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099B1 - 부착형 소화패드 - Google Patents

부착형 소화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099B1
KR102426099B1 KR1020210130418A KR20210130418A KR102426099B1 KR 102426099 B1 KR102426099 B1 KR 102426099B1 KR 1020210130418 A KR1020210130418 A KR 1020210130418A KR 20210130418 A KR20210130418 A KR 20210130418A KR 102426099 B1 KR102426099 B1 KR 102426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ire extinguishing
fir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운
Original Assignee
백종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운 filed Critical 백종운
Priority to KR1020210130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64Gels; Film-forming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21Microcaps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15Thre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57/02Copolymers of mineral oil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형 소화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소화캡슐이 분포된 소화패드를 관리가 어려우면서 화재 위험성이 큰 공간, 예컨대, 배전반, 분전반 같은 공간에 설치한 이후로 초기 화재발생시 소화캡슐에 의해 화재에 대한 초기 진압이 신속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화재확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60 ~ 80중량부의 소화캡슐 및 20 ~ 40중량부의 바인더로 조성되는 소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5 ~ 10중량부의 비스페놀 A 다이글리시딜 에테르와; 50 ~ 60중량부의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및 25 ~ 35중량부의 페놀, 메틸스타이레네이트;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착형 소화패드{Attachment type extinguishing safety pad}
본 발명은 부착형 소화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캡슐이 분포된 소화패드를 관리가 어려우면서 화재 위험성이 큰 공간, 예컨대, 배전반, 분전반 같은 공간에 설치한 이후로 초기 화재발생시 소화캡슐에 의해 화재에 대한 초기 진압이 신속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화재확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부착형 소화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건물 내의 각종 전기장치들의 전원공급 및 신호전달을 위한 전기설비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전선이 노출된 부분이 있어서 고온 다습한 경우에 배전반내 전선들에서 전류가 누설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파크가 발생되는 경우에 장시간 사용에 따라 쌓여진 먼지에 불이 붙어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가 잦다.
이에 따라, 배전반 내의 화재방지를 위한 종래의 일례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 제10-1555620호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유닛은 내부에 전자 부품들이 배치되는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와, 상기 함체부 및 도어부의 내부에 일정의 냉각온도를 이루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함체부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전자부품들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전자부품들 각각으로 냉풍을 공급하여 상기 전자부품들의 온도가 기설정된 과열온도 이하를 이루도록 제어하는 냉풍 공급부, 및 상기 함체부 내부에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여 상기 함체부 내부에 소화제를 공급하여 소화시키는 소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소화설비는 그 함체부 내에 냉풍공급 및 냉각수 순환을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문제와 함께, 화재발생으로 인하여 자동소화설비의 자체 회로가 손상되는 경우에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고, 장시간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급한 상황에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한 유지관리에 어려움과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코저 제안하는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0-2086237호는 혼합기에 난연성 수지를 넣고 교반시키면서 소화성 기체를 고압으로 주입하여 난연성 수지 내에 소화성 기체가 포집되도록 하는 1단계와, 상기 소화성 기체가 포집된 난연성 수지를 혼합기에서 인출한 후 경화시키는 2단계와, 상기 경화된 난연성 수지를 분쇄하여 미세입자로 된 분말이 되도록 하는 3단계와, 다수의 공극을 갖는 본체를 준비하고 상기 본체의 상,하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4단계,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상기 3단계의 분말을 분사하여 소화기제층을 형성하는 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단계의 난연성수지는 에폭시수지이며, 경화제가 혼합되는 것이며, 상기 1단계의 소화성기체는 HFC-227ea인 것이고, 나노단위로 난연성수지에 포집되는 것이고, 상기 3단계는 경화된 난연성수지를 분쇄기에 넣고 분쇄하여 1 ~ 10㎛ 입자 크기로 된 미세한 나노입자의 분말이 되도록 하며, 상기 4단계는 하면에 이형지가 부착되고, 상기 5단계는 소화기제층의 상면에 보호필름이 부착되는 것이며, 상기 5단계 이후 부직포, EVA, PP, PE, PVC재 중에서 선택된 본체를 커팅기에 넣고 일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규격화되도록 절단하여 완성품을 만드는 6단계로 이루어진 부착형 소화패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착형 소화패치이다.
최근에는 부착형 소화패드(또는 소화패치)를 배전반, 수배전반 등에 확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신속한 소화(消火)기능 발휘하도록 하는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기술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855845호(2018.05.09.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14415호(2021.02.09.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소화캡슐이 분포된 소화패드를 관리가 어려우면서 화재 위험성이 큰 공간, 예컨대, 배전반, 분전반 같은 공간에 설치한 이후로 초기 화재발생시 소화캡슐에 의해 화재에 대한 초기 진압이 신속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화재확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부착형 소화패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60 ~ 80중량부의 소화캡슐 및 20 ~ 40중량부의 바인더로 조성되는 소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5 ~ 10중량부의 비스페놀 A 다이글리시딜 에테르와; 50 ~ 60중량부의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및 25 ~ 35중량부의 페놀, 메틸스타이레네이트;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인더는, 5 ~ 10중량부의 비스페놀 A 다이글리시딜 에테르와; 50 ~ 60중량부의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와; 25 ~ 35중량부의 페놀, 메틸스타이레네이트; 및 5 ~ 10중량부의 난연제;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100중량부의 바인더에 대하여 5 ~ 10중량부의 석유수지를 조성함에 따라 바인더에 점착성이 부여되도록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화부의 일단에 구성되어, 설치공간에 부착상태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점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부는 50 ~ 60중량부의 50 ~ 100℃의 저비점 탄화수소계 용제와; 30 ~ 35중량부의 친유성복합수지와; 5 ~ 10중량부의 페크마타이트와; 3 ~ 10중량부의 석유수지와; 1 ~ 5중량부의 대전방지제; 및 1 ~ 5중량부의 난연제;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화부의 일단에 구성되어, 자착력에 의해 시설물의 일측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자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화부가 시설물의 내부 일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화캡슐이 분포된 소화패드를 관리가 어려우면서 화재 위험성이 큰 공간, 예컨대, 배전반, 분전반 같은 공간에 설치한 이후로 초기 화재발생시 소화캡슐에 의해 화재에 대한 초기 진압이 신속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화재확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소화패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소화패드의 실제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소화패드에 적용되는 소화캡슐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를 보인 자착부가 구성된 소화패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를 보인 보강프레임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소화패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부(10)와 점착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소화부(10)는 소화캡슐을 포함하여 조성됨과 함께 일정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배전반, 수배전반 등과 같이 사용자의 취사선택에 따라 다양한 공간에 구성되어 초기 화재가 발생할 때 소화캡슐에 의해 초기진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소화부(10)는 60 ~ 80중량부의 소화캡슐 및 20 ~ 40중량부의 바인더로 조성된다.
상기 소화캡슐은 바인더에 지지되면서 캡슐형태로 다량이 분포됨에 따라 배전반, 수배전반 등의 설치공간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바인더가 녹으면서 다량으로 분포된 소화캡슐이 터짐에 따라 내부에 액체 또는 기체 등의 유체에 의해 소화작용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소화캡슐 내의 유체는 FK-5-1-12(도데카플루오로-2-메틸펜탄-3-원)이다.
상기 바인더는 소화캡슐을 지지하면서, 고형(固形)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인더는 주재인 에폭시수지의 비스페놀 A 다이글리시딜 에테르 5 ~ 10중량부와, 경화제인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50 ~ 60중량부와 촉진제인 페놀, 메틸스타이레네이트(#CAS No: 68512-30-1) 25 ~ 35중량부, 및 난연제 5 ~ 10중량부로 조성된다.
상기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은 50중량부 미만이면 신율이 떨어지게 되고, 60중량부 초과하면 인장강도는 증가하나 내마모성이 떨어져 내구성이 저하된다.
상기 난연제는 할로겐난연제, 무기계난연제 또는 인계난연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이다. 상기 할로겐난연제는 기체상에서 발생하는 라디칼을 안정화시켜 난연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염소 등이다. 상기 무기계난연제는 열에 의해 휘발되지 않고 분해되어 물, 이산화탄소, 이산화황 등과 같은 불연성기체를 방출하여 난연효과를 가지는 것으로서, 산화안티몬,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이다. 인계난연제는 트리크레실 인산(TCP) 등이다.
또한, 상기 바인더에는 점착성을 추가시켜, 일단에 구성되는 점착부(20)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인더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 ~ 10중량부의 석유수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석유수지는 올래핀 또는 다이엔을 원료로 하여 중합하여 만든 것으로서, 자체 점착성을 가진다. 5중량부 미만이면 자체 점착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10중량부 초과하면 바인더가 겔화되어 고형(固形)의 형성을 간섭하게 된다.
상기 점착부(20)는 상기 소화부(10)의 일단에 구성하여, 배전반, 수배전반 등의 내부공간에 점착력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이 경우, 상기 점착부(20)는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양면테이프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점착부(20)는 50 ~ 60중량부의 50 ~ 100℃의 저비점 탄화수소계 용제와, 30 ~ 35중량부의 친유성복합수지와, 5 ~ 10중량부의 페크마타이트와, 3 ~ 10중량부의 석유수지와, 1 ~ 5중량부의 대전방지제, 및 1 ~ 5중량부의 난연제를 혼합하여 조성된다.
상기 50 ~ 100℃의 저비점 탄화수소계 용제는, 50 ~ 100℃의 비점을 가지는 용제로서, n-펜탄(n-pentane), i-펜탄(i-pentane), 사이클로 펜탄(cyclopentane), n-헥산(n-hexane), i-헥산(i-hexane), 사이클로헥산(cyclohexane), 메탈 사이클로 헥산(metal cyclohexane), n-헵탄(n-heptane), n-옥탄(n-octane), 헥사메틸실록산(hexamethylsiloxane), 메틸 3-메톡시프로피오네이트(methyl 3-methoxypropionate), 에틸 3-에폭시프로피오네이트(ethyl 3-epoxypropionate),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및 메틸에틸케톤 톨루엔(MEK Toluen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조성된다. 이 경우, 50중량부 미만이면 원활한 형상을 유지할 수 없고, 60중량부 초과하면 다른 조성물의 함량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친유성복합수지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수지, 실리콘계 아크릴수지, 메틸페닐계 실리콘수지, 비닐클로라이드의 호모중합체, 비닐클로라이드와 아세트산 비닐의 공중합체수지, 1,2-폴리부타디엔계 엘라스토머, 폴리이소부틸렌 합성고무, 폴리스티렌수지, 아크릴산메틸의 호모중합체 및 공중합체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이 혼합되어 조성된다. 이 경우, 30중량부 미만이면 원활한 형상을 조성하지 못하고, 35중량부 초과하면 재료의 추가로 인한 제조단가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페크마타이트는 황변현상 저감과 내광성향상 및 항균성을 가지도록 한다. 이 경우, 5중량부 미만이면 황변현상 저감 등의 원활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10중량부 초과하면 다른 조성물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석유수지는 올레핀 또는 다이엔을 원료로 하여 중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점착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3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력을 부가하는 성능이 미미하고, 10중량부 초과하면 점착성에 의해 조성물간의 혼합이 원활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전기저항을 작게하여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먼지의 흡착 등을 방지하여 점착층(130)의 오염에 의한 점착력 약하를 방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 1중량부 미만이면 대전방지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5중량부 초과하면 다른 조성물의 함량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난연제는 상술한 난연제에 서술되어 있음에 따라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소화패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부(10)의 일단에 구성되어 자력에 의해 자착되도록 구성되는 자착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자착부(30)는 자력에 의해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의 어느 곳이든 자착됨에 따라 소화패드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자착부(30)는 영구자석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자착부(30)는 자력에 의해 어느 곳이든 탈,부착할 수 있는 재질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채용 가능하다.
상기한 소화패드는 소화부(10)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제조하고, 상기 거푸집에 자착부(30)를 안착시킨 후, 상기 거푸집에 소화부(10)의 조성물을 투입시켜 경화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거푸집에 의한 소화부(10)의 형상이 결정됨과 함께 상기 소화부(10)의 경화에 의해 자착부(30)가 상기 소화부(10)와 일체화로 구성됨으로써, 확고한 고정상태를 이루도록 제조된다. 이 경우, 상기 소화패드는 자착부(30)가 일체화가 소화부(10)의 일단에 점착부(20)를 형성하되, 상기 자착부(30)가 형성된 면에 상기 점착부(20)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배전반 또는 수배전반의 내부공간에 점착부(20)의 점착력과 자착부(30)의 자력으로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자착부(30)는 소화부(10)를 제조할 때 일체화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자착부(30)의 일단에 양면테이프 또는 점착부(20)를 구성하여, 상기 소화부(10)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소화부(10)의 일단에 부착 또는 점착 등의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방식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한편, 소화패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 등과 같은 시설물(1)의 내부 일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보강프레임(40)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프레임(40)은 시설물(1)의 내부 형상에 맞춰 형성되고, 일측에 소화부(10)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시설물(1)의 내부에 소화부(10)의 구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시설물(1)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초기 진압효과가 증폭되도록 한다.
상기 보강프레임(40)은 아크릴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보강프레임(40)은 시설물(1)의 내부에 소화부(10)가 안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재질 예컨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40)은 100중량부의 합성수지에 대하여, 10 ~ 20중량부의 내화재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보강프레임(40)에 대한 내화성을 강화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강프레임(40)은 일단에 소화부(10)가 구성되고, 타단에 자착부(30)가 구성되어, 상기 자착부(30)의 자착력에 의해 상기 보강프레임(40)을 용이하게 탈,부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부착형 소화패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소화부 20: 점착부
30: 자착부 40: 보강프레임

Claims (6)

  1. 60 ~ 80중량부의 소화캡슐 및 20 ~ 40중량부의 바인더로 조성되는 소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5 ~ 10중량부의 비스페놀 A 다이글리시딜 에테르와, 50 ~ 60중량부의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과, 25 ~ 35중량부의 페놀, 메틸스타이레네이트(#CAS No: 68512-30-1), 및 5 ~ 10중량부의 난연제로 조성되며, 상기 바인더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5 ~ 10중량부의 석유수지를 포함하여 조성되고, 상기 소화부의 일단에 구성되어 배전반 또는 수배전반의 내부 공간에 점착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점착부로 구성되는 부착형 소화패드에 있어서,
    상기 소화부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제조하고, 상기 거푸집에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착부를 안착시킨 후, 상기 거푸집에 소화부의 조성물을 투입시켜 경화되도록 하여 상기 소화부에 자착부가 일체화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소화부는 자착부가 구성된 일면에 점착부가 구성되고;
    상기 점착부는 50 ~ 60중량부의 50 ~ 100℃의 저비점 탄화수소계 용제와;
    30 ~ 35중량부의 친유성복합수지와;
    5 ~ 10중량부의 페크마타이트와;
    3 ~ 10중량부의 석유수지와;
    1 ~ 5중량부의 대전방지제; 및
    1 ~ 5중량부의 난연제;
    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소화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화패드가 시설물의 내부 일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보강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소화패드.
KR1020210130418A 2021-09-30 2021-09-30 부착형 소화패드 KR102426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418A KR102426099B1 (ko) 2021-09-30 2021-09-30 부착형 소화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418A KR102426099B1 (ko) 2021-09-30 2021-09-30 부착형 소화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099B1 true KR102426099B1 (ko) 2022-07-28

Family

ID=82607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418A KR102426099B1 (ko) 2021-09-30 2021-09-30 부착형 소화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0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925B1 (ko) * 2013-05-10 2015-10-14 김시원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
KR101855845B1 (ko) 2017-01-10 2018-05-09 주식회사 한국자동제어 단자대 안전커버
KR101866686B1 (ko) * 2017-03-02 2018-06-11 박정배 마이크로 캡슐 기반의 자동 소화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동 소화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 캡슐 모듈
KR102152823B1 (ko) * 2020-01-28 2020-09-07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소화제품 기반 소화 제어 시스템
KR20210014415A (ko) 2019-07-30 2021-02-09 한국전력공사 전선 분기용 단자대
KR102246380B1 (ko) * 2020-12-24 2021-04-29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자기점착성 소화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소화용 제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925B1 (ko) * 2013-05-10 2015-10-14 김시원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
KR101855845B1 (ko) 2017-01-10 2018-05-09 주식회사 한국자동제어 단자대 안전커버
KR101866686B1 (ko) * 2017-03-02 2018-06-11 박정배 마이크로 캡슐 기반의 자동 소화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동 소화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 캡슐 모듈
KR20210014415A (ko) 2019-07-30 2021-02-09 한국전력공사 전선 분기용 단자대
KR102152823B1 (ko) * 2020-01-28 2020-09-07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소화제품 기반 소화 제어 시스템
KR102246380B1 (ko) * 2020-12-24 2021-04-29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자기점착성 소화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소화용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237B1 (ko) 부착형 소화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9435B1 (ko)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소화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043429B1 (ko) 실리콘 고무 조성물 및 그 경화물
JP6071305B2 (ja) 延焼防止材、目地材及び建具
JP2004508673A (ja) 防火コンセントおよびスイッチ用防火カバープレート
JP5616816B2 (ja)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の防火措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318163B1 (ko) 단자대용 소화커버
WO2013110516A1 (de) Schaufelrad mit intumeszenz-beschichtung
KR102399937B1 (ko)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이액형 실란트 조성물
KR102426099B1 (ko) 부착형 소화패드
JP2020081809A (ja) 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それを用いた消火性シート、消火性コードとその補助具
WO1994020055A1 (en) Pressure sensitive cover for fire resistance
KR102189631B1 (ko)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소화용 벽지 및 그 제조방법
JP4268338B2 (ja) 埋込型ボックスの防耐火構造
JP2003293482A (ja) 耐火被覆構造及び該耐火被覆構造の施工方法
KR102357714B1 (ko) 초소형 공간의 화재진압용 스티커형 자동소화장치
US4680427A (en) Fire resistant cast cable connection
US20230024231A1 (en) Edge adapter for electrical box extension rings
JP3329191B2 (ja) 延焼防止用耐火封止材
KR20230009107A (ko) 전기케이블의 접속부용 안전커버
KR101396453B1 (ko) 불연성 저압접속함 뚜껑 및 그 제조방법
KR101567352B1 (ko) 내염성 고분자 복합재 표면 코팅 방법
KR102587325B1 (ko) 화재 확산방지 및 자가소화 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용 내화 커버 조성물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제품
JP2004225271A (ja) 鉄骨耐火被覆構造および鉄骨耐火被覆の施工方法
JP3620425B2 (ja) 難燃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を用いたプリプレグ、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