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703B1 -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 - Google Patents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703B1
KR102423703B1 KR1020200131143A KR20200131143A KR102423703B1 KR 102423703 B1 KR102423703 B1 KR 102423703B1 KR 1020200131143 A KR1020200131143 A KR 1020200131143A KR 20200131143 A KR20200131143 A KR 20200131143A KR 102423703 B1 KR102423703 B1 KR 102423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movable
fixing
fixing ji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8232A (ko
Inventor
박홍규
박진석
박재만
이진명
이준승
이태하
Original Assignee
박홍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규 filed Critical 박홍규
Priority to KR1020200131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7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그 본체, 상기 지그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고, 장변 및 단변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고정 지그, 상기 고정 지그의 단변측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 지그의 장변 측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가동홈, 상기 가동홈에서 상기 고정 지그의 장변과 평행하게 슬라이딩되는 가동 지그 및 상기 가동 지그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가동 지그의 선형 이동을 제어하는 주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FIXING JIG FOR PROCESSING EJECT PIN}
본 발명은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간소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부피 및 중량이 최소화됨과 동시에 밀핀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 금형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나 열경화성 플라스틱 성형재료를 사출 금형기에서 가열하여 용융물로 제조한 후, 상기 용융물을 주입기구를 이용하여 캐비티내로 가압 주입하여 충전하고, 상기 캐비티 내에서 냉각되어 고화 또는 경화하는 사출품을 취출하는 성형방법 중 하나이다.
그리고, 상기 사출 금형기의 캐비티 내에서 성형되는 사출품을 분리하여 취출하는 기구로는 여러 가지가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사출 금형기의 코어로부터 상기 사출물을 밀어내는 방식, 즉 상기 사출 금형기의 런너와 게이트 및 사출물의 연결부분을 분리하는 방식인 밀핀이 널리 알려져 있다.
여기서, 상기 사출 금형기용 밀핀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가공소재를 와이어 커팅하는 1차 가공을 거친 상태에서 CNC밀링이나 방전기 등으로 2차 가공하여 원하는 형상의 밀핀으로 제조한 다음, 상기 사출금형기의 하코어에 조립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된다.
그런데, 상기 밀핀의 제조 공정이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밀핀의 지지 과정에서 가공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밀핀 고정 지그를 이용하여 밀핀의 고정이 요구되는데, 종래의 밀핀 지그의 경우 작은 크기의 부품, 원통형의 부품 등의 밀핀 또는 코어핀 등은 작업이 필요할 시 마그네틱으로는 고정되지 않아 장착 및 분리를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함에 따라 무거운 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지그로 인하여 작업자의 근골격계 부상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하고, 견고한 지지가 가능한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는 지그 본체, 상기 지그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고, 장변 및 단변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고정 지그, 상기 고정 지그의 단변측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 지그의 장변 측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가동홈, 상기 가동홈에서 상기 고정 지그의 장변과 평행하게 슬라이딩되는 가동 지그 및 상기 가동 지그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가동 지그의 선형 이동을 제어하는 주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홈은, 상기 고정 지그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고정 지그의 일측 단변으로부터 직선 경로를 갖는 선형 영역 및 상기 선형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고정 지그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V자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절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지그는 상기 선형 영역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절곡 영역 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절곡 영역의 형상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의 단부에 첨예하게 형성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고정 지그의 단변을 이등변으로 구획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홈의 길이 방향을 따른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주 조절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동 지그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동 지그의 하면에 암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 조절 부재와 평행하게 구비되는 보조 조절 부재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지그 본체의 내부를 지면과 수평하게 관통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수평 높이는 상기 보조 조절 부재의 단부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회전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형 영역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 벽면에는 상기 가동 지그 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 지그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는 부품수가 간소화됨으로써 부피 및 중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가공 지그의 모서리부가 지그 본체의 중간에 위치하므로, 밀핀의 고정 시 고정된 좌표값을 설정하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에 밀핀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는 지그 본체(100), 고정 지그(200), 가동홈(201), 가동 지그(300) 및 주 조절 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 본체(100)는 고정 지그(2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평평한 상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그 본체(100)의 형상은 고정 지그(200)가 수평을 유지하며 안착될 수 있는 상면을 갖는다면 그 외의 다른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 지그(200)는 복수의 체결 부재(200a)에 의해 지그 본체(100)의 상면에 결합되고, 장변 및 단변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200a)는 일 예로 체결홀(200b)을 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볼트일 수 있지만, 고정 지그(200)와 지그 본체(100)를 결합하는 수단은 이외에도 고정 지그(200) 및 지그 본체(100) 간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그네틱 등의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 지그(200)는 소정 길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고정 지그(200)와 결합 시의 그 형상은 대략 수직하는 형상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지그(200)의 길이는 지그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편향되지 않는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가동홈(201)은 고정 지그(200)의 단변 측에 형성되되, 고정 지그(200)의 장변 측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홈(201)은 고정 지그(200)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고정 지그(200)의 일측 단변으로부터 직선 경로를 갖는 선형 영역(201a) 및 선형 영역(201a)으로부터 연장되되, 고정 지그(200)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V자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곡 영역(20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형 영역(201a)은 가동홈(201)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 벽면이 상호 평행하게 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고, 절곡 영역(201b)은 상기 상호 마주보는 내측 벽면이 점진적으로 근접하면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가동 지그(300)는 가동홈(201)에서 고정 지그(200)의 장변과 평행하게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가동 지그(300)가 가동홈(201)에서 원활한 선형으로 안내되기 위하여 선형 영역(201a)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 벽면에는 가동 지그(300) 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202)가 형성되고, 가동 지그(30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돌기(202)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가이드 홈(30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홈(201)의 선형 영역(201a)에 가동 지그(300) 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202)가 형성되고, 가동 지그(300)의 양측면에 가이드 돌기(202)와 결합되는 가이드 홈(301)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반대로 가동홈(201)의 선형 영역(201a)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가이드 홈에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가 가동 지그(300)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동 지그(3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 조절 부재(211)에 의해 고정 지그(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될 수 있다.
주 조절 부재(211)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나사산이 가동 지그(300)의 조절홀(300c)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주 조절 부재(211)가 회전되면 가동 지그(300)가 선형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주 조절 부재(211)의 일부분이 가동 지그(300)에 나사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에는 회전 지지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주 조절 부재(211)의 회전 지지를 위하여, 고정 부재(210)가 구비되는데, 이와 관련된 설명은 후술한다.
가동 지그(300)는 선형 영역(201a)을 따라 고정 지그(20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양측면으로부터 절곡 영역(201b) 측으로 연장되되, 절곡 영역(201b)의 형상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기부(300a) 및 돌기부(300a)의 단부에 첨예하게 형성되는 모서리부(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서리부(300b)는 돌기부(300a)의 단부로부터 첨예하게 형성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모서리부(300b)는 고정 지그(200)의 단변을 이등변으로 구획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고정 지그(20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중심선(C)이 정의되면 고정 지그(200)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모서리부(300b)가 중심선(C)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모서리부(300b)는 밀핀(P)의 형상 가공 시 밀핀(P)의 가공 대상 영역 이외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밀핀(P)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밀핀(P)은 상기 사출금형기의 구성품으로서 상기 캐비티내에서 사출품의 성형작업이 완료되는 경우 밀어내는 작업을 수행하는 취출기구를 의미할 수 있다.
가동홈(20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외측 단부에는 고정 부재(210)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부재(210)에는 고정 지그(200)에 결합 가능한 체결홀(210b)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홀(210b)을 통하여 복수의 체결 부재(210a)가 고정 지그(200)에 결합됨으로써 고정 부재(210) 및 고정 지그(2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부재(210)는 주 조절 부재(211)가 고정 지그(200)의 장변과 평행하게 관통될 수 있도록 회전 지지부(210c)를 포함할 수 있다.
주 조절 부재(211)는 회전 지지부(210c)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주 조절 부재(211)의 단부가 가동 지그(300)의 조절홀(300c)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주 조절 부재(211)가 회전 지지부(210c)에 의해 회전 지지됨과 동시에 주 조절 부재(211)의 회전에 따른 주 조절 부재(211)의 나사산에 의해 가동 지그(300)가 선형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가동 지그(300)의 하면에는 암나사부(3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주 조절 부재(211)와 평행하게 구비되는 보조 조절 부재(212)가 암나사부(310)에 나사 결합되어 관통될 수 있다.
보조 조절 부재(212)의 경우, 주 조절 부재(211)가 밀핀(P)의 일측 외주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밀핀(P)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밀핀(P)의 타측 외주면을 지지하는 2점 지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지그 본체(100)의 내부를 지면과 수평하게 관통하는 삽입홈(10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01)의 수평 높이는 보조 조절 부재(212)의 단부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지그 본체(100)는 삽입홈(101)에 삽입되는 회전 스토퍼(10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스토퍼(102)는 밀핀(P)의 헤드부(PH)에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밀핀(P)의 형상 가공 시 밀핀(P)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밀핀(P)의 헤드부 형상은 사각형 또는 2개의 평행한 면으로 형성되므로, 회전 스토퍼(102)는 밀핀(P)의 헤드부(PH)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면에 대하여 면 접촉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에 밀핀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3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밀핀(P)의 형상 가공을 위하여 밀핀(P)이 절곡 영역(201b)에 배치된다. 이때, 주 조절 부재(211)를 회전시켜 가동 지그(300)가 밀핀(P) 측으로 선형 이동되도록 하고, 가동 지그(300)의 모서리부(300b)가 밀핀(P)의 가공 부분 이외의 외주면에 접촉 및 가압되도록 한다.
부 조절 부재(212)는 주 조절 부재(211)에 의한 1점 지지에 더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핀(P)의 헤드부(PH)에 접촉하도록 회전시켜 지지하여 2개소에서 지지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지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회전 스토퍼(102)를 삽입홈(101)의 내부에서 밀핀(P)의 헤드부(PH) 측으로 이동시켜 회전 스토퍼(102)의 일면이 밀핀(P)의 헤드부(PH)에 접촉하도록 고정함으로써 밀핀(P)의 형상 가공 중에 밀핀(P)이 의도치 않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하부 지지 플레이트(103)가 구비되어 하부 지지 플레이트(103)의 지지면(103a)이 헤드부(PH)의 일면에 접촉되어 밀핀(P)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지그(200)의 장변을 따라 평행한 중심선(C) 상에 가동 지그(300)의 모서리부(300b)가 위치하므로 복수의 밀핀(P)을 반복적으로 거치 및 이탈시키는 과정에서 모서리부(300b)를 기준으로 밀핀(P)의 중심선(C) 고정이 용이하므로 보다 정밀한 가공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는 부품수가 간소화됨으로써 부피 및 중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가공 지그의 모서리부가 지그 본체의 중간에 위치하므로, 밀핀의 고정 시 고정된 좌표값을 설정하기가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를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지그 본체
200: 고정 지그
201: 가동홈
201a: 선형 영역
201b: 절곡 영역
300: 가동 지그
211: 주 조절 부재
212: 보조 조절 부재

Claims (7)

  1. 지그 본체;
    상기 지그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고, 장변 및 단변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고정 지그;
    상기 고정 지그의 단변측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 지그의 장변 측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가동홈;
    상기 가동홈에서 상기 고정 지그의 장변과 평행하게 슬라이딩되는 가동 지그;
    상기 가동 지그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가동 지그의 선형 이동을 제어하는 주 조절 부재;
    상기 가동 지그의 하면에 암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 조절 부재와 평행하게 구비되며,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관통되는 보조 조절 부재; 및
    상기 지그 본체의 내부를 지면과 수평하게 관통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수평 높이는 상기 보조 조절 부재의 단부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회전 스토퍼를 포함하는,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홈은,
    상기 고정 지그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고정 지그의 일측 단변으로부터 직선 경로를 갖는 선형 영역; 및
    상기 선형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고정 지그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V자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절곡 영역을 포함하는,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지그는 상기 선형 영역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절곡 영역 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절곡 영역의 형상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의 단부에 첨예하게 형성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고정 지그의 단변을 이등변으로 구획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홈의 길이 방향을 따른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주 조절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동 지그에 나사 결합되는,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영역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 벽면에는 상기 가동 지그 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 지그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
KR1020200131143A 2020-10-12 2020-10-12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 KR102423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143A KR102423703B1 (ko) 2020-10-12 2020-10-12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143A KR102423703B1 (ko) 2020-10-12 2020-10-12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232A KR20220048232A (ko) 2022-04-19
KR102423703B1 true KR102423703B1 (ko) 2022-07-20

Family

ID=8139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143A KR102423703B1 (ko) 2020-10-12 2020-10-12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7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882B1 (ko) * 2014-10-27 2014-12-22 차순악 핀 가공용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882B1 (ko) * 2014-10-27 2014-12-22 차순악 핀 가공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232A (ko)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1055B2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KR101707385B1 (ko) 금형 가공 장치
JP2013013993A (ja) 固定振れ止め
KR100355075B1 (ko) 주형의핸들링시스템
JPH0557760A (ja) アンダーカツト部を有する射出成形金型
KR102423703B1 (ko) 밀핀 가공용 고정 지그
KR101013129B1 (ko) 초소형 렌즈의 비구면 형상부를 성형하기 위한 핀 가공용 고정지그
JP7097995B2 (ja) 共にスライドする異なる構造体のための接続
KR100663420B1 (ko) 금형 제조 장치
KR20000020664A (ko) 광 주사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JPH10264217A (ja) 樹脂成形用金型装置
EP3461612B1 (en)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and molding die assembly
KR102109192B1 (ko) Imd 필름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imd 사출 성형 금형
EP1364765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with compensation of bending moment on stationary platen
EP0501050A1 (en) Unit type mold for injection molding
GB2276583A (en) Plastic moulding apparatus
KR101425789B1 (ko) 사출 금형 장치
KR101203985B1 (ko) 금형장치
JP2003053794A (ja) 射出成形金型のロック機構
KR102026223B1 (ko) 공작기계용 그립모듈 결합 구조체
JP7348158B2 (ja) 射出成形金型
KR100864251B1 (ko) 금형조립체
JP2007152619A (ja) 射出成形用金型及びレンズ鏡筒
KR102521188B1 (ko) 금형 코어용 콜렛척 지그 구조체
US20230055207A1 (en) Bearing for linear guide r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