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678B1 - 난간용 범포,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난간용 범포,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678B1
KR102425678B1 KR1020160017457A KR20160017457A KR102425678B1 KR 102425678 B1 KR102425678 B1 KR 102425678B1 KR 1020160017457 A KR1020160017457 A KR 1020160017457A KR 20160017457 A KR20160017457 A KR 20160017457A KR 102425678 B1 KR102425678 B1 KR 102425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canvas
yarn
resin part
body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512A (ko
Inventor
레이지 야마사
다케노부 혼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3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4Hand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Woven Fabr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과제]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혹은,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을 제조할 때의 폭방향의 수축량을 저감할 수 있는 난간용 범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난간용 범포는, 베이스 포(23)와 슬라이딩 포(24)를 구비한다. 베이스 포(23)는, 날실(25) 및 씨실(26)을 이용하여 짜여진다. 슬라이딩 포(24)는, 베이스 포(23)에 마련된다. 슬라이딩 포(24)는, 베이스 포(23)의 표면의 일부를 덮는다. 또, 슬라이딩 포(24)는, 날실(27)과 씨실(28)을 이용하여 짜여진다. 날실(27)은, 날실(25)보다 낮은 마찰 특성을 가진다. 또, 날실(27)은, 날실(25)보다 마모하기 쉽다. 씨실(28)은, 날실(25)보다 낮은 열수축률을 가진다.

Description

난간용 범포,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제조 방법{CANVAS FOR HANDRAIL, MOVING HANDRAIL FOR PASSENGER CONVEYOR, HANDRAIL FOR PASSENGER CONVEY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ANDRAIL FOR PASSENGER CONVEYOR}
본 발명은,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에 사용되는 범포(帆布)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과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승객 컨베이어에서 사용되는 이동 난간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이동 난간은 범포를 구비한다. 범포를 구성하는 날실의 일부에, 불소 수지(樹脂) 섬유 등의 마찰 특성이 매우 낮은 실이 사용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1-42413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이동 난간은, 그 제조시에, 범포가 폭방향으로 크게 수축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출원인이 그 원인에 대해 조사한 바, 범포를 구성하는 날실의 일부에 불소 수지 섬유 등의 마찰 특성이 매우 낮은 실이 사용되어 있는 것이 원인이라는 취지의 결론을 얻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혹은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을 제조할 때의 폭방향의 수축량을 저감할 수 있는 난간용 범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난간용 범포는, 제1 날실 및 제1 씨실을 이용하여 짜여진 베이스 포(布)와, 베이스 포에 마련되며, 베이스 포의 표면의 일부를 덮는 슬라이딩 포(布)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포는, 제1 날실보다 낮은 마찰 특성을 가지고 또한 마모하기 쉬운 제2 날실과 제1 날실보다 낮은 열수축률을 가지는 제2 씨실을 이용하여 짜여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혹은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을 제조할 때의 범포의 폭방향의 수축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승객 컨베이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이동 난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난간용 범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난간용 범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베이스 포(布)의 짜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슬라이딩 포의 짜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출원인이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해서 행한 조사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중복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승객 컨베이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은, 승객 컨베이어의 일례로서, 상하층 사이의 이동시에 이용되는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낸다. 움직이는 보도라고 한 승객 컨베이어의 다른 예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에스컬레이터의 트러스(truss)(1)는, 건물의 상하층 사이에 걸어 걸쳐진다. 트러스(1)는, 에스컬레이터의 자중 및 적재 하중을 지지한다. 에스컬레이터의 승객은, 상하층 사이를 이동할 때에 스텝(step)(2)에 오른다. 스텝(2)은, 스텝 체인(3)에 연결된다. 스텝 체인(3)은, 무단(無端) 모양으로 형성된다. 다수의 스텝(2)이 스텝 체인(3)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부의 승강구(4)로부터 하부의 승강구(5)에 걸쳐 스텝(2)이 간극없이 배치된다.
승강구(4)의 하부에, 기계실(6)이 마련된다. 기계실(6)은, 트러스(1)의 단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기계실(6)에, 예를 들면 전동기(7), 감속기(8) 및 제어 장치(9)가 구비되어진다. 또, 기계실(6)에 마련된 축에 스프로켓(10 및 11)이 마련된다.
전동기(7)는, 스텝(2) 및 이동 난간(12)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감속기(8)는, 전동기(7)의 출력을 감속시키고, 체인을 매개로 하여 스프로켓(10 및 11)이 마련된 축을 회전시킨다. 제어 장치(9)는,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제어한다. 전동기(7)의 제어는, 제어 장치(9)에 의해서 행해진다. 스텝 체인(3)은, 스텝 구동용의 스프로켓(10)에 감아 걸려진다. 스프로켓(10)이 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에 의해, 스텝(2)이 승강구(4) 및 승강구(5) 사이를 순환 이동한다.
이동 난간(12)은, 스텝(2)에 승강하는 승객 및 스텝(2)에 오르고 있는 승객이 잡는 것이다. 이동 난간(12)은 무단 모양을 나타낸다. 스텝(2)의 양측에, 난간(13)이 마련된다. 이동 난간(12)은, 상측에 배치된 부분이 난간(13)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이동한다. 이동 난간(12)의 상측에 배치된 부분은, 스텝(2)과 동기(同期)하도록 이동한다. 또, 이동 난간(12)은, 승강구(4 및 5)에서 상하로 반전(反轉)된다. 이동 난간(12)의 하측에 배치된 부분은, 스텝(2)의 양측에 마련된 스커트 가이드의 내측을 이동한다.
이동 난간(12)은, 난간 구동 장치(14)에 의해서 구동된다. 난간 구동 장치(14)는, 예를 들면 마찰 구동 방식에 의해서 이동 난간(12)을 구동한다. 난간 구동 장치(14)는, 예를 들면 구동 롤러(15) 및 가압 롤러(16)를 구비한다. 이동 난간(12)은, 구동 롤러(15) 및 가압 롤러(16)에 의해서 상하(표리)로부터 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난간 구동 장치(14)는, 이동 난간(12)을 사이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구동 롤러(15)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동 난간(12)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이동 난간(12)을 구동한다. 구동 롤러(15)는, 이동 난간(12)의 내측의 표면에 접촉한다. 가압 롤러(16)는, 이동 난간(12)의 외측의 표면에 접촉한다. 이동 난간(12)의 외측의 표면은, 승객이 잡는 면이다.
난간 체인(17)은, 난간 구동용의 스프로켓(11)과 난간 구동 장치(14)에 구비된 스프로켓(18)에 감아 걸려진다. 난간 체인(17)에 의해, 스프로켓(11)의 회전력이 난간 구동 장치(14)에 전달된다. 즉, 스프로켓(11)이 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에 의해, 이동 난간(12)이 승강구(4) 및 승강구(5) 사이를 순환 이동한다.
다음으로, 이동 난간(12)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이동 난간(12)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 난간(12)은, 횡단면이 대략 C자 모양을 나타낸다. 상기 횡단면은, 이동 난간(1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다. 난간 구동 장치(14)에 의한 이동 난간(12)의 구동과 안내 레일(19)에 의한 이동 난간(12)의 주행 안내는, 이동 난간(12)의 내측의 표면을 매개로 하여 행해진다. 이 때문에, 이동 난간(12)에는, 내측의 표면에, 충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높은 마찰 특성(마찰 계수)과 안내 레일(19) 상을 주행할 때의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낮은 마찰 특성(마찰 계수)과의 쌍방의 기능이 요구된다.
이동 난간(12)은, 예를 들면 본체 수지부(樹脂部)(20), 항장체(抗張體)(21) 및 범포(帆布)(22)를 구비한다.
본체 수지부(20)는, 이동 난간(12)의 요부를 구성한다. 본체 수지부(20)는, 예를 들면 고무 혹은 폴리우레탄 등의 수지 부재로 이루어진다. 본체 수지부(20)는, 전체로서 무단(無端) 모양으로 형성된다. 본체 수지부(20)는, 횡단면이 대략 C자 모양을 나타낸다. 도 4는, 본체 수지부(20)가 2층의 수지층에 의해서 구성되는 예를 나타낸다. 이동 난간(12)에 부여하는 기능에 맞추어, 본체 수지부(20)를 단층 혹은 3층 이상의 수지층으로 구성해도 좋다.
항장체(21)는, 이동 난간(12)에 일정한 인장 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항장체(21)는, 예를 들면 강제(鋼製)의 와이어가 서로 꼬여진 것으로 이루어진다. 스틸 테이프 등에 의해서 항장체(21)를 구성해도 좋다. 항장체(21)는, 본체 수지부(20)의 내부에 마련된다. 항장체(21)는, 본체 수지부(20)의 길이를 따라서 본체 수지부(2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배치된다.
범포(22)는, 마찰 특성에 관한 상기 2개의 기능을 이동 난간(12)에 부여하기 위해서 구비되어진다. 범포(22)는, 본체 수지부(20)의 내측의 표면에 마련된다. 범포(22)는, 본체 수지부(20)의 길이를 따라 본체 수지부(2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난간용 범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난간용 범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난간용 범포는, 본체 수지부(20)에 고정되기 전의 범포(22)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난간용 범포는, 예를 들면 베이스 포(布)(23)와 슬라이딩 포(布)(24)를 구비한다. 도 5 및 도 6은, 난간용 범포가 베이스 포(23)와 슬라이딩 포(24)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가지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베이스 포(23)의 짜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베이스 포(23)는, 예를 들면 날실(25)과 씨실(26)을 이용하여 짜여진 직물이다. 날실(25)은, 난간용 범포가 본체 수지부(20)에 고정되었을 때에 본체 수지부(20)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는 실이다. 씨실(26)은, 날실(25)에 직교하도록 배치된 실이다. 즉, 씨실(26)은, 난간용 범포가 본체 수지부(20)에 고정되었을 때에 본체 수지부(2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날실(25) 및 씨실(26)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이용된다. 날실(25)에 저수축성의 섬유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 또, 베이스 포(23)의 짜는 방법은, 도 7에 나타내는 짜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슬라이딩 포(24)는, 베이스 포(23)에 마련된다. 슬라이딩 포(24)는, 베이스 포(23)의 표면의 일부를 덮는다. 도 8은 슬라이딩 포(24)의 짜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슬라이딩 포(24)는, 예를 들면 날실(27)과 씨실(28)을 이용하여 짜여진 직물이다. 날실(27)은, 난간용 범포가 본체 수지부(20)에 고정되었을 때에 본체 수지부(20)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는 실이다. 씨실(28)은, 날실(27)에 직교하도록 배치된 실이다. 즉, 씨실(28)은, 난간용 범포가 본체 수지부(20)에 고정되었을 때에 본체 수지부(2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날실(27)로서, 베이스 포(23)를 구성하는 실보다 낮은 마찰 특성을 가지고 또한 마모하기 쉬운 실이 사용된다. 즉, 날실(27)은, 날실(25) 및 씨실(26)보다 낮은 마찰 특성을 가진다. 또, 날실(27)은, 날실(25) 및 씨실(26)보다 마모하기 쉽다. 날실(27)로서, 예를 들면, 불소 수지 섬유(PTFE재)가 이용된다.
씨실(28)로서, 베이스 포(23)의 날실(25)보다 낮은 열수축률을 가지는 실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씨실(28)로서, 저수축을 위한 처리가 실시된 섬유가 이용된다. 저수축을 위한 처리로서 미리 열처리가 실시된 섬유를 씨실(28)에 이용해도 좋다. 또, 씨실(28)로서, 저수축을 위한 처리가 실시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해도 좋다.
베이스 포(23)와 슬라이딩 포(24)에 있어서 공통의 씨실을 이용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씨실(26)과 씨실(28)은 일련의 실로 이루어진다. 또, 날실(25)보다 낮은 열수축률을 가지는 실이 씨실(26)로서 사용되게 된다.
도 9는, 출원인이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해서 행한 조사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온도에 대한 범포의 폭의 수축량을 나타낸다. 도 9의 가로축은 온도(℃)를 나타낸다. 도 9의 세로축은 범포의 폭방향의 수축량(%)을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꺾은 선 a1는, 날실 및 씨실로서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이용된 범포의 수축량을 나타낸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란, 저수축을 위한 처리(예를 들면, 열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섬유이다. 이하에서는 이 범포인 것을 범포 a로 기재한다. 도 9에 나타내는 꺾은 선 b1는, 날실로서 불소 수지 섬유가 이용되고, 씨실로서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이용된 범포의 수축량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이 범포인 것을 범포 b로 기재한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이동 난간에 이용되는 범포는, 범포 b에 상당한다. 범포 a의 날실 및 씨실과 범포 b의 씨실은 동일한 섬유가 이용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꺾은 선 c1는, 날실로서 불소 수지 섬유가 이용되고, 씨실로서 저수축을 위한 처리(예를 들면, 열처리)가 실시된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이용된 범포의 수축량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이 범포인 것을 범포 c로 기재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난간용 범포는, 범포 c에 상당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범포 a의 폭방향의 수축량은, 150℃에서 2% 정도, 200℃에서 5% 이하로 실용적인 범위에 들어가 있다. 즉, 범포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여 짜여져 있어도,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날실 및 씨실의 쌍방에 이용되어 있으면, 범포의 폭의 수축량을 실용적인 범위에 들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씨실의 수축을 날실이 저지하도록 기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범포 b의 폭방향의 수축량은, 150℃에서 10% 정도, 200℃에서 20% 정도로 실용적인 범위로부터 크게 벗어나 있다. 즉, 날실에 낮은 마찰 특성을 가지는 실을 사용하면, 날실은 씨실의 수축을 저지하도록 기능하지 않는다. 날실의 마찰 특성이 낮은 경우는, 씨실의 수축에 따라서 범포가 폭방향으로 수축해 버린다.
범포 c의 폭방향의 수축량은, 범포 a의 수축량과 마찬가지로, 150℃에서 2% 정도, 200℃에서 5% 이하로 실용적인 범위에 들어가 있다. 이것은, 씨실에 저수축을 위한 처리가 실시된 실이 사용되어 있기 때문이다. 출원인은, 범포의 씨실로서, 150℃의 환경하에 10초간 방치했을 때의 열수축률이 3% 이하의 실을 사용하면, 날실로서 불소 수지 섬유와 같은 매우 낮은 마찰 특성을 가지는 실을 사용해도, 이동 난간을 문제없이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이동 난간(12)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구성의 난간용 범포를 준비한다. 본체 수지부(20)는, 압출 성형에 의해서 횡단면이 C자 모양을 나타내는 장척의 것으로 성형된다. 본체 수지부(20)를 압출 성형에 의해서 성형할 때에, 본체 수지부(20)를 구성하는 수지와 함께 항장체(抗張體)(21) 및 준비된 난간용 범포가 가열 및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항장체(21)가 본체 수지부(20)의 내부에서 고정되고, 난간용 범포가 본체 수지부(20)의 내측의 표면에 고정된다. 본체 수지부(20)를 압출 성형에 의해서 성형할 때에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난간용 범포가 본체 수지부(20)를 구성하는 수지와 함께 가압되어 본체 수지부(20)에 고정된 것이 범포(22)이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는 단면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장척(長尺)의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이 제작된다. 이동 난간(12)을 제작하는 경우는,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그 양단부를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무단 모양의 이동 난간(12)이 완성된다. 또, 완성된 이동 난간(12)에서는, 베이스 포(23)는, 본체 수지부(20)의 내측의 표면에 마련된다. 베이스 포(23)는, 본체 수지부(20)의 길이를 따라 본체 수지부(2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배치된다. 베이스 포(23)는, 예를 들면 본체 수지부(20)의 내측의 표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된다.
또, 슬라이딩 포(24)는, 이동 난간(12)이 안내 레일(19) 상을 주행할 때의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구비되어진다. 구동 롤러(15)가 슬라이딩 포(24)에 접촉하면, 구동 롤러(15)의 회전력을 이동 난간(12)에 충분히 전달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 포(24)는, 구동 롤러(15)가 대향하는 부분에 배치되지 않는다. 구동 롤러(15)가 대향하는 부분에는 베이스 포(23)가 배치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개의 슬라이딩 포(24)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본체 수지부(20)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다. 베이스 포(23) 중 슬라이딩 포(24)의 사이에 배치된 부분이 구동 롤러(15)에 대향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이동 난간(12)(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을 제조할 때의 범포의 폭방향의 수축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동 난간(12)(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제조시에 범포의 폭이 충분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베이스 포(23)의 날실(25)에는 저수축성의 섬유가 이용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이동 난간(12)(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제조시, 범포는, 그 길이 방향으로 크게 수축한다. 이 수축에 대해서는, 미리 긴 범포를 준비해 두면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범포의 폭방향의 수축에 대해서 동일한 대책을 채용하면, 범포의 폭을 미리 크게 해 두지 않으면 안 된다. 범포의 폭이 크면 압출 성형을 행하기 위한 설비에 범포가 들어가지 않게 되어 버린다. 실시 형태 1에서 개시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범포의 폭을 과도하게 크게 하지 않고 이동 난간(12)(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을 적정한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 씨실(28)로서 스팬 얀(span yarn)(방적사(紡績絲))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필라멘트 얀을 채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씨실(28)이 날실(27)에 대해서 미끄러지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1 : 트러스 2 : 스텝
3 : 스텝 체인 4 : 승강구
5 : 승강구 6 : 기계실
7 : 전동기 8 : 감속기
9 : 제어 장치 10 : 스프로켓
11 : 스프로켓 12 : 이동 난간
13 : 난간 14 : 난간 구동 장치
15 : 구동 롤러 16 : 가압 롤러
17 : 난간 체인 18 : 스프로켓
19 : 안내 레일 20 : 본체 수지부
21 : 항장체 22 : 범포
23 : 베이스 포 24 : 슬라이딩 포
25 : 날실(제1 날실) 26 : 씨실(제1 씨실)
27 : 날실(제2 날실) 28 : 씨실(제2 씨실)

Claims (8)

  1. 제1 날실 및 제1 씨실을 이용하여 짜여진 베이스 포(布)와,
    상기 베이스 포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포의 표면의 일부를 덮는 슬라이딩 포(布)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 포는, 상기 제1 날실보다 낮은 마찰 특성을 가지고 또한 마모하기 쉬운 제2 날실과 상기 제1 날실보다 낮은 열수축률을 가지는 제2 씨실을 이용하여 짜여진 난간용 범포(帆布).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씨실은, 150℃의 환경하에 10초간 방치했을 때의 열수축률이 3% 이하의 실로 이루어지는 난간용 범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날실 및 상기 제1 씨실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난간용 범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씨실과 상기 제2 씨실은 공통의 씨실을 이용하는 난간용 범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날실은, 불소 수지(樹脂) 섬유로 이루어지는 난간용 범포.
  6. 횡단면이 C자 모양을 나타내며, 무단(無端) 모양으로 형성된 본체 수지부(樹脂部)와,
    상기 본체 수지부의 내측의 표면에 마련된 범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수지부는, 압출 성형에 의해서 성형되고,
    상기 범포는, 상기 본체 수지부를 압출 성형에 의해서 성형할 때에 상기 본체 수지부를 구성하는 수지와 함께 가열 및 가압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상기 난간용 범포로 이루어지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7. 횡단면이 C자 모양을 나타내는 장척(長尺)의 본체 수지부와,
    상기 본체 수지부의 내측의 표면에 마련된 범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수지부는, 압출 성형에 의해서 성형되고,
    상기 범포는, 상기 본체 수지부를 압출 성형에 의해서 성형할 때에 상기 본체 수지부를 구성하는 수지와 함께 가열 및 가압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상기 난간용 범포로 이루어지는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상기 난간용 범포를 준비하는 공정과,
    압출 성형에 의해서 횡단면이 C자 모양을 나타내는 장척의 본체 수지부를 성형하는 공정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 수지부를 압출 성형에 의해서 성형할 때에 상기 본체 수지부를 구성하는 수지와 함께 상기 난간용 범포를 가열 및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난간용 범포가 상기 본체 수지부의 내측의 표면에 마련되는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제조 방법.
KR1020160017457A 2015-02-24 2016-02-15 난간용 범포,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제조 방법 KR102425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34253A JP6015790B2 (ja) 2015-02-24 2015-02-24 手摺用帆布、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マンコンベア用手摺及びマンコンベア用手摺の製造方法
JPJP-P-2015-034253 2015-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512A KR20160103512A (ko) 2016-09-01
KR102425678B1 true KR102425678B1 (ko) 2022-07-28

Family

ID=5674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457A KR102425678B1 (ko) 2015-02-24 2016-02-15 난간용 범포,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15790B2 (ko)
KR (1) KR102425678B1 (ko)
CN (1) CN105905774B (ko)
TW (2) TW20191998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2413A (ja) 2009-08-19 2011-03-0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マンコンベア用手摺
JP2014019537A (ja) 2012-07-18 2014-02-0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マンコンベア用手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636A (ja) * 2004-02-13 2005-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その製造方法
CN2926166Y (zh) * 2006-06-28 2007-07-25 刘锡鑫 具有改进的滑动层的自动扶梯扶手带
JP5091464B2 (ja) * 2006-11-28 2012-12-05 東北ゴム株式会社 ハンドレ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027524B2 (ja) * 2007-02-16 2012-09-19 東北ゴム株式会社 ハンドレールの接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5682640B2 (ja) * 2013-02-18 2015-03-1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マンコンベア用移動手摺の製造装置
CN203451741U (zh) * 2013-07-18 2014-02-26 山东海龙博莱特化纤有限责任公司 一种输送带用耐高温ee帆布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2413A (ja) 2009-08-19 2011-03-0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マンコンベア用手摺
JP2014019537A (ja) 2012-07-18 2014-02-0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マンコンベア用手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19982A (zh) 2019-06-01
TWI653191B (zh) 2019-03-11
JP6015790B2 (ja) 2016-10-26
KR20160103512A (ko) 2016-09-01
JP2016155647A (ja) 2016-09-01
TW201630798A (zh) 2016-09-01
CN105905774A (zh) 2016-08-31
CN105905774B (zh)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522B1 (ko)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
JP5772744B2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マンコンベア用手摺
KR10255842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벨트 용 인장 부재
KR102561066B1 (ko) 과편조 비금속 인장 부재
JP5353552B2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マンコンベア用手摺
EP3392183B1 (en) Tension member for elevator system belt
JP5098958B2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装置、並びに、マンコンベア用手摺及びその製造方法
JP5664160B2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マンコンベア用手摺、並びに移動手摺用帆布
KR102401760B1 (ko) 이동 난간의 제조 방법
KR102425678B1 (ko) 난간용 범포,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제조 방법
KR102122969B1 (ko) 맨 컨베이어의 이동난간 및 맨 컨베이어용 난간
CN107043059B (zh) 电梯张紧构件
JP2012224458A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並びに、マンコンベア用手摺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50284906A1 (en) Method of elevator cord cleaning and heating
KR102185316B1 (ko)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JP2017014000A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
KR100300911B1 (ko) 에스컬레이터및무빙워크용핸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