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428B1 -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 - Google Patents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428B1
KR102314428B1 KR1020200072355A KR20200072355A KR102314428B1 KR 102314428 B1 KR102314428 B1 KR 102314428B1 KR 1020200072355 A KR1020200072355 A KR 1020200072355A KR 20200072355 A KR20200072355 A KR 20200072355A KR 102314428 B1 KR102314428 B1 KR 102314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unit
button
map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표
Original Assignee
전광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광표 filed Critical 전광표
Priority to KR102020007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88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in boxes or containers comprising additional sound reproducing or activat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액자형 프레임부; 상면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보드부; 체험지역에서 채집된 음원이 저장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어느 일 측면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사운드모듈; 상기 홈에 결합되면 상기 전면보드부의 연직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험지역에 대한 모형 형상을 갖는 지역모형부; 및 상기 지역모형부 및 상기 전면보드부를 각각 관통하여 상기 사운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접촉 동작에 의해 상기 음원을 재생 또는 정지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APPARATUS FOR SOUND MAP PLAYING NATURE'S SOUND}
본 발명은 자연의 소리를 음원 파일의 형태로 채집하고, 이를 재생하며 채집 장소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사운드 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림 자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자연 환경의 소리를 채집하는 생태 체험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활동은 일상에 지친 성인, 청소년, 가족 단위의 참가자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체험 활동은 산림 교육과 더불어 자연의 소리를 주제로 한 음원 콘텐츠를 채집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런 교육 프로그램은 자연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통해 참여자의 심신 안정과 상상력의 증대 등의 효과를 일으킨다.
그러나, 자연 환경에 대한 소리 콘텐츠를 전용으로 채집할 수 있는 전자 키트가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다만, 현재 음원을 녹음하기 위한 녹음 디바이스는 다양하다. 그러나, 이는 단지 디지털 장비일 뿐, 생태 체험이라는 특색과 개별화 요소를 전혀 반영하지 못해 새로운 형태의 체험 활동이 주는 기대 효과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참여자가 체험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이벤트 등 그 당시 기억을 오랫동안 간직할 수 있는 제품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체험 과정에서 교육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적절한 전용 교구가 개발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5313호 (2019. 3. 2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9565호 (2019. 8. 05.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996-0019909호 (1996. 7. 18.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숲 체험 등의 산림 교육 과정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중 하나인 자연의 소리(음원)를 채집하고, 이를 체험 지역을 축소시킨 지도 모형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는 사운드 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체험 활동이 이루어지는 관심 영역을 미리 확인하고, 음원의 채집 과정을 기록할 수 있는 사운드 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체험 활동의 결과물을 영구적으로 소장하고, 음원의 채집 과정에서 각 참여자가 경험하는 이벤트를 추억으로 변환시여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사운드 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각 참여자가 직접 채집한 자연의 소리를 통해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고,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운드 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액자형 프레임부; 상면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보드부; 체험지역에서 채집된 음원이 저장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어느 일 측면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사운드모듈; 상기 홈에 결합되면 상기 전면보드부의 연직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험지역에 대한 모형 형상을 갖는 지역모형부; 및 상기 지역모형부 및 상기 전면보드부를 각각 관통하여 상기 사운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접촉 동작에 의해 상기 음원을 재생 또는 정지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역모형부는 산림 지도 또는 숲 지도 중 일부 관심영역을 지도 모양으로 제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심영역이 인쇄되며, 상기 관심영역의 내부 및 상기 관심영역의 외측 주변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타공이 형성되는 종이지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사운드모듈에는 상기 버튼부에 의한 신호가 각각 개별적으로 입력되는 수신단자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부는 나무 재질로 형성되며, 핀부; 상기 핀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핀부의 타단에 형성되며, 전선이 결합되는 선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의 상면과 상기 선결합부는 전도성 페인트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부의 외면에는 상기 전도성 페인트가 전체적으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맵 장치는 숲 체험 등의 산림 교육 과정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중 하나인 자연의 소리(음원)를 채집하고, 이를 체험 지역을 축소시킨 지도 모형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맵 장치는 체험 활동이 이루어지는 관심 영역을 미리 확인하고, 음원의 채집 과정을 기록할 수 있어 교육적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사운드 맵 장치는 체험 활동의 결과물을 영구적으로 소장하고, 음원의 채집 과정에서 각 참여자가 경험하는 이벤트를 추억으로 변환시여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맵 장치는 각 참여자가 직접 채집한 자연의 소리를 통해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고,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맵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버튼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사운드모듈의 개략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맵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맵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버튼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사운드모듈의 개략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맵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맵 장치는 프레임부(100), 전면보드부(200), 후면보드부(600), 사운드모듈(300), 지역모형부(400), 버튼부(500) 등을 포함한다. 사운드 맵 장치는 대한민국 및 세계 각 지역을 대표하는 명산 그 주변 산림 등에서 자연의 소리를 채집하고, 그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산림 교육과 더불어 다양한 생태적 체험 활동에 따른 결과물을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전면보드부(200), 지역모형부(400), 버튼부(500) 등은 나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자연의 은은한 나뭇결 무늬 등을 제공하는 원목을 사용하여 사운드 맵 장치의 본 사용 목적에 보다 부합시킬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조립, 결합되어 사각형 등의 액자형 테두리를 형성한다. 프레임부(100)는 조립이 완료되면, 전면과 후면이 각각 개구되어 있다. 이런, 프레임부(100)는 액자형으로 형성되어, 참여자(또는 사용자)는 사운드 맵 장치를 통해 오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체험 활동에서 경험한 이벤트에 대한 추억을 상기시킬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00)의 내측면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일정 선폭을 갖는 끼움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홈(110)은 높이 방향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전면보드부(200)와 후면보드부(600)는 끼움홈(110)을 통해 프레임부(1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00)의 어느 일 측면에는 사운드모듈(300)이 착탈식으로 결합되게 하는 착탈구(1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전면보드부(200)는 프레임부(100)의 전면에 배치된다. 전면보드부(200)의 상면에는 홈(210)이 형성되어 있다. 홈(210)의 테두리는 어느 일 체험지역을 축소시킨 지도 모양을 갖는다. 이와 달리, 도 5를 참조하면, 전면보드부(200)는 플레이트가 2단으로 적층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보드부(200)는 타공플레이트(250)와 체험지역플레이트(2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타공플레이트(250)에는 플레이트 전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타공(252)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타공(252)은 원형홀의 형태로 형성되며, 이 때, 각 보조타공(252)은 개개의 위치 좌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보조타공(252)은 버튼부(500)가 관통하는 관통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체험지역플레이트(260)는 체험지역을 축소시킨 지도 모양이 제거되어 개구면(262)을 형성하고 있는 상측 플레이트에 해당된다.
후면보드부(600)는 프레임부(100)의 후면에 배치된다. 사운드 맵 장치는 전면보드부(200)와 후면보드부(600)의 배치에 의해 프레임부(100)의 내측에 일정한 수용 공간을 갖게 된다.
사운드모듈(300)은 체험지역에서 채집된 음원이 저장되며 프레임부(100)의 어느 일 측면(예를 들어, 착탈구(120) 등)을 통해 프레임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운드모듈(300)은 인쇄회로기판(310)과 그 상면에 실장되는 프로세서부(320), 배터리부(330) 그리고, 메모리카드부(340), 입출력조절부(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모듈(300)은 음원 파일을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운드모듈(300)에는 복수 개의 출력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출력 단자는 헤드폰출력단자(361), 라인출력단자(362) 등을 포함한다. 또한, 사운드모듈(300)에는 체험 과정에서 자연의 소리(음원)를 녹음할 수 있는 마이크입력단자(36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사운드모듈(300)은 착탈식으로 형성되어, 사용자(또는 참여자)는 사운드모듈(300) 만을 별도 분리한 후, 녹음 마이크를 사용하여 음원을 녹음할 수 있다. 한편, 음원 파일은 사운드 맵 장치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선별되며, 특정 작업을 거쳐 편집될 수 있다. 한편, 음원 파일에는 채집 일자, 채집 시간 등 음원에 대한 부수적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운드모듈(300)에는 버튼부(500)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동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자(38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지역모형부(400)는 체험지역에 대한 축소된 모형 형상으로, 특히 체험지역을 3차원 입체로 제공한다. 이런, 지역모형부(400)는 산림 지도 또는 숲 지도 중 일부 관심영역(s)을 지도 모양으로 제작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지역모형부(400)의 테두리는 필지 단위의 토지 경계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관심영역(s)은 참여자가 생태 체험, 숲 체험 등을 통해 자연 환경을 관찰하고 체험하면서 동시에 소리 컨텐츠를 채집하게 될 어느 일 지역이다. 이런, 관심영역(s)은 참여자의 특징(연령, 성별, 직업 등), 체험 시기(계절, 월), 체험 주제 등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지역모형부(400)가 전면보드부(200)의 홈(210)에 결합되면 지역모형부(400)는 전면보드부(200)의 연직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를 통해, 지역모형부(400)는 관심영역(s)에 대한 입체감, 조형감에 대한 향상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지역모형부(400)는 상면과 하면이 동일한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지역모형부(400)는 하면에서 상면 방향으로 높이가 증가할수록 지도 모양이 비율적으로 점차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지도 축적의 변화를 통해 지역모형부(400)의 상면이 더 부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지역모형부(400)의 두께(t)(상면과 하면 사이의 거리)는 전술한 홈(210)의 깊이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이 때, 전면보드부(200)는 그 하면이 홈(210)의 바닥면에 면접하도록 결합된다.
버튼부(500)는 지역모형부(400) 및 전면보드부(200)를 각각 관통하여 사운드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지역모형부(400)와 전면보드부(200)에는 버튼부(500)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다. 이런, 버튼부(500)는 전술한 것처럼 나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버튼부(500)는 핀부(510), 헤드부(520), 선결합부(530) 및 버튼고정부(5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5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의 핀부(510)와 사용자에 의한 접촉 편의성을 위해 핀부(5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원형 헤드부(520) 그리고, 핀부(510)의 타단에 형성되며 전선(800)이 결합되는 선결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선결합부(530)는 예를 들어, 핀부(510)의 외주면 일부를 평탄하도록 가공하여 형성되는 평탄면의 형태일 수 있다. 평탄면은 전선(800) 내의 도선이 접촉될 수 있는 면적을 증가시킨다. 이와 달리, 선결합부(530)는 핀부(5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선폭으로 형성되는 원형홈의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도선의 단부에는 금속 재질의 링부(810)가 결합되고, 이런 링부(810)는 원형홈에 걸림 결합되어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버튼부(500)가 관통 설치된 이후, 버튼부(500)가 그 위치에서 이탈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튼부(500)의 타단에는 버튼고정부(540)가 결합될 수 있다. 버튼고정부(540)는 예를 들어,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버튼부(50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헤드부(520)의 상면과 선결합부(530)는 전도성 페인트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헤드부(520)의 상면에 참여자의 손가락 등에 의한 접촉이 가해지면,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사운드모듈(300)에 전송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버튼부(500)의 외면에는 전도성 페인트가 전체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전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520)의 상면에는 제1도전층 위에 다시 전도성 페인트에 의해 인쇄되는 복수 개의 도트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트층은 참여자의 접촉 동작에 따른 인식률을 향상시킨다. 또한, 버튼부(500)에는 제1도전층 위에 전도성 페인트에 의해 인쇄되며, 헤드부(520)의 상면과 선결합부(530) 사이를 선(띠) 형태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인층은 헤드부의 상면 중앙에서 시작되는 일정 폭을 갖는 라인이 계속 연장되어 핀부를 지나 원형홈에서 종료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라인층은 제1도전층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며, 전기적 신호에 대한 전송 안정성, 신뢰성 등을 보다 향상시킨다.
버튼부(500)는 사용자의 접촉 동작에 의해 음원을 재생 또는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런 버튼부(500)는 사운드 맵 장치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다. 버튼부(500)는 특히, 채집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반영하여 배치된다. 위치 정보는 종이지도부(7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종이지도부(700)는 지도 모양의 관심영역(s)이 인쇄되어 있는 종이(페이퍼)일 수 있다. 그리고, 관심영역(s)은 전면보드부(200)에 형성되는 홈(210) 또는 홈(210)의 테두리 모양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관심영역(s)은 지역모형부(400)의 상면 또는 상면 테두리 모양과 일치할 수 있다.
한편, 종이지도부(700)에서 관심영역(s)의 내부 및 관심영역(s)의 외측 주변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타공(7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타공(710)의 위치는 위치 좌표(GPS 좌표 등)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달리, 종이지도부(700)에서 관심영역(s)의 내부 및 관심영역(s)의 외측 주변부에는 지형도를 기반으로 산, 강, 호수, 촌락, 도로 등이 인쇄되며, 채집 명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타공(710)이 형성될 수 있다. 참여자는 종이지도부(700)를 이용하여 음원의 채집 위치를 표시하고,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참여자는 종이지도부(700)를 이용하여 지역모형부(400) 및 전면보드부(200)를 관통하는 관통홀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한편, 타공(710)과 보조타공(252)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타공(710)과 보조타공(252)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500)의 경우, 음원의 채집 장소가 한 곳이면, 단일 개의 버튼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음원의 채집 장소가 복수 곳이면, 복수 개의 버튼부(500)(제1버튼부, 제2버튼부, 제3버튼부 등)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버튼부(500)는 각각의 음원을 재생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사운드모듈(300)에는 버튼부(500)에 의한 신호가 각각 개별적으로 입력되는 수신단자(38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신단자(380) 사이에는 순위를 나타내는 번호가 부여되어 예를 들어, 제1수신단자, 제2수신단자 등의 형태로 구별될 수 있다. 그 결과, 버튼부(500)와 사운드모듈(300)은 전선(800) 등의 전기적 연결 수단을 통해 1대1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맵 장치는 서로 다른 음원에 대한 재생과 정지에 있어,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복수의 음원을 동시에 재생하더라도 원본 수준의 음질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음원은 적어도 하나 이상 분류될 수 있다. 분류는 소리의 종류, 평균 데시벨, 음원 데이터의 크기, 채집 장소의 위치 등의 기준을 따른다. 한편, 종이지도부(700)의 일측에는 메모영역이 마련되어 참여자의 이동 경로, 각 채집 장소에 대한 시간 정보(도착 시간, 출발 시간 등), 채집 장소에 따른 소리의 특징 등을 기재할 수 있다.
또한, 버튼부(500)는 헤드부(520)의 크기, 헤드부(520)의 색상, 핀부(510)의 길이 등을 달리하여 다양한 종류로 제작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버튼부(500)가 배치되는 경우, 버튼부(500)는 음원의 분류에 따른 차이, 종이지도부(700)에 기재된 메모 내용상의 차이 등 그 개별적 특징을 반영하여 사운드 맵 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수신단자(380)에 부여된 번호를 이용하면, 음원의 시간적 우선 순위 또는 음원에 대한 참여자의 주관적 우선 순위를 반영하여 버튼부(500)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우선 순위가 높은 음원이 제1수신단자와 연결되며, 제1수신단자와 전기적으로 1대1 연결되는 어느 일 버튼부를 나머지 타 버튼부와 구별하여 특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참여자가 복수 개의 채집 장소 사이에서 어느 채집 장소부터 어떤 순서로 채집 장소를 각각 방문했는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참여자는 스스로 사운드 맵 장치를 조립하면서 스스로 채집한 자연의 소리(음원)를 보관하고, 액자형 컨셉을 통해 체험지역에서 숲 체험, 산림 체험 등의 생태 활동과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경험한 이벤트에 대한 추억을 간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 프레임부 200 : 전면보드부
300 : 사운드모듈 400 : 지역모형부
500 : 버튼부 600 : 후면보드부
700 : 종이지도부 800 : 전선
210 : 홈 250 : 타공플레이트
260 : 체험지역플레이트 s : 관심영역
t : 두께 510 : 핀부
520 : 헤드부 530 : 선결합부
540 : 버튼고정부 710 : 타공
810 : 링부

Claims (7)

  1. 액자형 프레임부;
    상면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보드부;
    험지역에서 채집된 음원이 저장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어느 일 측면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사운드모듈;
    상기 홈에 결합되면 상기 전면보드부의 연직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험지역에 대한 모형 형상을 갖는 지역모형부; 및
    상기 지역모형부 및 상기 전면보드부를 각각 관통하여 상기 사운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접촉 동작에 의해 상기 음원을 재생 또는 정지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역모형부와 상기 전면보드부에는 상기 버튼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역모형부의 두께는 상기 홈의 깊이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는 나무 재질로 형성되며, 핀부; 상기 핀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핀부의 타단에 형성되며, 전선이 결합되는 선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결합부는 상기 핀부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선폭으로 형성되는 원형홈의 형태이며,
    상기 버튼부의 타단에는 상기 버튼부가 관통 설치되면 상기 버튼부가 이탈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버튼고정부가 결합되고, 상기 버튼고정부는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의 상면과 상기 선결합부는 전도성 페인트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도전층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에는 상기 제1도전층 위에 전도성 페인트에 의해 상기 헤드부의 상면과 상기 선결합부 사이를 선(띠) 형태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층이 형성되는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모형부는 산림 지도 또는 숲 지도 중 일부 관심영역을 지도 모양으로 제작하여 형성되는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역이 인쇄되며,
    상기 관심영역의 내부 및 상기 관심영역의 외측 주변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타공이 형성되는 종이지도부;를 더 포함하는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사운드모듈에는 상기 버튼부에 의한 신호가 각각 개별적으로 입력되는 수신단자가 형성되는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외면에는 상기 전도성 페인트가 전체적으로 도포되는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
KR1020200072355A 2020-06-15 2020-06-15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 KR102314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355A KR102314428B1 (ko) 2020-06-15 2020-06-15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355A KR102314428B1 (ko) 2020-06-15 2020-06-15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428B1 true KR102314428B1 (ko) 2021-10-18

Family

ID=7827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355A KR102314428B1 (ko) 2020-06-15 2020-06-15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385B1 (ko) * 2022-02-07 2022-07-20 전광표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9909U (ko) 1994-12-12 1996-07-18 장창원 액자용 프레임
CN2609087Y (zh) * 2003-03-12 2004-03-31 陈正清 语声地图
US20170103420A1 (en) * 2015-10-12 2017-04-13 ArcSecond, Inc. Generating a Contextual-Based Sound Map
KR101965313B1 (ko) 2017-09-14 2019-04-0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어폰 형태의 소리 수집 장치를 이용한 빅 데이터 기반 실시간 소음지도 제공 시스템
KR102009565B1 (ko) 2016-09-12 2019-08-12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9909U (ko) 1994-12-12 1996-07-18 장창원 액자용 프레임
CN2609087Y (zh) * 2003-03-12 2004-03-31 陈正清 语声地图
US20170103420A1 (en) * 2015-10-12 2017-04-13 ArcSecond, Inc. Generating a Contextual-Based Sound Map
KR102009565B1 (ko) 2016-09-12 2019-08-12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
KR101965313B1 (ko) 2017-09-14 2019-04-0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어폰 형태의 소리 수집 장치를 이용한 빅 데이터 기반 실시간 소음지도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385B1 (ko) * 2022-02-07 2022-07-20 전광표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WO2023149604A1 (ko) * 2022-02-07 2023-08-10 전광표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8391A (en) Sound-producing amusement or educational devices
EP0686055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toy or educational device
AU648409B2 (en) Improved compact disc package
Harrison ‘Cheaper than a CD, plus we really mean it’: Bay Area underground hip hop tapes as subcultural artefacts
US5910009A (en) Communication aid using multiple membrane switches
KR102314428B1 (ko)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는 사운드 맵 장치
KR20060114171A (ko) 유아용 한글블록
Staff A slice of time: An exploration of temporal capital and its relationships to economics, culture, and society in a technological and digital age
CN205230389U (zh) 一种可折曲印刷电子薄膜的电子发声书
US20070015400A1 (en) Modular edutainment system
Harrison Taking Liberties: The Influence of the Architectural and Ideological Space of the Hope Theatre on Jonson's Bartholomew Fair
CN211106485U (zh) 拼音书
KR102286166B1 (ko)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
KR102423385B1 (ko)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KR200238991Y1 (ko) 유아용 인지·언어 학습놀이기구
US20080070216A1 (en) Book having audio information
JPH0213037Y2 (ko)
WO1995023409A1 (en) Audioplayback system with interrelated visual display using static card 'software'
Nowlan Something to Write About
CN202584029U (zh) 带有隐藏式内存卡的点读笔
Cordi Exploring Student Voice across a Digital Landscape.
KR20010000865A (ko) 가상입체공간을 활용한 사진앨범용 멀티미디어 씨디롬
Corrado The Family Hour: An Experiment in Parent Involvement.
JPS5855389Y2 (ja) 学習用磁気カ−ド
Klich Systems of Spectatorship: Blast Theory's Aesthetic of Emer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