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058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IoT 기반 선호도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IoT 기반 선호도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058B1
KR102423058B1 KR1020180021752A KR20180021752A KR102423058B1 KR 102423058 B1 KR102423058 B1 KR 102423058B1 KR 1020180021752 A KR1020180021752 A KR 1020180021752A KR 20180021752 A KR20180021752 A KR 20180021752A KR 102423058 B1 KR102423058 B1 KR 102423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preference
external devic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585A (ko
Inventor
박지선
이재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058B1/ko
Priority to CN201980014677.1A priority patent/CN111742559B/zh
Priority to PCT/KR2019/002023 priority patent/WO2019164233A1/en
Priority to EP19757075.7A priority patent/EP3701725A4/en
Priority to US16/281,424 priority patent/US20190268661A1/en
Publication of KR20190101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haracteristics of one or more peripherals, e.g. peripheral type, software version, amount of memory available or display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2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characterized by learning algorithms
    • H04N21/4665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characterized by learning algorithms involving classification methods, e.g. Decision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IoT 기반 선호도 확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댁내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력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출력부 및 상기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콘텐츠 선호도 정보인 제1 선호도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정보 또는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인 제2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인 제3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에 대응하는 관심 콘텐츠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관심 콘텐츠 정보 또는 상기 관심 콘텐츠 정보에 대한 알림을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IoT 기반 선호도 확인 방법{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identifying Preferen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콘텐츠 추천 기술과 관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예: TV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던 수동적 서비스 방식으로부터 벗어나 능동적으로 진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 이력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고, 분석된 선호도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입력 이전에 사용자에 필요한 서비스 정보(예: 콘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이력 정보 예를 들면, 입력된 키워드, 선택된 서비스(예: 콘텐츠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명시적 정보(예: 이력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선호도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이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명시적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츠를 추천할 뿐이므로,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콘텐츠를 추천하지는 못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IoT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IoT 기반 선호도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력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출력부 및 상기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콘텐츠 선호도 정보인 제1 선호도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정보 또는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이력에 관련된 정보인 제2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인 제3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에 대응하는 관심 콘텐츠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관심 콘텐츠 정보 또는 상기 관심 콘텐츠 정보에 대한 알림을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IoT 단말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IoT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 선호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사용자 선호도에 대응하는 관심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관심 콘텐츠 정보 또는 관심 콘텐츠 정보에 대한 알림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IoT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 댁내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회로; 상기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선호도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콘텐츠 선호도 확인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 댁내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조절하는 동작; 및 상기 조절된 선호도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IoT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추천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에 대한 추천 설정 UI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댁내 복수의 IoT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 확인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에 연관된 선호도 조절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추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호도의 크기에 따른 콘텐츠 추천 방식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상황에 따른 콘텐츠 추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추천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추천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서버(130), 및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콘텐츠 추천 시스템(10)이 복수의 IoT 장치(110) 및 복수의 콘텐츠 서버(13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입출력 관계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는 댁내 IoT 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서버(130) 및 디스플레이 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IoT 망은 예를 들면, 무선랜(WiFi),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IoT 망은 LTE-M, LoRA(Long RAnge)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예를 들면, 조작 시간 정보 또는 조작 내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내용 정보는 예를 들면, 온(on), 오프(off), 각종 입력, 각종 설정, 도어 개방 또는 도어 폐쇄와 같은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는 에어컨, 세탁기, 냉장고, 오븐, 인덕션, 전자 레인지, 청소기, 조명, 안마기 또는 웨어러블 장치, 스피커, 사용자 단말(예: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서버(130)(contents provider)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서버(130)는 예를 들면,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웹 서버 또는 방송 콘텐츠(예: 실시간 방송 콘텐츠, VOD 방송 콘텐츠 등)를 제공하는 방송사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서버(130)를 통해 제공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예를 들면, 콘덴츠를 재생할 수 있는 TV 장치 또는 TV 방송 콘덴츠를 수신 및 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입력 장치를 통해 콘텐츠가 선택 및 재생 요청되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서버(130)에 선택된 콘텐츠를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서버(13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예: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예를 들면, 선호도와 연관된 콘텐츠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콘텐츠를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재생중인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조절(예: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하고, 조절된 선호도를 자체 메모리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으면, 재생중인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하향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이용중인 IoT 장치가 없으면,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조절된 콘텐츠의 선호도가 지정된 값 미만이면, 사용자가 재생중인 콘덴츠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 결정하고, 재생중인 콘텐츠를 대신할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들 중에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추천된 콘텐츠의 재생이 요청되면, 추천된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외부 서버(14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와 재생 콘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행동을 예측하고, 사용자의 행동과 재생되는 콘덴츠 간의 연관성을 예측하고, 콘덴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결정할 수 있다. 외부 서버(140)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개인화된 관심 콘텐츠를 결정하고, 개인화된 관심 콘텐츠에 대한 콘덴츠 요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서버(140)는 생성된 콘텐츠 요약 정보의 알림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에 대한 추천 설정 UI 화면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 모듈(210), 입력 장치(220), 디스플레이(230), 메모리(240) 및 프로세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입출력 관계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10)은 제 1 통신 회로(211) 및 제 2 통신 회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 회로(211)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211)는 프로세서(250)로부터의 정보(예: 상태 정보 요청)를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와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의 정보로 변환하여 IoT 망으로 송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프로세서(250)에 의해 해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 2 통신 회로(212)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서버(13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 회로(212)는 프로세서(250)로부터의 정보(예: 콘텐츠 요청)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서버(130)와의 지정된 통신 방식의 정보로 변환하여 지정된 통신 망으로 송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프로세서(250)에 의해 해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2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 또는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220)은 디스플레이(230) 상에 형성된 터치 센서,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제 3 통신 회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구비된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통신 회로는 블루투스, NFC, IR 통신, USB, PS2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예: 리모컨, 마우스 등)와 통신할 수 있다. 입력 버튼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구비된 버튼으로, 전원 버튼, 채널 변경 버튼, 볼륨 조절 버튼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30)는 프로세서(250)의 지시에 따른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곡면 디스플레이,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40)는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콘텐츠를 선호도와 연관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24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츠에 연관된 선호도를 조절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메모리(240)는 IoT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IoT 장치의 이용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메모리(240)는 콘텐츠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이력 정보는 예를 들면, 예컨대, 이전의 출력 콘텐츠의 정보, 이전의 출력 콘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IoT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이전의 출력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주문형 반도체(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50)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출력하고, 제 1 통신 회로(211)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선호도를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새롭게 출력되는 콘텐츠의 정보(예: 프로그램 명)를 확인하면, 확인된 콘텐츠의 정보와 디폴트 선호도(예: 50점)를 연관하여 메모리(240)에 저장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디폴트 선호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250)가 제 2 통신 회로(212)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일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다른 예를 들면,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가 메모리(240)에 저장된 콘텐츠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는지 경우와 없는 경우에 따라 선호도를 달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예를 들면, 조작 시간 정보 또는 조작 내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내용 정보는 예를 들면, 온(on), 오프(off), 각종 입력, 도어 개방 또는 도어 폐쇄와 같은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으면, 선호도를 하향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이용중인 IoT 장치가 없으면,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수신된 상태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시간을 확인하고, 조작 시간이 콘텐츠 출력 시간과 겹치는 경우,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50)는 예를 들면, 도어 개폐 시간, 온/오프 시간, 각종 입력(또는, 설정) 시간 등과 같이 사용자의 수동 조작을 필요로 하는 조작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이용중인 IoT 장치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선호도의 하향 조절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이용중인 IoT 장치 간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 이상일 때는 이용중인 IoT 장치 간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 미만일 때보다 선호도를 더 많이 하향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거리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시청 불가한 거리로서, 댁내 환경(댁내 디스플레이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간의 거리)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 중 고정된 장치와 댁내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는 설정되어 있고, 프로세서(250)는 설정되어 있는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이용중인 IoT 장치 간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 중에서 이동 가능한 장치에 대해서는 신호강도(예: RSSI)를 기반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신호강도와 거리 간의 관계는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이용중인 IoT 장치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호도의 조절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이용중인 IoT 장치가 사용자의 집중을 더 필요로 하는 제 1 장치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집중을 덜 필요로 하는 제 2 장치일 경우보다 선호도를 더 많이 하향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 가스레인지, 청소기, 스피커 등일 수 있다. 상기 제 2 장치는 예를 들면, 로봇 청소기, 안마기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이용중인 IoT 장치의 조작 빈도에 기반하여 선호도의 조절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이용중인 IoT 장치의 조작 빈도가 임계시간 이상일 경우에는 조작 빈도가 임계시간 미만일 경우보다 선호도를 더 많이 하향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냉장고의 도어 개폐의 시간 간격이 임계시간 이상일 경우, 그렇지 않을 경우보다 선호도를 더 많이 하향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단말의 조작 빈도가 임계시간 이상일 경우, 그렇지 않을 경우보다 선호도를 더 많이 하향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조절된 선호도가 지정된 값 미만이면, 콘텐츠 추천이 필요한 상황(예: 사용자가 재생중인 콘텐츠에 관심이 낮은 상황)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콘텐츠 추천이 필요한 상황으로 결정하면, 콘텐츠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IoT 장치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결정하고 결정된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이력 정보는 예를 들면, 예컨대, 이전의 출력 콘텐츠의 정보, 이전의 출력 콘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IoT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이전의 출력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콘텐츠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결정하고, 결정된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수신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복수의 콘텐츠들을 포함하면, 복수의 콘텐츠들 중에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정된 개수의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지정된 방식으로 콘텐츠를 추천하되, 추천할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의 크기에 따라 지정된 방식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도의 크기가 제 1 범위이면, 프로세서(250)는 출력 콘텐츠 상의 지정된 영역(예: 상단)에 추천 콘텐츠의 요약 정보(예: 추천 콘텐츠의 명칭)를 포함하는 팝업 창을 띄워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상기 팝업 창은 예를 들면, 추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선호도의 크기가 제 2 범위(제 2 범위의 값들 > 제 1 범위의 값들)이면, 프로세서(250)는 출력 콘텐츠 상의 지정된 영역에 추천 콘텐츠를 출력하는 PIP(picture in picture) 창을 띄워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선호도의 크기가 제 3 범위(제 3 범위의 값들 > 제 2 범위의 값들)이면, 프로세서(250)는 별도의 알람 없이 출력중인 콘텐츠 대신에 추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23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이용중인 IoT 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콘텐츠의 추천 알림 방식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이용중인 IoT 장치 간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 미만이면, 추천 콘텐츠의 정보를 팝업 창으로 알릴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이용중인 IoT 장치 간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 이상이면, 추천할 콘텐츠의 정보를 음성안내(text to speech)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현재 설정된 볼륨에 따라 추천할 콘텐츠의 정보를 음성안내 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50)는 현재 볼륨이 지정된 볼륨 미만일 경우에는 볼륨을 지정된 볼륨으로 조절하고, 조절된 볼륨으로 추천할 콘텐츠의 정보를 음성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볼륨은 예컨대, 지정된 거리에서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소리가 들릴 수 있도록 입력 장치(220)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수신된 상태 정보, 출력 콘텐츠의 정보 및 조절된 선호도를 연관하여 콘텐츠 이력 정보의 하나로서,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예를 들면, 이용중인 IoT 장치의 상태 정보를 출력 콘텐츠 및 조절된 선호도와 연관하여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댁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댁내에 있는 경우에만 상술한 선호도의 조절 기능 또는 콘텐츠 추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 적어도 일부가 온 된 경우 예컨대, 조명 기기, 디스플레이 장치(200), 에어컨이 온 된 경우, 사용자가 댁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과 통신하여 사용자가 댁내 있는지 아니면, 댁 외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입력 장치(220)를 통한 입력 이력에 기반하여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입력 장치(220)를 통해 콘텐츠가 선호 설정되거나, 콘텐츠가 예약 설정되면,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상기 추천된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입력 장치(220)를 통해 요청되면, 추천된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입력 장치(2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커 모드'가 설정되면, 프로세서(250)는 축구 관련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외부 인터페이스 장치 간의 연결 빈도를 기반으로 선호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외장 메모리 간의 연결 빈도가 임계빈도 이상이면, 라이브 방송 콘텐츠 보다 VOD 방송 콘텐츠의 선호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220)를 통해 설정된 콘텐츠에 대한 추천 설정이 메모리(240)에 저장된 경우, 프로세서(250)는 추천 설정에 기반하여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사용자는 입력 장치(2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관심 키워드 '인공 지능', 전송 시간 '오전 9:00', 수신 위치 'aaa@aaa.com', 수신 빈도 '하루에 한번' 언어 '한국어'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50)는 오전 9시 이전에 키워드 '인공 지능'에 대한 한국어로 된 콘텐츠 검색을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서버(130)로 요청하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서버(130)로부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검색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를 하루에 한번 오전 9시에 aaa@aaa.com 메일로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상기 키워드는 예를 들면, 인공 지능, 스포츠, 드라마 등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빈도는 예를 들면, 하루에 한번, 선호 콘텐츠의 생성시마다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위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200), 이메일, 모바일 단말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현재 출력 콘텐츠가 스포츠 관련 콘텐츠이고, 이용중인 IoT 장치 스피커가 음악을 재생중인 경우, 스포츠 관련 콘텐츠의 선호도를 하향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스피커의 음악 재생 상태와 스포츠 관련 콘텐츠 및 하향 조절된 선호도를 연관하여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스피커의 음악 재생 상태에서 스포츠 관련 콘텐츠의 선호도는 낮아지고, 선호도가 지정된 값 미만이면, 프로세서(250)는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의 이용 빈도를 기반으로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의 상태 정보로부터 냉장고의 개폐 빈도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온/오프 빈도보다 낮음을 확인하면, 음식 관련 콘텐츠의 선호도를 하향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의 이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드라마 콘텐츠가 출력될 때 적어도 IoT 장치의 상태 정보로부터 스피커의 재생 목록에 해당 드라마 콘텐츠의 OST의 저장을 확인하면, 해당 드라마 콘텐츠에 관련된 선호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로부터 냉장고에서 소비되는 음식 목록을 확인하고, 해당 음식 목록에 관련된 콘텐츠의 선호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이력(예: 여행 검색)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태 정보로부터 검색 이력을 확인하고, 확인된 검색 이력에 관련된 콘텐츠(예: 여행 관련 콘텐츠)의 선호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이용중인 IoT 장치가 출력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용중인 IoT 장치가 출력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으면, 선호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50)는 예를 들면, 이용중인 IoT 장치의 기능 키워드(예: 음식 저장)와 출력 콘텐츠의 개요 정보(예: EPG 정보) 간에 상호 일치하는 단어가 한 단어 이상 있으면, 이용중인 IoT 장치가 출력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현재 출력 콘텐츠가 음식 관련 콘텐츠이고 이용중인 IoT 장치 냉장고의 도어 개폐를 확인하면,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상향 조절하고, 냉장고의 도어 개폐 조작, 음식 관련 콘텐츠 및 조절된 선호도를 연관하여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채널별 시청 시간을 분석하고, 채널들 중에서 시청 시간이 가장 긴 채널의 콘텐츠의 선호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홈 쇼핑 채널의 시청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홈 쇼핑 채널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관련된 콘텐츠의 선호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50)는 선호도가 조절된 콘텐츠 중에서 적어도 IoT 장치의 상태 정보와 연관되지 않은 콘텐츠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IoT의 상태 정보 전체에 대하여 동일하게 선호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댁내 복수의 IoT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댁내에 배치된 복수의 IoT 장치(예: 도 1의 110)는 예를 들면, 조명 1 내지 조명 6(411~416), 청소기(420), PC(430), 전자 레인지(450), 인덕션(460) 및 세탁기(4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1 내지 조명 6(411~416), PC(430), 전자 레인지(450), 인덕션(460) 및 세탁기(440)는 고정 설치된 IoT 장치일 수 있다. 청소기(420)는 이동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예를 들면, 제 2 통신 회로(212)를 통해 복수의 IoT 장치가 설치되는 집의 배치도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입력 장치(220)를 통해 상기 배치도 상에 고정 설치된 IoT 장치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댁내 고정 설치된 IoT 장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IoT 장치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입력 장치(220)를 통해 배치도 상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입력으로 설정된 위치 정보와 배치도에 따른 가구의 공간 크기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고정 설치된 IoT 장치 간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이동 가능한 청소기(420)에 대하여 수신 감도를 이용하여 청소기(42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청소기(420)는 이동하면서 댁내 고정 설치된 IoT 장치들(411~416, 430, 440, 450, 460)과 통신하여 예컨대, 신호강도를 이용하여 댁내 고정 설치된 IoT 장치들(411~416, 430, 440, 450, 46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송신하고, 프로세서(250)는 청소기(4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댁내 고정 설치된 IoT 장치들(411~416, 430, 440, 450, 460)의 위치 정보 및 댁내 고정 설치된 IoT 장치들(411~416, 430, 440, 450, 460)과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신호강도와 거리 간의 관계는 실험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입력 장치(220)를 통해 입력된 지정된 거리 또는 지정된 볼륨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거리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시청 불가한 거리로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거리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조명 1(411) 간의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 확인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프로세서(250)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프로세서(250)는 댁내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프로세서(250)는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수신된 상태 정보로부터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음을 확인하면,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하향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확인된 이용중인 IoT 장치가 콘텐츠와 관련도가 임계 관련도 이상인 경우에는 콘텐츠에 관련된 선호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0)는 프로세서(250)는 수신된 상태 정보로부터 이용중인 IoT 장치가 없으면,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동작 540에서, 프로세서(250)는 조절된 선호도를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조절된 선호도와 선호도 조절을 유발한 IoT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선호도와 연관된 콘텐츠의 정보를 연관하여 예컨대, 콘텐츠 이력 정보의 하나로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에 연관된 선호도 조절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10에서, 프로세서(250)는 지정된 주기에 도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출력되는 콘텐츠가 있을 때 동작 610 내지 68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프로세서(25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에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예를 들면, 조작 시간 정보, 조작 내용 정보 또는 선택된 데이터 내용(예: 재생 목록, 검색 이력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프로세서(250)는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의 이용 상황 및 이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수신된 상태 정보로부터 구동 시간 또는 조작 시간을 확인하고, 구동 시간 또는 조작 시간을 기반으로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수신된 상태 정보로부터 확인된 이력 데이터(예: 재생 목록, 검색 이력 등)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640에서, 프로세서(250)는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수신된 상태 정보로부터 구동 시간 또는 조작 시간을 확인하고, 구동 시간 또는 조작 시간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콘텐츠의 출력 시간과 겹치는 IoT 장치를 이용중인 IoT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650에서,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으면, 프로세서(250)는 이용중인 IoT 장치가 콘텐츠가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이용중인 IoT 장치의 기능 키워드(예: 음식 저장)와 출력 콘텐츠의 개요 정보(예: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 간에 상호 일치하는 단어가 한 단어 이상 있으면, 이용중인 IoT 장치가 출력 콘텐츠와 관련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660에서, 프로세서(250)는 동작 650에서, 이용중인 IoT 장치가 콘텐츠와 관련성이 없음을 확인하면, 출력 콘텐츠에 연관된 선호도를 하향 조절할 수 있다.
동작 670에서, 프로세서(250)는 동작 640에서 이용중인 IoT 장치가 없음을 확인하거나, 동작 650에서, 이용중인 IoT 장치가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면, 출력 콘텐츠에 연관된 선호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이력 데이터와 콘텐츠의 정보(예: EPG 정보)로부터 의미상 일치하는 단어가 한 단어 이상 있으면, 관련성이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동작 680에서, 프로세서(250)는 콘텐츠 출력이 중단되는지를 확인하고, 콘텐츠 출력이 중단되지 않으면, 동작 61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추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예컨대, 도 5에 따른 방법을 수행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10에서, 프로세서(250)는 조절된 선호도가 지정된 값 미만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값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값일 수 있다.
동작 720에서, 프로세서(250)는 콘텐츠 이력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이력 정보는 예를 들면, 예컨대, 이전의 출력 콘텐츠의 정보, 이전의 출력 콘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IoT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이전의 출력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프로세서(250)는 수신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복수 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복수 개 있으면, 동작 740에서, 프로세서(250)는 수신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들 중에서 선호도가 높은 순으로 지정된 개수의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하나이면, 동작 750에서, 프로세서(250)는 수신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호도의 크기에 따른 콘텐츠 추천 방식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콘텐츠 추천을 결정한 후 콘텐츠를 추천하는 다양한 방식의 예에 관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10에서, 프로세서(250)는 선호도의 크기가 제 1 값(예: 60)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값은 예를 들면, 콘텐츠의 추천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 선호도의 값일 수 있다.
동작 820에서, 프로세서(250)는 선호도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제 1 임계치(예: 70)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830에서, 프로세서(250)는 선호도가 제 1 임계치 이상이면, 제 2 임계치(예: 80)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840에서, 프로세서(250)는 선호도의 크기가 제 2 임계치 이상이면, 추천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230)에 출력할 수 있다.
동작 850에서, 프로세서(250)는 선호도가 제 1 임계치 이상이고 제 2 임계치 미만이면, 출력 콘텐츠 상의 지정된 영역에 추천 콘텐츠를 출력하는 PIP(picture in picture) 창을 띄워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동작 860에서, 프로세서(250)는 선호도가 제 1 임계치 이상이고 제 2 임계치 미만이면, 출력 콘텐츠 상의 지정된 영역(예: 상단)에 추천 콘텐츠의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팝업 창을 띄워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상기 팝업 창은 예를 들면, 추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상황에 따른 콘텐츠 추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10에서, 프로세서(25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요리중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로부터 냉장고 개폐 시간이 임계시간 미만임을 확인하면, 사용자가 요리중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로부터 전자 레인지, 가스레인지, 인덕션 등의 조리 기기가 동작중임을 확인하면, 사용자가 요리중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프로세서(250)는 사용자가 요리중이면, 냉장고로부터 보관 음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냉장고에 보관 음식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냉장고로부터 보관 음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930에서, 프로세서(250)는 보관 음식을 이용한 요리에 관한 콘텐츠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보관 음식을 키워드로 설정하고, 콘텐츠의 EPG 정보로부터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940에서, 프로세서(250)는 보관 음식을 이용한 요리에 관한 콘텐츠가 있으면, 해당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예를 들면, 실시간 방송 콘텐츠, VOD 방송 콘텐츠 또는 웹 페이지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출력부(1020)(예: 도 2의 230); 통신부(1010)(예: 도 2의 210) 및 프로세서(1030)(예: 도 2의 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0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예: 도 1의 110) 또는 외부 서버(예: 도 1의 14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110)는 IoT(Internet of Things)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버(14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11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0) 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는 서버(예: 홈 네트워크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부(1020)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30)는 제1 선호도 정보, 제2 선호도 정보, 및 제3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호도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콘텐츠 선호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선호도 정보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추천 설정 UI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추천 설정 UI(예: 도 3)는 관심 키워드 정보, 전송시간 정보, 수신위치 정보, 수신빈도 정보 및 선호 언어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입력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호도 정보는 관심 키워드 정보, 전송시간 정보, 수신위치 정보, 수신빈도 정보 및 선호 언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선호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제어 정보 또는 상기 출력부(1020)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제어 정보는 예를 들면, 채널 별 시청 시간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대한 설정 정보(예: 사커 모드 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는 예를 들면, 재생 콘텐츠의 장르 정보 또는 재생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선호도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선호도 정보는 상기 IoT 단말의 설정 관련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및 이용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선호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30)는 제1 선호도 정보, 제2 선호도 정보 및 제3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30)는 제1 선호도 정보 중 선호 언어 정보 또는 관심 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30)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제1 선호도 정보, 제2 선호도 정보 및 제3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30)는 제2 선호도 정보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제어 정보 또는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선호 장르 정보 또는 관심 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학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030)는 제3 선호도 정보 중 IoT 단말의 설정 관련 정보, 동작 상태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이용 패턴 정보(사용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30)는 IoT 단말의 설정 관련 정보, 동작 상태 관련 정보 또는 이용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시간대별 관심 정보(예: 사용자 위치, 사용자의 관심사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30)는 1 선호도 정보, 제2 선호도 정보 및 제3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30)는 선호 장르, 관심 키워드 또는 시간대별 관심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학습한 결과, 시간대 별로 콘텐츠의 장르 또는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예: 선호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30)는 제1 선호도 정보, 제2 선호도 정보 및 제3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도에 대응하는 관심 컨텐츠 정보의 수신 설정 정보를 결정하고, 수신 설정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30)는 추천 설정 UI를 통해 입력된 전송시간 정보, 수신위치 정보, 수신빈도 정보 또는 선호 언어에 각기 기반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호되는 관심 콘텐츠 정보의 수신 시간대, 수신위치, 수신빈도 또는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 설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신위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200), 이메일 또는 모바일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30)는 결정된 사용자 선호도(예: 콘텐츠에 대한 선호 우선순위 정보, 수신 설정 정보)를 통신부(1010)를 통해 외부 서버(예: 도 1의 140)로 송신하고, 외부 서버(예: 도 1의 140)로부터 사용자 선호도에 대응하는 관심 콘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서버(140)는 사용자 선호도 중 관심 키워드 정보, 관심 키워드 정보 또는 선호 언어를 확인하고, 콘텐츠 서버(예: 도 1의 130)와 통신하여 관심 키워드, 관심 키워드 정보 또는 선호 언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관심 콘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서버(140)는 생성된 관심 콘텐츠 정보를 수신 설정 정보에 따른 시간대에 수신 설정 정보에 따른 수신 빈도마다 수신 설정 정보에 따른 수신위치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관심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 제목, 요약 정보,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30)는 상기 수신된 관심 콘텐츠 정보 또는 상기 관심 콘텐츠 정보에 대한 알림을 상기 출력부(102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30)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UI,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출력부(102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30)는 적어도 하나의 IoT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예: 동작 상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30)는 동작 상태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 필요한 IoT 단말(예: 냉장고, 조리기기)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이용중인 IoT 단말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30)는 서버 장치(140)로부터 관심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면, IoT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0)는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출력부(1020)를 통한 알림 출력 방식을 달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지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프로세서(1030)는 관심 콘텐츠 정보 중 요약 정보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지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프로세서(1030)는 관심 콘텐츠 정보 중 요약 정보를 음성 안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거리에 따라 음성 안내음의 출력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30)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이용중인 IoT 장치(IoT 장치의 출력 장치)를 통해 관심 콘텐츠 정보 중 요약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30)는 사용자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정보, 콘텐츠 재생 이력 또는 외부 장치(예: 도 1의 110)에 기반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선호도 기반으로 생성된 관심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예: 도 1의 140)의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140)는 통신부(141), 메모리(145) 및 프로세서(14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41)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서버(13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예: 도 2의 2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41)는 예를 들면, 방송 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45)는 서버 장치(14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7)는 통신부(141)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10)의 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도를 결정(판단)하고, 사용자 선호도에 대응하는 관심 콘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7)는 통신부(141)를 통해 복수의 IoT 장치의 설정 관련 정보 또는 동작 상태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140)는 하나의 댁내에 포함되거나, 사용자에 관련된 복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7)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제1 선호도 정보 또는 제2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호도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관심 키워드 정보, 전송시간 정보, 수신위치 정보, 수신빈도 정보 및 선호 언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선호도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제어 정보 또는 상기 출력부(1020)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7)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제1 선호도 정보, 제2 선호도 정보 및 제3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7)는 제2 선호도 정보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제어 정보 또는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선호 장르 정보 또는 관심 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학습하고, 선호 장르 정보 또는 관심 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7)는 제3 선호도 정보 중 IoT 단말의 설정 관련 정보, 동작 상태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이용 패턴 정보(사용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47)는 IoT 단말의 설정 관련 정보, 동작 상태 관련 정보 또는 이용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시간대별 관심 정보(예: 사용자 위치, 사용자의 관심사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7)는 제1 선호도 정보, 제2 선호도 정보 및 제3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7)는 선호 장르, 관심 키워드 또는 시간대별 관심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학습한 결과, 시간대별 콘텐츠의 장르 또는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예: 선호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프로세서(147)는 제1 선호도 정보 중 전송시간 정보, 수신위치 정보, 수신빈도 정보 또는 선호 언어 정보를 각기 기반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호되는 관심 콘텐츠 정보의 수신 시간대, 수신위치, 수신빈도 또는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 설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신위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200), 이메일 또는 모바일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7)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관심 키워드 정보, 관심 키워드 정보 또는 선호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콘텐츠 서버(예: 도 1의 130)로부터 사용자의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콘텐츠(예: 추천할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츠에 대한 관심 콘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7)는 시간 대 별로 사용자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키워드 또는 장르에 대응하고 선호 언어로 구성된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츠에 대한 관심 콘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47)는 생성된 관심 콘텐츠 정보를 통신부(141)를 통해 수신 설정 정보에 따른 시간대에 수신 설정 정보에 따른 수신 빈도마다 수신 설정 정보에 따른 수신위치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관심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 제목, 요약 정보,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는 IoT 장치로부터의 정보, 사용자의 선호도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력 정보(예: 재생 이력 정보, 제어 이력 정보 등)을 기반으로 추천할 콘텐츠에 대한 관심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예: 도 10의 1000)는 출력부(예: 도 10의 1020);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예: 도 1의 110) 또는 외부 서버(예: 도 1의 140)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예: 도 10의 1010); 및 상기 출력부 및 상기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도 10의 103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콘텐츠 선호도 정보인 제1 선호도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정보 또는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인 제2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인 제3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에 대응하는 관심 콘텐츠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관심 콘텐츠 정보 또는 상기 관심 콘텐츠 정보에 대한 알림을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UI,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호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추천 설정 UI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추천 설정 UI는 관심 키워드, 전송시간, 수신위치, 수신빈도 및 언어 중 하나 이상의 입력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는 IoT(Internet of Things)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선호도 정보는 상기 IoT 단말의 설정 관련 정보, 동작 상태 관련 정보 및 이용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출력부를 통한 알림 출력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예: 도 11의 14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IoT 단말(예: 도 1의 110)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예: 도 11의 141); 및 프로세서(예: 도 11의 147);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IoT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 선호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사용자 선호도에 대응하는 관심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관심 콘텐츠 정보 또는 관심 콘텐츠 정보에 대한 알림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IoT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콘텐츠 선호도 정보인 제1 선호도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정보 또는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인 제2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IoT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IoT 단말의 설정 관련 정보, 동작 상태 관련 정보 및 이용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3 선호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IoT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알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관심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 제목, 요약 정보,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선호도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대 별로 콘텐츠의 장르 또는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학습하고, 시간대 별로 콘텐츠의 장르 또는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콘텐츠에 대한 상기 관심 콘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예: 도 2의 200)는, 메모리(예: 도 2의 240); 디스플레이(예: 도 2의 230);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회로(예: 도 2의 211); 상기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도 2의 25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선호도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종류, 조작 시간, 및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거리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종류, 조작 시간 및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거리 중 하나 이상의 정보에 따라, 상기 선호도를 하향 또는 상향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이용중인 IoT 장치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이용중인 IoT 장치의 종류에 따라, 상기 선호도를 하향 또는 상향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조작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IoT 장치가 이용 중인지를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이용중인 IoT 장치 간의 거리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이용중인 IoT 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선호도의 하향 조절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이용중인 IoT 장치가 없으면, 누적 시간에 따라 상기 선호도를 상향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으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개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콘텐츠의 개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중인 IoT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이용중인 IoT 장치와 상기 콘텐츠의 관련성에 따라 상기 선호도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입력 이력 데이터를 확인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개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콘텐츠의 개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입력 이력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이력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으면, 상기 선호도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상기 조절된 선호도를 상기 콘텐츠 정보에 매핑한 매핑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이전의 출력 콘텐츠의 정보 및 상기 이전의 출력 콘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절된 선호도가 지정된 값 미만이면, 상기 콘텐츠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추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이력 정보는, 상기 이전의 출력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복수의 콘텐츠들을 포함하면, 상기 이전의 출력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중에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정된 개수의 콘텐츠를 추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천할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의 크기에 따라 콘텐츠 추천 정보의 출력 방식을 다르게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예: 도 2의 200)는, 입력 장치(예: 도 2의 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추천된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요청되면, 상기 추천된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지정된 크기만큼 상향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예: 도 2의 200)는 입력 장치(예: 도 2의 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콘텐츠가 예약 설정되면, 상기 선호도를 상향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IoT 기반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 확인 방법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 댁내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조절하는 동작; 및 상기 조절된 선호도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호도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개요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콘텐츠의 개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이용중인 IoT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으면, 상기 선호도를 상향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호도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으면, 상기 선호도를 하향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호도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이용중인 IoT 장치가 없으면,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상향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호도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이용중인 IoT 장치가 있으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개요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콘텐츠의 개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중인 IoT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이용중인 IoT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으면, 상기 선호도를 상향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호도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이력 데이터를 확인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개요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콘텐츠의 개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이력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이력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으면, 상기 선호도를 상향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IoT 기반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 확인 방법은, 상기 조절된 선호도가 지정된 값 미만이면, 콘텐츠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추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이력 정보는, 이전의 출력 콘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이력 정보는, 상기 이전의 출력 콘텐츠과 연관된 선호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복수의 콘텐츠들을 포함하면, 상기 이전의 출력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중에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정된 개수의 콘텐츠를 추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피커;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스피커, 및 상기 통신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콘텐츠 선호도 정보인 제1 선호도 정보와,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정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인 제2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인 제3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판단하고, 상기 제3 선호도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있는 경우, 상기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상향 조절하고,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없거나 상기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하향 조절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조절된 사용자 선호도에 대응하는 관심 콘텐츠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관심 콘텐츠 정보 또는 상기 관심 콘텐츠 정보에 대한 알림을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출력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UI를 표시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호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추천 설정 UI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추천 설정 UI는 관심 키워드, 전송시간, 수신위치, 수신빈도 및 언어 중 하나 이상의 입력 항목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는 IoT(Internet of Things)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선호도 정보는 상기 IoT 단말의 설정 관련 정보, 동작 상태 관련 정보 및 이용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알림 출력 방식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6. 관심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 선호도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있는 경우, 상기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상향 조절하고,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없거나 상기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하향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사용자 선호도에 대응하는 관심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관심 콘텐츠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콘텐츠 선호도 정보인 제1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정보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인 제2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는 IoT(Internet of Things)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상기 IoT 단말의 설정 관련 정보, 동작 상태 관련 정보 및 이용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3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oT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알림 정보를 결정하는, 서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의 제목, 요약 정보, 또는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제1 선호도 정보, 상기 제2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제3 선호도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대 별로 콘텐츠의 장르 또는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학습하고, 시간대 별로 콘텐츠의 장르 또는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콘텐츠에 대한
    상기 관심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10. 전자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회로;
    상기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있는 경우, 상기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상향 조절하고,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없거나 상기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없는 경우 상기 선호도를 하향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선호도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종류, 조작 시간, 및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거리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종류, 조작 시간 및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거리 중 하나 이상의 정보에 따라, 상기 선호도를 하향 또는 상향 조절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입력 이력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콘텐츠의 개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입력 이력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이력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으면, 상기 선호도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천할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의 크기에 따라 콘텐츠 추천 정보의 출력 방식을 다르게 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5. IoT(Internet of Things) 기반 콘텐츠 선호도 확인을 위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
    댁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있는지 확인하는 동작;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있는 경우, 상기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선호도를 상향 조절하는 동작;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없거나 상기 이용중인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없는 경우 상기 선호도를 하향 조절하는 동작; 및
    상기 조절된 선호도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와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개요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콘텐츠의 개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80021752A 2018-02-23 2018-02-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IoT 기반 선호도 확인 방법 KR102423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752A KR102423058B1 (ko) 2018-02-23 2018-02-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IoT 기반 선호도 확인 방법
CN201980014677.1A CN111742559B (zh) 2018-02-23 2019-02-20 基于物联网(IoT)设备识别内容偏好的显示设备
PCT/KR2019/002023 WO2019164233A1 (en) 2018-02-23 2019-02-20 Display device for identifying preference of content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EP19757075.7A EP3701725A4 (en) 2018-02-23 2019-02-20 DISPLAY DEVICE FOR DETECTION OF PREFERENCES OF CONTEN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US16/281,424 US20190268661A1 (en) 2018-02-23 2019-02-21 Display device for identifying preference of content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752A KR102423058B1 (ko) 2018-02-23 2018-02-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IoT 기반 선호도 확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585A KR20190101585A (ko) 2019-09-02
KR102423058B1 true KR102423058B1 (ko) 2022-07-21

Family

ID=67686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752A KR102423058B1 (ko) 2018-02-23 2018-02-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IoT 기반 선호도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268661A1 (ko)
EP (1) EP3701725A4 (ko)
KR (1) KR102423058B1 (ko)
CN (1) CN111742559B (ko)
WO (1) WO2019164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522A1 (ko) * 2019-07-16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청 상황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10098137A1 (en) * 2019-09-30 2021-04-01 Arris Enterprises Llc Smart media device
US11538356B2 (en) 2019-11-15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able presentation for network-connected electronic devices
KR20210061856A (ko) * 2019-11-20 2021-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22081264A1 (en) * 2020-10-12 2022-04-21 Arris Enterprises Llc Set-top box ambiance and notification controller
WO2024034696A1 (ko) * 2022-08-08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949967B1 (en) * 2022-09-28 2024-04-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connotation for audio and visual content using IOT sensor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1716A1 (en) 2008-09-05 2011-08-04 Takayuki Sakamoto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Content Recommendation Apparatus,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20130173765A1 (en) 2011-12-29 2013-07-0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roles between user devices
US20130290233A1 (en) * 2010-08-27 2013-10-31 Bran Ferren Techniques to customize a media processing system
US20150026001A1 (en) 2011-08-16 2015-01-22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Recommending content information based on user behavior
US20150134761A1 (en) * 2013-11-14 2015-05-14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s to route iot notifications according to user activity and/or proximity detection
KR101618859B1 (ko) * 2015-01-23 2016-05-09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클라우드 기반의 사물인터넷을 이용하고 리소스 가상화 기반의 원격제어를 통해 사용자 행동패턴에 기초한 댁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 디바이스 정보 수집처리 시스템
US20160234595A1 (en) 2015-02-11 2016-08-11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ambient background noise modification based on mood and/or behavior information
US20170264920A1 (en) 2016-03-08 2017-09-14 Echostar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of sporting event presentation based on viewer eng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20608A1 (es) * 1998-07-17 2002-05-2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Un metodo y una disposicion para suministrar a un usuario acceso remoto a una guia de programacion interactiva por un enlace de acceso remoto
US20100153885A1 (en) * 2005-12-29 2010-06-17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dvanced displays provided by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KR20100100180A (ko) * 2009-03-05 2010-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추천 방법 및 장치
US9014546B2 (en) * 2009-09-23 2015-04-2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users within detection regions of media devices
US9363464B2 (en) * 2010-06-21 2016-06-07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history-based decision making in a television receiver
US8863196B2 (en) * 2010-11-30 2014-10-14 Sony Corporation Enhanced information on mobile device for viewed program and control of internet TV device using mobile device
US20120319825A1 (en) * 2011-06-14 2012-12-2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systems, and means for restricting control of a home entertainment device by a mobile device
US9219790B1 (en) * 2012-06-29 2015-12-22 Google Inc. Determining user engagement with presented media content through mobile device usage
US10185934B2 (en) * 2013-07-09 2019-01-22 Qualcomm Incorporated Real-time context aware recommendation engine based on a user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KR20150136314A (ko) * 2014-05-27 201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US10282475B2 (en) * 2014-12-18 2019-05-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ation of browser suggestion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device data
US9774604B2 (en) * 2015-01-16 2017-09-26 Zingbox, Ltd. Private cloud control
US20190014137A1 (en) * 2017-07-10 2019-01-10 ZingBox, Inc. IoT DEVICE SECURITY
US10200759B1 (en) * 2017-07-28 2019-02-05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correlating an advertised object from a media asset with a demanded object from a group of interconnected computing devices embedded in a living environment of a user
US11082296B2 (en) * 2017-10-27 2021-08-03 Palo Alto Networks, Inc. IoT device grouping and labeling
US10461955B2 (en) * 2018-03-27 2019-10-29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emptively preventing interruptions from network-connected devices from occurring during media viewing
US11012659B2 (en) * 2018-08-07 2021-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 illumination and sound control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computing environment
US10775178B2 (en) * 2018-08-14 2020-09-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atio-temporal re-routing of navigation
US11126612B2 (en) * 2018-10-29 2021-09-21 EMC IP Holding Company LLC Identifying anomalies in user internet of things activity profile using analytic engin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1716A1 (en) 2008-09-05 2011-08-04 Takayuki Sakamoto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Content Recommendation Apparatus,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20130290233A1 (en) * 2010-08-27 2013-10-31 Bran Ferren Techniques to customize a media processing system
US20150026001A1 (en) 2011-08-16 2015-01-22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Recommending content information based on user behavior
US20130173765A1 (en) 2011-12-29 2013-07-0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roles between user devices
US20150134761A1 (en) * 2013-11-14 2015-05-14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s to route iot notifications according to user activity and/or proximity detection
KR101618859B1 (ko) * 2015-01-23 2016-05-09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클라우드 기반의 사물인터넷을 이용하고 리소스 가상화 기반의 원격제어를 통해 사용자 행동패턴에 기초한 댁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 디바이스 정보 수집처리 시스템
US20160234595A1 (en) 2015-02-11 2016-08-11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ambient background noise modification based on mood and/or behavior information
US20170264920A1 (en) 2016-03-08 2017-09-14 Echostar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of sporting event presentation based on viewer eng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585A (ko) 2019-09-02
WO2019164233A1 (en) 2019-08-29
CN111742559A (zh) 2020-10-02
EP3701725A1 (en) 2020-09-02
CN111742559B (zh) 2023-07-25
US20190268661A1 (en) 2019-08-29
EP3701725A4 (en)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30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IoT 기반 선호도 확인 방법
US110445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ving and restoring scenes in a multimedia system
US20130035086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suggestions
US95100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media actions based on status of external components
US2014017289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location specific content
JP2005513688A (ja) ユーザが複数のプロファイルを結合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コンテンツのアクセス及び表示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9544720B2 (en) Information delivery targeting
US2014020821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er-built information using the same
JP2021516356A (ja) 音声データおよびメディア消費データに基づいてユーザを識別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704021B2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100140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media consumption environment based on changes in status of an object
JP6042596B2 (ja) 情報処理装置、テレビ受像機、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344766B2 (en) User assigned channel numbering for content from multiple input source types
JP5905423B2 (ja) 仮想チャンネル管理の方法、仮想チャンネルを有するネットワークベースのマルチメディア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ー可読記憶媒体
KR1026544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20272409A1 (en)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one or more home appliances in consideration of viewing situation
KR201601331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852490B1 (ko) 사용자의 검색 패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20343909A1 (en) Display apparatus
TWI554092B (zh) 服務管理方法與系統
KR20230166331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