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718B1 -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718B1
KR102425718B1 KR1020200000560A KR20200000560A KR102425718B1 KR 102425718 B1 KR102425718 B1 KR 102425718B1 KR 1020200000560 A KR1020200000560 A KR 1020200000560A KR 20200000560 A KR20200000560 A KR 20200000560A KR 102425718 B1 KR102425718 B1 KR 10242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margin line
abutment
library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617A (ko
Inventor
최원훈
이호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to KR1020200000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718B1/ko
Priority to PCT/KR2020/019476 priority patent/WO2021137652A2/ko
Publication of KR2021008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617A/ko
Priority to US17/857,070 priority patent/US2022033107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은, 사용자가 타깃 위치를 선택하고, 환자의 구강에 적용할 어버트먼트가 로드되어 그 데이터베이스 안에서 어버트먼트 모델을 선택하는 경우 연동된 마진 라인 데이터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마진 라인 데이터는 썸네일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단순히 보여지는 것 뿐만 아니라 구강 데이터와 함께 연동되어 작업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더욱 적절한 형태를 가지도록 변형, 저장되어 기존의 마진 라인 데이터를 교체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INTEGRATED LIBRARY USING METHOD}
본 발명은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에 마진 라인에 대한 데이터를 함께 사용하도록 하는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보철 치료 분야에서 종래에는 알지네이트를 사용하여 인상채득을 실시, 석고 모형을 획득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보철물을 제작 및 제공함으로써 치과 치료를 수행하였다. 다만 이러한 고형물을 이용한 인상채득 과정에서 환자는 이물감을 느끼기 쉽고, 이물감에 따른 구토감을 느끼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제작되는 보철물은 구강 내부의 치아, 치은(잇몸), 등의 치수, 위치 등에 있어서 정밀하지 못한 면이 있어 환자에게 부정확한 보철 치료물을 제공할 우려가 있고, 이에 따라서 환자의 치료기간이 연장되거나 잘못된 치료로 인한 상태 악화가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알지네이트 인상채득에 의한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함과 함께 환자 맞춤형 보철 치료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3차원 스캐닝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3차원 스캐닝은 석고 모형에 대하여 보철물을 적용한 샘플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 획득이 필요하거나, 환자의 구강에 대하여 직접 스캔을 진행함으로써 실제 환자 구강에 대해 정밀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3차원 스캐닝을 통하여 획득한 데이터는 변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의 상태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해당 모델에 대한 보철물의 적용 위치, 적용 각도 등을 다양하게 시도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KR 10-2019-0074062 A
본 발명의 실시예는 라이브러리에 탑재된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에 마진 라인 데이터가 함께 적용 및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통합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은,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적용하고자 하는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을 선택하는 모델 선택 단계,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이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모델 디스플레이 단계,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에 마진 라인 데이터를 등록하는 마진 라인 등록 단계,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가 등록된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을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 단계,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가 등록된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을 선택하는 단계, 및 3차원 구강 모델이 디스플레이 되는 스캔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가 등록된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이 로드되는 모델 로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은,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가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로드되는 라이브러리 로드 단계, 상기 라이브러리 로드 단계에서 로드된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적용하고자 하는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을 선택하는 모델 선택 단계, 상기 모델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에 마진 라인 데이터를 등록하는 마진 라인 등록 단계, 및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가 등록된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을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는 편집 가능한 형태로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를 편집하는 마진 라인 편집 단계, 편집된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가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에 등록되는 재등록 단계, 및 편집된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가 등록된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을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수정 데이터베이스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진 라인 등록 단계 및 상기 재등록 단계는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행되고,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가 등록된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은 스캔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3차원 구강 모델의 특정 위치에 로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은, 구강 내 식립 전의 실물 어버트먼트를 스캔하여 획득되거나 캐드 설계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진 라인 등록 단계는,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의 마진부의 굴곡 정보에 따라 자동적으로 마진 라인이 생성되거나 사용자의 편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은, 타깃 위치에 대응되는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가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로드되는 라이브러리 로드 단계, 상기 라이브러리 로드 단계에서 로드된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적용하고자 하는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을 선택하는 모델 선택 단계, 및 상기 모델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과 연동된 마진 라인 데이터가 함께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썸네일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악 또는 하악에 포함된 타깃 위치 리스트부에서, 상기 타깃 위치를 선택하는 포지션 선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는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에 따라 오토 트래킹(auto-tracking)되는 마진 라인 자동 지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진 라인 자동 지정 단계는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의 마진부의 굴곡 정보에 따라 자동적으로 마진 라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변형된 마진 라인 데이터를 저장하여 기존의 마진 라인 데이터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는 상기 어버트먼트 모델에서의 색상 정보를 부가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썸네일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썸네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에 대한 마진 라인 생성 및 마진 라인 편집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에 따라, 라이브러리에 탑재된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에 마진 라인 데이터가 함께 통합되어 표시 및 적용되므로, 어버트먼트 모델을 적용할 때마다 마진 라인을 새로 그리지 않아도 되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마진 라인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어버트먼트의 형상에 따라 자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마진 라인을 드로잉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정확도 높은 마진 라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진 라인 데이터는 고정된 데이터가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수정, 변형이 가능하며, 변경사항을 저장하여 기존의 마진 라인 데이터를 대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더욱 정밀한 마진 라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 정밀한 보철 치료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마진 라인 데이터는 3차원 구강 모델이 표시되는 스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생성 또는 편집이 가능하기도 하지만, 타깃 위치 리스트부, 어버트먼트 리스트부, 및 썸네일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서도 바로 생성 또는 편집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마진 라인 생성 또는 편집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에서, 어버트먼트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에서 라이브러리 데이터로 탑재되어 있는 어버트먼트의 실물 모형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에서 환자의 치은에 이식한 어버트먼트의 마진 라인을 파악하기 위해 코드 작업을 수행하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의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에서 마진 라인을 생성 또는 수정하는 스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에서 마진 라인을 편집 및 수정하여 저장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마진 라인이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중 썸네일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에서, 어버트먼트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아 임플란트 크라운 시술은 환자의 구강 내에 손상된 치아를 제거(발치)함으로써 치아가 상실되었을 때, 손상된 치아를 대신할 수 있는 대치물을 제공하는 시술을 의미하며, 이는 자연 치아(가치의 경우 유년기에 분리되므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자연치아는 통상적으로 영구치일 수 있다)를 대신하기 위하여 인공적으로 제작된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치아 임플란트 크라운은 크게 3가지의 구성요소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그 외주면에 회전나사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잇몸(치은, 1)에 돌려서 고정되는 픽스쳐(fixture, 10)이다. 픽스쳐(10)는 자연치아에서 치아의 뿌리에 해당하는 구조체이며, 치조골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픽스쳐(10)는 치은(1)을 향하여 고정되는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에 대하여 내측으로 공동(cavity)를 형성할 수 있다. 픽스쳐(10)에 형성된 공동은 이에 부합하는 돌출부를 가지는 오브젝트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에서 라이브러리 데이터로 탑재되어 있는 어버트먼트의 실물 모형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픽스쳐(10)의 공동에는 어버트먼트(20)의 일단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픽스쳐(10)의 공동에 끼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20)의 일단 외주면은 픽스쳐(10)의 공동 내주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어버트먼트(20)는 픽스쳐(10)의 공동과 끼움 결합하는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그 직경이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어버트먼트(20)가 잇몸에 더욱 밀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부분을 커프부(cuff)라 하며, 커프부는 환자의 잇몸 높이(gingival height, G/H) 및 발치 후 잇몸에 남겨진 공간의 규모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통상적으로 환자의 치과 치료를 수행하는 치과의사를 의미한다)에 의해 환자에게 적합한 규격의 어버트먼트(20)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20)는 커프부(21)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길이의 일방향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마진부(23)를 더 포함한다. 마진 라인(margin line)이란 잇몸으로부터 어버트먼트가 노출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이 부분은 이후 크라운을 씌울 때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마진부(23)와 다시 연속적으로 길이의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포스트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포스트부(22)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포스트부(22)의 직경은 커프부(21)와 연결되어 있는 마진 라인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마진부(23)에 포함된 마진 라인은 인공 치아인 크라운(crown, 30)이 결합되어 경계를 이룰 둘레에 해당한다. 즉, 마진 라인은 치아(또는 어버트먼트)에 크라운을 결합할 때 결합의 기준으로 활용되므로, 마진 라인은 정확하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치아(또는 어버트먼트)와 크라운(30)의 정확한 결합을 위해서는 치아 또는 어버트먼트(2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마진 라인이 형성되어야 한다. 어버트먼트(20)와 크라운(30)의 마진 형성이 좋지 않을 경우, 어버트먼트(20)와 크라운(30)의 결합 과정에서 틈새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크라운(30)의 결합력이 약화될 수 있다. 또한, 마진 라인의 문제로 인하여 어버트먼트(20)와 크라운(30)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침 또는 불순물이 침투함으로써 우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결과적으로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마진 라인을 정밀하게 설정하고, 이러한 마진 라인에 정확하게 부합하는 크라운의 제작이 필요한 실정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에서 환자의 치은에 이식한 어버트먼트의 마진 라인을 파악하기 위해 코드 작업을 수행하는 사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마진 라인을 설정하기 위하여 종래에 사용하였던 방법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다. 종래에는 마진 라인에 대한 윤곽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치은에 식립된 어버트먼트(20)의 외주면 일부를 코드(C)로 감아 마진 라인이 잘 보이도록 세팅한 후, 이러한 코드 작업이 완료된 보철물을 촬영(또는 스캔)한 이후 수동으로 3차원 스캐너 사용자(통상적으로 치과 진료 및 치료를 수행하는 치과 의사가 사용자에 해당할 수 있다)가 치은(1)과 어버트먼트(20)의 경계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상에서 마진 라인을 직접 드로잉할 필요가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립된 어버트먼트(20)에 코드(C) 작업을 진행하여 마진 라인을 드로잉하는 것은 많은 작업 시간을 요하며, 모든 환자에 대하여 어버트먼트(20)를 식립하는 경우 식립한 어버트먼트(20) 전부에 대하여 코드(C) 작업 및 마진 라인 드로잉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미 식립한 어버트먼트(20)의 외주면에 코드(C)를 감는 것은 치은(1)과 어버트먼트(20)가 접하는 틈새를 벌려 코드(C)를 삽입하는 것으로 환자에게 추가적인 고통을 야기할 수 있으며, 또한 코드(C)의 삽입 및 제거 과정에서 코드(C) 부산물의 잔류, 침 또는 이물질 등의 침투에 의하여 환자로 하여금 또다른 질병을 안길 위험성을 가지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을 통하여, 환자의 치은에 어버트먼트를 식립할 때마다 코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하면서, 반복사용이 가능한 정확한 마진 라인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의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은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악 또는 하악에 포함된 타깃 위치 리스트부(U10)에서, 타깃 위치를 선택하는 포지션 선택 단계(S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의 상부에는 'Treatment Teeth'라는 표제와 함께 치아 모형이 도시되어 있으며, 해당 표제 아래 1행에는 윗니를 포함한 상악부가 활성화 표시된 상악 데이터 부분(U12)과, 2행에는 아랫니를 포함한 하악부가 활성화 표시된 하악 데이터 부분(U14)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타깃 위치 리스트부(U10)는 사람이 가질 수 있는 모든 치아의 위치를 표시하며, 사람의 치아의 개수는 최대 32개까지 가질 수 있는 바, 타깃 위치 리스트부(U10)에서 표시되는 타깃 위치의 번호 또한 상악 데이터 부분(U12)에 1번 부터 16번 까지, 하악 데이터 부분(U14)에 17번 부터 32번 까지 나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중에서 구강 모델 데이터에 적용하고자 하는 어버트먼트가 배치될 타깃 위치를 타깃 위치 리스트부(U10) 상에 배치된 타깃 위치 버튼들 중에 선택하여 클릭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나타난 타깃 위치 리스트부(U10)에서 타깃 위치를 선택하여 클릭하면, 타깃 위치에 대응되는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 데이터베이스가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로드될 수 있다(라이브러리 로드 단계, S2). 라이브러리 로드 단계(S2)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의 좌측 하단에 위치한 어버트먼트 리스트부(U20)에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에 대한 데이터들이 제공될 수 있도록 나열된다. 이 때, 어버트먼트 리스트부(U20)에 나열되는 데이터들은 전술한 포지션 선택 단계(S1)에서 선택한 타깃 위치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들에 대한 데이터들일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타깃 위치에 대응되는 적합한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들에 대한 데이터만 나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라이브러리에 탑재된 모든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 데이터를 확인하지 않아도 신속하게 필요한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을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어버트먼트(20) 모델 데이터베이스가 로드되면, 사용자는 환자의 구강에 적용하고자 하는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모델 선택 단계, S3). 이 때, 라이브러리로부터 로드된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들은 기성품의 형태로 치과, 기공소 등에 공급되고 있는 생산품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프렙(prep) 가공된 커스텀 어버트먼트일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에 대한 데이터는 환자의 구강 내부에 실물 어버트먼트가 식립되기 전의 것을 3차원 스캔 방식으로 스캔하여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해당되는 실물 어버트먼트에 대한 치수 정보에 따라 제작된 캐드 설계 도면 데이터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모델 선택 단계(S3)에서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을 선택하면, 어버트먼트 리스트부(U20)와 나란히 배치된 썸네일 디스플레이부(U30)에서 선택한 어버트먼트(20) 모델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가 표시된다. 또한, 썸네일 디스플레이부(U30)에는 선택된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과 연동되어 있는 마진 라인 데이터가 있는 경우, 해당 마진 라인 데이터가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의 모델링 데이터 상에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디스플레이부(U30)를 통하여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의 모델링 데이터와 마진 라인 데이터가 연동되어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용자는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을 구강 모델 데이터에 적용시키기 전이라도 마진 라인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타깃 위치 리스트부(U10), 어버트먼트 리스트부(U20) 및 썸네일 디스플레이부(U30)는 동일한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즉, 타깃 위치 리스트부(U10), 어버트먼트 리스트부(U20), 및 썸네일 디스플레이부(U30)는 하나의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창(윈도우)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구강 모델 데이터(즉, 3차원 형상을 가지는 3차원 구강 모델)는 실물 어버트먼트가 식립된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캔하여 획득할 수도 있지만, 실물 어버트먼트 식립 전에 어버트먼트를 식립할 위치가 비워진 상태에서 스캔을 수행하여 획득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마진 라인 데이터는 기존에 어버트먼트(20) 모델과 연동되어 있을 수 있으나, 새로이 프렙(prep) 가공된 어버트먼트 또는 기성품 어버트먼트(20)이더라도 마진 라인 데이터가 연동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후의 마진 라인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 마진 라인을 생성해줄 필요가 있다. 이 때, 마진 라인은 모델 선택 단계(S3)에서 선택한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에 따라 오토 트래킹(auto-tracking) 되도록 마진 라인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에서 마진 라인을 생성 또는 수정하는 스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와 다른 스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의 단면에서 사용자가 마진 포인트(42)를 설정하게 되면, 마진 포인트(42)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내의 영역에 해당하는 어버트먼트(20)와 치은(1)의 굴곡 정보, 및 어버트먼트 라인과 치은라인의 색상을 기반으로 마진 라인(40)이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마진 라인 자동 지정 단계, S51). 마진 라인(40)을 자동으로 그리기 위하여, 사용자는 마진 라인 자동 생성 버튼(82)을 클릭한 후 마진 라인(40)의 기준으로 작용할 하나 이상의 마진 포인트(42)를 선택한다. 하나 이상의 마진 포인트(42)가 선택되면, 마진 라인(40)을 오토 트래킹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는 마진 포인트(42)를 기준으로 주변 영역에 대해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수직으로 자른 굴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굴곡 정보는 그리드 좌표 형태로 굴곡 미니맵(50)의 형태로 현재의 위치를 표시하는 미니맵 커서(70)와 함께 표현될 수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마진 포인트(42)가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마진 포인트(42)의 일부 범위 영역에서 가장 굴곡이 심한 부분을 선택하여 연결함으로써 마진 라인(40)이 자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진 라인(40)을 자동으로 생성되고, 생성된 마진 라인(40)에 대한 데이터를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에 마진 라인(40)에 대한 데이터가 등록되면, 이러한 마진 라인(40)에 대한 데이터는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에 연동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이후 해당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을 라이브러리에서 로드할 때 마진 라인(40) 데이터가 함께 로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버트먼트(20) 모델 데이터와 마진 라인(40) 데이터가 함께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어버트먼트(20)를 식립할 때마다 마진 라인(40) 데이터를 얻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에서 마진 라인을 편집 및 수정하여 저장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의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마진 라인이 썸네일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마진 포인트(42)의 선택에 따른 마진 라인 자동 생성 단계(S51)는 어버트먼트(20) 모델의 굴곡 정보를 통해 마진 라인(40)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이지만, 부가적으로 어버트먼트(20) 모델의 색상 정보을 고려하여 마진 라인(40)이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어버트먼트(20) 모델에서 색상이 변화하는 경계에 대하여 마진 라인(40)으로 판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굴곡 정보와 함께 마진 라인(40) 생성에 레퍼런스 정보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진 라인(40)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S51)는 굴곡 정보와 색상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더욱 정밀한 마진 라인(40)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마진 라인(40)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으나, 자동으로 생성된 마진 라인(40)이 사용자가 환자에게 치료를 제공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이는 수정 또는 변형을 가할 필요가 있다(또는, 이를 이미 생성된 마진 라인(40)에 대한 편집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즉, 마진 라인(40) 데이터는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에 등록되었다고 해서 영구 불변하는 데이터가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편집이 가능한 형태로 등록되는 것이다.
이 때, 사용자는 마진 라인 수정 버튼(84)을 클릭하여 자동적으로 생성되었거나 기존에 어버트먼트(20) 모델과 연동되어 있던 마진 라인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마진 라인 수정 단계, S52). 사용자가 마진 라인 데이터를 수정함으로써, 자동 생성 또는 기존에 연동되어 있던 데이터를 세밀하게 변형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에게 더욱 적합한 보철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변형을 가한 마진 라인(40)은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 데이터에 연동되도록 등록이 가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으로써 기존에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 데이터와 연동되어 있던 마진 라인(40) 데이터를 대체할 수 있다.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 데이터에 변형된 마진 라인(40) 데이터가 새로 연동됨으로써, 라이브러리에 탑재된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에 더욱 적합한 마진 라인(40) 데이터가 연동되어 등록, 저장될 수 있어 환자에게 정밀한 보철 치료물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마진 라인(40) 데이터가 연동되어 등록된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이 3차원 구강 모델의 타깃 위치에 로드되어 이후 크라운 제작 작업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마진 라인(40)의 생성 또는 편집은 스캔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전체적인 3차원 구강 모형 데이터가 표시되고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이 타깃 위치에 로드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도 있지만,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윈도우 상에서 썸네일 디스플레이부(U30) 상에 표시되는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을 확인하면서 마진 라인(40)을 편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썸네일 디스플레이부(U30) 상에 3차원 어버트먼트(20)에 연동되어 등록된 마진 라인(U40)이 보여지고, 유저 인터페이스(UI) 윈도우 상에서 마진 라인 자동 생성 버튼(U82)을 클릭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자동으로 마진 라인(U40)이 자동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마진 라인 등록 버튼(U86)을 통해 마진 라인(40) 데이터를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 데이터에 연동되도록 등록할 수 있다. 이후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해당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을 선택하면, 3차원 구강 모델이 디스플레이 되는 스캔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마진 라인이 등록된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이 로드됨으로써 별도의 마진 라인 등록 과정 없이 스캔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생성된 마진 라인(U40)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썸네일 디스플레이부(U30) 상에 표시된 마진 라인 수정 버튼(U84)를 클릭하여 마진 라인을 편집할 수 있으며, 편집한 마진 라인(40)에 대하여 등록 버튼(U86)을 클릭함으로써 등록하게 되면, 기존에 연동되었던 마진 라인(40) 데이터가 수정, 편집한 데이터로 대체되어 등록되고, 대체된 마진 라인(40) 데이터가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의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저장됨으로써 해당 3차원 어버트먼트(20) 모델을 로드할 경우에는 연동되도록 등록된 마진 라인(40) 데이터가 함께 로드됨으로써 환자에게 정밀한 보철 치료물 제공이 가능해진다. 즉, 마진 라인을 생성 또는 편집하기 위하여 반드시 스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타깃 위치 리스트부(U10), 어버트먼트 리스트부(U20), 및 썸네일 디스플레이부(U30)를 포함하고 있는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마진 라인이 생성 또는 편집, 등록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치은
10: 픽스쳐(fixture)
20: 어버트먼트(abutment)
21: 커프(cuff)
22: 포스트부
23: 마진부
30: 크라운(crown)
40: 마진 라인
42: 마진 포인트
50: 굴곡 미니맵
60: 색상 미니맵
70: 미니맵 커서
82: 마진 라인 자동 생성 버튼
84: 마진 라인 수정 버튼
C: 코드
U10: 타깃 위치 리스트부
U12: 상악 데이터
U14: 하악 데이터
U20: 어버트먼트 리스트부
U30: 썸네일 디스플레이부
U40: 마진 라인
U82: 마진 라인 자동 생성 버튼
U84: 마진 라인 수정 버튼
U86: 마진 라인 등록 버튼
S1: 포지션 선택 단계
S2: 라이브러리 로드 단계
S3: 모델 선택 단계
S4: 썸네일 디스플레이 단계
S51: 마진 라인 자동 지정 단계
S52: 마진 라인 수정 단계
S53: 수정 마진 라인 적용 단계

Claims (16)

  1. 3차원 구강 모델과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적용하고자 하는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을 선택하는 모델 선택 단계;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이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모델 디스플레이 단계;
    상기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이 표시되는 썸네일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에 자동 생성되거나 편집된 마진 라인 데이터를 등록하는 마진 라인 등록 단계;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가 등록된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을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과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를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 단계;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가 등록된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이하고, 상기 3차원 구강 모델이 디스플레이 되는 스캔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연동된 상기 마진 라인 데이를 포함하는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이 로드되는 모델 로드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2. 삭제
  3. 3차원 구강 모델과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가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로드되는 라이브러리 로드 단계;
    상기 라이브러리 로드 단계에서 로드된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적용하고자 하는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을 선택하는 모델 선택 단계;
    상기 모델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이 표시되는 상기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의 썸네일 디스플레이부에서 자동 생성되거나 편집된 마진 라인 데이터를 등록하는 마진 라인 등록 단계; 및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가 등록된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을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과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를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는 편집 가능한 형태로 등록되는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연동된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를 편집하는 마진 라인 편집 단계;
    편집된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가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에 등록되는 재등록 단계; 및
    편집된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가 등록된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을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과 상기 편집된 마진 라인 데이터를 재연동하는 수정 데이터베이스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진 라인 등록 단계, 상기 마진 라인 편집 단계, 및 상기 재등록 단계는 상기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행되고,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가 등록된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은 상기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이한 스캔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3차원 구강 모델의 특정 위치에 로드되는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 라인 등록 단계 및 상기 재등록 단계는 상기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행되고,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가 등록된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은 상기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이한 스캔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3차원 구강 모델의 특정 위치에 로드되는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은, 구강 내 식립 전의 실물 어버트먼트를 스캔하여 획득되거나 캐드 설계를 통해 획득되는,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8. 삭제
  9. 타깃 위치에 대응되고 3차원 구강 모델과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가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로드되는 라이브러리 로드 단계;
    상기 라이브러리 로드 단계에서 로드된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적용하고자 하는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을 선택하는 모델 선택 단계; 및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이 상기 3차원 구강 모델에 배치되기 이전에, 상기 모델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과 연동된 마진 라인 데이터가 함께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생성 및 등록되어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에 연동되는 썸네일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썸네일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은 상기 라이브러리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썸네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며,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에 연동되는 마진 라인 데이터는 상기 썸네일 디스플레이부에서 자동 생성되거나 편집되는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악 또는 하악에 포함된 타깃 위치 리스트부에서, 상기 타깃 위치를 선택하는 포지션 선택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는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에 따라 오토 트래킹(auto-tracking)되는 마진 라인 자동 지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 라인 자동 지정 단계는 상기 3차원 어버트먼트 모델의 마진부의 굴곡 정보에 따라 자동적으로 마진 라인을 생성하는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 라인 데이터는 상기 어버트먼트 모델에서의 색상 정보를 부가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는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16. 삭제
KR1020200000560A 2020-01-03 2020-01-03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KR10242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560A KR102425718B1 (ko) 2020-01-03 2020-01-03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PCT/KR2020/019476 WO2021137652A2 (ko) 2020-01-03 2020-12-31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US17/857,070 US20220331076A1 (en) 2020-01-03 2022-07-04 Method for using integrated libra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560A KR102425718B1 (ko) 2020-01-03 2020-01-03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617A KR20210087617A (ko) 2021-07-13
KR102425718B1 true KR102425718B1 (ko) 2022-07-27

Family

ID=76686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560A KR102425718B1 (ko) 2020-01-03 2020-01-03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31076A1 (ko)
KR (1) KR102425718B1 (ko)
WO (1) WO2021137652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373B1 (ko) * 2015-01-07 2016-06-2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KR101911693B1 (ko) 2017-07-11 2019-01-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변연선 추출 방법, 장치 및 치아 변연선 추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33249B1 (ko) * 2018-06-21 2019-10-1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오더와 기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디자인하는 지능형 보철물 디자인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022B1 (ko) * 2017-02-20 2019-04-22 주식회사 디오 치아 보철물 결정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082414B1 (ko) * 2017-09-29 2020-02-27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임플란트용 힐링 어버트먼트 장착을 위한 플래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102016018B1 (ko) 2017-12-19 2019-08-29 주식회사 디디에스 가상 보철물을 디자인 하기 위한 마진라인 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373B1 (ko) * 2015-01-07 2016-06-2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KR101911693B1 (ko) 2017-07-11 2019-01-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변연선 추출 방법, 장치 및 치아 변연선 추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33249B1 (ko) * 2018-06-21 2019-10-1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오더와 기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디자인하는 지능형 보철물 디자인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617A (ko) 2021-07-13
US20220331076A1 (en) 2022-10-20
WO2021137652A3 (ko) 2021-08-26
WO2021137652A2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30193A1 (en) Method for manipulating a dental virtual model, method for creating physical entities based on a dental virtual model thus manipulated, and dental models thus created
KR102549426B1 (ko) 수복물의 제작 방법
KR101726706B1 (ko)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KR102442720B1 (ko) 치아 보철 제조를 위한 3차원 스캔 데이터 처리 방법
CN107595413B (zh) 牙齿预备引导件
EP2877118B1 (en) Designing a dental positioning jig
AU2019200020A1 (en) Temporary dental prosthesis for use in developing final dental prosthesis
CN106725936B (zh) 一种基于云技术的牙科3d打印系统
KR101045004B1 (ko) 치과 임플란트용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 장치 및 방법
KR102246985B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
EP3107483A2 (en) Method and system for tooth restoration
KR102283821B1 (ko) 구조물 데이터 매칭 방법 및 구강 내 구조물 데이터 매칭 시스템
KR102004449B1 (ko) 가상 보철물 설계방법
CN106580495B (zh) 一种牙科3d打印系统
CN111513881B (zh) 一种上颌骨缺损赝复体的制作方法及系统
KR20190074062A (ko) 가상 보철물을 디자인 하기 위한 마진라인 설정방법
US20200138551A1 (en) Dental-abutment design system and method
CN114641256A (zh) 用于使用现有假牙数字地设计假牙的方法
TWI686182B (zh) 植牙輔具及其製造方法
KR102425718B1 (ko) 통합 라이브러리 사용 방법
US20210236248A1 (en) Dental restoration, method of producing it, computer program and method of restoring a tooth
KR102406485B1 (ko) 환자 맞춤형 어버트먼트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JP2020526304A (ja) デジタル補綴製造方法及び製造システム、それに適用される義歯穴ガイダー及び製造方法
EP379511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rosthetic kit
TWI756857B (zh) 植牙輔具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