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366B1 -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 - Google Patents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366B1
KR102421366B1 KR1020220011156A KR20220011156A KR102421366B1 KR 102421366 B1 KR102421366 B1 KR 102421366B1 KR 1020220011156 A KR1020220011156 A KR 1020220011156A KR 20220011156 A KR20220011156 A KR 20220011156A KR 102421366 B1 KR102421366 B1 KR 102421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hannel
fixing
clamping
pip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화
장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앤지텍
장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앤지텍, 장민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앤지텍
Priority to KR102022001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에 관한 것이다. 개시되는 상기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이 배관 클램핑 부재 및 배관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가 배관 덮개부와, 배관 클램핑부와, 한 쌍의 배관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배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기 배관이 상기 배관 클램핑부와 상기 배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찬넬에 상기 배관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가 한 쌍의 임의 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함에 따라 상기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의 설치 후 시간이 경과되어도 상기 찬넬과 상기 배관 사이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Pipe clamping unit for channel}
본 발명은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에 관한 것이다.
찬넬은 적어도 일 면이 개방되면서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동일한 형상의 단면 형태를 가지는 철골 자재로서, 산업 현장의 바닥 또는 천정 등에 설치되는 산업 구조물들을 지지하고, 그 단면 형태에 따라 C 찬넬, U 찬넬 등으로 명명된다.
또한, 상기 산업 현장에는 외부로부터 요구되는 장소까지 또는 요구되는 장소에서 외부까지 유체를 유동시킬 수 있는 배관이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배관은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면서 길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배관의 임의 분리 및 흔들림을 방지해야 하는데, 이러한 상기 배관의 임의 분리 및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찬넬에 상기 배관을 고정시키는 것이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이다.
상기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은 일렬로 나열된 상기 배관 중 소정 거리 이격된 복수 개의 지점에서 상기 찬넬과 서로 연결시켜 상기 배관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종래의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에 의하면, 종래의 상기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이 상기 배관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찬넬에 상기 배관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상기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이 상기 배관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찬넬과 상기 배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외력을 인가하게 될 경우, 종래의 상기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 중 외력이 인가되는 부분에 과도하게 외력이 집중되면서 굽힘 등의 변형이 발생되고, 그로 인해 종래의 상기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 중 상기 배관을 둘러싸는 부분과 상기 배관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에 의하면, 설치 완료 후 시간이 경과되면서 상기 찬넬과 상기 배관 사이의 연결 상태가 느슨해져 상기 배관이 임의로 흔들리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0780079 호, 등록일자: 2007.11.21., 발명의 명칭: 일체형 천장 배관 가대 등록특허 제 10-1825017 호, 등록일자: 2018.01.29., 발명의 명칭: 건축용 에이치 빔 파이프 행거 고정용 클램프
본 발명은 찬넬에 배관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후 시간이 경과되어도 상기 찬넬과 상기 배관 사이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은 적어도 일 면이 개구되면서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동일한 형상의 단면 형태를 가지면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찬넬(channel)에 배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배관의 일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찬넬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을 고정시키는 배관 클램핑 부재; 및 상기 찬넬과 상기 배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관 중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을 제외한 다른 일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는 상기 배관의 외측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소정 곡률의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배관 덮개부와, 상기 배관 덮개부의 외측에서 상기 배관 덮개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배관이 고정되도록 상기 배관 덮개부 및 상기 배관을 눌러주는 배관 클램핑부와, 상기 배관 클램핑부와 상기 찬넬을 연결시키면서, 상기 배관 클램핑부에 의해 상기 배관 덮개부 및 상기 배관이 눌리도록 상기 배관 클램핑부를 상기 찬넬 쪽으로 당겨줄 수 있는 한 쌍의 배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클램핑부는 소정 길이의 띠 형태로 형성되는 배관 클램핑 몸체와,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의 양측 말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외측 플랜지와,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의 양측 말단 중 상기 각 외측 플랜지가 형성된 부분에서 관통 형성되는 클램핑 몸체 홀과, 상기 각 외측 플랜지에서 상기 각 클램핑 몸체 홀을 통해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내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와 상기 내측 플랜지에 걸쳐서 관통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배관 고정부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배관 고정측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찬넬 상에 상기 배관 지지 부재 및 상기 배관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가 상기 배관의 일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찬넬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찬넬에 상기 배관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배관 지지 부재는 상기 찬넬에 대한 상기 배관의 요구되는 높이에 따라 그 높이가 가변될 수 있고, 한 쌍의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의 중심은 상기 배관 덮개부의 곡률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인 중심 경유 연장선과 상기 배관 덮개부를 둘러싸고 있는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의 외주면이 만나는 두 개의 지점(point)으로부터 서로 평행하면서 상기 중심 경유 연장선과 각각 수직되게 연장되는 가상선인 접선 연장선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에 의하면, 상기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이 배관 클램핑 부재 및 배관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가 배관 덮개부와, 배관 클램핑부와, 한 쌍의 배관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배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기 배관이 상기 배관 클램핑부와 상기 배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찬넬에 상기 배관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가 한 쌍의 임의 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함에 따라 상기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의 설치 후 시간이 경과되어도 상기 찬넬과 상기 배관 사이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에 의해 찬넬에 배관이 고정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분해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구성하는 배관 클램핑 부재의 일부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구성하는 배관 클램핑 부재에 적용된 임의 회전 방지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구성하는 배관 지지 부재의 분해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구성하는 누름 부재의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구성하는 누름 부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구성하는 누름 부재가 배관 클램피 부재에 적용된 배관 클램핑부의 클램핑 몸체 홀에 삽입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에 의해 찬넬에 배관이 고정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분해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구성하는 배관 클램핑 부재의 일부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구성하는 배관 클램핑 부재에 적용된 임의 회전 방지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구성하는 배관 지지 부재의 분해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100)은 적어도 일 면이 개구되면서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동일한 형상의 단면 형태를 가지면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찬넬(channel)(10)에 배관(2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배관 클램핑 부재(101) 및 배관 지지 부재(105)를 포함한다.
상기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100)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찬넬(10) 상에 상기 배관 지지 부재(105) 및 상기 배관(2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101)가 상기 배관(20)의 일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찬넬(1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찬넬(10)에 상기 배관(2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찬넬(10)은 소정 면적의 평판 형태로 형성된 찬넬 몸체(11)와, 상기 찬넬 몸체(11)의 양측 말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면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상측 벽체(12)와, 상기 찬넬 몸체(11)와 상기 상측 벽체(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인 상측 공간(13)과, 상기 찬넬 몸체(11)의 양측 말단부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면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하측 벽체(14)와, 상기 찬넬 몸체(11)와 상기 하측 벽체(14)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인 하측 공간(1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상기 상측 벽체(12)의 각 말단부는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각각 한 번 절곡된 후 그 절곡된 말단부에서 상기 찬넬 몸체(11) 쪽으로 각각 한번 더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하측 벽체(14)의 각 말단부는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각각 한 번 절곡된 후 그 절곡된 말단부에서 상기 찬넬 몸체(11) 쪽으로 각각 한번 더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101)는 상기 배관(20)의 일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찬넬(10)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20)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101)가 상기 배관(20)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관 지지 부재(105)가 상기 배관(20)의 하측부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101)는 배관 덮개부(110)와, 배관 클램핑부(120)와, 한 쌍의 배관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101)는 한 쌍의 임의 회전 방지부(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관 덮개부(110)는 상기 배관(20)의 외측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소정 곡률의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배관 덮개부(110)는 소정 곡률의 아크(arc) 형태를 가지면서 소정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20)의 상측 일부를 둘러싸면서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배관 덮개부(110)의 내주면은 고정이 요구되는 상기 배관(20)의 외주면과 대응된다.
도면 번호 111은 상기 배관 덮개부(110)의 폭 방향의 양측 말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가 상기 배관 덮개부(110)의 상부를 둘러쌀 때, 상기 배관 덮개부(11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위치 유지체이다.
상기 위치 유지체(111)는 상기 배관 덮개부(110)의 폭 방향을 따른 양측 말단에서 상기 배관 덮개부(110)의 곡률을 따라 아크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찬넬(10)에 상기 배관(20)을 고정시킬 때와 고정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가 배관 덮개부(110)의 폭 방향으로 흘러내리는 등 임의 분리되지 아니하고, 상기 배관 덮개부(110)의 외측면에 놓여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는 상기 배관 덮개부(110)의 외측에서 상기 배관 덮개부(110)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배관(20)이 고정되도록 상기 배관 덮개부(110) 및 상기 배관(20)을 눌러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관(20)이 고정되도록 상기 배관 덮개부(110) 및 상기 배관(20)을 눌러준다는 것은 상기 찬넬(10)에 상기 배관(20)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배관(20)의 적어도 일부와 밀착되면서 상기 배관(20)을 잡아 주는 것을 말한다.
상세히,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는 배관 클램핑 몸체(121)와, 한 쌍의 외측 플랜지(122)와, 한 쌍의 클램핑 몸체 홀(124)과, 한 쌍의 내측 플랜지(123)와, 한 쌍의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을 포함한다.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121)는 길이에 비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소정 길이의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외측 플랜지(122)는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121)의 양측 말단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121)와 수직되게 절곡되는 것이다.
상기 클램핑 몸체 홀(124)은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121)의 양측 말단 중 상기 각 외측 플랜지(122)가 형성된 부분에서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내측 플랜지(123)는 상기 각 외측 플랜지(122)에서 상기 각 클램핑 몸체 홀(124)을 통해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121)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각각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외측 플랜지(122)와 상기 내측 플랜지(123)는 하나의 평면을 이루게 된다.
한 쌍의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은 상기 외측 플랜지(122)와 상기 내측 플랜지(123)에 걸쳐서 관통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배관 고정부(130)가 각각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쌍의 상기 외측 플랜지(122)와, 한 쌍의 상기 클램핑 몸체 홀(124)과, 한 쌍의 상기 내측 플랜지(123) 및 한 쌍의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한편, 한 쌍의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의 중심은 상기 배관 덮개부(110)의 곡률 중심(c)을 지나는 가상선인 중심 경유 연장선(h)과 상기 배관 덮개부(110)를 둘러싸고 있는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121)의 외주면이 만나는 두 개의 지점(point)으로부터 서로 평행하면서 상기 중심 경유 연장선(h)과 각각 수직되게 연장되는 가상선인 접선 연장선(t) 상에 위치된다.
그러면, 상기 각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에 삽입되는 상기 각 배관 고정부(130)의 중심축도 상기 접선 연장선(t) 상에 위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찬넬(10)에 상기 배관(20)을 고정시키기 위한 외력이 상기 각 배관 고정부(130)에 공급될 경우, 상기 각 외측 플랜지(122)의 주변부에 대한 외력 집중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각 외측 플랜지(122) 및 상기 각 내측 플랜지(123)가 상기 각 배관 고정부(130) 쪽으로만 당겨지게 되면서 상기 배관 덮개부(110)의 저면이 상기 배관(20)의 외주면을 눌러 상기 배관 덮개부(110)의 저면에 의한 상기 배관(20)의 외주면의 밀착이 전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와 같이 상기 각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이 상기 각 외측 플랜지(122)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각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의 중심이 상기 중심 경유 연장선(h)과 상기 접선 연장선(t)의 이격 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멀리 이격된 곳(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의 중심이 상기 외측 플랜지(122) 중 상기 접선 연장선(t) 상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곳)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 고정부(130)에 외력이 공급되면,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121) 중 상기 각 외측 플랜지(122)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부분 또는 상기 각 외측 플랜지(122)에 외력이 집중되면서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121) 중 상기 각 외측 플랜지(122)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부분 또는 상기 각 외측 플랜지(122)가 벤딩(bending)되는 등 국부적으로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 배관 덮개부(110)가 상방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121)에 의한 상기 배관 덮개부(110)의 전체적인 눌림은 상대적으로 약해져 상기 배관(20)의 임의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의 중심과 상기 배관 고정부(130)의 중심축과 상기 접선 연장선(t)이 서로 일치됨으로써 상기 배관(20)에 대한 상기 배관 덮개부(110)의 밀착 효과와 눌림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배관 고정부(130)는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와 상기 찬넬(10)을 연결시키면서,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에 의해 상기 배관 덮개부(110) 및 상기 배관(20)이 눌리도록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를 상기 찬넬(10) 쪽으로 당겨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각 배관 고정부(130)는 배관 고정 수단(131)과, 배관 고정 유지체(135)를 포함한다.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은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에 관통 삽입되는 것으로, 배관 고정 몸체(132)와, 배관 고정 헤드(133)와, 회전력 인가체(134)를 포함한다.
상기 배관 고정 몸체(132)는 소정 길이의 바아(bar) 형태로 길게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배관 고정 헤드(133)는 상기 배관 고정 몸체(132)의 일측 말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배관 고정부(130)가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에 삽입될 때 상기 배관 고정 헤드(133)는 상기 외측 플랜지(122) 및 상기 내측 플랜지(123)의 상면에 걸쳐서 안착된다.
상기 회전력 인가체(134)는 상기 배관 고정 몸체(132) 중 상기 배관 고정 헤드(133)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부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될 수 있도록 그 외측에 복수 개의 평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회전력은 작업자가 스패너(spanner) 등의 회전력 공급 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을 회전시키는 힘을 말한다.
이 때 상기 회전력 인가체(134)는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회전력 인가체(134)에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을 연결시킨 후 상기 작업자가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이 상기 배관 고정 유지체(135)와 연결되면서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를 상기 찬넬(10) 쪽으로 당기게 되고, 상기 회전력 인가체(134)에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을 연결시킨 후 상기 작업자가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배관 고정 유지체(135)로부터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이 풀리면서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의 당김이 해소된다.
상기 배관 고정 유지체(135)는 상기 찬넬(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그 중앙부에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이 삽입되는 고정 수단 삽입홀(136)이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 고정 유지체(135)는 상기 상측 공간(13)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 수단 삽입홀(136)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 고정 몸체(132)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 수단 삽입홀(136)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이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에 삽입된 후 상기 찬넬(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상기 배관 고정 유지체(135)와 가조립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회전력 인가체(134)에 일방향의 회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를 상기 찬넬(10) 쪽으로 점진적으로 당기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가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상기 배관 덮개부(110) 및 상기 배관(20)이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에 의해 함께 눌리게 됨으로써 상기 배관(20)이 상기 찬넬(10)에 고정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이 상기 배관 고정 유지체(135)와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회전력 인가체(134)에 타방향의 회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에 대한 당김이 해소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배관 덮개부(110) 및 상기 배관(20)에 대한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의 눌림도 해소되어 상기 찬넬(10)과 상기 배관(20) 사이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한 쌍의 상기 임의 회전 방지부(140)는 상기 각 배관 고정부(130)에 형성되고, 상기 각 배관 고정부(130)에 의해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 및 상기 찬넬(10)이 연결될 때 상기 각 배관 고정 수단(131)의 임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각 임의 회전 방지부(140)는 임의 회전 방지홈(141)과, 임의 회전 방지 돌기(142)를 포함한다.
상기 임의 회전 방지홈(141)은 상기 외측 플랜지(122)와 상기 내측 플랜지(123)에 걸쳐진 상면 중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의 주변 부분과 상기 배관 고정 헤드(133)의 저면 중 어느 하나에서 폭에 비해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면서 소정 깊이 함몰되는 것이다.
상기 임의 회전 방지 돌기(142)는 상기 외측 플랜지(122)와 상기 내측 플랜지(123)에 걸쳐진 상면 중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의 주변 부분과 상기 배관 고정 헤드(133)의 저면 중 다른 하나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임의 회전 방지홈(141)에 걸릴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임의 회전 방지홈(141)이 상기 외측 플랜지(122)와 상기 내측 플랜지(123)에 걸쳐진 상면 중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의 주변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임의 회전 방지 돌기(142)가 상기 배관 고정 헤드(133)의 저면에 형성되나, 그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회전력 인가체(134)에 회전력이 인가되어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이 상기 배관 고정 유지체(135)에 결합될 때 상기 임의 회전 방지 돌기(142)가 상기 임의 회전 방지홈(141)에 걸림으로써,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의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임의 회전 방지홈(141)은 상기 외측 플랜지(122)와 상기 내측 플랜지(123)에 걸쳐진 상면 중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임의 회전 방지 돌기(142)는 상기 임의 회전 방지홈(141)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상기 배관 고정 몸체(13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으로 상기 회전력 인가체(134)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다가 상기 회전력 인가체(134)로부터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을 이격시키더라도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에 대한 역회전(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이 일방향으로 회전될 경우는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말하고,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이 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는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말함.)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관 지지 부재(105)는 상기 찬넬(10)과 상기 배관(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관(20) 중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101)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을 제외한 다른 일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배관(20)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배관 지지 부재(105)는 상기 찬넬(10)에 대한 상기 배관(20)의 요구되는 높이에 따라 그 높이가 가변될 수 있고,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서, 상기 배관(20)의 요구되는 높이는 상기 찬넬(10)의 상공에서 상기 배관(20)이 위치되어야 할 높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소정 길이를 가진 상기 배관(20)이 소정 각도의 구배를 가지면서 배치되어야 할 경우, 상기 배관(20)의 일측 말단의 높이는 상기 배관(20)의 타측 말단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야 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배관(20)의 일측 말단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관 지지 부재(105)의 높이는 상기 배관(20)의 타측 말단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관 지지 부재(105)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세히, 상기 배관 지지 부재(105)는 찬넬 연결부(160)와, 배관 지지부(150)와, 높이 조절 블럭(155)을 포함한다.
상기 찬넬 연결부(160)는 상기 찬넬(10)의 상측에서 상기 찬넬(10)과 연결되는 것으로, 찬넬 연결 몸체(161)와, 찬넬 삽입홈(162)과, 찬넬 외측 지지체(163)를 포함한다.
상기 찬넬 연결 몸체(161)는 상기 찬넬(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찬넬 삽입홈(162)은 상기 찬넬 연결 몸체(161)의 저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찬넬(10)의 일부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찬넬 삽입홈(162)은 연결되는 상기 찬넬(10)의 형상에 따라 가변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상기 상측 벽체(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이 소정 거리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찬넬 외측 지지체(163)는 상기 찬넬 연결 몸체(161)의 양측 말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찬넬(10)과 상기 찬넬 연결부(160)의 연결 시 상기 찬넬(10)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찬넬 외측 지지체(163)는 한 쌍의 상기 상측 벽체(12)가 상기 찬넬 삽입홈(162)에 각각 삽입될 때, 한 쌍의 상기 상측 벽체(12)의 외측면을 각각 지지하게 된다.
도면 번호 164는 상기 찬넬 연결 몸체(161)의 상면 중 복수 지점에서 이격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찬넬 연결 몸체(161)가 상기 높이 조절 블럭(155)에 연결되도록 하는 찬넬 연결측 돌기이다.
복수 개의 상기 찬넬 연결측 돌기(164)는 서로 다른 크기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찬넬 연결 몸체(161)의 중심을 지나면서 상기 찬넬 연결 몸체(16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가상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배관 지지부(150)는 상기 배관(20)을 지지하고, 그 상면은 상기 배관(2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소정 곡률의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면 번호 151은 상기 배관 지지부(150)의 저면에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배관 지지측 함몰홈이다.
상기 배관 지지측 함몰홈(151)은 서로 다른 크기의 면적을 가지면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되, 상기 배관 지지부(150)의 중심을 지나면서 상기 배관 지지부(15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가상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면 번호 152는 상기 배관 지지부(150)의 상면 중 소정 곡률의 곡면 상과 상기 배관(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배관 지지부(150)에 상기 배관(20)이 안착될 때 상기 배관(20)의 미끄러짐을 방지되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체이고, 상기 미끄럼 방지체(152)는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 조절 블럭(155)은 상기 찬넬 연결부(160) 및 상기 배관 지지부(150) 사이에 배치되되, 복수 개가 서로 적층될 수 있도록 블록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높이 조절 블럭 몸체(156)와, 높이 조절 블럭측 돌기(157)와, 높이 조절 블럭측 함몰홈(158)을 포함한다.
상기 높이 조절 블럭 몸체(156)은 상기 찬넬(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높이 조절 블럭측 돌기(157)는 상기 높이 조절 블럭 몸체(156)의 상면에서 복수 개가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 블럭(155)과 상기 배관 지지부(150)의 연결을 위해 상기 배관 지지측 함몰홈(151)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높이 조절 블럭측 함몰홈(158)은 상기 높이 조절 블럭 몸체(156)의 저면에서 복수 개가 이격되도록 함몰 형성되고, 상기 찬넬 연결부(160)와 상기 높이 조절 블럭(155)의 연결을 위해 상기 찬넬 연결측 돌기(164)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찬넬(10) 상에서 상기 찬넬 연결부(160)와, 상기 배관 지지부(150)와, 상기 높이 조절 블럭(15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면서 상기 배관 지지 부재(105)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블럭(155)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형태로 복수 개가 구비된다. 그러면, 상기 찬넬(10)에 대한 상기 배관(20)의 요구되는 높이에 따라 그에 적합한 높이를 가진 상기 높이 조절 블럭(155)를 선별하여 적용할 수도 있고, 상기 높이 조절 블럭(155) 중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것 또는 동일한 높이를 가진 것을 복수 개 적층함으로써 상기 배관 지지 부재(105)의 전체적인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찬넬(10)과 상기 배관(20) 사이에 상기 배관 지지 부재(105)를 마련한다.
이 때, 상기 배관 지지 부재(105)의 요구되는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상기 높이 조절 블럭(155)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거나, 복수 개를 적용하여 상기 배관 지지 부재(105)의 높이를 가변한다.
상기 배관(20)의 상측에 상기 배관 덮개부(110)를 덮는다.
그런 다음, 상기 배관 덮개부(110)의 상측에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를 둘러싼다.
그런 다음, 상기 각 배관 고정측 삽입홀(125)에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을 관통 삽입한다.
그런 다음, 상기 상측 공간(13)에 배치된 상기 배관 고정 유지체(135)에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을 가조립한다.
그런 다음, 외부로부터 상기 회전력 인가체(134)에 일방향의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배관 고정 수단(13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가 상기 찬넬(10) 쪽으로 점진적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상기 배관 덮개부(110) 및 상기 배관(20)이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에 의해 함께 눌리게 됨으로써 상기 배관(20)이 상기 찬넬(1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100)이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101) 및 상기 배관 지지 부재(105)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101)가 상기 배관 덮개부(110)와,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와, 한 쌍의 상기 배관 고정부(130)를 포함하여 상기 배관 지지 부재(105)에 의해 지지된 상기 배관(20)이 상기 배관 클램핑부(120)와 상기 배관 고정부(130)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찬넬(10)에 상기 배관(2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101)가 한 쌍의 상기 임의 회전 방지부(140)를 더 포함함에 따라 상기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100)의 설치 후 시간이 경과되어도 상기 찬넬(10)과 상기 배관(20) 사이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구성하는 누름 부재의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구성하는 누름 부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을 구성하는 누름 부재가 배관 클램피 부재에 적용된 배관 클램핑부의 클램핑 몸체 홀에 삽입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이 배관 클램핑 부재와, 배관 지지 부재와, 누름 부재(270)를 포함한다.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는 배관(20)의 일부를 둘러싸면서 찬넬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20)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배관 지지 부재는 상기 찬넬과 상기 배관(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관(20) 중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을 제외한 다른 일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배관(20)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는 배관 덮개부와, 배관 클램핑부(220)와, 한 쌍의 배관 고정부와, 한 쌍의 임의 회전 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관 클램핑부(220)는 배관 클램핑 몸체(221)와, 한 쌍의 외측 플랜지(222)와, 한 쌍의 클램핑 몸체 홀(224)과, 한 쌍의 내측 플랜지(223)와, 한 쌍의 배관 고정측 삽입홀(225)을 포함한다.
상기 각 배관 고정부는 배관 고정 수단(231)과, 배관 고정 유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고정 수단(231)은 배관 고정 몸체와, 배관 고정 헤드(233)와, 회전력 인가체(234)를 포함한다.
상기 각 임의 회전 방지부는 임의 회전 방지홈(241)과, 임의 회전 방지 돌기(242)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 부재(270)는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221)의 외측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 고정 수단(231)이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225)에 삽입되면서 상기 배관 고정 유지체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20)을 상기 찬넬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관 고정 헤드(233)의 상측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배관 고정 헤드(233)를 눌러 주어 상기 배관 고정 유지체에 대한 상기 배관 고정 수단(231)의 임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누름 부재(270)는 상기 배관(20) 클램핌 몸체의 중심을 지나면서 상기 찬넬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가상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한 쌍이 상기 배관(20) 클램핌 몸체의 외측에서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각 누름 부재(270)가 상기 각 배관 고정 헤드(233)를 누르게 된다.
상세히, 상기 각 누름 부재(270)는 누름 몸체(271)와, 제 1 굽힘체(272)와, 제 2 굽힘체(273)와, 하방 연장체(274)와, 누름체(275)와, 배관 고정 헤드 안착체(276)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 몸체(271)는 상기 배관(20) 클램핌 몸체의 외측에 장착되되, 외력에 의해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221)의 외측에서 소정 각도 이격되더라도 복귀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소정 곡률로 굽혀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굽힘체(272)는 상기 누름 몸체(271) 중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221)와 대면되는 면의 말단에서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221) 쪽을 향해 반원 형태로 굽혀지되,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굽힘체(273)는 상기 제 1 굽힘체(272)의 말단에서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221) 쪽을 향해 반원 형태로 굽혀지되,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제 1 굽힘체(272) 및 상기 제 2 굽힘체(273)는 눕혀진 S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방 연장체(274)는 상기 제 2 굽힘체(273)의 말단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누름체(275)는 상기 하방 연장체(274)에서 연장되되, 소정 곡률의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 고정 헤드(233)의 상측 일부와 접촉되어 상기 배관 고정 헤드(233)를 누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관 고정 헤드 안착체(276)는 상기 누름체(275)에서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221)의 외측 쪽으로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고, 그 상면에 상기 배관 고정 헤드(233)가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배관 고정 헤드 안착체(276)는 상기 배관 고정 헤드 안착체(276) 중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221)와 대면되는 부분이 개구되고, 상기 배관 고정 헤드 안착체(276)의 내부에는 상기 배관 고정 수단(231)이 삽입되는 배관 고정 수단측 삽입홀(277)이 형성되어 상기 배관 고정 수단(231)은 상기 배관 고정 헤드 안착체(276) 중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배관 고정 수단측 삽입홀(277)에 삽입된다.
도면 번호 278은 상기 누름 부재(270)에 상기 배관 고정 수단(231)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누름 부재(270)가 상기 클램핑 몸체 홀(224)에 삽입될 때 상기 임의 회전 방지홈(241)에 삽입되는 임의 회전 방지측 삽입 돌기이다.
상기 임의 회전 방지측 삽입 돌기가 상기 임의 회전 방지홈(241)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면, 상기 누름 부재(270)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배관 고정 수단(231)을 상기 배관 고정 수단측 삽입홀(277)에 삽입시켜 상기 누름체(275)와 상기 배관 고정 헤드(233)가 접촉되도록 한 다음, 상기 배관 고정 수단(231)을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225)에 삽입시키고, 상기 배관 고정 수단(231)이 상기 배관 고정 수단측 삽입홀(277) 및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225)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후 상기 배관 고정 유지체에 가조립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2 굽힘체(273)의 양 측면이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221) 중 상기 클램핑 몸체 홀(224)이 형성된 내측면에 걸리도록 상기 누름 몸체(271)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 2 굽힘체(273)를 상기 클램핑 몸체 홀(224)에 삽입시킨 후, 상기 배관 고정 수단(231)을 구성하는 상기 회전력 인가체(234)에 일방향의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배관(20)을 상기 찬넬에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누름체(275)가 상기 배관 고정 헤드(233)를 일차적으로 누르고, 상기 제 2 굽힘체(273)가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221) 중 상기 클램핑 몸체 홀(224)이 형성된 내측면에 걸려 상기 배관 고정 헤드(233)에 대한 상기 누름체(275)의 누름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상기 배관(20)에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배관 고정 유지체에 대한 상기 배관 고정 수단(231)의 임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에 의하면, 찬넬에 배관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의 설치 후 시간이 경과되어도 상기 찬넬과 상기 배관 사이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 : 찬넬
20 : 배관
100 :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
101 : 배관 클램핑 부재
105 : 배관 지지 부재
110 : 배관 덮개부
120 : 배관 클램핑부
130 : 배관 고정부
131 : 배관 고정 수단
135 : 배관 고정 유지체
150 : 상기 배관 지지 부재
155 : 높이 조절 블럭
160 : 찬넬 연결부
270 : 누름 부재

Claims (5)

  1. 적어도 일 면이 개구되면서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동일한 형상의 단면 형태를 가지면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찬넬(channel)에 배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배관의 일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찬넬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을 고정시키는 배관 클램핑 부재; 및
    상기 찬넬과 상기 배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관 중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을 제외한 다른 일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는
    상기 배관의 외측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소정 곡률의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배관 덮개부와,
    상기 배관 덮개부의 외측에서 상기 배관 덮개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배관이 고정되도록 상기 배관 덮개부 및 상기 배관을 눌러주는 배관 클램핑부와,
    상기 배관 클램핑부와 상기 찬넬을 연결시키면서, 상기 배관 클램핑부에 의해 상기 배관 덮개부 및 상기 배관이 눌리도록 상기 배관 클램핑부를 상기 찬넬 쪽으로 당겨줄 수 있는 한 쌍의 배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클램핑부는
    소정 길이의 띠 형태로 형성되는 배관 클램핑 몸체와,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의 양측 말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외측 플랜지와,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의 양측 말단 중 상기 각 외측 플랜지가 형성된 부분에서 관통 형성되는 클램핑 몸체 홀과,
    상기 각 외측 플랜지에서 상기 각 클램핑 몸체 홀을 통해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내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와 상기 내측 플랜지에 걸쳐서 관통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배관 고정부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배관 고정측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찬넬 상에 상기 배관 지지 부재 및 상기 배관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가 상기 배관의 일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찬넬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찬넬에 상기 배관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배관 지지 부재는 상기 찬넬에 대한 상기 배관의 요구되는 높이에 따라 그 높이가 가변될 수 있고,
    한 쌍의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의 중심은 상기 배관 덮개부의 곡률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인 중심 경유 연장선과 상기 배관 덮개부를 둘러싸고 있는 상기 배관 클램핑 몸체의 외주면이 만나는 두 개의 지점(point)으로부터 서로 평행하면서 상기 중심 경유 연장선과 각각 수직되게 연장되는 가상선인 접선 연장선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관 고정부는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에 관통 삽입되는 배관 고정 수단과,
    상기 찬넬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그 중앙부에 상기 배관 고정 수단이 삽입되는 고정 수단 삽입홀이 형성된 배관 고정 유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고정 수단은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배관 고정 몸체와,
    상기 배관 고정 몸체의 일측 말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배관 고정 헤드와,
    상기 배관 고정 몸체 중 상기 배관 고정 헤드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부분에배치되고, 그 외측에 복수 개의 평면이 형성되는 회전력 인가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 삽입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 고정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 수단 삽입홀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 고정 수단이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에 삽입된 후 상기 찬넬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상기 배관 고정 유지체와 가조립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회전력 인가체에 일방향의 회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배관 고정 수단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배관 클램핑부를 상기 찬넬 쪽으로 점진적으로 당기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배관 덮개부 및 상기 배관이 상기 배관 클램핑부에 의해 함께 눌리게 됨으로써 상기 배관이 상기 찬넬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클램핑 부재는
    상기 각 배관 고정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 배관 고정부에 의해 상기 배관 클램핑부 및 상기 찬넬이 연결될 때 상기 각 배관 고정 수단의 임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임의 회전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임의 회전 방지부는
    상기 외측 플랜지와 상기 내측 플랜지에 걸쳐진 상면 중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의 주변 부분과 상기 배관 고정 헤드의 저면 중 어느 하나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는 임의 회전 방지홈과,
    상기 외측 플랜지와 상기 내측 플랜지에 걸쳐진 상면 중 상기 배관 고정측 삽입홀의 주변 부분과 상기 배관 고정 헤드의 저면 중 다른 하나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임의 회전 방지 홈에 걸릴 수 있는 임의 회전 방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 인가체에 회전력이 인가되어 상기 배관 고정 수단이 상기 배관 고정 유지체에 결합될 때 상기 임의 회전 방지 돌기가 상기 임의 회전 방지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배관 고정 수단의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지지 부재는
    상기 찬넬의 상측에서 상기 찬넬과 연결되는 찬넬 연결부와,
    상기 배관을 지지하고, 그 상면은 상기 배관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소정 곡률의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배관 지지부와,
    상기 찬넬 연결부 및 상기 배관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되, 복수 개가 서로 적층될 수 있도록 블록 형태로 형성되는 높이 조절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찬넬 연결부는
    상기 찬넬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찬넬 연결 몸체와,
    상기 찬넬 연결 몸체의 저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찬넬의 일부가 삽입되는 찬넬 삽입홈과,
    상기 찬넬 연결 몸체의 양측 말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찬넬과 상기 찬넬 연결부의 연결 시 상기 찬넬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찬넬 외측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찬넬에 대한 상기 배관의 요구되는 높이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절 블럭의 적층 개수를 가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배관 지지 부재의 전체적인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
KR1020220011156A 2022-01-26 2022-01-26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 KR102421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156A KR102421366B1 (ko) 2022-01-26 2022-01-26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156A KR102421366B1 (ko) 2022-01-26 2022-01-26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366B1 true KR102421366B1 (ko) 2022-07-15

Family

ID=8240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156A KR102421366B1 (ko) 2022-01-26 2022-01-26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3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079B1 (ko) 2007-05-02 2007-11-30 주식회사 한일정공 일체형 천장 배관 가대
KR101825017B1 (ko) 2016-05-02 2018-02-02 주식회사 경신산업 건축용 에이치 빔 파이프 행거 고정용 클램프
KR102301988B1 (ko) * 2021-04-14 2021-09-15 주식회사 제이앤지텍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찬넬용 배관 클램프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079B1 (ko) 2007-05-02 2007-11-30 주식회사 한일정공 일체형 천장 배관 가대
KR101825017B1 (ko) 2016-05-02 2018-02-02 주식회사 경신산업 건축용 에이치 빔 파이프 행거 고정용 클램프
KR102301988B1 (ko) * 2021-04-14 2021-09-15 주식회사 제이앤지텍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찬넬용 배관 클램프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5363A (en) Plastic pipe beam support
US11053688B2 (en) Adjustable glass grip
JP2004245410A (ja) 管状部材の支持体
US8431808B2 (en) Drum holding structure and drum held by the holding structure
KR102421366B1 (ko) 찬넬용 배관 클램핑 유닛
US8464987B1 (en) Adjustable conduit clamp
US3817270A (en) Universal clamping device for tubing of different diameters
GB2081363A (en) Resilient retaining clip for round bars
JP3429677B2 (ja) 光ケーブル固定装置
KR100710835B1 (ko) 파이프 고정용 클램핑 장치
KR950005552B1 (ko) 파이프 클립
CN110601103B (zh) 电缆固定支架组件
JP2009519413A (ja) 金属シートナット
KR102072965B1 (ko)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US10498123B2 (en) Support bracket for mounting octagonal boxes on furring channels
KR10230198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찬넬용 배관 클램프 유닛
JP6108305B2 (ja) 野縁取付金具、および野縁の取付け方法
JP6739503B2 (ja) ボルト連結具
CN111279112B (zh) 具有隔振元件的立管夹具
JP6040951B2 (ja) 作業機械の索状体保持具及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6887916B2 (ja) 壁貫通箇所の配線・配管材固定構造、c型鋼固定部材、及び配線・配管材支持具装置
JP7290981B2 (ja) 配線・配管材支持具
KR200407169Y1 (ko) 파이프 고정용 지지구
KR101957228B1 (ko) 측면 행거
KR100906731B1 (ko) 밴드 클램프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고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