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768A -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768A
KR20200008768A KR1020180082848A KR20180082848A KR20200008768A KR 20200008768 A KR20200008768 A KR 20200008768A KR 1020180082848 A KR1020180082848 A KR 1020180082848A KR 20180082848 A KR20180082848 A KR 20180082848A KR 20200008768 A KR20200008768 A KR 20200008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dental implant
root portion
buccal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원
Original Assignee
강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원 filed Critical 강남원
Priority to KR1020180082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8768A/ko
Publication of KR2020000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6Tooth rep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19Blade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떠 성형한 맞춤형 치아임플란트이며, 상기 치아임플란트는 치조골에 결합되는 치근부 및 치근부 상단에 위치하는 치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근부는 치근부 말단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결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 및 이의 제작방법 {DUPLICATED TOOTH IMPLA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맞춤형 치아임플란트에 대한 것이다.
환자의 치아를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치과치료를 하였음에도 더 이상 유지하기가 불가한 치아를 발거하고, 발거된 치아의 잇몸뼈에 원통형의 규격화된 임플란트 매식체(fixture)를 식립한 후 수개월 동안의 치유기간을 거친다. 이후 매식체가 잇몸뼈와 완전히 융합(osseointegration)되면 임플란트 매식체(fixure)에 중간 연결부위인 지대주(abutment)를 연결한 후 그 상부에 치아형태의 최종 보철물(crown)을 연결하는 것으로 치료를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에서 현재 중간 지대주나 최종 보철물의 경우 환자 개개인에 맞춤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나, 매식체는 개개인 맞춤이 불가능하고 기성의 규격화된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자연치아의 뿌리 형태와 규격화된 임플란트 매식체의 형태가 다름으로 인해 추가적인 잇몸 뼈 이식술, 상악동 거상술 등이 필요로 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즉, 잇몸 뼈에 삽입되어 있는 환자 개개인의 치아를 발거해 보면, 잇몸 뼈에 삽입되는 부분은 치아의 뿌리로써 상기 치아의 뿌리만큼의 부피로 잇몸 뼈에 입체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입체공간은 환자 개개인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종래 임플란트 시술에서 사용되는 매식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입체공간의 형상과는 상관없이 규격화된 원통형으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원래 치아의 뿌리 형태에 해당하는 잇몸 뼈의 입체공간의 형상과 규격화된 원통형의 매식체 사이의 불일치를 극복하기 위해, 종래 임플란트 시술에서는 상기 입체공간의 형상으로 매식체가 삽입되면 입체공간의 형상과 매식체 사이의 비어 있는 공간에 추가적인 잇몸 뼈를 채워 이식하거나 상악동 이식술 등 복잡하고 예후가 불분명한 추가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비일비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그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아임플란트의 치근부는 발치와와 형태와 크기가 유사하기 때문에 규격화된 원통형 매식체로 인해 야기되는 기술적 불이익을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근부의 말단의 일부를 제거하여 결합면을 형성하거나, 결합면에 결합홈을 형성하거나,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하거나, 치근부 말단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치근부와 치조골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치아임플란트의 협측의 일부를 제거하여 협측삭제부를 형성함으로서 협측 치조골의 흡수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국면은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떠 성형한 맞춤형 치아임플란트이며, 상기 치아임플란트는 치조골에 결합되는 치근부; 및 치근부 상단에 위치하는 치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근부는 치근부 말단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결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에는 치근부와 치조골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치근부 내부로 파여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근부의 표면에는 치근부와 치조골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돌출되거나 함몰된 요철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근부의 말단의 두께는 치아원형 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2국면은 환자의 치아원형과 형태와 크기를 맞추어 성형한 맞춤형 치아임플란트이며,
상기 치아임플란트는 치조골에 결합되는 치근부; 및 치근부 상단에 위치하는 치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임플란트는 치아임플란트의 협측(buccal)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협측삭제부가 형성되고, 협측삭제부는 협측 치조골의 흡수방지를 위한 골이식재가 투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국면은 환자의 치아원형의 형태와 크기를 측정하여 치아임플란트를 제작하기 위한 원형데이터를 확보하는 단계;
치아임플란트의 치근부 말단의 일부를 제거하여 결합면이 형성되도록 원형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
치아임플란트의 협측 일부를 제거하여 협측삭제부가 형성되도록 원형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된 원형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아임플란트의 치근부는 발치와와 형태와 크기가 유사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잇몸 뼈를 이식하는 등의 추가수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치근부의 말단의 일부를 제거하여 결합면을 형성하거나, 결합면에 결합홈을 형성하거나,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하거나, 치근부의 두께를 치아원형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치근부와 치조골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치근부의 말단의 일부를 제거하여 뿌리 부분을 재형성하면 해당 치아 발치 후 발치와에 형성되는 혈병(blood clot)에도 불구하고 치아임플란트를 원래 자연치아가 있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혈병을 제거하지 않더라도 치아임플란트를 원래 자연치아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혈병은 치근부가 치조골에 안정적으로 결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혈병을 제거하지 않고도 발치와에 치아임플란트를 정확한 위치로 식립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결합면은 기술적인 진보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아임플란트의 협측의 일부를 제거하여 협측삭제부를 형성하고 협측삭제부에 협측 치조골의 흡수방지를 위한 골이식재를 투입할 수 있다. 협측 치조골은 설측 치조골에 비해 얇은 특징이 있어 발치를 할 경우 협측 치조골이 흡수되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협측삭제부를 형성하여 발치와와 맞춤형 치아임플란트 사이 공간에 골이식재를 투입함으로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치근부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날카로운 칼날 형태로 길게 파여진 블레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근부는 원래 자연치아보다 직경이 조금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치근부가 발치와에 쉽게 식립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블레이드부는 치조골을 깍을 수 있으므로 치근부가 발치와에 보다 용이하게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아임플란트 측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치아임플란트 측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치아임플란트 정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치아임플란트 제작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치아임플란트의 재료는 타티타늄과 그합금, 지르코니아와 그 합금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아임플란트 측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치아임플란트 측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치아임플란트 정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치아임플란트(100)는 환자의 치아원형을 그대로 본 떠서 성형한 맞춤형 치아임플란트이다.
본 발명의 치아임플란트는 발치한 환자의 치아와 형태와 크기가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다만 아래와 같이 설명한 부분에 있어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치아임플란트(100)는 치관부(110) 및 치근부(120)를 포함한다. 치관부(110)는 치근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치아의 머리부분이다. 치근부(120)는 치관부 하단에 위치하며 치조골에 결합되는 뿌리부분이다.
치근부(120)는 치아원형보다 소정의 비율(또는 길이)만큼 더 크게 형성된다. 치아원형보다 직경이 크기 때문에 이를 돌출부(125)라 한다.
도 1의 예에서, 돌출부(125)는 점선으로 표시한 치아원형(10)과 실선으로 표시한 치근부 사이에 빗금으로 표시된 영역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5)의 상단보다 하단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치근부를 치아원형보다 일정비율만큼 더 크게 확대하면(돌출부를 형성하면) 치근부를 발치와에 식립할 때 흔들리지 않으며,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125)를 포함한 치근부(120)의 하단이 중단 또는 상단보다 크면(즉, 뿌리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면) 치근부가 발치와에 용이하게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치근부는 뿌리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혹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치근부(120)의 말단에는 치근부 말단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결합면이 형성된다. 치근부의 말단의 일부를 제거하여 결합면을 형성하면 발치와에 고여있는 혈병에도 불구하고 치아임플란트를 원래 자연치아가 있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혈병을 제거하지 않더라도 치아임플란트를 원래 자연치아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혈병은 치근부가 치조골에 안정적으로 결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혈병을 제거하지 않고도 발치와에 치아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결합면은 치아임플란트가 치조골에 보다 신속하고 견고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치근부(120) 외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날카로운 칼날 형태로 길게 파여진 블레이드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131)는 치아임플란트(100)를 식립할 때 치근부(120)가 치조골을 깍으면서 식립될 수 있도록 돕는다. 치근부(120)는 돌출부(125)를 포함하므로 원래 자연치아보다 직경이 조금 더 크다. 따라서, 치근부(120)가 발치와에 쉽게 식립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부(131)는 치조골을 깍으면서 치근부(120)가 발치와에 보다 용이하게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치근부(120)의 표면에는 도 3과 같은 요철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135)는 오목하게 함몰되거나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이며 치근부(120)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135)는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치근부와 치조골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치근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은 치근부 표면(결합면 표면도 포함함, 이하 동일)에서 치근부 내부로 깊게 파여진 홈이다. 결합홈은 요철부 보다 더 깊게 파여진다. 치근부(120)가 발치와에 식립되면 결합홈에는 혈액이 흡수될 수 있고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치조골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결합홈은 치근부와 치조골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치아임플란트의 협측(buccal)에는 협측삭제부(123)이 형성될 수 있다. 협측삭제부(123)은 치아임플란트의 협측(buccal)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다. 협측삭제부(123)은 협측 치조골의 흡수방지를 위한 골이식재가 투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다. 협측삭제부(123)에는 협측 치조골의 흡수방지를 위한 골이식재를 투입할 수 있다. 협측 치조골은 설측 치조골에 비해 얇은 특징이 있어 발치를 할 경우 협측 치조골이 흡수되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협측삭제부(123)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에 골이식재를 투입함으로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치아임플란트 제작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치아임플란트 제작방법은 치아임플란트 제작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치아임플란트 제작장치는 치아임플란트 제작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장치일 수 있다.
또한, 치아임플란트 제작장치는 치아원형의 형태와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입체 스캐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치아임플란트 제작장치는 원형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치아임플란트를 제작할 수 있는 3D 프린터 또는 가공기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치아임플란트 제작장치가 환자의 치아원형의 형태와 크기를 측정한다(S1100).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아임플란트를 제작하기 위한 원형데이터를 확보한다(S1200).
다음으로 치근부 말단의 일부를 제거하여 결합면이 형성되도록 원형데이터를 보정하는 제1보정이 실행된다(S1300). 또한, 치아임플란트의 협측 일부를 제거하여 협측삭제부가 형성되도록 원형데이터를 보정하는 제2보정이 실행된다(S1400).
치근부의 크기를 일정 비율만큼 확대하는 제3보정이 실행된다(S1500). 예를 들어, 치근부 말단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원형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치근부를 발치와보다 일정비율만큼 더 크게 확대하면 치근부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치근부의 표면에 오목하게 함몰되거나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의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원형데이터를 보정하거나, 결합면에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원형데이터를 보정하는 제4보정이 실행된다(S1600). 보정과정이 완료되면 최종 원형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치아임플란트를 제작한다(S1700).

Claims (6)

  1.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떠 성형한 맞춤형 치아임플란트이며, 상기 치아임플란트는 치조골에 결합되는 치근부; 및 치근부 상단에 위치하는 치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근부는 치근부 말단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결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근부는 치근부 외면에 날카로운 칼날 형태로 길게 파여진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인,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근부의 표면에는 치근부와 치조골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돌출되거나 함몰된 요철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인,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근부의 두께는 치아원형 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인,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
  5. 환자의 치아원형과 형태와 크기를 맞추어 성형한 맞춤형 치아임플란트이며,
    상기 치아임플란트는 치조골에 결합되는 치근부; 및 치근부 상단에 위치하는 치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임플란트는 치아임플란트의 협측(buccal)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협측삭제부가 형성되고, 협측삭제부는 협측 치조골의 흡수방지를 위한 골이식재가 투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
  6. 환자의 치아원형의 형태와 크기를 측정하여 치아임플란트를 제작하기 위한 원형데이터를 확보하는 단계;
    치아임플란트의 치근부 말단의 일부를 제거하여 결합면이 형성되도록 원형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
    치아임플란트의 협측 일부를 제거하여 협측삭제부가 형성되도록 원형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된 원형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의 제작방법.
KR1020180082848A 2018-07-17 2018-07-17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 및 이의 제작방법 KR202000087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848A KR20200008768A (ko) 2018-07-17 2018-07-17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 및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848A KR20200008768A (ko) 2018-07-17 2018-07-17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768A true KR20200008768A (ko) 2020-01-29

Family

ID=6932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848A KR20200008768A (ko) 2018-07-17 2018-07-17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87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3915A (zh) * 2021-04-06 2022-10-11 泰州市新龙翔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套接式的牙根种植体及其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3915A (zh) * 2021-04-06 2022-10-11 泰州市新龙翔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套接式的牙根种植体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1312B2 (ja) 歯科用メンブレン
KR101452849B1 (ko)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KR101621373B1 (ko) 무피판거상 시술을 위한 상악동 드릴링 키트
KR101359377B1 (ko) 임플란트 스캔 어버트먼트
KR102246985B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
KR200476682Y1 (ko) 치아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탠트
IL225759A (en) Normal rivet medical system for bone shaping
JP2015510425A (ja) 歯科用補綴物を支持する歯支台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90191508A1 (en) Mini implant
KR101550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KR101566456B1 (ko) 임플란트용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
US20140038134A1 (en) Custom dental implants, systems, devices and methods
KR102068525B1 (ko)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KR101763763B1 (ko)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KR101472570B1 (ko) 픽스츄어의 방향성 및 위치 식별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20150010118A (ko) 캐드캠을 이용한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방법
KR20200008768A (ko)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406043B1 (ko) 맞춤 시술이 가능한 분리형 힐링 어버트먼트
BR112021013166A2 (pt) Implantes dentários, sistemas de implantes dentários e métodos para fazer e usar os mesmos
KR102125419B1 (ko) 발치후 즉시 식립이 가능한 맞춤형 임프란트
KR10211993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치유지대주 및 인상용캡 복합체
KR200323647Y1 (ko)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KR20160003973A (ko) 절단 안내선을 구비하는 범용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보철물 제조방법
KR101699498B1 (ko)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5781709B2 (ja) 歯肉賦形キャップ及び歯肉賦形キャップ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