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925B1 -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925B1
KR101559925B1 KR1020130052843A KR20130052843A KR101559925B1 KR 101559925 B1 KR101559925 B1 KR 101559925B1 KR 1020130052843 A KR1020130052843 A KR 1020130052843A KR 20130052843 A KR20130052843 A KR 20130052843A KR 101559925 B1 KR101559925 B1 KR 101559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oam layer
base material
methyl
hydrocarbon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3156A (ko
Inventor
김시원
Original Assignee
김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원 filed Critical 김시원
Priority to KR102013005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925B1/ko
Publication of KR20140133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기재와 상기 기재에 발포층을 형성하고, 상기 발포층은 50 ~ 100℃의 저비점 탄화수소계 용제와, 친유성복합수지, 페크마타이트, 및 대전방지제로 조성됨으로써, 자착 성능을 향상시켜 고정물의 재질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탈, 부착이 이루어져 전시효과, 정보전달효과 및 광고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재, 및 상기 기재에 형성되고, 고정물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자착성능을 가지는 발포층을 포함하는 점착패드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우레탄, 실리콘, PVC, PE발포 원단이고; 상기 발포층은, 50 ~ 100℃의 저비점 탄화수소계 용제 : 친유성복합수지 : 페크마타이트 : 대전방지제가 1 : 0.5~1 : 0.01~0.05 : 0.01~0.05의 혼합비율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Composition Of The Adhesion Pad having Adhesion Removable Performance}
본 발명은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와 상기 기재에 발포층을 형성하고, 상기 발포층은 50 ~ 100℃의 저비점 탄화수소계 용제와, 친유성복합수지, 페크마타이트, 및 대전방지제로 조성됨으로써, 자착 성능을 향상시켜 고정물의 재질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탈, 부착이 이루어져 전시효과, 정보전달효과 및 광고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상장 또는 그림을 장식하여 벽에 걸어서 전시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물품이다.
또한, 화이트보드 또는 칠판은 펜 또는 분필로 다양한 정보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물품이다.
그러나, 상기한 액자 또는 보드 등은 벽에 걸기 위해서는 못을 벽에 박아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액자 또는 보드를 철거할 경우 못도 함께 제거하게 됨으로써, 상기 못에 의해 손상된 벽을 보정해 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액자 또는 보드의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진첩은 사진을 수납하여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물품으로써, 벽에 걸거나 또는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벽에 걸 경우에 상기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거치할 경우 거치되는 공간만큼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이면에 자석성분을 포함하는 소형 광고판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자석성능의 소형 광고판은 금속패널에만 자착됨에 따라 사용의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접착제의 기술발달로 인해, 액자 또는 보드, 소형 광고판 등의 이면에 포스트잇과 같이 반복사용에도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사용위치에 제한되지 않고 자유롭게 접착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접착제는,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접착 후 물품을 벽 과 같은 고정물에서 때어낼 경우 접착제가 고정물에 잔존하게 됨으로써, 저항성이 약한 노약자들에게 쉽게 전이되어 상해를 입힐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물에 잔존하는 접착제에 의해 먼지와 같은 기타 이물질이 용이하게 접착됨에 따라, 상기 고정물을 훼손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착제는 반복사용에 의해 물품에서 일정량의 접착제가 탈락됨으로써, 반복사용의 제한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착제는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져, 적용하고자 하는 물품이 내화학성을 가지는 물품에 한정되는 사용의 제한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복사용이 가능한 점착력을 가지는 접착제는, 적용되는 물품과 자체 하중에 의해 고정물에서 쉽게 탈락될 수 있음으로써, 포스트 잇과 같은 자체 하중이 적은 종이 또는 소형 광고판과 같은 합성수지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989281호(명칭: 점성을 갖는 피브이시 발포체와 이를 이용한 냉장고용 접착 광고판)는, PVC 수지에 가소제, 유동성 개질제, 점도저하제를 사용하여 발포 성형하는 피브이시 발포체에 있어서, PVC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120~150중량부, 유동성 개질제로 수지의 조직을 바늘 모양의 결정체가 형성되어 망상 결합구조를 갖고 NMP 용제를 함유한 변성 Urea로 구성된 독일 BYK사의 BYK-410를 2.5~3중량부, 공지의 점도저하제 0.5~0.8중량부를 혼합 및 발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접착 광고판 배면에 부착하여 냉장고 표면에 등에 접착 자국없이 간단히 탈, 부착 사용하게 되므로, 만족감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와 상기 기재에 발포층을 형성하고, 상기 발포층은 50 ~ 100℃ 저비점 탄화수소계 용제와, 친유성복합수지, 페크마타이트, 및 대전방지제로 조성됨으로써, 자착 성능을 향상시켜 고정물의 재질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탈, 부착이 이루어져 전시효과, 정보전달효과 및 광고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재, 및 상기 기재에 형성되고, 고정물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자착성능을 가지는 발포층을 포함하는 점착패드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우레탄, 실리콘, PVC, PE발포 원단이고; 상기 발포층은, 50 ~ 100℃의 저비점 탄화수소계 용제 : 친유성복합수지 : 페크마타이트 : 대전방지제가 1 : 0.5~1 : 0.01~0.05 : 0.01~0.05의 혼합비율로 조성되며; 상기 50 ~ 100℃의 저비점 탄화수소계 용제는, n-펜탄(n-pentane), i-펜탄(i-pentane), 사이클로 펜탄(cyclopentane), n-헥산(n-hexane), i-헥산(i-hexane), 사이클로헥산(cyclohexane), 메탈 사이클로 헥산(metal cyclohexane), n-헵탄(n-heptane), n-옥탄(n-octane), 헥사메틸실록산(hexamethylsiloxane), 메틸 3-메톡시프로피오네이트(methyl 3-methoxypropionate), 에틸 3-에폭시프로피오네이트(ethyl 3-epoxypropionate),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및 메틸에틸케톤 톨루엔(MEK Toluen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조성되고; 상기 친유성복합수지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수지, 실리콘계 아크릴수지, 메틸페닐계 실리콘수지, 비닐클로라이드의 호모중합체, 비닐클로라이드와 아세트산 비닐의 공중합체수지, 1,2-폴리부타디엔계 엘라스토머, 폴리이소부틸렌 합성고무, 폴리스티렌수지, 아크릴산메틸의 호모중합체 및 공중합체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와 상기 기재에 발포층을 형성하고, 상기 발포층은 50 ~ 100℃ 저비점 탄화수소계 용제와, 친유성복합수지, 페크마타이트, 및 대전방지제로 조성됨으로써, 자착 성능을 향상시켜 고정물의 재질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탈, 부착이 이루어져 전시효과, 정보전달효과 및 광고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물의 재질에 따라 자유로운 휨과 복귀를 이룰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 또한 고정물과 동일하게 자유로운 휨과 복귀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점착패드는, 자착성능을 가지는 패드(Pad) 형태로 이루어져 고정물에 탈, 부착이 용이하고, 또한, 탈착시 고정물에 어떠한 이물이 잔존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점착패드는, 기재, 및 상기 기재에 자착성능을 가지는 발포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점착패드의 발포층은, 50 ~ 100℃의 저비점 탄화수소계 용제와, 친유성복합수지와, 페크마타이트, 및 대전방지제를 혼합하여 조성되는 반응계 변성우레탄 우레아다. 또한, 상기 점착패드의 기재는, 우레탄, 실리콘, PVC, PE발포 원단임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점착패드는, 상기 기재인 발포원단에 발포층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발포층은 50 ~ 100℃의 저비점 탄화수소계 용제 : 친유성복합수지 : 페크마타이트 : 대전방지제의 조성비는 1 : 0.5~1 : 0.01~0.05 : 0.01~0.05의 혼합비율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50 ~ 100℃의 저비점 탄화수소계 용제는, 50 ~ 100℃의 비점을 가지는 용제로서, n-펜탄(n-pentane), i-펜탄(i-pentane), 사이클로 펜탄(cyclopentane), n-헥산(n-hexane), i-헥산(i-hexane), 사이클로헥산(cyclohexane), 메탈 사이클로 헥산(metal cyclohexane), n-헵탄(n-heptane), n-옥탄(n-octane), 헥사메틸실록산(hexamethylsiloxane), 메틸 3-메톡시프로피오네이트(methyl 3-methoxypropionate), 에틸 3-에폭시프로피오네이트(ethyl 3-epoxypropionate),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및 메틸에틸케톤 톨루엔(MEK Toluen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조성된다. 바람직하게는, 3종이 혼합된다.
상기 친유성복합수지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수지, 실리콘계 아크릴수지, 메틸페닐계 실리콘수지, 비닐클로라이드의 호모중합체, 비닐클로라이드와 아세트산 비닐의 공중합체수지, 1,2-폴리부타디엔계 엘라스토머, 폴리이소부틸렌 합성고무, 폴리스티렌수지, 아크릴산메틸의 호모중합체 및 공중합체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조성된다. 바람직하게는 4 종이 혼합된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발포층이 형성되는 점착패드는, 자착성능을 가짐으로써, 고정물에 탈, 부착이 자유롭고, 또한 접착 자국을 남기지않기 때문에 고정물의 훼손을 방지한다.
또한, 점착패드의 발포층이 표면적 전면에 형성되어 고정물에 접착됨으로써, 확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포층을 가지는 기재의 표면에 수납공간을 가지는 필름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에 내용물을 수납시켜 벽이나 옷장, 수납장, 거울 등에 용이하게 부착시켜 전시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재의 표면에 필기 가능하도록 하는 코팅층을 구성하여, 상기 코팅층에 의해 용이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보드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재의 표면에 광고문안이나, 도안, 무늬모양 또는 형상을 양각 또는 음각시키도록 하는 무늬층을 형성함으로써, 자유롭게 탈, 부착시켜 광고효과 또는 전시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고정물의 재질에 따라 자유로운 휨과 복귀를 이룰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 또한 고정물과 동일하게 자유로운 휨과 복귀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기재, 및 상기 기재에 형성되고, 고정물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자착성능을 가지는 발포층을 포함하는 점착패드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우레탄, 실리콘, PVC, PE발포 원단이고;
    상기 발포층은, 50 ~ 100℃의 저비점 탄화수소계 용제 : 친유성복합수지 : 페크마타이트 : 대전방지제가 1 : 0.5~1 : 0.01~0.05 : 0.01~0.05의 혼합비율로 조성되며;
    상기 50 ~ 100℃의 저비점 탄화수소계 용제는, n-펜탄(n-pentane), i-펜탄(i-pentane), 사이클로 펜탄(cyclopentane), n-헥산(n-hexane), i-헥산(i-hexane), 사이클로헥산(cyclohexane), 메탈 사이클로 헥산(metal cyclohexane), n-헵탄(n-heptane), n-옥탄(n-octane), 헥사메틸실록산(hexamethylsiloxane), 메틸 3-메톡시프로피오네이트(methyl 3-methoxypropionate), 에틸 3-에폭시프로피오네이트(ethyl 3-epoxypropionate),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및 메틸에틸케톤 톨루엔(MEK Toluen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조성되고;
    상기 친유성복합수지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수지, 실리콘계 아크릴수지, 메틸페닐계 실리콘수지, 비닐클로라이드의 호모중합체, 비닐클로라이드와 아세트산 비닐의 공중합체수지, 1,2-폴리부타디엔계 엘라스토머, 폴리이소부틸렌 합성고무, 폴리스티렌수지, 아크릴산메틸의 호모중합체 및 공중합체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조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52843A 2013-05-10 2013-05-10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 KR101559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843A KR101559925B1 (ko) 2013-05-10 2013-05-10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843A KR101559925B1 (ko) 2013-05-10 2013-05-10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156A KR20140133156A (ko) 2014-11-19
KR101559925B1 true KR101559925B1 (ko) 2015-10-14

Family

ID=5245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843A KR101559925B1 (ko) 2013-05-10 2013-05-10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099B1 (ko) * 2021-09-30 2022-07-28 백종운 부착형 소화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709B1 (ko) 1998-02-17 2005-12-30 주식회사 새 한 발포박리성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점착필름
KR100600936B1 (ko) 2004-01-28 2006-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리가능한 점착제 조성물
KR100831081B1 (ko) 2007-02-22 2008-05-20 (주)해은켐텍 상호반응성 공중합체를 이용한 발포시트용 점착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발포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709B1 (ko) 1998-02-17 2005-12-30 주식회사 새 한 발포박리성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점착필름
KR100600936B1 (ko) 2004-01-28 2006-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리가능한 점착제 조성물
KR100831081B1 (ko) 2007-02-22 2008-05-20 (주)해은켐텍 상호반응성 공중합체를 이용한 발포시트용 점착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발포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099B1 (ko) * 2021-09-30 2022-07-28 백종운 부착형 소화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156A (ko)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9154B2 (en) Adhesive notepad
JPH06509187A (ja) 写真用カバーアセンブリ
US20100047510A1 (en) Repositionable targeting reference for video screens
WO2016035641A1 (ja) 路面、床面又は壁面貼り付け用シート、及び、路面、床面又は壁面貼り付け用シート形成セット
JP2004117790A (ja) 表示ディスプレイ用保護フィルム
KR101559925B1 (ko) 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의 조성물
KR101560041B1 (ko) 점착성능을 가지는 점착패드
JP2002510070A (ja) 再使用可能な多目的接着パッド
US20120308784A1 (en) Adhesive pad
US10575664B2 (en) Article for mounting to a vertical surface
US20160052329A1 (en) Mobile, releasably attachable, white-board
KR20080072031A (ko) 개인 전용화된 접착성 메모판
US20030127181A1 (en) Image graphic system comprising a highly tacky adhesiv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150279243A1 (en) Paint Identification Label
JP2005007618A (ja) フィルムシート
US11021005B1 (en) Dry erase marker board system with solid wetting marker board
US20120183714A1 (en) Multi-function reusable sticker teaching tool
US830374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film
JP3216783U (ja) オリジナル筆記シート
JP3167449U (ja) 吸着シートを用いた表示装置
US11951764B1 (en) Dry erase marker board system with solid wetting marker board
JP6614543B1 (ja) 微粘着ボード
KR200440900Y1 (ko) 주차알림판
KR200429949Y1 (ko) 탈부착이 용이한 미끄럼 방지 시트
US10852006B1 (en) Applications of solid wetting adhes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