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818B1 -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 - Google Patents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818B1
KR101135818B1 KR1020100011296A KR20100011296A KR101135818B1 KR 101135818 B1 KR101135818 B1 KR 101135818B1 KR 1020100011296 A KR1020100011296 A KR 1020100011296A KR 20100011296 A KR20100011296 A KR 20100011296A KR 101135818 B1 KR101135818 B1 KR 101135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tylus pen
pen
present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932A (ko
Inventor
양원동
Original Assignee
양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동 filed Critical 양원동
Priority to KR102010001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8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Abstract

본원발명은 컴퓨터, MP3, PMP, PDA, 내비게이션, 휴대폰 등의 정보통신 전자 기기의 액정을 조작시 사용되는 상기 기기의 표시화면으로 정보를 직접 입력하도록 하는 전자기기나 모바일기기에 사용하는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는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고
또한, 단말기가 점차 소형화되어 감과 동시에 그 기능의 다양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상대방과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인터넷기능이나 문자정보, 그래픽 등의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엘씨디나 엘이디 모듈인 디스플레이 부(Display Unit)는 점차 넓어지게 되고, 반면에 단말기의 부피는 점차 소형화되어 가야만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키패드가 없는 터치 스크린 방식을 사용하게 되며 제품의 특성상 상기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한 보조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손가락 탈부착용 스타일러스 펜은 손가락에 착용하여 간편하게 사용함으로써 분실의 위험이 적고 빠른시간 내에 전자기기의 패널조작이 가능함은 물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손가락에 착용한 채로 다른 수작업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손가락 탈부착 형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finger prevention stylus pen}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컴퓨터, MP3, PMP, PDA, 내비게이션, 휴대폰 등의 정보통신 전자 기기의 액정을 조작시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다섯 개의 손가락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손가락에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끼워 사용하며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서 펜 샤프트를 구부리거나 펴서 원하는 각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손가락 탈부착용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시에는 우선 손가락에 착용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분실의 위험이 매우 적다.
또한, 손가락에 끼워지므로 빠른 시간 내에 전자기기의 패널조작이 가능함은 물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손가락에 착용한 채로 다른 수작업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많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손가락에 파지하여 사용하는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 최근에는 이동통신기술의 발달로 상기한 여러 가지의 개인용 휴대 통신장비들이 개발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통신제품들 중 전자감응식 패드를 이용한 제품들은 키보드를 이용하지 않고 정보를 입력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은 주머니에 휴대하거나 전자기기 등에 삽입이나 부착하여 사용하여 왔다.
또한,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은 항상 세 손가락을 사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을 잡고 손바닥 부분을 지면이나 전자기기에 밀착시켜 지지하여야 하므로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이 부자연스러웠다.
그리고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시에 손톱의 끝 부분에 힘을 주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 손가락에 통증이 유발되었다.
그리고 사용자마다 손가락의 끝 부분 형상이 서로 상이하므로 동일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모든 사용자가 만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 속도가 느리고 정밀도가 떨어지므로 빠른 작업이나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는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은 손가락에 착용하여 간편하게 사용함으로써 분실의 위험이 적고 빠른시간 내에 전자기기의 패널조작이 가능함은 물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손가락에 착용한 채로 다른 수작업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서 펜 샤프트를 구부리거나 펴서 원하는 각도로
사용할 수 있는 손가락 탈부착 형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컴퓨터, MP3, PMP, PDA, 내비게이션, 휴대폰 등과
같은 개인용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손가락 탈부착용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에 의하면, 스타일러스 펜은
여러 손가락으로 파지하지않더라도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손가락 탈부착용 스타일러스 펜은 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고무, 실리콘, 목재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선단에 뾰족한 펜 팁이 제공되어 이 펜 팁 부분을 이용하여 패드 상에 글씨를 쓰거나 터치하여 정보의 입력 및 출력 등을 담당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 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손가락에 착용한 채로 다른 수전자기기를 조작 원활히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전자기기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서 펜 샤프트를 구부리거나 펴서 원하는 각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에 쉽게 탈부착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전자기기의 작동이 원활하고 착용감이 좋고 정상인은 물론 손가락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들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본원의 스타일러스 펜을 통하여 작업할 수 있는 편리한 장점이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서 펜 샤프트를 구부리거나 펴서 원하는 각도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하는 것을 본원의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손가락 탈부착용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키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 탈부착 형 스타일러스 펜은 보다 편한 자세에서 가벼운 손가락 운동으로 전자기기의 조작이 가능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손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스타일러스 펜을 손가락에 끼고 전자기기의 작업시에 다른 손가락들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별도의 다른 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손가락에 탈부착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다른 일을 하면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메모가 필요할 때 스타일러스 펜을 일일이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크게 개선할 수도 있다.
나아가, 구조가 간단하며 펜 팁 부의 각도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정상인은 물론 손가락 장애를 가진 장애인들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스타일러스 펜을 통하여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본 스타일러스 펜은 크기가 소형화되어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서 펜 샤프트를 구부리거나 펴서 원하는 각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든 신속히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이 닫혀져 있는 것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이 열려져 있는 것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캡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과 펜이 결합된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진.
도 5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이 부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P3에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이 부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본원의 스타일러스 펜을 착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본원의 스타일러스 펜을 착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본원의 스타일러스 펜을 꺾어서 사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본원의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 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4 손가락에 본원의 스타일러스 펜을 착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본원의 스타일러스 펜의 착용 전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밴드형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클립형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벨트형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골무 형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단추 형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벨크로형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에 있어 펜스형태의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링형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샤프트가 내장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샤프트가 손가락 삽입 홀 내부로 인입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샤프트가 손가락 삽입홀 내부에서 인출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본원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컴퓨터, MP3, PMP, PDA, 내비게이션, 휴대폰 등의 전자 기기의 액정을 조작하거나 상기 기기의 표시화면으로 정보를 직접 입력하도록 하는 전자기기나 모바일기기에 사용하는 손가락 착용식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는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고
또한, 단말기가 점차 소형화되어 감과 동시에 그 기능의 다양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상대방과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인터넷기능이나 문자정보, 그래픽 등의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엘씨디나 엘이디 모듈인 디스플레이 부(Display Unit)는 점차 넓어지게 되고, 반면에 단말기의 부피는 점차 소형화되어 가야만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키패드가 없는 터치 스크린 방식을 사용하게 되며 제품의 특성상 상기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한 보조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통상의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의 터치하는 스타일러스 펜은 정전용량방식(capacitve 이하 정전식)과 저항식(Resistive)있으며 스크린에 감지되는 압력을 인식하는 정압식(일명 저항식)과 스크린에 감지되는 전기를 인식하는 정전식 스크린에 감지되는 초음파를 인식하는 초음파 방식,적외선(IR)의 직진성을 이용하는 적외선 방식 등 크게 4종류로 나누어진다.
이 가운데 최근 주로 채용되고 있는 기술은 정압식과 정전식이다.
정압식은 투명 전극이 코팅된 2장의 기판으로 스크린 패널이 구성돼 있으며 손가락이나 펜으로 화면에 압력을 가하면 그 부위의 기판이 서로 달라붙어 정보를 인식한다.
반면 정전식은 인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감지해 정보를 인식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따라서 손가락으로 부드럽게 건드리면 기기가 반응한다. 정전식은 반응시간이 빠르고 기기를 한 손으로 작동하기도 편하다. 한 손으로 기기를 잡은 뒤 엄지손가락 등으로 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는 아무리 눌러도 인식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장갑을 낀 손이나 손톱으로는 조작이 안 되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 정전식은 손가락에 흐르는 전기로 가볍게 터치만 해도 즉각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사용자들로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그러나 스타일러스 펜 인식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화면에 직접 한글 글씨를 쓰는 등의 세밀한 터치를 하는 데는 둔탁한 손가락 움직임의 정전식보다 정압식이 더 편하다고 할 수 있으며 본원의 손가락 탈부착용 스타일러스 펜에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복잡하게 하거나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간략하게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당업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원의
스타일러스 펜의 제조방식은 통상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이 닫혀져 있는 것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이 열려져 있는 것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캡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과 펜이 결합된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진.
도 5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이 부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P3에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이 부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 도로서 전자기기(200)를 터치하여 조작하는 스타일러스 펜 본체(20)는 펜 팁(80)과 이와 연통 된 펜 샤프트(60)와 와 사용자의 손가락(40)에 착용하는 손가락 삽입 홀(100)과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손가락에 고정하여주는 손가락 고정부재(120)와
상기 펜 팁(80)을 덮어주고 상기 전자기기와 결합하는 펜팁캡(160)과
사용자가 상기 펜을 사용시 자신의 취향대로 상기 펜 샤프트(60)를 꺾거나 휘어서 사용하는 각도 조절 부재(140)로 이루어진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본원의 스타일러스 펜을 착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원의 대표 도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탈부착 형 스타일러스 펜의 특징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는 손가락 삽입 홀(100)과 상기 손가락을 고정시키는 손가락 고정부재(120)와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서 펜 샤프트(60)를 구부리거나 펴서 원하는 각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시로 상기 펜 샤프트(60)를 접을 수가 있어 사용시 보관하는데 부피를 차지하지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손가락 탈부착 스타일러스 펜의 펜 팁 (80) 또는 샤프트(60)는
각도 조절 부재(140)에 의하여 전자기기를 어느 위치에서든지 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누워서 상기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 부재(140)는 펜 샤프트(60)가 잘 구부러지고 잘펴치는
소재인 금속,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중에서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펜 샤프트 내부에 탄성체를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펜 샤프트(60)는 타측으로는 조밀한 원형 스프링이나 용수철 등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으로는 금속이나 고무, 실리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펜 샤프트(60)의 형상을 한 탄성체의 와이어가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펜 샤프트(60)내부에 원형 스프링이 구성되고 내부에 금속이나 고무, 실리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성 와이어가 투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겠다.
이렇듯이 상기 스타일러스 펜 본체(20)는 전방부는 전자기기(200)를 조작하는
펜 팁(80)이 마련되어 있다. 또는 후방에는 손가락 고정부재(120)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 손가락 고정부재(120)는 손가락의 둘레나 일측면을 감싸 지지하는 것이므로, 이 또한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손가락을 손가락 삽입 홀(100)에 삽입시 약간 벌어지면서 수축하려는 탄성복 원력에 의해 손가락에 스타일러스 펜 본체(20)를 안정되게 고정하게 되며
손가락에 착용 된 본 스타일러스 펜 본체(20)를 보다 안정되고 견고한 착용을 유도하게 된다.
이는 손가락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이들이 연결되어 이루는 단면형상이 대략 원형이나 타원형이 되게 하여 손가락의 삽입시 밀착성을 좋게 하고 편안함을 부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본 스타일러스 펜 본체(20)를 끼고 휴대용 전자기기(200)의 패널 상에 작업이 가능하고, 장시간 사용에도 피로가 최소화되어 무리가 없게 된다.
본 스타일러스 펜 본체(20)는 손가락 끝단부 하면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요입되어 사용자들의 손가락 하면이 밀착되는 안착홈을 상기 손가락 고정부재(120) 밑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손가락형상에 부합되는 안착홈을 형성함에 의해 착용감을 향상하고,
나아가 안착홈을 포함한 손가락이 접촉하는 부위에 쿠션이 있는 부드러운 패드(Pad) 등을 부착시켜 장시간 사용시의 피로감이나 불쾌감을 해소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스타일러스 펜 본체(20)는 다섯 손가락 중 자신이 사용이 가장 용이한 어느 한 손가락의 말단에 착용하기에 적합한 길이로 제작되며, 펜슬형이나 원추형, 꼭지형, 반원추형및 타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손가락에 결합하는 손가락 고정부재(120)는 손가락이 끼워지거나 결합하는 한 어떠한 구조나 형상도 가능하며 클립(Clip)식, 오링식(Oring),밴드식(Band), 골무식(Thimble)
, 테입(Tape)식, 링(Ring), 반지식, 자석식, 벨크로(Velcro)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 본체(20)와 펜 손잡이(80)와 펜 팁(80)으로 이루어진 스타일러스 펜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자성체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에서 말한 정정식 스타일러스 구조인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펜 팁(80)과 이를 덮어주고 상기 전자기기(200)에 연통 될 수 있는 펜팁캡(160)이 구성되며 스타일러스 펜 고정부재(180)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 본체(20) 일측이나 펜팁캡(160)에 구성되어 상기 펜을 자유롭게 전자기기에서 착탈할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펜 팁(80)은 중앙에 위치함으로써 보다 유연하고 자유로운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이 가능하여 전자기기(200)에 정확하고 정밀한 스타일러스 펜으로 전자기기(200)를 조작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본원 발명은 손가락의 저부에 간편하게 착용 되어 스타일러스 펜을 여러 손
가락으로 파지하지않더라도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을 보다 더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휴대와 사용이 편리하고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손가락에 통증이나 피로감이 유발되지 않으며,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 속도가 매우 빠르고 전자기기조작 중에도 다른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많은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본원의 스타일러스 펜을 착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본원의 스타일러스 펜을 꺾어서 사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본원의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 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4 손가락에 본원의 스타일러스 펜을 착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본원의 스타일러스 펜의 착용전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밴드형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클립형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벨트형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골무 형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단추 형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벨크로형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에 있어 펜스형태의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링형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샤프트가 내장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샤프트가 손가락 삽입홀 내부로 인입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샤프트가 손가락 삽입홀 내부에서 인출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펜 팁(80)을 포함한 펜 샤프트(60)가 사용 후에는 상기 손가락 삽입 홀 (100) 또는 손가락 고정부재(120) 내부로 입출 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크기를 확연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펜을 다시 사용시에는 상기 손가락 삽입 홀 (100) 또는 손가락 고정부재(120) 내부에 인입된 펜 팁(80)을 포함한 펜 샤프트(60)를 손가락으로 밀어서 꺼내어 사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펜 샤프트(60)몸체에 걸림 턱이나, 홈, 스프링, 단턱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작업시 내부로 밀려들어 오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하였듯이 스타일러스 펜으로 전자기기(200)를 조작하고자 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엄지, 검지 및 중지 세 손가락으로 스타일러스 펜을 잡고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은 매우 불편하고, 장시간 스타일러스 펜으로 전자기기(200)를
조작하게 될 경우에는 손가락에 통증이 발생하거나 쉽게 피곤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조작시 항상 세 손가락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스타일러스 펜 중에는 손가락을 이용한 다른 일을 수행할 수 없고, 상기 세 손가락 중에 일부 손가락에 장애가 있을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스타일러스 펜을 잡고 손바닥 부분을 지면이나 전자기기(200)에 밀착시켜 지지하여야 하므로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이 매우 부자연스러웠다.
그리고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시에 손톱의 끝 부분에 힘을 주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 손가락에 통증이 유발되고, 사용자마다 손가락의 끝 부분 형상이 서로 다르므로 동일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모든 사용자가 만족할 수 없는 문제점과스타일러스 펜의 터치 속도가 느려서 빠른 작업이 요구되는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손가락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을 안출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처럼 손가락의 저부에 간편하게 착용 되어 스타일러스 펜을 부여
잡지않더라도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을 보다 더 간편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착용감과 및 사용상에 편의성이 보다 더 향상된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펜의 본체에 부착된 펜 샤프트(60)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플렉시블 (flexible) 소재나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각도조절은 유연성을 갖는 자바라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 조절 부재(140)는 연질 부재 또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타일러스 펜 본체(20)와 펜 손잡이(80)와 펜 팁(80)으로 이루어진 스타일러스 펜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자성체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에서 말한 정정식 스타일러스 구조인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펜 팁(80)이 보호되도록 상기 펜 팁 (80) 또는 펜 샤프트(60)와 결합되는 보호커버가 더 구성되며 상기 전자기기(200)와 자유롭게 착탈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 본체(20)일 측면에는 다양한 문양이나 기호, 도형, 캐릭터, 문자 등을 각인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탈부착용 스타일러스 펜은 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고무, 실리콘 목재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선단에 뾰족한 펜 팁(80)이 제공되어 이 펜 팁 부분을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패드 상에 글씨를 쓰거나 터치하여 정보의 입력 및 출력 등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자기기(200)와 연통 된 펜팁캡(160)이나 스타일러스펜 고정부재(180) 등을 해체하고 자신이 가장 편하게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손가락을 상기 손가락 삽입 홀(100)에 삽입하고 간단한 손가락 조작을 통해 전자기기(200)를 조작하게 된다.
또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조작시 손가락 관절의 움직임이 원활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을 보다 더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펜 본체가
손가락에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그 형상이 단순화되어 제작성이 향상되고 제작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도형이나 캐릭터를 상기 스타일러스 펜본체(20)일측에 새길 수가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해석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본원 발명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짐이 바람직하고;
발명의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대한 다른 변형 및 변경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예의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실시 예의 측면들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하며 당업자는 상기 설명이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원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여러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20: 스타일러스 펜 본체 40: 손가락
60: 펜 샤프트 80: 펜 팁
100: 손가락 삽입 홀 120: 손가락 고정부재
140: 각도 조절 부재 160: 펜 팁캡
180: 스타일러스 펜 고정부재 200: 전자기기

Claims (6)

  1. 컴퓨터, MP3, PMP, PDA, 내비게이션 휴대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바일 정보통신 전자 기기의 액정을 조작시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에 있어서;
    손가락 탈부착용 스타일러스 펜 본체(20)는 펜 샤프트(60)와 전자기기와 맞닿는 펜 팁(80)과;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 홀(100)과 상기 손가락을 고정하는 손가락 고정부재(120)와;
    펜 팁(8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부재(140)와;
    전자기기(200)와 연결하는 스타일러스 펜 고정부재(180) 또는 펜팁캡(1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다섯 손가락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손가락(40)에 착용 및 탈착되며 펜 팁(80)이 각도 조절 부재(140)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부재(140)는 펜 샤프트(60)가 수시 접혀지거나 펴지는 탄성체
    이거나 상기 펜 샤프트(60)내부에 탄성체가 삽입되며 상기 손가락 탈부착 스타일러스 펜의 펜 팁(80)또는 샤프트(60)는 각도 조절 부재(140)에 의하여 상기 펜 팁(80) 또는 샤프트(60)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
  3. 삭제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스타일러스 펜 고정부재(180)는 스타일러스 펜 본체 (20) 또는 펜 팁캡(160)중
    선택된 어느 한곳에 설치되며 상기 손가락 탈부착 스타일러스 펜의 손가락 고정부재(120)는 클립식, 밴드식, 오링식, 골무식, 테입식, 링, 반지식, 자석식, 벨크로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펜팁(80)을 포함한 펜 샤프트(60)가 손가락 삽입홀(100)또는 손가락 고정부재(120) 내부로 입출 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11296A 2010-02-08 2010-02-08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 KR101135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296A KR101135818B1 (ko) 2010-02-08 2010-02-08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296A KR101135818B1 (ko) 2010-02-08 2010-02-08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932A KR20110091932A (ko) 2011-08-17
KR101135818B1 true KR101135818B1 (ko) 2012-04-19

Family

ID=4492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296A KR101135818B1 (ko) 2010-02-08 2010-02-08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8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0194B2 (en) 2011-09-26 2014-05-20 Nano Nails, LLC Finger stylus for use with capacitive touch panels
KR20210015084A (ko) 2019-07-31 2021-02-10 김동규 마디 반지형 스마트폰 터치펜
KR102329277B1 (ko) * 2020-12-15 2021-11-22 (주)지에이치드림 손가락 터치펜
KR102538318B1 (ko) * 2021-08-26 2023-05-31 임제민 손가락 끼움식 압정 운반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617U (ko) * 1998-01-13 1998-10-07 권율 터치패드용 입력펜
KR20080081882A (ko) * 2008-08-02 2008-09-10 이진명 엄지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펜
KR20080005428U (ko) * 2007-05-14 2008-11-19 김보성 필기가 용이한 스타일러스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617U (ko) * 1998-01-13 1998-10-07 권율 터치패드용 입력펜
KR20080005428U (ko) * 2007-05-14 2008-11-19 김보성 필기가 용이한 스타일러스펜
KR20080081882A (ko) * 2008-08-02 2008-09-10 이진명 엄지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932A (ko)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9557B2 (en) Ergonomic stylus storable in the pen slot of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6533480B2 (en) Adjustable finger stylus
US20090278818A1 (en) Thumb worn tap devices and storage holders for use with handheld electronics
US20090078478A1 (en) Finger tip stylus
KR101135818B1 (ko)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
KR200462321Y1 (ko) 볼펜 겸용 터치펜
US6377245B1 (en) Ultimate ergonomic mouse
US20080297490A1 (en) Stylus for a touch-screen device
US20190053613A1 (en) Ergonomic Phone Support Device
US7014379B2 (en) Adjustable dual sleeve pen holding auxiliary device
KR101207913B1 (ko) 꺾어지는 스타일러스펜
US20100110014A1 (en) Keypunch
US20050057493A1 (en) Thumb stylus
KR20070066415A (ko)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
WO2003099584A1 (en) Finger insertion type writing device
US20090115643A1 (en) Finger-Tip Key Depresso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0327899Y1 (ko) 터치스크린 장치용 손가락 착용 스타일러스 펜
US20040145866A1 (en) Ergonomic stylus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KR200476666Y1 (ko) 터치팁을 구비한 필기구
JP2019126952A (ja) 筆記具用保持具及びその部品
KR101494184B1 (ko) 터치 스크린용 브러쉬
WO2023047730A1 (ja) 指装着用筆記具
KR102329277B1 (ko) 손가락 터치펜
KR20180060382A (ko) 레이저포인터와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CN210694294U (zh) 一种签字笔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