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365B1 -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 - Google Patents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365B1
KR101914365B1 KR1020170036082A KR20170036082A KR101914365B1 KR 101914365 B1 KR101914365 B1 KR 101914365B1 KR 1020170036082 A KR1020170036082 A KR 1020170036082A KR 20170036082 A KR20170036082 A KR 20170036082A KR 101914365 B1 KR101914365 B1 KR 101914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ration
sewage
wastewater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587A (ko
Inventor
서영곤
Original Assignee
서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곤 filed Critical 서영곤
Priority to KR1020170036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36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05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6Silo or fluid transpor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가 개시되는 것으로, 진공흡입장치(10)와 연결되고 맨홀의 오수를 흡입하는 오수흡입관(21)과 흡입된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배출관(22) 및 보충수채움부(23)를 갖는 오수탱크(20)와 상기 오수탱크(20)와 연결되어 맨홀 내부의 오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수를 여과하여 상기 오수탱크(20) 내부로 유입시키는 여과장치(100)를 갖는 맨홀 청소차량에 있어서, 상기 오수탱크(20)와 연결되어 상기 오수탱크(20)에 채워지는 오수 또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고압분사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장치(100)는, 상기 오수탱크(20)의 오수배출관(22)과 연결되어 오수배출관(22)을 통해 배출된 오수를 1차 여과시키는 1차여과체(40)와, 상기 1차여과체(4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1차여과체(40)에 의해 1차 여과된 오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수를 2차 여과시키는 2차여과체(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cleaning truck for manhole with filtering device}
본 발명은 맨홀 내부의 청소를 위한 맨홀 청소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의 청소시에 발생되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수를 여과시키고 여과된 물을 재사용하여 맨홀 내부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한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도관 또는 전기 또는 통신을 지하에 매설하기 위한 지하관로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해 관로의 변화나 방향이 바뀌는 곳 또는 길이가 긴 직선부의 중간지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출입 가능한 통로의 역할은 물론 유출구를 통해 관로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맨홀은, 부식이나 이물질 유입에 의해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함은 물론 매설된 전기 또는 통신시설의 유지 및 보수를 하기 위해 작업자가 맨홀의 내부로 들어가기 전 맨홀의 내부를 청소하고 있으며, 맨홀의 청소는 주로 진공흡입차를 이용하여 고압의 세척수를 맨홀의 내부로 분사한 후 슬러지가 포함되어 있는 오수를 흡입하여 청소작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진공흡입차는, 슬러지와 오물을 청소하기 위하여 고압 분사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세척수 분사 후 슬러지 및 오물이 포함된 오수를 회수하는 슬러지 탱크로 분리되어 이중 탱크가 차량에 탑재되고 상기 물탱크의 물을 고압분사 하기 위한 고압펌프 및 세척수 분사장치와,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를 진공 흡입하기 위한 진공펌프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진공흡입차를 이용한 맨홀의 청소는, 물탱크 내의 물을 고압 펌프를 이용해 고압 분사 장치로 분사하여 세척을 실시하고, 세척에 의해 고이는 오수는 진공 흡입 펌프를 이용해 슬러지와 함께 흡입하여 슬러지 탱크로 회수한다.
그러나, 종래 진공흡입차는, 슬러지탱크로 회수되는 오수가 만수위가 되면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킨 후 재작업하고 있으며 물탱크의 물이 부족해지면 물탱크의 물을 재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맨홀의 청소 작업 중에 오수 배출 및 청소용 세척수 공급을 위해 청소 작업 장소로부터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고 슬러지와 오수가 혼합된 상태라서 이를 처리하는 비용이 별도로 들게 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맨홀을 청소하기 위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안출된 바 있다.
일예로, 등록특허 10-0674138호인 맨홀 청소차의 물재사용 오수 처리 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세척수를 고압 분사하여 청소작업을 하고 오수를 회수처리하도록 차량에 탑재되어 설치되는 청소차의 오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진공흡입장치에 의해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오수 흡입 호스를 통해서 오수를 흡입받는 슬러지 탱크와, 상기 슬러지 탱크의 내부에 격벽으로 설치되어 흡입된 오수를 1차 여과하는 1차여과필터와, 상기 1차여과필터에서 여과된 오수를 2차 여과하는 2차여과필터와, 상기 2차여과필터에서 여과된 오수를 슬러지 탱크의 외부로 양수하는 제1양수펌프와, 상기 제1양수펌프에 의해 양수된 오수를 섬유 필터장치를 이용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세척수로 여과하는 필터탱크와, 상기 필터탱크의 섬유 필터장치로 처리수 흡입력을 발생시켜 섬유필터를 거쳐 슬러지가 걸러지게 함과 아울러 여과된 세척수를 펌핑하기 위한 제2양수펌프와, 세척수를 고압 분사장치를 통해서 고압 분사하여 청소작업을 하면서 상기 제2양수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세척수를 재활용수로 공급받는 세척수 탱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맨홀의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수를 흡입하여 슬러지 탱크로 회수한 후 오수에서 슬러지를 분리하고 물을 여과처리하여 재사용하도록 하고는 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10-1275881호인 하수 맨홀 준설차용 슬러지 원심분리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며 하수구의 퇴적물을 수거하여 저장한 후 퇴적물에서 수분과 슬러지를 분리하도록 된 차량용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며 퇴적물을 진공흡입하여 저장하도록 진공흡입부재, 퇴적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가지는 저장조를 가지는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의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퇴적물을 공급받아 퇴적물에서 슬러지와 수분을 원심분리하도록 상기 저장조와 연결된 공급부재와, 상기 공급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퇴적물을 수용함과 아울러 수용된 퇴적물을 원심분리하여 슬러지와 오수를 원심분리하도록 된 분리부재를 가지는 분리수단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맨홀에서 수거된 슬러지를 여과하여 분리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고 여과된 슬러지는 별도로 적재하여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전자의 경우 슬러지탱크와 필터탱크 및 세척수탱크로 구비되고 또한 제1양수펌프, 제2양수펌프가 필수구성요소로 구비되어 있고 후지의 경우 저장수단과 원심분리수단과 같이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오수 처리장치에 대한 제조비용이 증대되어 비용부담을 야기시키고 차량에 차지하는 공간이 커짐에 따라 공간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674138호(2007.01.18.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75881호(2013.06.11. 등록)
본 발명은 차량에 오수탱크를 탑재하고 오수탱크에 여과장치를 연결하여 맨홀의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수를 진공흡입에 의해 오수탱크 내부로 흡입한 후 흡입된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수를 여과장치를 통해 여과시켜 맨홀의 세척수로 재사용하거나 또는 버려지도록 하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차량의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필터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은 물론 편의성을 향상시켜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은, 진공흡입장치와 연결되고 맨홀의 오수를 흡입하는 오수흡입관과 흡입된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배출관 및 보충수채움부를 갖는 오수탱크와 상기 오수탱크와 연결되어 맨홀 내부의 오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수를 여과하여 상기 오수탱크 내부로 유입시키는 여과장치를 갖는 맨홀 청소차량에 있어서, 상기 오수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오수탱크에 채워지는 오수 또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고압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장치는, 상기 오수탱크의 오수배출관과 연결되어 오수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오수를 1차 여과시키는 1차여과체와; 상기 1차여과체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1차여과체에 의해 1차 여과된 오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수를 2차 여과시키는 2차여과체로 구비되고, 상기 1차여과체는, 전면에 도어가 구비되고 하단 일측에 제1오수유출부가 구비되며 상단에 제1외향플랜지를 갖는 1차여과몸체와; 상기 1차여과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외향플랜지에 안착되는 제2외향플랜지가 상단에 구비되며 슬러지는 담아지고 1차 여과된 오수가 상기 제1오수유출부측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오수여과구멍이 통공되며 상기 1차여과몸체의 도어측으로 개방부를 갖는 1차여과필터체와; 상기 1차여과몸체의 상부측에 덮어지고 상기 오수탱크 내부의 오수가 상기 오수배출관을 통해 유입되도록 상기 오수배출관과 연결되는 제1오수유입부가 구비되고 하단에 상기 1차여과몸체의 제1외향플랜지와 밀착되어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제2외향플랜지가 구비되는 1차여과덮개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2차여과체는,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1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1차여과몸체의 제1오수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오수유출부를 통해 유출되는 오수가 유입되는 제2오수유입부가 구비되는 2차여과덮개와; 상기 2차여과덮개가 상부에 덮어지며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체결부가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된 2차여과몸체와; 상기 2차여과몸체의 개방된 상부 내측에 구비되고 내측에 복수개의 투입구멍이 통공되며 상기 투입구멍 각각의 상면 둘레부에 걸림고정구가 구비된 필터거치체와; 상기 필터거치체의 투입구멍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필터거치체의 걸림고정구에 끼움 고정되는 2차여과필터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2차여과필터체는, 외면에 복수개의 제1유출구멍이 관통된 제1여과통과; 상기 제1여과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필터와; 상기 제1여과통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여과통을 파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필터거치체의 걸림고정구와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손잡이를 잡고 상기 제1여과통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필터거치체의 걸림고정구에 끼워지거나 상기 필터거치체의 걸림고정구로부터 이탈되는 걸림고정편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2차여과체의 제1여과통 내부에는, 외면에 복수개의 제2유출구멍이 관통된 제2여과통과; 상기 제2여과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필터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는, 상기 2차여과덮개의 외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제1덮개체결편과; 상기 제1덮개체결편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덮개체결편으로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는, 상기 제1덮개체결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상기 2차여과몸체의 외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제1몸체체결편과; 상기 2차여과몸체의 외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몸체체결편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덮개체결편과 대응되는 제2몸체체결편과; 상기 제1몸체체결편과 상기 제2몸체체결편 사이에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 나사체결부를 갖는 힌지회동구와; 상기 힌지회동구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가 상기 힌지핀을 축으로 하여 회동되어 상기 힌지회동구의 타측에 구비된 나사체결부가 상기 제1덮개체결편과 제2덮개체결편 사이에 위치된 후 상기 나사체결부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1덮개체결편과 제2덮개체결편의 상단에 강하게 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덮개체와 상기 몸체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너트형고정구로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2차여과몸체의 상단과 상기 2차여과덮개 사이에는 상기 2차여과덮개에 구비되는 제2오수유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 여과하는 보조여과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여과체는, 상기 2차여과몸체의 상단 전체를 덮어 포설하는 보조여과판과; 상기 보조여과판의 내측에 복수개 관통되는 보조여과구멍과; 상기 보조여과판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3체결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한 차량에 맨홀의 오수 및 슬러지를 여과시키는 여과장치가 구비됨에 따라 이동성 및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여과통과 제1필터로 이루어진 여과체를 갖는 여과장치와 판형으로 이루어진 보조여과체 및 보조여과장치에 의해 맨홀에 잔류하고 있던 오수와 슬러지 및 맨홀의 청소 중 발생되는 오수 및 슬러지를 깨끗하게 여과시킴은 물론 여과된 물을 맨홀의 청소작업에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에 필요한 물을 따로 제공받지 않아도 되어 청소성 및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의 구성요부에 의해 맨홀의 오수가 여과되는 전체흐름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의 구성요부인 여과장치의 필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의 여과장치의 걸림 및 이탈작용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의 여과체 구성을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의 체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은, 진공흡입장치(10)와 연결되고 맨홀의 오수를 흡입하는 오수흡입관(21)과 흡입된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배출관(22) 및 보충수채움부(23)를 갖는 오수탱크(20)와 상기 오수탱크(20)와 연결되어 맨홀 내부의 오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수를 여과하여 상기 오수탱크(20) 내부로 유입시키는 여과장치(100)를 갖는 맨홀 청소차량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오수탱크(20)와 연결되어 상기 오수탱크(20)에 채워지는 오수 또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고압분사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흡입장치(10)와 연결되는 상기 오수탱크(20)는, 진공흡입장치(10)의 진공압에 의해 맨홀(M) 내부의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를 상기 오수흡입관(21)을 통해 흡입하여 수용한다.
즉, 상기 오수흡입관(21)과 연결되는 호스를 맨홀(M)의 내부에 넣어 위치한 후 상기 진공흡입장치(10)를 가동시키면 진공흡입장치(10)의 진공압이 상기 오수탱크(20)를 통해 상기 오수흡입관(21)과 연결되는 호스에 전달되고 전달되는 진공압에 의해 맨홀 내부에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수가 상기 오수흡입관(21)을 통해 흡입되어 상기 오수탱크(20) 내부에 채워져 수용된다.
또한, 상기 오수탱크(20) 내부에 채워진 오수는 상기 오수탱크(20)의 오수배출관(22)과 연결되는 여과장치(100)에 의해 여과된 후 상기 고압분사부(30)를 통해 맨홀의 내부로 고압분사하여 맨홀 내부의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맨홀 내부의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오수탱크(20) 내부로 흡입되어 재여과된 오수를 빗물배수로측으로 버리면 된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오수탱크(20)와 연결되는 배수펌프를 갖는 배출부가 더 구비되어 맨홀 내부의 청소가 다 완료된 후 오수탱크(20) 내부에 잔류하는 오수를 오수탱크(20) 내부로부터 완전히 배출하여 버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 맨홀 내부에 잔류하고 있던 오수 또는 맨홀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 1차적으로 맨홀 내부에 분사한 세척수를 버리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세척수를 오수탱크(20) 내부에 재충전하기 위해 청소차량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세척수공급차량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보충수채움부(23)는, 예를 들어 맨홀 내부에 기존 오수가 존재하기 않거나 또는 맨홀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 양이 적을 경우 상기 오수탱크(20)의 내부로 보충수를 채워주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여과장치(100)는, 상기 오수탱크(20)의 오수배출관(22)과 연결되어 오수배출관(22)을 통해 배출된 오수를 1차 여과시키는 1차여과체(40)와, 상기 1차여과체(4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1차여과체(40)에 의해 1차 여과된 오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수를 2차 여과시키는 2차여과체(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차여과체(50)와 연결되는 3차여과체(80)를 더 구비하여 오수에 대한 여과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3차여과체(80)는 상기 2차여과체(50)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1차여과체(40)는, 전면에 도어(411)가 구비되고 하단 일측에 제1오수유출부(412)가 구비되며 상단에 제1외향플랜지(413)를 갖는 1차여과몸체(41)와, 상기 1차여과몸체(41)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외향플랜지(413)에 안착되는 제2외향플랜지(421)가 상단에 구비되며 슬러지는 담아지고 1차 여과된 오수가 상기 제1오수유출부(412)측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오수여과구멍(422)이 통공되며 상기 1차여과몸체(41)의 도어(411)측으로 개방부(423)를 갖는 1차여과필터체(42)와, 상기 1차여과몸체(41)의 상부측에 덮어지고 상기 오수탱크(20) 내부의 오수가 상기 오수배출관(22)을 통해 유입되도록 상기 오수배출관(22)과 연결되는 제1오수유입부(431)가 구비되고 하단에 상기 1차여과몸체(41)의 제1외향플랜지(413)와 밀착되어 체결구(432)에 의해 체결되는 제2외향플랜지(433)가 구비되는 1차여과덮개(43)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1차여과몸체(41)는 함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면에 구비된 도어(411)에 의해 1차여과몸체(41)의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여과몸체(41)의 전면에 도어(411)를 구비하는 이유는,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가 1차여과몸체(41)의 내부에 수용된 1차여과필터(42)에 상기 1차여과필터(42)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오수여과구멍(422)에 의해 슬러지가 걸러져 1차여과필터(42)의 내부에 쌓이게 되는 바, 상기 1차여과몸체(41)의 전면에 구비된 도어(411)를 열어 1차여과몸체(41)의 전면을 개방한 후 상기 1차여과필터(42)의 내부에 쌓인 슬러지를 밖으로 꺼내어 제거하면 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1차여과필터(42)에 상기 도어(411)측으로 위치되는 개방부(423)를 구비한 것이다.
물론, 상기 1차여과몸체(41)의 내부에 구비되는 1차여과필터(42)측으로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가 유입되어 슬러지가 걸러진 오수가 상기 오수여과구멍(422)을 통해 상기 2차여과체(50)측으로 유입되는 여과과정에서 오수가 상기 1차여과몸체(41)의 전면에 구비된 도어(411)측으로 빠져나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411)와 1차여과몸체(41) 사이에 기밀성 및 밀폐성을 갖도록 하는 기밀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여과체(40)에 의해 오수탱크(20) 내부에 흡입된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가 1차적으로 여과된 후 상기 2차여과체(50)측으로 유입되어 2차 여과됨에 따라 오수에 대한 여과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상기 2차여과체(50)는,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1체결부(511)가 구비되고 상기 1차여과몸체(40)의 제1오수유출부(412)와 연결되어 상기 제1오수유출부(412)를 통해 유출되는 오수가 유입되는 제2오수유입부(512)가 구비되는 2차여과덮개(51)와, 상기 2차여과덮개(51)가 상부에 덮어지며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511)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체결부(521)가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된 2차여과몸체(52)와, 상기 2차여과몸체(52)의 개방된 상부 내측에 구비되고 내측에 복수개의 투입구멍(531)이 통공되며 상기 투입구멍(531) 각각의 상면 둘레부에 걸림고정구(532)가 구비된 필터거치체(53)와, 상기 필터거치체(53)의 투입구멍(531)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2차여과몸체(52)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필터거치체(53)의 걸림고정구(532)에 끼움 고정되는 2차여과필터체(5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2차여과덮개(51)와 2차여과몸체(52)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 원형으로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2차여과덮개(51)와 2차여과몸체(52) 사이에는 기밀성 및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킹과 같은 기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2차여과덮개(51)와 상기 2차여과몸체(52)는, 서로에 대해 경첩과 같은 힌지수단에 의해 대응되는 일측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이 때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511) 및 복수개의 제2체결부(321)는 2차여과덮개(51)와 2차여과몸체(52)를 힌지연결하는 힌지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2차여과필터체(54)는, 상기 투입구멍(531)측으로 끼워지거나 투입구멍(531)으로부터 빼낼 수 있는 것으로, 이는 2차여과필터체(54)의 내부에 여과되어 걸러진 슬러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2차여과체(50)는, 상기 제2오수유입부(512)측으로 상기 1차여과체(40)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된 오수가 유입되어 상기 2차여과덮개(51)를 통해 상기 2차여과덮개(51)와 연결된 2차여과몸체(52)측으로 낙하된 후 상기 2차여과몸체(52)의 상부에 구비되는 필터거치체(53)의 복수개 구비된 투입구멍(531)에 각각 인입된 2차여과필터체(54) 내부측으로 유입된 후 2차여과필터체(54)에 의해 2차 여과되어 상기 고압분사부(30)에 의해 맨홀의 내부로 재 분사되어 맨홀의 청소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2차여과체(50)의 2차여과필터체(54)는, 외면에 복수개의 제1유출구멍(541)이 관통된 제1여과통(542)과, 상기 제1여과통(54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필터(543)와, 상기 제1여과통(54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여과통(542)을 파지하는 손잡이(544)와, 상기 필터거치체(53)의 걸림고정구(532)와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손잡이(544)를 잡고 상기 제1여과통(542)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필터거치체(53)의 걸림고정구(532)에 끼워지거나 상기 필터거치체(53)의 걸림고정구(532)로부터 이탈되는 걸림고정편(545)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여과통(542)에 관통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유출구멍(541)의 크기는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상기 제1필터(543)를 통과한 오수가 유출되는 정도이면 족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2차여과필터체(54)는, 제1여과통(542)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544)를 돌려주는 것에 의해 상기 필터거치체(53)의 걸림고정구(532)에 상기 걸림고정편(545)이 걸어지거나 또는 필터거치체(53)의 걸림고정구(532)로부터 상기 걸림고정편(545)이 이탈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여과통(54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필터(543)를 교체하거나 또는 청소하거나 또는 상기 제1여과통(542)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 상기 손잡이(544)를 돌려 상기 필터거치체(53)의 걸림고정구(532)로부터 상기 걸림고정편(545)을 이탈시킨 후 상기 손잡이(544)를 들어올려 상기 2차여과필터체(54)를 구비하는 제1여과통(542)을 상기 필터거치체(53)의 투입구멍(531)으로부터 빼내면 된다.
이와 같이 제1여과통(542)과 제1필터(543)에 의해 2차여과필터체(54)가 구비됨에 따라,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수가 상기 제1여과통(54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필터(543) 내부로 낙하되어 슬러지는 제1필터(543)에 의해 걸러지고 상기 제1여과통(542)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유출구멍(541)을 통해 슬러지가 여과된 오수만이 빠져나와 고압분사부(30)에 의해 맨홀(M)의 내부로 분사된다.
상기 2차여과체(50)의 제1여과통(542) 내부에는, 외면에 복수개의 제2유출구멍(61)이 관통된 제2여과통(62)과, 상기 제2여과통(6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필터(63)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내부에 제2필터(63)이 수용되는 상기 제2여과통(62)은, 상기 제1여과통(62)의 외부측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2여과통(62) 및 제2필터(63)가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의 여과작용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511)는, 상기 2차여과덮개(51)의 외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제1덮개체결편(5111)과, 상기 제1덮개체결편(511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덮개체결편(5112)으로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521)는, 상기 제1덮개체결편(5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상기 2차여과몸체(52)의 외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제1몸체체결편(5211)과, 상기 2차여과몸체(52)의 외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몸체체결편(521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덮개체결편(5112)과 대응되는 제2몸체체결편(5213)과, 상기 제1몸체체결편(5211)과 상기 제2몸체체결편(5213) 사이에 힌지핀(5214)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5215)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 나사체결부(5216)를 갖는 힌지회동구(5217)와, 상기 힌지회동구(5217)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5215)가 상기 힌지핀(5214)을 축으로 하여 회동되어 상기 힌지회동구(5217)의 타측에 구비된 나사체결부(5216)가 상기 제1덮개체결편(5111)과 제2덮개체결편(5112) 사이에 위치된 후 상기 나사체결부(5216)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1덮개체결편(5111)과 제2덮개체결편(5112)의 상단에 강하게 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2차여과덮개(51)와 상기 2차여과몸체(52)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너트형고정구(5218)로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회동구(5217)은, 상기 힌지핀(5214)을 축으로 하여 상기 2차여과덮개(51)측으로 회전되거나 또는 상기 2차여과몸체(52)측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2차여과덮개(51)를 2차여과몸체(52)의 상단에 덮으면 상기 제1덮개체결편(5111)과 상기 제1몸체체결편(5211) 및 상기 제2덮개체결편(5112)과 상기 제2몸체체결편(5213)가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는 바, 이와 같이 2차여과덮개(51)를 2차여과몸체(52)의 상단에 덮은 후 상기 힌지핀(5214)을 축으로 하여 상기 힌지회동구(5217)를 2차여과덮개(51)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힌지회동구(5217)가 상기 제1몸체체결편(5211)과 제2몸체체결편(5213)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면 상기 힌지회동구(5217)의 타측에 구비된 나사체결부(5216)가 상기 제1몸체체결편(5211)과 제2몸체체결편(5213) 사이의 상부측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와 같이 제1몸체체결편(5211)과 제2몸체체결편(5213) 사이의 상부측으로부터 돌출된 힌지회동구(5217)의 나사체결부(5216)에 상기 너트형고정구(5218)를 체결하면, 상기 2차여과덮개(51)의 제1덮개체결편(5111) 및 제2덮개체결편(5112)을 상기 2차여과몸체(52)의 제1몸체체결편(5211) 및 제2몸체체결편(5213)측으로 눌러주면서 체결하기 때문에, 상기 2차여과덮개(51)와 2차여과몸체(52)가 견고하게 체결된다.
본 발명의 상기 2차여과몸체(52)의 상단과 상기 2차여과덮개(51) 사이에는 상기 2차여과덮개(51)에 구비되는 제2오수유입부(512)를 통해 흡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 여과하는 보조여과체(7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보조여과체(70)는, 상기 2차여과몸체(52)의 상단 전체를 덮어 포설하는 보조여과판(71)과, 상기 보조여과판(71)의 내측에 복수개 관통되는 보조여과구멍(72)과, 상기 보조여과판(7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511)와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521)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3체결부(73)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여과판(71)의 내측에 관통되는 복수개의 보조여과구멍(72)의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보조여과판(71)의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보조여과판(71)의 내측에 균등간격으로 관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여과체(70)가 상기 2차여과덮개(51)와 2차여과몸체(52) 사이에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2차여과덮개(51)의 제2오수유입부(512)를 통해 유입된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상기 보조여과체(70)의 보조여과판(71) 내측에 구비된 보조여과구멍(72)을 통해 먼저 걸러지기 때문에 상기 2차여과체(50)의 2차여과필터체(54)측으로 슬러지의 유입이 적어짐에 따라 2차여과필터체(54)의 교체 및 청소시기를 연장할 수 있으며,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보조여과체(70)에 의해 먼저 걸러져 여과되고 다시 2차여과체(50)에 의해 걸러져 여과되기 때문에 여과효율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징공흡입장치 20 : 오수탱크
21 : 오수흡입관 22 : 오수배출관
23 : 보충수채움부 30 : 고압분사부
40 : 1차여과체 41 : 1차여과몸체
411 : 도어 412 : 제1오수유출부
413 : 제1외향플랜지 42 : 1차여과필터체
421 : 제2외향플랜지 422 : 오수여과구멍
423 : 개방부 43 : 1차여과덮개
431 : 제1오수유입부 432 : 체결구
433 : 제2외향플랜지 50 : 2차여과체
51 : 2차여과덮개 511 : 제1체결부
512 : 제2오수유입부 52 : 2차여과몸체
521 : 제2체결부 53 : 필터거치체
531 : 투입구멍 532 : 걸림고정구
54 : 2차여과필터체 541 : 제1유출구멍
542 : 제1여과통 543 : 제1필터
544 : 손잡이 545 : 걸림고정편
61 : 제2유출구멍 62 : 제2여과통
63 : 제2필터 70 : 보조여과체
71 : 보조여과판 72 : 보조여과구멍
73 : 제3체결부 100 : 여과장치
5111 : 제1덮개체결편 5112 : 제2덮개체결편
5211 : 제1몸체체결편 5213 : 제2몸체체결편
5214 : 힌지핀 5215 : 힌지부
5216 : 나사체결부 5217 : 힌지회동구
5218 : 너트형고정구

Claims (5)

  1. 진공흡입장치(10)와 연결되고 맨홀의 오수를 흡입하는 오수흡입관(21)과 흡입된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배출관(22) 및 보충수채움부(23)를 갖는 오수탱크(20)와 상기 오수탱크(20)와 연결되어 맨홀 내부의 오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수를 여과하여 상기 오수탱크(20) 내부로 유입시키는 여과장치(100)를 갖는 맨홀 청소차량에 있어서,
    상기 오수탱크(20)와 연결되어 상기 오수탱크(20)에 채워지는 오수 또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고압분사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장치(100)는,
    상기 오수탱크(20)의 오수배출관(22)과 연결되어 오수배출관(22)을 통해 배출된 오수를 1차 여과시키는 1차여과체(40)와;
    상기 1차여과체(4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1차여과체(40)에 의해 1차 여과된 오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수를 2차 여과시키는 2차여과체(50)로 구비되고,
    상기 1차여과체(40)는,
    전면에 도어(411)가 구비되고 하단 일측에 제1오수유출부(412)가 구비되며 상단에 제1외향플랜지(413)를 갖는 1차여과몸체(41)와;
    상기 1차여과몸체(41)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외향플랜지(413)에 안착되는 제2외향플랜지(421)가 상단에 구비되며 슬러지는 담아지고 1차 여과된 오수가 상기 제1오수유출부(412)측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오수여과구멍(422)이 통공되며 상기 1차여과몸체(41)의 도어(411)측으로 개방부(423)를 갖는 1차여과필터체(42)와;
    상기 1차여과몸체(41)의 상부측에 덮어지고 상기 오수탱크(20) 내부의 오수가 상기 오수배출관(22)을 통해 유입되도록 상기 오수배출관(22)과 연결되는 제1오수유입부(431)가 구비되고 하단에 상기 1차여과몸체(41)의 제1외향플랜지(413)와 밀착되어 체결구(432)에 의해 체결되는 제2외향플랜지(433)가 구비되는 1차여과덮개(43)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2차여과체(50)는,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1체결부(511)가 구비되고 상기 1차여과몸체(40)의 제1오수유출부(412)와 연결되어 상기 제1오수유출부(412)를 통해 유출되는 오수가 유입되는 제2오수유입부(512)가 구비되는 2차여과덮개(51)와;
    상기 2차여과덮개(51)가 상부에 덮어지며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511)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체결부(521)가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된 2차여과몸체(52)와;
    상기 2차여과몸체(52)의 개방된 상부 내측에 구비되고 내측에 복수개의 투입구멍(531)이 통공되며 상기 투입구멍(531) 각각의 상면 둘레부에 걸림고정구(532)가 구비된 필터거치체(53)와;
    상기 필터거치체(53)의 투입구멍(531)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2차여과몸체(52)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필터거치체(53)의 걸림고정구(532)에 끼움 고정되는 2차여과필터체(54)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여과체(50)의 2차여과필터체(54)는,
    외면에 복수개의 제1유출구멍(541)이 관통된 제1여과통(542)과;
    상기 제1여과통(54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필터(543)와;
    상기 제1여과통(54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여과통(542)을 파지하는 손잡이(544)와;
    상기 필터거치체(53)의 걸림고정구(532)와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손잡이(544)를 잡고 상기 제1여과통(542)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필터거치체(53)의 걸림고정구(532)에 끼워지거나 상기 필터거치체(53)의 걸림고정구(532)로부터 이탈되는 걸림고정편(545)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여과체(50)의 제1여과통(542) 내부에는,
    외면에 복수개의 제2유출구멍(61)이 관통된 제2여과통(62)과;
    상기 제2여과통(6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필터(63)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511)는,
    상기 2차여과덮개(51)의 외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제1덮개체결편(5111)과;
    상기 제1덮개체결편(511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덮개체결편(5112)으로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521)는,
    상기 제1덮개체결편(5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상기 2차여과몸체(52)의 외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제1몸체체결편(5211)과;
    상기 2차여과몸체(52)의 외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몸체체결편(521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덮개체결편(5112)과 대응되는 제2몸체체결편(5213)과;
    상기 제1몸체체결편(5211)과 상기 제2몸체체결편(5213) 사이에 힌지핀(5214)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5215)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 나사체결부(5216)를 갖는 힌지회동구(5217)와;
    상기 힌지회동구(5217)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5215)가 상기 힌지핀(5214)을 축으로 하여 회동되어 상기 힌지회동구(5217)의 타측에 구비된 나사체결부(5216)가 상기 제1덮개체결편(5111)과 제2덮개체결편(5112) 사이에 위치된 후 상기 나사체결부(5216)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1덮개체결편(5111)과 제2덮개체결편(5112)의 상단에 강하게 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2차여과덮개(51)와 상기 2차여과몸체(52)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너트형고정구(5218)로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여과몸체(52)의 상단과 상기 2차여과덮개(51) 사이에는 상기 2차여과덮개(51)에 구비되는 제2오수유입부(512)를 통해 흡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 여과하는 보조여과체(7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여과체(70)는,
    상기 2차여과몸체(52)의 상단 전체를 덮어 포설하는 보조여과판(71)과;
    상기 보조여과판(71)의 내측에 복수개 관통되는 보조여과구멍(72)과;
    상기 보조여과판(7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511)와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521)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3체결부(73)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
KR1020170036082A 2017-03-22 2017-03-22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 KR101914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82A KR101914365B1 (ko) 2017-03-22 2017-03-22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82A KR101914365B1 (ko) 2017-03-22 2017-03-22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587A KR20180107587A (ko) 2018-10-02
KR101914365B1 true KR101914365B1 (ko) 2018-11-01

Family

ID=6386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082A KR101914365B1 (ko) 2017-03-22 2017-03-22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3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364B1 (ko) 2021-05-18 2022-01-14 한우테크 (주) 맨홀 오수 여과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443B1 (ko) 2003-04-14 2004-03-18 이텍산업 주식회사 준설차의 오수 리싸이클링장치
KR200394044Y1 (ko) 2005-04-14 2005-08-31 손석옥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여과 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443B1 (ko) 2003-04-14 2004-03-18 이텍산업 주식회사 준설차의 오수 리싸이클링장치
KR200394044Y1 (ko) 2005-04-14 2005-08-31 손석옥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여과 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364B1 (ko) 2021-05-18 2022-01-14 한우테크 (주) 맨홀 오수 여과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587A (ko)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138B1 (ko) 맨홀 청소차의 물재사용 오수 처리 장치
KR20100023174A (ko) 식기 세척기
KR20070102056A (ko) 배수펌프를 구비하는 세탁기
KR101804340B1 (ko) 잔류레미콘 처리장치
KR100928073B1 (ko) 복합식 준설차
KR101914365B1 (ko) 여과장치가 구비된 맨홀 청소차량
WO2016086961A1 (en) Improved rotating spray arm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101402040B1 (ko) 레미콘차량의 잔류레미콘 처리장치
KR100885552B1 (ko) 상수 가압용 펌프유닛
KR20190140307A (ko) 맨홀 청소차량
KR101584540B1 (ko) 대형 식품용기 자동 세척장치
KR101616225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KR20080088175A (ko) 세탁기
KR100928068B1 (ko) 준설차의 수분배출장치
CN107030075B (zh) 一种自动收集废渣的水污分离系统
KR101674853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JP2021130958A (ja) 管内清掃方法
KR101388418B1 (ko) 드럼통 세척액 정화 및 세척 볼 회수장치
KR20170002491U (ko) 우수 처리 장치
CN218738820U (zh) 箱体组件及清洁设备
KR200342377Y1 (ko) 오일탱크 세척장치
KR20140051748A (ko) 대형 용기의 자동 세척장치
KR101011697B1 (ko) 오수 처리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스크린 필터
EP1201812B1 (en) A filtering unit for a washing machine
KR102112451B1 (ko) 준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