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926B1 -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및 크라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및 크라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926B1
KR102425926B1 KR1020200167053A KR20200167053A KR102425926B1 KR 102425926 B1 KR102425926 B1 KR 102425926B1 KR 1020200167053 A KR1020200167053 A KR 1020200167053A KR 20200167053 A KR20200167053 A KR 20200167053A KR 102425926 B1 KR102425926 B1 KR 102425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tooth
crown
printer
connec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7789A (ko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뉴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뉴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뉴메디칼
Priority to KR1020200167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9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61C5/77Methods or devices for making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크라운 제조방법으로서, 인상용 트레이에 인상재를 투입하여 치아 모형을 본뜨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및 크라운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METERIAL FOR MILK TOOTH AND DENTAL RESTORATION USING 3D PRINTING}
본 발명은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및 크라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손상된 치아의 수복을 위해 사용되는 가공치아로는, 대표적으로 틀니, 치조골에 식립되는 고정체인 임플란트 및 환자의 치아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는 보철물(크라운)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가공치아는 사람의 자연 치아나 잇몸을 대체하는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금속, 레진, 사기 등 다양한 복합소재로 제작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가공치아는 다양한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많은 공정을 거쳐 제작되기 때문에 생산 효율성이 떨어져 재현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치과 분야에서는 본을 뜨는 과정이 과거 전통적인 방식에서 구강 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임프레션 (Digital Impression)으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크라운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을 뜨거나 주조(casting)하는 복잡한 과정이 없이 치아 보철물의 제조과정을 보다 간단히 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3D 프린팅 성형방법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나 정밀도와 생물학적 적합성이 요구됨에 따라서 3D 프린팅 성형방법에 의해 치아 보철물(크라운)을 제조할 경우에 정밀도가 떨어지는 것을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53861호
본 발명은 인상용 트레이 및 인상재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의 모양을 본 뜬 후, 3D 도면을 생성하여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및 크라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크라운 제조방법 은, 인상용 트레이에 인상재를 투입하여 치아 모형을 본뜨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크라운 제조방법 은, 상기 인상용 트레이에 본 떠진 치아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유치, 크라운 형상을 3D 도면으로 제작하는 단계; 제작한 상기 3D 도면을 3D 프린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3D 프린터로부터 유치, 크라운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상용 트레이는, 상기 인상재가 투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상용 트레이는, 환자의 치아 모형 또는 본 떠야 하는 치아의 위치에 따라 '
Figure 112020130688619-pat00001
'와 같은 모양, '∩'와 같은 모양 또는 '
Figure 112020130688619-pat00002
'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3D 도면은, 치아의 표준 모델과 상기 인상용 트레이에 본 뜬 치아의 모형, 상기 환자의 전체 치아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3D 도면을 제작하되, 3D 도면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또는 상기 3D 도면이 생성 가능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작할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3D 프린터는, 내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송된 상기 3D 도면에 따라 상기 유치, 크라운을 생성하도록 3D프린터용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토출부; 내부 중앙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잉크토출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전송된 상기 3D 도면의 크기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지지부; 및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평평한 원형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지지부의 중앙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잉크토출부의 상기 잉크가 토출되는 부분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잉크토출부로부터 잉크가 토출되어 생성되는 상기 유치, 크라운이 안착되는 중앙안착부;를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3D 프린터는, 외측면 일단에 부착되어 있는 단말기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거치대는, 넙적한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이 상기 3D 프린터의 외측면 일단에 고정 연결되고, 전면에는 상단 및 하단에 '』'와 같이 상단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있는 연결고정부; 상기 연결고정부와 같이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고정부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후면의 상단 및 하단에'『'와 같이 하단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있어 상기 연결고정부의 상단 및 하단에 마련된 돌기에 삽입하여 맞물려 고정되고, 전면 하단에는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이 마련되어 있는 제1 지지부; 상기 연결고정부와 같이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면 하단에 상기 제1 지지부의 후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와 같은 크기를 가지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홈이 마련되어 있고, 전면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연결고정부의 전면 상단 및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돌기와 동일하게 '』'와 같이 상단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있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면 하단에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2 지지부의 후면 하단에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구 형상의 삽입돌기가 양단에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2 지지부의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중앙연결부; 및 상기 연결고정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와 같이 하단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면 상단 및 하단에 '』'와 같이 상단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에 맞물려 삽입 고정되고, 전면 하단에는 상기 3D 도면이 생성 가능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와 같은 단말기가 안착 가능하도록 튀어나온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전면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및 크라운 제조방법은 인상용 트레이 및 인상재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의 모양을 본 뜬 후, 환자의 치아 상태 또는 잇몸의 상태, 임플란트의 유형에 따라 3D 도면을 생성하여 맞춤형 크라운을 제작할 수 있고, 치아의 크기에 상관없이 제작이 가능하여 유치를 위한 크라운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크라운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상용 트레이의 구성이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작된 3D 도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거치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크라운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크라운 제조방법은 인상용 트레이에 인상재를 투입하고(S1100), 인상재가 투입된 인상용 트레이를 대상 환자에게 물려 환자의 치아 모형을 본 뜰 수 있다(S1300).
인상용 트레이에 본 떠진 치아 모형을 크라운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3D 도면으로 제작할 수 있고(S1500), 제작한 3D 도면을 3D 프린터에 전송하여(S1700),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유치, 크라운을 제조할 수 있다(S190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상용 트레이의 구성이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상용 트레이(100)는 인상재가 투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일측면에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인상용 트레이(100)는 환자의 치아 모형 또는 본 떠야 하는 치아의 위치에 따라 '
Figure 112020130688619-pat00003
'와 같은 모양, '∩'와 같은 모양 또는 '
Figure 112020130688619-pat00004
'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작된 3D 도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상재가 투입된 인상용 트레이(100)에 본 떠진 치아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유치, 크라운을 제작한 3D 도면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임플란트 초기 수술을 진행하여 인공 치근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인공 치근의 모양과 치열에 따라 상부 보철, 크라운을 제작한 3D 도면을 확인할 수 있다.
3D 도면은 치아의 표준 모델과 상기 인상용 트레이에 본 뜬 치아의 모형, 환자의 전체 치아 구조를 이용하여 3D 도면을 제작할 수 있고, 3D 도면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또는 3D 도면이 생성 가능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술한 3D 도면 제작이 가능한 단말기(500)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 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데,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데,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900)는 잉크토출부(910), 이동지지부(990) 및 중앙안착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잉크토출부(910)는 내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전송된 3D 도면에 따라 유치, 크라운을 생성하도록 3D프린터용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이동지지부(990)는 내부 중앙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잉크토출부(91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고, 전송된 3D 도면의 크기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중앙안착부(95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평평한 원형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동지지부(990)의 중앙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잉크토출부(910)의 잉크가 토출되는 부분의 하단에 위치하여 잉크토출부(910)로부터 잉크가 토출되어 생성되는 유치, 크라운(800)이 안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900)는 잉크토출부(911) 및 중앙안착부(951)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안착부(951)는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로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양단에는 원형판의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체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3D 프린터(901)의 내부 양단에 맞물려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거치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거치대(700)는 연결고정부(710), 제1 지지부(730), 제2 지지부(770), 중앙연결부(750) 및 전면안착부(770)를 포함할 수 있고, 삽입고정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고정부(710)는 넙적한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면이 3D 프린터(900)의 외측면 일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전면에는 상단 및 하단에 '』'와 같이 상단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711, 712)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지지부(730)는 연결고정부(710)와 같이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고정부(710)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전면 하단에는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735)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지지부(730)의 후면에'『'와 같이 하단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731, 732)가 상단 및 하단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연결고정부(710)의 상단 및 하단에 마련된 돌기에 삽입하여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부(770)는 연결고정부(710)와 같이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770)의 후면 하단에 제1 지지부(730)의 후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와 같은 크기를 가지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홈(775)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지지부(770)의 전면 상단 및 하단에는 연결고정부(710)의 전면 상단 및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돌기(711, 712)와 동일하게 '』'와 같이 상단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771, 772)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부(730)의 상단과 제2 지지부(770)의 상단은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회전체(778)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어서 제2 지지부(770)는 회전체(778)에 의하여 상하단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면안착부(770)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중앙연결부(750)는 제1 지지부(730)의 전면 하단에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735)과 제2 지지부(770)의 후면 하단에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홈(775)에 각각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구 형상의 삽입돌기가 양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양단에 마련되어 있는 구 형상의 삽입돌기에 의해 중앙연결부(750)는 제1 지지부(730)의 제1 삽입홈(735)과 제2 지지부(770)의 제2 삽입홈(775)에 삽입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전면안착부(770)는 연결고정부(710)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안착부(770)의 후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와 같이 하단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791, 793, 795, 797, 799)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제2 지지부(770)의 전면 상단 및 하단에 '』'와 같이 상단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771, 772)에 맞물려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전면안착부(770)의 후면에 형성된 돌기(791, 793, 795, 797, 799)를 이동시켜 제2 지지부(770)의 돌기(771, 772)에 삽입 고정함으로 전면안착부(770)에 안착되는 단말기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전면안착부(770)의 전면 하단에는 3D 도면이 생성 가능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500)와 같은 단말기가 안착 가능하도록 튀어나온 돌기(798)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면안착부(770)의 전면 하단에는 휴대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단말기가 안착되었을 때 하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돌기(798)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삽입고정부(600)는 연결고정부(710)의 상단 및 하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연결고정부(710)를 관통하여 연결고정부(710)가 고정하려는 벽 또는 장치의 내부로 삽입하여 연결고정부(7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연결고정부(7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삽입고정부(60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홈(미도시)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연결고정부(710)의 후면에 부착테이프와 부착이 가능한 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려는 벽 또는 장치의 외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연결고정부(710)를 고정하려는 벽 또는 장치의 외측면에 부착하는 장치로 부착테이프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하려는 벽 또는 장치의 외측면에 용이하게 부착이 가능한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 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삽입고정부(600)는 회전삽입부(610), 상단지지체(631), 중앙지지체(639), 하단지지체(650), 제1 회전지지체(670) 및 제2 회전지지체(690, 69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삽입부(610)의 타단은 연결고정부(710)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홈(미도시)으로 삽입 가능한 너비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삽입부(610)의 일단은 연결고정부(710)에 형성된 관통홈(미도시)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을 수 있도록 타단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단지지체(631)는 연결고정부(710)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홈(미도시)이 마련된 위치의 상단 및 하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연결고정부(710)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회전삽입부(610)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단지지체(631)는 회전삽입부(610)의 타측면과 맞닿아 있을 수 있어 회전삽입부(610)의 삽입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회전삽입부(610)의 삽입을 위한 회전에 의하여 연결고정부(710)를 보호할 수 있다.
중앙지지체(639)는 연결고정부(710)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홈(미도시)이 마련된 위치의 상단 및 하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연결고정부(710)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중앙지지체(639)의 상단은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하단은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단지지체(650)의 상단은 중앙지지체(639)의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상단의 가로 방향의 상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동시에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세로 방향의 타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하단지지체(650)의 하단은 중앙지지체(639)의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하단의 가로 방향의 하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동시에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세로 방향의 타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회전지지체(670)는 사다리꼴 형상과 같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회전삽입부(610)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하단이 삽입하여 고정 가능하도록 내부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지지체(670)의 내부홈(미도시)을 회전삽입부(61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와 맞물려 회전하여 고정 가능하도록 나선형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회전지지체(670)는 중앙지지체(639)의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상단의 가로 방향과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하단의 가로 방향의 사이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회전지지체(690, 690')의 상단은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하단은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회전지지체(670)의 타측면 상단 및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2 회전지지체(690, 690')는 연결고정부(710)를 고정하려는 벽 또는 장치의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연결고정부(710)를 고정하려는 벽 또는 장치의 외측면에 맞닿아 회전삽입부(610)의 삽입 및 회전을 지지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인상용 트레이
900: 3D 프린터

Claims (2)

  1. 인상용 트레이에 인상재를 투입하여 치아 모형을 본뜨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크라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상용 트레이에 본 떠진 치아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유치, 크라운 형상을 3D 도면으로 제작하는 단계;
    제작한 상기 3D 도면을 3D 프린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3D 프린터로부터 유치, 크라운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상용 트레이는,
    상기 인상재가 투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인상용 트레이는,
    환자의 치아 모형 또는 본 떠야 하는 치아의 위치에 따라 '
    Figure 112022057402400-pat00005
    '와 같은 모양, '∩'와 같은 모양 또는 '
    Figure 112022057402400-pat00006
    '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3D 도면은,
    치아의 표준 모델과 상기 인상용 트레이에 본 뜬 치아의 모형, 상기 환자의 전체 치아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3D 도면을 제작하되, 3D 도면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또는 상기 3D 도면이 생성 가능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상기 3D 프린터는,
    내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송된 상기 3D 도면에 따라 상기 유치, 크라운을 생성하도록 3D프린터용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토출부;
    내부 중앙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잉크토출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전송된 상기 3D 도면의 크기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지지부; 및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평평한 원형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지지부의 중앙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잉크토출부의 상기 잉크가 토출되는 부분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잉크토출부로부터 잉크가 토출되어 생성되는 상기 유치, 크라운이 안착되는 중앙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3D 프린터는,
    외측면 일단에 부착되어 있는 단말기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거치대는,
    넙적한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이 상기 3D 프린터의 외측면 일단에 고정 연결되고, 전면에는 상단 및 하단에 '』'와 같이 상단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있는 연결고정부;
    상기 연결고정부와 같이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고정부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후면의 상단 및 하단에'『'와 같이 하단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있어 상기 연결고정부의 상단 및 하단에 마련된 돌기에 삽입하여 맞물려 고정되고, 전면 하단에는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이 마련되어 있는 제1 지지부;
    상기 연결고정부와 같이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면 하단에 상기 제1 지지부의 후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와 같은 크기를 가지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홈이 마련되어 있고, 전면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연결고정부의 전면 상단 및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돌기와 동일하게 '』'와 같이 상단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있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면 하단에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2 지지부의 후면 하단에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구 형상의 삽입돌기가 양단에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2 지지부의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중앙연결부; 및
    상기 연결고정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와 같이 하단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면 상단 및 하단에 '』'와 같이 상단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에 맞물려 삽입 고정되고, 전면 하단에는 상기 3D 도면이 생성 가능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와 같은 단말기가 안착 가능하도록 튀어나온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전면안착부;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크라운 제조방법.
  2. 삭제
KR1020200167053A 2020-12-02 2020-12-02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및 크라운 제조방법 KR102425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053A KR102425926B1 (ko) 2020-12-02 2020-12-02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및 크라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053A KR102425926B1 (ko) 2020-12-02 2020-12-02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및 크라운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789A KR20220077789A (ko) 2022-06-09
KR102425926B1 true KR102425926B1 (ko) 2022-07-28

Family

ID=8198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053A KR102425926B1 (ko) 2020-12-02 2020-12-02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및 크라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9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424B1 (ko) * 2011-06-16 2012-01-30 김태원 투명 교정기 제조 방법
KR102008333B1 (ko) 2018-12-18 2019-08-07 박미라 치아주위근육 정상 중립대 형성을 위한 개인 맞춤형 맹출유도와 골격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020397B1 (ko) 2019-04-08 2019-11-04 문윤희 적층제조 기술을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복합 지대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7138A (ja) * 1998-03-19 1999-10-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歯列印象用トレ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67059Y1 (ko) * 2011-09-07 2013-05-24 한명숙 휴대기기 거치대
KR101672508B1 (ko) * 2015-02-17 2016-11-03 키오스크시스템 주식회사 포토 프린팅 장치
KR101851663B1 (ko) * 2016-07-26 2018-04-26 러버앤실리콘 주식회사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KR102153861B1 (ko) 2020-05-25 2020-09-09 이노범 3d 프린팅 및 분체 도장을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424B1 (ko) * 2011-06-16 2012-01-30 김태원 투명 교정기 제조 방법
KR102008333B1 (ko) 2018-12-18 2019-08-07 박미라 치아주위근육 정상 중립대 형성을 위한 개인 맞춤형 맹출유도와 골격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020397B1 (ko) 2019-04-08 2019-11-04 문윤희 적층제조 기술을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복합 지대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789A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1397B1 (en) Modeling and manufacturing of dentures
CN103648396B (zh) 用于整合图像信息的标记物
EP1621157B1 (en) Method of arranging artificial teeth
AU2004200418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Prosthesis
JP5820679B2 (ja) 歯科用印象用トレー
US8506297B2 (en) Dental model
CN109803604B (zh) 用于人造牙齿的共同放置支撑件
US10420632B2 (en) Dental tools system and method
CN105979907A (zh) 制作定制正畸托槽的方法
IL142657A (en) Crowns for children
KR20220138369A (ko) 풀-아치 치과보철의 해부학적 위치를 찾고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105919B1 (ko)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44302A1 (en) Scan posts system and method
KR102425926B1 (ko)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및 크라운 제조방법
CN113425428B (zh) 固位附件的构建方法和系统、及无托槽隐形矫治器械
JP2022522120A (ja) 義歯作成アセンブリ、方法、及び装置
JP4624526B2 (ja) 緩衝機構を備えたチタン・マグネット・クラウンシステム用インプラント
KR101463424B1 (ko) 투명 교정 장치 및 이에 적합한 제조 방법
KR101999375B1 (ko) 디지털틀니 제조방법
BE1027356B1 (nl) Gebitsprothesesysteem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gebitsprothese
CN212395090U (zh) 一种带有固定结构的全口义齿
KR102479375B1 (ko) 맞춤화 기성 어버트먼트
KR20200008768A (ko)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 및 이의 제작방법
CN211674666U (zh) 一种数字化全口义齿制作模组
CN114191307A (zh) 一种口腔滞留装置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