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958A -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958A
KR20200014958A KR1020180089961A KR20180089961A KR20200014958A KR 20200014958 A KR20200014958 A KR 20200014958A KR 1020180089961 A KR1020180089961 A KR 1020180089961A KR 20180089961 A KR20180089961 A KR 20180089961A KR 20200014958 A KR20200014958 A KR 20200014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concrete
main vessel
pump car
concret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달원
Original Assignee
서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달원 filed Critical 서달원
Priority to KR102018008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4958A/ko
Publication of KR20200014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 펌프카를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 후 차량 내에 남는 잔류물 세척시 자갈, 모래, 시멘트 등의 잔여 고형물들과 세척수를 별도로 구분하여 자동적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현장의 친환경적인 사후관리가 가능하고 처리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10)가 개시되어 있다.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정공간을 한정하도록 형성된 메인 베셀(main vessel)(20)의 하부에 바퀴(23)를 부착하였고, 메인 베셀(20)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정공간을 한정하도록 형성된 보조 베셀(auxiliary vessel)(30)을 설치하고, 메인 베셀(20)의 측벽(22)에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절개부(21)를 형성하고, 보조 베셀(30)의 측벽(24)에 배수용 철망(36)이 설치되는 배수구(31)를 형성하며, 메인 베셀(20)의 측벽(22) 외부에 집수탱크(40)를 설치하고 그 안에 수중펌프(50)와 수위감지센서(60)를 배치함으로써,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10)를 펌프카의 호퍼 아래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세척수를 보조 베셀쪽(30)으로 투입하여 세척수는 집수탱크(40)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시키고 시멘트, 모래, 자갈 등의 고형물들은 보조 베셀(30) 내에 수집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residual substances in a concrete pump car}
본 발명은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 펌프카를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 후 차량 내에 남는 잔류물 세척시 자갈, 모래, 시멘트 등의 잔여 고형물들과 세척수를 별도로 구분하여 자동적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현장의 친환경적인 사후관리가 가능하고 처리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갈과 모래, 시멘트 및 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건물의 지반이나 지주설치를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레미콘 차량을 통해 미경화 상태로 시공현장으로 투입된다. 레미콘 차량에 의해 시공현장으로 운반된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붐대에 연결되어 있는 압송관을 통해 타설위치로 공급된다.
그런데, 펌프카를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 후에 펌프카 차량 내에 남게되는 콘크리트 잔량(침전물 등)의 처리가 곤란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층건물 건설현장 등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고 나면, 평균 0.3루베(㎥) 정도의 콘크리트 잔량이 펌프카에 남게 되는데, 이는 건설폐기물로서 처리하는데 별도의 비용을 발생시키게 된다.
최근, 이러한 건설폐기물의 처리문제를 두고 건설사와 레미콘 회사간 분쟁이 빈번하게 발행하고 있다. 즉, 펌프카에 남아 있는 콘크리트 잔량을 레미콘 회사가 수거하면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시간과 추가 비용이 들어간다는 이유로 레미콘 업계는 수거에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레미콘 회사의 입장에서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 펌프카는 건설사가 필요에 의해서 임대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잔류물의 처리에 드는 비용은 건설사가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고, 또한 레미콘 공장에 있는 처리시설은 건설현장의 콘크리트 잔량을 처리하기에 적합한 시설이 아니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콘크리트 타설현장에서는 펌프카 잔류물을 처리하고난 세척수와 콘크리트, 모래, 자갈들의 찌꺼기를 그대로 하수구로 흘려보내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환경단체들이나 방송사의 고발 등으로 인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건설사나 레미콘 회사 모두 펌프카 잔류물 처리를 위한 대안마련에 나서야만 하는 입장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4132호(등록일자: 2012년 07월 03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콘크리트 배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잔류콘크리트 배출장치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호퍼 일측에 세척수 저장탱크를 설치하고 그 주변에 콘크리트 실린더, 밸브 실린더, 급수관, 콘트롤부 등을 추가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처리에 관해 업계 이해당자가간의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상용화가 요원한 문제가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 펌프카 제조회사에서 추가장비로의 설치를 채택하지 않는한 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설치 및 운용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4132호(등록일자: 2012년 07월 03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 펌프카를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 후 차량 내에 남는 잔류물 세척시 자갈, 모래, 시멘트 등의 잔여 고형물들과 세척수를 별도로 구분하여 자동적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현장의 친환경적인 사후관리가 가능하고 처리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정공간을 한정하는 메인 베셀(main vessel) - 상기 메인 베셀은 제1 측벽과 제1 바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에는 일정크기의 절개부가 형성됨 -;
상기 메인 베셀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여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정공간을 한정하는 보조 베셀(auxiliary vessel) - 상기 보조 베셀은 제2 측벽과 제2 바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벽의 중간부위에는 다수의 배수구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에는 배수용 철망이 각각 배치됨 -;
상기 메인 베셀로부터 전달되는 세척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탱크;
상기 집수탱크에 수집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펌핑하기 위한 수중펌프;
상기 집수탱크에 집수되는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메인 베셀과 상기 보조 베셀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베셀은 상기 메인 베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측벽의 최상부 외주면상에는 제1 걸림턱이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벽의 최상부 외주면상에는 제2 걸림턱이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조 베셀을 상기 메인 베셀 내부에 안착시킬 때, 상기 제2 걸림턱의 하부면은 상기 제1 걸림턱의 상부면 위에 놓이게 되고, 상기 제2 걸림턱의 하부면상에는 다수의 손잡이부가 원호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수탱크의 몸체는 상기 제1 측벽 외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의해서 한정되는 상기 집수탱크의 내부공간은 상기 절개부를 통해서 상기 메인 베셀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며,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덮개가 개폐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상기 덮개 근처 위치에서 상기 몸체의 방사상 측벽 상부에는 걸쇠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걸쇠는 상기 덮개의 상부면을 지나서 상기 제2 걸림턱에 찰칵하고 끼워맞추어질 수 있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측벽에는 배수 파이프가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수중펌프와 상기 수위감지센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측벽 외부면상에 설치되고, 상기 수중펌프와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베셀의 외부 하부면상에는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를 원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바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정공간을 한정하도록 형성된 메인 베셀의 하부에 바퀴를 부착하였고, 메인 베셀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정공간을 한정하도록 형성된 보조 베셀을 설치하고, 메인 베셀의 측벽에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절개부를 형성하고, 보조 베셀의 측벽에 배수용 철망이 설치되는 배수구를 형성하며, 메인 베셀의 측벽 외부에 집수탱크를 설치하고 그 안에 수중펌프와 수위감지센서를 배치함으로써,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를 펌프카의 호퍼 아래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세척수를 보조 베셀쪽으로 투입하여 세척수는 집수탱크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시키고 시멘트, 모래, 자갈 등의 고형물들은 보조 베셀 내에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현장의 잔류물들을 주위환경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신속하고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설치 및 운용이 간편하여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세척시 세척수가 수집되는 부위에 설치된 수중모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도.
본 출원의 도면과 그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발표한 장치 및 방식들의 장점 및 다른 특징들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 첨부도면들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게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다르게 강조하지 않는 한, 도면을 통해서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요소들은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참조부호들로서 나타내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 본 발명은 하기의 명세서에 발표하거나 도면에 나타낸 구성 및 부품들의 배열로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 및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채용된 어법과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정공간을 한정하는 메인 베셀(vessel)(20),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메인 베셀(20)의 내부에 수용하여 안착되는 보조 베셀(vessel)(30), 상기 메인 베셀(20)로부터 전달되는 세척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탱크(40), 상기 집수탱크(40)에 수집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펌핑하기 위한 수중펌프(50), 상기 집수탱크(40)에 집수되는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60),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60)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5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7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메인 베셀(2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정공간을 한정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1 측벽(22)과 제1 바닥(24)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베셀(2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측벽(22)에서, 상기 제1 바닥(24)과의 경계위치에는 일정크기의 절개부(21)가 형성된다. 절개부(21)는 메인 베셀(20) 내에 집수되는 콘크리트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의 역할을 하게 된다. 메인 베셀(20)의 외부 하부면상에는 다수의 바퀴(23)가 부착된다. 바퀴(23)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10)를 원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제1 측벽(22)의 최상부 외주면상에는 제1 걸림턱(25)이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 베셀(3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정공간을 한정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2 측벽(32)과 제2 바닥(34)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베셀(3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 베셀(30)은 상기 메인 베셀(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메인 베셀(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상기 제2 측벽(32)의 중간부위에는 다수의 배수구(31)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31)에는 배수용 철망(36)이 각각 배치된다. 배수구(31)는 보조 베셀(30) 내에 집수되는 콘크리트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의 역할을 하게 되고, 배수용 철망(36)은 배수구(31)를 통해서 배출되는 세척수내에 부유하고 있는 시멘트, 자갈, 모래 등을 걸르기 위한 여과필터의 역할을 하게 된다. 제2 측벽(32)의 최상부 외주면상에는 제2 걸림턱(35)이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조 베셀(30)을 상기 메인 베셀(20) 내부에 안착시킬 때, 제2 걸림턱(35)의 하부면은 제1 걸림턱(25)의 상부면 위에 놓이게 된다. 제2 걸림턱(35)의 하부면상에는 다수의 손잡이부(33)가 원호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된다. 손잡이부(33)는 작업자가 메인 베셀(20)의 내부에 안착되어 있던 보조 베셀(30)을 꺼내고자 할 때 손을 파지하여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수탱크(40)는 상기 메인 베셀(20)의 제1 측벽(22) 외부에 일체로 제공된다. 즉, 집수탱크(40)의 몸체(41)는 메인 베셀(20)의 제1 측벽(22)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때 몸체(41)에 의해서 한정되는 집수탱크(40)의 내부공간은 제1 측벽(22)에 형성된 절개부(21)를 통해서 메인 베셀(20)의 내부공간과 연통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집수탱크(40)는 절개부(21)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측벽(22)의 외부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집수탱크(40)의 몸체(41) 상부에는 덮개(42)가 개폐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때, 덮개(42) 근처 위치에서 몸체(41)의 방사상 측벽 상부에는 걸쇠(43)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걸쇠(43)는 덮개(42)의 상부면을 지나서 보조 베셀(30)의 제2 걸림턱(35)에 찰칵하고 끼워맞추어질 수 있도록 만곡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10)를 사용하고자 할때, 메인 베셀(20)의 내부에 보조 베셀(30)이 수용하여 안착된 상태에서, 걸쇠(43)의 타단부는 보조 베셀(30)의 제2 걸림턱(35)에 찰칵하고 끼워맞추어지고, 이에 의해서 보조 베셀(30)은 메인 베셀(20)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집수탱크(40)의 몸체(41) 측벽에는 배수 파이프(44)가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배수 파이프(44)는 집수탱크(4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세척수를 콘크리트 타설현장 근처에 마련된 별도의 저수조(도시되지 않음)나 저수탱크(도시되지 않음)로 공급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한편, 집수탱크(40)의 몸체(41) 내부 공간에는 수중펌프(50)가 배치된다. 수중펌프(50)는 상기 컨트롤러(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집수탱크(40)의 몸체(41) 내부 공간에서 수중펌프(50)의 근처위치에는 수위감지센서(60)가 배치된다. 수위감지센서(60)는 상기 컨트롤러(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수위감지센서(60)는 집수탱크(40) 내에 수집되는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일정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컨트롤러(70)에 수위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계속해서 컨트롤러(70)는 수중펌프(50)를 작동시켜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러(70)는 메인 베셀(20)의 제1 측벽(22) 외부면상에 설치된다. 컨트롤러(70)로부터 전기코드선(72)이 일정길이만큼 연장 형성되고, 전기코드선(72)의 자유단부에는 플러그(74)가 부착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10)의 작동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10)의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갈과 모래, 시멘트 및 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건물의 지반이나 지주설치를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레미콘 차량(R)에 적재되어 미경화 상태로 시공현장으로 투입된다. 시공현장이 건물의 지하 바닥이나 벽면 또는 기둥인 경우에는 레미콘 차량(R)으로부터 콘크리트의 직접적인 공급이 가능하지만, 레미콘 차량(R)보다 높은 위치의 고층건물 벽면이나 기둥일 경우에는 콘크리트 펌프카(P)의 붐대(B)에 연결되어 있는 압송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타설현장에 공급하게 된다.
콘크리트 타설 후에는 펌프카(P)의 호퍼(H) 내에 남게되는 콘크리트 잔량(침전물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10)를 바퀴(23)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이동시켜서 펌프카(P)의 호퍼(H) 아랫쪽에 위치시킨다.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10)는 편의에 따라서 별도로 마련된 작업대 위에 위치시키거나 지면상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10)를 적절한 작업위치에 위치시킨 다음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부가 개방된 메인 베셀(20)의 내부에 보조 베셀(30)이 안착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집수탱크(40)의 몸체(41)에 고정된 걸쇠(43)의 타단부를 보조 베셀(30)의 제2 걸림턱(35) 윗면에 찰칵하고 끼워맞추어 고정시킨다. 걸쇠(43)에 의해서 보조 베셀(30)이 메인 베셀(20) 내에 단단히 고정되면, 집수탱크(40)의 몸체(41)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배수 파이프(44)를 콘크리트 타설현장 근처에 별도로 마련된 저수조(도시되지 않음)나 저수탱크(도시되지 않음)까지 끌어다가 위치시킨다. 다음에는, 전기코드선(72)의 플러그(74)를 작업현장 근처의 전원 콘센트(도시되지 않음)에 꽂아서 상기 컨트롤러(70)를 경유하여 상기 수중모터(50) 및 수위감지센서(60)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같은 작업 준비상태가 완료되면, 세척수를 콘크리트 잔류물이 있는 펌프카(P)의 호퍼(H) 내로 공급하게 되는데, 세척수는 급수탱크가 마련된 레미콘 차량(R)으로부터 호퍼(H)로 공급할 수도 있고, 아니면 작업현장 근처의 급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호스(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호퍼(H)로 공급할 수도 있다.
세척수가 호퍼(H)로 공급되면, 호퍼(H)에 별도로 마련된 배수구를 통해서 세척수와 시멘트 잔류물이 잔류물 제거장치(10)의 보조 베셀(30) 내부로 유입된다. 보조 베셀(30) 내부로 유입되는 시멘트, 자갈, 모래 등의 고형물들은 보조 베셀(30)의 제2 바닥(34) 상부면상에 쌓이면서 세척수는 배수구(31)를 통해서 보조 베셀(30)과 메인 베셀(20)의 사이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수구(31)에는 배수용 철망(36)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고형물들은 걸러지게 되고, 세척수만이 배출된다.
배수구(31)를 통해서 보조 베셀(30)과 메인 베셀(20)의 사이 공간으로 배출된 세척수는 다시 메인 베셀(20)의 측벽에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부(21)를 통해서 집수탱크(4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러면, 집수탱크(40) 내에 배치된 수위감지센서(60)는 집수탱크(40) 내에 수집되는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일정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컨트롤러(70)에 수위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계속해서 컨트롤러(70)는 수중펌프(50)를 작동시켜서 세척수를 배수 파이프(44)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배수 파이프(44)를 통해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콘크리트 타설현장 근처에 마련된 별도의 저수조(도시되지 않음)나 저수탱크(도시되지 않음)내에 일정시간동안 저장하게 된다. 일정시간 경과 후, 저수조나 저수탱크 내의 바닥에 가라앉은 콘크리트 침전물을 제외한 물은 다시 외부로 배출하여 재활용하고, 콘크리트 침전물은 일괄 수거하여 폐기처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과정을 통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10)는 콘크리트 타설현장에서 특별한 사용상의 제약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운용 및 철수가 용이하여 경제적이고, 주변환경에 영향을 끼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표현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
20,30 : 베셀 21 : 절개부
22,32 : 측벽 23 : 바퀴
24,34 : 바닥 25,35 : 걸림턱
31 : 배수구 33 : 손잡이부
36 : 배수용 철망 40 : 집수 탱크
41 : 몸체 42 : 덮개
43 : 걸쇠 44 : 배수 파이프
50 : 수중 펌프 60 : 수위감지센서
70 : 컨트롤러 H : 호퍼
P : 펌프카 R : 레미콘 차량

Claims (7)

  1.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10)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정공간을 한정하는 메인 베셀(main vessel)(20) - 상기 메인 베셀(20)은 제1 측벽(22)과 제1 바닥(2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22)에는 일정크기의 절개부(21)가 형성됨 -;
    상기 메인 베셀(20)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여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정공간을 한정하는 보조 베셀(auxiliary vessel)(30) - 상기 보조 베셀(30)은 제2 측벽(32)과 제2 바닥(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벽(32)의 중간부위에는 다수의 배수구(31)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31)에는 배수용 철망(36)이 각각 배치됨 -;
    상기 메인 베셀(20)로부터 전달되는 세척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탱크(40);
    상기 집수탱크(40)에 수집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펌핑하기 위한 수중펌프(50);
    상기 집수탱크(40)에 집수되는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60);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60)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5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셀(20)과 상기 보조 베셀(3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베셀(30)은 상기 메인 베셀(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22)의 최상부 외주면상에는 제1 걸림턱(25)이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벽(32)의 최상부 외주면상에는 제2 걸림턱(35)이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조 베셀(30)을 상기 메인 베셀(20) 내부에 안착시킬 때, 상기 제2 걸림턱(35)의 하부면은 상기 제1 걸림턱(25)의 상부면 위에 놓이게 되고, 상기 제2 걸림턱(35)의 하부면상에는 다수의 손잡이부(33)가 원호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탱크(40)의 몸체(41)는 상기 제1 측벽(22) 외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41)에 의해서 한정되는 상기 집수탱크(40)의 내부공간은 상기 절개부(21)를 통해서 상기 메인 베셀(20)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며, 상기 몸체(41)의 상부에는 덮개(42)가 개폐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상기 덮개(42) 근처 위치에서 상기 몸체(41)의 방사상 측벽 상부에는 걸쇠(43)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걸쇠(43)는 상기 덮개(42)의 상부면을 지나서 상기 제2 걸림턱(35)에 찰칵하고 끼워맞추어질 수 있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1)의 측벽에는 배수 파이프(44)가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41)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수중펌프(50)와 상기 수위감지센서(6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제1 측벽(22) 외부면상에 설치되고, 상기 수중펌프(50)와 상기 수위감지센서(60)는 상기 컨트롤러(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셀(20)의 외부 하부면상에는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10)를 원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바퀴(23)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
KR1020180089961A 2018-08-01 2018-08-01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 KR20200014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961A KR20200014958A (ko) 2018-08-01 2018-08-01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961A KR20200014958A (ko) 2018-08-01 2018-08-01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958A true KR20200014958A (ko) 2020-02-12

Family

ID=69569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961A KR20200014958A (ko) 2018-08-01 2018-08-01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49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853A (ko) 2020-10-27 2022-05-04 현대건설주식회사 셀프 고정형 오염수 이송장치
KR20230158193A (ko) * 2022-05-11 2023-11-20 김명수 건설차량용 잔류물 수거통
KR102617492B1 (ko) * 2023-07-13 2023-12-22 정삼규 생콘크리트 수거장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132B1 (ko) 2012-02-29 2012-07-11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수면의 부유물을 포집하는 포집장치 및 이것이 구비된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132B1 (ko) 2012-02-29 2012-07-11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수면의 부유물을 포집하는 포집장치 및 이것이 구비된 선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853A (ko) 2020-10-27 2022-05-04 현대건설주식회사 셀프 고정형 오염수 이송장치
KR20230158193A (ko) * 2022-05-11 2023-11-20 김명수 건설차량용 잔류물 수거통
KR102617492B1 (ko) * 2023-07-13 2023-12-22 정삼규 생콘크리트 수거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4958A (ko)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물 제거장치
US20090178974A1 (en) Concrete pump washout systems and methods
US7479225B1 (en) Waste material containment apparatus and disposal process
US20120024328A1 (en) Wash-out container
US5922197A (en) Debris suppression device
US9067616B1 (en) Wheelbarrow drainage system
US10654192B1 (en) Concrete washout and water recycling apparatus
CN109415910B (zh) 具有桶形件、用于尤其是放射性环境中的池体的清洁工具
KR101070478B1 (ko) 진동 스크린부가 구비된 슬러지 저장조 개폐장치
KR100545682B1 (ko) 맨홀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1674853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KR101955612B1 (ko)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
KR20170002491U (ko) 우수 처리 장치
JP3462892B2 (ja) 排水圧送装置
US10569306B2 (en) Construction site tool cleaning sink system
KR100574789B1 (ko) 하수박스 퇴적 슬러지 처리 장치
KR101914365B1 (ko)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
KR20070095521A (ko) 하수용 맨홀 퇴적물 수거장치
KR102140062B1 (ko) 안전성이 확보된 친환경 준설 슬러지 탈수처리 장치
JPS6218406Y2 (ko)
KR20150002691U (ko) 빗물집수장치
KR200170219Y1 (ko)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CN214567955U (zh) 一种回收桶及清洁设备
CN220090765U (zh) 一种移动式废水处理装置
KR200187277Y1 (ko) 하수구청소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