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672B1 - 무강판 트러스데크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무강판 트러스데크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672B1
KR102425672B1 KR1020210024651A KR20210024651A KR102425672B1 KR 102425672 B1 KR102425672 B1 KR 102425672B1 KR 1020210024651 A KR1020210024651 A KR 1020210024651A KR 20210024651 A KR20210024651 A KR 20210024651A KR 102425672 B1 KR102425672 B1 KR 10242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truss
steel
deck
re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대
민현식
황성윤
Original Assignee
정성대
민현식
황성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대, 민현식, 황성윤 filed Critical 정성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 위에 트러스조립철근이 일체로 결합된 통상의 트러스데크에서 강판 대신에 단열판재와 철근망을 주요하게 적용하여 무강판을 구현한 무강판 트러스데크와, 이러한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이용하여 철골조 내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적용하여 완성하는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강판 트러스데크는,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철근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너비방향 양단부가 각각 서로 대응하는 이음쪽매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단열판재 상호 간이 쪽매이음으로 연속 설치 가능한 단열판재; 상부근, 하부근, 래티스근이 트러스구조로 조립된 것으로 하부가 단열판재의 철근삽입홈에 삽입되면서 상부가 단열판재 위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트러스조립철근; 너비방향근과 길이방향근이 조립된 것으로 트러스조립철근 위로 배치되어 트러스조립철근의 상부근에 결속되는 상부철근망; 너비방향근과 길이방향근이 조립된 것으로 단열판재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철근망; 상부철근망과 하부철근망을 연결하는 것으로, 단열판재를 관통하여 상부철근망과 하부철근망에 결속되는 관통연결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강판 트러스데크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Non-Steelplate Truss Deck and Non-Support Concrete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강판 트러스데크와 이를 바람직하게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판 위에 트러스조립철근이 일체로 결합된 통상의 트러스데크에서 강판 대신에 단열판재와 철근망을 주요하게 적용하여 무강판을 구현한 무강판 트러스데크와 이러한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철골조 내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에 바람직하게 적용하여 무지주로 콘크리트슬래브를 시공하는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크플레이트는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에서 거푸집 대용으로 사용하는 아연도강판과 같은 금속제 플레이트를 의미한다. 데크플레이트는 파형으로 절곡된 파형강판 데크플레이트(키스톤 플레이트)가 대표적인데, 데크플레이트는 자체 내력으로 콘크리트 타설하중 등의 시공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동바리 없이 무지주로 슬래브 시공을 가능케 한다. 무지주 슬래브 시공은 가설 공사의 간소화로 이어져 공기 단축, 공사비 절감에 기여한다. 더구나 데크플레이트는 공장 생산된 제품을 단순 거치, 고정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성과 시공품질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데크플레이트의 하나로 트러스데크가 있다. 트러스데크는 강판 위에 철근을 트러스 구조로 조립하여 일체화한 데크플레이트이다. 도 1(a)는 종래 일반적인 트러스데크를 보여주는데, 보는 바와 같이 트러스데크는 일반적으로 1본의 상부근, 2본의 하부근, 상·하부근을 파형으로 연결하는 래티스근을 조립한 트러스조립철근을 강판 위에 접합하여 완성된다. 이러한 트러스데크는 강판이 거푸집 역할을 하고, 트러스조립철근이 강판을 보강하여 시공하중을 지지하는 한편 슬래브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는 주근으로 역할한다. 하지만 이러한 트러스데크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면 트러스조립철근 위에 별도의 배력근 배근공정이 필요하다.
한편 슬래브의 경량화를 위해 경량의 단열판재와 슬래브철근이 일체로 결합된 철근 일체형 단열패널이 개발된 바 있다. 도 2는 종래 철근 일체형 단열패열의 일례를 보여주는데,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62407호 개시된 철근 일체형 단열패널이다. 그러나 도 2와 같은 종래의 철근 일체형 단열패널은 단열판재를 사이에 두고 상하부 주철근이 배근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슬래브 시공에서 트러스데크처럼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단열판재 아래의 하부주철근이 슬래브콘크리트에 매설되어 구조성능을 발휘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2의 철근 일체형 단열패널은 트러스데크를 대신하여 적용하기보다는 중공슬래브용으로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KR 10-2012-0062407 A
본 발명은 종래 트러스데크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강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무지주로 슬래브 시공이 가능하고 배력근 배근이 필요없는 무강판 트러스데크와, 이러한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철골조 내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바람직하게 적용하여 완성하는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래브 시공에 적용할 때 경량화, 단열성, 차음성에서 유리한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철근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너비방향 양단부가 각각 서로 대응하는 이음쪽매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단열판재 상호 간이 쪽매이음으로 연속 설치 가능한 단열판재; 상부근, 하부근, 래티스근이 트러스구조로 조립된 것으로 하부가 단열판재의 철근삽입홈에 삽입되면서 상부가 단열판재 위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트러스조립철근; 너비방향근과 길이방향근이 조립된 것으로 트러스조립철근 위로 배치되어 트러스조립철근의 상부근에 결속되는 상부철근망; 너비방향근과 길이방향근이 조립된 것으로 단열판재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철근망; 상부철근망과 하부철근망을 연결하는 것으로, 단열판재를 관통하여 상부철근망과 하부철근망에 결속되는 관통연결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제공한다. 여기서 트러스조립철근은 1본의 상부근과 1본의 하부근 및 래티스근이 평면트러스구조로 조립된 것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단열판재는 철근삽입홈이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평면트러스구조의 트러스조립철근 하부가 단열판재의 철근삽입홈에 밀착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트러스조립철근은 1본의 상부근과 2본의 하부근 및 래티스근이 입체트러스구조로 조립된 것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단열판재는 철근삽입홈이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입체트러스구조의 트러스조립철근 하부가 단열판재의 철근삽입홈에 마련된 철근받침구에 안착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철골보 또는 보거푸집을 시공하는 제1단계; 철골보 또는 보거푸집 위에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거치 정착시키면서 설치하는 제2단계; 무강판 트러스데크 위에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단계; 무강판 트러스데크 저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무강판 트러스데크는 고가의 강판 대신에 저가의 단열판재와 철근망을 적용하기 때문에 자재비가 저렴하며, 슬래브 시공에 적용하면 별도의 배력근 배근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에 유리하다.
둘째, 본 발명의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슬래브 시공에 적용하면 콘크리트보다 경량의 단열판재가 슬래브 내부에 매설되는 단면으로 완성되기 때문에 슬래브콘크리트 타설량 감축에 따른 슬래브의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이로써 구조물의 장스팬화가 가능해져 골조(보, 기둥, 기초 등)의 규모 축소를 통한 공기 단축, 공사비 절감을 이끌 수 있다. 나아가 슬래브 내부에 매설된 단열판재는 단열성, 차음성에도 유리하므로 구조물의 에너지 절감, 소음 저감에 기여한다.
도 1은 종래의 트러스데크와 단열재 결합형 트러스데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단열판재의 철근이 일체화된 종래 사례를 보여준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강판 트러스데크의 제1실시예에 대한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무강판 트러스데크의 설치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에 대한 시공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시공순서에 따라 완성된 슬래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강판 트러스데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에 대한 시공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강판 트러스데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무강판 트러스데크의 시공상세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강판 트러스데크의 제1실시예에 대한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다. 제1실시예는 철골보 구조에 적용하기 위해 제안된 무강판 트러스데크의 예이다.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강판 트러스데크는, 강판 위에 트러스조립철근이 일체로 결합된 통상의 트러스데크에서 강판 대신에 단열판재(100)와 철근망(310, 320)이 주요하게 적용된다는데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강판 트러스데크는, 단열판재(100), 트러스조립철근(200), 상·하부철근망(310, 320), 관통연결근(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열판재(100)는 트러스데크에서 데크플레이트를 대신하여 거푸집 역할을 하는 부재가 된다. 단열판재(100)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철근삽입홈(110)이 형성되고, 단열판재(100)의 너비방향 양단부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이음쪽매(130)로 형성된다. 철근삽입홈(110)은 트러스조립철근(200)이 설치되는 공간이 되고, 이음쪽매(130)는 이웃하는 단열판재(100) 상호 간이 쪽매이음으로 연속 설치 가능하게 한다. 쪽매이음에 따라 단열판재(100) 위로 타설되는 슬래브콘크리트(CC)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열교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이음쪽매(130)는 도 3,4에서와 같이 단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단턱으로 마련되면 단열판재 상호 간은 턱이음으로 간편하게 연속 설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음쪽매(130)는 단열판재(100) 상호 간을 연속 설치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나아가 결합홈과 결합돌기로 마련하면 홈-돌기 결합에 의한 쪽매이음으로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단열판재(100)는 콘크리트보다 경량이면서 단열성을 가지는 자재로 마련하면 되며, 바람직하게는 EPS 등의 발포폼보드를 적용할 수 있다. EPS 등의 발포폼보드를 비압출 열선 절단 가공하면 철근삽입홈(110)과 이음쪽매(130) 등을 쉽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단열판재(100)의 상부면과 저면은 표면 요철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단열판재(100) 위와 저면에 각각 타설되는 슬래브콘크리트(CC) 및 숏크리트(SC)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단열판재(100)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상부돌출형의 걸침턱(140)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단열판재(100)는 철골보(SB) 또는 보거푸집(FB)에 턱걸침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도 5 및 도 9 참조). 단열판재(100)의 너비와 춤(depth) 등 규격은 시공할 슬래브의 구조설계 및 시공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특히 단열판재(100)의 춤을 키우면 그 위로 타설되는 슬래브콘크리트(CC)의 타설량을 줄여 슬래브의 자중감소를 이끌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의 장스팬화가 가능해진다.
트러스조립철근(200)은 종래 트러스데크에 적용되는 트러스조립철근과 마찬가지로 상부근(210), 하부근(220), 래티스근(230)이 트러스구조로 조립된 것이 된다. 이러한 트러스조립철근(200)은 하부근(220)이 단열판재의 철근삽입홈(110)에 삽입되면서 상부근(210)이 단열판재 위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도 3,4는 1본의 상부근과 2본의 하부근 및 래티스근이 입체트러스구조로 조립된 트러스조립철근(200)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입체트러스구조의 트러스조립철근(200)을 삽입 설치하기 위해 단열판재의 철근삽입홈(110)은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철근삽입홈(110)에는 철근받침구(1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철근받침구(120)는 상부에 철근안착부(121)가 형성되어 트러스조립철근의 하부근(220)이 안정적으로 안착 설치될 수 있는 부재이면 충분하다. 도 4에서는 블록 타입의 철근받침구(120)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블록 타입의 철근받침구(120)는 단열판재(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4는 단열판재(100)에 철근삽입홈(110)이 3개소 형성되고 각각의 철근삽입홈(110)에 트러스조립철근(200)이 안착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데, 철근삽입홈(110)과 트러스조립철근(200)의 개수는 시공현장과 구조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트러스조립철근(200)은 슬래브 시공과정에는 콘크리트 타설하중 등 시공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슬래브 완성 후에는 슬래브 주근으로 역할한다.
트러스조립철근의 상·하부근(210, 220)는 길이방향 양단부가 단열판재(100)보다 돌출되고 돌출된 길이방향 양단부에 정착구(24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정착구(240)는 본 발명의 무강판 트러스데크(TD)를 철골보(SB) 또는 보거푸집(FB)에 정착시키기 위한 구성이 된다. 정착구(240)는 무강판 트러스데크(TD)를 철골보(SB) 또는 보거푸집(FB)에 정착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도 3,4는 무강판 트러스데크(TD)를 철골보(SB)에 정착시키기 위해 정착구(240)가 직봉으로 마련된 예를 보여준다.
상·하부철근망(310, 320)은 각각 너비방향근과 길이방향근이 조립된 것으로, 상부철근망(310)은 트러스조립철근(200) 위로 배치되어 트러스조립철근의 상부근(21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속되고, 하부철근망(320)은 단열판재(100) 아래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철근망(310)과 하부철근망(320)은 단열판재(100)를 관통되는 관통연결근(330)으로 연결되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속되는데, 이로써 단열판재(100), 트러스조립철근(200), 상·하부철근망(310, 320)은 서로 구속되어 일체 거동하게 된다. 상·하부철근망(310, 320)은 트러스조립철근의 상·하부근(210, 220)보다 작은 직경의 철근이나 철선으로 조립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하부철근망(310, 320)은 슬래브 시공과정에는 슬래브콘크리트(CC) 타설하중 등 시공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슬래브 완성 후에는 배력근으로 역할하면서 슬래브콘크리트(CC) 내지 숏크리트(SC)를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철근망(310)은 너비방향 일단부가 단열판재(100)보다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돌출단부(311)는 이웃하는 상부철근망(310) 상호 간을 겹침이음으로 설치 가능하게 한다. 더불어 하부철근망(320)은 너비방향근(321)의 일단부가 단열판재(100)보다 돌출되면서 절곡된 걸침고리(322)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돌출된 걸침고리(322)는 이웃하는 하부철근망(320)의 길이방향근에 걸침이음으로 설치 가능하게 한다. 상부철근망의 돌출단부(311)와 하부철근망의 걸침고리(322)는 시공 편의를 위해 서로 반대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3의 무강판 트러스데크에 대한 설치단면도이다. 도 3의 무강판 트러스데크는 철골보 설치용으로 제안된 제1실시예가 되는데,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철골보(SB)에 거치하여 정착시키기 위해 트러스조립철근의 정착구(240)가 직봉으로 마련되고 있다. 도 3의 무강판 트러스데크는 도 5(a)에서와 같이 단열판재(100)의 길이방향 단부의 걸침턱(140)으로 철골보(SB) 위에 턱걸침하여 거치하고, 트러스데크의 길이방향 단부의 직봉(240)을 철골보(SB) 위에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무강판 트러스데크는 도 3(b)에서와 같이 너비방향으로 상호 간을 병렬로 이음 설치하는데, 이웃하는 단열판재(100)끼리 이음쪽매(130)로 쪽매이음하여 연결하고, 이웃하는 상부철근망(310)끼리 겹침이음으로 연결하고, 하부철근망(320)끼리 걸침이음으로 설치할 수 있다(도 6(a)(b) 참조).
도 6은 도 3의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에 대한 시공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시공순서에 따라 완성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고하여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을 살펴본다. 먼저 일반적인 방법으로 철골보(SB)를 시공한다(제1단계). 이어 철골보(SB) 위에 무강판 트러스데크(TD)를 거치 정착시키면서 설치한다. 무강판 트러스데크(TD)는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설치하면 된다. 다음으로 무강판 트러스데크(TD) 위에 슬래브콘크리트(CC)를 타설하고(제3단계), 무강판 트러스데크(TD) 저면에 숏크리트(SC)를 타설한다(제4단계). 무강판 트러스데크(TD)는 단열판재(100)가 거푸집 역할을 하고 트러스조립철근(200)과 상·하부철근망(310, 320)이 슬래브콘크리트(CC)의 타설하중 등 시공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별도의 슬래브 거푸집이나 동바리 등이 없이도 슬래브콘크리트(CC)를 타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강판 트러스데크(TD) 저면에는 하부철근망(320)이 배치되기 때문에 숏크리트(SC)를 구속시켜 탈락을 억제하면서 소정 두께로 타설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도 7과 같은 단면의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가 완성되는데, 보는 바와 같이 슬래브 내부에는 단열판재(100)가 매설되면서 트러스조립철근(200)이 슬래브콘크리트(CC)에 둘러싸여 매설되고 슬래브 저면은 숏크리트(SC)로 마감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슬래브는 단열판재(100) 위로 시공된 트러스조립철근(200)과 슬래브콘크리트(CC)가 슬래브 구조체를 형성하므로, 일종의 조이스트슬래브로 완성된다. 한편 슬래브 내부에 매설된 단열판재(100)는 슬래브의 경량화을 이끌어 구조물의 장스팬화에 기여하며, 더불어 슬래브의 단열성, 차음성을 향상시켜 건물의 에너지 절감, 층간 소음 저감 등에도 기여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강판 트러스데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제3실시예는 RC보 구조에 적용하기 위해 제안된 무강판 트러스데크의 예가 되는데, 전체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보거푸집(FB)에 정착 설치하기 위한 정착구(24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제2실시예의 무강판 트러스데크(TD)는 RC보 시공을 위한 보거푸집(FB)에 정착시키기 위해 트러스조립철근의 정착구(240)가 절곡 직봉으로 마련되고 있다. 절곡 직봉은 직봉(240) 하부가 절곡되어 걸침턱(241)으로 형성된다.
도 9는 도 8의 무강판 트러스데크의 설치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무강판 트러스데크의 시공순서도이다. 보는 바와 같이 도 8의 무강판 트러스데크(TD)는 단열판재(100)의 길이방향 단부의 걸침턱(140)을 보거푸집(FB) 위에 턱걸침하여 거치하고 더불어 트러스조립철근의 정착구의 걸침턱(241)으로 보거푸집(FB) 위에 턱걸침하여 정착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정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단열판재(100) 위에서 고정핀(250)을 꽂아 단열판재(100)를 보거푸집(F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핀(250)은 도 10(b)에서와 같이 핀머리가 병두께 모양의 톱니와셔로 형성된 톱니와셔 고정핀을 이용하는 것이 고정력 확보에 유리하다. 도 9 및 도 10(a)(b)와 같이 무강판 트러스데크(TD)를 설치한 후에는, 보철근을 배근하고(도 (10(c)), 보콘크리트와 슬래브콘크리트(CC) 타설하고(도 12(d)(e)), 숏크리트(SC)를 타설하면 된다(도 10(f)). 이로써 RC보와 일체 시공된 RC슬래브가 완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강판 트러스데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2는 도 11의 무강판 트러스데크의 시공단면도이다. 제3실시예는 지붕슬래브 등 구조성능이 덜 요구되는 슬래브에 적용하기 위해 제안된 무강판 트러스데크의 예가 되는데, 전체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철근삽입홈(110)의 너비와 트러스조립철근(200)의 형태에서 차이가 있다. 제3실시예에서 트러스조립철근(200)은 1본의 상부근(210)과 1본의 하부근(220) 및 래티스근(230)이 입체트러스구조로 조립되며, 이러한 입체트러스구조의 트러스조립철근(200)을 삽입 설치하기 위해 단열판재의 철근삽입홈(110)은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좁은 폭의 철근삽입홈(110)에 평면트러스구조의 트러스조립철근(200) 하부가 밀착되게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도 12 참조). 이와 같은 무강판 트러스데크(TD)는 도 12와 같이 위와 아래로 각각 슬래브콘크리트(CC)와 숏크리트(SC)가 타설되며, 이로써 트러스조립철근(200)의 상부(상부근과 래티스근 상부)와 상부철근망(310)이 슬래브콘크리트(CC)에 매설되고 하부철근망(320)이 숏크리트(SC)에 매설되는 단면으로 완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단열판재 110: 철근삽입홈
120: 철근받침구 121: 철근안착부
130: 이음쪽매 140: 걸침턱
200: 트러스 철근 210: 상부근
220: 하부근 230: 래티스근
240: 정착구 241: 걸림턱
250: 고정핀
310: 상부철근망 320: 하부철근망
311,321: 너비방향근 322: 걸침고리
330: 관통연결근
TD: 트러스데크
SB: 철골보 FB: 보거푸집
CC: 슬래브콘크리트 SC: 숏크리트

Claims (9)

  1. 무지주 슬래브 시공을 위한 트러스데크에서,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철근삽입홈(110)이 형성되는 것으로, 너비방향 양단부가 각각 서로 대응하는 이음쪽매(130)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단열판재(100) 상호 간이 쪽매이음으로 연속 설치 가능한 단열판재(100);
    상부근(210), 하부근(220), 래티스근(230)이 트러스구조로 조립된 것으로, 하부가 상기 단열판재의 철근삽입홈(110)에 삽입되면서 상부가 단열판재(100) 위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트러스조립철근(200);
    너비방향근(311)과 길이방향근(312)이 조립된 것으로, 상기 트러스조립철근(200) 위로 배치되어 트러스조립철근의 상부근(210)에 결속되는 상부철근망(310);
    너비방향근(321)과 길이방향근(322)이 조립된 것으로, 상기 단열판재(100)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철근망(320);
    상기 상부철근망(310)과 하부철근망(320)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단열판재(100)를 관통하여 상부철근망(310)과 하부철근망(320)에 결속되는 관통연결근(330);으로 구성되며,
    상기 트러스조립철근(200)은, 주근으로 설계되고,
    상기 상·하부철근망(310, 320)은, 배력근으로 설계되며,
    상기 단열판재(100)는, 길이방향 양단부가 상부돌출형 걸침턱(130)으로 형성되어, 철골보(SB) 또는 보거푸집(FB)에 턱걸침으로 설치 가능하게 되며,
    상기 트러스조립철근(200)은, 상·하부근(210, 220)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단열판재(100)보다 돌출되면서 돌출된 상·하부근(210, 220)의 양단부에 정착구(240)가 마련되어, 정착구(240)로 철골보(SB) 또는 보거푸집(FB)에 정착 설치 가능하게 됨으로써,
    슬래브 시공에서 상기 단열판재(100)가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되어, 강판이 필요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강판 트러스데크.
  2. 제1항에서,
    상기 트러스조립철근(200)은, 1본의 상부근(210)과 1본의 하부근(220) 및 래티스근(230)이 평면트러스구조로 조립된 것이며,
    상기 단열판재(100)는, 철근삽입홈(110)이 좁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면트러스구조의 트러스조립철근(200) 하부가 상기 단열판재의 철근삽입홈(110)에 밀착되게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강판 트러스데크.
  3. 제1항에서,
    상기 트러스조립철근(200)은, 1본의 상부근(210)과 2본의 하부근(220) 및 래티스근(230)이 입체트러스구조로 조립된 것이며,
    상기 단열판재(100)는, 철근삽입홈(110)이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입체트러스구조의 트러스조립철근(200) 하부가 상기 단열판재의 철근삽입홈(110)에 안착되게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강판 트러스데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상부철근망(310)은, 너비방향 일단부가 단열판재(100)보다 돌출되게 마련되어, 이웃하는 상부철근망(310) 상호 간이 겹침이음으로 설치 가능하게 되며,
    상기 하부철근망(320)은, 너비방향근(321)의 일단부가 단열판재(100)보다 돌출되면서 절곡된 걸침고리(322)로 마련되어, 이웃하는 하부철근망(320) 상호 간이 걸침이음으로 설치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강판 트러스데크.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강판 트러스데크(TD)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무지주로 시공하는 방법으로,
    철골보(SB) 또는 보거푸집(FB)을 시공하는 제1단계;
    철골보(SB) 또는 보거푸집(FB) 위에 무강판 트러스데크(TD)를 거치 정착시키면서 연속 설치하되, 단열판재(100)의 너비방향 양단부의 이음쪽매(130)로 이웃하는 단열판재(100)끼리 쪽매이음으로 연결하면서 설치하는 제2단계;
    무강판 트러스데크(TD) 위에 슬래브콘크리트(CC)를 타설하는 제3단계;
    무강판 트러스데크(TD) 저면에 숏크리트(SC)를 타설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제1단계는, 철골보(SB)를 시공하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계는, 트러스조립철근의 정착구(240)가 직봉으로 마련된 무강판 트러스데크(TD)를 철골보(SB)에 거치하고 직봉을 철골보(SB)에 용접하여 정착시키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
  8. 제6항에서,
    상기 제1단계는, 보거푸집(FB)을 시공하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계는, 트러스조립철근의 정착구(240)가 직봉으로 마련되면서 직봉 하부가 절곡되어 걸침턱(241)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된 무강판 트러스데크(TD)를 보거푸집(FB)에 거치하고 직봉 하부의 걸침턱(241)을 보거푸집(FB)에 걸침하여 정착시키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제2단계는, 무강판 트러스데크의 단열판재(100) 위에서 톱니와셔 고정핀(250)을 꽂아 단열판재(100)를 보거푸집(FB)에 고정시키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강판 트러스데크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
KR1020210024651A 2021-02-15 2021-02-24 무강판 트러스데크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 KR102425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19993 2021-02-15
KR1020210019993 2021-0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672B1 true KR102425672B1 (ko) 2022-07-28

Family

ID=8260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651A KR102425672B1 (ko) 2021-02-15 2021-02-24 무강판 트러스데크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5947A (zh) * 2021-11-01 2022-02-15 哈尔滨鸿盛建筑材料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保温天棚与轻钢屋架组合承重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041A (ja) * 1997-01-25 1998-08-0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床等の構成材
KR200346435Y1 (ko) * 2003-12-15 2004-03-31 주식회사 윈스틸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KR20120062407A (ko) 2010-12-06 2012-06-14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보강단열패널과 상기 보강단열패널을 활용한 경량 구조물 구축시스템 및 그 구축공법
KR20160075384A (ko) * 2016-01-19 2016-06-29 삼광선재 주식회사 단열재 데크 및 단열재 데크 설치 방법
KR20190001131U (ko) *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단열재 일체형 외줄 트러스거더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041A (ja) * 1997-01-25 1998-08-0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床等の構成材
KR200346435Y1 (ko) * 2003-12-15 2004-03-31 주식회사 윈스틸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KR20120062407A (ko) 2010-12-06 2012-06-14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보강단열패널과 상기 보강단열패널을 활용한 경량 구조물 구축시스템 및 그 구축공법
KR20160075384A (ko) * 2016-01-19 2016-06-29 삼광선재 주식회사 단열재 데크 및 단열재 데크 설치 방법
KR20190001131U (ko) *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단열재 일체형 외줄 트러스거더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5947A (zh) * 2021-11-01 2022-02-15 哈尔滨鸿盛建筑材料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保温天棚与轻钢屋架组合承重系统
CN114045947B (zh) * 2021-11-01 2022-12-23 哈尔滨鸿盛建筑材料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保温天棚与轻钢屋架组合承重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586B1 (ko)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KR102004419B1 (ko)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구조
JP2007138472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ラーメン構造の既存建物の耐震補強工法
KR101225661B1 (ko)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JP2006316580A (ja) 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及びその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を使用した橋梁構築方法
KR100211534B1 (ko) 건축물의 pc벽체와 pc슬라브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425672B1 (ko) 무강판 트러스데크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
KR20160097888A (ko)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RU2416007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жесткости для несущих плит перекрытий в зданиях
KR20040079917A (ko) 큰 스판을 위한 그리드형 평편 하면을 갖는 이중 압축응력형 지붕-천장 구조물
KR100646363B1 (ko) 장스팬용 보강데크식 바닥 구조물 및 그 축조 방법
KR100521647B1 (ko) 거푸집 겸용 건축용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KR101222320B1 (ko) ㄷ자형 부재와 역티자형 부재를 조립한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CN108571169B (zh) 工厂预制钢砼叠合剪力墙装配式建筑施工方法
JP3999591B2 (ja) 繊維補強セメント系材料によるコンクリート系構造物の制震構造
JP2009155850A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と梁との接合構造
JP4969909B2 (ja) 構造物の構築工法
CN109853804A (zh) 一种应用于钢结构房屋的装配式钢砼组合楼盖
KR101738244B1 (ko) 트러스보강 조립보
KR102278450B1 (ko) Pc하부플랜지를 갖는 트러스 복합보
KR19980058501U (ko)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
KR20220120904A (ko) 무강판 단열데크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
EP0940516A1 (en) A structural panel
KR20040033618A (ko) 조립식 물탱크
JP4660810B2 (ja) 境界梁ダ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