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314A -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314A
KR20150136314A KR1020140063643A KR20140063643A KR20150136314A KR 20150136314 A KR20150136314 A KR 20150136314A KR 1020140063643 A KR1020140063643 A KR 1020140063643A KR 20140063643 A KR20140063643 A KR 20140063643A KR 20150136314 A KR20150136314 A KR 20150136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content
user activit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정
이영아
김재엽
문주선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3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6314A/ko
Priority to EP14893066.2A priority patent/EP3151578A4/en
Priority to PCT/KR2014/012703 priority patent/WO2015182844A1/ko
Priority to CN201480079466.3A priority patent/CN106464976B/zh
Priority to US15/313,447 priority patent/US20170142484A1/en
Publication of KR2015013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1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83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demographical data, e.g. age, family status or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9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additional data with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04N21/44226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on soc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1Deriving a combined profile for a plurality of end-users of the same client, e.g. for family members within a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6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rating content, e.g. scoring a recommended movi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 및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될 정도로 보급율이 높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고, 사용자가 선호할 것이라 예상되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사용자 만족도가 크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시청 행태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판단하고, 그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포지티브(positive) 관계 또는 네거티브(negative) 관계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액티비티 시간 및 사용자 액티비티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와 관련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자체, 상기 컨텐츠의 속성 및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장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청 행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시청 행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른 추천 컨텐츠 제공시 추천의 기반이 되는 컨텐츠 속성을 나타내는 기설정된 아이템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른 컨텐츠 추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포지티브(positive) 관계 또는 네거티브(negative) 관계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포지티브(positive) 관계 또는 네거티브(negative) 관계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액티비티 시간 및 사용자 액티비티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와 관련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자체, 상기 컨텐츠의 속성 및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장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청 행태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시청 행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른 추천 컨텐츠 제공시 추천의 기반이 되는 컨텐츠 속성을 나타내는 기설정된 아이템을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른 컨텐츠 추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포지티브(positive) 관계 또는 네거티브(negative) 관계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의 시청 행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더욱 풍부한 시청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a 및 도 6b,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c,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액티비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컨텐츠 제공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a 및 도 13b,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컨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PC(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Navigation), 키오스크(Kiosk),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원격 제어 모드 또는 원격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모션 센서, 터치 센서 또는 광학 기술을 응용한 OJ(optical Joystick) 센서, 물리적 버튼(예를 들어, Tact Switch), 디스플레이 화면, 마이크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원격 제어 기능 외에 통화 기능, 인터넷 기능, 촬영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실시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수행된 사용자 액티비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300)는 도 1a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선호도 정보 생성 및 생성된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추천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버(300)는 모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종 운영 체계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상호 작용을 담당하는 중앙 서버(또는 통합 서버)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는 클라우드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인터넷 기반(cloud)의 컴퓨팅(computing)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터넷 상의 유틸리티 데이터 서버에 프로그램을 두고 그때 그때 컴퓨터나 휴대폰 등에 불러와서 사용하는 웹에 기반한 소프트웨어 서비스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제공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재생 화면,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기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 전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연동 >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도 1, 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20)는 BT(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IR(Infrared), Serial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의 기정의된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여 연동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연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 간에 통신이 초기화되는 동작,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동작, 기기 페어링이 수행되는 동작 등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모든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기기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되고, 그에 따라 양 기기 간의 페어링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술을 통해 주변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기기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연동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피 제어 기기로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이 전원이 ON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페어링 방법에 대해서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페어링되어 통신을 수행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상에서 SNS 이용과 관련된 액티비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와 관련된 액티비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 등 사용자 단말 장치(200) 내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모든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 및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또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와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과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
<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 >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에 대한 사용자 액티비티,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자체, 컨텐츠 속성 및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저장 또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 등 다양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NS에 대한 사용자 액티비티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장면을 캡쳐하여 SNS 서버에 업로드하는 행위, 업로드된 컨텐츠 장면에 댓글을 다는 행위, 투표 등에 의해 선호도를 표시하는 행위, 트위터와 같은 실시간 댓글을 다는 행위 등 SNS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자체, 컨텐츠 속성 및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컨텐츠에 대해 직접적으로 선호 표시를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될 수 있는데,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 터치 패드 등을 통해 입력되는 형태 뿐 아니라, 기설정된 사용자 음성 또는 기설정된 사용자 모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좋아"라는 사용자 음성 또는 "♡"를 그리는 사용자 모션 또는 터치 패드 상에 "♡"를 그리는 사용자 터치 입력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저장 또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해당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애착 인터렉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설정 조작, 컨텐츠에 대한 편집 조작, 컨텐츠에 대한 공유 조작, 컨텐츠 생성과 관련된 조작 등에 기초하여 선호 컨텐츠가 선택되고, 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배우의 사진을 Lock-screen 화면, 바탕화면, 프로필 사진 등으로 설정하는 조작에 따라 해당 배우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그 밖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계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계없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모든 사용자 액티비티도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를 하는 행위,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행위,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하거나, 관련하지 않은 검색어를 기초로 인터넷 검색을 하는 행위, 게임을 하는 행위 등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수행가능한 모든 액티비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
한편,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방송 시청 모드에서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 컨텐츠 재생 모드에서 제공되는 VOD 컨텐츠, 웹 모드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 컨텐츠, 게임 컨텐츠와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통해 특정 웹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도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실제 방송 또는 재생되는 컨텐츠 뿐 아니라, EPG 정보, 텍스트 정보, 썸 네일 정보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OD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UI 화면 상에서 제공되는 썸 네일 정보도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
< 선호도 정보 생성 >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포지티브(positive) 관계 또는 네거티브(negative) 관계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정보를 SNS에 업로드하거나, 댓글을 다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인터넷으로 검색하는 등의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는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화면 상에 VOD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특정 VOD 컨텐츠의 세부 정보를 탐색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에 대한 포지티브(positive) 관심 또는 네거티브(negative) 관심을 나타내는 텍스트, 이미지 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기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가 포지티브(positive) 관계 또는 네거티브(negative) 관계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컨텐츠에 "이 드라마 싫어"라는 댓글을 다는 경우 기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싫어"라는 텍스트가 네거티브(negative) 관심을 나타낸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정보와 관계없는 내용을 인터넷으로 검색하거나, 게임을 하는 등의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무관심을 나타내는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구체적으로, 컨텐츠 자체, 컨텐츠의 속성 및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텐츠가 방송 컨텐츠인 경우, 방송 프로그램 자체, 방송 프로그램의 장르, 출연 배우, 촬영 배경, 촬영 장소, 컨텐츠 장면 등 다양한 컨텐츠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액티비티 시간, 액티비티 횟수 등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인터넷 검색하는 행위의 경우에도 인터넷 검색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산출하는데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시청 행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감지부(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시선 위치, 시선이 머무는 시간, 웃음 시점, 감탄사 발화, 입 모양 등의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 컨텐츠 추천>
한편, 제어부(130)는 상술한 방법으로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 정보에 기초하여 로맨스 코미디 장르에 사용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로맨스 코미디 장르의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시청자가 시청하지 못한 프로그램 회차를 추천해 줄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특정 출연 배우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배우가 출연하는 컨텐츠를 추천해 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별도의 UI 화면을 통해 추천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채널 재핑 명령에 따라 제공되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추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즉, 추천 방송 컨텐츠에 대해서만 해당 방송 컨텐츠를 추천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로맨스 코미디 장르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장르의 방송 컨텐츠가 재핑되면 해당 컨텐츠에 추천 G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EPG 형태로 제공되는 방송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EPG 내의 로맨스 코미디 장르 컨텐츠 정보에 추천 GUI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추천 컨텐츠의 타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컨텐츠에 선호도를 표시한 공감 사용자의 수(예를 들어, 해당 컨텐츠를 SNS로 공유한 사용자 수)를 표시할 수 있으며, 공감 사용자 수는 말 풍선 형태의 GUI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30)는 추천 컨텐츠 제공시, 컨텐츠 속성을 나타내는 아이템을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은 사용자 액티비티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라 추천의 기반이 되는 컨텐츠 속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맨스 장르의 드라마를 즐겨 보는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로맨스 드라마 컨텐츠가 추천되는 경우, 로맨스를 상징하는 ♡ 형태를 포함하는 아이템이 추천 컨텐츠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추천의 기반이 되는 컨텐츠 속성은 장르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부 장르(예를 들어, 야구), 리얼버라이어티, 방송 시간, 등장인물, 캐릭터, 아이템, 감성, 영상, 배경화면, 음향, 장면 등 다양한 속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세부 장르는 EPG 정보에 의해 제공되는 대분류 장르(예를 들어, 스포츠, 예능, 드라마 등)과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배우가 출연하는 드라마를 즐겨보는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해당 배우가 출연하는 드라마 컨텐츠가 추천되는 경우, 해당 배우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아이템이 추천 컨텐츠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아이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제작되어 저장되어 있거나, 컨텐츠 속성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제작 또는 수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 뿐 아니라, 사용자 정보를 참고하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맨스 장르의 드라마를 즐겨 보는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로맨스 드라마 컨텐츠가 추천되는 경우, 사용자 세대(또는 연령) 및 성별을 고려하여 로맨스 드라마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20~30 대 여자인 경우 로맨스 드라마 컨텐츠 중에서도 20~30 대 여자의 선호도가 높은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감지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0), 버튼(181), 카메라(182), 마이크(183)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 각종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컨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한 정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 추천 컨텐츠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사용자 인증에 따라 해당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 인증 정보(예를 들어 ID 및 PASSWORD), 사용자의 성별, 연령, 취미 등의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 밖에,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따르면, 저장부(140)에는 베이스 모듈(141), 센싱 모듈(142), 통신 모듈(143), 프리젠테이션 모듈(144), 웹 브라우저 모듈(145), 서비스 모듈(146)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41)이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41)은 스토리지 모듈(141-1), 보안 모듈(141-2) 및 네트워크 모듈(14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4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 모듈(141-1)을 이용하여 저장부(14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14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41-3)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4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142)은 터치 인식 모듈, 헤드 방향 인식 모듈,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4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43)은 외부 장치와 통신에 이용되는 디바이스 모듈,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14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4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146)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모듈(146)은 SNS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50)는 사용자의 시청 행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50)는 사용자를 촬상하는 촬상부(미도시) 및 촬상부(미도시)에 의해 촬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 행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촬상부(미도시)는 화면의 외곽 영역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촬상부(미도시)는 화면의 상단 중앙, 좌단 중앙 또는 우단 중앙 베젤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촬상부(미도시)는 사용자 특히, 사용자 얼굴을 촬상한다. 촬상부(미도시)는 렌즈를 포함한 렌즈 모듈과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렌즈를 통해 입력된 형상은 필름의 역할을 하는 이미지 센서에 광학 신호로서 입력되고, 이미지 센서는 입력된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시선 검출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촬상부(미도시)는 일반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뎁스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검출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시청 행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검출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얼굴 방향 또는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 등을 추적하여 사용자가 응시하는 영역, 사용자의 시선이 머무는 시간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웃음 시점, 감탄사 발화, 입모양 등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부(미도시)는 얼굴 모델링(face modeling) 기술을 통해 촬영부(미도시)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 촬영 영상으로부터 안구 영상을 식별한다. 이때, 얼굴 모델링 기술은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얼굴 영상의 가공 처리 및 전송을 위한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분석 과정으로, ASM(Active Shape Modeling) 기법 및 AAM(Active Appearance Modeling) 기법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부(미도시)는 식별된 안구 영상을 이용하여 안구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부(미도시)는 안구 움직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응시하는 방향을 검출하고, 기 저장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좌표 정보와 사용자가 응시하는 방향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응시하는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감지부(150)를 통해 검출된 사용자의 시청 행태 및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믹 장르의 드라마가 방영시 사용자가 기설정된 횟수, 기설정된 시간 이상 웃는 모습이 검출되면 사용자가 코믹 장르 컨텐츠에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통신부(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휴대 가능한 단말이 될 수 있으며, 테블릿, 휴대폰, PMP, PDA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전면에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터치 센서를 내장하고 있어 손가락 또는 펜(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터치 센서 또는 광학 기술을 응용한 OJ(optical Joystick) 센서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받는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UI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재생 화면,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공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 다양한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UI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재생 화면,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채널 재핑(zapping)을 위한 UI 화면, 볼륨 조정을 위한 UI 화면, 컨텐츠 선택을 위한 UI 화면, 어플리케이션 선택을 위한 UI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기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1, 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20)는 BT(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IR(Infrared), Serial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3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기정의된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여 연동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연동 상태 및 기설정된 이벤트에 대해서는 도 2a에서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 디스플레이 장치와 송수신하는 정보 >
통신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연동 상태가 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22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다양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실시간 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방송 시청 모드, VOD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모드, 기설정된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 모드, 게임을 재생하는 게임 모드, 웹 브라우저를 제공하는 웹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진입하거나, 해당 모드에 있는 경우, 해당 모드를 벗어난 경우 등에 대한 다양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 외부 서버와 송수신하는 정보 >
통신부(220)는 경우에 따라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외부 서버(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에 대응되는 UI 화면에 대한 정보, UI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 등을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명령에 따라 SNS 화면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서버(미도시)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등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드라이버 정보, 제어 정보, UI 정보 등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저장되는 정보 >
저장부(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2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30)는 SNS 이용 내역, 인터넷 검색 내역 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부(21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UI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다양한 UI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 밖에, 저장부(230)에 저장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은 도 3에 개시된 구성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수행되는 다양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선호도 정보에 기초한 추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추천 컨텐츠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EPG 정보를 수신하여 EPG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컨텍스트에 대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UI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상에 제공하거나,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텍스트는 제어가 요구되는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기능, 제공되는 컨텐츠 타입, 제공되는 영상 패널, 디스플레이 상태 등 다양한 상태 및 상황을 포함하는 의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타입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UI가 제공될 수도 있으나, 입력된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대응되는 UI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실시간 재생하는 미러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 제어부(240)는 뮤직 플레이어 기능, 통화 기능,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인터넷 기능 등 스마트 폰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단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그립 센서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감지부(미도시)는 터치 이외에, 회전, 기울기, 압력, 접근, 그립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40)는 필요에 따라 감지부(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다양한 감지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들려지는 순간 자동으로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전환되거나, 대기 모드에서 영상(예를 들어, 초기 메뉴)을 신속히 디스플레이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서버(30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서버(300)는 도 1b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수행된 사용자 액티비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300)는 도 1a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발생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하고, 추천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3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발생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추천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 또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추천 컨텐츠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320)는 새로우 정보 수신시 저장된 정보들을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20)는 사용자 인증에 따라 해당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의 성별, 연령, 취미 등의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20)는 사용자와 버디 관계에 있는 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및 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된 타 사용자의 액티비티 정보, 해당 액티비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타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230)는 도 2(b)에 도시된 제어부(130)의 세부 구성과 유사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3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컨텐츠 추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와 기설정된 버디 관계에 있는 타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330)는 타 사용자의 타 사용자 단말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액티비티 정보에 기초하여 타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타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에 따른 컨텐츠 추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AP(Access Point) 장치(10)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 장치(10)는 Wi-Fi(Wireless Fidelity)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 공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공유기 없이도 Wi-Fi 단말을 직접 연결할 수 있는 P2P 개념의 새로운 Wi-Fi 기술인 Wi-Fi Direct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VOD 컨텐츠, 영상판 홈 쇼핑, 네트워크 게임 등 차세대 쌍방향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이른바 대화형 텔레비전)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가정용 통신 단말기 기능을 갖춘 셋톱 박스(5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셋톱 박스는 TV를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만들어주는 장치로서 실제로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특별한 컴퓨터로서 웹브라우저와 TCP/IP 등의 프로토콜도 가지고 있다. 최근 셋톱박스는 웹 TV 서비스를 위해 전화회선이나 케이블 TV용 회선 등을 통해 서비스를 할 수 있으며, 기본 기능으로서 영상 신호의 수신·변환 기능을 구비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Wi-Fi Data(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동일한 제조사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식하지만, 일반 상용 AP는 인식하지 못하고 버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Wi-Fi 표준 Format을 이용하여 신규 Data Type을 정의하여 H/W Chipset 변경의 필요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Chipset 업체는 신규 Data Format을 위한 API만 제공하고, 신규 Data Format은 제조업체에서 독자적으로 정의하여 Confidential 정보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Wi-Fi Data는 Wi-Fi 신호임으로 벽을 지나 옆집에 비 연결대상인 TV에도 전달될 수 있지만, 이를 구분하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Wi-Fi Data에 대한 응답 Data(②)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Wi-Fi Data를 인식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신의 현 AP 연결정보를 응답한다. 이 경우, 초음파, IR 또는 NFC 와 같이 제한된 공간/거리에서만 통신이 이뤄지는 부가기술을 통해 비 연결대상의 응답을 제한할 수 있다.
또는, ②번의 대안으로 연결정보를 요청하는 Data(③)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①번 Wi-Fi Data 직후 초음파, IR 또는 NFC와 같은 부가기술을 이용하여, 주변의 당사 TV의 현 AP 연결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①번 Data를 인식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③번의 요청 Data를 기다리게 되며, 제한된 공간/거리에서만 통신이 이뤄지는 부가기술로 전달되는 연결정보 요청 Data는 비 연결대상 TV에는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는, ②번의 대안으로 연결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 Data(④)를 전송할 수 있다. Wi-Fi를 이용해 AP 연결정보를 전달하며, ③번 연결정보 요청 Data는 연결대상 TV에만 전달되었기 때문에, ③번 Data를 인식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반 Wi-Fi를 통해 응답하게 된다. 다만, 초음파 사용 시 ②번의 경우 TV SPK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SPK의 출력 범위 등이 주요하며, ③+④번의 경우 TV가 필히 Mic를 가져야 한다는 제약 사항이 있을 수 있다.
이 후, AP 연결요청 Data(⑤)가 전송된다. 이 경우, 연결 대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현 AP 연결정보를 취득했기 때문에, 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AP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페어링 방법에 따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개입이 최소화하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Power on 만으로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먼저 On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On 시켰을 때, 아무런 부가적인 동작 없이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 N/W 정보를 얻어와 N/W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Pairing 되게 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한번 Pairing 된 기기들은 다시 Pairing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대상 및 비 대상을 구분하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airing 비 대상 기기(예를 들어, 옆집 TV)는 식별하여 Block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N/W 환경에 대한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다른 N/W가 중간에 개입되더라도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Pairing 대상 기기 내 기 연결된 N/W 정보 등을 한정된 공간 내에서 전달하고 또 전달받기 위해, IR/초음파/NFC 등의 부가 근거리 통신기술 사용을 고려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에 따르면, AP 장치(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항상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AP 장치(10)의 유무 또는, 인터넷 연결 상태에 따라 접속 환경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어떤 경우라도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b에 따르면,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라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실시간 영상 전송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P2P 형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토폴로지 변경이 신속히 일어나 서비스 변경에 따른 Latency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c에 따르면, Wi-Fi를 이용하여 Power On/Off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ower Off 상태의 TV(100)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Wi-Fi를 통해 Power On 시킬 수 있어야 하며, 반대로 Power Off 시킬 수 있어야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 Gateway Server를 통해 STB 와 같은 외부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합 리모콘을 셋업(setup)없이 설정하여 STB 와 같은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밀어보기, 끌어보기, Multi-Angle 보기 등 다양한 컨텐츠 스트리밍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액티비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의 사용자 액티비티는 SNS에 대한 액티비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해 트위터와 같은 실시간 댓글을 다는 행위 외에, 해당 컨텐츠 장면을 캡쳐하여 SNS 서버에 업로드하는 행위, 업로드된 컨텐츠 장면에 댓글을 다는 행위, 투표 등에 의해 선호도를 표시하는 행위 등 SNS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액티비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SNS에 대한 액티비티가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행위인 경우 해당 액티비티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다양한 속성 중 하나에 대한 포지티브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SNS에 대한 액티비티가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 없는 행위인 경우 해당 액티비티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다양한 속성 중 하나에 대한 네거티브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데 기여하거나,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의 사용자 액티비티는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액티비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를 기초로 인터넷 검색하는 행위, 또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되지 않은 검색어를 기초로 인터넷 검색을 하는 행위 등이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액티비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 검색 행위도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의 관련성 여부에 따라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사용자 액티비티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상에서 수행된 행위가 아닌, 사용자의 시선시간, 웃음 시점, 감탄사 발화, 입모양 등의 시각적 정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액티비티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자체, 컨텐츠 속성 및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직접적으로 선호 표시를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자체에 대해 선호 표시를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에 대해 선호 표시를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렉션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터치 패드 상에 "♡"를 그리는 사용자 터치 입력과 같은 형태,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을 누름 조작하는 형태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통화를 하는 행위,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행위, 게임을 하는 행위 등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수행가능한 모든 액티비티가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액티비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컨텐츠 제공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UI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화면 전체 영역 상에서 별도의 UI 화면으로 제공되거나,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일부 영역 상에서 별도의 UI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의 이유가 되는 아이템이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F 장르의 컨텐츠를 선호하는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컨텐츠(1210)가 추천되는 경우 SF를 상징하는 아이템(1211)을, 로맨스 장르의 컨텐츠를 선호하는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컨텐츠(1220)가 추천되는 경우 로맨스를 상징하는 아이템(1221)을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컨텐츠가 추천된 이유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컨텐츠(1250)가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의 컨텐츠인 경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동일한 장르의 컨텐츠(1241, 1242, 1243)를 추천하는 UI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UI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아닌 사용자 단말 장치(100) 상에서 제공될 수도 있으며,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컨텐츠 정보(1251 내지 1256)에는 추천의 이유가 되는 아이템이 포함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재핑 명령에 따라 제공되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추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즉, 추천 방송 컨텐츠에 대해서만 해당 방송 컨텐츠를 추천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GUI(1261)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로맨스 코미디 장르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장르의 방송 컨텐츠가 재핑되면 해당 컨텐츠에 추천 GUI(1261)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재핑 명령에 따라 제공되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추천 GUI 뿐 아니라, 추천의 이유가 되는 아이템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로맨스 장르, SF 장르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장르의 방송 컨텐츠가 재핑되면 해당 컨텐츠에 추천 GUI(1261)와 함께 추천의 이유가 되는 아이템(1271, 1272)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D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 선호도가 높은 장면을 추천해 주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배우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가 높은 경우 프로그레스 바(1280) 상에서 해당 배우의 출연 빈도가 높은 재생 시점(1281, 1283, 1285)에 추천 GUI(1261)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컨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선호도 정보에 따라 추천 컨텐츠 검색시 기존의 컨텐츠 검색 방법이 아닌, 필터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lation filter(1310), Content filter(1330), Sub-tailed filter(1320)를 이용하여 추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도 13b는 Relation filter(1310)로서 "Recommended"가, Content filter(1330)로서 "Movies"가, Sub-tailed filter(130)로서 "Genre"가 선택되어 추천 컨텐츠를 검색하는 경우는 도시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를 이용한 검색 조건이 완성된 이후, 사용자 음성에 의한 검색어를 결합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추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부 내용을 추가하여 컨텐츠를 추천받기 원하는 경우 해당 내용을 음성으로 발화하여 검색 조건에 추가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 상에 EPG 화면(1500)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의 ON/OFF 여부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과 관계가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EPG 화면에서 컨텐츠 목록은 채널 순번으로 정렬되어 있을 수 있으며, EPG 화면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래의 프로그래밍 정보를 알고 싶다면 타임 라인을 터치 앤 드래그(포인트 앤 드래그) 방식으로 조작하여 원하는 시간으로 이동 또는 점프할 수 있다.
한편,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가능한 방송 컨텐츠 중 SNS 공유 정도가 가장 높은 방송 컨텐츠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Buzz" 필터(1510)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EPG 화면의 컨텐츠 정렬 순서가 해당 채널 번호에서 SNS 공유 정보가 가장 높은 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SNS 공유 정도(이하 입소문(Buzz))는 간단한 인포그래픽 아이콘으로 표시되고, 복잡한 통계 숫자가 아닌 심플한 그래픽으로 사용자가 바로 Buzz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Buzz 아이콘(1531)을 선택하면, SNS에서 언급되고 있는 자세한 내용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타 사용자들의 코멘트를 참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가능한 방송 컨텐츠 중 가장 시청률이 높은 방송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AUD(Audience)" 필터(1520)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EPG 화면의 컨텐츠 정렬 순서가 해당 채널 번호에서 시청률이 가장 높은 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청률 또한 간단한 인포그래픽 아이콘으로 표시되고, 복잡한 통계 숫자가 아닌 심플한 그래픽으로 사용자가 바로 시청률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Audience 아이콘(1541)을 선택하면, 시청률 분포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역(예를 들어, Seattle), Time Zone(예를 들어, Eastern Standard), 프로필(예를 들어, 성별, 나이) 등에 따른 시청률 분포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경우에 따라 EPG 화면에 "Buzz" 필터나 "AUD(Audience)" 필터 외에 "Genre" 필터를 추가 반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Buzz" 필터나 "AUD(Audience)" 필터와 "Genre" 필터를 조합하여 컨텐츠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일 예로, "Buzz" 필터와 "Genre" 필터가 조합되는 경우 현재 방송 컨텐츠 중 SNS에서 가장 언급이 많이 되는 "뉴스" 프로그램 순으로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AUD(Audience)" 필터와 "Genre" 필터다 조합되는 경우 현재 방송 컨텐츠 중 시청률이 가장 높은 "리얼리티" 프로그램 순으로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다만, 도 15a 내지 도 15d에서 설명한 예는 방송 컨텐츠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VOD 컨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OD 컨텐츠에 대해 "Buzz" 필터가 실행되면 SNS 공유 정도에 따라 컨텐츠가 정렬되고, "AUD(Audience)" 필터가 실행되면 컨텐츠 구매율에 따라 컨텐츠가 정렬될 수 있다.
한편, EPG 화면에서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선택된 컨텐츠가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지인 등 관련된 사람들이나, 대중의 선호도를 기준으로 EPG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시청 목적에 적합한 추천을 할 수 있으므로 더욱 쉽고 빠른 시청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우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1610).
이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S1620).
이 후,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 및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한다(S1630).
이 경우,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S1630 단계에서는,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와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S1630 단계에서는,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포지티브(positive) 관계 또는 네거티브(negative) 관계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S1630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액티비티 시간 및 사용자 액티비티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와 관련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컨텐츠 자체, 컨텐츠의 속성 및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S1630 단계에서는,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 및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장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시청 행태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S1630 단계에서는, 사용자 시청 행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른 추천 컨텐츠 제공시 추천의 기반이 되는 컨텐츠 속성을 나타내는 기설정된 아이템을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S1710).
이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S1720).
이 후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730).
여기서, 사용자 선호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와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서버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S1810).
이어서, 수신된 컨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한다(S1820).
이 후,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른 컨텐츠 추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S1830).
여기서,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S1830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S1830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포지티브(positive) 관계 또는 네거티브(negative) 관계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컨텐츠 제공 방법은 OS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게 되는 소프트웨어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화면 상에서 아이콘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풍부한 TV 시청 검험을 제공할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다양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다양한 동작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각 장치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 및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 통신부 130 : 제어부
200 : 사용자 단말 장치 300: 서버

Claims (30)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포지티브(positive) 관계 또는 네거티브(negative) 관계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액티비티 시간 및 사용자 액티비티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와 관련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NS와 관련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컨텐츠 장면을 캡쳐하여 SNS 서버에 업로드하는 행위, 업로드된 컨텐츠 장면에 댓글을 다는 행위 및 투표 등에 의해 선호도를 표시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자체, 상기 컨텐츠의 속성 및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청 행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시청 행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른 추천 컨텐츠 제공시 추천의 기반이 되는 컨텐츠 속성을 나타내는 기설정된 아이템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3.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른 컨텐츠 추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포지티브(positive) 관계 또는 네거티브(negative) 관계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6.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포지티브(positive) 관계 또는 네거티브(negative) 관계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액티비티 시간 및 사용자 액티비티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와 관련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SNS와 관련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컨텐츠 장면을 캡쳐하여 SNS 서버에 업로드하는 행위, 업로드된 컨텐츠 장면에 댓글을 다는 행위 및 투표 등에 의해 선호도를 표시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자체, 상기 컨텐츠의 속성 및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청 행태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시청 행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른 추천 컨텐츠 제공시 추천의 기반이 되는 컨텐츠 속성을 나타내는 기설정된 아이템을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6.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8.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른 컨텐츠 추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포지티브(positive) 관계 또는 네거티브(negative) 관계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40063643A 2014-05-27 2014-05-27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36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643A KR20150136314A (ko) 2014-05-27 2014-05-27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EP14893066.2A EP3151578A4 (en) 2014-05-27 2014-12-23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CT/KR2014/012703 WO2015182844A1 (ko) 2014-05-27 2014-12-23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CN201480079466.3A CN106464976B (zh) 2014-05-27 2014-12-23 显示设备、用户终端设备、服务器及其控制方法
US15/313,447 US20170142484A1 (en) 2014-05-27 2014-12-23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643A KR20150136314A (ko) 2014-05-27 2014-05-27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314A true KR20150136314A (ko) 2015-12-07

Family

ID=5469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643A KR20150136314A (ko) 2014-05-27 2014-05-27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142484A1 (ko)
EP (1) EP3151578A4 (ko)
KR (1) KR20150136314A (ko)
CN (1) CN106464976B (ko)
WO (1) WO201518284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568A1 (en) * 2016-04-28 2017-11-0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scrap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90051428A (ko) * 2017-11-07 201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90101585A (ko) * 2018-02-23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IoT 기반 선호도 확인 방법
WO2022149659A1 (ko) * 2021-01-08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7931B1 (en) * 1996-12-19 2001-01-23 Inde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recording control interface with television programs, video, advertising information and program scheduling information
JP2009302884A (ja) * 2008-06-13 2009-12-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25208B1 (ko) * 2009-03-05 2016-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구성장치와 전자장치 및 정보 구성방법
KR101043623B1 (ko) * 2009-03-18 2011-06-24 주식회사 케이티 컨텐츠 푸쉬 장치 및 방법
KR20110041342A (ko) * 2009-10-15 2011-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JP2012004657A (ja) * 2010-06-14 2012-01-05 Panasonic Corp コンテンツ推奨装置及びコンテンツ推奨方法
BRPI1003568A2 (pt) * 2010-10-29 2012-06-12 Log On Multimidia Ltda navegador audiovisual dinÂmico e mÉtodo
US8640021B2 (en) * 2010-11-12 2014-01-28 Microsoft Corporation Audience-based presentation and customization of content
US9277292B2 (en) * 2010-12-09 2016-03-01 Cox Communications, Inc.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mobile application across smartphone platforms to enable consumer connectivity and control of media
US8949901B2 (en) * 2011-06-29 2015-02-03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ing viewing environment preferences in a viewing environment control application
CN102523511A (zh) * 2011-11-09 2012-06-27 中国传媒大学 一种网络节目聚合及节目推荐系统和方法
EP2595405B1 (en) * 2011-11-15 2020-02-2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commendation service
US20140078039A1 (en) * 2012-09-19 2014-03-2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apturing attention of the user when content meeting a criterion is being presented
US9477993B2 (en) * 2012-10-14 2016-10-25 Ari M Frank Training a predictor of emotional response based on explicit voting on content and eye tracking to verify attention
KR101472009B1 (ko) * 2012-10-30 2014-12-15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를 추천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US8869211B2 (en) * 2012-10-30 2014-10-21 TCL Research America Inc. Zoomable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US9465435B1 (en) * 2013-08-26 2016-10-11 Google Inc. Segmentation of a video based on user engagement in respective segments of the video
US9516259B2 (en) * 2013-10-22 2016-12-06 Google Inc. Capturing media content in accordance with a viewer expression
US9380342B2 (en) * 2014-02-28 2016-06-28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of media access based on crowd-sourced access control data and user-attributes
US20150319509A1 (en) * 2014-05-02 2015-11-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odified search and advertisements for second screen devic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568A1 (en) * 2016-04-28 2017-11-0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scrap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70123184A (ko) * 2016-04-28 2017-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랩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587910B2 (en) 2016-04-28 2020-03-1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scrape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90051428A (ko) * 2017-11-07 201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90101585A (ko) * 2018-02-23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IoT 기반 선호도 확인 방법
WO2022149659A1 (ko) * 2021-01-08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64976B (zh) 2020-04-14
EP3151578A1 (en) 2017-04-05
WO2015182844A1 (ko) 2015-12-03
EP3151578A4 (en) 2017-11-29
US20170142484A1 (en) 2017-05-18
CN106464976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874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742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0397643B2 (en)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periphera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40337749A1 (en) Display apparatus and graphic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197731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60087649A (ko)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337792A1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US2015024474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haring holographic content
US20130326583A1 (en) Mobile computing device
US20150100463A1 (en) Collaborative home retailing system
JP2014510320A (ja) コンテクスト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CN104205854A (zh) 在与第一屏幕上的内容同步的第二屏幕上提供社交消息的显示的方法和系统
EP2963935A1 (en) Multi screen display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s
US201501352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6150273A1 (zh) 一种视频播放方法、移动终端及系统
US20170147129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60227280A1 (en) Content that reacts to viewers
KR2017000908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464976B (zh) 显示设备、用户终端设备、服务器及其控制方法
US2016004831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4903844A (zh) 用于呈现网络和相关联的移动设备中的数据的方法
JP2019161642A (ja) ディスプレイ装置用の通知プロファイルに基づくライブインタラクティブイベント表示
KR20150142348A (ko)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445269B2 (en) Context sensitive ads
US201501893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groups of users using user optical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