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749B1 -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 Google Patents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749B1
KR102422749B1 KR1020210039242A KR20210039242A KR102422749B1 KR 102422749 B1 KR102422749 B1 KR 102422749B1 KR 1020210039242 A KR1020210039242 A KR 1020210039242A KR 20210039242 A KR20210039242 A KR 20210039242A KR 102422749 B1 KR102422749 B1 KR 102422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terminal
touch pen
wearing
input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봉
Original Assignee
박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봉 filed Critical 박찬봉
Priority to KR102021003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은, 손가락에 삽입 가능하도록 링 형태를 갖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브릿지부, 및 상기 브릿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착용부가 배치된 면에 대향하는 일면 상에 부착되며, 전자 단말기를 가압 또는 터치하는 제1 입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TOUCH PEN FOR ELECTRONIC TERMINAL}
본 발명은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반지 형태로 손가락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은행업무자동화기기(ATM-Automatic Teller Machine)등 다양한 전자 기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고 있으며,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전용 터치 펜 등을 이용하여 입력하게 된다.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의 화면이 오염되어 화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펜 형태의 터치 펜을 이용하는 경우, 손가락을 사용할 때 보다 움직임이 둔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휴대성이 향상되고, 입력의 정확성 및 다양성이 확보된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은, 손가락에 삽입 가능하도록 링 형태를 갖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브릿지부, 및 상기 브릿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착용부가 배치된 면에 대향하는 일면 상에 부착되며, 전자 단말기를 가압 또는 터치하는 제1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은, 손가락에 삽입 가능하도록 링 형태를 갖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외표면의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외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릿지부, 및 상기 브릿지부의 단부에 위치하며, 전자 단말기를 가압 또는 터치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 및 상기 입력부는 상기 브릿지부의 대향하는 양 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가 터치 스크린을 향하도록 브릿지부에 부착되고, 반지형으로 착용되도록 터치 펜을 구성함으로써, 휴대성이 향상되고 입력의 정확성 및 용이성이 확보된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단부를 추가적인 입력부로 사용가능하며 반지형으로 착용되도록 터치 펜을 구성함으로써, 휴대성이 향상되고 입력의 정확성이 확보된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이 부착된 휴대용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이 부착된 휴대용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되거나 여러 가지 실시예가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은, 손가락에 삽입 가능하고 일지점이 개방되어 제1 및 제2 단부들(E1, E2)을 갖는 착용부(100) 및 착용부(100)의 외표면에 돌출되도록 위치하며 전자 단말기를 가압 또는 터치하는 입력부(200)를 포함한다.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은 착용부(100)가 반지 형태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손가락,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에 삽입하여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착용부(100)는 일지점, 예컨대, 입력부(200)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향하는 영역이 개방되어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단부들(E1, E2) 및 입력부(200)가 삽입되는 홈부(130)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단부들(E1, E2)은 서로 다른 직경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단부들(E1, E2) 제1 단부(E1)는 제2 단부(E2)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단부(E2)는 착용부(100)의 중앙으로부터 폭이 일정하게 연장되는 영역일 수 있다. 착용부(100)는 이와 같이 일지점이 개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무관하게 착용이 가능하며, 손가락에서 착용되는 위치의 변경 또한 자유로울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단부들(E1, E2)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에 더욱 밀착되어 착용될 수 있으며, 구부림 정도를 조절하여 크기를 조절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1 단부(E1)는, 입력부(200)와 함께, 전자 단말기를 가압 또는 터치하는 추가적인 입력부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홈부(130)는 입력부(200)가 삽입 가능하도록 입력부(200)의 하부에서 착용부(100)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홈부(130) 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착용부(100)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입력부(200)를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부(130) 내에 삽입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하거나 전자 기기 내에 수용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입력부(200)를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부(130)로부터 돌출시켜 입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입력부(200)가 착용부(100)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므로, 입력부(200)에 의해 의복 등에 걸리는 등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200)가 홈부(130) 내에 삽입되는 방식은, 예를 들어, 나사형으로 삽입되는 방식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홈부(130) 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입력부(200)가 홈부(130) 내에 삽입되는 방식은 예를 들어, 볼펜 또는 푸쉬(push) 스위치 방식과 같이 한번 눌러서 삽입하고 다시 눌러서 돌출되게 하는 방식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홈부(130) 내에는 이를 위한 걸림턱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들에서, 입력부(200)가 홈부(130) 내에 삽입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라, 입력부(200)는 홈부(130) 내에 일부만 삽입되거나 일부만 삽입되도록 조절 가능할 수도 있다.
착용부(10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부(100)는 연성을 갖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착용부(100)의 외표면에 돌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착용부(100)가 개방된 영역에 대향하는 영역에서 착용부(100)의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입력부(200)는 돌기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반구형 또는 구형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입력부(200)의 구체적인 형상 및 크기는 실시예들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200)는 날카로운 단부를 갖도록 폭이 좁아지면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입력부(200)는 터치 스크린을 손상시키지 않는 물질, 예를 들어, 러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착용부(100)와 동일하거나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입력부(200)는 탄소 분말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정압식 터치 스크린은 물론 정전식 터치 스크린에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은, 사용자의 손가락,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에 착용한 후, 입력부(200)가 휴대용 전자 기기(20)의 디스플레이(25)를 향하도록 하여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a에서는 사용자의 오른손만을 도시하였으나, 왼손에도 동일하게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을 착용하여 양손으로 입력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은, 제1 및 제2 단부들(E1, E2)을 갖는 착용부(100a) 및 착용부(100a)의 외표면에 돌출된 제1 입력부(200)를 포함한다. 착용부(100a)의 제1 단부(E1)는 제1 입력부(200)와 함께, 전자 단말기를 가압 또는 터치하는 추가적인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단부(E1)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을 제2 입력부(110)로 지칭한다.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입력부(110)는 제1 단부(E1)를 포함하며, 제1 단부(E1)로부터 약 10 mm 이하, 예를 들어, 약 5 mm 이하의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입력부(110)는, 착용부(100a)의 중앙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제1 단부(E1)까지,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입력부(110)는 제1 입력부(200)와 터치 펜에 의한 입력 크기 또는 입력 굵기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력부(110)는 제1 입력부(200)보다 터치 스크린과 접촉되는 면적이 작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세한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제2 입력부(110)는 제1 입력부(200)보다 얇은 터치 펜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은, 제1 입력부(200)뿐 아니라, 제2 입력부(110)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환경,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은 도 2(a)의 제1 형태로부터, 도 2(b)의 제2 형태 및 도 2(c)의 제3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이 상기 제2 형태 및/또는 상기 제3 형태인 경우에, 통상적인 펜을 사용하는 동작으로 착용부(100a)를 파지하고 제2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입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2(b)와 같이 착용부(100a)가 적어도 일부 펼쳐진 상태에서, 제2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입력 작업을 수행하거나, 도 2(c)와 같이 착용부(100a)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제2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입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착용부(100a)는, 제2 입력부(110)를 이용한 입력 작업 시,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착용부(100a)를 잡는 영역에서 상승된 두께를 갖거나, 돌기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의 착용부(100a)는,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입력부(200)가 삽입되는 홈부(130)를 더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b)에서, 착용부(100b)는, 도 2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내부에 위치하는 심 부재(120), 심 부재(120)와 일단에서 결합되는 탄성 부재(125), 및 심 부재(120)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2 단부(E2)로부터 돌출되며 가압에 의해 제1 단부(E1)로부터 심 부재(120)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 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b)은 제2 입력부(110b)가 볼펜 방식으로 착용부(100b)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스위치 부재(140)는 내측에 걸림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의 상태에서는 제2 입력부(110b)가 착용부(100b) 내에 위치하고, 도 3(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 부재(140)를 가압하여 제2 입력부(110b)가 착용부(100b)로부터 돌출되도록 한 후, 제2 입력부(110b)를 통해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b)의 착용부(100b)는,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입력부(200)가 삽입되는 홈부(130)를 더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c)은, 착용부(100c), 입력부(200), 및 브릿지(bridge)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부(100c)는 개방되지 않은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실시예들에 따라, 착용부(100c)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일지점이 개방되어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제1 및 제2 단부들(E1, E2)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브릿지부(150)는 착용부(100c)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릿지부(150)는 착용부(100c)에 수직하며, 착용부(100c)의 중공 영역 또는 할로우(hollow) 영역을 포함하는 면에 수직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방향(D1)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방향에 해당한다. 브릿지부(150)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납작한 형태의 막대 형상 또는 원통형의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릿지부(150)의 길이 및 굵기 등은 실시예들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브릿지부(15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부(200)는, 브릿지부(150)에서 착용부(100c)에 고정되지 않은 일단에 부착될 수 있다. 입력부(200) 및 착용부(100c)는 브릿지부(150)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D1)에 수직한 제2 방향(D2)에서, 브릿지부(150)의 대향하는 양 면 또는 양 방향에 각각 입력부(200) 및 착용부(100c)가 위치할 수 있다. 입력부(200)에서 터치 스크린과 접촉하는 단부는, 터치 스크린을 펀칭하기 위한 굵기, 예를 들어, 약 1 mm 내지 약 5 mm의 굵기, 특히 약 2 mm 내지 약 4 mm의 굵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부의 굵기가 상기 범위보다 굵은 경우 입력의 정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단부의 굵기가 상기 범위보다 얇은 경우 드로잉 시에는 유리할 수 있으나, 펀칭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이 불편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c)은, 사용자의 손가락,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에 착용할 수 있으며, 브릿지부(150)가 손가락의 아래에서 연장되어 손가락 앞으로 돌출되도록 착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200)는 휴대용 전자 기기(20)의 디스플레이(25)를 향하도록 위치하여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브릿지부(150)를 가압하여, 입력부(200)가 터치 스크린을 펀칭하도록 함으로써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b에서는 사용자의 오른손만을 도시하였으나, 왼손에도 동일하게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c)을 착용하여 양손으로 입력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c)은, 입력부(200)가 브릿지부(150)에 의해 돌출되도록 위치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터치 스크린이 가려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와 같이 상대적으로 터치 스크린의 크기가 작은 전자 단말기에 입력하는 경우 및 양손에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c)을 착용하여 입력하는 경우에도, 손가락들의 간섭으로 인한 입력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d)은, 도 4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착용부(100d)가 브릿지부(150)의 연장 방향인 제1 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링 부재들(102, 1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링 부재들(102, 104)은 손가락의 서로 다른 위치에 착용될 수 있다. 두 개의 링 부재들(102, 104)을 포함함으로써, 브릿지부(15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는 경우에도 브릿지부(150)가 착용부(100d)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입력부(200)에 인접한 제2 링 부재(104)는 일지점이 개방되어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제1 및 제2 단부들(E1, E2)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의 임의의 위치에 착용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들에 따라, 제1 링 부재(103)도 일지점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제2 링 부재(104)가 착용부(100d)에 고정된 형태는 실시예들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라, 제2 링 부재(104)는 고리 등에 의해 착용부(100d)에 고정되어, 소정 범위에서 브릿지부(150)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서, 착용부(100d)는 세 개 이상의 링 부재들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e)에서, 착용부(100e)는 브릿지부(150e) 및 입력부(200)를 수용하도록, 홈부(130e)가 형성되고 폭이 확장된 영역인 확장부(ER)를 가질 수 있다.
도 6(a)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착용 시, 브릿지부(150e) 및 입력부(200)는 홈부(130e) 내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도 6(b)에서와 같이, 입력부(200)를 사용하는 경우, 착용부(100e)로부터 브릿지부(150e)가 신장되어 돌출되어 입력부(200)를 인출시킨 형태로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e)을 사용할 수 있다. 확장부(ER)의 크기 및 형상은, 브릿지부(150e)의 인출 길이 등에 따라 실시예들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브릿지부(150e)는 홈부(130e) 내에서 확장부(ER)의 상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안테나 형태로 다단형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릿지부(150e)는 인출되는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릿지부(150e)의 총 인출된 길이 및 굵기 등은 실시예들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착용부(100e)는 개방되지 않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실시예들에 따라, 착용부(100e)는 도 1 등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일지점이 개방되어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제1 및 제2 단부들(E1, E2)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f)에서, 착용부(100f)는 안테나 형태로 돌출되는 제1 입력부(200fa) 외에, 상부의 제2 입력부(200f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입력부(200fb)를 탈착하여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용부(100f)는, 도 6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폭이 확장된 확장부(ER)를 가지며, 확장부(ER)에서 제2 입력부(200fb)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1 입력부(200fa) 및 브릿지부(150f)를 수용하는 홈부(130f)를 더 가질 수 있다.
도 7(a)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착용 시 및 제2 입력부(200fb)의 사용 시에, 제1 입력부(200fa) 및 브릿지부(150f)는 홈부(130f) 내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도 7(b)에서와 같이, 제1 입력부(200fa)를 사용하는 경우, 확장부(ER) 상의 제2 입력부(200fb)를 착용부(100f)로부터 탈착하여 부착 부재(160)에 부착하고, 홈부(130f)로부터 브릿지부(150f)를 인출하여 제1 입력부(200fa)를 인출시킨 형태로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f)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착용부(100f)는 개방되지 않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실시예들에 따라, 착용부(100f)는 도 1 등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일지점이 개방되어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제1 및 제2 단부들(E1, E2)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입력부(200fa)는 제2 입력부(200f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워치와 같이 상대적으로 터치 스크린의 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에 입력하는 경우, 제1 입력부(200fa)를 사용하면, 손가락에 의해 터치 스크린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엄지 손가락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손가락들이 서로 간섭받지 않고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부(200fa)는 제2 입력부(200fb)에 비하여 미세한 입력을 가능하도록 제2 입력부(200fb)보다 작은 크기 또는 굵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입력부(200fa)는 예를 들어, 펜 형태의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부(200fa)에서 터치 스크린과 접촉하는 단부는, 약 0.3 mm 내지 약 3 mm의 굵기, 특히 약 1 mm 내지 약 2 mm의 굵기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입력부(200fb)에서 터치 스크린과 접촉하는 단부는, 약 1 mm 내지 약 5 mm의 굵기, 특히 약 2 mm 내지 약 4 mm의 굵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입력부(200fa) 및 제2 입력부(200f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제1 입력부(200fa) 및 제2 입력부(200fb)의 상대적인 크기는 실시예들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부착 부재(160)는 제1 입력부(200fa)를 사용하는 동안, 제2 입력부(200fb)를 보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부착 부재(160)는 예를 들어, 벨크로(Velcro) 등으로 이루어져, 제2 입력부(200fb)가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입력부(200fb)는 탈착 가능하도록 착용부(100f)에 결속되며, 제2 입력부(200fb)의 하면도 벨크로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 부재(160)에 제2 입력부(200fb)가 부착되는 수단 및 부착 형태는 실시예들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부착 부재(160)는 제2 입력부(200fb)를 부착하도록 자석을 포함하거나, 제2 입력부(200fb)를 수용하여 보관하도록 별도의 홈 형태의 수용부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도 1 내지 도 7의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의 특징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7의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에, 도 2 또는 도 3의 실시예가 각각 결합되어, 추가적인 입력부(110, 110b)가 제공되거나 착용부(100c, 100d, 100e, 100f)의 일 지점이 개방되어 착용부의 형태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이 부착된 휴대용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을 수용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20)는 스마트폰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들에서, 태블릿 PC, 랩톱 컴퓨터 등의 다양한 모바일 기기로 대체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20)는 하우징(22), 디스플레이(25), 및 펜 고정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20)는 하우징(22)의 일 측면에 펜 고정부(27)가 위치한 수용부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을 수용하고 고정할 수 있다.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은 도 2의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 중 하나의 터치 펜 또는 실시예들의 조합에 의한 터치 펜일 수 있다.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은 완전히 펼쳐진 형태로 상기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은 사용자의 사용 시에, 상기 수용부로부터 인출되어 반지 형태로 손가락에 착용하여 디스플레이(25)의 터치 스크린에 입력하거나, 펜 형태로 파지하여 입력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이 부착된 휴대용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2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을 수용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20a)는 스마트 워치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다양한 웨어러블(wearable) 기기로 대체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20a)는 시계 형태를 갖는 하우징(22a), 시계줄 형태를 갖는 스트랩(23), 디스플레이(25a), 및 펜 고정부(27a)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20a)는 스트랩(23)의 일부에 펜 고정부(27a)가 위치한 수용부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을 수용하고 고정할 수 있다.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은 도 2의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 중 하나의 터치 펜, 또는 실시예들의 조합에 의한 터치 펜일 수 있다.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은 완전히 펼쳐진 형태로 상기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10a)은 사용자의 사용 시에, 상기 수용부로부터 인출되어 반지 형태로 손가락에 착용하여 디스플레이(25a)의 터치 스크린에 입력하거나, 펜 형태로 손에 파지하여 입력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손가락에 삽입 가능하도록 링 형태를 갖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착용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인출되는 정도가 조절되는 브릿지부; 및
    상기 브릿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며 전자 단말기를 향하는 제2 방향을 따른 일면 상에 부착되며, 상기 전자 단말기를 가압 또는 터치하는 제1 입력부를 포함하는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손가락의 서로 다른 위치에 착용되도록, 상기 브릿지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링 부재들을 포함하는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의 상기 제1 및 제2 링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지점이 개방되어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갖는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는 다단형 인출 안테나 타입으로 인출되는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브릿지부 및 상기 제1 입력부를 수용하기 위한 확장부를 갖고,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확장부로부터 신장되어 인출되는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의 외표면에 돌출되도록 위치하며, 전자 단말기를 가압 또는 터치하는 제2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착용부로부터 탈착 가능한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브릿지부 및 상기 제1 입력부를 수용하기 위한 확장부를 갖고,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확장부 상에 위치하는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10. 손가락에 삽입 가능하도록 링 형태를 갖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외표면의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착용부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착용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인출되는 정도가 조절되는 브릿지부; 및
    상기 브릿지부의 단부에 위치하며, 전자 단말기를 가압 또는 터치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 및 상기 입력부는 상기 브릿지부의 대향하는 양 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전자 단말기와 접촉하는 단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전자 단말기를 향하는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KR1020210039242A 2021-03-26 2021-03-26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KR102422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242A KR102422749B1 (ko) 2021-03-26 2021-03-26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242A KR102422749B1 (ko) 2021-03-26 2021-03-26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749B1 true KR102422749B1 (ko) 2022-07-18

Family

ID=8270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242A KR102422749B1 (ko) 2021-03-26 2021-03-26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7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623A (ko) * 2009-04-01 2010-10-11 전새벽별 펜 취급을 위한 검지용 반지
KR200452963Y1 (ko) * 2009-12-15 2011-03-31 김형남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KR20120036478A (ko) * 2010-10-08 2012-04-18 한도수 착용식 터치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623A (ko) * 2009-04-01 2010-10-11 전새벽별 펜 취급을 위한 검지용 반지
KR200452963Y1 (ko) * 2009-12-15 2011-03-31 김형남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KR20120036478A (ko) * 2010-10-08 2012-04-18 한도수 착용식 터치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8090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touch screen, pen for touch screen and pen retention method
KR101940565B1 (ko)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
US20120293410A1 (en) Flexible Input Device Worn on a Finger
JP6112495B1 (ja) 電子機器用ハンドストラップ
JP2014225047A (ja) 携帯電子端末保持具
KR200462321Y1 (ko) 볼펜 겸용 터치펜
US20170239977A1 (en) Stylus
CN109074178B (zh) 具有可调整尺寸的触控笔
KR101757999B1 (ko) 접촉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US20040046734A1 (en) Thumb-retained stylus
KR102422749B1 (ko)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CN103677332B (zh) 触摸笔及具有该触摸笔的移动终端
CN103561135B (zh) 狭长形双屏智能手机
KR200447043Y1 (ko) 필기가 용이한 스타일러스펜
KR101071927B1 (ko) 스타일러스 펜
US9468268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JP2023054261A (ja) ペン型コンパス
KR20110113801A (ko) 정전감압겸용의 터치펜
KR100557123B1 (ko) 스타일러스 펜
KR200327899Y1 (ko) 터치스크린 장치용 손가락 착용 스타일러스 펜
KR101492181B1 (ko) 손가락 마우스
KR101947027B1 (ko)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JP3204986U (ja) ペン保持具
US20160334863A1 (en) Input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20044072A1 (en) Key input device used for portabl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