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261B1 - 셀프 고정형 오염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셀프 고정형 오염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261B1
KR102425261B1 KR1020200140358A KR20200140358A KR102425261B1 KR 102425261 B1 KR102425261 B1 KR 102425261B1 KR 1020200140358 A KR1020200140358 A KR 1020200140358A KR 20200140358 A KR20200140358 A KR 20200140358A KR 102425261 B1 KR102425261 B1 KR 102425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taminated water
fluid
opening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853A (ko
Inventor
김선규
김영오
조상호
곽훈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0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2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오염수의 이송을 위한 오염수 이송장치로서,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을 구비하는 제1 관;상기 제1 관의 일단에 연결되며, 이송 유체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 관; 및 상기 제1 관의 관체에 분기되어 연결되고, 이송 유체의 압력에 의해 길이가 신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이송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2 관을 향하여 길이가 신장되되, 상기 제1 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개구부를 구비한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내부에 위치하였다가 이송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가변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고정체는, 내부가 빈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연결된 부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부유체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고소작업이 제거되어 작업의 안전성이 증대되며, 작업 인력의 절감이 가능하고, 간편하고 실용적으로 현장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레미콘 차량을 통해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프 고정형 오염수 이송장치{Self-fixing type conveying apparatus for wastewater}
본 발명은 콘트리트 펌프카의 세척 오염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후 펌프카의 배관 및 호퍼에 잔류한 세척수를 반출하기 위한 오염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그대로 현장 외부로 방류할 경우 환경이 훼손되며, 인근 주민의 삶과 동식물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오염수는 현장 관리 절차에 따라 회수하여 외부 처리시설로 반출하거나 자체적으로 수처리 하여 방류하는 등 환경에 피해가 없는 방식으로 처리된다.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오염수의 종류 및 발생 원인은 다양하며, 펌프카의 세척수도 그중 하나에 해당한다. 펌프카 세척수는 콘크리트의 타설 종료 후 펌프카의 배관 또는 호퍼에 잔류하는 콘크리트를 세척할 때 발생한다. 토목 또는 건축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은 필수적이고, 매우 빈번한 공종이므로 발생된 오염수의 효과적인 처리가 문제된다.
이와 관련한 선행 기술 문헌으로 공개특허 제10-2020-0014958호(2020.02.12.)와 등록실용신안 제20-0267870호(2002.02.28.)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20-0014958호는 펌프카의 세척 잔류수를 받아서 자갈, 모래 등의 고형물을 거를 수 있는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고, 등록실용신안 제20-0267870호는 배관 구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펌프카 잔류 콘크리트 회수장치이다. 개시된 기술은 현장에서 발생한 펌프카 세척 잔류수를 따로 모아 레미콘 차량을 통해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전술한 문헌에서 개시된 기술은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세척 잔류수를 회수하기 위해 별도 장치를 펌프카에 연결할 경우, 그 설치와 해체에 시간이 소모되고, 장치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부담되어 펌프카 운행자 입장에서 작업성이 매우 저하된다.
또한, 펌프를 사용하여 세척 잔류수를 레미콘 차량으로 이송할 경우 레미콘 차량 상부에서 배관 호스를 잡아주는 추가 인력이 필수적이며, 상기 인력의 고소작업에 따른 안전 문제가 추가로 발생한다.
공개특허 제10-2020-0014958호(2020.02.12.) 등록실용신안 제20-0267870호(2002.02.28.)
따라서, 본 발명은 건설 현장 내에서 펌프카의 세척 오염수를 모으고, 모아진 오염수를 간편하게 레미콘 차량을 통해 반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을 구비하는 제1 관;상기 제1 관의 일단에 연결되며, 이송 유체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 관; 및 상기 제1 관의 관체에 분기되어 연결되고, 이송 유체의 압력에 의해 길이가 신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이송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2 관을 향하여 길이가 신장되되, 상기 제1 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개구부를 구비한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내부에 위치하였다가 이송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가변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고정체는, 내부가 빈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연결된 부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부유체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므로 건설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오염수를 외부로 반출하는데 필요한 인력이 절감되고, 작업 인력의 고소작업이 제거되어 안전성이 증대된다. 또한, 펌프카는 오염수 발생에 대한 부담 없이 세척이 가능하고, 모아진 오염수를 일시에 반출 처리할 수 있으므로 현장의 오염수 처리 효율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고정형 오염수 이송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고정형 오염수 이송장치의 배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고정형 오염수 이송장치의 고정부 단면 및 신축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고정형 오염수 이송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고정형 오염수 이송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오염수 이송장치(100)는 제1 관(110), 제2 관(12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하고, 제1 관(110)에 연결된 호스(106), 펌프(104) 및 저류조(1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오염수 이송장치(100)의 배관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오염수 이송장치(100)의 배관 구성을 설명한다. 제1 관(110)은 내부 통로로 유체를 이송할 수 있는 직선형의 배관으로 이루어진다. 제1 관(110)은 오염수 이송장치(100)를 사용할 때 작업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1 관(110)의 단면 지름은 작업자가 잡기 편리한 정도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관(110)의 단면 지름은 50mm 내지 150mm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관(110)의 길이는 작업자가 오염수 이송장치(100)를 사용할 때, 작업자가 제1 관(110)의 상단을 레미콘 차량(10)의 상부 호퍼(20)에 충분히 도달하게 할 수 있을 정도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작업자의 신장을 고려하여 제1 관(110)의 길이가 2.5m 내지 3.5m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110)의 하단은 호스(106)와 연결되며, 제1 관(110)과 호스(106)의 연결부에 커플링(108)을 구비할 수 있다. 커플링(108)은 고압 펌프(104) 사용에도 내부 유체가 새지 않는 전용 연결 커플링(108)일 수 있다. 또한, 제1 관(110)의 하단은 호스(106)와 연결되기 전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연결된 호스(106)의 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호스(106)는 저류조(102)의 내부에 있는 펌프(104)와 연결되어, 저류조(102)에 저장된 오염수(30)를 이송하는 통로로 기능한다. 저류조(102)는 오염수(30)를 저장하며, 건설 현장 내 특정 위치에 매설되어 펌프카 세척에 따른 오염수를 모을 수 있다. 저류조(102)가 지중에 매설되면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마친 펌프카가 저류조(102)의 위치로 이동하여 세척작업을 실시하고, 발생한 오염수를 저류조(102)로 직접 배출할 수 있다.
저류조(102)의 넓이와 깊이는 배출되는 오염수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고, 저류조(102)의 매설 위치는 건설 현장 내에서 타 작업과 간섭되지 않으며, 장비의 접근이 쉬운 곳으로 정할 수 있다.
제2 관(120)은 제1 관(110)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연결된 배관이다. 제2 관(120)은 배출구(122)를 구비하며, 제1 관(110)으로부터 이송된 유체가 내부 통로를 따라 통과하여 배출구(122)에서 배출된다. 배출구(122)에서 유체가 배출되는 방향과 제1 관(110)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이하로 형성된다.
제2 관(120)은 레미콘 차량(10)의 상부 호퍼(20)에 오염수(30)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를 구비한다. 또한, 제2 관(120)이 제1 관(110)의 상단에서 절곡된 각도는 45도 내지 135도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관(110)과 제2 관(120)의 연결 각도는 45도 내지 135도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제1 관(110)에 분기되어 연결되며, 이송 유체의 압력으로 길이가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구성이다. 고정부(130)의 길이가 신장될 때, 고정부(130)는 제2 관(120)의 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 제2 관(120)에 접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고정형 오염수 이송장치(100)의 고정부(130) 단면 및 신축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130)는 분기관(132)과 가변고정체를 포함한다. 분기관(132)은 제1 관(110)으로부터 분기된 관으로서, 일단이 제1 관(110)에 연결되고, 타단에 개구부를 구비한다. 가변고정체는 분기관(132)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이송 유체의 압력을 받아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구성이다. 즉, 가변고정체의 이동에 의해 고정부(130)가 신장, 수축된다.
도 3의 (a)는 이송 유체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 고정부(130)의 단면을 도시하며, 도 3의 (b)는 이송 유체가 흐를 때 고정부(130)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송 유체가 제1 관(110)에 흐르면 분기관(132)의 내부에 위치한 가변고정체에 유체의 압력이 작용하여 가변고정체가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오염수 이송장치(100)를 사용 시 제2 관(120)과 가변고정체의 사이에 레미콘 차량(10)의 상부 호퍼(20)를 위치시키면, 이와 같은 작용으로 제2 관(120)을 레미콘 차량(10)의 상부 호퍼(2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는 오염수 이송장치(100)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오염수 이송장치(100)가 레미콘 차량(10)의 상부 호퍼(2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제2 관(120)의 단부와 고정부(130)의 신축 방향은 직각으로 구비되어 고정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110), 제2 관(120) 및 분기관(132)은 각각 단일의 배관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복수의 배관 부재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배관의 재질은 가벼우며, 내구성이 우수한 PVC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배관의 형상, 길이, 방향 등은 전술한 기술적 사상을 충족하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당업자”라고 함)이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가변고정체는 내부가 빈 몸체(134), 몸체(134)의 일단에 연결된 부유체(136), 몸체(134)의 타단에 연결된 접촉부(138)를 구비한다.
부유체(136)는 물보다 밀도가 낮아 물에 부유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형상은 반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부유체(136)는 가변고정체가 분기관(132)의 개구부를 통해 완전히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송 유체가 부유체(136)에 압력을 가해 가변고정체가 돌출되더라도 분기관(132)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부유체(136)의 외주 부분은 분기관(132)의 내부면과 접촉되어, 이송 유체가 부유체(136)를 지나 분기관(132)의 개구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분기관(132)은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폐용 가스켓(미도시)을 구비하여 이송 유체가 분기관(132)의 개구부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접촉부(138)는 몸체(134)의 타단에 연결되고, 분기관(132)의 외부에 위치한다. 접촉부(138)는 고정부(130)가 신장할 때 레미콘 차량(10) 상부 호퍼(20)에 접촉하는 구성이다. 접촉부(138)는 상부 호퍼(20)와 접촉 시 상부 호퍼(20)의 굴곡에 따라 그 형상이 적절히 변경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그 접촉 표면에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38)의 폭은 몸체(13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레미콘 차량
20: 레미콘 차량 상부 호퍼
30: 오염수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수 이송장치
102: 저류조
104: 펌프
106: 호스
108: 커플링
110: 제1 관
120: 제2 관
122: 배출구
130: 고정부
132: 분기관
134: 몸체
136: 부유체
138: 접촉부

Claims (9)

  1.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을 구비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의 일단에 연결되며, 이송 유체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 관; 및
    상기 제1 관의 관체에 분기되어 연결되고, 이송 유체의 압력에 의해 길이가 신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이송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2 관을 향하여 길이가 신장되되,
    상기 제1 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개구부를 구비한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내부에 위치하였다가 이송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가변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고정체는,
    내부가 빈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연결된 부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부유체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은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폐용 가스켓을 구비하고, 상기 가변고정체는 상기 몸체의 타단에 상기 몸체보다 폭이 넓은 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이송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길이가 최대로 신장했을 때, 상기 제2 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이송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의 단부와 상기 고정부는 방향이 서로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이송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관과 상기 제2 관 및 상기 분기관은 PVC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이송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의 배출구에서 이송 유체가 배출되는 방향과 상기 제1 관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이송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오염수를 저장하는 저류조;
    상기 저류조 내부에 위치한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관에 연결된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이송장치.
KR1020200140358A 2020-10-27 2020-10-27 셀프 고정형 오염수 이송장치 KR102425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358A KR102425261B1 (ko) 2020-10-27 2020-10-27 셀프 고정형 오염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358A KR102425261B1 (ko) 2020-10-27 2020-10-27 셀프 고정형 오염수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853A KR20220055853A (ko) 2022-05-04
KR102425261B1 true KR102425261B1 (ko) 2022-07-27

Family

ID=8158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358A KR102425261B1 (ko) 2020-10-27 2020-10-27 셀프 고정형 오염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2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931B1 (ko) * 2018-09-18 2019-01-03 김승기 상수도 맨홀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N211548806U (zh) * 2019-12-20 2020-09-22 天津市万基钢管有限公司 一种支架钢管灌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7144B2 (ja) * 1993-09-01 2003-05-19 清水建設株式会社 配管内残留コンクリート回収方法
KR200267870Y1 (ko) 2001-12-13 2002-03-12 고세현 콘크리트펌프카의 잔류 콘크리트 회수장치
KR20200014958A (ko) 2018-08-01 2020-02-12 서달원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931B1 (ko) * 2018-09-18 2019-01-03 김승기 상수도 맨홀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N211548806U (zh) * 2019-12-20 2020-09-22 天津市万基钢管有限公司 一种支架钢管灌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853A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730436U (zh) 一种市政给排水管道免开挖内壁清洗装置
CN204174648U (zh) 一种水下负压吸泥排污装置
CN210529889U (zh) 一种带有气囊膨胀堵头的检查井修复用临时排放管
KR102425261B1 (ko) 셀프 고정형 오염수 이송장치
JP2009180019A (ja) 透水セグメントおよびこの透水セグメントを用いたトンネル
JP2013253444A (ja) 多層式下水道管
KR101359101B1 (ko) 락심부 용접을 한 고내식성 리브 및 파형강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CN105650381A (zh) 土建基础结构沉降自适应矩形伸缩连接装置
CN110303012A (zh) 一种管道疏通装置
KR101726660B1 (ko) 관내부 무인 준설 처리 시스템
JP6382053B2 (ja) 取水システム
KR100751969B1 (ko) 현장제관 관로 설치공법
CN101694108B (zh) 大管径污水管道清淤系统的污水水位控制装置
GB24667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the interior of a pipe
KR100641264B1 (ko) 방사형 관로세척장치
JP5992230B2 (ja) スイベルジョイント
CN104275265A (zh) 一种气举清淤装置及带气举清淤装置的泥浆容器
KR101172845B1 (ko) 상하수도 관로 갱생공법
CN201614654U (zh) 一种大管径污水管道清淤系统的污水水位控制装置
CN204220375U (zh) 一种气举清淤装置及带气举清淤装置的泥浆容器
CN214467012U (zh) 一种管道应急泄水装置
CN211816791U (zh) 地下管防沉降装置
KR102060765B1 (ko) 복합형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36812B1 (ko) 하수처리를 위한 수중 접합관 연결구조
KR101334256B1 (ko) 하천 정수용으로 사용이 용이하는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