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151B1 -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151B1
KR102426151B1 KR1020200138221A KR20200138221A KR102426151B1 KR 102426151 B1 KR102426151 B1 KR 102426151B1 KR 1020200138221 A KR1020200138221 A KR 1020200138221A KR 20200138221 A KR20200138221 A KR 20200138221A KR 102426151 B1 KR102426151 B1 KR 102426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plant extract
ginseng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2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3901A (en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김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식 filed Critical 김형식
Priority to KR1020200138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151B1/en
Publication of KR20220053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9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1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7Compounds covalently linked to a(n inert) carrier molecule, e.g. conjugates, pro-fragr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nanoparticles of a plant extract of the genus Ginseng as an active ingredient.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Cosmetic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하면서 인체를 보호하며 생화학적 및 물리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아주 중요한 조직이다. 이 조직은 크게 3가지, 즉, 표피, 진피, 그리고 피하조직으로 나누어진다. 사람의 피부색은 주로 피부 세포속에 들어있는 멜라닌을 함유하는 멜라노좀의 숫자, 크기, 종류 및 분포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The skin is a very important tissue that protects the human body while in direct contact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has biochemical and physical functions. This tissue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types, namely, the epidermis, dermis, and subcutaneous tissue. The color of human skin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size, type, and distribution of melanosomes containing melanin in skin cells.

스트레스, 자외선, 환경오염 등의 영향에 따라 피부 상태에 미치고, 피부 상태는 미용 및 인상에 큰 영향을 주어 최근 미백 및 노화를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stress, ultraviolet rays, environmental pollution, etc., the skin condition is affected, and the skin condition has a great effect on the beauty and impression, so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osmetic compositions that can improve whitening and aging.

일반적으로 알려진 미백 성분으로는 코지산(Kojic acid) 또는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타이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비타민 C(L-Ascorbic acid) 또는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이 있다. 이들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의 개선이 가능하다. 그러나 피부 적용 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다.Commonly known whitening ingredients include substances that inhibit the activity of tyrosinase, such as kojic acid or arbutin, vitamin C (L-Ascorb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and various plant extracts. There is this. By inhibiting the synthesis of melanin pigment, it is possible not only to realize skin whitening by brightening the skin tone, but also to improve skin hyperpigmentation such as spots or freckles caused by ultraviolet rays, hormones, or heredity. However, when applied to the skin,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amount of use due to safety issues such as irritation and redness, or the effect is insignificant.

또한, 동안이라는 유행어가 나올 정도로 최근 노화에 대한 관심도 높다.In addition, interest in aging is high enough that the buzzword of “young age” has emerged.

한편, 화장품의 효과는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 및 함량에도 영향을 받지만, 성분이 흡수되는 정도, 즉 흡수율에 따라서도 효과 차이가 크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effect of cosmetics is also affected by the type and amount of ingredients included, the effect differs greatly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the ingredients are absorbed, that is, the absorption rate.

이에,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흡수율이 높고 부작용이 최소화된 화장료 조성물이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skin whitening and anti-aging effects while having a high absorption rate and minimizing side effects.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흡수율이 높고 부작용이 최소화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skin whitening and anti-aging effects while having a high absorption rate and minimizing side effects,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All of 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smetic composition includes the ginseng plant extract nanoparticles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는 인삼속 식물 추출물-은 나노입자 복합체일 수 있다.The ginseng plant extract nanoparticles may be a ginseng plant extract-silver nanoparticle complex.

상기 인삼속 식물 추출물은 엄나무 추출물 및 오가피나무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ant extract of the genus Ginseng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xtract of oleracea and oleracea extract.

상기 엄나무 추출물 및 오가피나무 추출물은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The extract of oleracea and oleracea extract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1 to 1:3.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피부접착용 패취, 피부접착용 겔, 파우더, 연고, 서스펜션,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에서 선택되는 제형일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a formulation selected from softening lotion, astringent lotion, nutrient lotion, nourishing cream, massage cream, essence, pack, skin adhesive patch, skin adhesive gel, powder, ointment, suspension, emulsion, spray or cosmetic liquid have.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 0.1 내지 3 중량부; 다공성 흡수제 0.5 내지 5 중량부; 글리콜산 1 내지 15 중량부; 보습제 1 내지 15 중량부; 유화제 0.5 내지 10 중량부; 및 정제수 55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es 0.1 to 3 parts by weight of the ginseng plant extract nanoparticles; 0.5 to 5 parts by weight of a porous absorbent; 1 to 15 parts by weight of glycolic acid; 1 to 15 parts by weight of a moisturizer; 0.5 to 10 parts by weight of an emulsifier; and 55 to 9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상기 다공성 흡수제는, 평균 기공 크기가 100nm 미만인 제1 다공성 흡수제 및 평균 기공 크기가 100nm 내지 800nm인 제2 다공성 흡수제를 1:3 내지 1:5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The porous absorbent may include a first porous absorbent having an average pore size of less than 100 nm and a second porous absorbent having an average pore size of 100 nm to 800 nm in a weight ratio of 1:3 to 1:5.

또한, 상기 다공성 흡수제와 보습제는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ous absorbent and the moisturiz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1 to 1:3.

또한, 상기 제1 다공성 흡수제는 평균 기공 크기가 10nm 내지 95nm인 다공성 흡수제의 함량이 50 중량%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porous absorbent having an average pore size of 10 nm to 95 nm in the first porous absorbent may be 50 wt% to 80 wt%.

또한, 상기 제1 다공성 흡수제는 화산재 및 차콜을 포함하고, 상기 화산재의 함량은 차콜의 함량 보다 과량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orous absorbent may include volcanic ash and charcoal, and the content of the volcanic ash may be in excess of that of the charcoal.

상기 유화제는 소르비탄, 에톡실화된 긴-사슬 알콜,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킬 황산염, 모노알킬 및 다이알킬 인산염, 알킬 설폰산염, 수소화 캐스터 오일, 아실 아이소티온산염, 사카로스 에스터, 베테인, 레시틴, 4차 암모늄염, 알킬 올레산염, 글리세라이드 및 올리브 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Said emulsifiers include sorbitan, ethoxylated long-chain alcohols, alkyl polyglycosides, alkali metal salts of fatty acids, alkyl sulfates, monoalkyl and dialkyl phosphates, alkyl sulfonates, hydrogenated castor oil, acyl isothionates, saccharose esters. , betaine, lecithin, quaternary ammonium salts, alkyl oleates, glycerides and olive oil.

또한, 상기 보습제는 부틸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isturizing ag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utylene glycol and glycerin.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터 및 안료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glitter and a pigment.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인삼속 식물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탈이온수 800 내지 100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질산은 수용액을 첨가하는 단계; 75℃ 내지 85℃에서 50분 내지 70분 인큐베이션하는 단계; 1,300 rpm 내지 2,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를 회수하는 단계; 회수된 상기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를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및 다공성 흡수제, 글리콜산, 보습제, 유화제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smetic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mixing 800 to 1000 parts by weight of deionized wat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ginseng plant extract; adding an aqueous silver nitrate solution; incubating at 75°C to 85°C for 50 minutes to 70 minutes; centrifuging at 1,300 rpm to 2,000 rpm to recover ginseng plant extract nanoparticles; washing and drying the recovered ginseng plant extract nanoparticles; and mixing the porous absorbent, glycolic acid, humectant, emulsifier and purified water.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흡수율이 높고 부작용이 최소화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skin whitening and anti-aging effects, high absorption rate and minimal side effects,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도 1은 인삼속 식물 추출물-은 나노입자 복합체의 시험관 내 버섯 티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인삼속 식물 추출물-은 나노입자 복합체의 세포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1 is a graph showing the inhibition of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of a plant extract of the genus Ginseng-silver nanoparticle complex.
2 is a graph showing the cel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 ginseng plant extract-silver nanoparticle complex.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줄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field will be able to implement the idea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 which the plural is included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addition, 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를 나타내는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를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X to Y' representing a range means 'X or more and Y or less'.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는 인삼속 식물 추출물-은 나노입자 복합체일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anoparticles of a plant extract of the genus Ginseng as an active ingredient. Specifically, the ginseng plant extract nanoparticles may be a ginseng plant extract-silver nanoparticle complex.

상기 인삼속 식물 추출물은 엄나무 추출물 및 오가피나무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엄나무 및 오가피나무는 인삼 유효성분을 다량 포함하면서도 인삼 보다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The plant extract of the genus Ginseng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xtract of oleracea and oleracea extract. The oleracea and oleifera have economic advantages over ginseng whil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ginseng active ingredients.

상기 엄나무는 두릎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수피를 채취하여 약재로 이용하기도 한다. The moss is a deciduous broad-leaved arboreous tree belonging to the genus oleracea, and the bark is collected and used as a medicine.

상기 오가피나무는 두릎나무과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로 가지에는 가시가 있으며 열매는 둥근 모양으로 가을이면 콩알만 한 작은 구형이 검은색으로 여문다. 오가피나무는 효용이 매우 다양한바, 봄에는 전초를 가을에는 열매를, 줄기와 뿌리는 수시로 캐서 이용하는데 새순이 자라 2 내지 3년 동안은 가시가 밀생하고 그 이후 가시가 서서히 없어지는데 그때가 약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oleifera is a deciduous tree belonging to the oleaceae family, and the branches have thorns, and the fruits are round, and in autumn, a small spherical shape the size of a bean ripens to black. The usefulness of the spruce is very diverse, and the outpost in the spring, the fruits in the fall, and the stem and roots are often digged and used. known to be the best.

상기 엄나무 및 오가피나무는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그 효과 증대를 위해서는 흡수율, 특히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피부 흡수율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Although the oleracea and oleracea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bsorption rate, in particular, the skin absorption rate in the cosmetic compos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엄나무 및 오가피나무의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이와 은 나노입자 복합체를 형성하여 적용함으로써 피부 흡수율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skin absorption rate by extracting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oleracea and oleracea, forming a silver nanoparticle complex therewith and applying it.

상기 추출은 엄나무 및/또는 오가피나무의 잎을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약 1mm 내지 3mm로 자른 다음 건조시킨다. 건조한 상기 엄나무 및/또는 오가피나무의 잎 100 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20,000 중량부에 넣고 30분 내지 40분 가열한다. 실온에서 식힌 후 4,000 rpm 내지 8,000 rpm으로 약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여과시켜 엄나무 및/또는 오가피나무의 잎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The extraction is carried out by washing the leaves of oleracea and/or oleracea with deionized water, cutting them to about 1 mm to 3 mm, and drying them. It is put into 20,000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dried leaves of the oleracea and/or oleracea and heated for 30 to 40 minutes. After cooling at room temperature, centrifugation is performed at 4,000 rpm to 8,000 rpm for about 10 minutes, followed by filtration to obtain a leaf extract of oleracea and/or oleracea.

구체예에서, 상기 엄나무 추출물 및 오가피나무 추출물은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 효과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xtract of oleracea and oleracea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1 to 1:3. In the above content range, skin whitening and anti-aging effects may be further improv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피부접착용 패취, 피부접착용 겔, 파우더, 연고, 서스펜션,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에서 선택되는 제형일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a formulation selected from softening lotion, astringent lotion, nutrient lotion, nourishing cream, massage cream, essence, pack, skin adhesive patch, skin adhesive gel, powder, ointment, suspension, emulsion, spray or cosmetic liquid have.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비누, 세제 및 섬유 등의 피부에 접촉하는 피부접촉물질로 제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prepared as a skin-contacting material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such as cosmetics, soap, detergent and fiber.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일반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보통의 성분,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can be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of common ingredients, for example, oil, water, surfactant, moisturizer, lower alcohol, thickener, chelating agent, pigment, preservative, fragrance, etc. It may further include an acceptable carri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The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intment,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h,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Zinc oxide and the lik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a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polyamide powder, etc.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 chlorofluoro propellants such as, but not limited to, lohydrocarbons, propane/butane or dimethyl ether.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or emulsion, a solvent, solubilizer or emulsifier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for example,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glycol oil and the like can be used, and in particular, cottonseed oil, peanut oil, corn germ oil, olive oil, castor oil and sesame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sorbate Fatty acid esters of heartburn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as a carrier component,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h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oap, alkali metal salts of fatty acids, fatty acid hemiester salts, fatty acid protein hydrolysates, isethionates, lanolin derivatives, aliphatic alcohols, vegetable oils, glycerol, sugars, etc. as carrier components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인삼속 식물 추출물-은 나노입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필-오프 팩 조성물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as a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peel-off pack composition comprising the ginseng plant extract-silver nanoparticle complex.

상기 필-오프 팩 조성물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 0.1 내지 3 중량부; 다공성 흡수제 0.5 내지 5 중량부; 글리콜산 1 내지 15 중량부; 보습제 1 내지 15 중량부; 유화제 0.5 내지 10 중량부; 및 정제수 55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the peel-off pack composition comprises 0.1 to 3 parts by weight of the ginseng plant extract nanoparticles; 0.5 to 5 parts by weight of a porous absorbent; 1 to 15 parts by weight of glycolic acid; 1 to 15 parts by weight of a moisturizer; 0.5 to 10 parts by weight of an emulsifier; and 55 to 9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이 경우, 상기 필-오프 팩 조성물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공성 흡수제를 포함함으로써,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의 미백 효과 및 노화 방지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다공성 흡수제는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물질로써, 피부 표면에 있는 불순물을 흡수 및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공성 흡수제는 기공률이 35% 이상인 것이 불순물 흡수 및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예를 들어 상기 다공성 흡수제의 기공률은 35% 내지 75%, 구체적으로 40% 내지 70%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the peel-off pack composition includes a porous absorbent, so that the whitening effect and anti-aging effect of the ginseng plant extract nanoparticles can be sufficiently exhibited, and the effect of removing impurities from the skin is excellent. There are advantages. The porous absorbent is a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pores, and serves to absorb and remove impurities on the skin surface. When the porosity of the porous absorbent is 35% or more, the effect of absorbing and removing impurities is excellent, for example, the porosity of the porous absorbent may be 35% to 75%, specifically 40% to 70%.

상기 다공성 흡수제는 평균 기공 크기가 100nm 미만인 제1 다공성 흡수제 및 평균 기공 크기가 100nm 내지 800nm인 제2 다공성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다공성 흡수제 간의 분산력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The porous absorbent may include a first porous absorbent having an average pore size of less than 100 nm and a second porous absorbent having an average pore size of 100 nm to 800 nm. In this case, impurities having various sizes can be effectively removed, and the dispersing power between the porous absorbents is excellent.

상기 제1 다공성 흡수제는 평균 기공 크기가 100nm 미만, 예를 들어 0.1nm 내지 95nm, 구체적으로 0.5nm 내지 90nm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다공성 흡수제는 제2 다공성 흡수제에 미처 흡수되지 못한 미세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고, 다공성 흡수제 간 분산력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다공성 흡수제는 상기 평균 기공 크기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입자간 분산력을 개선시키는 면에서 화산재 및 차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orous absorbent may have an average pore size of less than 100 nm, for example, 0.1 nm to 95 nm, specifically 0.5 nm to 90 nm. The first porous absorbent may remove fine impurities that have not been absorbed into the second porous absorbent, and may also improve dispersibility between the porous absorbents. The first porous absorbent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has the average pore size, bu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olcanic ash and charcoal in terms of minimizing skin irritation and improving interparticle dispersion.

상기 제1 다공성 흡수제는 평균 기공 크기가 10nm 내지 95nm인 다공성 흡수제의 함량이 50 중량% 내지 90 중량%, 구체적으로 60 중량% 내지 80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다공성 흡수제는 화산재 및 차콜을 포함하고, 상기 화산재의 함량은 차콜의 함량 보다 과량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불순물 제거 효율이 극대화 될 수 있다. 상기 화산재의 평균 기공 크기는 약 10nm 내지 약 100nm, 구체적으로 20nm 내지 95nm일 수 있고, 상기 차콜의 평균 기공 크기는 약 0.1nm 내지 약 9nm, 구체적으로 0.5nm 내지 5nm일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porous absorbent having an average pore size of 10 nm to 95 nm in the first porous absorbent may be 50 wt% to 90 wt%, specifically 60 wt% to 80 wt%. In addition, the first porous absorbent may include volcanic ash and charcoal, and the content of the volcanic ash may be in excess of that of the charcoal. In the above content range, the impurity removal efficiency of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maximized. The average pore size of the volcanic ash may be about 10 nm to about 100 nm, specifically 20 nm to 95 nm, and the average pore size of the charcoal may be about 0.1 nm to about 9 nm, specifically 0.5 nm to 5 nm.

상기 제2 다공성 흡수제는 평균 기공 크기가 100nm 내지 800nm, 구체적으로 200nm 내지 700nm, 더욱 구체적으로 300nm 내지 500nm일 수 있다. 상기 평균 기공 크기 범위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불순물 제거력이 극대화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2 다공성 흡수제는 상기 평균 기공 크기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는 면에서 카올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올린은 예를 들어, 화이트 카올린 또는 고령토일 수 있다.The second porous absorbent may have an average pore size of 100 nm to 800 nm, specifically 200 nm to 700 nm, and more specifically 300 nm to 500 nm. In the average pore size range, the cosmetic composition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impurity removal power. The second porous absorbent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has the average pore size, but kaolin may be used in terms of minimizing skin irritation. The kaolin may be, for example, white kaolin or kaolin.

구체예에서, 상기 제1 다공성 흡수제 및 제2 다공성 흡수제는 1:3 내지 1:5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불순물 제거 효율과 다공성 흡수제 간 분산력이 최적화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porous absorbent and the second porous absorbent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3 to 1:5. Within the above range,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have the efficiency of removing impurities and the dispersing power between the porous absorbent to be optimized.

상기 다공성 흡수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 0.5 내지 5 중량부, 구체적으로, 2.0 내지 4.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불순물 제거와 보습 효과의 밸런스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다공성 흡수제는 기공률이 높아, 함량에 비해 불순물 제거 효율이 높은 특징이 있다.The porous absorb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5 to 5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2.0 to 4.8 parts by weight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n the above content range, the cosmetic composition has an excellent balance of removing impurities and moisturizing effect. The porous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porosity and high impurity removal efficiency compared to its content.

상기 글리콜산은 알파히드록시산(AHA)의 한 종류로 피부 표면에 달라붙어 있는 죽은 세포를 떼어내어 각질을 제거하고 세포 재생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AHA 중 글리콜산은 피부 흡수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The glycolic acid is a type of alpha hydroxy acid (AHA), which removes dead cells attached to the skin surface to remove dead skin cells and activates cell regeneration. Among AHAs, glycolic acid has a high skin absorption rate.

상기 글리콜산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 1 내지 15 중량부, 구체적으로 5 내지 1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재생 효과가 높을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glycolic aci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15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5 to 13 parts by weight,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n the above content range, the cosmetic composition has the advantage of not only having a high skin regeneration effect, but also minimizing skin irritation.

상기 보습제는 상기 다공성 흡수제 및/또는 글리콜산에 의해 수분 함량이 낮아질 수 있는 피부에 수분이 달아나지 않도록 유지시켜 줄 수 있고, 피부에서 떼어 낼 때 받을 자극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 humectant may keep moisture from escaping from the skin, which may have a lower moisture content due to the porous absorbent and/or glycolic acid, and may minimize irritation when removed from the skin.

상기 보습제는 부틸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부틸렌 글리콜은 발효시킨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지방산에서 나온 물질로 끈적임이 적고 깔끔한 사용감과 수분을 끌어당기는 기능이 있어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수분이 달아나지 않도록 유지시켜줄 수 있다. 또한, 글리세린은 보습력을 향상시키고, 유해물질의 침입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The moisturiz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utylene glycol and glycerin. Butylene glycol is a substance derived from fatty acids extracted from fermented sugar cane. It has a low stickiness, a clean feeling of use and a function of attracting moisture, so it can supply moisture to the skin and keep moisture from escaping. In addition, glyceri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moisturizing power and preventing the intrusion of harmful substances.

상기 보습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 1 내지 15 중량부, 구체적으로 5 내지 1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틸렌 글리콜이 0.5 내지 8 중량부, 글리세린이 0.5 내지 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력이 뛰어나고,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moisturiz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15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5 to 13 parts by weight,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Specifically, the butylene glyc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5 to 8 parts by weight and glycerin in an amount of 0.5 to 7 parts by weight. In the above content range, the cosmetic composition has excellent moisturizing power and can minimize skin irritation.

한편, 상기 다공성 흡수제와 보습제는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에서, 불순물 제거 효과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the porous absorbent and the moisturiz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1 to 1:3. In the above weight ratio rang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skin irritation as well as an effect of removing impurities.

상기 유화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성분 간의 유화 안정화 역할을 한다. The emulsifier serves to stabilize the emuls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상기 유화제는 소르비탄, 에톡실화된 긴-사슬 알콜,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킬 황산염, 모노알킬 및 다이알킬 인산염, 알킬 설폰산염, 수소화 캐스터 오일, 아실 아이소티온산염, 사카로스 에스터, 베테인, 레시틴, 4차 암모늄염, 알킬 올레산염, 글리세라이드 및 올리브 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점에서, 유화제로 레시틴을 포함할 수 있다.Said emulsifiers include sorbitan, ethoxylated long-chain alcohols, alkyl polyglycosides, alkali metal salts of fatty acids, alkyl sulfates, monoalkyl and dialkyl phosphates, alkyl sulfonates, hydrogenated castor oil, acyl isothionates, saccharose esters. , betaine, lecithin, quaternary ammonium salts, alkyl oleates, glycerides and olive oil.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lecithin as an emulsifier in that it can minimize skin irritation.

상기 유화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 0.5 내지 10 중량부, 구체적으로 4 중량부 내지 9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유화 안정화 효과가 충분하면서도, 불순물 제거 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The emulsifi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5 to 10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4 to 9 parts by weight,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n the above content range, while the emulsion stabilization effect is suffici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mpurity removal efficiency is excellent.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제로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 55 내지 90 중량부, 구체적으로 60 내지 86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purified water as a solvent. The purified wat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5 to 90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60 to 86 parts by weight,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터 및 안료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glitter and a pigment.

상기 글리터는 상기 화장료 팩의 미적 효과(예를 들어, 반짝이는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는 것으로 다양한 글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터는 화장품에 적용되는 글리터로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glitter is to provide an aesthetic effect (eg, a glittering effect) of the cosmetic pack, and may include various glitters. The glitt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glitter applied to cosmetics.

상기 글리터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 0.01 내지 2 중량부, 구체적으로 0.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팩을 도포하였을 때 미적 효과가 발휘된다.The glitt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2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0.01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n the above content range, an aesthetic effect is exhibited when the pack is applied.

상기 안료는 백색안료, 무기계 착색안료 또는 체질안료일 수 있다. 백색안료로는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기계 착색안료로는 황색산화철, 적색산화철, 흑색산화철, 울트라마린블루, 울트라마린핑크, 울트라마린바이올렛 및 크로뮴옥사이드 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체질안료로는 실리카,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탤크,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마이카, 보론나이트라이드 및 나일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상기 화장료 팩 조성물의 미적 외관을 고려하여 울트라마린핑크를 사용할 수 있다.The pigment may be a white pigment, an inorganic color pigment or an extender pigment. As the white pigment, titanium dioxide, zinc oxide,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In addition, as the inorganic color pigmen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llow iron oxide, red iron oxide, black iron oxide, ultramarine blue, ultramarine pink, ultramarine violet and chromium oxide green may be used. The extender pig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ilica, polymethyl methacrylate, talc, synthetic fluorophlogopite, mica, boron nitride, and nylon. The pigment may be ultramarine pink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cosmetic pack composition.

상기 안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 0.01 내지 2 중량부, 구체적으로 0.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팩을 도포하였을 때 미적 효과가 발휘된다.The pigm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2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0.01 to 1.5 parts by weight,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n the above content range, an aesthetic effect is exhibited when the pack is applied.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외에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로는 자외선 흡수제, 중합 가속제, UV 안정제, 소포제, 레벨링제 및 요변성(thixotropic) 첨가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 0.01 내지 2 중량부, 구체적으로 0.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additives in addition to the above ingredients as long as it does not go agains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additiv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V absorber, a polymerization accelerator, a UV stabilizer, an antifoaming agent, a leveling agent, and a thixotropic additive. The additiv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2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0.01 to 1.5 parts by weight,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인삼속 식물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탈이온수 800 내지 100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질산은 수용액을 첨가하는 단계; 75℃ 내지 85℃에서 50분 내지 70분 인큐베이션하는 단계; 1,300 rpm 내지 2,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를 회수하는 단계; 회수된 상기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를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및 다공성 흡수제, 글리콜산, 보습제, 유화제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smetic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mixing 800 to 1000 parts by weight of deionized wat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ginseng plant extract; adding an aqueous silver nitrate solution; incubating at 75°C to 85°C for 50 minutes to 70 minutes; centrifuging at 1,300 rpm to 2,000 rpm to recover ginseng plant extract nanoparticles; washing and drying the recovered ginseng plant extract nanoparticles; and mixing the porous absorbent, glycolic acid, humectant, emulsifier and purified wat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se are presented as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sense.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Content not described here will be omitted because it can be technically inferred sufficiently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실시예Example

제조예 1: 엄나무 및 오가피나무 추출물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extracts of oleracea and oleracea

엄나무 및 오가피나무의 잎을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2mm로 자른 다음 건조시켰다. 건조한 상기 엄나무 잎 3g 및 오가피나무 2g을 증류수를 포함하는 1 ℓ의 비커에 넣고 30분간 가열하였다. 실온에서 식힌 이후 5,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고, 거름종이로 여과함으로써 엄나무 잎 및 오가피나무 잎 추출물을 수득하였다.Leaves of oleander and oleracea were washed with deionized water, cut into 2 mm pieces, and dried. 3 g of the dried oleifera leaves and 2 g of the oleander were placed in a 1 liter beaker containing distilled water and heated for 30 minutes. After cooling at room temperature, centrifugation was carried out at 5,000 rpm for 10 minutes, and filtration with filter paper was carried out to obtain extracts of oleracea leaves and oleifera leaves.

제조예 2:Preparation Example 2: 엄나무 및 오가피나무 추출물-은 나노입자 복합체 제조Manufacture of extract-silver nanoparticle complex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엄나무 잎 및 오가피나무 잎 추출물 5 ㎖를 45 ㎖의 탈이온수와 혼합하고, 최종 농도가 1 mM이 되도록 하여 질산은(AgNO3) 수용액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80 ℃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한 다음, 반응혼합액의 색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은 나노입자의 생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후, 16,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은 나노입자를 회수하였으며, 이를 탈이온수로 여러 번 세척한 후 건조하여 사용하였다.5 ml of extracts of oleracea leaf and oleifera leaf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were mixed with 45 ml of deionized water, to a final concentration of 1 mM, and silver nitrate (AgNO 3 ) aqueous solution was added to the solution. After the solution was incubated at 80° C. for 1 hour, the gener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was confirmed by observing the color change of the reaction mixture. Thereafter, silver nanoparticles were recovered by centrifugation at 16,000 rpm for 20 minutes, washed several times with deionized water, and dried before use.

실험예 1: 피부 미백 효과 실험Experimental Example 1: Skin whitening effect test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한 엄나무 및 오가피나무 추출물-은 나노입자 복합체의 피부상태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관 내(in vitro)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skin condition improvement effect of the extract-silver nanoparticle complex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activity was confirmed in vitro .

구체적으로, 버섯 티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에 대한 활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2 mM의 L-DOPA 0.05 ㎖를 인산완충용액(50 mM, pH 6.8)에 녹인 후 제조예 1의 엄나무 및 오가피나무 추출물과 제조예 2의 엄나무 및 오가피나무 추출물-은 나노입자 복합체 시료 0.05 ㎖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넣고 버섯 티로시나아제(200 U/㎖) 0.05 ㎖를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37℃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으며, ELISA 판독기(Bio-Tek Instrument, Vermont, USA)를 이용하여 492 nm에서 광학 밀도를 측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알부틴(arbutin)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Specifically, the activity inhibitory effect on mushroom tyrosinase (mushroom tyrosinase) was confirmed. After dissolving 0.05 ml of 2 mM L-DOPA in a phosphate buffer solution (50 mM, pH 6.8), 0.05 ml of the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 2 Put in a 96-well microplate and mixed with mushroom tyrosinase (200 U/ml) 0.05 ml. The mixture was incubated at 37° C. for 30 minutes, and the optical density was measured at 492 nm using an ELISA reader (Bio-Tek Instrument, Vermont, USA), and the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rate was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below. Arbutin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수학식 1] [Equation 1]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 [(A-B)/(C-D)]×100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rate (%) = [(A-B)/(C-D)]×100

이때, A는 시험 시료(제조예 1 또는 제조예 2) 및 버섯 티로시나아제가 포함된 반응 혼합물의 흡광도, B는 시험 시료는 있으나 버섯 티로시나아제가 없는 반응 혼합물의 흡광도, C는 버섯 티로시나아제는 있으나 시험 시료가 없는 반응 혼합물의 흡광도, 및 D는 L-DOPA만 포함되어 있는 웰의 흡광도이다.In this case, A is the absorbance of the reaction mixture containing the test sample (Preparation Example 1 or Preparation Example 2) and mushroom tyrosinase, B is the absorbance of the reaction mixture containing the test sample but no mushroom tyrosinase, and C is mushroom tyrosinase Absorbance of the reaction mixture with the agent but no test sample, and D is the absorbance of the well containing only L-DOPA.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험은 독립적으로 3번 수행하였고, 모든 데이터는 평균 ± 표준 편차 (S.D.)로 표시하였다. 시료(제조예 1, 제조예 2 또는 양성 대조군(알부틴))를 처리한 그룹의 평균값과 이들을 처리하지 않은 그룹의 평균값을 비교하였고, 이들의 통계적 유의성은 스튜던트 t-검정(Student's t-test)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Meanwhile, all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independently performed three times, and all data we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S.D.). The average value of the group treated with the sample (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Example 2, or positive control (arbutin)) was compared with the average value of the group not treated with them, and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by Student's t-test. was used to confirm.

도 1의 세로축은 버섯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이고,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결과를 통해, 제조예 2는 알부틴과 유사한 시험관 내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므로,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he vertical axis of FIG. 1 is the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rate (%), and as shown in FIG. 1, through the results, Preparation Example 2 exhibits an in vitro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similar to that of arbutin, so it has an excellent skin whitening effect. knew it would show.

실험예 2: 노화 방지 효과 실험Experimental Example 2: Anti-aging effect test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한 엄나무 및 오가피나무 추출물-은 나노입자 복합체의 피부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H2O2에 의해 손상된 세포에 대한 라디칼 소거 활성, 즉 세포의 재생 능력을 확인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skin safety of the oleracea and oleracea extract-silver nanoparticle complex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2,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gainst cells damaged by H 2 O 2 , that is, cell regeneration ability was confirmed.

구체적으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 x 105 세포/웰의 밀도로 접종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에 H2O2 및 시료(제조예 1을 10㎍/㎖, 제조예 2를 10㎍/㎖)를 동시에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Specifically, human skin fibroblasts were seeded in a 96-well plate at a density of 1 x 10 5 cells/well and cultured at 37°C for 24 hours. Cells were treated with H 2 O 2 and a sample (10 μg/ml in Preparation Example 1, 10 μg/ml in Preparation Example 2) at the same time for 1 hour.

양성 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100 ㎍/㎖)을 사용하였다.As a positive control group, ascorbic acid (100 μg/ml) was used.

도 2의 세로축은 세포 생존율(%)이며,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예 2는 H2O2 처리에 의해 감소된 세포의 라디칼을 소거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H2O2만 처리한 음성 대조군의 경우에는 세포의 생존율이 약 70%인 것에 비하여, 제조예 2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세포의 생존율이 약 91%로서 양성 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을 처리한 세포와 유사한 정도(약 88%)임을 확인하였다.The vertical axis of FIG. 2 is the cell viability (%), and as can be seen in FIG. 2, Preparation Example 2 removes the radicals of the cells reduced by the H 2 O 2 treat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viability of the cells can be increased.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negative control treated only with H 2 O 2 , the cell viability was about 70%, whereas in the case of Preparation Example 2, the cell viability was about 91%, which was treated with ascorbic acid as a positive control.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was similar to that of cells (about 88%).

상기 결과를 통해, 엄나무 및 오가피나무 추출물-은 나노입자 복합체는 H2O2에 의해 손상된 세포의 라디칼을 소거하여 이들을 회복 및 재생시킬 수 있으므로, 라디칼에 의한 피부 노화 등에 대하여 우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낼 것임을 알 수 있었다.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extract of oleracea and oleracea-silver nanoparticle complex can remove radicals of cells damaged by H 2 O 2 and restore and regenerate them, so it will show an excellent improvement effect on skin aging caused by radicals. Could know.

실시예 1Example 1

엄나무 및 오가피나무 추출물-은 나노입자 복합체 2 중량부, 차콜 0.2 중량부, 화산재 0.6 중량부, 카올린 3.2 중량부, 글리콜산 10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5 중량부, 글리세린 5 중량부, 유화제(레시틴) 7 중량부 및 정제수 67 중량부를 호모믹서(3,000rpm, 5분)로 혼합하여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하기 관능 평가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Eucalyptus and oleracea extract-silver nanoparticle complex 2 parts by weight, charcoal 0.2 parts by weight, volcanic ash 0.6 parts by weight, kaolin 3.2 parts by weight, glycolic acid 10 parts by weight, butylene glycol 5 parts by weight, glycerin 5 parts by weight, emulsifier (lecithin) ) 7 parts by weight and 67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ere mixed with a homomixer (3,000 rpm, 5 minutes) to prepare a cosmetic composition for a peel-off pack, and after performing the following sensory evalu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실시예 1에서 차콜, 화산재, 카올린을 제외하고, 정제수를 71 중량부로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평가하였다.Except for charcoal, volcanic ash, and kaolin in Example 1, a cosmetic composition was prepar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71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appli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상기 실시예 1에서 부틸렌글리콜을 8 중량부, 글리세린을 8 중량부, 정제수를 61 중량부로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평가하였다.A cosmetic composition was prepar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n Example 1, 8 parts by weight of butylene glycol, 8 parts by weight of glycerin, and 61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ere applied.

실시예 및 비교예 1, 2의 관능 평가 방법Sensory evaluation method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1) 불순물 제거 효율 평가: 손을 정제수로 깨끗이 세정한 후, ㈜가보금속社의 은분말(제품명: SP-002SM) 0.1g을 손등에 펴 바르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필-오프 팩 조성물 15g을 손등에 도포, 건조 및 제거하였다. 그리고, 1L의 18℃ 정제수에 1분간 손을 씻어낸 후, 상기 정제수의 전도도를 유로바잉社의 EC 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을 5회 반복하고 그 평균 값(단위: μS)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정제수의 일반적인 전도도는 0 μS이고, 전도도가 높을수록 불순물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1) Impurity removal efficiency evaluation: After washing hands with purified water, apply 0.1 g of Gabo Metal Co., Ltd. silver powder (product name: SP-002SM) to the back of the hand, and 15 g of the peel-off pack composition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applied to the back of the hand, dried and removed. Then, after washing hands in 1L of 18°C purified water for 1 minute, the conductivity of the purified water was measured using an EC meter of Eurobaing. The above measurement was repeated 5 times and the average value (unit: μS) is shown in Table 2 below. The general conductivity of purified water is 0 μS, and the higher the conductivity, the more impurities.

(2) 피부 자극 관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필-오프 팩 조성물 45g을 얼굴 전체에 도포, 건조 및 제거하고, 피부의 붉은 정도를 기준으로 5점 채점법으로 필-오프 팩의 피부 자극을 관능 평가 하였다. 상기 실험을 5회 반복하고, 그 평균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피부가 붉을수록 피부 자극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점수는 낮게 채점하였다.(2) Sensory evaluation of skin irritation: 45 g of the peel-off pack composition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applied to the entire face, dried and removed, and the skin irritation of the peel-off pack was sensory based on the redness of the skin by a 5-point scoring method evaluated. The above experiment was repeated 5 times, and the average thereof is shown in Table 2 below. The redder the skin, the greater the skin irritation, and the lower the score.

(3) 제거 편의성: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필-오프 팩 조성물 45g을 얼굴 전체에 도포, 건조 및 제거하고, 남은 팩 조성물의 양을 기준으로 5점 채점법으로 필-오프 팩의 제거 편의성을 관능 평가 하였다. 상기 실험을 5회 반복하고, 그 평균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제거 후 얼굴에 남은 팩 조성물의 양이 적을수록 제거 편의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하며, 점수는 높게 평가하었다.(3) Ease of removal: 45 g of the peel-off pack composition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applied to the entire face, dried and removed,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ease of removal of the peel-off pack by a 5-point scoring method based on the amount of the remaining pack composition did. The above experiment was repeated 5 times, and the average thereof is shown in Table 2 below. The smaller the amount of the pack composition remaining on the face after removal, the better the removal convenience was, and the score was highly evaluated.

실시예 1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불순물 제거 효율(μS)Impurity Removal Efficiency (μS) 7878 364364 107107 피부자극 관능평가Skin irritation sensory evaluation 55 55 55 제거 편의성ease of removal 55 55 33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효과와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불순물 제거 효율뿐만 아니라, 피부자극도 최소화할 수 있고, 팩 사용 후 제거 편의성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다공성 흡수제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은 불순물 제거 효율이 많이 떨어지고, 보습제가 과량 포함되는 비교예 2는 팩 사용 후 제거 편의성이 떨어지고, 불순물 제거 효율도 다소 낮은 편인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a peel-off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whitening effect and anti-aging effect, while not only removing impurities but also minimizing skin irrit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convenience of removal after using the pack is high. can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Comparative Example 1, which does not contain a porous absorbent, has very low impurity removal efficiency, and Comparative Example 2, which contains an excessive amount of moisturizer, has poor removal convenience after using the pack, and has somewhat low impurity removal efficiency.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6)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는 인삼속 식물 추출물-은 나노입자 복합체이며,
상기 인삼속 식물 추출물은 엄나무 추출물 및 오가피나무 추출물을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Contains ginseng plant extract nanoparticles as an active ingredient,
The ginseng plant extract nanoparticles are a ginseng plant extract-silver nanoparticle complex,
The ginseng plant extract i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oleracea and an extract of oleracea in a weight ratio of 1:1 to 1:3.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피부접착용 패취, 피부접착용 겔, 파우더, 연고, 서스펜션,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cosmetic composition selected from softening lotion, astringent lotion, nutrient lotion, nourishing cream, massage cream, essence, pack, skin adhesive patch, skin adhesive gel, powder, ointment, suspension, emulsion, spray or cosmetic.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 0.1 내지 10 중량부;
다공성 흡수제 0.5 내지 5 중량부;
글리콜산 1 내지 15 중량부;
보습제 1 내지 15 중량부;
유화제 0.5 내지 10 중량부; 및
정제수 55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osmetic composition is
0.1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ginseng plant extract nanoparticles;
0.5 to 5 parts by weight of a porous absorbent;
1 to 15 parts by weight of glycolic acid;
1 to 15 parts by weight of a moisturizer;
0.5 to 10 parts by weight of an emulsifier;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55 to 9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인삼속 식물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탈이온수 800 내지 100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질산은 수용액을 첨가하는 단계;
75℃ 내지 85℃에서 50분 내지 70분 인큐베이션하는 단계;
1,300 rpm 내지 2,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를 회수하는 단계;
회수된 상기 인삼속 식물 추출물 나노입자를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및
다공성 흡수제, 글리콜산, 보습제, 유화제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Mixing 800 to 1000 parts by weight of deionized wat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ginseng plant extract;
adding an aqueous silver nitrate solution;
incubating at 75° C. to 85° C. for 50 minutes to 70 minutes;
centrifuging at 1,300 rpm to 2,000 rpm to recover ginseng plant extract nanoparticles;
washing and drying the recovered ginseng plant extract nanoparticles; and
mixing a porous absorbent, glycolic acid, moisturizing agent, emulsifier and purified water;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laim 1 comprising a.
KR1020200138221A 2020-10-23 2020-10-23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4261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21A KR102426151B1 (en) 2020-10-23 2020-10-23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21A KR102426151B1 (en) 2020-10-23 2020-10-23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901A KR20220053901A (en) 2022-05-02
KR102426151B1 true KR102426151B1 (en) 2022-07-27

Family

ID=8159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221A KR102426151B1 (en) 2020-10-23 2020-10-23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15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745B1 (en) * 2018-05-09 2019-10-04 주식회사 스킨리더 Composition for peel-off pac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935B1 (en) * 2012-09-21 2014-07-28 광주과학기술원 Ginseng extract-metallic salts nano particle complex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155246B1 (en) * 2017-08-04 2020-09-1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mprising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s-metal nanoparticles complex
KR101917567B1 (en) * 2018-04-03 2018-11-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 composition for producing metal nanoparticles comprising Siberian ginseng extracts and the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745B1 (en) * 2018-05-09 2019-10-04 주식회사 스킨리더 Composition for peel-off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901A (en)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157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amellia sinensis constituents
KR101040507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protecting skin against uv light and wrinkle improvement containing the extract of magnolia sieboldii flower extracts
KR100767974B1 (en) A cosmetic composition for reducing the skin pore containing arctium lappa extracts and cold materials
KR10191565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roton Lechleri resin extract
KR10191764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ccharomyces ferment filtrate, asparagus officinalis stem extract and tussilago farfara flower extract
KR20150064515A (en) Anti-aging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Magnoliale Placenta Culture Extracts
KR102063686B1 (en) Skin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soybean root
KR10087411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ym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143717B1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Extract of Nelumbo Nucifera Callus
KR101896563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Ligustrum lucidum Aiton extract for moisturizing the skin
KR20120000134A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coria
KR102426151B1 (en)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088274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 of paeonia suffruticosa andrew
KR100903654B1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Prunella Vulgaris extract and Adenosine
KR100530669B1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Lactate and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s for Skin Whitening
KR101124968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Rumex crispus and Pinus strobus bark extract for whitening
KR102298449B1 (en)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apaw extract and stem cell such as rock samphire callus culture extract
KR102168533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or improving the facial color containing herb extracts
KR101947062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mplex of Plant Extracts
KR20130088226A (en)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linum usitatissimum l. seed extract
KR101363029B1 (e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oxident and anti-aging of the skin comprising the Gelidium amansii, Undaria pinnatifida, wheat bud and Monarda horsemint
KR20040087644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yrus communis L. Extract for Skin Whitening
KR100678865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ramulus mori extract and carnitine as active ingredient
KR102555418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protecting skin comprising mixed extracts of androgrphis paniculta and selaginella tamaricina fermanated by bacillus subtillus j2k-351 strain
KR102590911B1 (en)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Lac pigment extr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