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875B1 -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875B1
KR102423875B1 KR1020210025372A KR20210025372A KR102423875B1 KR 102423875 B1 KR102423875 B1 KR 102423875B1 KR 1020210025372 A KR1020210025372 A KR 1020210025372A KR 20210025372 A KR20210025372 A KR 20210025372A KR 102423875 B1 KR102423875 B1 KR 102423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di
water
electrode
circulation
concentr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철
권태옥
이강유
진채현
Original Assignee
죽암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죽암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죽암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5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도,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대상 원수가 유입되고, 전기장 원리를 이용하여 유입된 원수로부터 이온성 무기 오염물질을 흡착 방식으로 제거하는 CDI처리조; 및 상기 CDI처리조와 한 쌍의 순환관을 통해 병렬 연결되고 상기 CDI처리조로 유입되는 원수가 유입되어 이를 수용하며, 상기 CDI처리조의 탈착 공정 시 작동되어 수용된 원수가 재생수로서 CDI처리조에 순환되게 하고 CDI처리조에서 회수되는 재생수의 농축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상일 경우 수용된 재생수를 배출하는 순환재생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Ion concentrated water circulation and regeneration system to prevent scale and improve CDI process recovery rate}
본 발명은 CDI 공정으로 유입되는 유입 원수를 별도 저장하고 이를 CDI처리조의 탈착(재생) 공정 시 순환시켜 재생수로서 활용되게 함으로써 반복적인 흡, 탈착 공정에도 안정적인 처리수를 확보하면서 처리수의 회수율(처리수/유입수)을 극대화할 수 있는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I(Capacitive Deionization) 공정은 수중에 존재하는 이온성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음용수 및 공업용 연수, 순수, 초순수 제조 그리고 담수화 공정에서 널리 활용하는 기술이다.
CDI 공정에서는 처리 용량에 따라 복수의 CDI모듈을 구비하고 있는데, 각 CDI모듈을 구성하고 있는 기본 스텍 구조는 서로 다른 선택적 이온교환막이 코팅 또는 피복된 한 쌍의 다공성 탄소전극집전체와 이들 사이에 마련되어 처리 대상 유체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메쉬 스페이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CDI공정의 탈염 메커니즘은 선택적 이온교환막이 부착된 한 쌍의 탄소전극에 물분해 전위(1.5V이하)의 흡착전위를 공급하며, 스페이서를 통해 용존이온이 함유된 유체를 통과시키면 공급된 전위와 반대전하를 띄는 용존이온이 한 쌍의 상대전위전극 표면으로 이동, 전기적 이중층(Electrical double layer)을 구성하며 흡착되고, 탄소전극집전체의 흡착용량이 포화되면 반대전위의 공급 또는 공급전위를 끊어줌(Short or Shunt)으로써 탈착 재생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탈염수를 생산하게 된다.
그리고 탄소전극집전체에 흡착된 이온의 탈착과정에서 탈착된 농축염수를 CDI 스텍 외부로 배출하여 전극을 초기상태(흡착전 상태)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배출수를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배출수는 유입수 또는 처리수를 이용하여 탈착된 이온농축수를 단위스텍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기존 CDI 탈착(재생)공정에서 회수율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는 탈착과정 시 탈착수(재생수)의 배출 펌프를 정지한 상태에서 역전위 또는 단락(short) 과정을 통해 전극에 흡착된 이온이 스페이서로 이동한 후 일거에 스텍 외부로 배출하거나, 역전위 또는 단락(short) 과정시 탈착수(재생수) 배출유량을 최소화하여 천천히 스텍외부로 고농도 탈착염수를 배출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극재생을 위한 역전위 또는 단락(short)과정에서 유체의 흐름이 없거나 저유량일 경우 약 300um 이내의 스페이서 공간에는 전극에서 탈리된 이온들에 의해 순간적으로 용해도 한계치 이상의 고농도 이온상태가 된다. 이때 탈리된 이온 중에 존재하는 칼슘이온(Ca2+) 또는 마그네슘이온(Mg2+)이 황산이온(SO42-) 또는 탄산이온(CO3-), 중탄산이온(HCO3-)과 반응하여 순간적으로 탄산칼슘(CaCO3)이나 탄산마그네슘(MgCO3) 또는 황산칼슘(CaSO4) 이나 황산마그네슘(MgSO4) 등의 무기 스케일을 형성하게 된다.
CDI 단위스텍 내부에서 상술한 반응에 의하여 탄산칼슘 또는 황산칼슘 등에 의한 스케일이 형성되면, 유로의 폐색에 의한 압력상승과 내부저항 증가를 초래하여 운전전압의 상승은 물론 이로 인한 전극부반응으로 전극의 산화와 처리수질의 악화가 유발되고, 종국에는 CDI모듈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무기이온에 의한 CDI 단위 스텍의 스페이서 내부 스케일 형성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인 산세정 과정을 실시하였으나, 이 경우 산세정 폐액의 과발생 또는 탈착공정 과정에서 지속적인 유입수 또는 처리수를 이용한 Drain 및 Rinse 과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처리수 회수율의 저하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2225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CDI 공정으로 유입되는 유입 원수를 별도 저장하고 이를 CDI처리조의 탈착(재생) 공정 시 순환시켜 재생수로서 활용되게 함으로써 반복적인 흡, 탈착 공정에도 안정적인 처리수를 확보하면서 처리수의 회수율(처리수/유입수)을 극대화할 수 있는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순환하는 재생수의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 상승하게 되는 염농도에 대한 pH를 7이하로 조절하여 고농도의 이온 상태에서도 탄산칼슘 또는 황산칼슘 등의 스케일 유발없이 장기간으로 안정적인 CDI 공정의 운용이 가능한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 함)은, 처리대상 원수가 유입되고, 전기장 원리를 이용하여 유입된 원수로부터 이온성 무기 오염물질을 흡착 방식으로 제거하는 CDI처리조; 및 상기 CDI처리조와 한 쌍의 순환관을 통해 병렬 연결되고 상기 CDI처리조로 유입되는 원수가 유입되어 이를 수용하며, 상기 CDI처리조의 탈착 공정 시 작동되어 수용된 원수가 재생수로서 CDI처리조에 순환되게 하는 순환재생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순환재생조에 수용 또는 순환 중인 재생수의 pH가 저감되도록 pH를 조절하는 pH제어수단;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pH제어수단은, 상기 순환관과 연통되는 유입라인이 마련되어 상기 재생수가 유입되고, 상기 재생수를 전기 분해하여 산성수를 생성하며, 생성한 산성수를 상기 순환재생조로 공급하는 전기분해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CDI처리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DI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CDI모듈은, 각각 중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이 직렬로 나란하게 연결되는 듀얼 전극이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호 적층되는 CDI전극부; 및 상기 CDI전극부를 수용하며 하부와 상부를 통해 각각 원수가 유입되고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케이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부는,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하부개구부와 상부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여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과 유입원수에 대한 상기 CDI전극부의 탈착 과정에서 처리되는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배출공이 형성되는 하부커버; 상기 본체의 상부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여 유입원수에 대한 CDI전극부의 흡착 과정에서 처리되는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배출공이 형성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의 농축수배출공과 상기 상부커버의 처리수배출공에 각각 결합되어 CDI전극부의 처리 과정에서 농축수 또는 처리수를 선택적으로 배출되게 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하부커버는, 중심부에 관통 형성되는 유입공과, 상기 유입공에 연통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듀얼 전극의 각 전극별로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원수가 균등하게 유동되도록 하는 유입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유입유로는,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고 상기 듀얼 전극을 구성하는 각 전극이 위치하는 양 방향으로 유입 원수가 유동되게 하는 한 쌍의 이동유로 및 상호 대칭 구조로 각 이동유로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부커버의 내측면에서 유입 원수가 방사형으로 분배되도록 하면서 각 전극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출구가 노출 구성되어 전극 주위로 유입 원수가 토출되게 하는 분배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듀얼 전극의 각 전극별 중공과 대면하는 부위에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둘레에 밀착되도록 관통 부위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격벽이 형성되는 농축수배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격벽은 상기 관통 부위의 둘레로부터 상호 이격을 형성하는 이중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극와 대면하는 상부면에 각각 패킹부재가 부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상부커버는, 중심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처리수배출공과,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내측면에서 상기 듀얼 전극의 각 전극별 중공을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가 균등하게 상기 처리수배출공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상부커버 내측면의 중심에서 상기 처리수배출공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수집홈과, 상기 수집홈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에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면서 상기 듀얼 전극의 각 전극별 중공과 대면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연통홈과, 상호 대칭을 이루며 각 연통홈과 상기 수집홈 간이 연결되게 하는 한 쌍의 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한 쌍의 유로는 평면상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곡선형 홈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CDI 공정으로 유입되는 유입 원수를 별도 저장하고 이를 CDI처리조의 탈착(재생) 공정 시 순환시켜 재생수로서 활용되게 함으로써 반복적인 흡, 탈착 공정에도 안정적인 처리수를 확보하면서 처리수의 회수율(처리수/유입수)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순환하는 재생수의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 상승하게 되는 염농도에 대한 pH를 7이하로 조절하여 고농도의 이온 상태에서도 탄산칼슘 또는 황산칼슘 등의 스케일 유발없이 장기간으로 안정적인 CDI 공정의 운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고농도 이온농축수를 세척수로 하여 CDI모듈을 재생할 경우 빠른 유량으로 순환재생 하게 됨으로써, CDI 스텍 내부 스페이서의 물리적 세정효과와 함께 두 탄소전극 사이 유체의 전해질 농도를 높게 유지함에 따라 탈착 공정에 요구되는 역전위의 공급 없이 단락(Short)에 의한 이온 탈착 과정에서도 보다 빠른 전하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게 되어 외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높은 탈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CDI 모듈의 탈착 공정 중 발생하는 처리수와 농축수의 배출이 독립된 개별 경로를 통해 전용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농축수를 전부 퍼지한 후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기존 단일 배출관 적용 구조와 대비하여 안정된 처리수의 생산과 높은 회수율(처리수/유입수)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농축수가 처리수의 배출방향과 반대 반향인 하부로 배출됨에 따라 기존 탈착(재생)공정에서 배출구쪽 상부 또는 배관에 존재하게 되는 잔류 농축수를 반대방향으로 빠르게 모듈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모듈 내부 끝단부나 배관에 존재하는 고농도 농축수에 의한 스케일 형성을 막아 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DI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DI전극부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커버의 평면부와 저면부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커버의 평면부와 저면부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커버의 배출유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출유로를 통한 처리수와 농축수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DI모듈의 흡착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DI모듈의 탈착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CDI처리조(1) 및 순환재생조(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CDI처리조(1)는 원수유입관(1-1)을 통해 처리 대상 원수가 유입된다.
이때 상기 처리 대상 원수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선행적으로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하,폐수로부터 유기물을 분리 및 제거한 처리수일 수 있다.
상기 CDI처리조(1)는 전기장 원리를 이용하여 유입된 원수로부터 TDS(Total Dissolved Solid) 및 이온성 무기 오염물질(암모니아성 질소와 질산화된 질산성 질소 성분 및 PO4-P 형태의 인) 등을 흡착 방식으로 제거 처리하고 처리수배출관(1-2)을 통해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CDI처리조(1)는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 즉 CDI처리조(1)로 유입되는 원수에 존재하는 이온성 오염물질을 흡착한 후 배출하는 흡착과정 및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에 흡착된 이온성 오염물질을 탈착하여 전극을 재생하는 탈착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CDI처리조(1)의 실시 구조와 그 작동 과정은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순환재생조(2)는 상기 CDI처리조(1)와 한 쌍의 순환관(2-1, 2-2)을 통해 병렬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순환재생조(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DI처리조(1)의 원수유입관(1-1)에 연통되는 제 1순환관(2-1)과, 상기 CDI처리조(1)의 처리수배출관(1-2)에 연통되는 제 2순환관(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순환관(2-1, 2-2)에 개폐밸브를 마련하여 상기 CDI처리조(1)에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순환재생조(2)는 상기 제 1순환관(2-1)을 통해 상기 CDI처리조(1)로 유입되는 원수가 유입되어 이를 수용하면서, 상기 CDI처리조(1)의 탈착 공정 시 작동되어 수용된 원수가 재생수로서 CDI처리조(1)에 순환되게 한다.
즉 상기 CDI처리조(20)의 탈착 공정 시에는 상기 제 1순환관(2-1)과 제 2순환관(2-2)의 개폐밸브가 작동되어 CDI처리조(20)로 원수의 유입과 처리수의 배출을 차단하고, 선택된 하나의 순환관(2-1, 2-2)에 장착된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순환재생조(30)로 원수가 유입되게 하면서 수용된 원수를 재생수로서 상기 CDI처리조(20)에 순환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순환재생조(2)는 상기 CDI처리조(1)의 탈착 공정 시 작동되어 상기 처리수가 재생수로서 CDI처리조(1)에 순환되게 한다.
이때 CDI처리조(1)로부터 순환재생조(2)로 회수되는 재생수의 이온 농축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상일 경우 수용된 재생수의 일부 또는 재생수 모두를 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입된 일정량의 최소 재생수만큼 순환재생조(2)에 원수를 유입시켜 희석하고 이에 의해 Over flow 되는 재생수를 최종적으로 드레인 배관을 통해 배출되게 함으로써, CDI처리조(1)의 재생에서 발생되는 농축수의 외부 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며, 순환재생조(2) 염 농도의 일정한 유지가 가능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순환재생조(2)에서 배출되는 고농축 재생수의 경우 별도의 농축수 처리 과정을 통해 농도를 저감시킨 후 분리 배출하거나, 또는 자원화 과정을 통해 자원으로서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순환재생조(2)의 순환을 통해 CDI처리조(1)의 탈착(재생) 과정에서 사용되는 농축수를 계속적으로 반복 사용하게 됨으로써, 처리수의 회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순환재생조(2)에 수용 또는 순환 중인 재생수의 pH 농도가 저감되도록 제어하는 pH제어수단(3)이 더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CDI처리조(1)의 탈착(재생) 과정에서 사용되는 농축수를 계속적으로 반복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순환제생조(2)의 염농도는 일정 농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해 탄산칼슘 또는 황산칼슘 등의 무기 스케일이 형성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CDI처리조(1)의 내구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상기 순환재생조(2)의 pH를 LSI 지수에 근거하여 pH 7이하로 조절 및 유지하여 용해도를 상승시키도록 하면서 재생수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고농도의 이온 상태에서도 스케일의 유발 없이 장기간으로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해지게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스케일 형성 판단지수로 활용되고 있는 LSI(Langelier Saturation Index)에 따르면, 용존 칼슘(Ca2+) 또는 마그네슘(Mg2+) 이온의 농도가 용해도 한계치에 이르게 되더라도 용액의 pH를 중성 이하(7 이하)로 유지시 스케일이 쉽게 형성되지 않음에 근거한다.
또한 매 공정 순환재생조(2)에 수용된 재생수를 이용하여 CDI처리조(1)의 탈착(재생) 공정을 수행하고, 최종 CDI처리조(1) 내부와 일부 배관 등에 남아있는 고농도 재생수는 유입 원수를 일시적으로 유입 및 순환시켜 세척한 후 순환재생조(2)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순환재생조(2)에 수용된 재생수로 CDI처리조(1)를 순환 재생할 경우, 빠른 유량으로 순환재생 하게 됨으로써 CDI처리조(1)를 구성하는 CDI 스텍 내부 스페이서의 물리적 세정 효과와 함께 탄소전극 사이 유체의 전해질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역전위의 공급 없이 단락(Short)에 의한 이온 탈착 과정에서도 보다 빠른 전하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게 되어 전극 재생과정에서 외부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는 역전위 공급 없이 단락(Short)만으로도 높은 탈착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pH제어수단(3)의 pH 제어 방식은 상기 순환재생조(2)로 재생수의 pH를 저감시킬 수 있는 약품을 투입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산성수를 투입하는 형태 등 공지의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DI처리조(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DI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CDI모듈은, 듀얼 전극의 적층으로 구성되는 CDI전극부(10)와, 상기 CDI전극부(10)를 수용하며 상기 CDI전극부(10)의 흡, 탈착 과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 또는 농축수가 독립된 경로를 통해 분리 배출되게 하는 케이싱부(20) 및 상기 CDI전극부(10)로 전원을 인가하여 전극(100)의 흡, 탈착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CDI전극부(10)는 각각 중공(101)이 형성되며 직렬로 나란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100)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호 적층 구성된다.
상기 CDI전극부(10)는 한 쌍의 전극(이하 '듀얼 전극(100)'이라 칭함)이 직렬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제 1흡탈착면(110)과 제 2흡탈착면(120)이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CDI전극부(10)의 듀얼 전극(100)은 요구되는 처리 용량을 고려하여 그 적층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CDI전극부(10)는 상호 적층되는 듀얼 전극(100) 사이에 간극(스페이서)이 형성되고, 간극을 통과하게 되는 유입 원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이온을 흡착하게 되며 이러한 흡착 과정에서 유입 원수로부터 이온이 제거된 처리수가 각 듀얼 전극(100)에 형성되는 중공(101)을 통해 상향 이동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듀얼 전극(100)은 상기 전원부(30)의 정전위 또는 역전위(단락 포함) 인가에 따라 양전극 또는 음전극으로 작용하게 되어 유입 원수로부터 선택적으로 이온을 흡착하거나, 상기 순환재생조(2)를 통해 순환되는 재생수에 의해 흡착된 이온이 탈착되는 탈착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바, 상기 전원부(3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접속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접속부(130)는 상기 듀얼 전극(100)의 일측으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면(131)과 상기 수평면(13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면(132)이 곡면(133)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듀얼 전극(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속부(130)가 수평면(131)을 이루다가 곡면(133)으로 꺾여져 수직면(132)을 이루게 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듀얼 전극(10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상기 접속부(130) 특히 접속부(130)의 수직면(132)들이 상호 연속적으로 중첩되며, 결과적으로 듀얼 전극(100)의 접속부(130) 간에 면 접촉을 이뤄 접점 부위를 보다 증대시키게 됨으로써 접속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그라파이트 재질의 전극이 갖는 특성 예를 들면 그라파이트 전극의 수직 방향 전도성보다 면을 따라 흐르는 전도성이 우수한 특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듀얼 전극(100)이 이격 적층됨에도 실질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접속부(130)에서 면 접촉을 통해 접속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듀얼 전극(100)은 전원 인가에 따라 이온을 흡착 또는 탈착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 예로 상기 듀얼 전극(100)은 그라파이트의 양면에 활성탄소가 코팅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접속부(130)는 상기 듀얼 전극(100)의 일단으로부터 그라파이트가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CDI전극부(10)는 하나의 듀얼 전극(100)과 이에 인접하여 적층되는 다른 하나의 듀얼 전극(100)이 상호 대면할 때, 각 듀얼 전극(100)에 마련되는 접속부(130)가 교번으로 일측과 타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일측에 연속 중첩되는 복수의 접속부(130)와 타측에 연속 중첩되는 복수의 접속부(130)에는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의 직류전원이 인가된다.
즉 상호 적층되는 듀얼 전극(100)들은 그 방향을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일 듀얼 전극(100)에 구성되는 제 1흡탈착면(110)이 타 듀얼 전극(100)에 구성되는 제 2흡탈착면(120)과 대면하게 되고, 일 듀얼 전극(100)에 구성되는 제 2흡탈착면(120)이 타 듀얼 전극(100)에 구성되는 제 1흡탈착면(110)과 대면하게 되는 바, 각 듀얼 전극(100)에 인가되는 직류전원의 대전 원리에 의하여 제 1흡탈착면(110)과 제 2흡탈착면(120)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으로 활용된다.
또한 상기 CDI전극부(10)는 상기 전원부(30)의 직류전원을 상기 듀얼 전극(100)의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접속부(130)로 일괄 인가하기 위한 한 쌍의 접속바(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접속바(140)는 상기 듀얼 전극(100)의 적층 방향과 평행한 긴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접속부(130)의 수직면(132)을 압착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접속바(140)는 상기 듀얼 전극(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연속 적층되는 접속부(130)별로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하나의 접속바(140)는 상기 수직면(132)의 외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접속바(140)는 상기 수평면(131)을 관통하여 수직면(132)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한 쌍의 접속바(140)를 상호 압착시키기 위한 압착수단을 통해 수직면(132)의 내, 외측에 각각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접속바(140) 중 어느 하나의 접속바(140)에는 상기 케이싱부(20)를 관통하여 내부로 인입되는 전원인가단자(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속 적층되는 접속부(130)에는 선택된 하나의 극성을 갖는 직류전원이 일괄적으로 인가될 수 있는 바, 전원부(30)의 전원 인가를 위하여 케이싱부(20)에 공간 확보를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싱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DI전극부(10)를 수용하며, 하부와 상부에서 각각 처리대상 원수의 유입과 처리수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싱부(20)는 내부공간(201)이 마련되어 상기 CDI전극부(10)를 수용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커버(220) 및 하부커버(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00)는 내부공간(201)이 마련되고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하부개구부와 상부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면에는 각각 상기 전원부(30)의 전원공급단자(300)가 관통되기 위한 통공(204)이 마련되어 상기 내부공간(201)에 수용된 상기 CDI전극부(10)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공(204)에는 상기 내부공간(201)으로 유입되는 원수 등이 누수되지 않도록 기밀패킹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공(204)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200)에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하부커버(210)나 상부커버(220)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부커버(210)와 상부커버(22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커버(210)는 상기 본체(200)의 하부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201)과 연통하는 유입공(230)이 중심부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처리 대상 원수가 유입되거나 또는 상기 순환재생조(2)에서 순환되는 재생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커버(210)는 상기 내부공간(201)을 향하는 내측면에서 상기 유입공(230)에 연통되고 상기 본체(200)의 내부공간(201)에 수용된 듀얼 전극(100)의 각 전극별로 유입공(230)을 통해 유입 원수 또는 재생수가 균등하게 유동되도록 하는 유입유로(240)를 포함함으로써, 각 전극별 흡탈착면(110, 120)에서 고른 흡, 탈착 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유입유로(24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공(230)과 연통되고, 듀얼 전극(100)을 구성하는 각 전극이 위치한 양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유입 원수 또는 재생수가 유동되게 하는 한 쌍의 이동유로(241) 및 상호 대칭되는 구조로 각 이동유로(241)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부커버(210)의 내측면에서 유입 원수 또는 재생수가 방사형으로 분배되도록 하면서 각 전극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출구(242)가 노출 구성되어 각 전극 주위로 유입 원수가 토출되게 하는 분배유로(2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유입유로(240)는 상기 유입공(230)을 통해 하부커버(210)의 중심으로부터 유입 원수 또는 재생수가 상기 이동유로(241)를 따라 한 쌍의 전극이 위치하게 되는 양방향으로 분배되며, 이동유로(241)의 양 끝단에서 각각 방사형으로 분배되어 전극의 테두리 부위의 출구(242)를 통해 토출됨으로써, 상호 적층되는 듀얼 전극(100)의 각 전극 간 간극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특히 분배유로(243)의 대칭 구조로 인하여 유입 원수 또는 재생수가 균일한 유량과 유속을 가지면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 예의 하부커버(210)는 재생수에 의한 상기 CDI전극부(10)의 탈착 과정에서 발생한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배출공(250)이 형성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농축수배출공(250)은 상기 듀얼 전극(100)의 각 전극별 중공(101)과 대면하는 부위에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중공(101)의 둘레에 밀착되도록 관통 부위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격벽(25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입유로(240)의 이동유로(241)나 분배유로(243)을 통해 유동하는 재생수가 유입될 수 없도록 하면서 상기 듀얼 전극(100)의 각 전극별 중공(101)과 직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CDI모듈의 탈착 과정에서 듀얼 전극(100)으로부터 생성되는 농축수를 케이싱부(20)의 하부커버(210)로 분리 배출하게 되는 바, 이는 유체의 중력 방향의 이동을 유도하여 장치 내부는 물론 농축수 배관에서 스케일이 정체되지 않게 하면서도 스케일의 형성을 최대한 억제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격벽(251)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축수배출공(250)의 관통 부위 둘레로부터 상호 이격을 형성하는 이중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전극와 대면하는 이중관의 상부면에는 각각 패킹부재(252)가 부착되어, 농축수배출공(250)에 대한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켜 하부커버(210)의 내측면에서 유동하는 유입 원수나 처리수에 농축수가 혼합되는 등의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상부커버(220)는 상기 본체(200)의 상부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200)의 내부공간(201)과 연통하여 유입 원수에 대한 CDI전극부(10)의 흡착 과정에서 처리되는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배출공(260)이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상부커버(22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처리수배출공(260)과, 상기 본체(200)의 내부공간(201)을 향하는 내측면에서 상기 듀얼 전극(100)의 각 전극별 중공(101)을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가 균등하게 상기 처리수배출공(260)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배출유로(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27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220) 내측면의 중심에서 상기 처리수배출공(260)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수집홈(271)과, 상기 수집홈(271)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에서 이격되면서 상기 듀얼 전극(100)의 각 전극별 중공(101)과 대면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연통홈(272)과, 상호 대칭을 이루며 상기 연통홈(272)과 상기 수집홈(271) 간이 연결되게 하는 한 쌍의 유로(273)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연통홈(272) 각각은 상기 수집홈(271)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에서 동일한 거리(a, a')로 이격되는 대칭 구조를 구성된다.
특히 상기 한 쌍의 유로(273)의 경우, 상호 간 평면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곡선형 홈 구조로 구성되어 유체의 이동 시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중공(101)으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가 각 유로(273)에서 이동하거나 상기 수집홈(271)에 합류하여 처리수배출공(260)로 배출됨에 있어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는 현상 없이 균등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케이싱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210) 및 상부커버(220)로부터 농축수 또는 처리수의 분리 배출을 제어하는 개폐밸브(2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폐밸브(280)는 상기 하부커버(210)의 외측면에서 농축수배출공(250)과, 상기 상부커버(220)의 외측면에서 상기 처리수배출공(26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개폐밸브(280)는 순환재생조(2)의 제1순환관(2-1)과 CDI처리조(1)의 처리수배출관(1-2)이 연통되고, CDI처리조(1)의 흡착 또는 탈착 과정에 연동하여 상부커버(220)에 연결된 개폐밸브(280)가 일괄 작동되게 하거나 또는 하부커버(210)에 연결된 개폐밸브(280)가 일괄 작동되게 하고, 이러한 개폐밸브(280)의 작동에 따라 처리수 또는 농축수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DI 모듈의 처리수 또는 농축수 분리 배출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장치 단독 사용에서 하부커버(210)의 유입공(230)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는 상기 유입유로(240)를 통해 분배되어 듀얼 전극(100)을 구성하는 각 전극의 주위로 유동되며 적층된 듀얼 전극(100) 간의 간극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 전원부(30)의 정전위 인가에 따른 CDI전극부(100)의 흡착 과정을 통해 이온들이 제거된 처리수는 적층된 듀얼 전극(100)들 간에 형성된 중공(101)을 통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커버(220)의 내측면에서 각 중공(101)과 대면하게 되는 한 쌍의 연통홈(272)과 한 쌍의 유로(273)에 의해 균일 유속과 유량으로 수집홈(271)에 이동 및 합류한 후, 상기 수집홈(271)과 연통되는 처리수배출공(260)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전원부(30)의 정전위 인가에 연동하여 상기 처리수배출공(260)에 장착된 개폐밸브(280)가 개방되도록 작동시켜, 상기 상부커버(220)의 처리수배출공(260)으로 유동한 처리수는 처리수배출공(260)과 연통되는 처리수배출관(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전원부(30)의 정전위 인가 시에는 상기 농축수배출공(250)에 장착된 개폐밸브(280)의 경우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작동되어 있어야 한다.
반대로 전원부(30)의 역전위 인가나 또는 역전위의 공급 없이 단락(Short)에 의한 CDI전극부(100)의 이온 탈착 과정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상기 유입공(230)을 통해 세척수 즉 상기 순환재생조(2)에 수용된 재생수가 케이싱부(20)로 유입되며, 흡착 과정과 동일하게 적층된 듀얼 전극(100)들 간 간극으로 세척수가 유입됨으로써 듀얼 전극(100)의 흡탈착면(110, 120)에 흡착되어 있던 이온이 탈착되면서 세척수에 혼합되어 농축수로서 각 중공(101)을 통해 중력 방향으로 낙하하게 되고, 마지막 전극의 중공(101)과 직접적으로 연통되는 상기 하부커버(210)의 농축수배출공(250)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농축수배출공(250)에 장착된 개폐밸브(280)가 개방되도록 작동시키게 되면, 농축수배출공(250)을 통해 농축수가 배출되어 순환재생조(2)의 제 1순환(2-1)을 통해 순환재생조(2)로 회수된다.
상기 전원부(30)의 역전위 인가 또는 역전위의 공급 없이 단락(Short) 시에는 반대로 상기 처리수배출공(260)에 장착된 개폐밸브(280)가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작동되어 있어야 한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CDI 모듈은 CDI전극부(100)의 탈염 과정 중 발생하는 처리수와 농축수의 배출이 독립된 개별 경로를 통해 전용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농축수를 전부 퍼지한 후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기존 단일 배출관 적용 구조와 대비하여 안정된 처리수의 생산과 높은 회수율(처리수/유입수)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순환재생조(2)에 의한 순환 재생과정에서는 농축수가 처리수의 배출방향과 반대 반향인 하부로 배출됨에 따라 기존 탈착(재생)공정에서 배출구쪽 상부 또는 배관에 존재하게 되는 잔류 농축수를 반대방향으로 빠르게 모듈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모듈 내부 끝단부나 배관에 존재하는 고농도 농축수에 의한 스케일 형성을 막아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부(30)는 상기 복수의 듀얼 전극(100)에 전원을 공급하며 듀얼 전극(100)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을 선택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유입 원수에 포함되는 이온을 흡착하거나 흡착된 이온이 탈착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전원부(30)는 공지의 다양한 전원공급기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CDI처리조 2 : 순환재생조
3 : pH제어수단
10 : CDI전극부 20 : 케이싱부
30 : 전원부 40 : 개폐막
100 : 듀얼 전극 101 : 중공
130 : 접속부 140 : 접속바
200 : 본체 210 : 하부커버
220 : 상부커버 230 : 유입공
240 : 유입유로 241 : 이동유로
242 : 분배유로 250 : 농축수배출공
260 : 처리수배출공 270 : 배출유로
271 : 수집홈 272 : 연통홈
273 : 유로 280 : 개폐밸브

Claims (11)

  1. 처리대상 원수가 유입되고, 전기장 원리를 이용하여 유입된 원수로부터 이온성 무기 오염물질을 흡착 방식으로 제거하는 CDI처리조; 및
    상기 CDI처리조와 한 쌍의 순환관을 통해 병렬 연결되고 상기 CDI처리조로 유입되는 원수가 유입되어 이를 수용하며, 상기 CDI처리조의 탈착 공정 시 작동되어 수용된 원수가 재생수로서 CDI처리조에 순환되게 하는 순환재생조;를 포함하되,
    상기 CDI처리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DI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CDI모듈은,
    각각 중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이 직렬로 나란하게 연결되는 듀얼 전극이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호 적층되는 CDI전극부; 및
    상기 CDI전극부를 수용하며 하부와 상부를 통해 각각 원수가 유입되고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케이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부는,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하부개구부와 상부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여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과 유입원수에 대한 상기 CDI전극부의 탈착 과정에서 처리되는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배출공이 형성되는 하부커버;
    상기 본체의 상부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여 유입원수에 대한 CDI전극부의 흡착 과정에서 처리되는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배출공이 형성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의 농축수배출공과 상기 상부커버의 처리수배출공에 각각 결합되어 CDI전극부의 처리 과정에서 농축수 또는 처리수를 선택적으로 배출되게 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재생조에 수용 또는 순환 중인 재생수의 pH가 저감되도록 pH를 조절하는 pH제어수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pH제어수단은,
    상기 순환관과 연통되는 유입라인이 마련되어 상기 재생수가 유입되고, 상기 재생수를 전기 분해하여 산성수를 생성하며, 생성한 산성수를 상기 순환재생조로 공급하는 전기분해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중심부에 관통 형성되는 유입공과, 상기 유입공에 연통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듀얼 전극의 각 전극별로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원수가 균등하게 유동되도록 하는 유입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로는,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고 상기 듀얼 전극을 구성하는 각 전극이 위치하는 양 방향으로 유입 원수가 유동되게 하는 한 쌍의 이동유로 및 상호 대칭 구조로 각 이동유로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부커버의 내측면에서 유입 원수가 방사형으로 분배되도록 하면서 각 전극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출구가 노출 구성되어 전극 주위로 유입 원수가 토출되게 하는 분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듀얼 전극의 각 전극별 중공과 대면하는 부위에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둘레에 밀착되도록 관통 부위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격벽이 형성되는 농축수배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관통 부위의 둘레로부터 상호 이격을 형성하는 이중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극와 대면하는 상부면에 각각 패킹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중심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처리수배출공과,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내측면에서 상기 듀얼 전극의 각 전극별 중공을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가 균등하게 상기 처리수배출공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상부커버 내측면의 중심에서 상기 처리수배출공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수집홈과, 상기 수집홈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에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면서 상기 듀얼 전극의 각 전극별 중공과 대면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연통홈과, 상호 대칭을 이루며 각 연통홈과 상기 수집홈 간에 연결되게 하는 한 쌍의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로는 평면상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곡선형 홈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KR1020210025372A 2021-02-25 2021-02-25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KR102423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372A KR102423875B1 (ko) 2021-02-25 2021-02-25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372A KR102423875B1 (ko) 2021-02-25 2021-02-25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875B1 true KR102423875B1 (ko) 2022-07-21

Family

ID=8261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372A KR102423875B1 (ko) 2021-02-25 2021-02-25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8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9369A (ja) * 1997-12-24 1999-07-06 Japan Organo Co Ltd 電気式脱イオン水製造装置
US20090114598A1 (en) * 2005-01-27 2009-05-07 Van Kralingen Cornelis Gerhard Water Softening Device and Method
KR101022257B1 (ko) 2009-10-07 2011-03-21 (주) 시온텍 이온선택성 축전식 탈염 복합전극 및 모듈의 제조 방법
KR20120003902A (ko) * 2009-03-26 2012-01-11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탈염 장치로부터 이온성 종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KR101882806B1 (ko) * 2017-04-24 2018-08-24 (주)테크윈 전기 흡착 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9369A (ja) * 1997-12-24 1999-07-06 Japan Organo Co Ltd 電気式脱イオン水製造装置
US20090114598A1 (en) * 2005-01-27 2009-05-07 Van Kralingen Cornelis Gerhard Water Softening Device and Method
KR20120003902A (ko) * 2009-03-26 2012-01-11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탈염 장치로부터 이온성 종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KR101022257B1 (ko) 2009-10-07 2011-03-21 (주) 시온텍 이온선택성 축전식 탈염 복합전극 및 모듈의 제조 방법
KR101882806B1 (ko) * 2017-04-24 2018-08-24 (주)테크윈 전기 흡착 세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5162B1 (en) Single module, flow-electrod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ous water desalination and ion separation by capacitive deionization
US10329174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separation and selective recomposition of ions
JP3826690B2 (ja) 電気脱イオン装置及び純水製造装置
US20080078672A1 (en) Hybrid Capacitive Deionization and Electro-Deionization (CDI-EDI) Electrochemical Cell for Fluid Purification
US20220380235A1 (en) Electrochemical separation systems and methods
JP4065664B2 (ja) 電気式脱塩装置
US20100270161A1 (en) Apparatus for physically separating polar substance
JP2009543695A (ja) マイクロスケール容量性脱イオン装置
JP3969221B2 (ja) 脱イオン水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11772992B2 (en) Deionization device and method for at least partially deionizing a feed liquid in which an electrolyte is dissolved, and apparatuses using such devices
US20060049105A1 (en) Segregated flow, continuous flow deionization
US9932253B2 (en) Apparatus for purifying a fluid and method for purifying a fluid, in particular by means of the aforesaid apparatus
KR20170034953A (ko) 직렬형 축전식 탈염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23875B1 (ko)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JP3570350B2 (ja) 電気脱イオン装置及び純水製造装置
KR101881463B1 (ko) 축전식 탈염 및 전기산화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341495B1 (ko) 처리수와 농축수의 배출 경로 분리에 의해 회수율이 향상된 cdi장치
JP2002186973A (ja) 電気再生型脱イオン装置
JP2002235939A (ja) 空気調和装置
JP2002263654A (ja) 電気化学的水処理装置
KR102058553B1 (ko) 전극반응과 스케일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직렬 구조의 축전 탈이온 장치
KR102591796B1 (ko) 이온 드라이브를 이용한 축전식 해수 담수화 시스템 및 방법
JP4036732B2 (ja) 海水淡水化方法及び装置
JP2001058186A (ja) 純水の製造方法および純水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