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415A -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 - Google Patents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415A
KR20070066415A KR1020050127555A KR20050127555A KR20070066415A KR 20070066415 A KR20070066415 A KR 20070066415A KR 1020050127555 A KR1020050127555 A KR 1020050127555A KR 20050127555 A KR20050127555 A KR 20050127555A KR 20070066415 A KR20070066415 A KR 20070066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en
finger
touch pe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사열
Original Assignee
홍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사열 filed Critical 홍사열
Priority to KR1020050127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6415A/ko
Publication of KR20070066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인 터치 펜에 관한 것으로서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다. 즉,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고리 형상의 끼움 부(1)와 상기 끼움 부와 일체(一體)로 형성된 돌기 형상의 터 치부(2)와 상기 끼움 부(1)와 터치 부(2)를 연결하는 펜대 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펜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은 손가락에 끼고 다니므로 휴대하기 편리하며 분실의 염려가 줄어들며 분실시에도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쉽게 구입할 수가 있으며 손가락에 터치 펜이 끼워진 채로 다른 작업을 병행할 수 있으며 휴대폰, PDA등과같이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기기들에 터치 펜이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로 요구되었던 공간이 필요 없게 되어 소형화 및 디자인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터치 펜. 손가락. 휴대폰. PDA, 입력장치

Description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 {touch pe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의 사시 도로서 a와 b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것이다. (이하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을 터치 펜으로도 지칭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펜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손의 모양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펜을 사용하지 않을 때 손가락에 끼워놓은 것그로서 터치 펜을 휴대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끼움부 2. 터 치부 3. 펜대부
우선 참고로 터치스크린에 관하여 설명을 하자면,
손가락이나 볼펜모양의 터치 펜을 이용해서 스크린을 직접 건드리면 접촉이 일어난 부분을 인지해서 명령이 실행되거나 커서의 위치를 이동하도록 설계된 스크린을 통칭해서 터치 스크린이라고 한다.
터치 스크린이 작동하는 원리는 다양하지만 가장 대표적인 경우는 스크린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는 센서 줄을 촘촘하게 설치해 압력이 가해질 경우 위치를 좌표로 알아내는 것이다. 이 방법이 많이 쓰이는 경우이기는 하나 정밀도에서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 방식을 감압 식이라 부른다.
스크린에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개발된 방법이 스크린 표면에 전하(전류의 흐름)를 충전하고 그 둘레에 센서들을 설치한 후 접촉시에 전하가 상실된 정도를 감지해 접촉이 이루어진 곳을 파악하는 것이 있다. 이 방식은 단가가 비교적 높으며 정전 식이라 부른다.
모니터 등의 대형 화면의 스크린은 손가락을 이용해서 작업이 가능 하지만 내비게이션, GPS, PDA, 휴대폰 같이 매우 작은 화면에서는 손가락으로 작업한다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소형화면의 터치스크린 기술을 적용한 제품에는 볼펜과 비슷한 그러나 끝 부분엔 스크린이 손상되지 않게 둥글고 부드럽게 처리된 펜이 제공된다. 이것을 통상적으로 터치 펜이라 부른다.
본 발명은 위의 터치 펜을 개량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터치 펜의 기능을 하면서도 작고 모양이 간단하여 휴대하기가 편리하며 제작하기가 용이한 터치 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는 기존의 막대형 터치 펜에 어떠한 기능을 부가한다거나 터치 펜을 기기에 좀더 편리하게 장착하는 것들이 있으나 본 발명의 터치 펜과는 비교할만한 관점이 없는 것들이다. 또한, 현재 출시되고 있는 터치 펜들을 보자면 터치 펜을 모(母)기기의 부품으로 취급하여 기기와 터치 펜을 하나의 세트고서 만들기 때문에 기기의 소형화를 위해 터치 펜도 점점 가늘고 짧게 만들어지는 실정이다. 이러한 터치 펜은 쥐고 쓰기에 불편하고 분실시에는 기기 자체가 가치가 떨어진, 부품 하나가 빠진 불완전한 제품으로 되어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러한 불편을 없애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휴대하기에 간편하고, 모양이 간단하여 제작하기가 용이하여 분실시에도 모(母)기기와 관계없이 시중의 문구점 같은 데서 값싸게 구입할 수 있고, 같은 손으로 다른 작업을 하다가도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데 편리한 터치 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펜은 손가락에 끼우기 위한 끼움 부(1)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게 되는 터 치부(2), 그리고 그 사이를 연결하는 펜 대부(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펜은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사상이 구체적으로 실현되도록 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터치 펜의 형상을 나타내며 도 2는 터치 펜을 사용하는 손의 모양을 도시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인 터치 펜에 있어서,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고리 형상의 끼움 부(1)와 상기 끼움 부와 일체(一體)로 형성된 돌기 형상의 터 치부(2)와 상기 끼움 부(1)와 터치 부(2)를 연결하는 펜대 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고리 형상의 끼움 부(1)는 고리의 지름(直徑)이 신축(伸縮) 되도록 절단(切斷)되어있으며, 상기 터치 부(2)는 볼펜, 연필 등인 필기구 끝(글씨를 쓰는 부분) 부분처럼 같이 돌기의 형상으로서 터치스크린이 손상되지 않도록 부더럽고 둥글게 처리된 것이며 이 두 부분을 이어주는 상기 펜대 부(3)는 끼웠을 때 펴진(구부리지않은) 손가락에 평행으로 되어있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의 가장 기본적인 모양의 사시 도로서 a와 b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것이다. 사시 도만으로도 그 구조를 알 수 있는 매우 간단한 모양이다. 이러한 기본 구조를 바탕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터치 펜이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의 터치 펜은 끼움 부가 절단되어있는데 이는 터치 펜을 손가락에 끼우고 빼기가 편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사람마다 손가락의 크기(굵기)가 다르기 때문에 끼움 부(고리)가 신축되도록 하여 여러 사람에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라나 본 발명 터치 펜은 끼움 부의 지름이 다른 여러 가지로, 즉 대, 중, 소등으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끼움 부의 절단된 부분은 손가락이 아프지 않도록 부드럽게 처리되어야한다. 그러나 손가락에 끼우는 끼움 부(1)는 필요에 따라 반지와 같이 절단(切斷)되어있지 않은 형태인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펜대 부(3)는 끼움 부(1)와 터 치부(2) 사이를 말하며 그 길이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에 끼우기 위한 터치 펜은 끼움 부(1)에 자체에 바고 터치 부(2)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사용에 편리할 수 앗으며, 또한 펜대 부(3)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이 기본이나 이름 그대로 볼펜이나 연필 등의 모양을 할 수도 있다. 즉 끼움 부(1)에 적당한 크기의 연필이 붙어있는 모양을 할 수도 있 는 것이다. 터치스크린을 눌러주게 되는 터치 부(2)는 스크린의 작은 점도 정확히 누를 수 있도록 볼펜 끝과 비슷한 모양이 바람직하며 스크린이 손상되지 않게 둥글고 부드럽게 처리되어야한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할 수 있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이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펜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모양으로서 본 발명의 터치 펜을 각 사용자 개인의 기호대로 사용하는 모양을 도시한 것으로 a는 터치 부가 손톱 위쪽에 위치하도록 끼운 것이며 b는 터치 부가 손가락의 지문 아래에 위치하도록 끼운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펜을 사용하지 않을 때 휴대한 모양이며 필요에 따라 굵기가 다른(가는) 다른 손가락으로 옮겨 끼우는 것이 착용감이 더 좋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은 손가락에 끼고 다니므로 휴대하기 편리하며 분실의 염려가 줄어들며 분실시에도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다시 구입할 수가 있으며 손가락에 터치 펜을 끼운 채 다른 작업을 병행할 수도 있으며 휴대폰, PDA등과같이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기기들에 터치 펜이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로 요구되었던 공간이 필요 없게 되어 소형화 및 디자인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인 터치 펜에 있어서,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고리 형상의 끼움 부(1)와 상기 끼움 부와 일체(一體)로 형성된 돌기 형상의 터 치부(2)와 상기 끼움 부(1)와 터치 부(2)를 연결하는 펜대 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형상의 끼움 부(1)는 고리의 지름(直徑)이 신축(伸縮)되도록 절단(切斷)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펜대 부(3)는 끼웠을 때 펴진(구부리지않은) 손가락에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
KR1020050127555A 2005-12-22 2005-12-22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 KR20070066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555A KR20070066415A (ko) 2005-12-22 2005-12-22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555A KR20070066415A (ko) 2005-12-22 2005-12-22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415A true KR20070066415A (ko) 2007-06-27

Family

ID=3836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555A KR20070066415A (ko) 2005-12-22 2005-12-22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641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63Y1 (ko) * 2009-12-15 2011-03-31 김형남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KR101067246B1 (ko) * 2010-04-01 2011-09-27 (주)상문 핑거 터치 툴
KR101124120B1 (ko) * 2011-05-06 2012-03-21 최승철 정전 및 정압 겸용 터치펜
KR200465800Y1 (ko) * 2011-02-14 2013-03-18 조현경 터치패널용 터치 펜
KR20210015084A (ko) 2019-07-31 2021-02-10 김동규 마디 반지형 스마트폰 터치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63Y1 (ko) * 2009-12-15 2011-03-31 김형남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
KR101067246B1 (ko) * 2010-04-01 2011-09-27 (주)상문 핑거 터치 툴
KR200465800Y1 (ko) * 2011-02-14 2013-03-18 조현경 터치패널용 터치 펜
KR101124120B1 (ko) * 2011-05-06 2012-03-21 최승철 정전 및 정압 겸용 터치펜
KR20210015084A (ko) 2019-07-31 2021-02-10 김동규 마디 반지형 스마트폰 터치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3308B1 (en)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5369122B2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用スタイラス
US20130194242A1 (en) Multi-tip stylus pen for touch screen devices
US20130127791A1 (en) Thumb or Finger Devices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Tips &amp; Other Features for Use with Capacitive Touch Screens and/or Mechanical Keyboards Employed in Smartphones &amp; Other Small Mobile Devices
US20170031467A1 (en) Method, accessory and touch writing pen for simultaneously forming entity and electronic handwriting
US10434816B2 (en) Stylus
US20080266267A1 (en) Pen for touch pad of a laptop
JPH11198585A (ja) 筆記具用グリップおよび筆記具用キャップならびに筆記具
US20090211821A1 (en) Capacitive stylus pen
KR20100020389A (ko) 접촉 지점의 크기를 이용한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70066415A (ko)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
KR20100007569U (ko) 감응식 스타일러스 터치펜
KR100985062B1 (ko) 도전성 터치펜
KR101757999B1 (ko) 접촉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US20040046734A1 (en) Thumb-retained stylus
US6659673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combination pocket clip and stylus assembly
JP2004310482A (ja) 入力要素およびタッチパッド入力方式
KR100985061B1 (ko) 도전성 터치펜
KR101135818B1 (ko)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
JP5806516B2 (ja) 入力ペン
US6702500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combination pocket clip and stylus assembly
KR200422551Y1 (ko) 터치 팁이 구비된 펜
US20050057493A1 (en) Thumb stylus
KR200327899Y1 (ko) 터치스크린 장치용 손가락 착용 스타일러스 펜
TW201243658A (en) Styl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