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147B1 -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147B1
KR102421147B1 KR1020210038431A KR20210038431A KR102421147B1 KR 102421147 B1 KR102421147 B1 KR 102421147B1 KR 1020210038431 A KR1020210038431 A KR 1020210038431A KR 20210038431 A KR20210038431 A KR 20210038431A KR 102421147 B1 KR102421147 B1 KR 102421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filter unit
hood
filter
exhaus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관
Original Assignee
(주)씨코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코전자 filed Critical (주)씨코전자
Priority to KR102021003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ultra-fine filter sheets or diaphragms
    • B01D46/546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ultra-fine filter sheets or diaphragms using nano- or microfib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주방 내부의 음식물 조리기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후드; 후드의 내부 상단부에 설치되는 전처리필터; 일단이 후드의 상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건물 외부의 대기중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배기덕트; 배기덕트의 후드 쪽에 설치되어 주방 내부공기의 유분을 제거하는 제1필터유니트; 배기덕트의 제1필터유니트의 배출측에 설치되어 주방 내부 공기의 이물질과 악취를 제거하는 제2필터유니트; 배기덕트의 재2필터유니트의 배출측에 설치되어 주방 내부의 공기를 대기중으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업소의 주방의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음식물 냄새 등의 악취, 미세먼지를 포함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주방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대기중으로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업소 주변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 {EXHAUST SYSTEM FOR BUSINESS USE KITCHEN}
본 발명은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음식물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각종 유해물질 및 냄새 등을 제거한 후 청정한 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급격히 상승하고, 환경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활공간 주변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미세먼지에 대한 민원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중 음식점 등의 업소에서 배출되는 악취 물질은 비규제 대상으로 오염물질에 대한 배출 허용 기준이 없어 생활공간 주변에서 주요 민원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직화구이나, 튀김 요리 등 다량의 유증기가 발생하는 한식조리 과정에서 많은 미세먼지와 악취 물질이 발생되지만 현재 음식점에서는 단순 배기나 희석 배기 수준의 시스템이 대부분인 실정이다.
이에 일부 음식점에서는 전기 집진 방식을 활용한 주방 배기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육류 구이 전문 음식점의 각 테이블에 설치되는 배출닥트에 장착해서, 배출닥트로 배출되는 연기 및 기름때와 먼지 등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여 각종 이물질과 냄새를 제거한 후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후드 내부로 흡입된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감지하는 후드 에어센서와, 후드 내부로 흡입된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후드 에어필터와, 후드 에어센서에서 측정된 오염물질 농도 및 실내 공기질을 감지하는 실내 에어센서에서 측정된 오염물질 농도에 따라 후드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와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2046호(2019년 10월 07일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21880호(2021년 03월 02일 공개)
특허문헌 1, 2를 포함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은 전기집진방식으로 미세먼지와 냄새를 포집하는 형태가 많아 시설비용이 많이 들게 될 뿐 아니라 주방 내부 공기에 포함된 유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은 각종 필터에 축적된 유분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없게 되는 등 유지관리가 번거롭고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주방에서 음식물 조리과정에서 발생한 유분, 음식물 냄새, 미세먼지를 포함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주방 내부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주방 내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대기중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업소의 주변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저렴한 시설비용으로 간편하게 시설할 수 있도록 하고,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은 주방 내부의 음식물 조리기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후드; 후드의 내부 상단부에 설치되는 전처리필터; 일단이 후드의 상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건물 외부의 대기중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배기덕트; 배기덕트의 후드 쪽에 설치되어 주방 내부공기의 유분을 제거하는 제1필터유니트; 배기덕트의 제1필터유니트의 배출측에 설치되어 주방 내부 공기의 이물질과 악취를 제거하는 제2필터유니트; 배기덕트의 재2필터유니트의 배출측에 설치되어 주방 내부의 공기를 대기중으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의 제1필터유니트는, 일측과 타측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마련되고, 하단에 배수구가 마련되는 장방형 케이스; 장방형 케이스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제1배플부과 제2배플부; 장방형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열풍공급모듈; 장방형 케이스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제1배플부와 제2배플부는 다수의 배플플레이트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의 제2필터유니트는, 일측과 타측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마련되는 원통형 케이스;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의 유입구 쪽에 설치되는 원판상의 프리필터;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 중앙부에 설치되는 광촉매필터;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의 배출구 쪽에 설치되는 나노전기방사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에 의하면, 업소의 주방의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음식물 냄새 등의 악취, 미세먼지를 포함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주방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대기중으로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업소 주변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에 의하면,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간편하게 시설할 수 있게 되고, 주방 내부 공기에 포함된 유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교체성 필터의 교환주기가 길게 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되고,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의 제1필터유니트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의 제2필터유니트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정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100)은 후드(110), 전처리필터(120), 배기덕트(130), 제1필터유니트(140), 제2필터유니트(150), 배기팬(160)을 포함한다.
후드(110)는 음식물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증기, 냄새 등의 유입되는 부분으로, 주방 내부의 음식물 조리기구의 상부에 설치된다.
전처리필터(120)는 후드(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분 등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부분으로, 후드(110)의 내부 상단부에 설치된다.
전처리필터(120)는 분리 및 세척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디미스터(SUS Demister) 방식의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스테인레스 디미스터(SUS Demister) 방식의 전처리필터 구조는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배기덕트(130)는 후드(110)를 통해 유입된 주방 내부 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이 후드(110)의 상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건물 외부의 대기중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제1필터유니트(140)는 전처리필터(120)를 통과한 공기 중에 포함된 유분을 제거하는 부분으로, 배기덕트(130)의 후드(110) 쪽에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의 제1필터유니트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제1필터유니트(140)는 일측과 타측에 유입구(141a)와 배출구(141b)가 마련되고, 하단에 배수구(141c)가 마련되는 장방형 케이스(141); 장방형 케이스(141)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제1배플부(142)과 제2배플부(143); 장방형 케이스(1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열풍공급모듈(144); 장방형 케이스(141)의 배수구(141c)에 설치되는 배수개폐밸브(145);를 포함한다.
제1배플부(142)와 제2배플부(143)는 다수의 배플플레이트(142a)(143b)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형태를 가진다.
열풍공급모듈(144)은 전열히터(144a)와 송풍팬(144b)을 포함하는 것으로, 열풍을 장방형 케이스(141) 내부의 제1배플부(142)와 제2배플부(143) 쪽으로 공급하여 각 배플플레이트(142a)(143a)에 늘러붙은 유분을 녹여서 장방형 케이스(141) 내부 하단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필터유니트(150)는 제1필터유니트(140)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악취 등을 제거하는 부분으로, 배기덕트(130)의 제1필터유니트(140)의 배출구(141b) 쪽에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의 제2필터유니트의 구성도이다.
제2필터유니트(150)는 일측과 타측에 유입구(151a)와 배출구(151b)가 마련되는 원통형 케이스(151); 원통형 케이스(151)의 내부의 유입구(151a) 쪽에 설치되는 원판상의 프리필터(152); 원통형 케이스(151)의 내부 중앙부에 설치되는 광촉매필터(153); 원통형 케이스(151)의 내부의 배출구(151b) 쪽에 설치되는 나노전기방사필터(154)를 포함한다.
프리필터(152)는 원통형 케이스(151)의 내부로 진입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중에서 비교적 굵은 입자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광촉매필터(153)는 프리필터(152)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살균을 실시하고, 나노전기방사필터(154)는 광촉매필터(153)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한다.
배기팬(160)은 주방 내부의 공기를 후드(120), 전처리필터(120), 배기덕트(130), 제1필터유니트(140), 제2필터유니트(150)를 통해 대기중으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배기덕트(130)의 재2필터유니트(160)의 배출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100)은 배기팬(160)의 작동으로 주방 내부의 공기가 배기덕트(130)를 통해 대기중으로 강제 배출되는 과정에서 전처리필터(120), 제1필터유니트(140), 제2필터유니트(150)로 주방 내부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유분, 악취 등을 제거하고, 깨끗한 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100)에서 배기팬(160)이 작동되면 주방 내부 공기가 후드(110) 및 배기덕트(130)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데, 후드(110)로 진입한 주방 내부 공기에 포함된 유분이나 이물질은 1차적으로 분리 및 세척 가능한 전처리필터(120)를 통해 제거된다.
상기에서 전처리필터(120)를 통과한 공기는 제1필터유니트(140)로 진입하고, 제1필터유니트(140)의 장방형 케이스(141)의 내부에 설치된 제1배플부(142)의 배플플레이트(142a)와 제2배플부(143)의 배플플레이트(143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분 및 이물질이 제거된다.
제1필터유니트(140)를 통과한 공기는 제2필터유니트(150)의 원통형 케이스(151)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원통형 케이스(151)의 내부의 유입구(151a) 쪽에 설치되는 원판상의 프리필터(152)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되고, 원통형 케이스(151)의 내부 중앙부에 설치되는 광촉매필터(153)를 통해 냄새가 제거되는 동시에 살균되고, 원통형 케이스(151)의 내부의 배출구(151b) 쪽에 설치되는 나노전기방사필터(154)를 통해 미세먼지가 제거된다.
제1필터유니트(140)와 제2필터유니트(1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물질과 냄새가 제거되어 깨끗해진 공기는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100)의 작동과정에서 주방 내부 공기에 포함된 유분은 대부분 전처리필터(120) 및 제1필터유니트(140)를 통해 제거되는데, 전처리필터(120)는 분리 및 세척이 가능하므로 주기적으로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필터유니트(140)의 내부에 축적된 유분은 열풍공급모듈(144)를 작동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열풍공급모듈(144)의 전열히터(144a)와 송풍팬(144b)을 작동하게 되면 열풍이 장방형 케이스(141) 내부의 제1배플부(142)와 제2배플부(143) 쪽으로 공급되고, 그에 따라 각 배플플레이트(142a)(143a)에 늘러붙은 유분이 녹아서 장방형 케이스(141) 내부 하단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이때 장방형 케이스(141)의 배수구(141c)에 설치된 배수개폐밸브(145)를 개방하게 되면 배수구(141c)를 통해 장방형 케이스(141) 내부 하단의 유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100)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시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축적된 유분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교체성 필터의 교환주기를 길게 할 수 있게 되므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
110 : 후드
120 : 전처리필터
130 : 배기덕트
140 : 제1필터유니트
150 : 제2필터유니트
160 : 배기팬

Claims (3)

  1. 주방 내부의 음식물 조리기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후드(110);
    후드(110)의 내부 상단부에 설치되는 전처리필터(120);
    일단이 후드(110)의 상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건물 외부의 대기중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배기덕트(130);
    배기덕트(130)의 후드(110) 쪽에 설치되어 주방 내부공기의 유분을 제거하는 제1필터유니트(140);
    배기덕트(130)의 제1필터유니트(140)의 배출측에 설치되어 주방 내부 공기의 이물질과 악취를 제거하는 제2필터유니트(150);
    배기덕트(130)의 재2필터유니트(160)의 배출측에 설치되어 주방 내부의 공기를 대기중으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팬(160);을 포함하고,
    제1필터유니트(140)는,
    일측과 타측에 유입구(141a)와 배출구(141b)가 마련되고, 하단에 배수구(141c)가 마련되는 장방형 케이스(141);
    장방형 케이스(141)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제1배플부(142)과 제2배플부(143);
    장방형 케이스(1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열풍공급모듈(144);
    장방형 케이스(141)의 배수구(141c)에 설치되는 배수개폐밸브(145);를 포함하고,
    제1배플부(142)와 제2배플부(143)는 다수의 배플플레이트(142a)(143b)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2필터유니트(150)는,
    일측과 타측에 유입구(151a)와 배출구(151b)가 마련되는 원통형 케이스(151);
    원통형 케이스(151)의 내부의 유입구(151a) 쪽에 설치되는 원판상의 프리필터(152);
    원통형 케이스(151)의 내부 중앙부에 설치되는 광촉매필터(153);
    원통형 케이스(151)의 내부의 배출구(151b) 쪽에 설치되는 나노전기방사필터(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
KR1020210038431A 2021-03-25 2021-03-25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 KR102421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431A KR102421147B1 (ko) 2021-03-25 2021-03-25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431A KR102421147B1 (ko) 2021-03-25 2021-03-25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147B1 true KR102421147B1 (ko) 2022-07-14

Family

ID=8240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431A KR102421147B1 (ko) 2021-03-25 2021-03-25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1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683Y1 (ko) * 2007-02-26 2008-06-25 (주)지오퓨어텍 주방용 탈유탈취장치
CN203413699U (zh) * 2013-08-13 2014-01-29 李明涛 多功能油烟净化器
KR101507728B1 (ko) * 2015-01-28 2015-04-07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흡연실
CN209026916U (zh) * 2018-10-10 2019-06-25 武汉佳福节能环保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uv节能净化烟罩
KR102032046B1 (ko) 2018-03-12 2019-10-14 김효수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
KR20210021880A (ko)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주방용 후드와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683Y1 (ko) * 2007-02-26 2008-06-25 (주)지오퓨어텍 주방용 탈유탈취장치
CN203413699U (zh) * 2013-08-13 2014-01-29 李明涛 多功能油烟净化器
KR101507728B1 (ko) * 2015-01-28 2015-04-07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흡연실
KR102032046B1 (ko) 2018-03-12 2019-10-14 김효수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
CN209026916U (zh) * 2018-10-10 2019-06-25 武汉佳福节能环保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uv节能净化烟罩
KR20210021880A (ko)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주방용 후드와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37104B (en) Extractor hood and method for extracting and/or purifying contaminated carriers
US7002110B2 (en) Electric smokeless roaster
JP2008307217A (ja) 無煙ロースター
JP2018535832A (ja) 空気浄化装置
JPH1085535A (ja) 排気浄化装置
KR20180047424A (ko) 원통형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기
US20150202341A1 (en) Photo catalytic air purifier
KR102196391B1 (ko) 업소용 집진 및 악취 제거 시스템
JP2012037210A (ja)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KR102641694B1 (ko) 주방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시스템
JP2011112251A (ja)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CN205481225U (zh) 一种油烟异味净化器
KR102421147B1 (ko)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
KR101699891B1 (ko) 구이음식점 배출가스 처리장치
WO2010073217A1 (en) Air purifying system and method associated thereto
KR102518027B1 (ko) 공기청정 후드
KR101431508B1 (ko) 자동 공기순환 덕트장치
KR100564648B1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재순환레인지후드
KR101109490B1 (ko) 격자형 그리스 필터
KR101373177B1 (ko) 양압을 이용한 실내클린장치
JP2008543521A (ja) 湿式フィルターシステムを備えた台所用アスピレータ及び空気清浄器
WO2011074250A1 (ja) 油煙浄化装置
KR20220144073A (ko)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의 미세먼지 포집장치
KR102160186B1 (ko) 커피로스팅배출물질 저감장치
WO2017119845A1 (en) Ventilated cook-top with integrated air filtration technologies (vent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