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963Y1 -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 Google Patents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963Y1
KR200452963Y1 KR2020100009074U KR20100009074U KR200452963Y1 KR 200452963 Y1 KR200452963 Y1 KR 200452963Y1 KR 2020100009074 U KR2020100009074 U KR 2020100009074U KR 20100009074 U KR20100009074 U KR 20100009074U KR 200452963 Y1 KR200452963 Y1 KR 200452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terminal
ring member
input unit
too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남
Original Assignee
김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남 filed Critical 김형남
Priority to KR2020100009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9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9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겨울철이나 작업 환경 시, 전자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장갑을 낀 상태에서 조작 가능토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나 숫자 등의 입력 부호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손가락에 삽입 가능한 링부재; 및 상기 링부재의 외측 전면에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Touch device of input for electronic terminal}
본 고안은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장갑을 낀 상태에서 조작 가능토록 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나 숫자 등의 입력 부호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 통신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휴대용 전자 단말기들이 소형화 및 휴대화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특히 휴대폰의 경우 대부분의 현대인들이 소지하는 필수품이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폰은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휴대폰의 제1세대로는 일반 무선전화기와 같은 형태인 스틱형 휴대폰이 있었으며, 이어서 키패드를 보호할 수 있는 커버를 더 부착한 플립형 휴대폰과, 폴더부분에 스피커장치나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소형화가 가능한 폴더형 휴대폰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전면부를 위나 아래로 밀어서 열 수 있도록 하여 소형화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이 사용되고 있다.
더불어, 요즘에는 디스플레이부분을 손가락 끝으로 터치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나 숫자 등의 입력 부호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터치폰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은 키입력부의 각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를 누르거나 원하는 기능키를 눌러야 하는 바, 휴대폰이 점점 소형화되면서 키입력부의 버튼 또한 점점 작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폰은 겨울철에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있는 상태인 경우, 그 키입력부의 각 버튼을 조작하여 입력 부호를 입력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수반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장갑을 벗은 다음, 손가락을 이용하여 키입력부를 조작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겨울철이나 작업 환경 시, 휴대용 전자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조작 가능토록 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나 숫자 등의 입력 부호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는, 손가락에 삽입 가능한 링부재; 및 상기 링부재의 외측 전면에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부재는 연속적인 형상 또는 일부가 절개된 불연속적인 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부재는 신축가능한 와이어링에 의해 휴대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링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와이어링은 자동감김수단에 의해 감김 또는 풀림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감김수단은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과 연결선에 각각 고정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에 의하면, 겨울철이나 작업 환경 시 전자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장갑을 낀 상태에서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의 링부재를 나타내는 제1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의 링부재를 나타내는 제2실시예,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링부재와 와이어링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의 링부재를 나타내는 제1실시예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의 링부재를 나타내는 제2실시예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겨울철이나 작업 환경 시 손에 장갑을 낀 상태에서 손가락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져 있거나 손가락의 굵기에 맞게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탄성력을 갖는 플렉시블한 금속 재질의 링부재(10)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서 제1실시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부재(10)는 장갑을 낀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끊어짐이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2에서 제2실시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부재(10')는 손가락의 굵기에 맞게 직경이 가변할 수 있도록 그 일부가 절개된 불연속적인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링부재(10,10')는 일반적인 반지의 형상과 같이, 그 단면이 원형, 타원형, 각형, 그리고 얇은 플레이트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손가락에 쉽게 끼우면서도 잘 빠지지 않을 수 있는 단면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또한, 본 고안의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를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링부재(10,10')로 한정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10,10')는 그 외측 전면에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1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1,11')는 링부재(10,10') 전면부의 어느 한 지점에 돌출 형성된 부분으로서, 휴대용 전자 단말기의 키입력부에 쉽게 접촉 가능하도록 손가락의 아래 부분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돌출부(11,11')의 재질은 충격 방지를 위하여 러버(rubber)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키입력부에 접촉하더라도 키입력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링부재(10)일 경우, 돌출부(11)와 더불어 링부재(10) 전체가 러버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돌출부(11,11')는 상기 링부재(10,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링부재(10,10')의 전면에 중간 매개체를 통하여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링부재(10,10')는 휴대장치와 와이어링(20,2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링부재(10,10')는 와이어링(20,20')을 이용하여 휴대장치에 연결함으로써, 악세사리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링부재(10,10')의 일측에는 고리부(12,12')가 형성되어 와이어링(20,20')에 구비된 고리걸이(21,21')를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링(20,20')은 통상적으로 상기 링부재(10,10')의 일측에 구비된 고리(12,12')에 걸 수 있는 고리걸이(21,21')와, 휴대장치에 구비된 관통공에 맬 수 있는 연결선(22,22')과, 상기 고리걸이(21,21')와 그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으로 연결선(22,22')이 고정되는 고정구(23,23')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와이어링(20,20')에 있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갑을 낀 손가락에 상기 링부재(10,10')를 삽입하여 고정되게 한 다음, 휴대장치의 키입력부를 링부재(10,10')의 돌출부(11,11')를 이용하여 쉽게 터치할 수 있도록 그 와이어링(20,20')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링(20)은 상기 연결선(22)이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선(22)이 신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링(20')은 그 연결선(22')이 자동감김수단(30)에 의하여 감김과 풀림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보관 및 사용에 편리성을 더할 수 있다.
즉, 상기 자동감김수단(30)은 상기 연결선(22')이 탄성부재(32)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감겨 들어가면서 드럼(31) 내부에 수납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 자동감김수단(30)은 예컨대, 드럼(31)의 중앙에 나선형으로 감겨진 나선형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32)가 연결선(22')과 상기 드럼(31)의 중앙을 관통하는 고정축(33)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2)가 항상 나선형으로 감겨지도록 이루어져 상기 연결선(22')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므로 연결선(22')이 자동으로 드럼(31) 내측으로 감아지게 된다.
상기 자동감김수단(30)은 자동으로 권취되는 기능에 대한 동작설명과, 상기 연결선(22')이 고정구(23') 내부에 수납되는 모습이 보다 쉽게 설명될 수 있도록 설명 상 일 예를 보여주는 것에 불과할 뿐, 반드시 도면에 도시한 구조와 같이 구성될 필요가 없으며, 자동 감김 및 풀림 기능이 발휘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로 구성되더라도 무방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10' : 링부재 11,11' : 돌출부
12,12' : 고리부 20,20' : 와이어링
21,21' : 고리걸이 22,22' : 연결선
23,23' : 고정구 30 : 자동감김수단
31 : 드럼 32 : 탄성부재
33 : 고정축

Claims (8)

  1. 손가락에 삽입 가능한 링부재; 및
    상기 링부재의 외측 전면에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링부재는 신축가능한 와이어링에 의해 휴대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연속적인 형상 또는 일부가 절개된 불연속적인 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은 자동감김수단에 의해 감김 또는 풀림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감김수단은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과 연결선에 각각 고정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나선형 탄성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KR2020100009074U 2009-12-15 2010-08-30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KR2004529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074U KR200452963Y1 (ko) 2009-12-15 2010-08-30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077 2009-12-15
KR2020100009074U KR200452963Y1 (ko) 2009-12-15 2010-08-30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963Y1 true KR200452963Y1 (ko) 2011-03-31

Family

ID=4424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074U KR200452963Y1 (ko) 2009-12-15 2010-08-30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9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749B1 (ko) * 2021-03-26 2022-07-18 박찬봉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121Y1 (ko) 1998-12-07 2001-02-15 이정호 멀티연결부를 갖는 휴대물 분실방지 장치
KR20070066415A (ko) * 2005-12-22 2007-06-27 홍사열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
KR100780253B1 (ko) 2005-06-24 2007-11-28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스타일러스 펜
JP2009259062A (ja) * 2008-04-18 2009-11-05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ペ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121Y1 (ko) 1998-12-07 2001-02-15 이정호 멀티연결부를 갖는 휴대물 분실방지 장치
KR100780253B1 (ko) 2005-06-24 2007-11-28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스타일러스 펜
KR20070066415A (ko) * 2005-12-22 2007-06-27 홍사열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
JP2009259062A (ja) * 2008-04-18 2009-11-05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ペ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749B1 (ko) * 2021-03-26 2022-07-18 박찬봉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17339A1 (en) Protective cove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04073284A8 (en) Integrated cellular phone, digital camera, and pda, with swivel mechanism providing access to the interface elements of each function
CN100385804C (zh) 供手持式电子设备里使用的自操作打开机构
CN101681209A (zh) 具有触摸输入表面的移动设备
KR20140003985A (ko) 외부 터치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US20070243909A1 (en) Programmable wireless headset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CN203071933U (zh) 手套蓝牙通话装置
KR200452963Y1 (ko)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CN1145336C (zh) 采用表带电池和触屏拨号手写输入的手表手机
CN204291104U (zh) 一种带有一键接听装置的智能触屏手机
US20110273406A1 (en) Texting ring for operating the keys of keypads of cell phones and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KR200472778Y1 (ko)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CN101515951A (zh) 手持式通讯装置及其侧键功能的设定方法
CN205507710U (zh) 手机鼠标
CN103398272A (zh) 手持式移动设备固定装置
CN1984547B (zh) 电子装置
CN203279971U (zh) 一种可单手操作的手机套
CN213131876U (zh) 手机用多功能游戏手柄
CN203517195U (zh) 手持式移动设备固定装置
CN104079688A (zh) 具有柔性显示屏的腕式移动电话机
CN202134431U (zh) 复位按键及便携式移动终端
CN202068462U (zh) 一种具有展开式健盘且可竖立的手机
CN205232278U (zh) 一种可防止手机滑落的手机壳
CN201467212U (zh) 一种手机按键
US20040242287A1 (en) Cell phone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