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385B1 -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385B1
KR102423385B1 KR1020220015270A KR20220015270A KR102423385B1 KR 102423385 B1 KR102423385 B1 KR 102423385B1 KR 1020220015270 A KR1020220015270 A KR 1020220015270A KR 20220015270 A KR20220015270 A KR 20220015270A KR 102423385 B1 KR102423385 B1 KR 102423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und
image
conductive sheet
sound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표
Original Assignee
전광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광표 filed Critical 전광표
Priority to KR1020220015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385B1/ko
Priority to PCT/KR2022/009307 priority patent/WO202314960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88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in boxes or containers comprising additional sound reproducing or activa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복수 개의 접힘 라인에 따른 조립 동작으로 형성되는 박스모듈; 상기 박스모듈의 전면부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이미지영역을 갖는 이미지부; 상기 전면부 하면 중 상기 이미지영역의 연직 하측에 부착되며, 상기 이미지부에 대한 터치 동작을 인식하는 전도성시트지; 상기 박스모듈의 후면부 하면에 배치되며, 음원이 재생되는 사운드재생유닛; 및 상기 전도성시트지와 상기 사운드재생유닛 사이를 전기적 연결시키는 도전선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MEDICAL AEROSOL SUCTION SYSTEM HAVING STRUCTURE OF ARTICULATING ARM}
본 발명은 소리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원과 어울리는 이미지를 준비하고, 이에 대한 터치 동작으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19 등의 여파로 최근 숲 속, 자연 등에서 가족과 함께 쉬고 놀면서 자연과 하나가 되는 체험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활동은 자연 뿐만 아니라 도시 등 보다 다양한 지역에서 음원 컨텐츠를 채집하는 활동으로 확장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서비스 업체에 의해 소리를 매개로 한 문화, 예술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체험, 놀이 등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소리캠프의 형태로 나타난다. 한편, 소리 채집에 대한 새로운 경험은 심신 안정과 상상력의 증대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소리를 채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원 컨텐츠만을 전용으로 재생시킬 수 있는 장치가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현재 개발된 기술은 단지 음원을 녹음하는 디바이스에 국한되며, 다양한 지역에서 녹음되는 음원에 대한 특색과 개별화 요소를 전혀 반영하지 못해 새로운 형태의 소리 채집 활동이 주는 기대 효과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참여자가 소리를 채집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시각적 이미지를 음원과 연동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43360000 (2014.08.20) 표정을 통해 인식된 감정에 기초한 소리 재생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9960031381 (1996.10.22) 멜로디 소리가 나는 케익 상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채집한 음원과 그 해당 음원에 어울리는 이미지를 활용하여 음원을 재생시킬 수 있는 소리 재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 가능한 모듈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음원과 이미지가 서로 연관되며, 이미지 터치에 의해 해당 음원만이 안정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이미지 교체, 새로 녹음되는 음원의 저장 등이 용이한 장치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복수 개의 접힘 라인에 따른 조립 동작으로 형성되는 박스모듈; 상기 박스모듈의 전면부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이미지영역을 갖는 이미지부; 상기 전면부 하면 중 상기 이미지영역의 연직 하측에 부착되며, 상기 이미지부에 대한 터치 동작을 인식하는 전도성시트지; 상기 박스모듈의 후면부 하면에 배치되며, 음원이 재생되는 사운드재생유닛; 및 상기 전도성시트지와 상기 사운드재생유닛 사이를 전기적 연결시키는 도전선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음원은 사운드의 크기, 모양, 음정 및 음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부는 음원에 의해 연상되는 연관이미지가 표현된 2차원 시트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시트지는 적어도 상기 이미지영역의 면적을 전부 포함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전도성시트지에는 미리 설정되는 단위패턴을 갖는 금속박막층이 형성되되, 상기 단위패턴은 테두리를 갖는 폐쇄도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운드재생유닛의 일측에는 음원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음원을 각각 재생시키는 복수 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재생버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부 하면의 중앙에는 사운드출력부가 배치되고, 상기 후면부는 접힘 라인을 따라 각각 접혀지는 양문형 도어 형상인 제1후면부 및 제2후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후면부 및 상기 제2후면부에는 상기 사운드출력부의 배치 위치에 대향하여 반원형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선부는 금속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선부는 하면에 점착성을 갖는 얇은 테이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직접 채집한 음원과 그 해당 음원에 어울리는 이미지를 활용하여 음원을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 가능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원과 이미지가 서로 연관되며, 이미지 터치에 의해 해당 음원만이 안정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교체, 새로 녹음되는 음원의 저장 등이 용이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박스모듈의 후방에서 본 전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시트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미지영역과 전도성시트지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시트지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박스모듈의 후방에서 본 전개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시트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이미지영역과 전도성시트지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는 박스모듈(100), 이미지부(200), 전도성시트지(300), 사운드재생유닛(400), 도전선부(500), 사운드출력부(600), 전원부(7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의 소리 재생 장치는 사용자가 음원에 관한 정보와 매칭되는 그림이나 사진 등을 박스모듈(100)에 형성한 후 이에 대한 터치 동작을 통해 음원을 재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박스모듈(100)은 종이 재질, 예를 들어 골판지, 하드보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박스모듈(100)은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타입으로 전면부(110), 후면부(120) 및 측면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박스모듈(100)의 각 면은 용도에 따라 두께를 달리할 수 있다. 일 예로, 박스모듈(100)은 구조용으로 적합하고, 파단강도가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 재질의 각 면은 예를 들어, 2 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스모듈(100)에서 전면부(11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동작에 의해 가압되는 면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전면부(110)는 가압에 따른 국부 변형률이 박스모듈(100)의 나머지 면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부(110)의 두께는 예를 들어, 0.8 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면부(110)를 형성하는 종이층 사이에는 가압에 의한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수지층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면부(110)는 종이 재질인 경우에도 터치 동작을 효과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전면부(110)는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면부(110) 후면에 전면부(110) 상면에서 형성되는 이미지영역(210)이 투영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박스모듈(100)은 직사각형 모양의 전면부(110)와 후면부(120)가 상하 방향에서 서로 대향 배치되며, 전면부(110)와 후면부(120)의 네 모서리를 연결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네 측면부로 이루어진다. 박스모듈(100)은 복수 개의 접힘 라인에 따른 조립 동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면부(110)와 대향 배치되는 후면부(120)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제1후면부(120(a)) 및 제2후면부(120(b))를 포함한다. 일 예로, 후면부(120)는 접힘 라인을 따라 각각 접혀지는 양문형 도어 형상인 제1후면부(120(a)) 및 제2후면부(120(b))를 포함한다.
또한, 후면부(120)에는 박스모듈(100)의 조립 이후 박스모듈(100) 내외측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 등이 관통되는 배선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후면부(120(a)) 및 제2후면부(120(b))의 어느 일 모서리에는 오목하게 만곡되는 배선홈(12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후면부(120(a)) 및 제2후면부(120(b))가 접힘 동작으로 박스모듈(100)의 개구된 후면을 덮은 상태, 즉 조립 상태에서, 배선홀은 한 쌍의 배선홈(126)의 결합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1후면부(120(a)) 및 제2후면부(120(b))에는 끼움날개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날개는 측면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슬릿홈에 끼움되는 방식으로 박스모듈(1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이를 통해, 박스모듈(100)은 조립 과정에서 접착제 등을 미사용할 수 있다.
또한, 후면부(120)에는 박스모듈(100)의 조립 이후 박스모듈(100) 내외측 사이를 연결하는 각 종 케이블 등이 관통되는 중앙 케이블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후면부(120(a)) 및 제2후면부(120(b))에는 사운드출력부(600)의 배치 위치에 대향하여 반원형개구(1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후면부(120(a)) 및 제2후면부(120(b))가 접힘 동작으로 박스모듈(100)의 개구된 후면을 덮은 상태, 즉 조립 상태에서, 케이블홀은 한 쌍의 반원형개구(127)의 결합으로 형성된다.
후술하는 사운드재생유닛(400)은 음원이 재생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음원은 사운드의 크기, 모양, 음정 및 음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원에 대한 각 정보는 미리 교육 자료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어느 일 음원을 청취하고, 그 음원에 대한 학습 과정을 통해 그 음원에 대한 각 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부(200)는 박스모듈(100)의 전면부(110)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이미지영역(210)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부(200)는 2차원 시트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부(200)는 전면부(110)에 부착되는 사진 등의 시트일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부(200)는 미리 마련되어 제공되는 종이 등에 그려지는 자연, 동물 등의 그림일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부(200)는 제3자에 의해 미리 인쇄된 시트 형태의 인쇄물일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부(200)는 음원에 의해 연상되는 연관이미지가 표현된 2차원 시트 형태일 수 있다. 연관이미지는 음원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는 각 항목에 대한 특성이 반영된 것을 의미한다. 일 예로, 이미지부(200)는 이미지영역(210)과 비이미지영역(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영역(210)은 이미지가 표현되어 있는 영역을 지칭한다. 비이미지영역(220)은 어떤 이미지도 표현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부(200)는 전면부(110)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부(200)의 외형선은 정형일 수 있고, 비정형일 수도 있다.
전도성시트지(300)는 전면부(110) 하면 중 이미지영역(210)의 연직 하측에 부착되며, 상기 이미지부(200)에 대한 터치 동작을 인식하는 기능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도성시트지(300)는 적어도 이미지영역(210)의 면적을 전부 포함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전도성시트지(300)는 이미지부(200)를 일부 또는 전부 포함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전도성시트지(300)는 미리 설정되는 두께의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도성시트지(300)에는 미리 설정되는 단위패턴(P)을 갖는 금속박막층(310)이 형성되되, 단위패턴(P)은 테두리(T)를 갖는 폐쇄도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패턴(P)은 정사각형 모양일 수 있다. 일 예로, 단위패턴(P)은 직선배선(312), 곡선배선 또는 직선배선(312)이나 곡선배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위패턴(P)은 규칙 패턴일 수 있고, 비규칙 패턴일 수도 있다.
전도성시트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패턴(P)의 연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금속박막층(310)은 전도성시트지(300)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위패턴(P)의 테두리(T)를 구성하는 직선배선(312)의 선폭 크기는 단위패턴(P)의 테두리(T) 내부에 배치되는 직선배선(312)의 선폭 크기의 절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패턴(P)은 복수 개의 직선배선(312)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격자형패턴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단위패턴(P)은 라인형 가로 직선배선(312)과 라인형 세로 직선배선(312)의 교차점을 지나는 대각선 방향의 라인형 대각 직선배선(312)과 각 교차점에 일정 반경을 갖는 원형 도트배선(3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격자형패턴의 테두리(T)를 구성하는 직선배선(312)의 선폭 크기는 단위패턴(P)의 테두리(T) 내부에 배치되는 직선배선(312)의 선폭 크기의 절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격자형패턴으로 구성되는 금속박막층(310)의 표면에는 미세 크기의 도트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도성시트지(300)는 금속박막층(310)이 형성되는 상면이 박스모듈(100)의 후면부(120)에 접촉되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단위패턴(P)은 서로 이웃하는 단위패턴(P) 사이에서, 단위패턴(P)의 테두리(T) 변을 서로 공유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전도성시트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패턴(P)을 포함하며, 단위패턴(P) 단위로 연결되어 테두리(T)를 갖는 폐쇄도형 형태로 커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도성시트지(300)는 이미지영역(210)의 모양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패턴(P)이 직선으로 배열되는 형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패턴(P)이 정사각형 모양으로 배열되는 형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패턴(P)이 'ㄱ'자 모양으로 배열되는 형태 등을 갖을 수 있다.
일 예로, 금속박막층(310)은 미리 설정되는 두께 및 선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박막층(310)은 알루미늄, 구리 등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되는 단일층이거나 다층일 수 있다. 금속박막층(310)의 두께는 압력 감지도, 전기 전도도 등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도성시트지(300)에서 금속박막층(310)은 박스모듈(100)의 전면부(110)가 가압에 따른 압력으로 눌리면 전류 또는 전압 값의 변화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시트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도성시트지(300)는 미리 설정되는 두께의 종이 및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도성시트지(300)에는 미리 설정되는 단위패턴(P)을 갖는 점선형 금속노출층(3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노출층(320)은 전도성시트지(300)의 상, 하면 즉, 양면에 각각 노출될 수 있다. 이를 노출부(326)이라 한다.
일 예로, 상, 하면의 금속노출층(320) 즉, 노출부(326)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금속노출층(320)은 사다리꼴 모양이 상하 방향으로 교차되어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단위패턴(P)은 점선형 테두리(T)를 갖는 폐쇄도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패턴(P)은 복수 개의 점선형 직선배선(322)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격자형패턴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단위패턴(P)은 점선형 가로 직선배선(322)과 점선형 세로 직선배선(322)의 교차점을 지나는 대각선 방향의 점선형 대각 직선배선(3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도성시트지(300)에서 금속노출층(320)이 박스모듈(100)의 전면부(110)가 가압에 따른 압력으로 눌리면 전류 또는 전압 값의 변화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사운드재생유닛(400)은 박스모듈(100)의 후면부(120) 하면에 배치되며, 음원이 재생되도록 한다. 사운드재생유닛(400)은 각 종 전자 소자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사운드재생유닛(400)에는 음원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사용자 등에 의해 수집되는 외부 음원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사운드재생유닛(400)의 일측에는 음원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음원을 각각 재생시키는 복수 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재생버튼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재생버튼부(410)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면, 이와 연결되는 음원이 재생된다. 일 예로, 재생버튼부(410)에는 도전선부(50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도전선부(500)는 전도성시트지(300)와 사운드재생유닛(400) 사이를 전기적 연결시킨다. 일 예로, 도전선부(500)의 일단은 재생버튼부(41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선부(500)의 타단은 전도성시트지(300)의 테두리(T) 중 어느 일 지점에 부착될 수 있다. 도전선부(500)는 박스모듈(100)의 전면부(110), 후면부(120),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런 도전선부(500)는 금속라인을 포함한다. 또한, 일 예로 도전선부(500)는 하면에 점착성을 갖는 얇은 테이프 형태일 수 있다. 도전선부(500)에서 금속라인은 테이프의 하면 중간라인에 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전선부(500)에서 점착성을 갖는 점착부는 테이프의 하면 양측라인에 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단에서 타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전선부(500)는 전선과 그 단부에 집게단자가 형성되는 케이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사운드출력부(600)를 더 포함한다. 사운드출력부(600)는 예를 들어, 스피커 장치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출력부(600)는 전면부(110) 하면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사운드출력부(600)의 배치 위치에 대향하여 후면부(120)에는 한 쌍의 반원형개구(127)에 의한 케이블홀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운드는 케이블홀을 통해 박스모듈(100)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전원부(700)는 본 발명에서 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전원부(700)는 사운드재생유닛(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원부(700)는 후면부(120)의 하면 어느 일 개소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원부(700)는 복수 개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 박스모듈 200 : 이미지부
300 : 전도성시트지 400 : 사운드재생유닛
500 : 도전선부 600 : 사운드출력부
700 : 전원부
110 : 전면부 120 : 후면부
126 : 배선홈 127 : 반원형개구
210 : 이미지영역 220 : 비이미지영역

310 : 금속박막층 312, 322 : 직선배선
314 : 도트배선
320 : 금속노출층 326 : 노출부
P : 단위패턴 T : 테두리
410 : 재생버튼부

Claims (6)

  1. 복수 개의 접힘 라인에 따른 조립 동작으로 형성되는 박스모듈;
    상기 박스모듈의 전면부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이미지영역을 갖는 이미지부;
    상기 전면부 하면 중 상기 이미지영역의 연직 하측에 부착되며, 상기 이미지부에 대한 터치 동작을 인식하는 전도성시트지;
    상기 박스모듈의 후면부 하면에 배치되며, 음원이 재생되는 사운드재생유닛; 및
    상기 전도성시트지와 상기 사운드재생유닛 사이를 전기적 연결시키는 도전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시트지에는 미리 설정되는 단위패턴을 갖는 금속박막층이 형성되되,
    상기 단위패턴은 테두리를 갖는 폐쇄도형으로, 상기 테두리를 구성하는 직선배선의 선폭 크기는 상기 테두리 내부에 배치되는 직선배선의 선폭 크기의 절반이고,
    상기 금속박막층의 표면에는 미세 크기의 도트부가 돌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단위패턴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단위패턴 사이에서, 상기 단위패턴의 테두리 변을 공유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도성시트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위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패턴 단위로 연결되어 상기 테두리를 갖는 폐쇄도형 형태로 커팅되고,
    상기 도전선부는 하면에 점착성을 갖는 얇은 테이프 형태인 금속라인을 포함하는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음원은 사운드의 크기, 모양, 음정 및 음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부는 음원에 의해 연상되는 연관이미지가 표현된 2차원 시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시트지는 적어도 상기 이미지영역의 면적을 전부 포함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운드재생유닛의 일측에는 음원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음원을 각각 재생시키는 복수 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재생버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하면의 중앙에는 사운드출력부가 배치되고,
    상기 후면부는 접힘 라인을 따라 각각 접혀지는 양문형 도어 형상인 제1후면부 및 제2후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후면부 및 상기 제2후면부에는 상기 사운드출력부의 배치 위치에 대향하여 반원형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6. 삭제
KR1020220015270A 2022-02-07 2022-02-07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KR102423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270A KR102423385B1 (ko) 2022-02-07 2022-02-07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PCT/KR2022/009307 WO2023149604A1 (ko) 2022-02-07 2022-06-29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270A KR102423385B1 (ko) 2022-02-07 2022-02-07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385B1 true KR102423385B1 (ko) 2022-07-20

Family

ID=8260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270A KR102423385B1 (ko) 2022-02-07 2022-02-07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3385B1 (ko)
WO (1) WO202314960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381U (ko) 1995-03-20 1996-10-22 엄태열 멜로디 소리가 나는 케익상자
KR200425080Y1 (ko) * 2006-05-29 2006-09-01 이윤중 이미지나 문자가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메시지 선물상자
KR101434336B1 (ko) 2012-11-15 2014-08-27 장순철 표정을 통해 인식된 감정에 기초한 소리 재생 시스템
KR101507553B1 (ko) * 2013-11-19 2015-04-08 김효국 정보 미디어
KR20180049531A (ko) * 2016-11-03 2018-05-11 서문환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KR102314428B1 (ko) * 2020-06-15 2021-10-18 전광표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639B1 (ko) * 2013-02-18 2014-11-07 주식회사 리멤버피플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이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381U (ko) 1995-03-20 1996-10-22 엄태열 멜로디 소리가 나는 케익상자
KR200425080Y1 (ko) * 2006-05-29 2006-09-01 이윤중 이미지나 문자가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메시지 선물상자
KR101434336B1 (ko) 2012-11-15 2014-08-27 장순철 표정을 통해 인식된 감정에 기초한 소리 재생 시스템
KR101507553B1 (ko) * 2013-11-19 2015-04-08 김효국 정보 미디어
KR20180049531A (ko) * 2016-11-03 2018-05-11 서문환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KR102314428B1 (ko) * 2020-06-15 2021-10-18 전광표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9604A1 (ko)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2819B1 (en) Design and manufacture of communicating card
JP6128622B1 (ja) 導電パターン読取装置、方法及び当該装置を用いたインタラクティブプラットフォーム
US5645432A (en) Toy or educational device
RU214113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мбинирования звуковых и визуальных сообщений
US6041215A (en) Method for making an electronic book for producing audible sounds in response to visual indicia
US20060012944A1 (en) Mechanically operable electrical device
US5757304A (en) Remote control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die supported by a printed publication and method for forming the remote control
KR102423385B1 (ko)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EP2668833B1 (en) Electronic component
US20130130220A1 (en) Printed article comprising an electronic device
KR102314428B1 (ko)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
CN219701041U (zh) 一种有声拼图
CN211106485U (zh) 拼音书
US5868581A (en) Document interpreting systems
RU2448372C1 (ru) Интерактивная электронная книга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вуков
KR200255303Y1 (ko) 홀로그램 표시창을 갖는 아동 도서
JP2005165156A (ja) Pop表記具
JP2005338509A (ja) 音声情報出力シート
KR200393784Y1 (ko) 렌티큘라 사운드 보드
US20210287562A1 (en) Printed circuitry
JP2006301085A (ja) 音声メッセージ伝達シート及び音声基板
KR200383362Y1 (ko) 타블렛형 전자칠판
JP5108608B2 (ja) パズル
US20030108855A1 (en) Book that can read languages and sentences
CN101767498A (zh) 一种语音音乐纸品播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