02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20Dismountable rail joints with gap-bridging
    • E01B11/32Dismountable rail joints with gap-bridging by separate parts, Inserts bridging both rail heads
    • E01B11/34Auxiliary rail beside gap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02Rails
    • E01B5/06Reversible or invertible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02Rails
    • E01B5/14Rails for special parts of the track, e.g. for cur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바퀴(5)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이 길이방향(L)으로 이동되는 철도 선로를 위한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1)는 상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공간(30)에 의해 상호 이격되는 제1 레일(20) 및 제2 레일(25)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 각각은 동일한 주행평면(P)에 위치하는 주행면들(69, 73, 81, 82)을 규정하는 근위부(61, 75) 및 원위부(63, 77)를 포함한다.
중앙 장치(35)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레일의 근위부에서 상기 제2 레일의 근위부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 상에서 제1점(A)에서 제2점(B)으로 연속적인 중앙 주행면(91)을 형성한다.
제1 원위장치(40) 및 제2 원위장치(45)는 각각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의 원위 부분에서 근위 부분까지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각각, 상기 주행평면에서, 길이방향 상에서 제1점(C)에서 상기 제1점까지 및 상기 제2점에서 제4점(D)까지 각각 연속적인 2개의 추가 주행면들을 각각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대응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 확장 장치{Railway expansion devic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갖는 철도 차량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계된 철도 선로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상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공간에 의해 상호 이격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 및 중앙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레일 및 제2 레일 각각은 상기 공간에 대해 근위부 및 원위부를 포함하며, 상기 근위부 및 상기 원위부 각각은 길이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각인 횡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행 평면에 위치하는 바퀴의 주행면들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 각각에서, 상기 근위부의 주행면은 상기 원위부의 주행면의 폭보다 작은 폭을 횡방향으로 갖는다. 상기 중앙장치는 상기 제1 레일의 근위부에서 상기 제2 레일의 근위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 상에서 주행 평면에 상기 제1 레일의 근위부의 제1점에서 상기 제2 레일의 근위부의 제2점까지 연속적으로 중앙 주행면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대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예컨대 확장 장치이다. 상기 공간은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 중 적어도 하나가 길이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설계되거나, 더 일반적으로, 상기 공간은 상기 제2 레일에 대해 상기 제1 레일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된다.
확장 장치는 온도 변화에 노출된 철도의 레일이 자유 확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철도 종류에 따른 확장 장치는 표준 En13232-8에서 특별히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철도 차량은 도심 및 교외, 특히 전차, 장거리 기차 등의 모든 종류의 철도 차량을 의미한다.
상기 장치의 목적은 레일의 비연속성에 불구하고, 철도 차량의 바퀴가 상기 제1 레일에서 상기 제2 레일로 연속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 장치에서는,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은 횡방향으로 좁은 근위부들을 갖는다. 상기 중앙장치는 상기 제1 레일의 근위부로부터 상기 제2 레일의 근위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간단한 장치이다. 상기 중앙장치는 바퀴가 제1 레일의 근위부의 제1점에서부터 제2 레일의 근위부의 제2점까지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와 같은 장치는 전반적으로 만족스럽다. 하지만, 손상 및 열화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손상 및 열화 현상이 특정 수준에 도달하면, 철도에서 바퀴가 불연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 손상은 상기 제1 레일 및/또는 상기 제2 레일의 근위부, 예컨대, 원위부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중앙장치의 맞은 편에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서 생긴다. 이 위치에서, 근위부를 구성하는 물질에서 크리프(creep)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불연속성은 철도 차량의 손상 및 탑승자의 불편함의 원인이 되며, 바퀴가 이 불연속 지점을 지나가게 되면 소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들 중 모두 또는 일부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손상의 문제를 방지하거나 축소하고, 설치 및 유지가 간단하고, 비용 경쟁력을 갖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의 원위부에서 근위부까지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원위장치 및 제2 원위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원위장치 및 제2 원위장치는 주행면에서 2개의 추가 주행면들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추가 주행면들은 길이 방향 상에서 제1 레일의 원위부의 제3점에서 제1점까지 및 제2점에서 제2 레일의 원위부의 제4점까지 연속적인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독립적으로 또는 모든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에 따른 다음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한다:
- 제1 원위장치, 제2 원위장치 및 중앙 원위장치 중 하나 이상은 단일 금속편으로 만들어진다;
- 제1 원위장치, 제2 원위장치 및 중앙 원위장치 중 하나 이상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레일 부분으로 만들어진다;
- 제1 원위장치, 제2 원위장치 및 중앙 원위장치 중 적어도 두개는 일체형이다;
- 중앙 장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의 근위부에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위치한다.
- 중앙 주행면은 길이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횡방향 폭을 갖는다;
- 중앙 주행면의 폭은 제1 레일의 원위부의 주행면의 폭과 같거나 크며, 바람직하게, 제1 레일의 원위부의 주행면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다;
- 제1 원위장치 및/또는 제2 원위장치는 중앙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원위장치 또는 제2 원위장치 중 하나의 주행면은 바람직하게 철도에 대해 횡방향으로 외부에 있도록 설계된 끝단을 갖고, 상기 끝단은 철도에 대해 횡방향으로 외부에 있도록 설계된 중앙장치의 끝단의 길이방향 연장선에 위치한다;
- 제1 원위장치 및/또는 제2 원위장치는 상기 바퀴를 위한 주행면으로 진입 경사를 형성하는 상부면을 각각 포함한다;
- 제1 원위장치 및/또는 제2 원위장치의 상기 주행면들은 주요 부분들에서 길이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회방향으로 갖는다;
- 제1 원위장치 및/또는 제2 원위장치의 주행면의 폭은 제1 레일의 근위부의 주행면의 폭과 같거나 크며, 바람직하게, 제1 레일의 근위부의 주행면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다;
- 상기 철도 차량은 전차이며, 상기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은 바퀴와 연동하도록 설계된 홈을 형성한다; 및
- 상기 장치는 확장 장치이며, 상기 공간은 제2 레일에 대해 제1 레일의 상대적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특히, 제1 레일 및 제2 레일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확장된다.
본 발명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이 길이 방향으로 철도 선로에서 움직이는 단계;
- 제1 레일 및 제2 레일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나는 다른 하나를 연장하고, 제1 레일 및 제2 레일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 방향으로로 확장 가능하도록 설계된 공간으로 이격되고, 제1 레일 및 제2 레일 각각은 상기 공간에 대해 근위부 및 원위부를 포함하며, 상기 근위부 및 원위부는 길이 방향과 길이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각인 횡방향에 의해 정의된 실질적으로 주행면에 있는 바퀴의 주행면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근위부의 주행면은 각각의 제1 레일 및 제2 레일에 대해, 원위부의 주행면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을 제공하는 단계;
제1 레일의 근위부에서 제2 레일의 근위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 상에서, 주행면에서, 제1 레일의 근위부의 제1점에서 제2 레일의 근위부의 제2점까지 연속적으로 중앙 주행면을 형성하는 중앙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의 원위부에서 근위부까지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원위장치 및 제2 원위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원위장치 및 제2원위장치는 주행면에서 2개의 추가 주행면들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로, 상기 추가 주행면들은 길이방향 상에서 제1 레일의 원위부의 제3점에서 제1점까지 및 제2점에서 제2 레일의 원위부의 제4점까지 연속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제2 레일의 전환부 근방 크리프에 의해 생기는 손상의 위험도가 크게 감소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손상 위험도가 필연적으로 감소되며 상쇄되기도 한다. 또 장치는 구현하기 쉬우며 비용 경쟁력을 갖는다.
본 발명은 예로서만 제공된 다음의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히 이해될 것이며,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하우징의 커버가 제거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장치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평면에서의 순차적인 단면도로서, 각 도면은 철도 차량의 바퀴가 상기 장치의 다른 부분들과 순차적으로 어떻게 관련되는지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치(1)는 도 2 내지 8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바퀴(5)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전체 도시 생략)이 길이 방향(L)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된 철도(미도시)를 위해 기술된다.
이와 같은 철도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두 개의 레일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도 1에서 이 레일들이 도시되었다면, 이들 중 하나는 장치(1)의 어느 한 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철도 차량은 전차이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철도 차량은 특히 교외, 지역적 또는 (국가적 또는 국제적 여행을 위한)고속 열차 등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차량일 수 있다.
상기 바퀴(5)는 예를 들면, 통상적인 전차 바퀴이다. 상기 바퀴(5)는 트레드(tread) 면(10) 및 플랜지(15)를 포함한다(도 2).
상기 트레드 면(10)은 예를 들면, 원뿔 모양이다. 상기 트레드 면(10)은 길이방향(L)과 길이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각인 횡방향(T)에 의해 정의된 주행 평면(P)을 따라 상기 장치 위에 구르는데 적합하다.
상기 횡방향(T)은 트레드 면(10)에 의해 정의된 원뿔 모양의 면의 모면(generatrix)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1)는 상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공간(30)에 의해 상호 이격되는 제1 레일(20)과 제2 레일(25)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중앙장치(35), 제1 원위장치(40) 및 제2 원위장치(45)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철도 차량이 전차인 경우, 상기 장치(1)는 바닥(55)의 면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는 하우징(50)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장치(1)는 예컨대 확장 장치이다.
상기 공간(30)은 제1 레일(20) 및/또는 제2 레일(25)이 길이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하우징(50)은 상기 장치(1)의 다른 부분을 둘러싼 케이싱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50)은 바람직하게 분리할 수 있고, 바닥(55)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커버(57, 도 2)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57)는 바퀴(5)가 상기 장치(1)의 다른 부분들 위에 구를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59)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57)는 상기 장치(1)의 다른 부분들의 양쪽에 횡방향으로 위치하는 두개의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일례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는 길이방향(L)과 수직인 면(P')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적이고 상기 공간(30)에서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본 출원에서, "근위(proximal)" 및 "원위(distal)"의 용어는 상기 공간(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의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제1 레일(20)은 근위부(61), 원위부(63) 및 근위부와 원위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전환부(6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레일(20)은 상기 플랜지(15, 도 2)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홈(67)을 형성한다.
횡방향(T)에서는, 외부 방향과 내부 방향도 철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15)는 상기 바퀴(5)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근위부(61)는 상기 주행 평면(P)에 주행면(69)을 규정한다. 상기 근위부(61)는 상기 주행 평면(P)에 대해 기울어지고, 도 1에서 상기 바퀴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구를 때 상기 바퀴(5)를 위해 주행면(69)으로의 진입 경사를 형성하는데에 적합한 상부면(71)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주행면(69)은 길이방향(L)으로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L1, 도 5)을 횡방향으로 갖는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원위부(63)는 철도의 공통 레일과 바람직하게 대응되는 제1 부분(63A), 제1 횡방향으로 얇아지는 제2 부분(63B),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사이에 길이방향(L)으로 위치하는 전환부(63C)를 포함한다.
상기 부분(63B)은 헤드(상기 바퀴(5)와 접촉하기 적합한 상부)에서만 바람직하게 얇아진다.
상기 원위부(63)는 바람직하게 길이방향(L)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L2, 도 2 내지 도 4)을 횡방향으로 갖는 면(P)에 주행면(73)을 규정한다.
상기 주행면(73)은, 예를 들면, 제1 얇아짐(thinning)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제1 얇아짐에 의해 없어진 헤드부는 상기 바퀴(5)와 접촉하도록 설계되지 않는다.
상기 폭(L2)은 폭(L1)보다 예를 들면 약 2배 이상 크다.
상기 제2 레일(25)의 구조는 평면(P')에 대한 대칭에 의해 제1 레일(20)의 구조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상기 레일(25)은 근위부(75), 원위부(77) 및 전환부(79)를 포함한다(도 1).
상기 근위부(75)는 주행평면(P)의 주행면(81)을 형성하며 진입 경사를 형성하는 상부면(83)을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원위부(77)는 제1부(77A), 제1 횡방향 얇아짐을 갖는 제2부(77B) 및 전환부(77C)를 포함한다. 상기 원위부(77)는 주행면(82)을 형성한다.
상기 중앙장치(35), 제1 원위장치(40) 및 제2 원위장치(45)는 예를 들면, 단일 피스(piece)로 형성되면 바람직하게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이 세 개의 요소들은 바닥에 고정되는 슈(shoe, 85), 헤드(87) 및 상기 헤드를 슈에 연결하는 코어(89)를 포함하는 레일부(도 3)를 바람직하게 형성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장치(35)는 제1 레일(20)의 근위부(61)로부터 제2 레일(25)의 근위부(75)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중앙장치(35)는 상기 주행평면(P)에서 중앙 주행면(91)을 형성한다(도 1, 도 6 내지 도 8). 상기 중앙 장치(35)는 평면(P')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적이다.
상기 중앙 주행면(91)은 길이방향(L)으로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L3)을 횡방향으로 갖는다. 상기 중앙 주행면(91)은 길이방향(L) 상에서 제1 레일(20)의 근위부(61)의 제1점(A)으로부터 제2 레일(25)의 근위부(75)의 제2점(B)으로 연속적이다.
즉, 중앙 주행면(91)이 주행평면(P)의 길이방향(L) 상에서 제1점(A)에서 제2점(B)까지 연속적이다.
예를 들면, 상기 폭(L3)은 상기 폭(L2)보다 크거나 같고, 바람직하게 상기 폭(L2)과 실질적으로 같다.
상기 중앙 장치(35)는 제1 레일(20) 및 제2 레일(25)의 근위부들(61, 75)에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위치한다.
상기 제1 원위장치(40)와 제2 원위장치(45)는 상기 평면(P')에 대해 서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이다.
상기 제1 원위장치(40)는 상기 원위부(63)에서 상기 제1 레일(20)의 근위부(61)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도 1). 상기 제1 원위장치(40)는 예를 들면, 상기 원위부(63)에 횡방향으로 위치한다. 상기 제1 원위장치는 주요부(93) 및 상기 주요부(93)와 상기 중앙장치(35)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전환부(95)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나타난 예에서, 상기 제1 원위장치(40)는 상기 원위부(63)의 제2부(63A)에서 상기 제1 레일(20)의 근위부(61)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원위장치(40)는 주행평면(P)에서 추가 주행면(97)을 규정하며, 바람직하게, 추가 주행면(97)으로의 상기 바퀴(5)의 진입을 쉽게 하는데 적합한 진입경사(99)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가 주행면(97)은 주요부(93)에서 길이방향(L)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횡방향 폭(L4)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폭(L4)은 상기 폭(L1)보다 크거나 같고, 바람직하게 상기 폭(L1)과 실질적으로 같다. 상기 추가 주행면(97)은 길이방향(L) 상에서 보면 제1 레일(20)의 근위부(63)의 제3점(C)에서 제1점(A)으로 연속적이다.
상기 제1 레일(20)의 제1 원위부(63)의 제1 얇아짐은 상기 폭(L4)의 최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물론, 제1 횡방향 얇아짐 없으면, 상기 제1 원위장치(40)가 상기 주행면(73)에서 횡방향으로 멀어지게 된다.
상기 제2 원위장치(45)는 상기 평면(P')에 대해 상기 제1 원위장치(40)와 실질적으로 대칭적이므로, 상기 제2 원위장치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원위장치(45)는 주요부(101) 및 전환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원위장치(45)는 추가 주행면(105)을 규정하며, 바람직하게 진입 경사로(10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원위장치(40), 상기 중앙장치(35) 및 상기 제2 원위장치(45)는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직선이며 길이방향(L)으로 평행한 외부 끝단(109)을 규정한다.
상기 추가 주행면(105)은 길이방향(L) 상에서 제2점(B)에서 제2 레일(25)의 원위부(77)의 제4점(D)으로 연속적이다.
이하, 상기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동작 중에, 상기 제1 레일(20) 및 제2 레일(25)은 온도 변화의 효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상기 공간(30)의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감속시킨다. 상기 장치(1)의 역할은 상기 철도 차랑(미도시)이 상기 공간(30)을 지나가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 철도 차량의 바퀴(5)가 상기 공간(30)을 지나가도록 상기 장치(1)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설명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철도 차량은 예를 들면, 좌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도착한다. 우측에서 도착하면, 다음 단계들은 간단하게 임시적으로 반대로 하면 된다.
상기 바퀴(5)는 상기 제1 레일(20)의 연장선에 위치한 레일(미도시) 위에서 구른다. 다음, 상기 바퀴(5)는 상기 제1 레일(20)에 도착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바퀴(5)의 상기 트레드 면(10)은 이후에 상기 제1 레일(20)의 원위부(63)에 의해 규정된 상기 주행면(73) 위에서 구른다. 상기 플랜지(15)는 이후에 상기 바퀴(5)의 횡방향 안내를 보장하는 상기 홈(67)에 위치된다.
상기 바퀴(5)는 상기 원위부(63)에서 계속적으로 전진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바퀴(5)는 상기 제1 원위장치(40)의 진입 경사(99) 위에 위치되지만,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바퀴(5)는 상기 주행면(73) 위에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유지 폭은 아직 상기 트레드 면(73)의 폭(L2)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상기 1 레일(20)의 제1 횡방향 얇아짐은 상기 제1 레일(20)의 원위부(63)의 일측 위의 상기 진입경사(99)의 폭의 최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조금 더 전진하면, 상기 바퀴(5)는 상기 진입 경사(99)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1 원위장치(40)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추가적인 트레드면(97) 위에 도착한다(도 4). 상기 유지 폭은 결국 상기 폭(L2)와 폭(L4)의 합이 된다. 대략, 도 4의 절단면 근처에서, 상기 바퀴(5)는 상기 제3점(C)를 횡방향으로 지나간다(도 1).
계속 전진하면, 상기 바퀴(5)는 상기 원위부(63)에서 상기 근위부(61)로 지나간다(도 5). 상기 바퀴(5)는 상기 폭(L2)보다 작은 상기 폭(L1)을 갖는 상기 근위부(61)의 주행면(69) 위에서 구른다. 그러나 상기 제1 원위장치(40)가 있기 때문에, 유지는 추가 주행면(97)에 의해 완성된다.
종래 장치에서, 상기 제1 원위장치가 없으므로, 유지 폭은 상기 폭(L1)에 대응한다. 상기 제1 레일(20)의 상부면으로 부터의 크리프에 의한 손상 현상은 종래 장치에서는 이 위치에서 잠재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바퀴가 계속 전진하면(도 6), 상기 제1 원위장치(4)에서 상기 중앙장치(35)로 불연속성이 없이 지나간다. 상기 바퀴(5)는 제1 레일(20)의 주행면(69) 위와 상기 중앙 장치(35)의 중앙 주행면(91)에 유지된다. 유지 폭은 상기 폭(L1)과 폭(L3)의 합이다.
다음, 상기 바퀴(5)는 전진하면 상기 제1 레일(20)의 진입 경사(71) 위에 도착한다. 상기 바퀴(5)와 상기 근위부(61) 사이의 접촉은 중단된다(도 7). 상기 바퀴(5)는 이후에 상기 중앙 장치(35) 위에서만 유지된다. 유지 폭은 상기 폭(L3)과 같게 된다.
상기 바퀴(5)는 더 전진하여 상기 공간(30) 위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바퀴(5)는 이후 유지 폭(L3)으로 상기 중앙장치(35) 위에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바퀴(5)가 도 1에서 우측으로 계속 전진하며, 상기 면(P')에 대한 대칭성으로 인해, 동일한 단계들이 역순으로 일어난다. 특히, 상기 바퀴(5)는 상기 제2 원위장치(45)의 추가 주행면(105)으로 인해 상기 제2점(B)에서 상기 제4점(D)으로 계속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지나간다.
종래 장치에서, 유지 폭이 L1과 같을 경우에만 상기 추가 주행면(105)은 유지 폭(L4)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상기 제2 레일(25)의 전환부(79) 근방 크리프에 의해 생기는 손상의 위험도가 크게 감소한다.
상기한 특징으로 인해, 상기 바퀴(5)는 상기 제1점(A)에서 상기 제2점(B)까지 연속적으로 유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3점(C)에서 상기 제1점(A)까지 및 상기 바퀴(5)를 위해 추가적인 유지를 마련한 상기 제2점(B)에서 제4점(D)까지도 연속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손상 위험도는 필연적으로 감소되며 상쇄되기도 한다.
상기한 특징에 의해, 상기 장치(1)는 구현하기 쉬우며 비용 경쟁력을 갖는다.
상기 제1 원위장치(40), 상기 중앙장치(35) 및 상기 제2 원위장치(45)는 상기 제3점(C)에서 상기 제4점(D)으로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트레드 면을 제공한다. 하지만, 도시되지 않은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속성은 물리적이지 않지만, 길이방향(L) 상이어야 된다. 물론, 일체형이 아니거나 각각 단일 부분이 되도록 상기 제1 원위장치(40), 상기 중앙장치(35) 및 상기 제2 원위장치(45) 중 하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트레드 면의 물리적인 연속성이 없지만, 상기 바퀴(5)가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충분한 상기 길이방향(L) 상이면 연속적이 된다.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원위장치(35), 상기 제2 원위장치(45) 및 상기 중앙 장치(35)는 일체형 및/또는 레일로 만들어져 상기 장치(1)를 단순화할 수 있다.
상기 폭(L4)이 상기 폭(L1)보다 적어도 같다는 사실은 상기 제3점(C)과 상기 제1점(A) 사이의 구르는 폭을 적어도 2배가 되게 하고,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제1 레일(20)의 원위부(63)의 주행면의 폭(L2)보다 크거나 같은 구르는 폭(L1+L4)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레일(20)의 제1 선택적 얇아짐은 상기 폭(L4)의 최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중앙 주행면(91)의 폭(L3)이 상기 폭(L2)과 적어도 같다는 사실은 상기 바퀴(5)가 상기 중앙장치(35) 위에만 유지될 때 L2와 적어도 같은 구르는 폭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상기 바퀴(5)가 상기 근위부(61)에 유지되면, 상기 구르는 폭은 합인 L1 + L3과 같으며, 이는 상기 제1 레일(20)의 원위부(63)의 주행면의 폭(L2)보다 엄밀히 크다.
상기 바퀴(5)가 상기 중앙장치(35)에 유지되면, 상기 구르는 폭은 상기 폭(L3)와 정확히 같으며, 즉 상기 원위부(63)의 폭(L2)과 실질적으로 같다.
선택적으로 진입 경사들이 있으므로, 상기 주행면과 접촉하는 상기 바퀴(5)가 배치되는 것을 손쉽게 하거나, 상기 트레드 면을 갖는 상기 바퀴(5)와의 접촉이 끝나는 것을 손쉽게 한다.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바퀴(5)를 구비한 철도 차량이 길이방향(L)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철도 선로를 위한 장치(1)로서,
    상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공간(30)에 의해 상호 이격되고, 각각이 상기 공간(30)에 대해 근위부(61, 75) 및 원위부(63, 77)를 포함하는 제1 레일(20)과 제2 레일(25) 및
    상기 제1 레일(20)의 근위부(61)에서 상기 제2 레일(25)의 근위부(75)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앙장치(35)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부(61, 75) 및 상기 원위부(63, 77) 각각은 길이방향(L) 및 상기 길이방향(L)과 실질적으로 직각인 횡방향(T)에 의해 규정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행평면(P)에 위치하는 바퀴(5)의 주행면들(69, 73, 81, 82)을 각각 규정하며, 상기 제1 레일(20) 및 상기 제2 레일(25) 각각에서, 상기 근위부(61, 75)의 주행면(69, 81)은 상기 원위부(63, 77)의 주행면(73. 82)의 폭(L2)보다 작은 폭(L1)을 횡방향으로 갖고,
    상기 중앙장치(35)는 길이방향(L) 상에서 주행평면(P)에 상기 제1 레일(20)의 근위부(61)의 제1점(A)에서 상기 제2 레일(25)의 근위부(75)의 제2점(B)까지 연속적으로 중앙 주행면(91)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레일(20) 및 상기 제2 레일(25)의 각각의 원위부(63, 77)에서 상기 근위부(61, 75)까지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원위장치(40) 및 제2 원위장치(4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원위장치(40) 및 상기 제2원위장치(45)는 주행평면(P)에 2개의 추가 주행면들(97, 105)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추가 주행면들(97, 105)은 각각 길이방향(L) 상에서 상기 제1 레일(20)의 원위부(63)의 제3점(C)에서 상기 제1점(A)까지 및 상기 제2점(B)에서 상기 제2 레일(25)의 원위부(77)의 제4점(D)까지 연속적이며,
    각각의 원위부(63, 67)는 제1부분(63A, 77A)과, 제1 횡방향으로 얇아지는 제2부분(63B, 77B)과, 제1부분(63A, 77A)과 제2부분(63B, 77B)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전환부를 포함하고,
    제1 원위장치(40)와 제2 원위장치(45)는 각각 원위부(63, 77)에 가로로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원위장치(40), 상기 제2 원위장치(45) 및 상기 중앙장치(35) 중 하나 이상은 단일 금속편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 제1항에서,
    상기 제1 원위장치(40), 상기 제2 원위장치(45) 및 상기 중앙장치(35) 중 하나 이상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레일부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4. 제1항에서,
    상기 제1 원위장치(40), 상기 제2 원위장치(45) 및 상기 중앙장치(35) 중 적어도 두 개는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중앙 장치(35)는 상기 제1 레일(20) 및 상기 제2 레일(25)의 근위부들(61, 75)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중앙 주행면(91)은 길이방향(L)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L3)을 횡방향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7. 제6항에서,
    상기 중앙 주행면(91)의 폭(L3)은 상기 제1 레일(20)의 원위부(63)의 주행면(73)의 폭(L2)에 비해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원위장치(40) 및/또는 상기 제2 원위장치(45)는 상기 중앙장치(35)의 길이방향 연장선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원위장치(40) 및/또는 상기 제2 원위장치(45) 각각은 상기 바퀴(5)를 위한 상기 주행면들(97, 105)로의 진입 경사(99, 107)를 형성하는 상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원위장치(40) 및/또는 상기 제2 원위장치(45)의 상기 추가 주행면들(97, 105)은 주요부들(93, 101)에서 길이방향(L)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L4)를 횡방향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 원위장치(40)의 추가 주행면(97)의 폭(L4)은 상기 제1 레일(20)의 원위부(61)의 주행면(69)의 폭(L1)과 같거나 크며, 상기 제1 레일(20)의 원위부(61)의 주행면(69)의 폭(L1)과 실질적으로 같고,
    상기 제2 원위장치(45)의 추가 주행면(105)의 폭(L4)은 상기 제2 레일(25)의 근위부(75)의 주행면(81)의 폭(L1)과 같거나 크며, 상기 제2 레일(25)의 근위부(75)의 주행면(81)의 폭(L1)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철도는 전차이며, 상기 제1 레일(20) 및 상기 제2 레일(25)은 상기 바퀴(5)와 연동하도록 설계된 홈(67)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장치(1)는 확장 장치이며, 상기 공간(30)은 상기 제2 레일(25)에 대해 상기 제1 레일(20)의 상대적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장치(1)는 제1 레일(20) 및 제2 레일(25)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확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4. 적어도 하나의 바퀴(5)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을 길이 방향(L)으로 철도 선로에서 움직이는 단계,
    상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공간(30)에 의해 상호 이격되고, 상기 공간(30)에 대해 근위부(61, 75) 및 원위부(63, 77)를 포함하는 제1 레일(20) 및 제2 레일(25)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레일(20)의 근위부(61)에서 상기 제2 레일(25)의 근위부(75)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장치(35)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레일(20) 및 상기 제2 레일(25)의 원위부(63, 77)에서 상기 근위부(61, 75)까지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원위장치(40) 및 제2 원위장치(45)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근위부(61, 75) 및 상기 원위부(63, 77) 각각은 길이방향(L) 및 상기 길이방향(L)과 실질적으로 직각인 횡방향(T)에 의해 규정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행평면(P)에 위치하는 바퀴(5)의 주행면들(69, 73, 81, 82)을 각각 규정하며, 상기 제1 레일(20) 및 상기 제2 레일(25) 각각에서, 상기 근위부(61, 75)의 주행면(69, 81)은 상기 원위부(63, 77)의 주행면(73. 82)의 폭(L2)보다 작은 폭(L1)을 횡방향으로 갖고,
    상기 중앙장치(35)는 길이방향(L) 상에서 주행평면(P)에 상기 제1 레일(20)의 근위부(61)의 제1점(A)에서 상기 제2 레일(25)의 근위부(75)의 제2점(B)까지 연속적으로 중앙 주행면(91)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원위장치(40) 및 상기 제2원위장치(45)는 주행평면(P)에 2개의 추가 주행면들(97, 105)을 각각 형성하며, 각각의 원위부(63, 67)는 제1부분(63A, 77A)과, 제1 횡방향으로 얇아지는 제2부분(63B, 77B)과, 제1부분(63A, 77A)과 제2부분(63B, 77B)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전환부를 포함하고, 제1 원위장치(40)와 제2 원위장치(45)는 각각 원위부(63, 77)에 가로로 위치하며, 상기 추가 주행면들(97, 105)은 각각 길이방향(L) 상에서 상기 제1 레일(20)의 원위부(63)의 제3점(C)에서 상기 제1점(A)까지 및 상기 제2점(B)에서 상기 제2 레일(25)의 원위부(77)의 제4점(D)까지 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7항에서,
    상기 중앙 주행면(91)의 폭(L3)은 상기 제1 레일(20)의 원위부(63)의 주행면(73)의 폭(L2)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6. 제8항에서,
    상기 제1 원위장치(40) 또는 제2 원위장치(45)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의 추가 주행면들(97, 105)은 철도 선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외부에 있도록 설계된 끝단(109)을 갖고, 상기 끝단은 철도 선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외부에 있도록 설계된 중앙장치(35)의 끝단의 길이방향 연장선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KR1020150130433A 2014-09-19 2015-09-15 철도 확장 장치 KR102426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8883 2014-09-19
FR1458883A FR3026114B1 (fr) 2014-09-19 2014-09-19 Appareil pour voie ferr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203A KR20160034203A (ko) 2016-03-29
KR102426227B1 true KR102426227B1 (ko) 2022-07-29

Family

ID=52273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433A KR102426227B1 (ko) 2014-09-19 2015-09-15 철도 확장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998438B1 (ko)
KR (1) KR102426227B1 (ko)
AU (1) AU2015227501B2 (ko)
FR (1) FR3026114B1 (ko)
IL (1) IL241481A0 (ko)
MA (1) MA39630B1 (ko)
TN (1) TN201500039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77771A (fr) * 1953-05-22 1954-11-10 Haine Saint Pierre Lesquin Joint de dilatation pour rails
KR101523448B1 (ko) 2011-02-23 2015-05-27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분기 장치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0492C (ko) *
US276900A (en) * 1883-05-01 Joseph s
GB191016396A (en) * 1909-07-09 1910-09-29 Powell Orgain Adam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ailway Rail Joints.
GB191516396A (en) * 1915-11-20 1916-10-26 Joseph Higginson Improvements in the Liquid Fuel Supply Arrangement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FR2698110B1 (fr) * 1992-11-16 1995-02-03 Cogifer Rail-aiguille perfectionné pour appareil de voi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77771A (fr) * 1953-05-22 1954-11-10 Haine Saint Pierre Lesquin Joint de dilatation pour rails
KR101523448B1 (ko) 2011-02-23 2015-05-27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분기 장치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A39630B1 (fr) 2019-12-31
KR20160034203A (ko) 2016-03-29
AU2015227501B2 (en) 2019-10-10
FR3026114A1 (fr) 2016-03-25
EP2998438A1 (fr) 2016-03-23
MA39630A (fr) 2019-05-15
EP2998438B1 (fr) 2019-05-15
IL241481A0 (en) 2015-11-30
FR3026114B1 (fr) 2016-12-09
AU2015227501A1 (en) 2016-04-07
TN2015000399A1 (fr)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14775A1 (en) Junction for Guideways of Vehicles, in Particular of Magnetic Levitation Railways
ATE482861T1 (de) Aktives schienengebundenes transportsystem
KR101417978B1 (ko) 철도 차량용 차륜 탈선 방지 구조
JP2013064312A5 (ko)
US9393968B2 (en) Cable transport installation
KR102426227B1 (ko) 철도 확장 장치
EP2964831B1 (en) Rail junction assembly
JP2005262914A (ja) 貨物列車及び列車搬入搬出方法
CN104477185B (zh) 轨道连接装置及长钢轨运输车组
US9617689B2 (en) Passive switch for a railway track
EP3243720A1 (en) A train station for a tunnel
US20150033979A1 (en) Rail carriage group
JPS5927801B2 (ja) 車輌誘導装置
CN210793153U (zh) 一种用于悬挂式轨道交通运输系统的道岔结构
KR101744064B1 (ko) 경전철용 가동 안내판 취부구조
JP4729628B2 (ja) 列車及び鉄道列車搬入搬出方法
JP6054636B2 (ja) 鉄道分岐器、鉄道分岐器用トングレール
JP2015007353A (ja) レール可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乗り入れシステム
KR101175347B1 (ko) 철도 분기기
KR20140122399A (ko) 자동 궤간 변환장치
US770882A (en) Mine track system.
CN216304307U (zh) 一种基于自动控制火车变轨进出站设备
CN110281959B (zh) 一种用于悬挂式轨道交通运输系统的道岔结构及道岔分流方法
JP5043873B2 (ja) トラバーサ、異軌間軌道列車移動システム及び鉄道列車搬入搬出方法
KR200425600Y1 (ko) 철도용 선로의 간격 가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